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077B1 - 음순간 패드 - Google Patents

음순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077B1
KR101143077B1 KR1020067012672A KR20067012672A KR101143077B1 KR 101143077 B1 KR101143077 B1 KR 101143077B1 KR 1020067012672 A KR1020067012672 A KR 1020067012672A KR 20067012672 A KR20067012672 A KR 20067012672A KR 101143077 B1 KR101143077 B1 KR 101143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bial pad
region
finger
conductive reg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3393A (ko
Inventor
사토시 미즈타니
와타루 요시마사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3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61F13/4724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with asymmetry around the x or y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92Density or compression of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순간 패드를 장착할 때에, 음순 안을 상처 입히지 않고서 용이하게 장착 포인트를 탐지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을 걸쳐서 긴 길이 방향으로 뻗는 띠형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그 음순간 패드의 두께 방향으로 손가락의 감촉을 착용자의 신체에 전도하는 전도 영역(20)을 갖춤으로써, 음순 안을 상처 입히지 않고서 용이하게 장착 포인트를 탐지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10)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순간 패드{INTER-LABIUM PAD}
본 발명은, 음순 사이에 장착하기가 용이한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여성용 생리용품으로서는, 생리대, 탐폰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생리대는, 질구 부근에의 밀착성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 생기는 간극으로부터의 경혈 누설을 막기 위해 많은 노력을 들이고 있다. 또한, 탐폰에 있어서도, 그 물품의 속성에 기인하여, 착용시의 이물감이나 불쾌감, 질 내에의 장착 곤란성을 일으키므로, 이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생리대나 탐폰의 중간에 위치하는 생리용품으로서, 최근, 음순간 패드라는 생리용품이 주목받게 되어 오고 있다. 이 음순간 패드는 여성의 음순 사이에 그 일부분을 끼워, 음순 내면에 접촉시켜 장착한다고 하는 것으로, 생리대에 비하여 신체와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경혈의 누설이 방지되는 동시에, 경혈이 확산되어 신체에 넓게 접하는 것을 막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또 청결한 것이다. 또한, 생리대보다도 소형이기 때문에, 장착감이 우수하고 쾌적하며, 질 내에 삽입하는 탐폰과 비교하여 착용시의 심리 저항도 낮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음순간 패드는, 생리대와 비교한 경우에는, 눈으로 보기가 곤란한 음순 사이에 장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리대보다도 장착이 어렵다고 하는 난점이 있다. 더구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생리대보다도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누설에 의한 피해가 크다. 또, 잘못 장착할 가능성은 탐폰보다도 높다.
이러한 음순간 패드의 장착 곤란성의 개선을 도모한 것으로서는,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신체와 접촉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돌기부를 형성한 구조를 갖는 음순간 패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구조에 따르면 착용자는 그 돌기부를 손가락으로 쥐고서 장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돌기부가 없는 경우보다는 장착이 용이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장착 포인트의 탐지가 착용자의 손톱 끝에서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착용자의 감에 의지하여 장착하지 않을 수 없으며, 착용자가 적절한 장착 포인트를 파악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특히, 착용자가 손톱을 길게 기르고 있거나, 붙임 손톱을 착용하고 있거나 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래의 음순간 패드와 같은 것에서는, 그것을 적절한 장소에 장착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돌기부를 쥔 것만으로는, 음순감 패드가 음순 안으로 충분히 밀착하도록 누르기가 어렵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음순간 패드는, 장착 포인트를 적확하게 파악함에 의한 장착의 용이화, 장착 미스의 저감 혹은 음부에의 충분한 밀착을 가능하게 하는 데까지는 이르고 있지 못하다. 나아가서는, 여전히 장착할 때에 경혈 등이 손끝에 묻는 등의 사태도 생길 수 있어, 그것이 음순간 패드를 사용할 때에 저항감이 생기는 한가지 원인으로 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발명은, 손끝의 감각을 이용하여 장착 포인트를 탐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의복면 측에 손가락을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된 음순간 패드이다. 이들 음순간 패드에서는, 의복면 측에 손가락을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톱 시트, 백 시트 및 흡수층을 통해 손끝으로 오목부인 질구 위치를 탐지하는 것이지만, 흡수층 등에 두께나 강성이 있는 경우에는 질구의 정확한 위치를 탐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나아가서는, 질구 위치를 탐지할 때에 질구 주변을 만지작거려 버리기 때문에 음순 안을 상처 입힐 위험성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WO99/56689호 팜플렛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제WO02/94148호 팜플렛
<특허문헌 3>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2/0193773호 명세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음순간 패드에서는 음순 안을 상처 입히는 일없이, 용이하게 장착 포인트를 탐지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음순 안을 상처 입히지 않고서 용이하게 장착 포인트를 탐지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어떻게 하여 매우 델리케이트한 음순 안을 상처 입히지 않고서, 음순간 패드의 정확한 장착 위치를 탐지할 수 있을까에 관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을 걸쳐서 긴 길이 방향으로 뻗는 띠형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그 음순간 패드의 두께 방향으로 손가락의 감촉을 착용자의 신체에 전도하는 전도 영역을 갖춤으로써, 음순 안을 상처 입히지 않고서 용이하게 장착 포인트를 탐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신체 측에 배향되는 신체 측면과 이 신체 측면의 반대측에 배향되는 반신체 측면을 지니고, 긴 길이 방향과 짧은 길이 방향을 갖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을 이루는 음순간 패드로서, 그 음순간 패드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체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재를 구비하여, 착용시에는 착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반신체 측면의 긴 길이 방향에 대어 음순 사이에 장착하는 것으로, 상기 긴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걸쳐서 상기 긴 길이 방향으로 뻗는 띠형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손가락의 감촉을 착용자의 신체에 전도하는 전도 영역을 갖는 음순간 패드.
(1)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음순간 패드의 두께 방향으로 손가락의 감촉을 착용자의 신체에 전도하는 전도 영역이,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뻗는 띠형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전도 영역에는, 착용할 때에 착용자가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손가락을 가져다 댄다. 이에 따라, 흡수재 등의 부재를 통해 손가락이 질구에 맞닿아, 질구가 압각, 촉각, 온냉각에 의해서 손가락의 움직임과 같은 손가락의 감촉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착용을 할 때에,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이나 그 근방이 전정상을 따르는 적정한 장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이로부터, 좌우 대칭의 음순 내벽에 대하여 음순간 패드를 좌우 대칭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음순 내벽과 패드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일도 없기 때문에, 장착 위치가 틀어지는 일없이 경혈 누설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질구가 용이하게 손가락의 감촉을 느끼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음순 사이에 삽입할 때에 과도하게 손가락에 힘을 줄 필요가 없는 데다, 장착 포인트를 만지작거릴 필요도 없기 때문에, 음순 안을 상처 입혀 버릴 위험성을 피할 수 있다.
