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977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977B1
KR101964977B1 KR1020187016004A KR20187016004A KR101964977B1 KR 101964977 B1 KR101964977 B1 KR 101964977B1 KR 1020187016004 A KR1020187016004 A KR 1020187016004A KR 20187016004 A KR20187016004 A KR 20187016004A KR 101964977 B1 KR101964977 B1 KR 101964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unit weight
disposed
weight portion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842A (ko
Inventor
가즈야 니시타니
히데유키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4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being a tissue-wrapped c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착용자가 장착 전에 흡수성 물품(1)의 부드러움을 파악하여,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의 착용성에 대한 기대감을 얻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은,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 배치되는 흡수체(30)와,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표면 시트(11)와, 속옷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점착부(60)를 갖는다. 흡수체는 흡수 재료를 갖는 흡수 코어(31)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32)을 갖는다. 표면 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 층(111)과, 제1 층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며, 또한 제1 층보다 직경이 굵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층(112)을 갖는다. 후측 영역은 압착부가 배치되는 압착 영역(51)과, 압착부가 배치되지 않는 비압착 영역(52)을 갖는다. 압착부는 흡수 코어와 표면 시트에 마련되어 있고, 비압착 영역은 폭 방향(W)을 따라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랑이 영역과, 가랑이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체와,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에 배치되는 표면 시트와, 속옷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착용자는 일반적으로,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장착할 때에,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을 속옷에 고정한 후, 후측 영역을 속옷에 고정한다. 이 때, 착용자는 예컨대, 가랑이 영역의 표면 시트에 손을 댄 후에, 손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압박하여 고정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제2008-520401호 공보
본 출원인이 조사한바, 착용자는 장착 시의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을 손가락으로 따라갔을 때의 감촉에 의해, 흡수성 물품에 대한 기대감을 얻고 있고, 그 기대감이 장착 시의 장착감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았다.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가랑이 영역의 표면 시트에 댄 손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후측 영역에 마련된 압착부에 손가락이 닿는다. 착용자는 장착 시에 압착부의 경도를 느껴,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부드러운 인상을 갖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의 착용성에 대한 기대감을 얻기 어려워, 장착감에 악영향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착용자가 장착 전에 흡수성 물품이 부드러움을 파악하여,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의 착용성에 대한 기대감을 얻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전후 방향(L)] 및 폭 방향[폭 방향(W)]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가랑이 영역(S1)]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후측 영역(S3)]과, 상기 가랑이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체[흡수체(30)]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표면 시트[표면 시트(11)]와, 속옷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부[점착부(60)]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 재료를 갖는 흡수 코어[흡수 코어(31)]와, 상기 흡수 코어를 덮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코어 랩(32)]을 가지고, 상기 표면 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 층[제1 층(111)]과, 상기 제1 층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층보다 직경이 굵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층[제2 층(112)]을 가지고, 상기 후측 영역은 압착부가 배치되는 압착 영역[압착 영역(51)]과, 상기 압착부가 배치되지 않는 비압착 영역[비압착 영역(52)]을 가지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흡수 코어와 상기 표면 시트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비압착 영역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표면 시트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5는 압착 영역과 비압착 영역을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사용 중인 흡수성 물품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팬티 라이너(대하 시트)나 생리대나 실금 패드 등의 임의의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일회용의 생리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의 전체적 구성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은 전후 방향(L)과 폭 방향(W)과 두께 방향(T)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측)으로부터 후측(등측)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두께 방향(T)은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되는 방향이고,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피부 대향면측(T1)은 사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에 상당한다. 피부 비대향면측(T2)은 사용 시에, 피부 대향면측(T1)과는 반대측, 즉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를 향하는 측에 상당한다.
흡수성 물품(1)은 가랑이 영역(S1), 전측 영역(S2) 및 후측 영역(S3)을 갖는다. 가랑이 영역(S1)은 착용자의 배설구(예컨대 질구)에 대향하는 영역이다. 흡수성 물품이 속옷에 장착되었을 때에, 가랑이 영역(S1)은 속옷의 가랑이부에 위치한다. 즉, 가랑이 영역(S1)은 착용자의 가랑이, 즉 착용자의 양 다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전측 영역(S2)은 가랑이 영역(S1)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전측 영역(S2)의 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3)은 가랑이 영역(S1)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후측 영역(S3)의 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가랑이 영역(S1)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어도 좋다.
가랑이 영역(S1)에는, 후술하는 윙(3)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후측 영역(S3)에는 폭 방향(W)의 외측으로 팽창된 힙 플랩(4)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윙(3)의 전단 가장자리는 윙(3)의 부착부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가장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우묵한 2개의 부분 중, 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3)의 전단 가장자리는 가랑이 영역(S1)과 전측 영역(S2)의 경계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윙(3)의 후단 가장자리는 윙(3)의 부착부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가장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우묵한 2개의 부분 중,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3)의 후단 가장자리는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경계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윙(3)의 전단 가장자리와 윙(3)의 후단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을 「윙 영역」이라고 칭한다. 윙(3)을 갖는 흡수성 물품(1)에서는, 가랑이 영역(S1)은 윙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이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S1)」이라는 용어는, 「윙 영역」이라고 바꿔 읽을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흡수성 물품(1)은 피부면 시트(10), 비피부면 시트(20) 및 흡수체(30)를 갖는다. 피부면 시트(10)는 흡수체(30)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마련된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흡수체(30)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마련된다. 흡수체(30)는 피부면 시트(10)와 비피부면 시트(20) 사이에 마련된다.
피부면 시트(10)는 표면 시트(11) 및 사이드 시트(12)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11)는 체액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액 투과성의 시트이다. 표면 시트(11)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흡수체(30)의 중앙부를 덮는다. 표면 시트(11)는 전후 방향(L)으로 전측 영역(S2)으로부터 후측 영역(S3)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11)는 부직포, 직포, 유공 플라스틱 시트, 메쉬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를 갖는 임의의 시트상 재료로 구성된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12)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으며, 표면 시트(1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사이드 시트(12)를 가지고 있지만, 흡수성 물품(1)은 사이드 시트(12)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표면 시트(11)는 흡수체(30) 전체를 덮고 있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12)는 표면 시트(11)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단, 표면 시트(11)에 부착된 체액이, 사이드 시트(12)를 타고 넘어,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시트(12)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12)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흡수체(30)의 외측 가장자리, 윙(3) 및 힙 플랩(4)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비피부면 시트(20)는 액 불투과성의 시트이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 시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흡수체(3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고, 또한 윙(3)과 힙 플랩(4)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면을 구성한다. 또한, 흡수체(3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는 시트와, 윙(3)에 배치되는 시트와, 힙 플랩(4)에 배치되는 시트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고, 개별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30)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S1) 및 후측 영역(S3)에 배치된다. 또한, 흡수체(30)는 가랑이 영역(S1)으로부터 전측 영역(S2)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30)는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31)와, 흡수 코어(31)를 둘러싸는 코어 랩(32)을 갖는다.
