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094B1 - 굴삭기 작업구 - Google Patents

굴삭기 작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094B1
KR101142094B1 KR1020090127594A KR20090127594A KR101142094B1 KR 101142094 B1 KR101142094 B1 KR 101142094B1 KR 1020090127594 A KR1020090127594 A KR 1020090127594A KR 20090127594 A KR20090127594 A KR 20090127594A KR 101142094 B1 KR101142094 B1 KR 10114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excavator
connecting shaft
spring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953A (ko
Inventor
곽동석
Original Assignee
곽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석 filed Critical 곽동석
Priority to KR1020090127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0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14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 B66C3/16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by fluid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작업구에 관한 것으로,
상측부에 굴삭기 연결핀공과, 하측부 외측에 모터와, 중심부에 센터 조인트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모터에 연결된 피니언과;
상기 센터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과 교합된 외접 스윙기어와;
상기 외접 스윙기어의 저면에 장착되어 하부 연결축이 스프링으로 탄착된 상태에서 체인으로 연결된 상부 연결축과;
상기 하부 연결축의 중심부에 장착된 좌,우측 링크와;
상기 좌,우측 링크에 축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장착된 집게와;
상기 좌,우측 링크 사이에 압축 스프링으로 탄착된 상태로 장착된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에 연결된 유압관로의 유입관과 배출관 사이에 스프링으로 탄착된 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접 스윙기어를 중심으로 상부 연결축과 하부 연결축 및 집게가 360 도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압축 스프링으로 탄착된 집게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집게로 물체를 집어 옮기는 작업을 할 때,
집게를 벌릴 경우에만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켜 집게가 벌어지게 하고, 집게 를 오므릴 경우에는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자동으로 집게가 오므려지게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굴삭기 작업구

