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215B1 - 백플립 커넥터 - Google Patents

백플립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215B1
KR101291215B1 KR1020120087527A KR20120087527A KR101291215B1 KR 101291215 B1 KR101291215 B1 KR 101291215B1 KR 1020120087527 A KR1020120087527 A KR 1020120087527A KR 20120087527 A KR20120087527 A KR 20120087527A KR 101291215 B1 KR101291215 B1 KR 101291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contact
actuator
hous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2008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94Lever acting on a connector mounted onto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Abstract

본 발명의 백플립 커넥터는 전방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한 하우징과; 접촉부와 피압부를 구비한 제 1 편,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와 납땜부를 구비한 제 2 편, 제 1 편의 접촉부와 피압부 사이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 1 편과 제 2 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접속단자와; 접속단자용 캠 및 누름부를 구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백플립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스티프너용 캠과; 하우징의 양 측벽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한 쌍의 회전축부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부에서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스티프너용 캠과 접촉되는 한 쌍의 작동부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부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가 상기 접속단자의 접촉부 상단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가압부로 이루어진 스티프너와; 상기 스티프너가 삽입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구비된 삽입홈을 더 구비하며; 접속단자의 접촉부가 플렉시블 케이블을 향해 가압하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를 회전시켰을 때, 상기 스티프너가 접촉부 상단을 플렉시블 케이블을 향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플립 커넥터{Back-Flip Connector}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과 회로기판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플립 커넥터(Back-Flip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케이블과 회로기판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플립 커넥터는 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19904호에 개시된 형태를 가지는데, 통상 도 1과 같이 합성수지제 하우징(10)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될 삽입구(11)를 구비하며 접속단자(20)에 가압력을 부가하기 위해 삽입구 반대방향에 위치시킨 액추에이터(30)를 구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 내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접속단자(20)는 제 1 편(21), 제 2 편(22) 및 상기 제 1,2 편(21,22)을 연결하는 연결부(23)로 이루어진다.
제 1 편(21)은 상측에 위치하며, 하우징(10)의 삽입구(11) 측(전방)에서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211)와, 하우징(10)의 삽입구(11) 반대측(후방)에서 액추에이터(30)의 접속단자용 캠(31)에 의해 가압력을 전달받는 피압부(212)로 이루어진다.
제 2 편(22)은 하측에 위치하며, 하우징(10)의 삽입구(11) 측(전방)에서 플렉시블 케이블의 하단을 지지하거나 플렉시블 케이블 하단의 단자부와 접촉하게 되는 제 1 지지부(221)와, 삽입구(11) 반대측(후방)에서 피압부(212)로 가압력을 전달하는 액추에이터(30)의 접속단자용 캠(31)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지지부(222)와, 제 1 지지부 또는 제 2 지지부에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납땜부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납땜부(223)가 제 2 지지부(222) 측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편(21)은 접촉부(211)와 피압부(212) 사이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결부(23)에 의해 제 2 편(22)과 연결되게 된다.
누름부(39)를 눌러 액추에이터(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지지부(222)에 의해 지지되는 접속단자용 캠(31)은 피압부(212)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며, 연결부(23)를 지점으로 하여 제 1 편(21)은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접촉부(211)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와 접촉을 이루게 된다.
최근 각종 전자기기가 소형화/박형화됨에 따라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역시 소형화/박형화 되고 있고, 소형화된 백플립 커넥터에서는 접속 단자(20)의 두께가 얇고 소형화되어 연결부(23) 또는 연결부(23)와 피압부(212) 사이의 부분에서 소성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와 접촉부(211)와의 접촉력이 설계치에 달하지 달하지 못하거나, 접촉부(211)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해 플렉시블 케이블의 삽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6384호(도 2 참조)와 같이 접속단자용 캠(31)과 누름부(39) 사이의 홈의 일면(도면부호 12가 가르키는 부위)을 이용하여 피압부(212)를 강제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택한 것과,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0-205576호(도 3 참조)와 같이 하우징(10)에 금속제 커버(13)를 씌우고 금속제 커버의 일단(도면부호 131이 가르키는 부위)에 의해 제 1 편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해서 피압부를 강제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소성변형은 여전히 남아 있어 재 가압시 충분한 접촉력을 얻을 수 없고, 제 1 편의 변형을 억제하여 소성변형을 방지하게 되면, 접촉부의 작동범위가 좁아져 플렉시블 케이블의 삽입이 곤란하거나 접촉력을 적절히 설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09-0019904 A, 2009.2.25., 도면 2a KR 10-0916384 B, 2009.9.7., 도면 13a JP 2010-205576 A, 2010.9.16., 도면 9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접속단자의 예기치 못한 소성변형에도 불구하고 플렉시블 기판의 단자부와 접촉부의 접촉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백플립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플립 커넥터는
전방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한 하우징과;
전방의 접촉부와 후방의 피압부를 구비한 제 1 편, 납땜부와 후방의 제 2 지지부를 구비한 제 2 편,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편의 접촉부와 피압부 사이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 1 편과 제 2 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접속단자와;
상기 제 2 지지부와 피압부 사이에 위치하며 피압부의 이동을 위해 구비된 접속단자용 캠 및 누름부를 구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백플립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스티프너(Stiffner)용 캠과;
하우징의 양 측벽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을 구비한 한 쌍의 회전축부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부에서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스티프너용 캠과 접촉되는 한 쌍의 작동부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부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가 상기 접속단자의 접촉부 상단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가압부로 이루어진 스티프너와;
상기 스티프너가 삽입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구비된 삽입홈을 더 구비하며;