코어 랩(32)은 적어도 흡수 코어(31)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서 흡수 코어(31)를 덮고 있으면 좋다. 구체적 일례로서, 코어 랩(32)은 흡수 코어(31)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되는 제1 코어 랩(321)과, 흡수 코어(31)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는 제2 코어 랩(322)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1 코어 랩(321) 및 제2 코어 랩(322)은, 동일한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는 예컨대, 친수성 섬유, 펄프 및 고흡수성 고분자(SAP)로 형성할 수 있다. 코어 랩(32)은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어 랩(32)은 소수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코어 랩(32)이 소수성을 가짐으로써, 방누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코어 랩(321)의 폭 방향 중앙은, 흡수 코어(31)의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코어 랩(321)은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흡수 코어(31)의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의 단면도는, 제1 코어 랩(321)이 되접어 꺾인 상태이다. 제1 코어 랩(321)이 되접어 꺾여 있지 않은 전개 상태에서는, 제1 코어 랩(321)의 폭 방향 중앙은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제1 코어 랩(321)의 외측 가장자리(321E)는 흡수 코어(31)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코어 랩(321)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코어 랩(321)의 외측 가장자리(321E)는, 흡수 코어(31)의 피부 비대향면측(T2) 또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코어 랩(321)의 외측 가장자리(321E)는, 흡수 코어(31)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위치하는 제2 코어 랩(322)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코어 랩(321)의 외측 가장자리(321E)는,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시트(12)의 피부 비대향면측(T2) 및 표면 시트(11)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윙(3) 및 힙 플랩(4)을 갖는다. 윙(3) 및 힙 플랩(4)은, 가랑이 영역(S1)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윙(3) 및 힙 플랩(4)은, 사이드 시트(12)와, 플랩 시트(15)와, 비피부면 시트(20)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플랩 시트(15)는 가랑이 영역(S1), 전측 영역(S2) 및 후측 영역(S3)에 걸쳐 배치된다. 플랩 시트(15)는 윙(3)과 힙 플랩(4)에 배치된다. 또한, 플랩 시트(15)는 적어도 후측 영역(S3)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플랩 시트(15)는 적어도 힙 플랩(4)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윙(3)은 비피부면 시트(20)측에 되접어 꺾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윙(3)은 사용 시에 속옷의 크로치부의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되접어 꺾인다. 힙 플랩(4)은 윙(3)보다 후측에 위치하며, 후측 영역(S3)에 마련되어 있다. 힙 플랩(4)은 가랑이 영역(S1)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힙 플랩(4)이 배치된 영역은 가랑이 영역(S1)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힙 플랩(4)은 사용 시에 되접어 꺾이지 않고, 속옷과 착용자의 둔부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힙 플랩(4)에는 흡수 재료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대신에, 힙 플랩(4)에는 흡수 재료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힙 플랩(4)의 밖 가장자리(4E)는 폭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원호 형상이다. 힙 플랩(4)의 측 가장자리는 다수의 볼록부(4F)를 갖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수의 볼록부(4F)는 한쪽의 힙 플랩(4)의 밖 가장자리(4E)로부터 후측 영역(S3)의 후단 가장자리를 지나 다른쪽의 힙 플랩(4)의 밖 가장자리(4E)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대신에, 다수의 볼록부(4F)는 한쌍의 힙 플랩(4)의 밖 가장자리(4E)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각각의 볼록부(4F)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또한, 각각의 볼록부(4F)의 폭은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힙 플랩(4)의 측 가장자리(4E)에는 복수의 볼록부(4F)와, 볼록부(4F) 사이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힙 플랩(4)의 밖 가장자리(4E)에 외측으로부터 국소적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힘의 작용점 부근에 마련된 소수의 볼록부(4F)가 되접어 꺾인다. 그러나, 볼록부(4F)끼리의 사이에 간극(오목부)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볼록부(4F)에 가해진 힘은, 인접하는 볼록부(4F)에 전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결과, 국소적으로 힘이 가해진 볼록부(4F)를 기점으로 힙 플랩(4)이 크게 말린다고 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두께」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그 상태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 하에 있어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측정할 때는, 흡수성 물품이 수축한 상태가 아니라, 흡수성 물품의 신축성 부재를 신장시킨 상태로 하여 측정한다. 오자키 세이사쿠쇼(주) 제조의 다이얼게이지 PEACOCK를 사용하고, 측정자에는 직경 10 ㎜의 것을 채용하여, 크기가 30 ㎜×30 ㎜인 시험편을 준비하고, 그 시험편의 두께를 측정한다. 측정기는 시험편에 대한 측정압이 3 g/㎠가 되도록 조정한다. 여기서, 10 샘플에 대하여, 각각의 상태로 전술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값을 길이로 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 및 밀도」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그 상태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 하에 있어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포장체에 의해 포장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포장체를 개봉하고, 접어 겹친 흡수성 물품을 전개하여, 단위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의 두께 및 면적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단위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을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절취하고, 절취한 부분의 중량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절취한 부분으로부터 표면 시트 및 코어 랩 등, 흡수 코어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고, 흡수 코어의 중량을 측정한다. 흡수 코어의 중량과, 단위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의 면적에 기초하여 단위중량을 산출한다. 단위중량 및 두께에 기초하여, 밀도를 산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길이」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그 상태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 하에 있어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계속해서, 신와소쿠테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스프링 메저(테이프: 유리 섬유입 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게 하도록 하여, 측정 대상 부위의 이 상태의 길이를 측정한다. 여기서, 10 샘플에 대하여, 각각의 상태로 전술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값을 길이로 하였다.
(2) 흡수체의 상세 구성
다음에, 흡수체(3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흡수체(30)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S1)에, 중고부(中高部)(33)를 갖는다. 중고부(33)는 가랑이 영역(S1)으로부터 전측 영역(S2)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중고부(33)는, 가랑이 영역(S1)에 있어서, 중심선(CL)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중심선(CL)은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의 중심을 통하여,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선이다.