(2) 상기 띠형 영역의 폭은, 5 mm 이상 70 mm 이하인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2)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형성된 띠형 영역은 구체적으로는,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을 걸쳐서 폭이 5 mm 이상 70 mm 이하의 범위 내인 영역을 의미하여, 이 영역 내에 전도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띠형 영역의 폭이 5 mm 이상 70 mm 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된 (2)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착용할 때에 착용자가 손가락을 음순간 패드의 반신체 측면 위로 대는 경우에, 손가락의 배 부분의 적어도 반 이상, 경우에 따라서는 손가락의 둘레 길이의 반 이상이 띠형 영역에 의해서 덮인다. 따라서, 띠형 영역을 통해 손가락이 양 음순에 감싸지기 때문에, 착용자가 음순간 패드를 확실하게 적정한 위치에 장착했다고 하는 확신을 얻을 수 있어, 착용 중에 음순간 패드가 탈락되어 버리는 것은 아닌가라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띠형 영역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70 mm 이하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7 mm 이상 60 mm 이하의 범위 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25 mm 이하의 범위 내이다. 띠형 영역의 폭이 5 mm 미만인 경우에는, 질구가 압각, 촉각, 온냉각에 의해서 손가락의 감촉을 감지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나아가서는, 손가락의 배 부분의 적어도 반 이상을 덮을 수 없어, 착용자는,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게 장착했다고 하는 확신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띠형 영역의 폭이 70 mm을 넘는 경우에는, 손가락을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이나 그 근방이 전정상을 따른 적정한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3) 상기 전도 영역은, 그 전도 영역의 주연부 영역인 다른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박에 의해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기 쉽도록 압축 특성의 직선성의 값이 작은 것인 (1) 또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3)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전도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도 압축 특성의 직선성(이하, 「LC」)의 값이 작아,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착용시에 음순간 패드의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손가락에 의한 압박이 가해진 경우에는, 전도 영역 쪽이 다른 영역보다도 손가락이 잠겨 들어가기 쉽고, 그 결과, 전도 영역의 두께는 얇아지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전도할 수 있다. 따라서,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LC의 값은 0.10 이상 0.5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 0.45 이하의 범위이다. 전도 영역에서의 LC의 값이 0.10 미만인 경우에는, 질구에서 손가락의 감촉을 민감하게 감지하기 쉽게 되지만, 지나치게 민감하게 감지하여 착용자에게 혐오감(기분 나쁨)을 줘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전도 영역에서의 LC의 값이 0.50을 넘는 경우에는, 착용할 때에 손가락이 잠겨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이나 그 근방이 전정상을 따르는 적정한 장착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곤란한 데다, 그 압축 강도에 의해서 지각 과민한 전정상에서 이물감을 느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나아가서는, 손가락에 의한 압박으로부터 풀리더라도 두께가 얇은 채 그대로이면, 고밀도로 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물감을 줄지도 모른다. 따라서, 전도 영역은, 손가락에 의한 압박이 가해지고 있는 동안은 손가락이 잠겨 들어가 두께가 얇아지고, 손가락에 의한 압박이 풀리면 원래의 두께로 회복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LC의 값은 KES 시스템에 의한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영역에 있어서의 LC의 값은 0.40 이상 0.9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 이상 0.70 이하의 범위이다. 다른 영역에 있어서의 LC의 값이 0.40 미만인 경우에는, 착용자의 자세의 변화 등에 의해서 음순 사이의 압이 변화되었을 때에 음순간 패드가 압축되기 쉽게 되기 때문에, 일단 흡수한 경혈을 유지할 수 없다. 또한, 다른 영역에서의 LC의 값이 0.90을 넘는 경우에는, 다른 영역의 압축 강도가 매우 세게 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는 데다, 음순 내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경혈 누설의 원인으로 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손가락에 의한 압박이란, 음순간 패드를 음순 사이에 삽입할 때에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신체 방향으로 가해지는 손가락의 압력을 의미하며, 대개 50 g/cm2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LC의 값은, 50 g/cm2 가압 하에 있어서의 측정치이다. 또한, 상술한 LC의 값은, 착용시에 질구와 손가락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두께 방향 모든 것을 포함한 값이다. 예컨대, 표면측 시트, 흡수재 및 이면측 시트로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인 경우에 있어서는, 이들 모두를 포함한 값이다. 이들 부재 중, 음순간 패드 전체의 물성치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흡수재이며, 상술한 수치 범위 내의 것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착용시에 있어서 손가락에 의한 압박이 가해졌을 때에 잠기기 쉽도록 미리 부피가 큰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예컨대, 물리적으로 엠보스 가공된 레이온이나 아세테이트, 가교제에 의해 가교시켜 권축된 화학 펄프, 혹은 셀룰로오스 발포체, 합성 수지의 연속 발포체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된다.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전도하기 쉽게 하는 요인으로서는,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의 밀도 및 전도 영역의 두께를 주된 요인으로 들 수 있다.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의 밀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0.03 g/cm3 이상 O.15 g/cm3 이하이다.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의 밀도가 0.03 g/cm3 이하인 경우에는, 과도하게 손가락의 감촉이 질구에 전도되어 버리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혐오감(기분 나쁨)을 줘 버리는 데다 질구를 상처 입힐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의 밀도가 0.15 g/cm3 이상인 경우에는, 손가락의 감촉이 질구에 충분히 전도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전도 영역의 두께는, 50 g/cm2 가압 하에 있어서의 두께가 O.5 mm 이상 10.0 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m 이상 6.0 mm 이하의 범위 내이다. 50 g/cm2 가압 하에 있어서의 전도 영역의 두께가 O.5 mm 미만인 경우에는, 착용자에게 혐오감(기분 나쁨)을 줘 버리고, 10.0 mm을 넘는 경우에는,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로 전도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미리 전도 영역의 두께를 다른 영역의 두께보다 얇게 설정해 놓더라도 좋다(도 18 참조). 이 경우에는, 음순간 패드가 전정상에 대하여 유연하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이물감을 느끼는 일이 없다.