접속단자의 접촉부가 플렉시블 케이블을 향해 가압하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를 회전시켰을 때, 상기 스티프너가 접촉부 상단을 플렉시블 케이블을 향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편은 연결부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제 1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단자 중 하우징 측방 최외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의 접촉부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노치와 결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프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프너는 가압부의 외면을 피복한 피복부를 더 구비하며, 회전축부, 작동부, 연장부, 가압부의 재질을 금속으로, 피복부의 재질을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중 하나로 선택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백플립 커넥터에 의하면, 접속단자의 예기치 못한 소성변형에도 불구하고 플렉시블 기판의 단자부와 접촉부의 접촉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백플립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 백플립 커넥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 백플립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 밸플립 커넥터의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 백플립 커넥터의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A-A, B-B, C-C단면을 각각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 백플립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10)은 전방에 플렉시블 케이블(F)이 삽입될 삽입구(11)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우징(10) 후방에는 액추에이터(3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30)의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 축부(33)를 하우징(10)의 측벽(15)에 가공된 액추에이터 삽입공(151)에 끼워 설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도 6에 도시된 피압부(212)와 제 2 지지부(222) 사이의 형상 및 간격과 액추에이터의 접속단자용 캠(31)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액추에이터(30)가 접속단자(20) 사이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30)가 백플립 커넥터에 유지되는 방식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접속단자(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접촉부(211)와 후방의 피압부(212)를 구비한 제 1 편(21), 전방의 제 1 지지부(221)와 후방의 제 2 지지부(222)와 납땜부(223)를 구비한 제 2 편(22),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편(21)의 접촉부(211)와 피압부(212) 사이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 1 편(21)과 제 2 편(22)을 연결하는 연결부(23)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편(22)이 제 1 지지부(221)를 구비하고 있지만, 제 1 지지부(221)는 필요에 따라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30)는 상기 제 2 지지부(222)와 피압부(212) 사이에 끼워지며 액추에이터가 회전할 때 피압부(212)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접속단자용 캠(31)과, 액추에이터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 손으로 누르기 위한 누름부(39)와, 양 측단에 스티프너용 캠(3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의 상면에 가공된 삽입홈(14)에 끼워지게 되는 스티프너(40)는, 하우징(10)의 양 측벽(15)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411)을 구비한 한 쌍의 회전축부(41)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부(41)에서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스티프너용 캠(32)과 접촉되는 한 쌍의 작동부(42)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부(41)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43)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43)가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가압부(44)와, 상기 가압부(44)의 외면 중 상기 접속단자(20)의 접촉부(211) 상단과 접촉되는 위치를 절연체로 피복한 피복부(45)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부(4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회전축(411)을 하우징 측벽(15)을 관통하는 형태로 가공된 회전축 끼움통공(141)에 끼우는 형태로 스티프너(40)를 하우징(10)에 설치하였지만, 회전축을 통공형태로 하며 통공형태의 회전축에 끼워질 돌출부를 하우징의 측벽에 가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회전축이 돌출된 형태로만 한정되지 않고 통공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7의 평면도에 표시된 A-A, B-B, C-C단면을 나타낸 도 8 내지 도 10의 단면도에 따라 본 실시예 백플립 커넥터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의 (a)도면은 액추에이터가 개방위치에 있어 플렉시블 케이블을 백플립 커넥터 내로 삽입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b)도면은 플렉시블 케이블을 삽입한 뒤 액추에이터를 회전시켜 플렉시블 케이블과 커넥터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와 같이 액추에이터(30)가 개방위치에 있게 되면, 플렉시블 케이블(F)이 하우징의 삽입구(11)를 지나 접촉부(211)과 제 1 지지부(221) 사이로 무리없이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8(b)와 같이 액추에이터(30)를 후방하측으로 회전시키면 접속단자용 캠(31)에 의해 피압부(212)는 상승하고, 연결부(23)를 지점으로 하여 제 1 편(2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접촉부(211)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를 가압하게 된다.
도 9는 스티프너(40)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스티프너(40)의 피복부(45)는 액추에이터(3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접촉부(211) 상단과 분리되어 있다. 액추에이터(30)가 회전됨에 따라 스티프너 캠(32)에 의해 작동부(42)가 상승하며, 스티프너(40)은 회전축(411)을 지점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피복부(45)는 접촉부(211)의 상단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티프너(40)의 회전축부(41), 작동부(42), 연장부(43), 가압부(44)를 금속재질로, 피복부(45)를 절연체인 플라스틱 재질로 선택하였기 때문에, 피복부(45)가 접속단자를 가압하더라도 쇼트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피복부(45)가 접촉부(211)의 상단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작동관계가 추가됨에 따라, 접촉부(211)와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의 접촉력은 접속단자의 소성변형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스티프너를 제작하게 되면 피복부가 필요없게 되며, 이 경우에는 가압부가 접촉부의 상단을 가압하게 된다.
도 10은 접속단자 중 하우징 측방 최외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도 7에서 도면부호 201이 가르키는 접속단자)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의 접속단자는 도 8의 접속단자와 그 구성은 동일하지만, 접촉부(211)가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와 접속하지 않고 플렉시블 케이블(F)의 결합노치(F1)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접촉부(211)의 위치를 조절한 것이다.
도 10의 접속단자는 도 8의 접속단자와 대비하여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거동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스티프너의 피복부(45)가 접촉부(211)의 상단을 가압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접촉부(211)의 크기나 피복부(45)의 두께를 조절하여 도 10의 접촉부도 스티프너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삽입구 14 : 삽입홈 141 : 회전축 끼움통공
15 : 측벽 151 : 액추에이터 삽입공 20 : 접속단자 21 : 제 1 편
211 : 접촉부 212 : 피압부 22 : 제 2 편 221 : 제 1 지지부
222 : 제 2 지지부 223 : 납땜부 23 : 연결부 30 : 액추에이터
31 : 접속단자용 캠 32 : 스티프너용 캠 33 : 돌출 축부
39 : 누름부 40 : 스티프너 41 : 회전축부 411 : 회전축
42 : 작동부 43 : 연장부 44 : 가압부 45 : 피복부