중고부(33)는 중고부(33)의 주위의 영역의 흡수 코어(31)의 두께보다 흡수 코어(31)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의미한다. 중고부(33)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은, 가랑이 영역(S1) 내의 중고부(33)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보다 높아도 좋다. 중고부(33)는 후술하는 제1 저단위중량부(41)에 인접하고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후측의 흡수 코어(31)는, 중고부(33)의 두께보다 얇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측 영역(S3) 전체의 흡수 코어(31)는 중고부(33)의 두께보다 얇다. 중고부(33)는 가장 두께가 두꺼운 최고부와, 최고부에 연결되는 경사부를 갖는다. 이 경사부는 최고부와 후술하는 전측 압착부(81) 사이 및 최고부와 제1 저단위중량부(41)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코어(31)는 제1 저단위중량부(41), 제2 저단위중량부(42) 및 제3 저단위중량부(43)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저단위중량부」는 그 주위의 흡수 코어(31)보다 낮은 단위중량을 갖는 흡수 코어(31)로 이루어지는 영역, 또는 흡수 코어(31)를 갖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저단위중량부」는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이 0인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저단위중량부」는 두께 방향(T)으로 흡수 코어(31)를 관통한 슬릿이어도 좋다. 슬릿은 설계상의 단위중량이 0이지만, 주위로부터 혼입한 흡수 재료가 배치된 영역이어도 좋다. 슬릿의 폭 방향(W)의 길이는 1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슬릿의 폭 방향의 길이가 1 ㎜ 미만이면, 슬릿 사이에 흡수 재료가 유입하여, 흡수 코어(31)의 변형 기점을 구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슬릿의 폭 방향의 길이가 5 ㎜를 넘으면, 착용자가 체액의 전달 누설에 대한 불안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저단위중량부(41∼43)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은, 바람직하게는 150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g/㎡ 이하이다. 또한, 저단위중량부(41∼43)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은, 실질적으로 0 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저단위중량부(41∼43)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은, 저단위중량부(41∼43)의 주위의 흡수 코어(31)(중고부를 제외함)의 단위중량의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단위중량부」가 흡수 코어(31)를 가지고 있지 않은 영역인 경우라도, 코어 랩(32)은 저단위중량부에 걸쳐 흡수 코어(31) 전체를 둘러싸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흡수 코어(31)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단되어 있었다고 해도, 흡수체(30)는 코어 랩(32)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 저단위중량부(41), 제2 저단위중량부(42) 및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흡수체(30)의 강성이 변화하는 경계가 된다. 따라서, 제1 저단위중량부(41), 제2 저단위중량부(42) 및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흡수체(30)가 변형되기 쉬운 영역에 상당한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 사이에 있어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폭 방향(W)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폭 방향(W)을 따라 곡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윙(3)의 중심보다 후측 또한 흡수체(30)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윙(3)의 후단 가장자리에 걸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폭 방향(W)의 중앙이 후방으로 돌출한 곡선 형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폭 방향(W)의 중심은,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는, 일정하여도 좋고, 일정하지 않아도 좋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S1)은 양 다리에 의해 끼여,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비틀리는 힘이 가해지기 쉽다. 흡수성 물품(1)은 제1 저단위중량부(41)가 곡선 형상이기 때문에, 신체의 비틀림에 대하여 추종하기 쉬워, 신체의 움직임에 의한 변형을 놓아 주기 쉬워진다.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길이는 25 ㎜ 이상이다. 이에 의해, 가랑이 영역(S1)에 있어서의 흡수체(30)의 움직임이, 후측 영역(S3)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체(3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전단 가장자리가 가랑이 영역(S1)의 후단 가장자리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고,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후단 가장자리가 후측 영역(S3)의 전단 가장자리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제1 저단위중량부(41)가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체(3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는,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 사이에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착용 중의 동작에 의해,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가 국소적으로 집중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길이는, 흡수성 물품(1)의 중심선(CL)의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또한 5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또한 30 ㎜ 이하이다.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제1 저단위중량부(41)를 가짐으로써,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독립된 변형을 실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길이가 10 ㎜ 이상이라는 길이를 가지고, 또한 제1 저단위중량부(41)가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성 물품(1)이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곳에서 두께 방향(T) 이외의 방향으로도 변형 가능해져,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변형이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독립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누운 자세나 보행 중과 같은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 흡수성 물품(1)에 여러 가지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이 독립적으로 변형됨으로써,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이 각각 신체의 형상에 맞추어 계속해서 피트할 수 있다.
가랑이 영역(S1)에는 중고부(33)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S1)의 흡수 성능을 확보하며, 가랑이 영역(S1)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가랑이 영역(S1)을 신체를 따르게 하며, 후측 영역(S3)을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후측 영역(S3)에 있어서,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후측 영역(S3)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중심선(CL)을 따라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전후 방향(L)에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제1 저단위중량부(41)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전후 저단위중량부에 상당한다.
제1 저단위중량부(41) 및 제2 저단위중량부(42)에 의해,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는, 가랑이 영역(S1)(또는 윙 영역)과, 후측 영역(S3)의 우측 부분과, 후측 영역(S3)의 좌측 부분 사이에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착용 중의 동작에 의해,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가 국소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1)의 착용 중에, 착용자의 위화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특히 누운 자세에 있어서도, 위화감을 느끼기 어렵다.
또한, 후측 영역(S3)에 있어서 흡수 코어(31)의 측부인 고단위중량부(45)가 좌우의 둔부에 의해 밀려 내려가면,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W)의 중앙은,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정점으로 하여 착용자측으로 융기한다. 따라서, 착용 중에,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돌출한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후측 영역(S3)에서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둔열을 따라 피트하기 쉬워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저단위중량부(41)에 의해,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흡수성 물품(1)이 독립적으로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즉, 흡수성 물품(1)은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독립적으로 변형됨으로써,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양쪽에서 신체의 형상에 맞추어 피트할 수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후단 가장자리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후측 영역(S3)의 중심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후단 가장자리는,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후측 영역의 중앙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1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길이는, 1 ㎜ 이상 또한 5 ㎜ 이하이다. 착용자의 신체의 전후 방향(L)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둔부 사이의 홈(둔열)은, 회음부보다 후방으로부터 미저골에 이르는 영역에 존재한다. 흡수성 물품(1)의 사용 중에,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착용자의 둔열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후측 영역(S3)에 있어서, 제2 저단위중량부(42)로부터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제2 저단위중량부(42)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폭 저단위중량부에 상당한다.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전측의 가장자리선은, 폭 방향(W)의 내측에 있어서, 폭 방향(W)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전측의 가장자리선은, 폭 방향(W)의 외측에 있어서, 전방으로 내뻗어 있어도 좋다.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후측의 가장자리선은, 폭 방향(W)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를 경계로 하여 강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흡수성 물품(1)의 변형의 기점이 된다. 흡수성 물품(1)의 후측 영역(S3)에는,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변형의 기점이 형성된다.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는 제3 저단위중량부(43)를 기점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이 신체의 전후 방향(L)을 따른 라운드 형상을 따라 보다 피트하기 쉬워진다. 특히,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후측의 가장자리선이, 폭 방향(W)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진 형상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둔부의 라운드 형상을 따라 배치되기 쉬워진다.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외측 가장자리는,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어서 좋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곡부를 구성한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흡수성 물품(1)이 두께 방향(T)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곡부」는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면 좋고, 폭 방향(W)에 대하여 평행이어도 좋고, 폭 방향(W)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좋다. 「곡부」는 흡수 코어(31)의 변형 기점이 되는 구성이면 좋고, 저단위중량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흡수 코어(31)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된 압착부여도 좋다.
흡수 코어(31)는, 후측 영역(S3)에 있어서, 제2 저단위중량부(42)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고단위중량부(45)를 갖는다. 고단위중량부(45)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은, 그 주위의 흡수 코어(31)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보다 낮다. 고단위중량부(45)는,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 중, 제2 저단위중량부(42)와 제3 저단위중량부(43)를 제외한 부분이다. 제2 저단위중량부(42), 제3 저단위중량부(43) 및 고단위중량부(45)는, 표면 시트(11)에 의해 덮여져 있다.
