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206B1 - 검사용 치구 - Google Patents

검사용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206B1
KR101141206B1 KR1020100050044A KR20100050044A KR101141206B1 KR 101141206 B1 KR101141206 B1 KR 101141206B1 KR 1020100050044 A KR1020100050044 A KR 1020100050044A KR 20100050044 A KR20100050044 A KR 20100050044A KR 101141206 B1 KR101141206 B1 KR 101141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inspection
inner cylinder
jig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218A (ko
Inventor
노리히로 오타
스스무 가스카베
Original Assignee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의 미세화 및 복잡화에 대응할 수 있고, 부품수를 감소시킨 간소화된 구조의 검사용 치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검사대상인 검사체와 검사장치를 접속하는 검사용 치구로서, 접촉자가, 양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외측통체와, 외측통체의 내측에 수용되어 외측통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하여 배치되는 내측통체를 구비하고, 내측통체는, 검사점과 접촉하는 제1통부와, 내측통체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제1신축부와, 타단이 전극부에 접촉하는 제2통부와, 상기 접촉자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제2신축부와, 제1신축부와 상기 제2신축부가 통하도록 연결하는 제3통부를 구비하고, 제1통부, 제1신축부, 제3통부, 제2신축부와 제2통부가 하나의 통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제3통부는 외측통체와 상기 내측통체를 고정하는 접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사용 치구{INSPECTION FIXTURE}
본 발명은, 피검사물(被檢査物)의 검사대상부(檢査對象部) 상에 미리 설정되는 검사점(檢査點)과 이 검사를 실시하는 검사장치(檢査裝置)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검사용 치구(檢査用治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검사용 치구는, 피검사물이 구비하는 검사대상부에 검사장치로부터 전력 또는 전기신호를 소정의 검사위치로 공급함과 아울러 검사대상부로부터 전기신호를 검출함으로써, 검사대상부의 전기적 특성을 검출하거나 동작시험을 실시하는 것 등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피검사물이라 함은, 예를 들면 프린트 배선기판(print 配線基板), 플렉시블 기판(flexible 基板), 세라믹 다층배선기판(ceramic 多層配線基板), 액정 디스플레이(液晶 display)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plasma display用)의 전극판(電極板) 및 반도체 패키지용(半導體 package用)의 패키지 기판(package 基板)이나 필름 캐리어(film carrier) 등 다양한 기판이나, 반도체 웨이퍼(半導體 wafer)나 반도체 칩(半導體 chip)이나 CSP(Chip size package) 등의 반도체 장치(半導體 裝置)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상기한 피검사물을 총칭하여 「피검사물」이라고 하고, 피검사물에 형성되는 검사대상부를 「대상부」라고 부른다.
종래에, 피검사물의 한 실시예인 회로기판에는 복수의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선은, 회로기판 상에 탑재되는 전기?전자부품이 원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기신호를 흐르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선의 불량은, 회로기판의 동작불량으로 이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로기판이나 반도체 장치 등의 피검사물에 형성되는 배선과 같은 대상부의 양부(良否)를 판정하는 검사장치의 발명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검사장치는, 예를 들면 피검사물이 되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배선의 양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배선 상에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검사점과, 각각에 접속되는 복수의 프로브(접촉자)를 구비하는 검사용 치구를 사용하여 검사가 실시된다.
이러한 검사용 치구에서는, 접촉자의 일단이 배선 상의 검사점에 압접되고, 그 타단이 기판검사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부에 압접된다. 그리고 이 검사용 치구를 통하여 기판검사장치로부터 배선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나 전압을 공급함과 아울러 배선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기판검사장치에 송신하게 된다.
