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113B1 -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 Google Patents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113B1
KR101144113B1 KR1020100084475A KR20100084475A KR101144113B1 KR 101144113 B1 KR101144113 B1 KR 101144113B1 KR 1020100084475 A KR1020100084475 A KR 1020100084475A KR 20100084475 A KR20100084475 A KR 20100084475A KR 101144113 B1 KR101144113 B1 KR 101144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topper
mid
protru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697A (ko
Inventor
홍광훈
이대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113B1/ko
Priority to JP2010255158A priority patent/JP2012051543A/ja
Priority to US12/946,730 priority patent/US20120048669A1/en
Priority to DE102010060646A priority patent/DE102010060646A1/de
Priority to CN2010105551869A priority patent/CN102379501A/zh
Publication of KR2012002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1/00Other gearings with freewheeling members or other intermittently driving members
    • F16H31/001Mechanisms with freewheel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파워트렁크를 열고 닫을 때에 트렁크 도어가 구동 모터에 구속되지 않게 함으로 수동 개폐 작동력을 줄여줄 수 있는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 1 미드기어와; 내측에 원주상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 2 미드기어와; 상기 제 2 미드기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돌출부와 접합 가능한 2개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미드기어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상기 2개의 지지부 중 어느 하나를 접합 가압하여 상기 스토퍼의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지지부의 일 끝단이 제 2 미드기어의 상기 돌기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 1 미드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미드기어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Driving Module of Power Trunk Using Mechanical Clutch Gear}
본 발명은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파워트렁크를 열고 닫을 때에 트렁크 도어가 구동 모터에 구속되지 않게 함으로 수동 개폐 작동력을 줄여줄 수 있는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에 관한 것이다.
파워트렁크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자동차 트렁크 장치로써, 자동차의 고급화 및 부가 기능의 발달로 인하여 그 적용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첨부된 도 6은 종래의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의 구성은, 모터(10) 결합 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20), 상기 구동기어(20)에 맞물리는 종동기어(30), 상기 종동기어(30)에 결합 되는 아암(600) 및 상기 아암(600)과 트렁크 도어의 힌지(미도시)에 결합 된 로드(700)로 이루어져 있다.
파워트렁크의 자동 개폐 작동에 따라 모터(10)가 구동기어(20)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기어(20)에 맞물린 종동기어(30)가 회전하고, 상기 종동기어(30)의 회전력은 상기 종동기어(30)에 결합 된 아암(600)에 전달되어 아암(60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아암(600)의 회전력은 로드(700)를 통해 트렁크 도어의 힌지에 전달됨으로 트렁크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워트렁크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개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트렁크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경우, 도어 힌지의 회전력이 로드(700)를 통해 아암(600)에 전달되고, 상기 아암(600)의 회전력은 이에 결합 된 종동기어(30), 구동기어(20) 및 모터(10)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즉, 파워트렁크의 모터(10), 기어(20, 30), 아암(600), 로드(700) 및 도어 힌지는 서로 결합 된 형태로서, 파워트렁크의 자동 개폐시뿐만 아니라 수동 개폐시에도 함께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워트렁크 모듈의 경우, 트렁크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할 경우 많은 힘을 필요로 하였다. 즉, 일반적인 트렁크 도어와 달리 파워트렁크 도어는 도어 힌지가 회전함에 따라 모터(10)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트렁크 도어의 수동 개폐시 도어가 모터(10)에 구속되어 일반적인 트렁크 도어에 비해 많은 힘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파워트렁크 모듈은 이러한 수동 개폐 작동력의 과다함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모듈 구조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파워트렁크를 전기 모터의 구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개폐시 개폐 작동력을 줄여줌으로 적은 힘으로 트렁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 1 미드기어와; 내측에 원주상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 2 미드기어와; 상기 제 2 미드기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돌출부와 접합 가능한 2개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미드기어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상기 2개의 지지부 중 어느 하나를 접합 가압하여 상기 스토퍼의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지지부의 일 끝단이 제 2 미드기어의 상기 돌기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 1 미드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미드기어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지지부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돌출부와 접합하는 양 끝단에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를 회전방향으로 접합하여 가압할 때에는 상기 지지부의 일 끝단이 상기 스토퍼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의 일 끝단이 상기 스토퍼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미드기어와 회전력을 주고받는 아암; 및 상기 