Claims (5)

  1. 전방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한 하우징과;
    전방의 접촉부와 후방의 피압부를 구비한 제 1 편, 납땜부와 후방의 제 2 지지부를 구비한 제 2 편,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편의 접촉부와 피압부 사이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 1 편과 제 2 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접속단자와;
    상기 제 2 지지부와 피압부 사이에 위치하며 피압부의 이동을 위해 구비된 접속단자용 캠 및 누름부를 구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백플립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스티프너(Stiffner)용 캠과;

    하우징의 양 측벽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을 구비한 한 쌍의 회전축부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부에서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스티프너용 캠과 접촉되는 한 쌍의 작동부와, 상기 한 쌍의 회전축부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가 상기 접속단자의 접촉부 상단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가압부로 이루어진 스티프너와;

    상기 스티프너가 삽입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구비된 삽입홈을 더 구비하며;

    접속단자의 접촉부가 플렉시블 케이블을 향해 가압하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를 회전시켰을 때, 상기 스티프너가 접촉부 상단을 플렉시블 케이블을 향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립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은 연결부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 제 1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립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 중 하우징 측방 최외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접속단자의 접촉부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노치와 결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립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립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는 가압부의 외면을 피복한 피복부를 더 구비하며, 회전축부, 작동부, 연장부, 가압부의 재질을 금속으로, 피복부의 재질을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중 하나로 선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립 커넥터.
KR1020120087527A 2012-08-10 2012-08-10 백플립 커넥터 KR101291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527A KR101291215B1 (ko) 2012-08-10 2012-08-10 백플립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527A KR101291215B1 (ko) 2012-08-10 2012-08-10 백플립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215B1 true KR101291215B1 (ko) 2013-07-31

Family

ID=4899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527A KR101291215B1 (ko) 2012-08-10 2012-08-10 백플립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2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1090A (zh) * 2014-07-11 2016-01-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KR101667301B1 (ko) 2016-04-05 2016-10-18 (주)진선테크 플렉시블 팔레트 케이블용 커넥터
TWI578628B (zh) * 2014-05-07 2017-04-11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395A (ko) * 2004-11-01 2006-05-1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삽입부와 액츄에이터 사이에 벽부를 갖는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395A (ko) * 2004-11-01 2006-05-1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삽입부와 액츄에이터 사이에 벽부를 갖는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8628B (zh) * 2014-05-07 2017-04-11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CN105281090A (zh) * 2014-07-11 2016-01-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KR101667301B1 (ko) 2016-04-05 2016-10-18 (주)진선테크 플렉시블 팔레트 케이블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2620B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type conductor
JP4338738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3903338B2 (ja) Fpc用コネクタ
US20050255732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5748335B2 (ja) コネクタ
TWI496361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onductors
JP2007048499A (ja)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EP2840660B1 (en) Electric connector
JP2008027593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8123946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10238512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016244B2 (ja) コネクタ
JP6308197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0238371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792518B2 (ja) コネクタ
KR101291215B1 (ko) 백플립 커넥터
JP2006128018A (ja) コネクタ
JP4927454B2 (ja) コネクタ
JP2017059352A (ja) コネクタ装置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JP4315331B2 (ja) 電気コネクタ
JP5422144B2 (ja) Fpc/ffcコネクタ
JP5939270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06269240A (ja) コネクタ
JP398297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