최근의 기술의 진보에 의하여 반도체 장치가 작아지거나, 기판이 보다 작아지거나 함에 따라, 기판 상의 배선도 보다 미세하고 또한 복잡하게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기판의 배선의 미세화 및 복잡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검사용 치구가 구비하는 접촉자도 접촉자 자체의 세선화(細線化), 접촉자간의 협피치화(狹pitch化)나 간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검사용 치구에서는, 스프링 기능을 구비하는 슬릿이 형성되는 통모양 부재를 사용한 접촉자가 이용되고 있다. 이 특허문헌1의 검사용 치구에서는, 통모양의 접촉자를, 이 접촉자를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구멍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에 삽입하고, 이 구멍부의 대략 중앙부에서 접촉자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검사용 치구에서는, 긴 접촉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긴 구멍부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되어 지지부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용이 느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특히, 세선화나 협피치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가늘고 또한 긴 구멍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고 하는 문제를 구비하고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288626호 공보
본 발명은, 기판의 미세화 및 복잡화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감소시켜 간소화된 구조의 검사용 치구를 제공한다.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검사의 대상이 되는 피검사물과 상기 피검사물에 형성되는 검사체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장치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검사용 치구로서, 일단이 상기 피검사물의 검사체 상에 미리 설정되는 소정의 검사점에 압접되고, 타단이 상기 검사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부와 압접되는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의 일단을 상기 검사점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 구멍을 구비하는 제1판상부재와, 상기 제1판상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자의 타단을 상기 전극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2안내 구멍을 구비하는 제2판상부재와, 상기 전극부가 복수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전극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자는, 양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외측통체와, 상기 외측통체의 내측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외측통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내측통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통체는, 일단이 상기 검사점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제1안내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통부와, 상기 제1통부와 동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측통체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제1신축부와, 타단이 상기 전극부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제2안내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2통부와, 상기 제2통부와 동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자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제2신축부와, 상기 제1신축부와 상기 제2신축부가 통하도록 연결하는 제3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통부, 상기 제1신축부, 상기 제3통부, 상기 제2신축부와 상기 제2통부가 하나의 통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3통부는, 상기 외측통체와 상기 내측통체를 고정하는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 구멍은, 상기 내측통체의 지름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외측통체의 지름보다도 작은 지름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치구를 제공한다.
청구항2의 발명은, 상기 접촉자는, 상기 접촉자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검사용 치구를 제공한다.
청구항3의 발명은, 상기 내측통체 및 상기 외측통체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검사용 치구를 제공한다.
청구항4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상기 외측통체의 외경이 250μ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 내지 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검사용 치구를 제공한다.
청구항5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상기 외측통체와 상기 내측통체의 각각의 두께가 대략 5~50μm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검사용 치구를 제공한다.
청구항6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상기 검사용 치구의 접촉자가, 상기 검사용 치구에 장착되고 사용되지 않을 때에, 상기 제1신축부가 본래의 길이이며, 상기 제2신축부가 가압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검사용 치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의 미세화 및 복잡화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감소시킨 간소화된 구조의 검사용 치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검사용 치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접촉자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a)는 내측통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b)는 내측통체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c)는 외측통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d)는 외측통체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의 접촉자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외측통체에 내측통체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접촉자를 지지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접촉자의 부착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1판상부재와 제2판상부재는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검사용 치구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접촉자가 전극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지지체와 전극체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접촉자의 내측통체 및 외측통체의 내벽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검사용 치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다.
본 발명에 관한 한 실시예의 검사용 치구(1)는, 복수의 접촉자(2), 이들 접촉자(2)를 바늘 모양으로 지지하는 지지체(3), 이 지지체(3)를 지지함과 아울러 접촉자(2)와 접촉하여 도통상태가 되는 전극부를 구비하는 전극체(4), 전극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연장되는 도선부(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 도1에서는 복수의 접촉자(2)로서 3개의 접촉자가 도시됨과 아울러 각각에 대응하는 3개의 도선부(5)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3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검사대상의 기판에 설정되는 검사점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접촉자(2)는, 그 일단이 기판의 배선 상에 미리 설정되는 소정의 검사점에 압접되고, 타단이 검사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부에 압접된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접촉자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a)는 내측통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b)는 내측통체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c)는 외측통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d)는 외측통체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촉자(2)는, 양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외측통체(2b)와, 외측통체(2b)의 내측에 수용됨과 아울러 외측통체(2b)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내측통체(2a)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내측통체(2a)는, 소정의 길이를 구비함과 아울러 중공(中空) 모양의 원기둥 형상인 통모양 부재에 의하여 형성된다. 내측통체(2a)를 형성하는 통모양 부재는, 그 일단부가 검사점에 접촉하고, 타단부가 후술하는 전극부에 접촉함으로써 검사점과 전극부의 전기적 접속을 하게 된다.