아암 및 파워트렁크의 도어 힌지에 결합 되어 파워트렁크의 개폐 작동력을 주고받는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에 의하면, 파워트렁크의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시 트렁크 도어가 구동 모터에 구속되지 않도록 함으로 적은 힘으로 트렁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미드기어, 제 2 미드기어 및 스토퍼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워트렁크가 자동 개폐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워트렁크가 수동 개폐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구동 모듈은 모터(10), 피니언 기어(12), 제 1 미드기어(100), 제 2 미드기어(200), 스토퍼(300), 메인 기어(400), 아암(600) 및 로드(7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12), 제 1 미드기어(100), 제 2 미드기어(200), 스토퍼(300) 및 메인 기어(400)는 베이스 플레이트(520)와 커버 플레이트(54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12)는 모터(10)에 직접 결합 되어, 모터(10)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 미드기어(100)는 상기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일면에는 돌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미드기어(100)는 제 2 미드기어(200)와 일면이 접합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미드기어(100)의 돌출부(120)가 상기 제 2 미드기어(200)와 접합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미드기어(200)의 내측에는 스토퍼(300)가 위치하고 있는데, 상기 스토퍼(300)에는 상기 제 1 미드기어(100)의 돌출부(120)와 접합 가능한 2개의 지지부(320a, 320b)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320a, 320b)는 상기 스토퍼(300) 상에서 각각 상기 돌출부(120)의 원주방향 양 측부에 접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미드기어(1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120)의 일 측부가 상기 2개의 지지부(320a, 320b) 중 어느 하나와 접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미드기어(200)는 메인 기어(400)와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메인 기어(400) 상에 체결된 아암 샤프트(420)를 통해 아암(600)과 회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아암(600)은 로드(700)를 통해 트렁크 도어의 힌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힌지와 회전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미드기어(100), 제 2 미드기어(200) 및 스토퍼(30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은 제 1 미드기어(100), 제 2 미드기어(200) 및 스토퍼(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미드기어(100)와 제 2 미드기어(200)는 일 면이 접합 될 수 있고, 상기 제 1 미드기어(100)에는 상기 제 2 미드기어(200)와 접합 되는 면에 돌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0)는 바람직하게는 원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120)의 원주방향 양 측부는 각각 스토퍼(300) 상에 형성된 2개의 지지부(320a, 320b) 중 어느 하나와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300)는 상기 제 2 미드기어(200)의 내측에 위치하며, 원호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의 단면도는 상기 제 2 미드기어(200)의 내부에서 상기 돌출부(120)와 상기 스토퍼(300)가 접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스토퍼(300)는 상기 제 1 미드기어(100)의 돌출부(120)와 동일한 원주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300)와 상기 돌출부(120)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적정한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미드기어(100)에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120)가 상기 스토퍼(300)와 떨어지게 되어 상기 스토퍼(300) 및 스토퍼 상에 형성된 지지부(320)를 원주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300) 상에 형성된 지지부(320a, 320b)는 각각 상기 돌출부(120)의 원주방향 양 측부에 접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미드기어(1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120)가 상기 지지부(320a, 320b) 중 어느 하나와 원주방향으로 접합하여 가압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압 된 지지부는 스토퍼(3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0) 상에 형성된 상기 지지부(320a, 320b)는 상기 스토퍼(300)가 상기 돌출부(120)와 접합하는 양 끝단 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320a, 320b)가 각각 상기 스토퍼(300)의 양 끝단 면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스토퍼(3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돌출부(120)가 상기 지지부(320a, 320b)를 가압할 때, 상기 지지부가 상기 돌출부(120)의 가압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300)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320a, 320b)의 길이는 상기 스토퍼(300) 상에 상기 지지부(320)가 관통하기 위해 형성된 관통 홀(미도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지지부(320a, 320b)가 스토퍼(300)의 돌출부(120) 접합 측 또는 스토퍼(300)의 외측 중 적어도 일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부(320a, 320b)는 각각 탄성부재(322a, 322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322a, 322b)는 상기 스토퍼(300) 내부에 형성된 홈(324a, 324b)에 안착 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부(320a, 320b)를 상기 돌출부(120)의 접합 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320a, 320b)가 상기 돌출부(120)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가압 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322a, 322b)에 의해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320a, 320b)가 상기 스토퍼(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320a, 320b)의 길이가 상기 스토퍼(300) 상에 형성된 관통 홀 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가(320a, 320b) 상기 돌출부(120)의 접합 