(4) 상기 전도 영역의 압축 특성의 직선성의 값과, 상기 전도 영역의 주연부 영역인 다른 영역의 압축 특성의 직선성의 값과의 차는, 0.05 이상 0.50 이하의 범위 내인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4)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전도 영역과 다른 영역의 LC의 값의 차는, 0.05 이상 0.50 이하의 범위 내이다. 양 영역에 있어서의 LC의 값의 차를 이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착용할 때에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손가락에 의한 압박에 의해서 양 영역의 두께에 차가 생겨, 다른 영역에 비해서 전도 영역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확실하게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전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LC의 값의 차가 0.05 미만인 경우에는, 착용할 때에 있어서 전도 영역과 다른 영역에 있어서의 손가락이 잠기는 정도에 차가 그다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손가락의 감촉을 충분히 질구에 전도시킬 수 없어,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이나 그 근방이 전정상에 따르는 적정한 장착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LC의 값의 차가 0.50을 넘는 경우에는, 다른 영역의 압축 강도가 매우 세게 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에 의해 음순 사이의 압이 매우 높아졌다고 해도 음순간 패드는 압축 변화되지 않아,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줘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5) 상기 전도 영역은, 상기 흡수재 중에 공간을 가지며, 압축되기 쉬운 것인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5)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 속에 공간을 지녀, 압축되기 쉬운 것이다. 이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착용할 때에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손가락에 의한 압박이 가해진 경우에, 흡수재 중에 형성된 공간이 찌부러져 압축됨으로써 손가락이 잠겨, 전도 영역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확실하게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전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6) 상기 전도 영역은, 그 전도 영역의 주연부 영역인 다른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박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도록 굽힘 강성의 값이 작은 것인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6)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전도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도 굽힘 강성(이하 「B」)의 값이 작아, 착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박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착용할 때에 착용자가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에는, 손가락의 형상이나 그 동작에 음순간 패드가 추종할 수 있어, 손가락의 감촉을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질구에 전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B의 값은 0.10×10-4(N?m2/m) 이상 4.00×10-4(N?m2/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10-4(N?m2/m) 이상 3.00×10-4(N?m2/m) 이하의 범위 내이다.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B의 값이 0.10×10-4(N?m2/m) 미만인 경우에는, 질구에서 민감하게 손가락의 감촉을 감지할 수 있게는 되지만, 음순간 패드가 필요 이상으로 구부러져 버린다. 그 때문에,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평행하게 댄 손가락이 수직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착용시에 손톱의 끝이 질구를 향하게 되어 버려, 질구를 상처 입힐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B의 값이 4.00×10-4(N?m2/m)를 넘는 경우에는, 손가락의 형상이나 그 동작에 음순간 패드가 추종하는 것이 곤란한 데다, 그 굽힘 강도에 의해 지각 과민한 전정상에서 이물감을 느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이들 B의 값은 KES 시스템에 의한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영역에 있어서의 B의 값은 1.00×10-4(N?m2/m) 이상 8.00×10-4(N?m2/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10-4(N?m2/m) 이상 5.00×10-4(N?m2/m) 이하의 범위 내이다. 다른 영역에 있어서의 B의 값이 1.00×10-4(N?m2/m) 미만인 경우에는, 음순간 패드가 필요 이상으로 구부러져 버릴 우려가 있어, 착용자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서는 음순간 패드가 비틀어져 음순 내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경혈 누설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다른 영역에 있어서의 B의 값이 8.00×10-4(N?m2/m)를 넘는 경우에는, 다른 영역의 굽힘 강성이 매우 세게 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줘 버리는 데다, 음순 내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경혈 누설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6)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로서는, 손가락의 형상이나 그 동작에 음순간 패드가 추종하기 쉬운 것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드레이프성이 높은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섬유 사이의 미끄럼성을 높이기 위해서 오일제가 포함되어 있는 섬유나, 섬유 길이가 긴 섬유, 섬유 직경이 작고 가는 섬유, 분할 섬유, 분자 배향이 낮은 섬유, TiO2 등의 필러가 섬유 내에 혼입되어 있는 섬유, 혹은 입자상의 흡수재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된다. 한편, 이들 이외에도 상술한 수치 범위 내인 것을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펄프, 화학 펄프, 레이온, 코튼, 아세테이트, 혹은 합성 섬유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들을 이용한 흡수재는, 에어레이드법, 멜트블로운법, 스펀레이스법, 또는 초지법 등에 의해 시트화된 것이다. 또한, 시트화된 것을 도트형, 격자형 등의 롤 사이에 통지하여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전도 영역의 엠보스 면적율을 0.3%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 다른 영역의 엠보스 면적율을 5% 이상 50%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전도 영역의 섬유 사이의 미끄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트형의 엠보스 가공이다.
(7) 상기 전도 영역의 굽힘 강성의 값과, 그 전도 영역의 주연부 영역인 다른 영역의 굽힘 강성의 값과의 차는, 0.50×10-4(N?m2/m) 이상 5.00×10-4(N?m2/m) 이하의 범위 내인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7)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는, 전도 영역과 다른 영역에서는 B의 값에 차가 두어져 있다. 이와 같이 양 영역의 B의 값에 차를 둠으로써, 양 영역 사이에서 손가락의 형상이나 그 동작에의 음순간 패드의 추종 정도에 차이가 생겨, 확실하게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전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전도 영역과 다른 영역과의 B의 값의 차는 0.50×10-4(N?m2/m) 이상 5.00×10-4(N?m2/m) 이하의 범위이다. B의 값의 차가 0.50×10-4(N?m2/m) 미만인 경우에는, 전도 영역과 다른 영역에 있어서의 손가락의 형상이나 그 동작에의 음순간 패드의 추종 정도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질구에 손가락의 감촉이 충분히 전도되지 않아, 음순간 패드의 길이 방향 중심축이나 그 근방이 전정상을 따르는 적정한 장착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곤란이다. 또한, B의 값의 차가 5.00×10-4(N?m2/m)를 넘는 경우에는, 매우 델리케이트한 음순 내벽에 대하여 다른 영역의 굽힘 강성이 매우 세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줘 버리는 데다 음순 내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경혈 누설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8) 상기 전도 영역은, 슬릿을 갖는 것인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8)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전도 영역에 있어서는, 음순간 패드를 구부러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 슬릿 가공이 실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도 영역에 슬릿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전도 영역을 구부러지기 쉬운 것으로 함으로써, 손가락의 형상이나 그 동작에 음순간 패드가 추종하여 확실하게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전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음순간 패드를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흡수재에 짧은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음순간 패드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흡수재에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짧은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패턴과, 긴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패턴이 조합되어 있거나, 혹은 교차하고 있거나, 나아가서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슬릿의 형상은 직선형, 곡선형, 물결형 등,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슬릿의 치수는 1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내, 슬릿끼리의 간격은 1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슬릿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관통하고 있더라도, 관통하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한편, 슬릿 가공 대신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엠보스는 구부러지는 기점이 되기 때문에 고밀도가 되어,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줄지도 모르기 때문에 슬릿 가공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9)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신체 측면에 배치된 표면측 시트와, 상기 반신체 측면에 배치된 이면측 시트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전도 영역은, 상기 흡수재와 상기 표면측 시트의 전부 또는 일부, 혹은 상기 흡수재와 상기 이면측 시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유리된 상태인 (1)~(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9)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전도 영역에서는, 흡수재와 표면측 시트의 전부 또는 일부, 혹은 흡수재와 이면측 시트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접합되어 있지 않고, 유리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흡수재와 표면측 시트 또는 이면측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위를 둠으로써, 각각의 부재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이에 따라, 음순간 패드가 전체적으로 구부러지기 쉽게 되기 때문에, 손가락의 형상이나 그 동작에 음순간 패드가 추종하여 확실하게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전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음순간 패드에 굽힘 용이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흡수재의 물성을 조정하는 방법이나, 표면측 시트, 이면측 시트 및 흡수재와의 접합 상태를 조정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표면측 시트나 이면측 시트 자체에 굽힘 용이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측 시트나 이면측 시트 자체에, 슬릿 가공이나 물결형의 서로 물리는 엠보스 가공 등을 실시하여 신장성을 부여함으로써 구부러지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표면측 시트 자체에 슬릿 가공을 실시하면, 슬릿의 단부가 전정상에 접촉하여 자극을 줘, 착용자가 이물감을 느껴 버릴 위험성이 있고, 이면측 시트에 슬릿 가공을 실시하면, 경혈 누설이 발생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때문에, 표면측 시트나 이면측 시트 자체에는, 물결형의 서로 물리는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음순간 패드 전체가 구부러지기 쉽게 될 뿐만 아니라, 압축하기 쉬운 흡수재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에 신장성이 있어, 지압에 의해서 잠기기 쉽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 전체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바람직하다.
