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247B1 - 회전집게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집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1247B1 KR101331247B1 KR1020120011402A KR20120011402A KR101331247B1 KR 101331247 B1 KR101331247 B1 KR 101331247B1 KR 1020120011402 A KR1020120011402 A KR 1020120011402A KR 20120011402 A KR20120011402 A KR 20120011402A KR 101331247 B1 KR101331247 B1 KR 1013312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support part
- rod member
- cylinder unit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2—Hydraulic transmit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14—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 B66C3/16—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by fluid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을 픽업(pick-up)하는 집게의 구동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집게장치는 작업차량의 붐에 고정되는 상측지지부와, 상기 상측지지부의 하부에 상측지지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상측지지부에 대하여 하측지지부가 회전하도록 하측지지부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상측지지부에 마련된 제1 브라켓에 고정되며 작동유의 유입에 의해 하단이 상하로 승강 또는 하강하는 실린더유닛과, 상기 하측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브라켓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해 하단이 상호 벌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동하여 작업대상물을 파지하는 제1, 제2 클램핑부재와,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의 구동이 상기 실린더유닛에 연동되도록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가 상기 제2 브라켓에 연결되는 연결부로부터 소정거리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실린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잇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제2 연결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링크연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집게장치는 작업차량의 붐에 고정되는 상측지지부와, 상기 상측지지부의 하부에 상측지지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상측지지부에 대하여 하측지지부가 회전하도록 하측지지부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상측지지부에 마련된 제1 브라켓에 고정되며 작동유의 유입에 의해 하단이 상하로 승강 또는 하강하는 실린더유닛과, 상기 하측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브라켓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해 하단이 상호 벌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동하여 작업대상물을 파지하는 제1, 제2 클램핑부재와,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의 구동이 상기 실린더유닛에 연동되도록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가 상기 제2 브라켓에 연결되는 연결부로부터 소정거리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실린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잇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제2 연결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링크연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픽업(pick-up)하는 집게의 구동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작업이나 석축작업 및 철거작업 등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작업대상물을 운반하는 작업들은 인력으로 진행할 경우 많은 인력이 요구되며 작업 효율성이 낮기 때문에 회전집게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다.
이러한 회전집게는 굴삭기의 붐과, 커플링에 굴삭용 버켓 대신 장착되며, 한 쌍의 집게를 포함하여 집게를 통해 상기 작업대상물을 파지하고 운반한다.
종래 조경작업이나 석축작업 및 철거작업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집게장치의 선행기술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277112호와, 특허출원 제10-2003-0083396호, 제10-2004-0069271호 등이 있다.
이러한 회전집게는 통상적으로 굴삭기의 붐과 커플링에 장착되는 링크브라켓이 구비되고, 그 하측부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한쌍의 집게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집게의 회전을 통해 작업대상물을 파지하거나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집게의 회전 구동은 각각의 집게를 구동시키는 별도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집게장치는 상기 집게들을 회전시키는 각각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기 때문에 각각의 유압실린더의 행정거리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일측의 집게는 온전히 회전하여 설정위치에 도달하는 반면 타측의 집게가 설정위치에 정확하게 도달하지 못하여 작업대상물을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집게장치에 상기 집게를 구동하기 위한 두 개의 유압실린더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는 유압라인이 복잡하게 연결되어야 하고, 특히 집게장치를 회전 가능한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유압라인들이 상호 얽히거나 꼬이지 않도록 유압라인을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면 별도의 스위블조인트를 설치해야 하는 등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작업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클램핑부재의 회전 구동이 링크연결을 통해 하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집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핑부재의 회전 구동을 위해 승하강되는 구동액추에이터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회전집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집게장치는 작업차량의 붐에 고정되는 상측지지부와, 상기 상측지지부의 하부에 상측지지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상측지지부에 대하여 하측지지부가 회전하도록 하측지지부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상측지지부에 마련된 제1 브라켓에 고정되며 작동유의 유입에 의해 하단이 상하로 승강 또는 하강하는 실린더유닛과, 상기 하측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브라켓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해 