KR10114966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669B1
KR101149669B1 KR1020100070863A KR20100070863A KR101149669B1 KR 101149669 B1 KR101149669 B1 KR 101149669B1 KR 1020100070863 A KR1020100070863 A KR 1020100070863A KR 20100070863 A KR20100070863 A KR 20100070863A KR 101149669 B1 KR101149669 B1 KR 10114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ntact
closed position
connection objec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513A (ko
Inventor
히로유키 요코오
노부카즈 카토
마사오 히구치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과, 삽입구와, 액추에이터와, 가세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대상물은,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구에 대하여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후에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위치까지 회동되면, 상기 가압부는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가세부재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향해서 상기 가압부를 가세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과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892945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일본국 특허 제2892945호 공보에는, 액추에이터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까지 회동(回動)시켰을 때에 가압부(pusher)가 삽입 방향 안쪽(rearward)으로 이동하면서 FPC에 대하여 가압하는 종래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제2892945호 공보에는, 액추에이터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까지 회동시켰을 때에 가압부가 삽입 방향 앞쪽(삽입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FPC에 대하여 가압하는 커넥터도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2892945호 공보에 개시된 이들 커넥터에서는, 액추에이터의 회동시에 액추에이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함에 따라서, 가압부도 동일 축(軸)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기 때문에, 가압부가 삽입 방향의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이동에 의해 콘택트의 접촉부가 FPC/FFC의 접촉부(배선 패턴)로부터 벗어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의 회동조작 시에 콘택트의 접촉부가 FPC/FFC의 접촉부(배선 패턴)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하우징과, 삽입구와, 액추에이터와, 가세부재(biasing member)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접속 대상물은,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개방(開)위치와 폐쇄(閉)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구에 대하여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후에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위치까지 회동되면, 상기 가압부는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가세부재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향해서 상기 가압부를 가세하는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올바르게 이해되고, 또한 그 구성에 대하여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에 포함되는 액추에이터는 개방위치에 있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커넥터에 포함되는 액추에이터는 개방위치에 있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액추에이터는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액추에이터는 폐쇄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5는, 액추에이터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의 가압부와 축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가압부와 축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특정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커넥터(1)는, 금속제의 콘택트(10)와, 콘택트(10)를 유지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액추에이터(40)와, 금속제의 콘택트(가세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0)과 액추에이터(40)는 절연성을 가지고 있다. 콘택트(60)는 하우징(20)에 유지되어 있다. 이 커넥터(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또는 FFC)(5)와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FPC(또는 FFC)(5)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배선 패턴 등의 접촉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10)는, 하우징(20)의 FPC(또는 FFC)(5)의 삽입측인 전단(20a)으로부터 후단(20b)측을 향해서 압입(壓入)됨으로써, 하우징(20)에 유지되어 있다. 각 콘택트(10)는, FPC(5)의 하면에 형성된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촉부(12)는, 콘택트(10)의 스프링성(spring characteristic)에 의해, 커넥터(1)의 두께 방향(Z 방향)을 따라서 변위(變位)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20)은, 커넥터(1)의 폭방향(Y 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축수부(pivot receivers, 22)와, 커넥터(1)에 대한 FPC(5)의 삽입 방향(X 방향)에 있어서 축수부(22)와 전단(20a) 사이에 형성된 회동규제부(turn regulators, 24)를 구비하고 있다. 축수부(22)는, Y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또한 Z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축수부(22)는, 후술하는 액추에이터(40)의 부착 공정을 고려하여, 상단의 모서리부(角部)를 베벨(bevel)가공하고 있다. 회동규제부(24)는, 액추에이터(40)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액추에이터(40)의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도 1 및 도 3 참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콘택트(60)는, 하우징(20)의 후단(20b)으로부터 전단(20a) 측을 향해서 압입됨으로써, 하우징(20)에 유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콘택트(60)는, 하우징(20)의 후단(20b)측에 유지된 피(被)유지부(62)와, 피유지부(62)에 지지된 스프링부(64)와, 스프링부(6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핑거부(finger section, 6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핑거부(66)는, 전방부(front part, 68)과 후방부(rear part, 70)를 가지고 있다. 핑거부(66)는, 전방부(68)과 후방부(70) 사이에서 스프링부(64)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도 3에 나타내는 상태가 초기 상태로 되어 있다. 