(10) 상기 전도 영역은, 그 전도 영역의 주연부인 다른 영역보다도 열전도율이 높은 것인 (1)~(9)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10)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전도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도 열전도율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착용할 때에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손가락에 의한 압박이 가해진 경우에, 전도 영역에 있어서 손가락으로부터 체온을 질구로 전도할 수 있기 때문에,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도 영역의 열전도율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착용함에 있어서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손가락에 의한 압박이 가해진 경우에, 질구와 손가락과의 사이에 유지되는 공기량을 적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음순간 패드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혹은 밀도를 높게 함으로써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다. 전도 영역의 최적의 두께와 밀도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같다.
또한, 전도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로서,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를 선택함으로써 전도 영역의 열전도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서는, 구리, 알루미늄, 다이아몬드, 카본 등을 들 수 있지만, 유연성을 갖는 음순간 패드인 것을 고려하면, 분쇄된 카본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 카본이 활성탄인 경우에는, 열전도율이 높은 데다 소취 효과도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카본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흡수성 수지에 블렌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펄프나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비교하여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나일론-6 등의 합성 섬유 쪽이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이들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전도 영역의 흡수재로서 합성 섬유를 이용하고, 다른 영역의 흡수재로서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이용한 경우나, 다른 영역보다도 전도 영역에 합성 섬유를 많이 이용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 흡수재의 흡수력을 고려하면, 전도 영역의 흡수재로서 합성 섬유와 레이온을 병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11) 상기 전도 영역은, 상기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쪽 측으로, 착용시에 둔부에 면하는 측으로 편의(偏倚)시켜 배치되는 (1)~(10)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11)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전도 영역이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쪽 측으로서, 착용시에 둔부에 면하는 측으로 편의시켜 배치되어 있다. 애당초, 착용자로부터 보아 질구는 음순 사이의 최후 쪽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전도 영역을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쪽 측으로, 착용시에 둔부에 면하는 측에 편의시켜 배치시킴으로써,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착용자로부터 보아 음순의 후방에서 노출되는 음순간 패드의 영역을 줄일 수 있다. 원래, 음순간 패드는 음순 사이의 협지력에 의해서 신체에 장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음순 사이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은 외음부와 접촉하여, 착용자의 동작 변화에 의해서 외음부와 접촉하는 영역에 충격이 가해져, 그 충격이 음순 사이에 들어가 있는 영역에 전해져 버리면 음순 사이에서 탈락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음순의 후방에서 노출하는 음순간 패드의 영역을 줄임으로써, 음순 사이에서 음순간 패드가 탈락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경혈 누설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음순간 패드 착용시에 있어서 둔부에 면하는 쪽의 단부로부터,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의 10% 이상 50% 이하의 범위 내에 전도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10% 미만인 경우에는, 삽입할 때에 손끝이 음순간 패드의 단부로부터 튀어나와 버려, 적정한 위치에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50%를 넘는 경우에는, 음순의 후방에서 노출되는 음순간 패드의 영역이 많아져 탈락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12) 상기 전도 영역은, 상기 반신체 측면 상에 상기 신체 측면으로 향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1)~(11)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12)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전도 영역에는, 반신체 측면 상에 오목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음순간 패드에 따르면, 착용할 때에 반신체 측면에 대어 손가락을 대는 경우에, 용이하게 손가락이 오목부를 탐지하여, 손가락을 전도 영역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확실하게 전도할 수 있으므로,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 오목부의 깊이는 0.5 mm 이상 5.0 mm 이하의 범위 내이다. 오목부의 깊이가 0.5 mm 미만인 경우에는, 착용시에 전도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를 손가락으로 탐지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오목부의 깊이가 5.0 mm을 넘는 경우에는, 착용시에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평행하게 댄 손가락이 수직 방향으로 향해 버려, 손톱 끝에 의해 질구에 상처를 입혀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13)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긴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따른 접음선으로 상기 반신체 측면끼리가 마주 보도록 둘로 접기로 되어, 상기 접음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소정 길이에 걸쳐 접합되고, 상기 전도 영역은, 상기 반신체 측면끼리가 유리되어 있는 영역에 배치되는 (1)~(12)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13)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착용시에 긴 길이 방향의 둔부에 면하지 않는 측의 반신체 측면끼리는,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을 따라서 소정 길이에 걸쳐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전도 영역이 배치되는 반신체 측면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착용시에 긴 길이 방향의 둔부에 면하는 측으로 편의시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 길이에 걸쳐 접합」이란, 반신체 측면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착용시에 둔부에 면하는 측으로 편의되도록, 반신체 측면끼리를 둔부에 면하지 않는 측에서부터 소정 길이에 걸쳐 접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반신체 측면끼리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과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의 경계에 단차가 생겨, 착용함에 있어서 착용자가 반신체 측면에 손가락을 대는 경우에, 용이하게 손가락이 단차를 탐지하여 손가락을 전도 영역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확실하게 전도할 수 있으므로,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반신체 측면끼리를 접합하는 위치가 접음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음으로 인해, 접음선과 접합 위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공간에 의해서 착용시에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생기는 외압을 완충할 수 있어, 착용자는 이물감을 느끼는 일이 거의 없다.
(14)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의 음순간 패드인 (1)~(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14)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요실금용의 흡수 패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경혈을 배출하는 질구와 소변을 배출하는 요도구는 모두 음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14)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음순 사이에 끼워 사용한 경우에는 소변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4)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소변을 음순 사이, 특히 요도구 부근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요실금, 특히 경도의 요실금에 대하여 유효한 흡수 패드를 얻을 수 있다.
