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110A - 굴삭기 작업구 - Google Patents

굴삭기 작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110A
KR20120093110A KR1020120069692A KR20120069692A KR20120093110A KR 20120093110 A KR20120093110 A KR 20120093110A KR 1020120069692 A KR1020120069692 A KR 1020120069692A KR 20120069692 A KR20120069692 A KR 20120069692A KR 20120093110 A KR20120093110 A KR 20120093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ydraulic cylinder
excavator
fork
t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석
Original Assignee
곽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석 filed Critical 곽동석
Priority to KR1020120069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3110A/ko
Publication of KR2012009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는, 일측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중심부에 조인트가 마련되어 상부의 굴삭기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조인트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일측에 형성되는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며,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한 쌍의 집게 연결공 및 한 쌍의 유압실린더 연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일측에 형성된 집게 연결공에 체결되며, 상기 집게 연결공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연결부 타측에 형성된 집게 연결공에 체결되며, 상기 집게 연결공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집게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일측의 유압실린더 연결공과 상기 제1 집게부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 연결부 타측의 유압실린더 연결공과 상기 제2 집게부 일측과 연결되는 제2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 집게부 외측에 마련되어 지게가 결합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에 체결되는 제4 연결부가 마련되고, 일측에 지지대가 마련되는 지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굴삭기 작업구에 관한 것.

