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796B1 - 조립식 난간 - Google Patents

조립식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796B1
KR101140796B1 KR1020110096263A KR20110096263A KR101140796B1 KR 101140796 B1 KR101140796 B1 KR 101140796B1 KR 1020110096263 A KR1020110096263 A KR 1020110096263A KR 20110096263 A KR20110096263 A KR 20110096263A KR 101140796 B1 KR101140796 B1 KR 101140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bar
fixing
vertical
suppor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콘
Priority to KR1020110096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7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with hinged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8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top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주;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지면에 일체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지주를 수직상태로 지면에 고정하는 패스너; 상기 패스너에 의해 수직상태로 고정된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이격설치되고, 길이를 갖는 관체형의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를 상기 지주에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길게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와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개방구를 형성하는 절곡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후크형태의 수평레일; 수평레일에 헤드가 끼워지는 고정볼트; 지주를 관통한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 및 가로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주에 수평상태로 고정되는 가로대가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지주에 고정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난간{ASSEMBLY TYPE BALUSTRADE}
본 발명은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에 설치되는 가로대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지주에 고정시킬 수 있는 조립식 난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난간은 도로의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여 설치되거나 산책로 또는 자전거도로를 따라 설치되어 보행자에 안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선행하여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85188호에 개시된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가 있다.
종래기술의 난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에 슬라이드홈(101)이 형성된 지주(100), 지주(100)의 슬라이드홈(101)에 결합되는 가로대(200), 가로대(200)의 끝단을 지주(100)에 고정하는 연결구(3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난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200)의 단부에 형성된 구형의 결합봉(20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연결대(310) 및 지주(100)의 슬라이드홈(10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홈(10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고정대(400)를 체결볼트(500)로 결합하여 가로대(200)를 지주(100)에 고정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난간은 고정대(400)가 연결대(300)와 분리된 상태로 슬라이드홈(101)에 삽입되기 때문에 가로대(200)의 설치부위에 위치하지 못하고 수직방향의 슬라이드홈(101)을 따라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고정대(400)가 낙하하지 않도록 한 손으로 고정대(400)를 지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한 손으로 연결대(300)의 나사공(311)을 고정대(400)의 나사공(401)에 연통시킨 후 체결볼트(500)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혼자서는 작업이 불가능하여 작업인력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난간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홈(101)을 구성하는 부재가 지주(100)와 별개의 부재로 제작되어 지주(100)에 결합되기 때문에 지주(100)의 강성이 약화되며, 특히 가로대(2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전달되는 연결대(300) 및 고정대(400)가 결합된 부위의 강성이 약화됨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지주에 결합되는 관체형의 가로대를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구성함은 물론,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로대를 지주에 연결하는 부재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가로대와 지주가 결합된 결합부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조립식 난간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난간은 지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주;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지면에 일체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지주를 수직상태로 지면에 고정하는 패스너; 상기 패스너에 의해 수직상태로 고정된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이격설치되고, 길이를 갖는 관체형의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를 상기 지주에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로대는 예컨대, 길게 형성된 평판형태의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양측에 상기 수직부와 직각상태로 연장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수직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각기 절곡되어 상기 수직부의 후방에 개방구를 형성하는 절곡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예컨대, 상기 수직부의 내측면에 동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수직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상태로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후크형태의 수평레일; 상기 수평레일에 헤드부가 끼워져서 일측이 상기 수평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나사부가 상기 가로대의 개방구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지주에 고정되며,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헤드부를 통해 상기 수평레일의 내측을 지지하여 상기 지주에 수평상태로 고정된 상기 가로대의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볼트; 상기 지주를 관통한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가로대를 상기 지주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너트; 및 상기 가로대의 내측에 지지력을 제공하여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부가 관통된 상기 가로대의 개방구에 의해 강성이 약화된 상기 가로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난간에 의하면, 지주에 수평상태로 고정되는 가로대가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지주에 고정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수평레일이 가로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고정볼트의 헤드부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고정볼트와 함께 지주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추가인력이 없이도 가로대를 지주에 조립할 수 있고, 보강부재에 의해 가로대의 내측에 지지력이 제공되어 가로대의 강성이 보강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난간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보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주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단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 패스너(20), 가로대(30)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지주(10)는 인도나 자전거도로 또는 산책로 등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의 지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써, 도 3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I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패스너(20)는 지주(10)의 하단부를 지면에 일체적으로 고정하여 지주(10)를 수직상태로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패스너(20)는 예컨대 도 2의 좌측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대(21) 및 정착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초대(21)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지면에 매립되어 양생됨에 따라 지주(10)를 지면에 고정한다. 따라서, 패스너(20)는 기초대(21)만으로도 지주(10)를 수직상태로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정착재는 지주(10)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지주(10)와 함께 기초대(21)에 삽입되어 지주(10)를 기초대(21)에 정착시키는 동시에 기초대(21)의 균열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정착재는 예컨대, 도 2의 좌측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하단부에 수평상태로 관통설치되는 코일스프링(2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하단부를 관통하면서 양단부가 지주(10)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위를 통해 기초대(21)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와 접착되어 지주(10)를 콘크리트에 걸린상태로 정착시키면서 콘트리트의 인장강도를 강화시킨다.