(15)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 분비물 흡수용의 음순간 패드인 (1)~(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15)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음순간 패드를 질 분비물 흡수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15)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음순 사이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므로, 질구로부터의 경혈 이외의 분비물(질 분비물)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용도(질 분비물 흡수용)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5)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질 분비물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생리시 이외의 착용자에게 있어서도 유효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음순 안을 상처 입히는 일없이, 용이하게 장착 포인트를 탐지하여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10)를 X1-X2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를 음순 사이에 장착하고자 하는 모습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를 음순 사이에 집어넣은 모습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의 장착이 완료된 모습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KES의 압축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음순간 패드(10a)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음순간 패드(10a)를 음순 사이에 장착하고자 하는 모습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음순간 패드(10a)를 음순 사이에 집어넣은 모습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가 긴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운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가 짧은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c)의 흡수재(13c)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따른 음순간 패드(10d)의 접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10d)를 Y1-Y2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e)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f)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g)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음순간 패드(10h)를 음순 사이에 장착하고자 하는 모습을 착용자의둔부측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10a~10h 음순간 패드 11, 11c : 제1 흡수재
11b : 공간 12, 12c : 제2 흡수재
12a : 상층 흡수재 12b : 하층 흡수재
13, 13c : 흡수재 14 : 표면측 시트
15 : 이면측 시트 16 : 주연부
17 : 미니 시트 부재 18 : 손잡이
20 : 전도 영역 21 : 다른 영역
25 : 슬릿 42 : 오목부
45 : 접합 영역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제1 실시형태 이외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작용 및 효과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음순간 패드의 전체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바로 위에서 보면 Y축을 긴 길이 방향으로 하고, X축을 짧은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표단(瓢簞)형의 형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는, 긴 길이 방향 중앙축을 따른 접음선에 의해, 이면측 시트(15)끼리가 마주 보도록 둘로 접어 구부러져 사용되는 타입의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순간 패드(10)를 X1-X2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사시도이다. 음순간 패드(10)는 표면측 시트(14)와 이면측 시트(15)를 갖고 있고, 이들 표면측 시트(14)와 이면측 시트(15) 사이에는 흡수재(13)가 배치되어 있다.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을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뻗는 띠형 영역에는 음순간 패드(10)의 두께 방향으로 손가락의 감촉을 착용자의 신체에 전도하는 전도 영역(20)과, 전도 영역(20)의 주연부 영역인 다른 영역(21)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측 시트(14)는 착용자의 체액을 투과하는 액체 투과성의 것이고, 이면측 시트(15)는 착용자의 체액을 실질적으로 투과하지 않는 액체 불투과성의 것이다. 흡수재(13)는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와, 다른 영역(21)에 있어 서의 제2 흡수재(12)를 갖는 것이다. 또한, 흡수재(13)의 외연과, 표면측 시트(14)와, 이면측 시트(15)로 이루어지는 주연부(16)가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음순간 패드(10)를 음순으로부터 빼낼 때에 착용자가 손가락으로 쥐기 위한 손잡이(18)가 설치된다. 나아가서는, 손가락 삽입부를 형성하는 미니 시트 부재(17)가 마주 보는 이면측 시트끼리를 다리 놓아 잇는 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이 미니 시트 부재(17)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미니 시트 부재(17)가 설치되지 않은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미니 시트 부재(17)가 설치되지 않은 형태에서는, 적정한 위치에 음순간 패드를 장착한 후, 음순간 패드에 따르고 있던 손가락을 빼낼 때에 장착 위치가 틀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측 시트로서는, 액체 투과성이며, 또 액체 친수성으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소재가 사용된다. 예로서, 포인트본드, 에어스루 등의 제조 방법으로부터 얻어지는 부직포를 단독 또는 이들을 복합한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 중, 음순간 패드(10)와 음순 내벽 사이에 어긋남이 생겨, 착용자가 이물감을 느끼는 일이 없도록, 음순 내벽과의 친화성을 고려하여, 적어도 셀룰로오스계의 액체 친수성 섬유를 주체로 하여 구성된 시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측 시트(14)로서는, 천연 코튼 5% 이상 30% 이하,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를 70% 이상 95% 이하의 비율로 혼합한 섬유를, 20 g/m2 이상 50 g/m2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한 후, 수류 체결에 의해 섬유끼리를 체결시켜 건조시켜, 두께를 0.3 mm 이상 1.0 mm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한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이 때에 사용하는 사(絲)의 질은, 천연 코튼이라면 섬유 길이가 15 mm 이상 60 mm 이하의 범위,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라면 섬유 길이가 25 mm 이상 51 mm 이하의 범위이고, 섬도가 1.1 dtex 이상 6.6 dtex 이하의 범위이다. 한편, 투과 구멍을 갖는 필름이나, 섬유층에 필름을 라미네이트 가공함으로써 얻어진 투과 구멍을 갖는 시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면측 시트(15)로서는, 난투수성의 시트가 이용되며, 예컨대, 두께 15 μm 이상 60 μm 이하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젖산, 혹은 폴리부틸숙시네이트를 재료로 하는 필름, 또는 부직포, 종이 및 이들에 라미네이트 가공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필러를 충전시켜 연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통기성 필름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여 구성된 필름으로서, 0.1 mm 이상 0.6 mm 이하 구멍 지름의 개공이 개공율 10% 이상 30%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고, 평량 15 g/m2 이상 35 g/m2 이하의 범위로 조정된 필름을 들 수 있다. 부직포의 예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 포인트본드 부직포, 또는 스루에어 부직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에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극세 섬유로 구성되어, 섬유 사이 거리가 매우 작은 멜트블로운을 포함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의 3층 구성(SMS)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각의 층의 평량은 5 g/m2 이상 15 g/m2 이하, 1 g/m2 이상 10 g/m2 이하, 5 g/m2 이상 10 g/m2 이하의 범위에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 영역]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의 전도 영역(20)은, 다른 영역(21)보다도 착용자의 손가락의 압박에 의해서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기 쉽도록 LC의 값이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로서는, 레이온 85%에 천연 코튼 15%를 혼합하여 평량을 180 g/m2로 하고, 엠보스 면적율 1%로 엠보스 가공한 것이 이용된다. 다른 영역(21)에 있어서의 제2 흡수재(12)로서는, 레이온 85%에 천연 코튼 15%을 혼합하여 평량을 360 g/m2로 하고, 엠보스 면적율 40%로 엠보스 가공한 것이 이용된다. 전도 영역(20)의 LC의 값은 0.41인 데 대하여 다른 영역(21)의 LC의 값은 0.63으로, 양 영역의 LC의 값의 차는 0.22이다.
이들 LC의 값은, KES 시스템에 의한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카토테크사 제조의 측정 기기 「KES 압축 특성」을 이용하여, 하중 50 g/cm2, 압축 단자 면적 2 cm2, 단자 속도 0.1 cm/sec의 조건 하에서 측정된 값이다. 한편 KES의 압축 특성을 일반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 6이며, 종축은 압력(g/cm2)을 나타내고, 횡축은 샘플에 압력을 가했을 때의 샘플의 두께(mm)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6에 있어서, 곡선 d는 샘플에 압력을 더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의 압력과 샘플의 두께와의 관계를 플롯한 것이고, 곡선 e는 샘플에 가한 압력을 서서히 풀어 나가는 과정에 있어서의 압력과 샘플의 두께와의 관계를 플롯한 것이다. 이 플롯도에 있어서, 곡선 d와 곡 선 e로 둘러싸인 영역 D의 면적과, 곡선 e와 직선 AC 및 BC로 둘러싸인 영역 E의 면적의 합을 삼각형 ABC의 면적으로 나눈 값이 LC에 상당한다.