내측통체(2a)는, 제1통부(2a1), 제2통부(2a2), 제3통부(2a3), 제1신축부(2a4)와, 제2신축부(2a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내측통체(2a1)는, 도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통부(2a1), 제1신축부(2a4), 제3통부(2a3), 제2신축부(2a5), 제2통부(2a2)의 순서로 통하도록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1통부(2a1)는, 일단이 검사점에 접촉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제1안내 구멍(311)(또는 제1안내 상부 구멍(311a))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 제1통부(2a1)는 중공 모양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1통부(2a1)의 길이는 적어도 제1안내 구멍(311)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고, 제1통부(2a1)가 검사점에 압접된 경우에 제1안내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통부(2a2)는, 일단이 전극부에 접촉함과 아울러 외측통부(2b)를 통하여 후술하는 제2안내 구멍(321)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 제2통부(2a2)는 중공 모양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2통부(2a2)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제2안내 구멍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고, 제2통부(2a2)가 전극부에 압접된 경우에 제2안내 구멍(321)을 관통하여 삽입된 외측통체(2b)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1통부(2a1)와 제2통부(2a2)는 대략 같은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신축부(2a4)는, 제1통부(2a1)와 동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통체(2a)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신축부(2a4)는, 통모양 부재에 슬릿 형상의 절단부가 형성된 코일 스프링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코일 스프링 형상부가 신축기능을 하게 된다.
제1신축부(2a4)는, 제1통부(2a1)의 타단과 제3통부(2a3)의 일단과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제1통부(2a1)와 동축이고 또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신축부(2a5)는, 제2통부(2a2)와 동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통체(2a)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신축부(2a5)는, 통모양 부재에 슬릿 형상의 절단부가 형성된 코일 스프링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 이 코일 스프링 형상부가 신축기능을 하게 된다.
제2신축부(2a5)는 제2통부(2a2)의 타단과 제3통부(2a3)의 타단과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제2통부(2a2)와 동축이고 또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통부(2a3)는, 제1신축부(2a4)와 제2신축부(2a5)가 통하도록 연결하는 중공 모양의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제3통부(2a3)는, 일단부는 제1신축부(2a4)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신축부(2a5)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3통부(2a3)는, 제1신축부(2a4)와 제2신축부(2a5)와 동축이고 또한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1통부(2a1)와 제2통부(2a2)와도 동축이고 또한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3통부(2a3)의 길이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외측통체(2b)와의 접속부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게 된다. 또, 도2(a)에서는, 제3통부(2a3)가 내측으로 약간 들어간 상태로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후술하는 외측통체(2b)와 고정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내지 제3통부와 제1 내지 제2신축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축이고 또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게 되므로, 이들의 통부 및 신축부는 1개의 통모양 부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측통체(2a)가 1개의 통모양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본실시예에서는 제3통부(2a3)를 중심으로 하여, 제1신축부(2a4)와 제2신축부(2a5)의 2개의 신축부가 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을 나타내고 있지만, 제3통부(2a3)를 중심으로 원하는 수의 신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내측통체(2a)는, 상기와 같은 1개의 도전성의 통모양 부재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고, 외경 20~250μm, 내경 10~230μm, 그 두께 5~50μm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치수로 형성함으로써 미세화 및 복잡화된 기판의 배선이나 반도체 장치 등의 피검사물에 대하여도 간소화된 구조의 검사장치로서 대응할 수 있다.