Description

굴삭기 작업구{EXCAVATOR TOOL}
본 발명은 굴삭기 작업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 집게 작업구 일측에 지게장치를 구비하여, 간단한 체결만으로 물체를 이동할 수 있는 굴삭기 작업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를 이용하여 물체를 들어올리는 작업이나, 물체를 집어 다른 곳으로 옮기는 작업을 할 때, 그에 맞는 각각의 작업구 및 물체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밧줄 등을 물체에 결속시킨 후 굴삭기 일측에 체결하여 작업하였다. 따라서, 그에 맞는 각각의 작업구나 장비를 일일이 선택적으로 작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굴삭기 버킷이 들어가지 않는 물체를 옮길 때는 물체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밧줄을 항상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작업 속도가 느려지고 시공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관련하여, 본 출원인이 굴삭기 작업구에 관하여 특허출원 제 10-2009-0127593호와 같이 출원한 바 있다. 상기한 출원 발명은 굴삭기 선단의 중심축과 떨어져 회동하는 집게 일측에 지게가 마련되어, 상기 굴삭기 선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넓은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또한, 회동하는 집게 일측에 지게가 마련되어, 지게 작업수행과 동시에 집게 작업수행에 애로사항이 있으며, 지게 작업 수행에 있어 집게를 움직이는 유압실린더의 유압이 물체의 무게에 의해 역류하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70952호 (2011.06.2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굴삭기 하부의 집게 일측에 간단한 연결만으로 지게를 설치하여 물체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는 굴삭기 작업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게의 반대쪽 유압실린더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물체의 하중에 의해 유압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지게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굴삭기 작업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지게가 제자리에서 360°회전 가능한 굴삭기 작업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는, 일측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중심부에 조인트가 마련되어 상부의 굴삭기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조인트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일측에 형성되는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며,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한 쌍의 집게 연결공 및 한 쌍의 유압실린더 연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일측에 형성된 집게 연결공에 체결되며, 상기 집게 연결공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연결부 타측에 형성된 집게 연결공에 체결되며, 상기 집게 연결공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집게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일측의 유압실린더 연결공과 상기 제1 집게부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2 연결부 타측의 유압실린더 연결공과 상기 제2 집게부 일측과 연결되는 제2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 집게부 외측에 마련되어 지게가 결합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에 체결되는 제4 연결부가 마련되고, 일측에 지지대가 마련되는 지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유압실린더 및 제2 유압실린더에는, 상기 지게부 작동시 작동유 공급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연결부는, 상부 및 하부에 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와 동일한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제3 연결구 및 제4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구와 제3 연결구가 핀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구와 제4 연결구가 핀으로 연결되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연결부는, 상부에는 일측이 개방되어 바가 거치되는 홈이 형성되는 제1 연결구와, 하부에 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제2 연결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부에 바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구에 거치되는 제3 연결구와, 하부에는 상기 제2 연결구와 동일한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제4 연결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연결구에 상기 제3 연결구가 삽입되어 거치되고, 상기 제2 연결구와 제4 연결구가 핀으로 연결되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게부에는, 상기 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모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는, 굴삭기 하부의 집게 일측에 간단한 연결로 체결되는 지게장치를 사용하여 물체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게를 작동시키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 일측에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지게에 하중이 작용하여도 하중에 의한 유압의 이동을 방지하여 지게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삭기 하부 집게의 회동지점은 그 중심축과 일치하여, 집게의 일측에 마련되는 지게는 제자리에서 360°회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의 지게부체결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의 지게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의 지게부 체결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의 지게부 체결 상세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굴삭기 작업구는, 굴삭기 선단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100)와 상기 제1 연결부(100) 하단에 마련되는 회전부(200)와 상기 회전부(200)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는 제2 연결부(300)와 상기 제2 연결부(300) 양측에 마련되는 집게부(400,500)와, 상기 집게부(400,500) 일측에 마련되는 지게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굴삭기 작업구에는, 제1 연결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연결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굴삭기 선단과 연결되고, 중심부에는 조인트가 마련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부(200)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연결부(100)는, 굴삭기 선단과 본 발명인 굴삭기 작업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연결부(100) 일측에는, 모터(110)가 마련된다. 상기 모터(110)의 일측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부(2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연결부(100) 하단에는, 회전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제1 연결부(100) 중심부에 마련된 조인트와 상기 회전부(200)의 중심부가 결합되어 상기 조인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외측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기어와 맞물려 형성된다. 즉, 회전부(200)는, 상기 모터(110)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200)의 하단에는, 제2 연결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제2 연결부(300)는, 상기 회전부(200)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200)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의 집게 연결공(310) 및 한 쌍의 유압실린더 연결공(32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집게 연결공(3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집게부(400) 및 제2 집게부(500)의 일측이 체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 연결공(3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유압실린더(410) 및 제2 유압실린더(510)가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연결부(300)에 형성된 집게 연결공(310) 일측에는, 제1 집게부(400)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집게 연결공(31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집게부(400)의 외측에는, 제3 연결부(420)가 마련된다. 