핑거부(66) 중 전방부(68)는, 액추에이터(40)의 일부를 가압하는 부위이며(후술), 후방부(70)는, FPC(5)의 상면에 형성된 접촉부와 접촉하는 부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핑거부(66)의 전방부(68)를 위로 향해서 밀어 올리면, 후방부(70)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 후방부(70)의 이동에 의해, 삽입구(2)에 FPC(5)가 삽입되어 있던 경우에는, 그 FPC(5)의 상면에 형성된 접촉부에 대하여, 후방부(70)를 밀어붙일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이때, 전방부(68)를 위로 향해서 밀어 올리는 부재에는, 반력(反力)으로서 하향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40)는, Y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축부(42)와, 수용부(receptacle portion, 44)와, 피수용부(facing portions 46)와, 연통 슬릿(communication slits, 48)과, 가압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축부(42)는 액추에이터(40)의 양단으로부터 Y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으며, 하우징(20)의 축수부(22)에 수용되어 있다. 축부(42)가 축수부(22)에 수용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추에이터(40)는, 개방위치(도 3)와 폐쇄위치(도 4)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수용부(46)는, 액추에이터(40)의 Y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액추에이터(40)의 전면 및 상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앞(前)」 및 「위(上)」는, 액추에이터(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정의하고 있다. 이하, 액추에이터(40)에 관한 표현에 있어서 동일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40)의 피수용부(46)는, 회동규제부(24)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있고, 이에 따라서, 액추에이터(40)가 개방위치를 넘어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40)를 삽입 방향(+X 방향)을 향해서 넘어뜨리도록 조작함으로써, 액추에이터(40)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를 향해서 회동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액추에이터(40)를 삽입 방향과 역방향(-X 방향)을 향해서 넘어뜨리도록 조작함으로써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를 향해서 회동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회동규제부(24)는 삽입 방향에 있어서 축수부(22)와 하우징(20)의 후단(20b)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피수용부(46)는 액추에이터(40)의 상면과 후면의 일부로 구성되게 된다.
수용부(4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하우징(20)의 후단(20b)측을 수용하는 부위이다.
도 3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연통 슬릿(48)은, 액추에이터(40)의 전면과 수용부(44)를 연통시키는 슬릿이며, 콘택트(가세부재)(60)마다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콘택트(60)의 핑거부(66), 특히 전방부(68)는, 각 연통 슬릿(48) 내에 위치하고 있다.
가압부(50)는, 액추에이터(40) 전면의 하측 부근(앞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부는 연통 슬릿(48) 내에 면(面)해 있다. 이로써, 가압부(50)는, 콘택트(60)의 핑거부(66)와 연통 슬릿(48) 내에서 접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가압부(50)는 비교적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액추에이터(40)와 하우징(20)은, FPC(5)를 X 방향을 따라 삽입가능한 삽입구(2)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삽입구(2)에 FPC(5)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콘택트(10)의 접촉부(12)는 삽입구(2) 내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액추에이터(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40)의 가압부(50)는, 콘택트(60)의 핑거부(66)에 의해 하측을 향해서 가세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삽입구(2)에 FPC(5)가 삽입된 상태로 액추에이터(40)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회동시키면, 가압부(50)가 실질적으로 Z 방향만을 따라서 FPC(5)를 가압하도록, 콘택트(60)의 핑거부(66)는 가압부(50)를 가세하고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축부(42) 및 가압부(5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축부(42)는, XZ 평면 내에 있어서 원형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 축부(42)의 직경은, 하우징(20)의 축수부(22)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즉, 축수부(22)를 구성하는 홈의 폭)보다 약간 작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축수부(22)내에 있어서의 축부(42)의 회동이나 Z 방향을 따른 이동은 허용되는 한편, 축부(42)의 X 방향을 따른 이동은 규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가압부(50)는, XZ 평면내에 있어서 대략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맞닿음부(52)와, 콘택트(60)의 핑거부(66)와 접하는 전달부(transmission section, 54)를 구비하고 있다. 전달부(54)는, 콘택트(60)로부터 받는 힘을 맞닿음부(52)에 전달한다.
맞닿음부(52)의 대략 반원형상의 중심(C)은, 가압부(50)의 회동중심이 되고 있으며, 이것은 축부(42)의 중심과도 일치하고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부(50)의 회동중심은, 축부(42)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맞닿음부(52)가 대략 반원형상이기 때문에, 액추에이터(40)의 회동동작에 따라 맞닿음부(52)가 FPC(5)에 꽉 눌려질 때, 맞닿음부(52)와 FPC(5)간의 접촉점은, 중심(C)을 지나며 또한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線)위로만 이동하게 된다(도 6의 검고 굵은 화살표 참조). 또한, 액추에이터(40)의 회동동작에 따라 맞닿음부(52)로부터 FPC(5)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항상 Z 방향을 따른 방향(-Z 방향)만을 향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압부(50)의 FPC(5)에 대한 가압에 의해, FPC(5)가 전단력(剪斷力)을 받는 일은 없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맞닿음부(52)의 회동 중심(C)을 지나며 또한 Z 방향과 평행인 직선상에 콘택트(10)의 접촉부(12)도 위치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부(50)의 회동중심과 콘택트(10)의 접촉부(12)는, Z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40)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를 향해서 회동시키면, 맞닿음부(52)가 접촉부(12)를 향해 Z 방향을 따라서 이동(접근)하게 된다. 그 결과, 삽입구(2)에 FPC(5)가 삽입된 상태로 액추에이터(40)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를 향해 회동시키면, 맞닿음부(52)와 접촉부(12)로 FPC(5)를 확실하게 끼워 유지할 수 있다. 즉, 맞닿음부(52)에 의해 FPC(5)를 접촉부(12)에 대하여 적절하게 밀어붙일 수 있다. 한편, 맞닿음부(52)의 대략 반원형상의 바깥 표면이 FPC(5)의 표면과 맞닿는다.