또한, 시편의 크기나 채취 위치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시편의 크기는, 압축 단자가 수습되는 크기라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30 mm×30 mm 크기인 것이 이용된다. 채취 위치도, 전도 영역(20)의 시편에 대해서는,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을 걸쳐서 질구와 접하는 영역이며, 다른 영역(21)의 시편에 대해서는, 전도 영역의 주연부의 영역이다. 한편, 음순간 패드(10)가 둘로 접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측정은 음순간 패드(10)를 개방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작용]
도 3은, 전도 영역(20)을 갖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에, 착용자가 손가락(31)을 대어 음순(32)에 장착하고자 하고 있는 모습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에서는, 전도 영역(20)은 다른 영역(21)보다도 착용자의 손가락(31)의 압력에 의해서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기 쉽도록 LC의 값이 작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10)의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손가락(31)의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전도 영역(20)이 잠겨 들어가, 전도 영역(20)의 두께가 얇아진다. 이 모습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 본 것이 도 4이다. 또한, 손가락(31)의 압력이 풀리면, 전도 영역(20)의 두께는 그전 그대로에 복원된다. 이 모습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 본 도면이 도 5이다.
한편, 음순간 패드(10)의 음순 사이에의 장착은, 이면측 시트(15)에 착용자가 손가락을 대면서 이루어지지만, 이 때의 음순간 패드(10)에 손가락을 대는 방법 은, 전정상에 평행하게 대는 것뿐만 아니라, 전정상(질구)에 대하여 수직이라도 좋으며, 이로써 질구 깊이까지 음순간 패드(10)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음순간 패드(10)에 대는 손가락은 하나가 아니더라도 좋고, 예컨대 손가락 3개를 음순간 패드(10)에 대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양 음순에 의해서 식지와 약지의 감촉을 감지하고, 중지로 전정상으로 음순간 패드(10)를 삽입하는 경우라도 좋다. 이 경우, 식지와 약지를 대는 영역은 전도 영역(20)이다.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에 의하면, 착용시에 음순간 패드(10)의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손가락에 의한 압박이 가해진 경우에는, 전도 영역(20) 쪽이 다른 영역(21)보다도 손가락이 잠기기 쉬워,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손가락(31)의 감촉을 질구(33)에 전도할 수 있다. 따라서, 질구(33)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32)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10)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의 변형예는,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 속에 공간을 갖은 구조의 것이다. 도 7은 이 변형예에 따른 음순간 패드(10a)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 음순간 패드(10a)에서는, 다른 영역(21)에 있어서의 제2 흡수재(12)는 상층 흡수재(12a) 및 하층 흡수재(12b)의 2층을 갖고 있다. 한편,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는 상층 흡수재(12a)를 갖고 있는 것 외에, 하층 흡수재(12b) 대신에 공 간(11b)을 갖고 있다. 상층 흡수재(12a)로서는 레이온 85%에 천연 코튼 15%를 혼합한 것이 이용되고, 하층 흡수재(12b)로서는 펄프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전도 영역(20) 및 다른 영역(21)에 있어서의 엠보스 면적율은 1%이다. 한편, 전도 영역(20)의 LC의 값은 0.41인 데 대하여, 다른 영역(21)의 LC의 값은 0.47로, 양 영역의 LC의 값의 차는 0.06이다.
[작용, 효과]
도 8은 이 변형예에 따른 음순간 패드(10a)를 착용자가 손가락(31)을 대어 음순(32)에 장착하고자 하고 있는 모습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이 음순간 패드(10a)에서는,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는 공간(11b)을 갖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31)에 의한 압박에 의해 공간(11b)이 찌부러짐으로써 손가락(31)이 충분히 잠겨 들어갈 수 있는 데다,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는 다른 영역(21)의 제2 흡수재(12)보다도 LC의 값이 작아, 압축되기 쉬운 것이기 때문에 전도 영역(20)의 두께가 얇아진다. 이 모습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 본 도면이 도 9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이 음순간 패드(10a)에 의하면, 착용할 때에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손가락(31)에 의한 압박이 가해진 경우에는 전도 영역(20)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확실하게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33)에 전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질구(33)를 탐지하기 쉬워, 음순 사이(32)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10a)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 드(10)의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가, 다른 영역(21)에 있어서의 제2 흡수재(12)보다도 용이하게 구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된 것이다.
[전도 영역]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의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는, 다른 영역(21)에 있어서의 제2 흡수재보다도 구부러지기 쉽도록, B의 값이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로서는, 레이온 85%에 천연 코튼 15%를 혼합하여 평량이 180 g/m2인 것을, 엠보스 면적율 1%로 엠보스 가공한 것이 이용되고, 다른 영역(21)에 있어서의 제2 흡수재로서는, 펄프 100%로 평량이 360 g/m2인 것을, 엠보스 면적율 1%로 엠보스 가공한 것이 이용된다.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의 B의 값은 0.77인 데 대하여, 다른 영역(21)에 있어서의 제2 흡수재의 B의 값은 3.92로, 양 영역의 B의 값의 차는 3.15이다.
이들 B의 값은, KES 시스템에 의한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카토테크사 제조의 측정 기기 「KES 굽힘 특성」을 이용하여, 굽힘 곡율 0.2 cm-1, 척 40 mm의 조건 하에서 측정된 값이다. 한편, 샘플의 측정 폭은 10 mm, 척 방향의 길이는 50 mm 정도이다. 또한, 시편의 채취 위치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한다. 전도 영역(20)의 시편은,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을 걸쳐서 질구와 접하는 영역이며, 다른 영역(21)의 시편은, 전도 영역(20)의 주연부의 영역이다. 한편, 음순간 패드(10)가 둘로 접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측정은 음순간 패드(10)를 개방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작용, 효과]
이 음순간 패드(10b)의 전도 영역(20)은, 긴 길이 방향 및 짧은 길이 방향 어느 쪽의 방향으로도 구부러지기 쉬운 것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를 착용자가 손가락(31)을 대어 음순에 장착하고자 할 때에, 이 음순간 패드(10b)가 긴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운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이 음순간 패드(10b)는 긴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질구의 오목 형상에 손가락(31)의 형상이 따라가기 쉬운 구조로 되고 있어, 음순을 만지작거리는 일없이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를 착용자가 손가락(31)을 대어 음순에 장착하고자 할 때에, 이 음순간 패드(10b)가 짧은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이 음순간 패드(10b)는 짧은 길이 방향으로도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손가락(31)을 대어 음순 사이로 음순간 패드(10b)를 유도할 때에 손가락(31)의 형상이나 동작에 음순간 패드(10b)가 충분히 추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음순간 패드(10b)에 의하면, 확실하게 손가락(31)의 감촉을 질구에 전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10b)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손가락(31)과 음순간 패드(10b)의 반신체 측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할 때의 충격으로 손가락(31)과 음순간 패드(10b)에 어긋남이 생기는 일도 없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1>
[전도 영역]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의 변형예 1은, 음순간 패드(10)의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에 슬릿이 형성된 구조의 것이다. 도 12는 이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c)의 흡수재(13c)의 평면도이다. 흡수재(13c)는 제1 흡수재(11)와 제2 흡수재(12)를 포함한다. 이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c)의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c)에 형성된 슬릿(25)은, 긴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패턴과, 짧은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패턴이 교차한 것이다. 슬릿의 길이는 10 mm, 슬릿끼리의 간격은 10 mm이며, 이 슬릿은 흡수재(13c)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것이다.