상기 제3 연결부(4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지게부(600)를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300)에 형성된 집게 연결공(310) 타측에는, 제2 집게부(500)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집게 연결공(31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연결부(300)에 형성된 유압실린더 연결공(320)의 일측에는, 제1 유압실린더(410)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상기 제1 유압실린더(410)는, 상기 제1 집게부(400) 일측과 체결되어 상기 제1 집게부(400)를 상기 집게 연결공(310)를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연결부(300)에 형성된 상기 유압실린더 연결공(320)의 타측에는, 제2 유압실린더(510)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는, 상술한 상기 제1 유압실린더(410)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유압실린더(410) 및 제2 유압실린더(510)의 일측에는, 체크밸브(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 체크밸브(미도시)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지게부(600)를 체결하여 본 발명인 굴삭기 작업구를 구동할 때, 상기 제1 유압실린더(410) 및 제2 유압실린더(510) 중 일측의 유압실린더 쪽으로 작동유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지게부(600)의 상단의 물체 무게에 의해 작동유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 유압실린더(410) 및 제2 유압실린더(51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 유압실린더(410) 및 제2 유압실린더(5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상기 체크밸브(미도시)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410) 및 제2 유압실린더(510)의 기설정된 압력 이상의 작동유 유입을 굴삭기 조정석에서 작업자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유압실린더(410) 및 제2 유압실린더(510)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1 유압실린더(410) 및 제2 유압실린더(51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현장 작업조건에 맞도록 제어함으로써 작업효율이 상항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부(600)가 마련된다. 상기 지게부(600) 일측에는, 상기 제3 연결부(420)와 결합되는 제4 연결부(61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게부(600)의 일측에는, 물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두 개의 지지대(62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대(620) 사이의 간격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대(620)의 간격을 조정하여 물체의 크기에 따라 안정적으로 상기 지지대(620)상단에 물체를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의 제3 연결부(420)와 제4 연결부(6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 제1 실시예 >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의 지게부 체결 상세도이다.
본 발명인 굴삭기 작업구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연결부(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집게부(400) 외측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제1 연결구(42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제2 연결구(422)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연결구(421) 및 제2 연결구(422)는 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게부(6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4 연결부(610)와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게부(6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4 연결부(610)는, 상부에 제3 연결구(611)가 마련되고, 하부에 제4 연결구(612)가 마련된다. 상기 제3 연결구(611) 및 제4 연결구(612)는, 상술한 상기 제1 연결구(421)와 제2 연결구(422)와 동일하게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홀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연결구(421)와 상기 제3 연결구(611)의 홀이 겹쳐진 상태에서 핀을 삽입하여 결합한 후 굴삭기 선단을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지게부(600)가 상기 제1 연결구(421) 및 제3 연결구(611)에 삽입된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지게부(60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2 연결구(422) 및 제4 연결구(612)에 형성된 홀이 겹쳐져 핀을 삽입하여 결속하게 된다.
< 제2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작업구의 지게부 체결 상세도이다.
본 발명인 굴삭기 작업구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연결부(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집게부(400) 외측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제1 연결구(421)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제2 연결구(422)가 마련되어 상기 지게부(6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4 연결부(610)와 결합하게 된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연결구(421)는, 상부가(도 5에서) 개방된 U자형 고리로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4 연결부(6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연결구(611)의 바가 상기 제1 연결구(421)의 U자형 고리에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구(422)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홀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지게부(6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4 연결부(610)는, 상부에 제3 연결구(611)가 마련되고, 하부에 제4 연결구(612)가 마련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제3 연결구(611)에는, 바가 결합된 상태로 마련된다. 이는, 상술한 내용과 같이, 상기 제1 연결구(421)의 U자 고리에 삽입되어 상기 지게부(6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4 연결구(612)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제2 연결구(422)와 동일하게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홀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연결구(421)의 U자형 고리에 상기 제3 연결구(611)에 결합된 바가 삽입된 상태에서 굴삭기 선단을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지게부(600)는 상기 제1 연결구(421)에 삽입된 제3 연결구(611)의 바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연결구(422) 및 제4 연결구(612)에 형성된 홀이 겹쳐져 핀을 삽입하여 결속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방법은 그 구성을 반대로 구성하여 체결할 수 있다. 즉, 제3 연결부(4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구(421)는, 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구(422)는, 하부가(도 5에서) 개방된 U자형 고리로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4 연결구(612)의 바가 상기 제2 연결구(422)의 U자형 고리에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연결부(6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3 연결구(611)는, 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제4 연결구(612)는, 상기 제2 연결구(422)의 U자형 고리에 삽입되는 바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연결구(422)의 U자형 고리에 상기 제4 연결구(612)의 바가 삽입된 상태에서, 굴삭기 선단을 상기 지게부(6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연결구(421)와 상기 제3 연결구(611)의 홀이 겹쳐진 상태에서 핀을 삽입하여 결속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 방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두 개의 핀을 삽입하는 방법보다 하나의 핀을 삽입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에 상기 지게부(600)를 체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3 연결부(420)는, 상기 제1 집게부(400) 및 제2 집게부(500)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 집게부(400) 및 제2 집게부(500) 일측에 모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 연결부 110 : 모터
200 : 회전부
300 : 제2 연결부 310 : 집게 연결공
320 : 유압실린더 연결공
400 : 제1 집게부 410 : 제1 유압실린더
420 : 제3 연결부 421 : 제1 연결구
422 : 제2 연결구
500 : 제2 집게부 510 : 제2 유압실린더
600 : 지게부 610 : 제4 연결부
611 : 제3 연결구 612 : 제4 연결구
620 : 지지대