하단이 상호 벌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동하여 작업대상물을 파지하는 제1, 제2 클램핑부재와,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의 구동이 상기 실린더유닛에 연동되도록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가 상기 제2 브라켓에 연결되는 연결부로부터 소정거리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실린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잇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제2 연결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링크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상측지지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제2 로드부재와, 상기 제2 로드부재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과, 상기 제2 로드부재의 하부 및 피스톤을 감싸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하우징은 내부공간이 상기 피스톤을 중심으로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작동유의 유출입이 상호 차단되도록 구획되고, 상기 제2 로드부재는 내부에 제2 포트를 통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2 공급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하우징의 상부공간과 상기 제2 공급홀을 연통하여 작동유의 유출입이 가능한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포트를 통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공급관이 상기 제2 공급홀을 통과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공급관과 연통되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상기 승강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과 하부공간을 연통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하우징이 상기 피스톤 및 제2 로드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과 제2 로드부재는 모두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승강하우징도 상기 제2 로드부재 및 피스톤과 접촉하는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지지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이 고정원판으로부터 두 개가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제2 로드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두 개의 제1 브라켓에 각각 고정된 제1 로드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로드부재는 상기 제2 로드부재의 제2 공급홀과 연통되고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포트와 제2 공급홀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제1 공급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포트가 형성된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제2 포트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승강하우징의 내주면 상단 또는 하단과 상기 피스톤의 상면 또는 하면 사이에서의 접촉시 상기 승강하우징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의 상부와 하부 또는 상기 승강하우징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스러스트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상측에 상하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핀이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집게장치는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링크 연결을 통해 양측 클램핑부재가 동시에 회전하므로 작동 오류의 발생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복잡한 유압라인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유압라인의 누유, 유압라인의 관리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집게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전집게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회전집게장치의 실린더유닛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클램핑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클램핑부재가 파지대상물을 파지하도록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승강하우징의 내부에 베어링부가 더 구비된 실린더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승강하우징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실린더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집게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회전집게장치의 실린더유닛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클램핑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클램핑부재가 파지대상물을 파지하도록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승강하우징의 내부에 베어링부가 더 구비된 실린더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승강하우징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실린더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집게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집게장치(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집게장치(100)는 작업차량(미도시)의 붐에 지지되는 지지유닛과, 지지유닛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유닛(120)과,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와,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와 실린더유닛(120)을 연결하는 링크연결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붐에 고정되는 브라켓이 마련되어 있는 상측지지부(111)와, 스윙기어(10)에 의해 상측지지부(1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지지부(115)를 포함하는데, 상측지지부(111)에 설치된 상기 제1 브라켓(112)은 두 개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고, 지지봉(113)이 두 개의 제1 브라켓(112)을 상호 연결한다. 상기 지지봉(113)에 붐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클램퍼가 체결되어 상측지지부(111)가 붐에 고정된다. 