이 내측통체(2a)의 예에서는, 그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 또는 선대칭이 되도록 각 부위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이렇게 대칭형상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기판검사용 치구의 지지체에 장착할 때에, 접촉자(2)의 상하의 구별이 없이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내측통체(2a)는, 그 일단이 검사점에 접촉하고, 그 타단이 전극부에 접촉하여 이 내측통체(2a)를 통하여 검사점과 전극부의 전기적 도통을 도모하기 위해서, 내측통체(2a)는 도전성의 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소재로서는, 도전성을 구비하는 소재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니켈이나 니켈 합금이나 팔라듐 합금을 예시할 수 있다.
이 내측통체(2a)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전성을 구비하는 재료로 형성되게 되나, 피검사물의 미세화 및 복잡화에 따라 접촉자(2) 자체도 세선화 하여 형성하여야만 한다. 특히, 지지판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신축하기 위해서는, 접촉자(2) 자체에 신축기능을 구비하도록 형성하여야만 하지만, 종래의 권선을 사용한 코일 스프링과 같은 부위를 형성하여서는, 권선 자체의 지름의 크기에 의존하게 되어 권선의 지름의 4배정도보다 작은 지름을 구비하는 코일의 형성이 곤란하여, 외경이 100μm 이하의 코일 스프링을 형성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였다. 가령 형성할 수 있다고 하여도, 제조비용의 문제로부터 2~4000개의 접촉자를 구비하는 검사용 치구에 이용하는 것은 너무 고가가 되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을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는 하기의 같은 제조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저렴하고 또한 용이하게 미세한 접촉자를 제조할 수 있다.
내측통체(2a)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하기의 같은 2개의 제조방법을 개시할 수 있다.
[제법예1]
(1)우선, 내측통체(2a)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심선(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을 준비한다. 또, 이 심선은, 내측통체(2a)의 내경을 규정하는 원하는 굵기(예를 들면 지름 30μm)의 SUS선을 사용한다.
(2)계속하여 심선(SUS선)에 포토레지스트 피막을 도포하여 이 심선의 원주면을 덮는다.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원하는 부분을 노광?현상?가열 처리하여 나선 모양의 마스크를 형성한다. 이 때에, 예를 들면 심선을 중심축을 따라 회전시켜, 레이저에 의하여 노광하여 나선 모양의 마스크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측통체(2a)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2개의 신축부(제1신축부(2a4)와 제2신축부(2a5))가 소정의 거리(제3통체(2a3)의 길이분의 거리)를 구비하여 형성되게 된다.
(3)계속하여 이 심선에 니켈 도금을 실시한다. 이 때에, 심선이 도전성이기 때문에 포토레지스트 마스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장소는 니켈 도금된다.
(4)계속하여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하고 심선을 뽑아내어, 원하는 길이로 통체를 절단하여 내측통체(2a)를 형성한다. 심선을 완전히 뽑아내기 전에 통체를 절단하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내측통체(2a)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제법예2]
우선, 상기와 같은 내측통체(2a)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심선(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을 준비한다.
이 심선에 니켈을 원하는 두께로 도금하여 심선의 원주면에 니켈 도금층을 형성한다.
(2)다음에 이 니켈 도금층의 표면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원하는 부분을 노광?현상?가열 처리하여 나선 모양의 마스크를 형성한다. 이 때에, 예를 들면 심선을 중심축을 따라 회전시켜, 레이저에 의하여 노광하여 나선 모양의 마스크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측통체(2a)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2개의 신축부(제1신축부(2a4)와 제2신축부(2a5))가 소정의 거리(제3통체(2a3)의 길이분의 거리)를 구비하여 형성되게 된다.
(3)계속하여 니켈 도금을 에칭 제거한다. 이 때에, 포토레지스트 마스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장소의 니켈 도금이 제거된다.