측으로만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미드기어(100)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320a, 320b) 중 어느 하나가 제 1 미드기어(100) 상에 형성된 돌출부(120)와 접합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제 1 미드기어(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 1 미드기어(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돌출부(120)가 지지부(320a)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가압 된 지지부(320a)는 탄성부재(322a)의 탄성력을 이기고 스토퍼(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3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미드기어(200)는 내측에 원주상으로 다수의 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320a)가 스토퍼(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돌출된 지지부(320a)의 일 끝단은 상기 제 2 미드기어(200)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220)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20a)의 일 끝단이 상기 돌기(220)에 걸리게 되면, 제 1 미드기어(100)의 회전력은 돌출부(120), 지지부(320a)를 통해 제 2 미드기어(200)에 전달되며, 상기 제 2 미드기어(2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모터의 회전 동력이 제 1 미드기어(100)를 통해 제 2 미드기어(200)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300)는 제 1 미드기어(100)가 모터에 의해 회전할 경우에만 스토퍼(300) 상에 형성된 지지부(320)가 스토퍼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 제 2 미드기어(20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미드기어(100)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제 2 미드기어(200)가 먼저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120)가 상기 지지부(320a, 320b)를 어느 것도 가압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320a, 320b)가 상기 스토퍼(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미드기어(200)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워트렁크가 모터(10)에 의해 자동 개폐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파워트렁크 도어를 전력에 의해 자동 개폐할 경우,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모터(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모터(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렁크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상기 모터(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모터(10)에 결합 된 피니언 기어(1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3의 (a)). 상기 피니언 기어(1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12)에 직접 맞물리는 제 1 미드기어(1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3의 (b)).
상기 제 1 미드기어(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미드기어의 일 면에 형성된 돌출부(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같은 원주상에 위치한 스토퍼(300)의 일 면에 접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스토퍼(300) 상에 형성된 지지부(320a)를 가압하게 되는데, 상기 가압 된 지지부(320a)는 탄성부재(322a)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스토퍼(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도 3의 (c)).
상기 스토퍼(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320a)는 상기 스토퍼(300)의 외측에 위치한 제 2 미드기어(200)에 형성된 돌기(220)에 걸리게 되고, 상기 지지부(320a)가 상기 돌기(220)에 상기 돌출부(12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 2 미드기어(2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도 3의 (c)). 이로써 모터(10)의 회전력이 제 1 미드기어(100)를 통해 제 2 미드기어(20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미드기어(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2 미드기어(200)에 맞물리는 메인 기어(4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도 3의 (d)). 상기 메인 기어(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메인 기어(400) 및 아암(600) 에 체결된 아암 샤프트(420)는 상기 메인 기어(400)의 회전을 아암(60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아암(6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도 3의 (e)). 이때, 상기 아암(600) 및 트렁크 도어의 힌지(미도시)와 결합하는 로드(700)는 상기 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힌지를 밀어내게 되고, 트렁크 도어가 자동으로 열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트렁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과정은 상기 설명한 트렁크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과정과 각 구성부의 회전 및 이동 방향이 반대가 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워트렁크가 수동으로 개폐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트렁크 도어를 닫게 되면 트렁크 도어의 힌지(8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힌지(800) 및 아암(600)에 결합 된 로드(700)가 상기 힌지(800)의 회전 운동을 상기 아암(6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아암(6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4의 (a)).
상기 아암(6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아암(600) 및 메인 기어(400)에 체결된 아암 샤프트(4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아암 샤프트(420)가 상기 아암(600)의 회전력을 상기 메인 기어(400)에 전달하여 상기 메인 기어(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4의 (b)).
상기 메인 기어(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메인 기어(400)와 맞물리는 제 2 미드기어(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미드기어(200)의 내측에 위치한 스토퍼(300)는 상기 제 2 미드기어(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으며, 상기 제 2 미드기어(200)가 자유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도 4의 (c)).