Description

굴삭기 작업구{Excavator Tool}
본 발명은 굴삭기에 장착하여 집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 작업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굴삭기를 이용하여 물체를 집어 옮기는 작업을 할 때,
물체를 집고 놓을 때마다 실린더를 일일이 작동시켜 집게를 작동시켰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매우 느려져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굴삭기 작업구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굴삭기를 이용한 집게 작업시, 집게를 작동시킬 때마다 실린더를 일일이 작동시키지 않고도, 집게 작업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부에 굴삭기 연결핀공과, 하측부 외측에 모터와, 중심부에 센터 조인트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모터에 연결된 피니언과;
상기 센터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과 교합된 외접 스윙기어와;
상기 외접 스윙기어의 저면에 장착되어 하부 연결축이 스프링으로 탄착된 상태에서 체인으로 연결된 상부 연결축과;
상기 하부 연결축의 중심부에 장착된 좌,우측 링크와;
상기 좌,우측 링크에 축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장착된 집게와;
상기 좌,우측 링크 사이에 압축 스프링으로 탄착된 상태로 장착된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에 연결된 유압관로의 유입관과 배출관 사이에 스프링으로 탄착된 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접 스윙기어를 중심으로 상부 연결축과 하부 연결축 및 집게가 360 도 회 전 가능한 상태에서 압축 스프링으로 탄착된 집게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집게로 물체를 집어 옮기는 작업을 할 때,
집게를 벌릴 경우에만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켜 집게가 벌어지게 하고, 집게를 오므릴 경우에는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자동으로 집게가 오므려지게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굴삭기 작업구는 외접 스윙기어를 중심으로 상부 연결축과 하부 연결축 및 집게가 360 도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압축 스프링으로 탄착된 집게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집게로 물체를 집어 옮기는 작업을 할 때,
집게를 벌릴 경우에만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켜 집게가 벌어지게 하고, 집게를 오므릴 경우에는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자동으로 집게가 오므려지게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 작업구의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 는 동 후측부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3 은 동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굴삭기 작업구는,
프레임(1)의 상측부에 굴삭기 연결핀공(3)(3')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부 외측에 모터(5)와, 중심부에 센터 조인트(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5)에는 피니언(9)이 연결되고,
상기 센터 조인트(7)에는 외접 스윙기어(11)가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9)과 교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접 스윙기어(11)의 저면에는 상부 연결축(13)과 하부 연결축(17)이 스프링(19)으로 탄착된 상태에서 체인(22)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연결축(17)의 중심축(25)에는 좌,우측 링크(27)(27')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링크(27)(27')의 단부에 장착된 링크축(29)(29')에는 집게(31)(31')가 축(33)을 중심으로 서로 교차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링크축(29)(29') 사이 전방에는 유압 실린더(34)가 장 착되어 있고, 후측에는 압축 스프링(35)이 탄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 실린더(34)에 연결된 유압관로(37)의 유입관(38)과 배출관(39) 사이에는 스프링(40)으로 탄착된 밸브(41)가 장착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43 은 굴삭기로 집어 옮기기 위한 물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굴삭기 작업구는,
굴삭기를 이용하여 물체를 집어 옮기고자 할 경우,
먼저, 굴삭기의 붐 하단부에 장착된 연결축에 연결핀공(3)(3')을 삽입하여 프레임(1)을 연결시킨 뒤,
모터(5)를 작동시켜 피니언(9)을 구동시키면, 피니언(9)에 교합된 외접 스윙기어(11)가 회전하면서 저면에 장착된 상부 연결축(13)과 하부 연결축(17)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하부 연결축(17)의 중심축(25)에 장착된 좌,우측 링크(27)(27')와, 이 좌,우측 링크(27)(27')의 링크축(29)(29')에 축(33)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장착된 집게(31)(31')가 360도 회전됨으로써,
작업 범위가 최소화되어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굴삭기 작업구는 집게(31)(31')로 물체(43)를 집기 위해서는,
먼저 도 1 에서와 같이, 유입관(38)으로 유압을 보내면, 유압에 의해 밸브(41)가 우측으로 열려 유압 실린더(34)가 작동되면서 축(33)을 중심으로 집게(31)(31')가 벌어져 집게(31)(31') 사이에 있는 물체(43)를 집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유압을 차단시키면, 도 3 에서와 같이, 스프링(40)에 의해 밸브(4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유압이 배출관(39)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압축 스프링(35)의 압축력에 의하여 양 집게(31)(31')가 자동으로 오므려지면서 양 집게(31)(31')가 물체(43)와 접촉하여 물체(43)를 단단히 집어 옮길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물체(43)를 집어 옮긴 뒤, 다시 유압 실린더(34)를 작동시켜, 양 집게(31)(31')를 벌려 물체(43)에서 집게(31)(31')를 분리시킨 뒤, 다시 작업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 연결축(13)과 하부 연결축(17) 사이에 체인(22)이 스프링(19)으로 탄착되어 연결됨으로써,
물체(43)를 집어 옮길 때, 체인(22)이 유동되는 것을 스프링(19)으로 일정한 범위에서 제한시켜, 집게(31)(31')를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지게(31)(31')와 물체(43)에 작용하는 부하를 스프링(19)에 의하여 완충시켜 지게(31(31')와 물체(4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굴삭기 작업구에 의하면,
외접 스윙기어(11)를 중심으로 상부 연결축(13)과 하부 연결축(17) 및 집게(31)(31')가 360 도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압축 스프링(35)으로 탄착된 집게(31)(31')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집게(31)(31')로 물체(43)를 집어 옮기는 작업을 할 때,
집게(31)(31')를 벌릴 경우에만 유압 실린더(34)를 작동시켜 집게(31)(31')가 벌어지게 하고, 집게(31)(31')를 오므릴 경우에는 압축 스프링(35)의 압축력에 의하여 집게(31)(31')가 자동으로 오므려지게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예가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 작업구의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 는 동 후측부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3 은 동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3, 3' : 굴삭기 연결핀공
5 : 모터
7 : 센터 조인트
9 : 피니언
11 : 외접 스윙기어
13 : 상부 연결축
17 : 하부 연결축
19 : 스프링
22 : 체인
25 : 중심축
27, 27' : 링크
29, 29' : 링크축
31, 31' : 집게
33 : 축
34 : 유압 실린더
35 : 압축 스프링
37 : 유압관로
38 : 유입관
39 : 배출관
40 : 스프링
41 : 밸브
43 : 물체

Claims (1)