(4)계속하여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하여 심선을 뽑아내고, 원하는 길이로 통체를 절단하여 내측통체(2a)를 형성한다. 심선을 완전하게 뽑아내기 전에 통체를 절단하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종래의 권선을 사용한 코일 스프링 방식은 권선 재료의 지름에 의존하여, 상기 지름의 4배정도보다 작은 지름을 구비하는 코일의 형성이 곤란하여, 100μm 이하의 코일 스프링을 형성하는 것이 극히 곤란했다. 상기한 제법에 의한 본 발명의 내측통체(2a)는, 심선을 니켈 도금하여 원하는 형상을 형성한 후에 심선을 뽑아냄으로써 제조하기 때문에 종래의 권선을 사용한 코일 스프링 방식의 것보다도, 스프링 재료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동시에 미세한 외경 및 내경을 고정밀도로 일괄 제조할 수 있다.
외측통체(2b)는,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는 중공부(2b2)를 구비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통체(2b)는, 예를 들면 외경 20~250μm, 내경 10~230μm, 그 두께 5~50μm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치수로 형성됨으로써 미세화 또한 복잡화된 기판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외측통체(2b)의 중공부(2b2)에, 내측통체(2a)가 동축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에, 내측통체(2a)의 제1통부(2a1)와 제2통부(2a2)가 각각 외측통체(2b)의 개구부로부터 연장하여 배치된다(도3 참조).
외측통체(2b)의 길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통체(2a)의 제1통부(2a1)와 제2통부(2a2)가 각각 그 개구부로부터 연장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 외측통체(2b)는, 내측통체(2a)의 제1신축부(2a4)와 제2신축부(2a5)가 외측통체(2b)의 중공부(2b2)에 항상 수납되는 길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내측통체(2a)의 양 신축부가 외측통체(2b) 내부에 항상 수용됨으로써, 양 신축부가 신축 운동할 때의 신축방향의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신축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2(c)에 나타내는 외측통체(2b)는, 그 중앙에 내측통체(2a)와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2b3)가 형성된다. 이 접속부(2b3)는, 외측통체(2b)의 중공부(2b2)에 내측통체(2a)가 수용되어, 외측통체(2b)의 양 개구단으로부터 내측통체(2a)가 연장하여 배치된 경우에,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측통체(2b)의 대략 중앙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가압(코킹(caulking))을 함으로써 외측통체(2b)와 내측통체(2a)를 고정하여 외측통체(2b)에 접속부(2b3)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접속부(2b3)는, 내측통체(2a)가 수용되고 나서 비로서 형성되게 된다.
또 도2(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측통체(2b)는, 내측통체(2a)와 고정되기 위하여 접속부(2b3) 부분의 내경이 다른 부분보다도 작게 형성되게 된다.
또, 외측통체(2b)와 내측통체(2a)는, 접속부(2b3)의 부분을 고정할 수 있으면, 레이저 용접, 아크 용접이나 접착제 등의 다른 고정방법을 사용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촉자(2)는, 외측통체(2b)의 중공부(2b2)에 내측통체(2a)가 배치되고, 외측통체(2b)의 양 개구단으로부터 내측통체(2a)의 제1통부(2a1)와 제2통부(2a2)가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접촉자(2)는 외관상으로는 점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이, 접촉자(2)의 구성에 관한 설명이다.
본 검사용 치구(1)는, 복수의 접촉자(2)를 바늘 모양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체(3)는,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판상부재(31)와 제2판상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판상부재는 절연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1판상부재(31)는, 접촉자(2)의 일단을 검사점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 구멍(311)을 구비한다.
제1안내 구멍(311)은,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경이 서로 다른 제1안내 상부 구멍(311a)과 제1안내 하부 구멍(31lb)이 통하도록 연결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제1안내 상부 구멍(311a)은, 내측통체(2a)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고 또한 외측통체(2b)의 외경보다도 작은 지름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안내 하부 구멍(31lb)은, 외측통체(2b)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지름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판상부재(31)의 제1안내 구멍(311)으로부터 접촉자(2)가 빠지는 일이 없다.