즉, 제 1 미드기어(100)에 형성된 돌출부(120)가 스토퍼(300)에 형성된 지지부 중 어느 것도 가압하지 않게 되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토퍼(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 2 미드기어(200)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220)에 걸리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 2 미드기어(200)는 상기 스토퍼 및 제 1 미드기어(100)를 회전시키지 않으며, 이에 따라 모터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300)의 지지부(320a, 320b)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제 1 미드기어(100)가 회전할 경우에만 제 1 미드기어(100) 상에 형성된 돌출부(120)에 의해 가압 되어 상기 스토퍼(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트렁크 도어의 수동 개폐 작동에 따라 제 2 미드기어(20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320a, 320b)가 상기 스토퍼(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파워트렁크의 자동 개폐시에는 모터의 회전력이 제 1 미드기어(100), 스토퍼의 지지부(320a, 320b) 및 제 2 미드기어(200)를 통해 트렁크 도어의 힌지(800)로 전달될 수 있지만, 파워트렁크의 수동 개폐시에는 트렁크 도어 힌지(800)의 회전력이 제 2 미드기어(200) 까지만 전달되고, 상기 제 1 미드기어(100) 및 모터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수동 개폐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 기어(12) 및 메인 기어(400)는 모터의 구동력을 적절한 기어 비율로 파워트렁크의 도어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생략 가능하며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은 자동 개폐 동작에 따라 모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렁크 도어를 열거나 닫은 후에, 상기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 개폐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미드기어(100)의 돌출부(120)는 스토퍼(300) 상에 형성된 지지부(320a, 320b)가 상기 스토퍼(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2 미드기어(200)의 돌기(220)에 걸리도록 하는데, 상기 개폐 동작을 완료한 후 모터가 상기 개폐 동작을 위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바람직하게는 1회전)을 하도록 함으로 상기 지지부(320a, 320b)가 상기 돌출부(120)와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20)가 상기 지지부(320a, 320b)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상기 지지부(320a, 320b)는 상기 스토퍼(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며, 상기 지지부(320a, 320b)가 상기 제 2 미드기어(200)의 돌기(220)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추후 트렁크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할 경우 제 2 미드기어(200)가 제 1 미드기어(100)와 연동 되지 않고 자유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은 모터에 의하여 트렁크 도어를 자동 개폐할 수 있으면서, 트렁크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시에는 상기 트렁크 도어가 모터에 구속되지 않도록 함으로 트렁크 도어의 수동 개폐력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한 사람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0 : 모터 12 : 피니언 기어
100 : 제 1 미드기어 120 : 돌출부
200 : 제 2 미드기어 220 : 돌기
300 : 스토퍼 320a, 320b : 지지부
322a, 322b : 탄성부재 324a, 324b : 홈
400 : 메인 기어 420 : 아암 샤프트
600 : 아암 700 : 로드

Claims (5)

  1.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 1 미드기어와;
    내측에 원주상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제 2 미드기어와;
    상기 제 2 미드기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돌출부와 접합 가능한 2개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미드기어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상기 2개의 지지부 중 어느 하나를 접합 가압하여 상기 스토퍼의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지지부의 일 끝단이 제 2 미드기어의 상기 돌기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 1 미드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미드기어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부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돌출부와 접합하는 양 끝단 면에 수직하여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를 회전방향으로 접합하여 가압할 때에는 상기 지지부의 일 끝단이 상기 스토퍼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의 일 끝단이 상기 스토퍼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드기어와 회전력을 주고받는 아암; 및
    상기 아암 및 파워트렁크의 도어 힌지에 결합 되어 파워트렁크의 개폐 작동력을 주고받는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KR1020100084475A 2010-08-31 2010-08-31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KR101144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75A KR101144113B1 (ko) 2010-08-31 2010-08-31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JP2010255158A JP2012051543A (ja) 2010-08-31 2010-11-15 機械式クラッチギアを利用したパワートランクの駆動モジュール
US12/946,730 US20120048669A1 (en) 2010-08-31 2010-11-15 Drive module of power trunk using mechanical clutch gear