Claims (5)

  1. 일측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중심부에 조인트가 마련되어 상부의 굴삭기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조인트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일측에 형성되는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며,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한 쌍의 집게 연결공 및 한 쌍의 유압실린더 연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일측에 형성된 집게 연결공에 체결되며, 상기 집게 연결공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집게부;
    상기 제2 연결부 타측에 형성된 집게 연결공에 체결되며, 상기 집게 연결공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집게부;
    상기 제2 연결부 일측의 유압실린더 연결공과 상기 제1 집게부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유압실린더;
    상기 제2 연결부 타측의 유압실린더 연결공과 상기 제2 집게부 일측과 연결되는 제2 유압실린더;
    상기 제1 집게부 외측에 마련되어 지게가 결합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에 체결되는 제4 연결부가 마련되고, 일측에 지지대가 마련되는 지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작업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실린더 및 제2 유압실린더에는, 상기 지게부 작동시 작동유 공급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작업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는, 상부 및 하부에 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와 동일한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제3 연결구 및 제4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구와 제3 연결구가 핀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구와 제4 연결구가 핀으로 연결되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작업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부는, 상부에는 일측이 개방되어 바가 거치되는 홈이 형성되는 제1 연결구와, 하부에 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제2 연결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부에 바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구에 거치되는 제3 연결구와, 하부에는 상기 제2 연결구와 동일한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제4 연결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연결구에 상기 제3 연결구가 삽입되어 거치되고, 상기 제2 연결구와 제4 연결구가 핀으로 연결되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작업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게부에는, 상기 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모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작업구.
KR1020120069692A 2012-06-28 2012-06-28 굴삭기 작업구 KR20120093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692A KR20120093110A (ko) 2012-06-28 2012-06-28 굴삭기 작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692A KR20120093110A (ko) 2012-06-28 2012-06-28 굴삭기 작업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110A true KR20120093110A (ko) 2012-08-22

Family

ID=4688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692A KR20120093110A (ko) 2012-06-28 2012-06-28 굴삭기 작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31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448B1 (ko) * 2012-10-30 2014-06-03 곽동석 굴삭기 보조 장비 연결구
CN104790445A (zh) * 2015-04-27 2015-07-22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道路机械分公司 一种全回转液压抓斗
CN106609515A (zh) * 2016-11-28 2017-05-03 广西大学 一种具有伺服电机驱动的多连杆可变自由度抓木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448B1 (ko) * 2012-10-30 2014-06-03 곽동석 굴삭기 보조 장비 연결구
CN104790445A (zh) * 2015-04-27 2015-07-22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道路机械分公司 一种全回转液压抓斗
CN106609515A (zh) * 2016-11-28 2017-05-03 广西大学 一种具有伺服电机驱动的多连杆可变自由度抓木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9601C (en) Wireline tractor device
JP6286069B2 (ja) 回転装置を持つ掘削機用アーム
CN102449241B (zh) 用于作业机械的快速联接装置
CN201835305U (zh) 一种新型液压全回转抓钳器
KR20110085250A (ko) 천공 장치용 로드 장착장치
CN104790445A (zh) 一种全回转液压抓斗
CN203716197U (zh) 一种用于夹持作业的挖掘机
US9546522B2 (en) Lead supporting device of drilling machine
KR20120093110A (ko) 굴삭기 작업구
CN204626483U (zh) 一种全回转液压抓斗
CA2736776A1 (en) Articulation assembly for moving a drill mast
CN109607395A (zh) 一种机械臂
KR102025327B1 (ko) 붐 길이 조절되는 파이프 레이어
CN204781039U (zh) 在挖掘机械上枢轴销位置使用的套筒、套件和挖掘机械
CN104532893B (zh) 双臂钻挖机
KR102300610B1 (ko) 회전 변환 멀티 링크
CN101922163B (zh) 多功能万向快接器
JP2009085000A (ja) 小旋回式掘削機用油圧配管固定装置
KR20010090657A (ko) 굴삭기용 회전식 클램프
CN202164643U (zh) 挖掘机快换接头
CN203247626U (zh) 挖掘机用快速液压转动连接器
RU2566576C1 (ru) Подъемный кран со складывающейся стрелой
KR20130090675A (ko) 굴착기 부착형 크레인
CN112027942A (zh) 一种绷绳固定装置
EP3640514A1 (en) Hydraulic joint and hydraulic boom crane assembly with a hydraulic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