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334Y1 -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334Y1
KR200377334Y1 KR20-2004-0035049U KR20040035049U KR200377334Y1 KR 200377334 Y1 KR200377334 Y1 KR 200377334Y1 KR 20040035049 U KR20040035049 U KR 20040035049U KR 200377334 Y1 KR200377334 Y1 KR 200377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rotating body
forceps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철
Original Assignee
엠비이엔지(주)
노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비이엔지(주), 노상철 filed Critical 엠비이엔지(주)
Priority to KR20-2004-0035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철, 각종 산업 및 생활 쓰레기 또는 원목 등을 파지한 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결합부(10)와 회전몸체(20), 구동실린더(30)와 제1 내지 제3구동링크(40)(43)(46) 그리고 제1 및 제2집게(42)(48)로 이루어져 고철, 각종 산업 및 생활 쓰레기 또는 원목 등을 견고히 파지한 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30)의 몸체를 회전몸체(20)의 일측 상단 고정축(31)에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고, 제1 내지 제3구동링크(40)(43)(46)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구동링크(40)의 제1회동중심축(41)에 연결되는 제1집게(42)는 끝단을 회전축으로 회전몸체(20)의 내부에 축설하고, 상기 제3구동링크(46)의 제2회동중심축(47)에 연결되는 제2집게(48)는 끝을 회전축으로 중간의 집게만 회전몸체의 내부에 축설하고, 사이드에 있는 집게는 집게 끝을 회전축으로 회전몸체의 외부에 축설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집게를 링크와 함께 회전몸체 내부에 장착하므로 파지력을 강화한 것이고, 집게의 비틀림이 없도록 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것이며, 집게구조의 전체적인 높이를 짧게 구성함으로 건설중장비가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집게가 조립된 회전몸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DEVICE GRAPPLE OF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본 고안은 고철, 각종 산업 및 생활 쓰레기 또는 원목 등을 파지한 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게를 링크와 함께 회전몸체 내부에 장착하므로 파지력을 강화한 것이고, 집게의 비틀림이 없도록 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것이며, 집게구조의 전체적인 높이를 짧게 구성함으로 건설중장비가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집게가 조립된 회전몸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본원고안과 유사한 '굴삭기의 집게 구동구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용신안등록 제333745호에 의해 등록된바 있다.
즉, 집게결합체(100)는 아암과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한쌍의 제 1 및 제 2집게(130, 140)를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실린더(122) 및 제 1내지 제 3구동링크(124,126, 128)가 구비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대략 3면이 개방된 상태로서, 그 내부에는 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력에 의해 실린더로드(도면부호 미 기재)가 일방향으로 신축 구동되도록 상기 브라켓 내의 소정 위치에고정 설치되는 구동실린더(122)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 1집게(130)와 힌지 결합되는 제 1구동링크(124)와, 상기 제 1구동링크(124)의 구동과 대응되게 일단은 상기 제 1구동링크(124)의 소정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 3구동링크(128)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제 2구동링크(126), 및 제 상기 1구동링크(124)의 구동력을 제 2구동링크(126)를 매개로 전달받고 제 2집게(140)를 상기 제 1집게(130)와 함께 구동시키기 위하여타단부에 상기 제 2집게(140)가 고정되는 제 3구동링크(128)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실린더(122)는 그 중심부가 브라켓내에서 고정축(a)에 의해 고정되며, 제 1구동링크(124)는 상기 구동실린더(122)의 실린더로드가 신축할 때 그 양 단부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그 중심부가 상기 브라켓내에 힌지결합되도록 제 1회동중심축(b)이 형성되며, 제 3구동링크(128)는 상기 제 1구동링크(124)의 구동력을 제 2구동링크(126)를 매개로 전달받고 상기 제 1구동링크(124)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집게(130,140)에 의해 소정 물체를 파지하도록 상기 제 1회동중심축(b)과 동일 선상의 브라켓내에 그 중심부가 힌지 결합되는제 2회동중심축(c)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평상시에 굴삭기의 집게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바, 소정 물건을 파지하기 