흡수 코어(31)는 밀도가 대략 일정하여도 좋다. 흡수 코어(31)의 밀도가 일정한 상태란, 흡수 재료가 적층된 후에, 흡수 코어(31)를 부분적으로 프레스하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흡수 코어(31)는 단위중량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중고부(33)의 단위중량과, 가랑이 영역(S1)에 있어서 중고부(33)보다 폭 방향 외측의 영역의 단위중량과, 후측 영역(S3)의 고단위중량부(45)의 단위중량과, 후측 영역(S3)의 저단위중량부[제2 저단위중량부(42) 및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단위중량은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은, 중고부(33), 가랑이 영역(S1)에 있어서 중고부(33)보다 폭 방향 외측의 영역, 후측 영역(S3)의 고단위중량부(45), 후측 영역(S3)의 저단위중량부의 순서로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3) 압착부
흡수성 물품(1)은 적어도 흡수 코어(31)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된 압착부를 갖는다. 이 압착부는 전측 압착부(81)와, 길이 방향 압착부(82)와,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전측 압착부(81)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S1)에 마련되어 있다. 전측 압착부(81)는 가랑이 영역(S1)으로부터 전측 영역(S2)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전측 압착부(81)는 표면 시트(11)와 흡수 코어(31)와 코어 랩(32)이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측 압착부(81)는 중고부(33)의 폭 방향(W) 양측에 마련된 전후 방향(L)을 따른 구간을 갖는다. 전측 압착부(81)는 중고부(33)의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측 가장자리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후측 영역(S3)에서, 중심선(CL),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1)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적어도 흡수 코어(31)와 표면 시트(11)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제2 저단위중량부(42)보다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된다.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선형 또는 점선형으로, 적어도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좋다.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전후 방향(L)으로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전후 방향(L)에 대하여 경사하여 곡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보다 전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후측 영역(S3)에 있어서 흡수 코어(31)의 측부인 고단위중량부(45)가 좌우의 둔부에 의해 밀려 내려가면, 후측 영역(S3)의 흡수체의 폭 방향(W)의 중앙은,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정점으로 하여 착용자측으로 융기한다.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착용자측으로 융기할 때의 변형의 기점이 된다. 길이 방향 압착부(82)를 가짐으로써, 제2 저단위중량부(42)에 의한 볼록형의 변형을 유지하기 쉬워져, 착용자의 둔부 사이의 간극에 흡수체(30)를 피트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전측 압착부(81)와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어도 좋다. 전측 압착부(81)와 길이 방향 압착부(82)가 분단되어 있음으로써,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힘이 전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독립적으로 변형됨으로써,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양쪽에서 신체의 형상에 맞추어 피트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로서, 전측 압착부(81)와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후측 영역(S3)에서, 중심선(CL)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후측 압착부(84)는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1)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후측 압착부(84)는 적어도 흡수 코어(31)와 표면 시트(11)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C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후측 영역(S3)의 후측의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착용자의 천골에 대향하는 영역 근방에 위치한다. 후측 압착부(84)는 전후 방향(L)을 따라 선형 또는 점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전후 방향(L)에 대하여 다소 경사 또는 만곡하고 있어도, 후측 압착부(84)는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고 본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후측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W)의 거리가 넓어지는 확폭 구간을 갖는다. 즉, 후측 압착부(84)는 후측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W)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후측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W)의 거리가 넓어지는 확폭 구간을 갖는다.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힙 플랩(4)의 최대폭은,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후측 영역(S3)의 중앙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확폭 구간에 의해 끼인 확폭 영역은, 착용자의 천골 부근에 상당한다. 이 영역에 압착부가 존재하지 않고, 이 영역의 양측에 비교적 강성이 높은 한쌍의 후측 압착부(84)가 존재한다. 이로부터, 확폭 영역은 비교적 평탄한 면으로 유지된다. 비교적 평탄한 면이 천골 부근의 피부에 대응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부여하는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확폭 영역이 비교적 평탄한 면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확폭 영역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제2 저단위중량부(42)에 의한 볼록형의 변형을 플랫한 상태로 할 수 있다.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천골 부근에 대향하는 영역과, 둔부의 살이 두꺼운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 사이를 구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둔부는 비교적 격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둔부에 대향하는 부분도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기 쉽다. 이 흡수성 물품(1)의 이동은, 비교적 강성이 높은 한쌍의 후측 압착부(84)에 의해, 천골에 대향하는 영역, 즉 확폭 영역에 전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결과, 확폭 영역을 비교적 평탄한 면으로 유지할 수 있어, 착용자의 피부에 부여하는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확폭 영역 내에는 강성이 높은 압착부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 부여하는 영향을 보다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후측 영역(S3)의 후방의 흡수 코어(31)의 움직임이, 후측 영역(S3)의 전방의 흡수 코어(31)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후측 영역(S3)의 전방의 흡수 코어(31)는 착용자의 둔부의 움직임에 맞추어 비교적 크게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라도, 한쌍의 길이 방향 압착부(82)와 한쌍의 후측 압착부(84)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후측 영역(S3)의 후방의 흡수 코어(31)의 움직임이 완화된다. 따라서, 확폭 영역의 흡수 코어(31)의 움직임이 완화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천골 부근에 부여하는 자극을 저하할 수 있다.
한쌍의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길이 방향 압착부(82)와 한쌍의 후측 압착부(84)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이다. 일반적인 여성의 제1 관절보다 선단측의 길이는, 1.5∼2.5 ㎝이다. 그 제1 관절보다 선단측의 길이보다 긴 것에 의해, 손가락이 닿았을 때나 닿은 손가락이 다소 이동하였을 때에 손가락이 압착부에 닿지 않아,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의 표면을 부드럽게 느낄 수 있다. 한쌍의 길이 방향 압착부(82)와 한쌍의 후측 압착부(84) 사이의,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간은, 후술하는 비압착 영역(52)을 구성한다.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간은,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에 걸쳐 있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은 피부면 시트(10) 및 비피부면 시트(20)를 구성하는 시트 중 적어도 2장을 두께 방향(T)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제1 압착부(85), 제2 압착부(87) 및 제3 압착부(86)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도 1 참조). 제1 압착부(85), 제2 압착부(87) 및 제3 압착부(86)는, 힙 플랩(4)의 밖 가장자리(4E)를 따라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4) 점착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에는 흡수성 물품(1)을 속옷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제를 갖는 점착부(60)가 마련되어 있다. 점착부(60)는 속옷에 대하여 흡수성 물품(1)을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계합부를 구성한다. 또한, 계합부는 점착부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훅 부재여도 좋다. 점착부(60)는 제1 본체 점착부(61), 제2 본체 점착부(62), 윙 점착부(63) 및 힙 플랩 점착부(64)를 갖는다. 이들 점착부(61∼64)는 비피부면 시트(2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마련되어 있다. 점착부(61∼64)는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박리 시트에 의해 덮여져 있어도 좋다. 박리 시트는 사용 전에 점착부(61∼64)의 점착제의 열화를 방지한다. 박리 시트는 사용 시에, 착용자에 의해 제거된다.
제1 본체 점착부(61)는 제2 본체 점착부(62)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본체 점착부(61) 및 제2 본체 점착부(62)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본체 점착부(61)는 제2 본체 점착부(62)로부터 전후 방향(L)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본체 점착부(61)는 제1 저단위중량부(41)보다 전측에서, 가랑이 영역(S1)과 전측 영역(S2)에 걸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2 본체 점착부(62)는 제1 저단위중량부(41)보다 후측에서, 후측 영역(S3)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본체 점착부(61) 및 제2 본체 점착부(62)는, 중심선(CL) 상에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윙 점착부(63)는 윙(3)에 마련되어 있다. 힙 플랩 점착부(64)는 힙 플랩(4)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점착부(61∼64)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제1 본체 점착부(61)와 제2 본체 점착부(62)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점착부(61∼64)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복수의 제2 본체 점착부(62)끼리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길이 방향 압착부(82)는 제2 본체 점착부(62)와 중첩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 표면 시트의 상세 구성
계속해서, 도 4에 기초하여 표면 시트(1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표면 시트(11)의 모식 단면도이다. 표면 시트(11)는 제1 층(111)과, 제2 층(112)을 갖는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11)를 1층으로 도시하지만, 상세하게는, 표면 시트(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층으로 이루어진다. 제1 층(111)은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을 구성한다. 제2 층(112)은 제1 층(111)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된다. 제1 층(111)과 제2 층(112)은 부직포이다. 제2 층(112)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은, 제1 층(111)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보다 굵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층(111)의 섬유의 직경은 1.3 dtex이고, 제2 층(112)의 섬유의 직경은 2.2 dtex이다. 보다 적합하게는, 제1 층(111)의 섬유의 직경은 0.5 dtex 이상 2.0 dtex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층(111)의 섬유의 직경이 0.5 dtex 이상임으로써, 그 섬유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층(111)의 섬유의 직경이 2.0 dtex 미만임으로써, 착용자가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부드러움을 느끼기 쉬워,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합한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제2 층의 섬유의 단위중량은, 제1 층의 섬유의 단위중량보다 높아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층(111)의 섬유의 단위중량은 7 g/㎡이고, 제2 층(112)의 섬유의 직경은 18 g/㎡이다. 표면 시트(11)는 제1 층(111)과 제2 층(112)을 개별로 형성한 후에 일체화하여도 좋고, 제1 층(111)과 제2 층(112)을 일체화한 상태로 형성하여도 좋다.