DE102010060646A DE102010060646A1 (de) 2010-08-31 2010-11-18 Antriebsmodul eines angetriebenen Kofferraumes unter Einsatz eines mechanischen Kupplungszahnrades
CN2010105551869A CN102379501A (zh) 2010-08-31 2010-11-19 使用机械离合器齿轮的电动行李箱的驱动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75A KR101144113B1 (ko) 2010-08-31 2010-08-31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697A KR20120020697A (ko) 2012-03-08
KR101144113B1 true KR101144113B1 (ko) 2012-05-24

Family

ID=4556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475A KR101144113B1 (ko) 2010-08-31 2010-08-31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48669A1 (ko)
JP (1) JP2012051543A (ko)
KR (1) KR101144113B1 (ko)
CN (1) CN102379501A (ko)
DE (1) DE102010060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302B1 (ko) * 2012-10-30 2014-05-29 대동도어 주식회사 파워트렁크용 클러치
KR101419723B1 (ko) * 2013-01-23 2014-07-17 평화정공(주) 트렁크 개폐장치
DE14841578T1 (de) * 2013-09-09 2016-10-20 Yale Security Inc. Vorrichtung zum Anschliessen eines Türschliessers oder Bedieners an einer Pendeltür
KR101684123B1 (ko) * 2015-06-02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시트 액츄에이터
CN107642294A (zh) * 2017-09-28 2018-01-30 裕克施乐塑料制品(太仓)有限公司 一种可手动操作的电动开闭门/盖执行器及其工作方法
CN108502026B (zh) * 2018-03-30 2019-07-09 宁波辉励铭诚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引擎盖锁紧保护装置
KR102247257B1 (ko) * 2019-10-29 2021-05-03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액츄에이터
KR102520848B1 (ko) 2021-04-07 2023-04-18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의 구동 액츄에이터
CN114876305B (zh) * 2022-04-27 2023-06-02 上海工程技术大学 以非圆齿轮传动的侧开式飞机舱门恒力矩电动提升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514U (ko) * 1996-08-20 1998-05-25 김광호 사무자동화기기의동력절환용구동장치
KR20000042254A (ko) * 1998-12-24 2000-07-15 정몽규 자동차 시트의 높이조절수단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17323C (en) * 1988-03-19 1993-05-04 Shinjiro Yamada Clutch for actuator for automobile
JPH0681966B2 (ja) * 1988-03-19 1994-10-1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の施解錠装置
US6711855B1 (en) * 1999-05-05 2004-03-30 Atoma International Corporation Power drive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liftgate having a disengageable gear train
JP4258322B2 (ja) * 2003-08-26 2009-04-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パワーラッゲージドアのヒンジ構造
JP2008007952A (ja) * 2006-06-27 2008-01-1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開閉体の制御装置
US7566087B2 (en) * 2006-08-18 2009-07-28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Power closure assembly
DE112008002124B4 (de) * 2007-08-06 2022-01-20 Delphi Technologies, Inc. Linearantriebsaktuator für ein bewegliches Fahrzeugpaneel
CN201523751U (zh) * 2009-09-09 2010-07-14 揭怡盛 一种电动行李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514U (ko) * 1996-08-20 1998-05-25 김광호 사무자동화기기의동력절환용구동장치
KR20000042254A (ko) * 1998-12-24 2000-07-15 정몽규 자동차 시트의 높이조절수단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48669A1 (en) 2012-03-01
JP2012051543A (ja) 2012-03-15
KR20120020697A (ko) 2012-03-08
CN102379501A (zh) 2012-03-21
DE102010060646A1 (de)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113B1 (ko) 기계식 클러치 기어를 이용한 파워트렁크 구동 모듈
EP3222806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CN108547884B (zh) 一种过载保护的阻尼器和一种电动尾门撑杆
CN109236892B (zh) 弹片式过载保护离合结构及舵机
JP2006500518A (ja) 調節駆動装置
CN101978194B (zh) 防止由于反向输入而造成干涉的用于马达的速度控制器
JP4238476B2 (ja) 中間歯車付スタータ
CN111765708A (zh) 单向离合装置、开关门机构及家电设备
JP3272627B2 (ja) クラッチ付きモータ
JP2616598B2 (ja) モータ式アクチュエータ
KR200486293Y1 (ko) 도어락용 클러치 방식 기어박스
CN207121722U (zh) 洗衣机的洗涤与脱水转换装置
CN214617591U (zh) 离合器及电动汽车充电端盖的驱动装置
US20190277352A1 (en) Centrifugal clutch having two series-connected clutch elements
JPH02283510A (ja) 二重はずみ車を備える自動車用トーションダンパー
JPH0522858U (ja) 駆動力伝達機構
CN107385787A (zh) 洗衣机的洗涤与脱水转换装置
JP4171043B2 (ja) ウインドワイパ装置、特に自動車用のウインドワイパ装置
JP5061659B2 (ja) クラッチ付きモータ
CN208735862U (zh) 风门装置
CN221103097U (zh) 一种电机密封结构及电驱动总成
JP2005076873A (ja) カップリング装置及びそのカップリング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CN220122724U (zh) 一种电动窗帘的电机安装组件
CN208735863U (zh) 风门装置
JP3632345B2 (ja) クラッチ付き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