위해 한 쌍의 집게(130,140)는 벌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암석이나 고철 등을 파지하는 경우, 그 한 쌍의 집게(130,140)내에 그 대상물을 포함시킨 상태로, 소정 제어장치로부터 구동실린더(122)를 구동시키기 위해 그 구동실린더(122)에 유압라인을 통해 유압력을 제공하게 되면, 상기 구동실린더(122)의 실린더로드가 일방향으로 신축 구동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실린더(122)의 실린더로드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 1구동링크(124)의 일단부는 상기 실린더로드의 신축방향에 대응되어 상기 브라켓 외부로 돌출되면서 제 1회동중심축(b)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와 동시에 제 1집게(1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파지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한 쪽부분을 파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 1구동링크(124)가 구동되면 그 제 1구동링크(124)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제 2구동링크(126)가 상측방향(구동실린더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 3구동링크(128)는 상기 제 1회동중심축(b)과 동일한 구조로 브라켓내에 힌지 결합되는 제 2회동중심축(c)를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힌지 구동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제 3구동링크(128) 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제 2집게(140)가 시계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1집게(130)가 파지하고 있는 대상물의 다른 한 쪽부분을 파지하게 된다. 그와 같이, 하나의 구동실린더(122)만이 구동되더라도 상기 구동실린더(122)와 연계되어 결합 구성된 제 1, 제 2, 제3구동링크(124, 126, 128)가 연동되어 구동되고, 제 1집게(130) 및 제 2집게(140) 또한 구동력을 받아 대상물을 파지하고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링크의 구조와 작동반경이 길기 때문에 파지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링크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내구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집게구조 자체가 길게 형성됨으로 인해 중장비로 작업하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더하여 집게구조 자체가 회전되지 않음으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철, 각종 산업 및 생활 쓰레기 또는 원목 등을 견고히 파지한 후 운반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집게를 링크와 함께 회전몸체 내부에 장착하므로 파지력을 강화한 것이고, 제3목적은 집게의 비틀림이 없도록 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것이며, 제4목적은 집게구조의 전체적인 높이를 짧게 구성함으로 건설중장비가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집게가 조립된 회전몸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결합부와 회전몸체, 구동실린더와 제1 내지 제3구동링크 그리고 제1 및 제2집게로 이루어져 고철, 각종 산업 및 생활 쓰레기 또는 원목 등을 견고히 파지한 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의 몸체를 회전몸체의 일측 상단 고정축에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고, 제1 내지 제3구동링크는 짧게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구동링크의 제1회동중심축에 연결되는 제1집게는 회전몸체의 내부에 축설하고, 상기 제3구동링크의 제2회동중심축에 연결되는 제2집게는 중간의 집게만 회전몸체의 내부에 축설하고, 사이드에 있는 집게는 회전몸체의 외부에 축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적용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는 각종 중장비(굴삭기)나 천정호이스트 크레인 또는 자주식 크레인 등의 선단에 부착하여 고철, 각종 산업 및 생활 쓰레기 또는 원목 등을 견고히 파지한 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결합부(10)와 회전몸체(20), 구동실린더(30)와 제1 내지 제3구동링크(40)(43)(46) 그리고 제1 및 제2집게(42)(48)로 이루어져 고철, 각종 산업 및 생활 쓰레기 또는 원목 등을 견고히 파지한 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가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의 기술적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과 같고, 본 고안의 특징은 이하의 기술적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실린더(30)의 몸체를 회전몸체(20)의 일측 상단 고정축(31)에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고, 제 1 내지 제 3 구동링크(40)(43)(46)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구동링크(40)의 회동중심축(41)에 연결되는 제1집게(42)의 끝을 회전축으로 회전몸체(20)의 내부에 축설하고, 상기 제3구동링크(46)의 제2회동중심축(47)에 연결되는 제2집게(48)는 끝을 회전축으로 중간의 집게만 회전몸체의 내부에 축설하고, 사이드에 있는 집게는 집게 끝을 회전축으로 회전몸체의 외부에 축설한다.