(6) 압착 영역과 비압착 영역
다음에, 압착 영역(51)과 비압착 영역(5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에 있어서 압착 영역(51)과 비압착 영역(5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압착 영역(51)과 비압착 영역(52)에 상이한 사선을 붙여 나타낸다. 후측 영역(S3)은 압착부가 배치되는 압착 영역(51)과, 압착부가 배치되지 않는 비압착 영역(52)을 갖는다. 이 압착 영역(51)에 배치되는 압착부는, 흡수 코어(31)와 표면 시트(11)를 압축한 압착부, 즉, 흡수 코어(31)와 표면 시트(11)에 마련된 압착부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 압착부(82)와 후측 압착부(84)이다.
압착 영역(51)은 길이 방향 압착부(82)와 후측 압착부(84) 중 적어도 한쪽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착 영역(51)은 길이 방향 압착부(82)가 배치되는 영역과, 그 길이 방향 압착부(82)가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압착 영역(51)은 후측 압착부(84)가 배치되는 영역과, 그 후측 압착부(84)가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비압착 영역(52)은 흡수 코어(31)와 표면 시트(11)에 마련된 압착부[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압착부(82)와 후측 압착부(84)]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이다. 비압착 영역(52)은 폭 방향(W)을 따라 흡수체(3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비압착 영역(52)은 표면 시트(11)에만 압착부가 형성된 영역이나 사이드 시트(12)에만 압착부가 형성된 영역이나 흡수 코어(31)에만 압착부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후측 영역(S3)에는 전방으로부터 압착 영역(51), 비압착 영역(52), 압착 영역(51)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후측 영역(S3)에 마련된 흡수 코어(31)의 일부는, 비압착 영역(52) 내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일부가, 비압착 영역(52) 내에 있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전후 방향(L)을 따라 비압착 영역(52)을 관통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압착 영역(52)은 적어도 하나의 저단위중량부와 적어도 하나의 고단위중량부(45)에 중첩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비압착 영역(52)은 고단위중량부(45), 제2 저단위중량부(42) 및 제3 저단위중량부(43)에 중첩되어 있다. 비압착 영역(52)에는 전후 방향(L)을 따라 제3 저단위중량부(43)와 고단위중량부(45)가 교대로 중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비압착 영역(52)에는 폭 방향(W)을 따라 제2 저단위중량부(42)와 고단위중량부(45)가 교대로 중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전후 방향(L)을 따라 비압착 영역(52)을 따라가면,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피부 대향면측(T1)과 고단위중량부(45)의 피부 대향면측(T1)을 따라가게 된다. 또한, 착용자가 폭 방향(W)을 따라 비압착 영역(52)을 따라가면,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피부 대향면측(T1)과 고단위중량부(45)의 피부 대향면측(T1)을 따라가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비압착 영역(52)의 피부 대향면측(T1)을 따라감으로써,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의 변화에 의해 흡수 코어(31)의 팽창을 느끼기 쉽다.
비압착 영역(52)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후단 영역(53)에 배치되어도 좋다. 후단 영역(5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L)을 따른 전체 길이에 대한 25%의 길이이다. 또한, 비압착 영역(52) 중 적어도 일부가 후단 영역(53)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비압착 영역(52)이 후측 영역보다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비압착 영역(52)은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비압착 영역(52) 중 적어도 일부가 가상선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비압착 영역(52)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30 ㎜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30 ㎜ 이상임으로써, 일반적인 착용자(어른)의 손가락의 제1 관절보다 선단측의 길이(15 ㎜∼25 ㎜)보다 길어진다. 따라서, 손가락의 안쪽으로 눌렀을 때에 압착부에 닿는 일 없이 부드러운 인상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착용자(어른)의 손가락의 제1 관절보다 선단측의 길이의 2배 정도임으로써, 손가락으로 따라가거나, 복수의 손가락으로 만지거나 하였을 때에도 압착부에 닿는 일 없이 부드러운 인상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비압착 영역(52)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후측 영역(S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짧아도 좋다. 비압착 영역(52)은 전후 방향(L)에 있어서 후측 영역(S3)의 점착부(60)의 후단 가장자리에 걸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는 장착 시에 점착부(60)가 배치된 영역을 속옷에 압박하여, 흡수성 물품(1)을 속옷에 고정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흡수성 물품(1)의 가랑이 영역(S1)을 손가락으로 누른 후에, 그 손가락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점착부(60)의 후단 가장자리에 이를 때까지 손으로 계속해서 누른다. 비압착 영역(52)이 전후 방향(L)에 있어서 후측 영역(S3)의 점착부(60)의 후단 가장자리를 걸치고 있음으로써, 착용자가 손가락으로 압박하는 동작을 완료할 때에 손가락이 비교적 부드러운 비압착 영역(52)에 닿기 때문에, 착용자는 착용하기 직전에 흡수성 물품(1)이 부드러운 인상을 가질 수 있어, 기대감을 높일 수 있다.
비압착 영역(52)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후단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출원인이 착용자의 장착 양태를 조사한 결과, 착용자는 장착 시에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의 근방(후단 영역)까지 손가락으로 흡수성 물품을 압박하고, 그 후단 영역에서 장착 동작을 완료하는 것을 알았다. 덧붙여, 출원인이 착용자의 장착 양태를 조사한 결과,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의 근방의 범위가,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측으로,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L)을 따른 전체 길이에 대한 25% 연장되는 범위인 것을 알았다.
비압착 영역(52)의 적어도 일부가 후단 영역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장착을 완료할 때에, 착용자가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다. 착용자는 장착하기 직전에 부드러움을 느껴, 기대감을 얻은 상태로 흡수성 물품(1)을 착용할 수 있다.
압착 영역(51)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보다 후측의 압착 영역(51)에는, 후측 압착부(84)가 마련되어 있다.
(7) 흡수성 물품의 장착 조작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흡수성 물품(1)의 장착 조작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사용 중의 흡수성 물품(1)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흡수성 물품(1)을 속옷 등에 장착할 때는, 일반적으로, 착용자는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S1)을 속옷에 고정하고, 그 후, 후측 영역(S3)을 속옷에 고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는 제1 본체 점착부(61)를 속옷의 크로치 영역에 접촉시키며, 제2 본체 점착부(62)를 크로치 영역의 후방의 속옷에 접촉시킨다. 계속해서, 착용자는 윙(3)을 속옷의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되접어 꺾어, 윙 점착부(63)를 속옷의 크로치 영역의 피부 비대향면에 접촉시킨다. 또한, 착용자는 힙 플랩 점착부(64)를 크로치 영역의 후방의 속옷에 접촉시킨다.