이러한 제1안내 구멍(3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외경이 서로 다른 2개의 구멍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렇게 외경이 차이가 나는 부분이 접촉자(2)의 내측통체(2a)와 외측통체(2b)의 단차에 결합된다. 특히, 내측통체(2a)와 외측통체(2b)에 의한 단차는, 어느 쪽의 통부도 니켈 전주층(nickel 電鑄層)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경도(硬度)가 높아, 검사점에 대하여 몇만번, 몇십만번 슬라이딩이 반복되어도 바람직한 내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제2판상부재(32)는, 제1판상부재(3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아울러 접촉자(2)의 타단을 전극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2안내 구멍(321)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2판상부재(32)와 제1판상부재(31)의 소정의 간격(d1)은, 외측통체(2b)의 길이보다도 짧고 또한 제1판상부재(31)의 제1안내 구멍(311) 내에 내측통체(2a)와 외측통체(2b)의 단차(경계)가 배치되도록 설정된다.
제2안내 구멍(321)은, 접촉자(2)의 외측통체(2b)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지름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지지체(3)에 접촉자(2)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이 제2안내 구멍(321)측으로부터 접촉자(2)를 삽입하게 된다.
도5에 나타내는 전극체(4)는, 전극부(41)가 복수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전극체(4)는 절연재료로 형성되고,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전극부(41)를 지지하고 있다.
전극부(41)는, 각 접촉자(2)의 내측통체(2a)의 단부와 접촉하여 도통상태가 되어 각각이 검사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전극부(41)는 구리 도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도선의 단면(전극부(41))과 전극체(4)의 표면이 대략 하나의 면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5 참조).
접촉자(2)가 장착된 지지체(3)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극체(4)에 장착된다. 이 때에, 접촉자(2)의 내측통체(2a)의 제2통부(2a2)의 타단부와 전극체(4)의 전극부(41)가 접촉하도록 위치결정 되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지지체(3)가 전극체(4)에 고정되는 경우에, 접촉자(2)는 지지체(3)의 제1판상부재(31)로부터 외측통체(2b)가 전극체(4) 측으로 가압된다. 이 때문에 내측통체(2a)의 제2신축부(2a5)가 압축되고, 그 압축력에 의하여 제2통부(2a2)가 전극부(41)를 가압하게 된다. 즉, 접촉자(2)의 내측통체(2a)와 전극부(41)가 안정적인 접촉상태가 된다. 또, 이 경우에는, 제1신축부(2a4)에는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고 있는 상태로서 본래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다. 즉, 본 검사용 치구(1)에서는, 접촉자(2)가 장착된 때에는, 제1판상부재(31)가 외측통체(2b)를 전극부(41) 측으로 가압한다. 이 때에, 외측통체(2b)와 내측통체(2a)가 접속부(2b3)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신축부(2a5)가 전극부(41)에 압접된다.
또한 실제로 검사점에 접촉자(2)(내측통체(2a)의 제1통부(2a1))가 접촉하는 때는, 그 접촉에 따라 제1신축부(2a4)가 압축되어, 검사점에 대하여 이 압축력에 의하여 안정하게 접촉하게 된다.
즉, 제1신축부(2a4)와 제2신축부(2a5)를 이용하는 경우가 다르게 되어, 접촉자(2)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서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도선부(5)는 전극부(41)와 검사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도선부(5)의 치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검사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면 상관없다.