[작용, 효과]
이와 같이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c)에서는, 긴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패턴과, 짧은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패턴이 교차한 슬릿(25)이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c)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긴 길이 방향 및 짧은 길이 방향의 어느 쪽의 방향으로도 구부러지기 쉽게 되고 있어, 착용자의 손가락 형상이나 동작에 음순간 패드(10c)가 추종하여 확실하게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전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질구의 탐지가 용이하여,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10c)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2>
[전도 영역]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의 변형예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의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가 표면측 시트(14)와는 접합되어 있지는 않고, 이면측 시트(15)와 일부가 핫멜트로 접합되어 있을 뿐인 것이다. 도 13은 변형예 2에 따른 음순간 패드(10d)의 접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핫멜트(41)의 접합 패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음순간 패드(10d)를 Y1-Y2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가 도 14이다. 이들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변형예 2에 따른 음순간 패드(10d)의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의 중앙부는 핫멜트(41)로 접합되어 있지는 않으며, 그 단연부만이 이면측 시트(15)와 접합되어 있다.
[작용, 효과]
이와 같이, 변형예 2에 따른 음순간 패드(10d)에 의하면,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와 표면측 시트(14)를 접합하지 않고, 제1 흡수재(11)와 이면측 시트(15)의 일부만을 접합함으로써, 전도 영역(20)에 있어서, 제1 흡수재(11), 표면측 시트(14), 이면측 시트(15) 각각의 각 부재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음순간 패드(10d)가 전체적으로 구부러지기 쉽게 되기 때문에, 손가락의 형상이나 동작에 음순간 패드(10d)가 추종하여 확실하게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전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질구를 탐지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10d)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전도 영역]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의 전도 영역(20)이, 다른 영역(21)보다도 열전도율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영역(21)에 있어서의 제2 흡수재(12)로서 펄프가 이용되고 있는 데 대하여, 전도 영역(20)에 있어서의 제1 흡수재(11)에는 펄프보다도 열전도율이 높은 폴리에틸렌이 이용되고 있다.
[작용,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전도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도 열전도율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할 때에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손가락에 의한 압박이 가해진 경우에, 전도 영역에 있어서 손가락의 체온을 질구에 전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형태>
[전도 영역]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e)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e)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의 전도 영역(20)을,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쪽 측으로, 착용시에 둔부에 면하는 측으로 편의시켜 배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시에 둔부에 면하는 쪽의 단부에서부터, 긴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의 10% 이상 50% 이하의 범위 내에 전도 영역(20)이 형성되어 있다.
[작용,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도 영역(20)을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쪽 측으 로, 착용시에 둔부에 면하는 측으로 편의시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로부터 보아 음순 사이의 최후 쪽에 존재하는 질구에, 음순간 패드(10e)를 원활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착용자로부터 보아 음순의 후방에서 노출하는 음순간 패드(10e)의 영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음순 사이에서 음순간 패드(10e)가 탈락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경혈 누설을 저감할 수도 있다.
<제5 실시형태>
[전도 영역]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f)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f)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에 있어서, 전도 영역(20)의 반신체 측면 상에 오목부(42)가 형성된 구조의 것이다. 한편, 오목부(42)의 깊이는 2 mm 이다.
[작용, 효과]
이 음순간 패드(10f)에 따르면, 착용할 때에 착용자가 반신체 측면에 손가락을 대는 경우에, 용이하게 손가락이 오목부(42)를 탐지하여, 손가락을 전도 영역(20)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의 감촉을 용이하게 질구에 전도할 수 있어,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10f)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 실시형태>
[전도 영역]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g)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g)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의 반신체 측면끼리를, 접음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을 따라서, 소정 길이에 걸쳐서 접합된 접합 영역(45)을 갖는 것이며, 또한, 반신체 측면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전도 영역(20)이 배치된 것이다. 한편, 전도 영역(20)이 배치된 반신체 측면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착용시에 긴 길이 방향의 둔부에 면하는 측으로 편의시켜 배치되어 있다.
[작용, 효과]
이 음순간 패드(10g)에 의하면, 접합 영역(45)과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의 경계에 단차가 생기기 때문에, 착용함에 있어서 착용자가 반신체 측면에 손가락을 대는 경우에, 용이하게 손가락이 단차를 탐지하여 손가락을 전도 영역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의 감촉을 질구에 확실하게 전도할 수 있으므로, 질구가 탐지되기 쉬워, 음순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확실하고 또 용이하게 음순간 패드(10g)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신체 측면끼리를 접합하는 위치가 접음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음으로 인해, 접음선과 접합 위치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공간에 의해서 착용시에 음순간 패드(10g)에 대하여 생기는 외압을 완충할 수 있어, 착용자는 이물감을 느끼는 일이 거의 없다.

Claims (15)

  1. 신체 측에 배향되는 신체 측면과 그 신체 측면의 반대측에 배향되는 반신체 측면을 가지며, 긴 길이 방향과 짧은 길이 방향을 갖는 세로로 긴 형상을 이루는 음순간 패드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체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재를 구비하고, 착용시에는 상기 반신체 측면의 긴 길이 방향으로 착용자가 손가락을 대어 음순 사이에 장착하는 것으로,
    상기 긴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걸쳐서 상기 긴 길이 방향으로 뻗는 띠형 영역의 전부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손가락의 감촉을 착용자의 신체에 전도하는 전도 영역을 갖고,
    상기 전도 영역은, 상기 전도 영역의 주연부 영역인 다른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박에 의해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기 쉽도록 압축 특성의 직선성의 값이 0.10 이상 0.50 이하인 음순간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영역의 폭은 5 mm 이상 70 mm 이하인 음순간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영역의 압축 특성의 직선성의 값과 그 전도 영역의 주연부 영역인 다른 영역의 압축 특성의 직선성의 값과의 차는 0.05 이상 0.50 이하의 범위 내인 음순간 패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영역은, 상기 흡수재 중에 공간을 가져, 압축되기 쉬운 것인 음순간 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서로 겹쳐 배치되는 상층 흡수재 및 하층 흡수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도 영역은, 상기 상층 흡수재 및 상기 공간에서 형성되며, 상기 전도 영역 이외의 영역은, 상기 상층 흡수재 및 상기 하층 흡수재에 의해 형성되는 음순간 패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영역은, 그 전도 영역의 주연부 영역인 다른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박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도록 굽힘 강성의 값이 0.10× 10-4(N? m2/m) 이상 4.00× 10-4(N? m2/m) 이하인 음순간 패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영역의 굽힘 강성의 값과 그 전도 영역의 주연부 영역인 다른 영역의 굽힘 강성의 값과의 차는 0.50×10-4(N?m2/m) 이상 5.00×10-4(N?m2/m) 이하의 범위 내인 음순간 패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신체 측면에 배치된 표면측 시트와, 상기 반신체 측면에 배치된 이면측 시트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전도 영역은, 상기 흡수재와 상기 표면측 시트 또는 상기 흡수재와 상기 이면측 시트가 유리된 상태인 음순간 패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영역은, 합성 섬유 및 레이온을 병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영역은, 상기 반신체 측면 상에 상기 신체 측면으로 향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순간 패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긴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따른 접음선으로 상기 반신체 측면끼리가 마주 보도록 둘로 접기로 되어, 상기 접음선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소정 길이에 걸쳐 접합되고,
    상기 전도 영역은, 상기 반신체 측면끼리가 유리되어 있는 영역에 배치되는 음순간 패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의 음순간 패드인 음순간 패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 분비물 흡수용의 음순간 패드인 음순간 패드.