착용자는 이 일련의 장착 조작 시, 피부면 시트(10)에 손을 대고, 예컨대,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을 손가락으로 따라가면서 속옷에 흡수성 물품(1)을 압박하여 점착부(60)를 통해 고정한다. 예컨대, 착용자는 가랑이 영역(S1)의 피부면 시트(10)(도 6의 A 부분)를 손가락으로 누른 뒤에, 그 손가락에 의해 피부면 시트(10)를 따라가면서 손가락을 후방으로 이동시켜(도 6의 화살표 X), 후측 영역(S3)의 피부면 시트(10)(도 6의 B 부분)를 손가락으로 누른다. 또한, 착용자는 흡수성 물품(1)을 속옷에 단단히 누르기 위해, 손가락의 선단으로부터 제1 관절을 포함하는 부분으로 흡수성 물품(1)을 속옷에 압박한다. 이와 같이 장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1)이 속옷에 고정된다.
(8) 작용·효과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장착할 때는, 흡수성 물품을 손가락으로 사이에 끼우거나, 손가락으로 피부면 시트를 따라가거나 하여, 흡수성 물품을 속옷측으로 압박한다. 이 때, 손가락이 압착부에 항상 닿아 있으면, 착용자는 압착부의 경도를 항상 느껴,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부드러운 인상을 갖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의 후측 영역(S3)에는 비압착 영역(52)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전측(가랑이 영역측, 도 6의 A 부분)으로부터 후측을 따라 손가락을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도 6의 화살표 X)에, 비압착 영역(52)에 닿는다(도 6의 B 부분). 착용자는 흡수성 물품(1)의 표면을 손가락으로 따라갔을 때에, 적어도 잠시 동안, 압착부의 경도를 느끼지 않고 부드러움을 느낀다. 따라서, 착용자는 장착 전에 흡수성 물품(1)의 부드러움을 파악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1)의 착용성에 대한 기대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착용자의 손에 닿은 제1 층(111)의 섬유의 직경이 비교적 작다. 제1 층(111)의 촉감이 좋기 때문에, 착용자는 손으로 만졌을 때에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을 속옷 등에 고정하고자 압박하였을 때는, 비교적 굵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층(112)에 의해 반발력을 얻기 쉽다. 따라서, 착용자가 손가락으로 표면 시트(11) 상을 따라가면, 제2 층(112)의 반발력에 의해 표면 시트(11)의 피부 대향면이 손가락측으로 되밀려, 착용자가 손가락으로 표면 시트(11)의 피부 대향면을 계속해서 만지기 쉬워진다. 착용자는 부드러운 제1 층(111)을 계속해서 만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11)의 부드러움을 계속해서 느낄 수 있다.
또한, 흡수 코어(31)를 덮는 코어 랩(32)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티슈와 비교하여 신도가 높다. 그 때문에,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에 닿은 손가락을 슬라이드 이동하거나, 손가락으로 압박하거나 할 때에, 코어 랩(32)인 부직포가 신장하여, 착용자는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이 손에 추종하는 것 같은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으로 표면 시트(11)의 제1 층(111) 상을 따라가면, 제1 층(111)의 피부 대향면 상을 손가락이 이동한다. 이 때, 손가락이 닿은 표면에 대하여 근본에 위치하는 코어 랩(32)의 신도가 높기 때문에, 손가락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근본인 코어 랩(32)이 신장한다. 따라서, 손가락으로 표면 시트(11)의 제1 층(111) 상을 따라갈 때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제1 층(111)이 인장되어 손가락이 즉시 제1 층(111)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것 같은 감촉이나, 제1 층(111)의 섬유가 손가락에 엉겨 붙어 손가락으로부터 천천히 섬유가 떨어지는 것 같은 감촉이 된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부드러움을 점으로 느끼는 것이 아니라, 면으로 계속해서 느낄 수 있다.
착용자는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을 손가락으로 따라갔을 때에, 적어도 잠시 동안, 압착부의 경도를 느끼지 않고 부드러움을 느낀다. 착용자는 장착 전에 흡수성 물품(1)이 부드러움을 파악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1)의 착용성에 대한 기대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손가락의 감각과 둔부의 감각을 비교하면, 손가락의 감각 쪽이 예민하다. 따라서, 손가락으로 부드럽다고 느낀 감각은, 머리 속에 비교적 강한 인상으로 남기 쉽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손가락으로 부드럽다고 느낌으로써, 장착 중에 부드러운 인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착용자에 따라서는, 나이트용 생리대나 경실금 패드를 사용할 때에는, 특히 후측 영역(S3)을 확실하게 속옷에 고정하고자 한다. 흡수성 물품(1)의 후측 영역(S3)이 흡수성 물품(1)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장착 후에 속옷을 들어올렸을 때에, 흡수성 물품(1)이 말려 흡수성 물품(1)이 떨어져 버리거나, 흡수성 물품(1)이 말려 점착부끼리가 달라붙어 버리거나 한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흡수성 물품(1)의 후측 영역(S3)을 손가락으로 눌러 속옷에 고정하고자 한다. 흡수성 물품(1)의 후측 영역(T3)에 비압착 영역(52)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확실하게 후측 영역(S3)을 고정하고자 할 때에, 착용자는 흡수성 물품(1)의 부드러움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비압착 영역(52)의 적어도 일부는, 후측 영역(S3)의 제2 본체 점착부(62)에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는 속옷에 후측 영역(S3)을 확실하게 고정할 때에, 후측 영역(S3)의 제2 본체 점착부(62)를 속옷에 압박하고자 한다. 따라서, 제2 본체 점착부(62)와 비압착 영역(52)이 중첩되어 있음으로써, 착용자가 제2 본체 점착부(62)를 통해 후측 영역(S3)을 고정하고자 할 때에, 손가락이 비압착 영역(52)에 닿기 쉽다. 착용자는 장착 조작 시에 흡수성 물품(1)의 부드러움을 파악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1)에 대한 기대를 높일 수 있다.
비압착 영역(52)은, 저단위중량부 및 고단위중량부(45)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착용자가 비압착 영역(52)의 피부 대향면을 따라갔을 때에 고단위중량부(45)와 저단위중량부의 양쪽의 피부 대향면측(T1)을 따라갈 수 있어, 단위중량의 변화에 의해 흡수 코어(31)의 팽창을 느끼기 쉬워진다.
폭 저단위중량부로서의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도 좋다. 착용자가 장착 시에 전후 방향을 따라 손가락을 움직임으로써, 복수의 제3 저단위중량부 상을 따라갈 수 있다. 착용자는 장착 조작 시에 저단위중량부와 고단위중량부(45)에 교대로 닿아, 요철에 의해 흡수 코어(31)의 팽창을 실감하기 쉬워진다.
전후 저단위중량부로서의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비압착 영역(52)에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가이드가 되어, 착용자는 가랑이 영역(S1)을 압박한 손을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쉬워진다. 착용자는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비압착 영역(52)에 닿아, 흡수성 물품(1)의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다.
비압착 영역(52)은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착용자는 힙 플랩(4)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후측 영역(S3)에서 가장 팽창되어 있는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를 확실하게 고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나, 그 최대폭의 위치(P1)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을 손가락으로 압박한다.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비압착 영역(52)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비압착 영역(52)에 닿기 쉬워져, 착용자가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다.