제1 브라켓(112)의 하단에는 고정원판(114)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지지부(115)는 상기 상측지지부(11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데, 상기 고정원판(114)의 하부에 하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회전원판(116)과, 상기 회전원판(116)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브라켓(117)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고정원판(114)과 회전원판(116)의 사이에는 하측지지부(115)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로서 스윙기어(10)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스윙기어(10)는 회전원판(116)과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유닛을 감싸는 커버(30)에 유압모터(20)가 설치되고, 이 유압모터(20)의 구동축에 스윙기어(10)와 치합되는 구동기어가 설치되어 유압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스윙기어(10)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측지지부(115)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실린더유닛(120)은 상기 상측지지부(111)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실린더유닛(120)은 상기 제1 브라켓(112)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제1 로드부재(121)와, 제1 로드부재(1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로드부재(126)와, 제2 로드부재(126)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131)과, 상기 피스톤(131) 및 제2 로드부재(126)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로드부재(126)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하우징(141)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로드부재(121)는 상술한 것처럼 양 단이 상기 제1 브라켓(112)에 고정되어 있으며, 양 단부가 제1 브라켓(112)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노출된 양 단부에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제1, 제2 포트(122,1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포트(123)는 제1 로드부재(12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공급홀(124)과 연결되어 있고, 제1 포트(122)는 제1 로드부재(121)의 내부를 관통해 연장되는 공급관(125)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로드부재(126)는 제1 로드부재(121)의 중앙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는 제2 공급홀(1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2 공급홀(127)은 상기 제1 공급홀(124)과 연통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급관(125)은 제2 공급홀(127)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제2 공급홀(127)의 내경이 공급관(125)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제2 공급홀(127)의 내주면과 공급관(125)의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로드부재(126)의 하부에는 상기 제2 공급홀(127)과 연통되는 연통홀(1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31)은 제2 로드부재(126)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데, 후술하는 승강하우징(14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실링을 위한 피스톤링(1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승강하우징(141)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부공간(142)과 하부공간(144) 사이에서 작동유의 이동을 차단한다. 피스톤(131)에는 상기 공급관(125)과 연결되어 공급관(125)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피스톤(131) 하부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홀(133)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3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하우징(141)은 상술한 것처럼 상기 피스톤(131)을 감싸도록 형성되는데, 피스톤(13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폐쇄되어 있으며 상단은 상기 제2 로드부재(126)의 외경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하우징(141)은 작동유의 유출입에 의해 상기 제2 로드부재(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포트(122)를 통해 작동유가 유압공급기로부터 공급되면 작동유는 공급관(125)을 통과한 뒤 상기 피스톤(131)의 하부로 토출된다. 편의상 승강하우징(141)의 내부공간을 상기 피스톤(131)을 중심으로 상부공간(142)과 하부공간(144)으로 나누면 피스톤(131)의 하부로 작동유가 토출되면 작동유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간이 증가해야 하므로 상기 승강하우징(141)이 하방으로 하강하면서 하부공간(144)의 체적을 증가시켜 작동유를 수용하게 된다. 이때 상부공간(142)의 체적이 줄어듦에 따라 상부공간(142)에 충진되어 있던 작동유는 상기 연통홀(128)과 제2 공급홀(127) 및 제1 공급홀(124)을 거쳐 제2 포트(123)를 통해 유압공급부로 회수된다.
반대로 제2 포트(123)를 통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작동유가 제1 공급홀(124)과 제2 공급홀(127) 및 연통홀(128)을 통해 상부공간(142)으로 토출되며 상부공간(142)의 체적이 증가해야 하므로 승강하우징(141)이 상승하게 되며, 하부공간(144)에 충진되어 있던 작동유는 공급관(125)을 통해 회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실린더유닛(120)은 상기 제1, 제2 포트(122,123)와 연결되는 유압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방향에 따라 고정된 제1, 제2 로드부재(121,126)에 대하여 승강하우징(141)이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며, 피스톤(131)과 승강하우징(141)의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승강하우징(141)이 제2 로드부재(126)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는 작업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것이며, 각각의 상단이 상기 제2 브라켓(117)의 하부에 회전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의 형상은 작업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도시된 본 실시예와는 달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연결부(160)는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를 승강하우징(141)과 연결하여 승강하우징(141)이 상하로 승강 구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의 하단부가 상호 벌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동시키는 것이다.
링크연결부(160)는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에 각각 회전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161)와, 상기 승강하우징(14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링크브라켓(1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162)와, 제1, 제2 연결부재(161,16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163)를 구비한다.