  14. 삭제
  15. 삭제
KR1020067012672A 2003-12-09 2004-12-08 음순간 패드 KR101143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1078 2003-12-09
JP2003411078 2003-12-09
PCT/JP2004/018273 WO2005055899A1 (ja) 2003-12-09 2004-12-08 陰唇間パ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393A KR20060123393A (ko) 2006-12-01
KR101143077B1 true KR101143077B1 (ko) 2012-05-08

Family

ID=3467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672A KR101143077B1 (ko) 2003-12-09 2004-12-08 음순간 패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70652B2 (ko)
EP (1) EP1693029B1 (ko)
JP (1) JP4739957B2 (ko)
KR (1) KR101143077B1 (ko)
CN (1) CN100508925C (ko)
AT (1) ATE555763T1 (ko)
TW (1) TWI330526B (ko)
WO (1) WO2005055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7587B2 (ja) * 2005-09-30 2011-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EP2042140A1 (en) * 2006-07-05 2009-04-01 Unicharm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US8338659B2 (en) * 2007-04-30 2012-1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leakage warning
US8734413B2 (en) 2007-08-03 2014-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d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672911B2 (en) 2007-08-03 2014-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7947027B2 (en) 2007-12-28 2011-05-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292862B2 (en) 2007-08-03 2012-10-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ynamic fitting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044258B2 (en) * 2008-06-27 2011-10-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leakage warning
US11147722B2 (en) 2008-11-10 2021-10-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multifunctional acrylate skin-adhesive composition
US20100292665A1 (en) * 2009-05-15 2010-11-18 Susan Sigel Sanitary waterproof pad for twee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3750A2 (en) * 2000-08-11 2002-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s
WO2002087484A1 (en) 2001-04-20 2002-11-07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product with improved fit
WO2002094153A1 (fr)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Tampon interlabial
WO2002100315A1 (en) 2001-06-08 2002-1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erlabial pad with finger-receiving positioning aid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372A (en) * 1974-06-20 1975-09-16 Marian C Denkinger Feminine hygiene protective shield
US4595392A (en) * 1983-10-03 1986-06-17 Kimberly-Clark Corporation Interlabial pad
US4673403A (en) * 1985-10-30 1987-06-16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pad allowing improved placement of catamenial device
US5290262A (en) * 1992-10-15 1994-03-01 Kimberly-Clark Corporation Feminine hygiene article and method
EP0771182B1 (en) * 1994-07-18 2001-1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folded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fit
US6254584B1 (en) * 1997-01-03 2001-07-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comfort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CN1146374C (zh) 1998-05-01 2004-04-21 宝洁公司 具有整体形成的舌片的阴唇间吸湿用品和制造该用品底片的装置与方法
JP3612424B2 (ja) * 1998-06-12 2005-01-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EP1190690B9 (en) * 2000-09-22 2012-08-01 Kao Corporation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
US20020065497A1 (en) * 2000-11-24 2002-05-30 Ewa Kolby-Falk Absorbent product having anatomically shaped elevation
US20040024376A1 (en) * 2001-01-24 2004-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JP4224303B2 (ja) 2001-05-22 2009-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及びその包装体
ATE454872T1 (de) * 2001-05-22 2010-01-15 Uni Charm Corp Interlabial-polster
ATE422869T1 (de) * 2001-05-22 2009-03-15 Uni Charm Corp Interlabial-polster
JP4178043B2 (ja) * 2001-05-22 2008-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CN1231196C (zh) * 2001-05-22 2005-12-1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阴唇间吸湿垫及其包装体
ES2321914T3 (es) 2001-05-22 2009-06-15 Uni-Charm Corporation Almohadilla interlabial.
JP4178044B2 (ja) * 2001-05-22 2008-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及びその包装体
US6802932B2 (en) * 2001-06-08 2004-10-12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20193769A1 (en) * 2001-06-08 2002-12-19 Edens Ronald L. Labial pad having a notch
US20030208178A1 (en) * 2001-06-08 2003-11-06 Edens Ronald L. Labial pad having a notch
US20020193771A1 (en) * 2001-06-08 2002-12-19 Edens Ronald L. Finger-receiving area for a labial pad
US7115116B2 (en) * 2001-06-08 2006-10-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bial pad having various means
US6923795B1 (en) * 2001-11-09 2005-08-02 April Lu Cantley System and method for absorbing excess menstrual flow
DE60301802T2 (de) * 2002-02-25 2006-05-11 Kao Corp. Deckschicht für absorbierenden Artikel
US6814723B2 (en) * 2002-07-29 2004-11-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bial product system to maintain a treatment agent
JP4248825B2 (ja) * 2002-08-30 2009-04-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311920B2 (ja) * 2002-09-12 2009-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US9044355B2 (en) * 2002-10-04 2015-06-02 Amar Pal Singh Rana Absorbent article
CN1694664A (zh) * 2002-11-18 2005-11-09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用辅助片
US7858841B2 (en) * 2002-12-11 2010-12-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nhanced body conformance with the use of free flowing part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3750A2 (en) * 2000-08-11 2002-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s
WO2002087484A1 (en) 2001-04-20 2002-11-07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product with improved fit
WO2002094153A1 (fr)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Tampon interlabial
WO2002100315A1 (en) 2001-06-08 2002-1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erlabial pad with finger-receiving positioning a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55763T1 (de) 2012-05-15
WO2005055899A1 (ja) 2005-06-23
EP1693029A1 (en) 2006-08-23
JP4739957B2 (ja) 2011-08-03
TWI330526B (en) 2010-09-21
US20050137561A1 (en) 2005-06-23
US7270652B2 (en) 2007-09-18
EP1693029A4 (en) 2009-09-02
CN100508925C (zh) 2009-07-08
TW200526178A (en) 2005-08-16
JPWO2005055899A1 (ja) 2007-07-05
KR20060123393A (ko) 2006-12-01
EP1693029B1 (en) 2012-05-02
CN1889911A (zh)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4916B2 (en) Thin, curved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edges
KR101714629B1 (ko) 흡수성 물품
KR20010051547A (ko)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복합 생리대
JP4719799B2 (ja) 陰唇間パッド
KR101964977B1 (ko) 흡수성 물품
KR100801942B1 (ko) 음순간 패드
AU7142800A (en) Compound napkin
JP4953613B2 (ja) 吸収性物品
KR101143077B1 (ko) 음순간 패드
JP4913383B2 (ja) 吸収性物品
JP4953611B2 (ja) 陰唇間パッド
JP3737251B2 (ja) 吸収性物品
JP4178042B2 (ja) 陰唇間パッド
JP2003088550A (ja) 生理用ナプキン
JP3862528B2 (ja) 吸収性物品
JP5374301B2 (ja) 陰唇間パッド
JP6342481B2 (ja) 吸収性物品
JP3744845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