또, 도1에서는, 도선부(5)는 검사용 치구(1)의 하방면으로부터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검사용 치구(1)의 하방면으로부터 검사장치에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1 검사용 치구
2 접촉자
2a 내측통체
2a1 제1통부
2a2 제2통부
2a3 제3통부
2a4 제1신축부
2a5 제2신축부
2b 외측통체
2b3 접속부
3 지지체
31 제1판상부재
32 제2판상부재
4 전극체
41 전극부

Claims (6)

  1. 검사의 대상이 되는 피검사물(被檢査物)과 상기 피검사물에 형성되는 검사체(檢査體)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장치(檢査裝置)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검사용 치구(檢査用治具)로서,
    일단(一端)이 상기 피검사물의 검사체 상에 미리 설정되는 검사점(檢査點)에 압접(壓接)되고, 타단(他端)이 상기 검사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부(電極部)와 압접되는 접촉자(接觸子)와,
    상기 접촉자의 일단을 상기 검사점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 구멍을 구비하는 제1판상부재(第1板狀部材)와,
    상기 제1판상부재와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자의 타단을 상기 전극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2안내 구멍을 구비하는 제2판상부재와,
    상기 전극부가 복수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전극체(電極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자는,
    양단(兩端)에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하는 외측통체(外側筒體)와,
    상기 외측통체의 내측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외측통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내측통체(內側筒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통체는,
    일단이 상기 검사점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제1안내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통부(第1筒部)와,
    상기 제1통부와 동축(同軸)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측통체의 길이방향으로 신축(伸縮)하는 제1신축부(第1伸縮部)와,
    타단이 상기 전극부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제2안내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2통부와,
    상기 제2통부와 동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자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제2신축부와,
    상기 제1신축부와 상기 제2신축부가 통하도록 연결하는 제3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통부, 상기 제1신축부, 상기 제3통부, 상기 제2신축부와 상기 제2통부가 하나의 통부재(筒部材)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3통부는, 상기 외측통체와 상기 내측통체를 고정하는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 구멍은, 상기 내측통체의 지름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외측통체의 지름보다도 작은 지름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상기 접촉자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對稱)이 되는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치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통체 및 상기 외측통체는 니켈을 포함하는 합금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치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통체의 외경(外徑)이 20 ~ 250μm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치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통체와 상기 내측통체의 각각의 두께가 5~50μm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치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치구의 접촉자가 상기 검사용 치구에 장착되고 사용되지 않을 때에, 상기 제1신축부가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고 있는 본래의 길이 상태이며, 상기 제2신축부가 가압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용 치구.
KR1020100050044A 2009-05-29 2010-05-28 검사용 치구 KR101141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0335A JP2010276510A (ja) 2009-05-29 2009-05-29 検査用治具
JPJP-P-2009-130335 2009-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218A KR20100129218A (ko) 2010-12-08
KR101141206B1 true KR101141206B1 (ko) 2012-05-04

Family

ID=43226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044A KR101141206B1 (ko) 2009-05-29 2010-05-28 검사용 치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276510A (ko)
KR (1) KR101141206B1 (ko)
CN (1) CN101900748B (ko)
TW (1) TWI4228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6687B2 (ja) * 2010-04-19 2015-09-09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検査用接触子及び検査用治具
KR101795836B1 (ko) * 2011-02-10 2017-11-08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검사 지그