압착 영역(51)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착용자는 힙 플랩(4)의 최대폭의 위치(P1)로부터 폭 방향(4)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의 비압착 영역(52)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부드러움을 느낀다. 그리고, 착용자가 그 비압착 영역(52)보다 후방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킴으로써, 압착부에 닿아, 흡수성 물품(1)의 경도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착용자는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의 경도의 변화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흡수성 물품(1)의 장착감에 대한 기대감을 얻으며,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에 이를 때까지 속옷에 확실하게 고정되었다고 하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제1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은 2.0 dtex 미만이어도 좋다. 본 출원인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착용자는 2.0 dtex 미만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부직포가 손가락에 추종하는 감촉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제1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은 2.0 dtex 미만임으로써, 착용자가 표면 시트(11)의 부드러움을 보다 느끼기 쉬워진다.
제1 코어 랩(321)의 외측 가장자리(321E)는, 흡수 코어(31)의 피부 비대향면측(T2) 또는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코어 랩(321)의 외측 가장자리(321E)는, 흡수 코어(31)의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되지 않아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에 코어 랩(32)의 외측 가장자리에 의한 단차를 형성하지 않고,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을 평활한 상태로 유지하기 쉽다. 착용자는 표면 시트(11) 상을 만졌을 때에 코어 랩(32)의 유무에 의한 단차를 느끼기 어려워, 매끄럽고 피부에 편안한 이미지를 얻기 쉬워진다.
흡수 코어(31)는 부분적으로 압축되어 있지 않고, 흡수 재료의 밀도가 일정하여도 좋다. 압축에 의해 딱딱해진 부분이 흡수 코어(31)에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흡수 코어(31)가 배치된 영역 전체가 부드러워진다. 착용자는 흡수 코어(31)의 부드러움을 느끼기 쉬워, 장착감에 대한 기대감을 얻기 쉽다.
흡수 코어(31)는 단위중량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가지고, 그 단위중량이 상이한 영역은, 단계적으로 단위중량이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영역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단위중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된다. 착용자는 손가락으로 따라갔을 때에 흡수 코어(31)의 요철에 의해 팽창을 느끼기 쉽다. 또한, 흡수 코어(31)는 단위중량이 변화하는 경계를 기점으로 변형되기 쉬워, 장착 시에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유연하게 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 코어(31)가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때문에, 장착감이 향상된다.
(9) 비교 평가
계속해서, 본원 발명에 따른 표면 시트의 부직포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실시예)와,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부직포(비교예)를 비교 평가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비교 평가의 실험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해서, 부직포의 조활감을 평가하기 위해 부직포의 표면 마찰이나 거칠기에 대한 표면 특성을 조사하며, 부직포의 경연감을 평가하기 위해 부직포의 두께 방향의 압축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와 비교예에 따른 부직포는, 섬유 직경이 상이하다. 실시예의 부직포는 제1 층의 섬유 직경이 제2 층보다 가늘다. 비교예의 부직포는 제1 층의 섬유 직경이 제2 층보다 굵다.
표면 특성의 시험에 대해서는, 카토테크(주) 제조의 자동화 표면 시험기 KES-FB4 AUTO-A를 이용하여, 각 샘플의 100 ㎜×100 ㎜의 범위를, 0.5 ㎜ 직경의 피아노줄로 감긴 10 ㎜×10 ㎜의 단자에 25 g의 하중을 걸고, 1.0 ㎜/sec의 속도로 미끄러뜨림으로써 표면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에 따라, 평균 마찰 계수(MIU), 그 표준 편차(MMD), 표면 거칠기의 평균 편차(SMD)[㎛]를 구하였다. 비교 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MMD는 표면의 까슬함의 지표가 되고, 값이 클수록 거슬거슬한 것을 나타낸다. SMD는 표면의 거칠기의 지표가 되어, 값이 클수록 요철인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55311064-pct00001
MMD의 값이 실시예 쪽이 비교예보다 작기 때문에, 표면이 까슬함이 우수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SMD의 값이 실시예 쪽이 비교예보다 분명히 작기 때문에, 부직포 표면의 요철이 적다. 따라서 표면이 보다 거칠지 않은 것이 나타나 있다. 요철이 없음으로써, 손가락에 면으로 계속해서 닿기 쉬워지고, 또한 까슬까슬하지 않음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느낄 수 있다.
본 측정은 제품 길이 방향에 대한 평가 결과이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1 층째의 섬유 직경이 가늚으로써, 까슬까슬하지 않고, 거칠지 않다. 즉, 표면이 매끄럽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을 만져 고정해 가는 공정에 있어서, 길이 방향(MD 방향)으로 제품을 손가락으로 따라가 고정해 감으로써 표면이 매끄럽게 마무리되어 있는 것이 증명되어 있다.
계속해서, 흡수성 물품의 장착 시의 촉감과 사용 중의 비틀림 및 편안함의 비교 평가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 2는 비교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 평가의 시험에서는, 실시예 1 및 2의 흡수성 물품과, 비교예 1∼5의 흡수성 물품을 비교하여, 장착 시의 촉감, 사용 중의 비틀림 및 사용 중의 표면의 편안함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흡수성 물품과, 비교예 1∼4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의 제1 층 및 제2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이 상이하지만, 그 외의 구성이 동일하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구성의 차이는,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흡수성 물품과, 비교예 5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 코어의 형상 및 표면 시트의 제1 층 및 제2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이 상이하지만, 그 외의 구성이 동일하다. 비교예 5의 흡수성 물품은, 후측 영역에 저단위중량부와 고단위중량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후측 영역의 단위중량이 일정하다.
Figure 112018055311064-pct00002
비교 평가의 시험은 생리대를 사용하고 있는 여성 100명이 실시하였다. 평가 시험에서는, 실시자에게, 대상이 되는 샘플을 만지게 하며, 밤새 사용하게 하여, 이하의 질문을 하였다.
질문 1「평소 사용하고 있는 생리대와 비교하여, 촉감이 소프트합니까?」. 상기 질문 1에 대하여 「촉감이 편안하다, 촉감이 부드럽다, 폭신폭신해서 기분 좋다」라고 대답한 인수의 비율이 70% 이상인 샘플을 관능 평가가 양호하며, ○로 평가하였다. 또한, 질문 1에 대하여 「촉감이 편안하다, 촉감이 부드럽다, 폭신폭신해서 기분 좋다」라고 대답한 인수의 비율이 70% 미만인 샘플을 관능 평가가 양호하지 않으며, ×로 평가하였다.
질문 2「평소 사용하고 있는 생리대와 비교하여, 장착 중에 비틀리는 일은 없었는가(형태 붕괴되는 일은 없었는가)」. 상기 질문 2에 대한 대답이, 「비틀리지 않았다」 또는 「안심하고 쓸 수 있었다」라고 대답한 인수의 비율이 70% 이상인 샘플을 관능 평가가 양호하며, ○로 평가하였다. 또한, 질문 2에 대하여 「비틀리지 않았다」 또는 「안심하고 쓸 수 있었다」라고 대답한 인수의 비율이 70% 미만인 샘플을 관능 평가가 양호하지 않으며, ×로 평가하였다.