이때 상기 제1집게(42)와 제2집게(48)는 상호 갯수를 달리하여 겹쳐졌을 경우 수직으로 포개지면서 물건을 파지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0)와 회전몸체(20)의 중앙 사이에는 구동중심축(11)이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구동중심축(11)을 중심으로 회전몸체(20)가 회전 작동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회전몸체(20)의 상단에는 내접기어(21)가 구비되는 동시에 결합부(10)의 일측에는 하단에 외접기어(22)가 구비된 모터(23)가 구비되되, 상기 내접기어(21)와 외접기어(22)는 상호 맞물린 상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은 본원고안에 적용된 집게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는 상기 집게가 오무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본원고안의 집게구조의 작동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결합부(10)의 상단 2곳의 힌지축(도면부호 미 기재)은 각종 중장비(굴삭기)나 천정호이스트 크레인 또는 자주식 크레인 등의 선단에 부착하게 된다.(도면상 중장비는 도시하지 않았음)
상기와 같이 본원고안의 집게구조를 중장비에 장착한 후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우선 고정축(31)에 연결된 구동실린더(30)가 작동하게 되면 구동실린더(30)의 선단에 연결된 제1구동링크(40)가 제1회동중심축(4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링크(40)의 회전에 의해서는 제1유동축(44)과 연결된 제2구동링크(43)가 작동함과 아울러 이 제2구동링크(43)의 작동에 의해서는 제2유동축(45)과 연결된 제3구동링크(46)가 제2회동중심축(47)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하여 결과적으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집게인 제1, 제2집게(42)(48)가 오무려지게 되어 소정의 물건을 견고히 파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원고안에 적용된 집게구조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구동실린더(30)는 일측 상단에 하향 경사지게 고정된 고정축(31)에 의해 힘있게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구동링크(40)(43)(46)의 구조는 짧게 형성됨과 아울러 제1, 제3구동링크(40)(46)는 제1, 제2회동중심축(41)(46)과 회전몸체(20)의 내부에 직접 축설됨으로 인해 지지력이 증가됨은 물론 이와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2집게(42)(48)가 회전몸체(20)의 내부인 제1, 2회동중심축(41)(47)에 연결됨으로 인해 집게의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짐으로 인해 중장비가 상,하차 작업시 고공 작동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효율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고안은 상기 제1구동링크(40)의 제1회동중심축(41)에 연결되는 제1집게(42)는 회전몸체(20)의 내부에 축설함과 아울러 상기 제3구동링크(46)의 제2회동중심축(47)에 연결되는 제2집게(48)는 중간의 집게만 회전몸체의 내부에 축설하고, 사이드에 있는 집게는 회전몸체(20)의 외부에 축설함으로 인해 집게의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잡아줄 수 있어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집게(42)와 제2집게(48)는 상호 갯수를 달리하여 겹쳐졌을 경우 수직으로 포개지면서 물건을 파지함으로 작은 물건이라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본원고안은 모터(23)의 회전에 의해 하단에 구비된 외접기어(22)가 회전하면 이 외접기어(22)와 상호 맞물린 내접기어(21)가 회전 작동하고, 이 내접기어(21)는 회전몸체(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구동중심축(11)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게 되어 소정의 물건을 상,하차 작업시 작업성과 작업능륭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철, 각종 산업 및 생활 쓰레기 또는 원목 등을 견고히 파지한 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집게를 링크와 함께 회전몸체 내부에 장착하므로 파지력을 강화한 것이고, 집게의 비틀림이 없도록 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것이며, 집게구조의 전체적인 높이를 짧게 구성함으로 건설중장비가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집게가 조립된 회전몸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집게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b)는 집게가 오무러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의 정면 사시도.