JP5845678B2 (ja) * 2011-07-21 2016-01-20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検査用接触子及び検査用治具
JP5821432B2 (ja) * 2011-09-05 2015-11-24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接続端子及び接続治具
JP2013190270A (ja) * 2012-03-13 2013-09-26 Nidec-Read Corp プローブ及び接続治具
JP2015021726A (ja) * 2013-07-16 2015-02-02 日置電機株式会社 プローブユニットおよび基板検査装置
JP6484137B2 (ja) * 2014-11-26 2019-03-13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プローブ及び接触検査装置
CN104714059A (zh) * 2015-03-19 2015-06-17 东莞鸿爱斯通信科技有限公司 测试接头
JP6527762B2 (ja) * 2015-06-19 2019-06-05 日本電子材料株式会社 プローブ
JP6484136B2 (ja) * 2015-07-27 2019-03-13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接触検査装置
KR101869335B1 (ko) * 2016-01-29 2018-06-20 최선영 프로브 핀 및 그 제조방법
US10656179B2 (en) 2016-11-30 2020-05-19 Nidec-Read Corporation Contact terminal, inspection jig, and inspection device
WO2020039969A1 (ja) * 2018-08-23 2020-02-27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検査治具、検査装置、及び接触端子
WO2021064788A1 (ja) * 2019-09-30 2021-04-08 三菱電機株式会社 検査治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849A (ja) 2001-12-27 2003-07-09 Takashima Sangyo Kk コンタクトプローブ
JP2007024664A (ja) 2005-07-15 2007-02-01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垂直コイルスプリングプロ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ーブ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028B2 (ja) * 1995-09-28 2001-05-1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抵抗値測定装置
KR100877243B1 (ko) * 2001-02-19 2009-01-07 니혼 덴산 리드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 검사 장치 및 회로 기판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JP2004219282A (ja) * 2003-01-16 2004-08-05 Toyo Denshi Giken Kk プローブとそれを用いたコンタクト装置
JP2005049163A (ja) * 2003-07-31 2005-02-24 Yokowo Co Ltd 高周波・高速用デバイスの検査治具および検査用プローブ
CN2833600Y (zh) * 2005-07-06 2006-11-01 颜鸿杰 测试治具的探针结构改良
WO2007116963A1 (ja) * 2006-04-07 2007-10-18 Nidec-Read Corporation 基板検査用接触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304008A (ja) * 2006-05-12 2007-11-22 Nidec-Read Corp 基板検査用接触子、基板検査用治具及び基板検査装置
CN200956035Y (zh) * 2006-08-24 2007-10-03 中国探针股份有限公司 可替换式探针结构
JP4625480B2 (ja) * 2007-03-30 2011-02-02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検査治具
KR100975808B1 (ko) * 2007-04-17 2010-08-13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기판검사용 치구
CN201110927Y (zh) * 2007-11-02 2008-09-03 振展科技股份有限公司 牙孔检测探针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849A (ja) 2001-12-27 2003-07-09 Takashima Sangyo Kk コンタクトプローブ
JP2007024664A (ja) 2005-07-15 2007-02-01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垂直コイルスプリングプロ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ーブ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218A (ko) 2010-12-08
TW201102662A (en) 2011-01-16
TWI422831B (zh) 2014-01-11
CN101900748A (zh) 2010-12-01
CN101900748B (zh) 2013-05-08
JP2010276510A (ja)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206B1 (ko) 검사용 치구
KR101127030B1 (ko) 검사용 치구 및 검사용 접촉자
JP5607934B2 (ja) プローブユニット
US8816710B2 (en) Inspection contact element and inspecting jig
JP5426161B2 (ja) プローブカード
KR101157879B1 (ko) 검사용 치구 및 접촉자
US10877085B2 (en) Inspection jig and inspection device
KR20140013985A (ko) 검사용 지그 및 접촉자
KR20130105326A (ko) 프로브 및 접속치구
JP2010281592A (ja) プローブ及び検査用治具
JP2009036745A (ja) 電気信号接続装置
KR101312340B1 (ko) 검사용 접촉자 및 검사용 치구
KR20100029035A (ko) 기판검사용 검사치구
JP2010078432A (ja) 基板検査治具及び接触子
JP2009156720A (ja) 基板検査用治具及び検査用接触子
JP2010276359A (ja) 基板検査装置用検査治具
JP2010091314A (ja) 基板検査治具及び検査用プローブ
US20230349946A1 (en) Tubular body, contact terminal, inspection jig, and inspection apparatus
US20220178968A1 (en) Contact terminal, inspection jig, and inspection device
JP2010060310A (ja) 基板検査治具及びその電極部
JP2010025665A (ja) 基板検査治具及び接触子
WO2012014905A1 (ja) 接触子及び接触子の製造方法
JP2013174471A (ja) 検査用治具及び接触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