질문 3「평소 사용하고 있는 생리대와 비교해서, 장착 중의 착용감은 좋은가」. 상기 질문 3에 대하여 「사용감이 좋았다」 또는 「피트하여 편안하다」라고 대답한 인수의 비율이 70% 이상인 샘플을 관능 평가가 양호하며, ○로 평가하였다. 또한, 질문 3에 대하여 「사용감이 좋았다」 또는 「피트하여 편안하다」라고 대답한 인수의 비율이 70% 미만인 샘플을 관능 평가가 양호하지 않으며, ×로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에 의해, 제1 층의 섬유 직경이 2.0 dtex 이하이고, 또한 제2 층의 섬유 직경이 1층째의 섬유 직경보다 굵은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층의 섬유 직경이 2.0 dtex 이하, 또한 제2 층의 섬유 직경이 1층째의 섬유 직경보다 굵음으로써, 장착 시의 촉감과 사용 중의 편안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본원 발명의 흡수체(30)의 형상에 따르면, 사용 중에 비틀리지 않는 것을 알았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조금도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또한, 2015년 11월 9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5-219170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착용자가 장착 전에 흡수성 물품의 부드러움을 파악하여,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의 착용성에 대한 기대감을 얻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
10: 피부면 시트
11: 표면 시트
111: 제1 층
112: 제2 층
12: 사이드 시트
15: 플랩 시트
20: 비피부면 시트
30: 흡수체
31: 흡수 코어
32: 코어 랩
321: 제1 코어 랩
322: 제2 코어 랩
41: 제1 저단위중량부
42: 제2 저단위중량부
43: 제3 저단위중량부
45: 고단위중량부
61: 제1 본체 점착부
62: 제2 본체 점착부
63: 윙 점착부
64: 힙 플랩 점착부
81: 전측 압착부
82: 길이 방향 압착부
84: 후측 압착부
L: 전후 방향
W: 폭 방향
T: 두께 방향
S1: 가랑이 영역
S2: 전측 영역
S3: 후측 영역
CL: 중심선

Claims (9)

  1.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표면 시트와,
    속옷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 재료를 갖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를 덮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을 가지고,
    상기 표면 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층보다 직경이 굵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층을 가지고,
    상기 후측 영역은 압착부가 배치되는 압착 영역과, 상기 압착부가 배치되지 않는 비압착 영역을 가지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흡수 코어와 상기 표면 시트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비압착 영역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후측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는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단위중량이 높은 고단위중량부를 가지고,
    상기 후측 영역에는, 전방으로부터 상기 압착 영역, 상기 비압착 영역, 상기 압착 영역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비압착 영역에서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고단위중량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압착 영역보다 후측에 배치된 상기 압착 영역에는, 상기 저단위중량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인 흡수성 물품.
  3.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표면 시트와,
    속옷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계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 재료를 갖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를 덮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을 가지고,
    상기 표면 시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층보다 직경이 굵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제2 층을 가지고,
    상기 후측 영역은 압착부가 배치되는 압착 영역과, 상기 압착부가 배치되지 않는 비압착 영역을 가지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흡수 코어와 상기 표면 시트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비압착 영역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후측 영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힙 플랩을 가지고,
    상기 비압착 영역은 상기 힙 플랩의 최대폭의 위치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힙 플랩의 최대폭의 위치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후측 영역의 중앙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압착 영역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힙 플랩의 최대폭의 위치보다 후측에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는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단위중량이 높은 고단위중량부를 가지고,
    상기 비압착 영역은 상기 저단위중량부 및 상기 고단위중량부에 중첩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저단위중량부를 가지고,
    상기 폭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후 저단위중량부를 가지고,
    상기 전후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비압착 영역에 중첩되어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압착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길이는 30 ㎜ 이상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은 2.0 dtex 미만인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랩의 폭 방향 중앙은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 랩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코어 랩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 대향면측 또는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87016004A 2015-11-09 2016-08-19 흡수성 물품 KR101964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19170A JP6411309B2 (ja) 2015-11-09 2015-11-09 吸収性物品
JPJP-P-2015-219170 2015-11-09
PCT/JP2016/074269 WO2017081902A1 (ja) 2015-11-09 2016-08-1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842A KR20180084842A (ko) 2018-07-25
KR101964977B1 true KR101964977B1 (ko) 2019-04-01

Family

ID=5869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004A KR101964977B1 (ko) 2015-11-09 2016-08-1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11309B2 (ko)
KR (1) KR101964977B1 (ko)
CN (1) CN108348384B (ko)
TW (1) TWI703967B (ko)
WO (1) WO20170819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0677B2 (ja) * 2017-12-28 2019-10-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112566595B (zh) * 2018-08-14 2022-04-29 尤妮佳股份有限公司 一次性尿布
JP7125310B2 (ja) * 2018-09-04 2022-08-24 花王株式会社 パッド型吸収性物品
JP7055115B2 (ja) * 2019-06-20 2022-04-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1083542A (ja) * 2019-11-26 2021-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353999B2 (ja) * 2020-01-31 2023-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3277013A1 (ja) * 2021-06-30 2023-01-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1777A (ja) 2008-04-28 2009-11-12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2239722A (ja) 2011-05-20 2012-12-10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4128551A (ja) 2012-11-29 2014-07-10 Kao Corp 吸収性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3996B2 (ja) * 2000-12-01 2007-12-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4911830B2 (ja) * 2001-04-04 2012-04-04 ピジョン株式会社 吸収性製品
KR100899045B1 (ko) 2004-11-30 2009-05-25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흡수용품
JP4961242B2 (ja) * 2007-03-30 2012-06-2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49361B2 (ja) * 2010-08-02 2015-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39737B2 (ja) * 2011-03-02 2016-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41008B2 (ja) * 2012-07-19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707135B2 (en) * 2013-03-15 2017-07-18 Advanced Absorbent Technologies, Ll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5992381B2 (ja) * 2013-09-04 2016-09-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80262B2 (ja) * 2013-11-20 2017-02-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204274813U (zh) * 2014-11-07 2015-04-22 重庆百亚卫生用品有限公司 高分子呈线形分布的吸收芯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1777A (ja) 2008-04-28 2009-11-12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2239722A (ja) 2011-05-20 2012-12-10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4128551A (ja) 2012-11-29 2014-07-10 Kao Corp 吸収性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03967B (zh) 2020-09-11
CN108348384A (zh) 2018-07-31
TW201722380A (zh) 2017-07-01
KR20180084842A (ko) 2018-07-25
JP6411309B2 (ja) 2018-10-24
JP2017086388A (ja) 2017-05-25
WO2017081902A1 (ja) 2017-05-18
CN108348384B (zh) 202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977B1 (ko) 흡수성 물품
JP6080263B2 (ja) 吸収性物品
KR20130137621A (ko)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KR102508046B1 (ko) 흡수성 물품
JP6190861B2 (ja) 吸収性物品
JP6352235B2 (ja) 吸収性物品
JP6420779B2 (ja) 吸収性物品
JP6373216B2 (ja) 吸収性物品
WO2019171934A1 (ja) 吸収性物品
JP2016187474A (ja) 吸収性物品
JP6147842B1 (ja) 吸収性物品
JP2017209521A (ja) 吸収性物品
EP1693029A1 (en) Inter-labium pad
JP6080935B1 (ja) 吸収性物品
JP7445430B2 (ja) 吸収性物品本体及び吸収性物品
WO2018029785A1 (ja) 吸収性物品
JP2017060781A (ja) 吸収性物品
JP4061148B2 (ja) 吸収性物品
WO2024090438A1 (ja) 吸収性物品
WO2024090437A1 (ja) 吸収性物品
JP7390970B2 (ja) 吸収性物品
WO2016052007A1 (ja) 吸収性物品
JP7378926B2 (ja) 体液吸収用当て材
JP7385359B2 (ja) 吸収性物品
JP2022175144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