  1. 상측부에 굴삭기 연결핀공과, 하측부 외측에 모터와, 중심부에 센터 조인트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모터에 연결된 피니언과;
    상기 센터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과 교합된 외접 스윙기어와;
    상기 외접 스윙기어의 저면에 장착되어 하부 연결축이 스프링으로 탄착된 상태에서 체인으로 연결된 상부 연결축과;
    상기 하부 연결축의 중심부에 장착된 좌,우측 링크와;
    상기 좌,우측 링크에 축을 중심으로 교차되게 장착된 집게와;
    상기 좌,우측 링크 사이에 압축 스프링으로 탄착된 상태로 장착된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에 연결된 유압관로의 유입관과 배출관 사이에 스프링으로 탄착된 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작업구.
KR1020090127594A 2009-12-19 2009-12-19 굴삭기 작업구 KR10114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594A KR101142094B1 (ko) 2009-12-19 2009-12-19 굴삭기 작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594A KR101142094B1 (ko) 2009-12-19 2009-12-19 굴삭기 작업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953A KR20110070953A (ko) 2011-06-27
KR101142094B1 true KR101142094B1 (ko) 2012-05-04

Family

ID=4440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594A KR101142094B1 (ko) 2009-12-19 2009-12-19 굴삭기 작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0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4683A (zh) * 2012-09-21 2013-01-16 葫芦岛天力工业有限公司 一种电动旋转起重吊钩
CN104555719A (zh) * 2015-02-03 2015-04-29 大连滨海起重机吊具有限公司 一种新型的起重机用电动旋转吊钩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9181B (zh) * 2020-12-22 2022-07-26 深圳市华胜建设集团有限公司 城市防洪预警辅助排水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12Y1 (ko) 2002-02-26 2002-05-30 김명구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0609494B1 (ko) 2005-05-24 2006-08-08 임영주 집게를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어셈블리
KR20090002633U (ko) * 2007-09-12 2009-03-17 황규관 굴삭기용 경계석 집게장치
KR20090027364A (ko) * 2007-09-12 2009-03-17 황규관 굴삭기용 반자동 회전식 집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12Y1 (ko) 2002-02-26 2002-05-30 김명구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0609494B1 (ko) 2005-05-24 2006-08-08 임영주 집게를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어셈블리
KR20090002633U (ko) * 2007-09-12 2009-03-17 황규관 굴삭기용 경계석 집게장치
KR20090027364A (ko) * 2007-09-12 2009-03-17 황규관 굴삭기용 반자동 회전식 집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4683A (zh) * 2012-09-21 2013-01-16 葫芦岛天力工业有限公司 一种电动旋转起重吊钩
CN102874683B (zh) * 2012-09-21 2016-01-13 葫芦岛天力工业有限公司 一种电动旋转起重吊钩
CN104555719A (zh) * 2015-02-03 2015-04-29 大连滨海起重机吊具有限公司 一种新型的起重机用电动旋转吊钩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953A (ko) 201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137B1 (ko) 굴삭기 작업구
US7473067B2 (en) Attachment coupler
KR101142094B1 (ko) 굴삭기 작업구
KR200469088Y1 (ko) 굴삭기용 집게발
CN204626483U (zh) 一种全回转液压抓斗
JP2015175137A (ja) フォークとフォーク用油圧回路
KR100669209B1 (ko)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JP2007262778A (ja) 作業機械の配管接続装置
KR100528564B1 (ko) 굴삭기용 작업집게
EP2494139A1 (en) Elevator connector device
CN205876833U (zh) 一种液压转盘及动力钳用反力矩缓释装置
KR200460628Y1 (ko) 굴삭기의 집게부
US8469652B2 (en) Gripping device of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with the same
US2566999A (en) Impact tong and spinner
CN210195714U (zh) 一种往复式泵上泄油器
CN206770748U (zh) 一种两级开启选择阀
KR101142093B1 (ko) 굴삭기 작업구
CN213773531U (zh) 一种挖掘机用快换接头
JP2005247443A (ja) 建設機械用アタッチメントの作動シリンダ連結装置
KR200398647Y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0377334Y1 (ko)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KR20050080182A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1331247B1 (ko) 회전집게장치
KR200208160Y1 (ko) 크레인그래브의 집게 작동용 유압실린더
JP5020891B2 (ja) 把持装置及び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