제1 연결부재(161)가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에 연결되는 연결위치는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가 제2 브라켓(1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위치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링크연결부(160)의 전체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승강하우징(141)이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에 따라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가 상단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작업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상호 벌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유압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스윙기어(10)가 회전하면서 하측지지부(115)가 회전하게 될 때, 피스톤(131)과 승강하우징(141)의 내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승강하우징(141)이 제2 로드부재(126)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승강하우징(141)이 상기 하측지지부(115)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어 스위블 조인트와 같은 별도의 연결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6에는 실린더유닛(12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실린더유닛(120)은 승강하우징(141)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스러스트베어링(145)이 설치된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린더유닛(120)은 승강하우징(141)과 피스톤(131)이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지지부(115)가 회전할 때 승강하우징(141)이 하측지지부(115)와 함께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승강하우징(141)이 하강하여 피스톤(131)의 상면과 승강하우징(141)의 상단 하면이 상호 접촉하거나 승강하우징(141)이 상승하여 피스톤(131)의 하면과 승강하우징(141)의 하단 상면이 상호 접촉하게 되는 경우 피스톤(131)과 승강하우징(141)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승강하우징(141)이 피스톤(131)에 대하여 회전하는데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승강하우징(14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링 형상의 장착홈을 설치하고, 스러스트베어링(145)을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피스톤(131)에 대하여 승강하우징(141)이 상승 또는 하강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스러스트베어링(145)은 다수의 볼부재(146)가 리테이너(147)를 통해 환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인데, 상기 피스톤(131)의 상면과 하면에도 각각 스러스트베어링(145)의 볼부재(146)가 삽입될 수 있게 링 형상의 인입홈(134)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실시예와는 달리 스러스트베어링(145)이 피스톤(131)의 상면과 하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승강하우징(14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인입홈(134)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제2 브라켓(117)에 승강하우징(141)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118)이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2 브라켓(117)에는 제1, 제2 클램핑부재(151,152)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의 상측에 상하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홀(118)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하우징(141)에 상기 가이드홀(118)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가이드핀(1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핀(119)이 가이드홀(118)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지지부(115)가 유압모터(20)의 구동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할 때 승강하우징(141) 역시 하측지지부(115)와 함께 동일 각도로 회전하게 되며, 승강 및 하강 구동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회전집게장치
110; 지지부
111; 상측지지부 115; 하측지지부
120; 실린더유닛
121; 제1 로드부재
122; 제1 포트 123; 제2 포트
124; 제1 공급홀 125; 공급관
126; 제2 로드부재
127; 제2 공급홀 128; 연통홀
131; 피스톤
133; 배출홀
141; 승강하우징
142; 상부공간 144; 하부공간
145; 스러스트베어링
151; 제1 클램핑부재 152; 제2 클램핑부재
160; 링크연결부
161; 제1 연결부재 162; 제2 연결부재
163; 연결로드
110; 지지부
111; 상측지지부 115; 하측지지부
120; 실린더유닛
121; 제1 로드부재
122; 제1 포트 123; 제2 포트
124; 제1 공급홀 125; 공급관
126; 제2 로드부재
127; 제2 공급홀 128; 연통홀
131; 피스톤
133; 배출홀
141; 승강하우징
142; 상부공간 144; 하부공간
145; 스러스트베어링
151; 제1 클램핑부재 152; 제2 클램핑부재
160; 링크연결부
161; 제1 연결부재 162; 제2 연결부재
163; 연결로드
Claims (5)
- 삭제
- 작업차량의 붐에 고정되는 상측지지부와, 상기 상측지지부의 하부에 상측지지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측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과;
상기 상측지지부에 대하여 하측지지부가 회전하도록 하측지지부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상측지지부에 마련된 제1 브라켓에 고정되며 작동유의 유입에 의해 하단이 상하로 승강 또는 하강하는 실린더유닛과;
상기 하측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브라켓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해 하단이 상호 벌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동하여 작업대상물을 파지하는 제1, 제2 클램핑부재와;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의 구동이 상기 실린더유닛에 연동되도록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가 상기 제2 브라켓에 연결되는 연결부로부터 소정거리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실린더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잇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제2 연결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링크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상측지지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제2 로드부재와, 상기 제2 로드부재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과, 상기 제2 로드부재의 하부 및 피스톤을 감싸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하우징은 내부공간이 상기 피스톤을 중심으로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작동유의 유출입이 상호 차단되도록 구획되고,