도 3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가 벌어진 상태의 배
면 사시도이고,
(b)는 본 고안에 적용된 집게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c)는 본 고안에 적용된 집게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가 오무러진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고,
(b)는 본 고안에 적용된 집게가 오무러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
며,
(c)는 본 고안에 적용된 집게가 오무러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
고,
(d)는 본 고안에 적용된 집게가 오무러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
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결합부 11: 구동중심축
20: 회전몸체 21: 내접기어
30: 구동실린더 40: 제1구동링크
42: 제1집게 43: 제2구동링크
46: 제3구동링크 48: 제2집게

Claims (4)

  1. 결합부(10)와 회전몸체(20), 구동실린더(30)와 제1 내지 제3구동링크(40)(43)(46) 그리고 제1 및 제2집게(42)(48)로 이루어져 고철, 각종 산업 및 생활 쓰레기 또는 원목 등을 견고히 파지한 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30)의 몸체를 회전몸체(20)의 일측 상단 고정축(31)에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고, 상기 회전몸체(20)에 제1 내지 제3구동링크(40)(43)(46)가 구비되되, 상기 제1구동링크(40)의 제1회동중심축(41)에 연결되는 제1집게(42)는 끝을 회전축으로 회전몸체(20)의 내부에 축설하고, 상기 제3구동링크(46)의 제2회동중심축(47)에 연결되는 제2집게(48)는 끝을 회전축으로 중간의 집게만 회전몸체의 내부에 축설하고, 사이드에 있는 집게는 집게 끝을 회전축으로 회전몸체의 외부에 축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게(42)와 제2집게(48)는 상호 갯수를 달리하여 겹쳐졌을 경우 수직으로 포개지면서 물건을 파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3.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와 회전몸체(20)의 중앙 사이에는 구동중심축(11)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4.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20)의 상단에는 내접기어(21)가 구비되는 동시에 결합부(10)의 일측에는 하단에 외접기어(22)가 구비된 모터(23)가 구비되되, 상기 내접기어와 외접기어는 상호 맞물린 상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KR20-2004-0035049U 2004-12-09 2004-12-09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KR200377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49U KR200377334Y1 (ko) 2004-12-09 2004-12-09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49U KR200377334Y1 (ko) 2004-12-09 2004-12-09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248A Division KR100669209B1 (ko) 2005-05-03 2005-05-03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334Y1 true KR200377334Y1 (ko) 2005-03-10

Family

ID=4367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049U KR200377334Y1 (ko) 2004-12-09 2004-12-09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000B1 (ko) 2004-08-31 2006-08-25 태영테크(주) 굴삭기용 집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000B1 (ko) 2004-08-31 2006-08-25 태영테크(주) 굴삭기용 집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7761B1 (en) Detachable rotatable grapple
KR100669209B1 (ko)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US4544193A (en) Robot grippers
CN209256947U (zh) 一种翻转机械手
KR200377334Y1 (ko) 건설중장비용 집게구조
KR200383716Y1 (ko) 원목작업용그랩장치
RU2566576C1 (ru) Подъемный кран со складывающейся стрелой
CN200951781Y (zh) 工业溴溴坛吊装运输装置
CN107310690A (zh) 一种适用于缆绳的对中装置
CN207127912U (zh) 挠性关节与回转折臂
KR200227816Y1 (ko) 로그그래플의 집게 벌림장치
CN1576469A (zh) 大转动连杆机构
CN212825391U (zh) 一种机械手的摆动架总成
KR200333745Y1 (ko) 굴삭기의 집게 구동구조
CN205973466U (zh) 双索双瓣装卸抓斗
JPH0636064Y2 (ja) 荷役車両のクランプ装置
CN2871064Y (zh) 钢水包的液压顶盖装置
KR101708626B1 (ko) 회전 가능한 집게 장치
CN215789936U (zh) 一种机械手手指摆动机构
CN218984465U (zh) 一种机器人金属尖头平嘴钳
KR200180959Y1 (ko) 크레인그래브의 그래플 집게 제어장치
CN216682218U (zh) 线绳驱动机械手
CN220408786U (zh) 一种搬运机械手
CN214059634U (zh) 一种餐厨垃圾抓斗及抓取装置
CN220223262U (zh) 吊装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