전달부(54)는, 피억제부(suppression section, 55)와 피가압부(press section, 56)를 가지고 있다. 피억제부(55)는, 액추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콘택트(60)의 핑거부(66)와 맞닿고 또한 핑거부(66)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도 3 및 도 5 참조). 피가압부(56)는, 액추에이터(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콘택트(60)의 핑거부(66)에 의해 가압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콘택트(60)의 핑거부(66)가 가압부(50)의 피억제부(55)의 상방 이동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액추에이터(40)가 하우징(20)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은 없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콘택트(60)의 핑거부(66)는 피억제부(55)의 상방이동을 방지하고 있을 뿐이며, 가압부(50)를 콘택트(10)의 접촉부(12)를 향해서 가세하고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추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도 콘택트(60)가 가압부(50)를 콘택트(10)의 접촉부(12)를 향해서 가세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1)의 제조 공정을 고려하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구성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피억제부(55)는, 액추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XY 평면과 거의 평행하게 되는 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피억제부(55)는, XZ 평면 내에 있어서 직선형상으로 보이는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피가압부(56)도 또한, XZ 평면 내에 있어서 직선형상으로 보이는 부위이다. 단, 피가압부(56)는, 피억제부(55)의 1/6~1/8 정도의 크기밖에 안된다. 즉, 가압부(50)는, XZ 평면 내에 있어서,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피억제부(55)와 피가압부(56)는 매끄러운 곡면에 의해 연결되고 있으며, 따라서, 액추에이터(40)가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회동할 때, 콘택트(60)의 핑거부(66)가 피억제부(55) 상으로부터 피가압부(56) 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4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피가압부(56)는 XY 평면과 평행하게는 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피가압부(56)가 핑거부(66)로부터 받는 힘은 Z 방향과 조금 경사진 방향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맞닿음부(52)가 거의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FPC(5)에 가해지는 힘은 Z 방향과 평행인 성분으로만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콘택트(10)의 접촉부(12)가 FPC(5)의 접촉부(배선 패턴)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커넥터(1)는, 개략, 축부(42)를 축수부(22)에 삽입하고, 액추에이터(40)를 개방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우징(20)의 후단(20b)측으로부터 콘택트(60)를 전단(20a)측을 향해 삽입함으로써 조립된다. 이때, 콘택트(60)의 핑거부(66), 특히 전방부(68)는 연통 슬릿(48)내에 있어서 가압부(50)의 피억제부(55) 상에 위치하게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피억제부(55)는 XY 평면과 평행하게 되어, 전방부(68)에는 가압부(50)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거나, 혹은 하중이 작기 때문에 불필요한 스트레스는 가해지지 않는다. 이로써, 커넥터(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콘택트(60)의 핑거부(66) 변형이 방지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40)를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회동시킬 때, 가압부(50)가 FPC(5)를 +X 방향이나 -X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Z 방향만을 따라서 FPC(5)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택트(10)의 접촉부(12)가 FPC(5)의 배선 패턴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가압부가 액추에이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기 때문에 가압부의 이동량이 크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에서는, 액추에이터(40)의 축부(42)의 중심(C)은 Z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기 때문에, FPC(5)와 맞닿는 가압부(50)의 맞닿음부(52)의 이동량은 근소하거나, 혹은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대상물인 FPC/FFC가 커넥터의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액추에이터가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회동할 때, 가압부가 FPC/FFC를 두께 방향(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가압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콘택트의 접촉부가 FPC/FFC상의 배선 패턴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2009년 7월 27일에 일본국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2009-174079호에 근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하우징과,
    삽입방향을 따라서 접속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가압부(pusher)를 가지는 액추에이터와,
    가세부재(biasing member)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의 사이에서 회동(回動)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접속대상물이 상기 삽입구에 대하여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며,
    상기 접속대상물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후에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위치까지 회동되어, 상기 가압부가 삽입된 상기 접속대상물을 가압할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접속대상물의 두께방향만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가세부재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삽입된 상기 접속대상물을 향하여 상기 가압부를 가세하는 것이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동시에 축으로서 기능하는 축부(pivot)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삽입방향을 따른 상기 축부의 이동은 규제하면서 상기 축부의 상기 두께방향에서의 이동은 허용하도록 하여, 상기 축부를 수용하는 축수부(pivot receiver)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축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회동중심 주위로 회동하는 것이고,