상기 제2 로드부재는 내부에 제2 포트를 통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2 공급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하우징의 상부공간과 상기 제2 공급홀을 연통하여 작동유의 유출입이 가능한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포트를 통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공급관이 상기 제2 공급홀을 통과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공급관과 연통되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상기 승강하우징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과 하부공간을 연통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하우징이 상기 피스톤 및 제2 로드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과 제2 로드부재는 모두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승강하우징도 상기 제2 로드부재 및 피스톤과 접촉하는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집게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지지부는 상기 제1 브라켓이 고정원판으로부터 두 개가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제2 로드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두 개의 제1 브라켓에 각각 고정된 제1 로드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로드부재는 상기 제2 로드부재의 제2 공급홀과 연통되고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포트와 제2 공급홀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제1 공급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포트가 형성된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제2 포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집게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승강하우징의 내주면 상단 또는 하단과 상기 피스톤의 상면 또는 하면 사이에서의 접촉시 상기 승강하우징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의 상부와 하부 또는 상기 승강하우징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스러스트베어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집게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제2 클램핑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상측에 상하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핀이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집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402A KR101331247B1 (ko) | 2012-02-03 | 2012-02-03 | 회전집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402A KR101331247B1 (ko) | 2012-02-03 | 2012-02-03 | 회전집게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0237A KR20130090237A (ko) | 2013-08-13 |
KR101331247B1 true KR101331247B1 (ko) | 2013-11-19 |
Family
ID=4921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1402A KR101331247B1 (ko) | 2012-02-03 | 2012-02-03 | 회전집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124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083773A (zh) * | 2024-03-27 | 2024-05-28 | 山东中联起重设备有限公司 | 一种智能化无人驾驶起重机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81263A (en) * | 1973-04-18 | 1975-05-06 | Poclain Sa | Angular position controller for clam-shell bucket |
US3902614A (en) * | 1971-08-27 | 1975-09-02 | Alvin M Roberts | Jack-actuated crane tongs |
JPH01187194A (ja) * | 1988-01-18 | 1989-07-26 | Junji Ogawa | 開閉アタツチメントの過負荷吸収機構及び該機構を有するクラムシエルバケツト |
KR100504257B1 (ko) | 2005-03-28 | 2005-07-28 |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 어업용 집게 |
-
2012
- 2012-02-03 KR KR1020120011402A patent/KR1013312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02614A (en) * | 1971-08-27 | 1975-09-02 | Alvin M Roberts | Jack-actuated crane tongs |
US3881263A (en) * | 1973-04-18 | 1975-05-06 | Poclain Sa | Angular position controller for clam-shell bucket |
JPH01187194A (ja) * | 1988-01-18 | 1989-07-26 | Junji Ogawa | 開閉アタツチメントの過負荷吸収機構及び該機構を有するクラムシエルバケツト |
KR100504257B1 (ko) | 2005-03-28 | 2005-07-28 |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 어업용 집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0237A (ko) | 2013-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06032B2 (en) | Fluid collecting device | |
TWI501846B (zh) | 夾鉗裝置 | |
CN103711437A (zh) | 一种连续油管设备专用吊装井架 | |
CN104185535B (zh) | 可调节的连杆式夹紧器 | |
WO2009029879A2 (en) | Grapple attachment for use with drill pipes | |
CN110424906B (zh) | 一种钻台面管柱处理装置 | |
KR101229137B1 (ko) | 굴삭기 작업구 | |
CN104790445A (zh) | 一种全回转液压抓斗 | |
US20180274306A1 (en) | Large diameter tubular lifting apparatuses and methods | |
KR101331247B1 (ko) | 회전집게장치 | |
EP3572614B1 (en) | Tubular handling tool | |
CN204781039U (zh) | 在挖掘机械上枢轴销位置使用的套筒、套件和挖掘机械 | |
CN201169491Y (zh) | 可旋转液压多瓣抓斗 | |
KR20120093110A (ko) | 굴삭기 작업구 | |
CN109071185B (zh) | 作业机械的起重设备中的布置、作业机械的起重设备及作业机械 | |
CN112627751B (zh) | 一种用于工程钻机的液压抱钩短接组件 | |
EP3640514B1 (en) | Hydraulic joint and hydraulic boom crane assembly with a hydraulic joint | |
KR100940891B1 (ko) | 회전 집게 구동장치 | |
CN215854771U (zh) | 起重机用旋转限位装置和起重机 | |
JP4650904B2 (ja) | リールユニット取付け装置とリールユニット取付け方法 | |
JP5536500B2 (ja) | ハンマーグラブ | |
CN221680568U (zh) | 一种钻杆转运装置 | |
WO2020106239A1 (en) | Hydraulic pin connection device for practical installation and removal of different work tool attachments to construction machinery. | |
JP4859378B2 (ja) | パワーユニット | |
CN217841567U (zh) | 一种液压吊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