    상기 가압부는, 맞닿음부(abutment section)와 전달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로 회동할 때, 삽입된 상기 접속대상물과 맞닿는 것이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세부재와 상기 맞닿음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세부재로부터 받는 힘을 상기 맞닿음부에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삽입방향 및 상기 두께방향으로 규정되는 면 내에 있어서 반원 형상의 단면(斷面)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맞닿음부의 반원 형상의 중심은, 상기 가압부의 상기 회동중심으로서 기능하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삽입방향 및 상기 두께방향으로 규정되는 면 내에 있어서,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축수부는, 상기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홈의 상기 삽입방향에서의 폭은, 상기 축부의 직경보다 조금 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콘택트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부의 회동중심과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두께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00070863A 2009-07-27 2010-07-22 커넥터 KR101149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4079 2009-07-27
JP2009174079A JP4792518B2 (ja) 2009-07-27 2009-07-27 コネク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706A Division KR101223171B1 (ko) 2009-07-27 2012-03-15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513A KR20110014513A (ko) 2011-02-11
KR101149669B1 true KR101149669B1 (ko) 2012-05-30

Family

ID=434977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863A KR101149669B1 (ko) 2009-07-27 2010-07-22 커넥터
KR1020120026706A KR101223171B1 (ko) 2009-07-27 2012-03-15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706A KR101223171B1 (ko) 2009-07-27 2012-03-15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82277B2 (ko)
JP (1) JP4792518B2 (ko)
KR (2) KR101149669B1 (ko)
CN (1) CN101969157A (ko)
TW (1) TWI4064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3847B2 (en) 2003-02-10 2013-08-20 Ebara International Corporation Thrust balancing device for cryogenic fluid machinery
JP4847569B2 (ja) * 2009-10-01 2011-12-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46953B2 (ja) * 2011-11-01 2015-07-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ITMI20121568A1 (it) * 2012-09-20 2014-03-21 Wilic Sarl Gruppo attivo di una macchina elettrica rotante per un aerogeneratore
JP6215068B2 (ja) * 2014-01-28 2017-10-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55364B2 (ja) * 2015-11-19 2020-02-26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98835B2 (ja) * 2017-11-01 2019-10-30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794A (ja) * 1999-09-03 2001-03-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945B2 (ja) 1994-08-05 1999-05-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09283240A (ja) * 1996-04-12 1997-10-31 Smk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3574891B2 (ja) * 1999-08-17 2004-10-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JP3446136B2 (ja) * 2000-06-05 2003-09-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3932330B2 (ja) * 2002-05-24 2007-06-20 大宏電機株式会社 扁平導体用コネクタ
JP4090059B2 (ja) * 2004-11-01 2008-05-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147491A (ja) * 2004-11-24 2006-06-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4240495B2 (ja) * 2005-09-20 2009-03-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29151B2 (ja) * 2007-06-06 2012-09-19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30084B2 (ja) * 2007-06-12 2009-09-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6794A (ja) * 1999-09-03 2001-03-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82277B2 (en) 2012-05-22
TWI406451B (zh) 2013-08-21
TW201108512A (en) 2011-03-01
KR20110014513A (ko) 2011-02-11
KR101223171B1 (ko) 2013-01-17
US20110021055A1 (en) 2011-01-27
CN101969157A (zh) 2011-02-09
JP4792518B2 (ja) 2011-10-12
JP2011029015A (ja) 2011-02-10
KR20120033321A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171B1 (ko) 커넥터
US8038467B2 (en) Connector having three-way interconnection
TWI333718B (en) Connector
US8075328B2 (en) Connector with an actuator pushed by a base-plate
TWI373885B (ko)
WO2012017983A1 (ja) 電気コネクタ
KR101121649B1 (ko) 커넥터
JP3998208B2 (ja) コネクタ
JP2008027593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20100109482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13178892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3098025A (ja) コネクタ
US105940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actuator structure
JP5862387B2 (ja) コネクタ
KR101366052B1 (ko) 커넥터
JP5077028B2 (ja) コネクタ装置
JP4989534B2 (ja) コネクタ
KR20080086824A (ko) 전기 커넥터
US9093790B2 (en) Connector device
JP3884721B2 (ja) 電気コネクタ
JP4651501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KR101291215B1 (ko) 백플립 커넥터
JP5077032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9043489A (ja) コネクタ
JP4884138B2 (ja) カム構造、コネクタ用カム構造及び該コネクタ用カム構造を使用す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