따라서, 지주(10)는 코일스프링(22)에 의해 기초대(2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기초대(21)는 코일스프링(22)에 의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가 강화되므로 균열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스프링(22)은 도시된 바와 달리 복수로 구성되어 지주(10)의 하단에 관통할 수 있으며, 길게 형성되어 지주(10)의 하단부를 지그재그 형태로 관통하면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22)은 도시된 바와 달리 내측에 볼트나 핀과 같은 미도시된 심재가 삽입된 상태로 지주(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심재는 코일스프링(22)의 내측에서 콘크리트와의 접착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지주(10)의 정착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지주(10)는 코일스프링(22)에 마련된 심재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기초대(2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정착재는 전술한 바와 달리 예컨대 도 2의 우측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핀(23) 및 면체(24)로 구성할 수도 있다.
관통핀(23)은 FRP바 또는 철근으로 구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에 관통설치되면서 양단부가 지주(10)의 양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FRP바(Fiber Reinforced Polymer)는 섬유혼입중합체로 이루어져 바형태로 형성된 부재를 일컫는 것으로, 열경화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지재료에 탄소섬유나 유리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 등과 같은 특수섬유가 함유되어 형성되며, 재질특성으로 인하여 내부식성, 경량성 및 탄성계수가 높아서 매우 우수한 인장강도를 갖는다.
면체(24)는 도 2의 우측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하단부에서 반원형태로 절곡되면서 양측이 관통핀(23)의 양단부에 제각기 걸려서 고정되며, 철망이나 FRP직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초대(21)를 구성하는 콘크리트는 망형태로 형성된 면체(24)에 의해 인장강도가 강화되어 균열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패스너(20)는 지주(1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대(21)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기초대(21)의 상부로 돌출되는 앵커볼트(25)와, 앵커볼트(25)에 고정되는 앵커브래킷(26) 및 지주(10)의 하단에 마련되는 요크(27)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패스너(20)는 앵커브래킷(26)과 요크(27)가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28)에 의해 고정되면서 지주(10)를 지면에 고정한다.
가로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이격설치되는 관체형의 부재로써,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태의 수직부(31)가 전방에 형성되고, 수직부(31)의 양측이 직각상태로 연장되는 수평부(32)를 가지며, 수평부(32)의 양단이 수직부(31)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각기 절곡되면서 수직부(31)의 후방에 개방구(33)를 형성하는 절곡단(34)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가로대(30)는 대략 'ㄷ'형태로 압출성형될 수 있다.
고정수단(40)은 가로대(30)를 지주(10)에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레일(41), 고정볼트(42), 고정너트(43) 및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평레일(4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31)의 내측면에 수직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후크형태를 이루면서 대향상태로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고정볼트(42)는 가로대(30)를 수평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지주(10)에 고정하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레일(41)에 헤드부(41a)가 끼워져서 걸린상태로 수평레일(41)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나사부(42b)가 가로대(30)의 개방구(33)를 통해 돌출되어 지주(10)를 관통한다.
이러한 고정볼트(42)는 조립현장에서 수평레일(41)에 끼워진 후 고정너트(43)에 의해 지주(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공장에서 고정너트(43)에 의해 지주(10)에 사전조립될 수도 있다.
고정너트(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를 관통한 고정볼트(42)의 나사부(42b)에 체결되면서 가로대(30)를 지주(10)에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즉, 가로대(30)는 수평레일(41)이 고정볼트(42)의 헤드부(42a)에 걸린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볼트(42)와 결합되며, 고정너트(43)의 체결력에 의해 헤드부(42)가 수평레일(41)의 내측을 지지하면서 지주(10)에 고정된다.
따라서, 가로대(30)는 고정볼트(42)에 걸린상태로 지주(10)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별개의 인력을 통해 지지하지 않고도 지주(10)에 조립될 수 있으며, 고정볼트(42)의 결합부위가 전방으로 노출됨이 없이 지주(10)에 조립될 수 있다.
보강부재는 고정볼트(42)의 나사부(42b)가 돌출된 개방구(33)에 의해 강성이약화된 가로대(30)의 내측에 지지력을 제공하여 가로대(3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부재이며,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스프링(44)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보강스프링(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42)의 나사부(42b)에 끼워지고, 고정너트(43)의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수평레일(41)의 단부 즉, 가로대(30)를 구성하는 수직부(31)의 내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가로대(30)는 보강스프링(44)에 의해 수직부(31)의 강성이 보강됨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는 전술한 바와 달리,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30)에 동일체로 수직부(31) 및 절곡단(34)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니콤(45)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하니콤(45)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단(34)과 수평부(32) 및 수직부(31)의 일부분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45a)으로 형성되며, 통공(45a)의 탄성력을 통해 가로대(30)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가로대(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여기서, 보강부재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31)의 전면에 홈형태로 형성되는 그루브(35)로 구성되어 수직부(31)의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보강부재는 전술한 바와 또 달리, 예컨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30)의 내측에 동일체로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수직부(31) 및 절곡단(34)의 내측면에 제각기 연결되는 연결판(46)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연결판(46)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면을 통해 절곡단(34) 및 수직부(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가로대(30)의 강성을 보강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30)의 일단부를 또 다른 가로대(30')의 일단부에 연결하는 연결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연결부재(50)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51) 및 연결스크류(5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연결대(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3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가로대(30) 및 또 다른 가로대(30')의 단부가 제각기 삽입된다.
연결스크류(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30) 및 또 다른 가로대(30')를 제각기 관통하면서 연결대(51)에 체결되어 가로대(30) 및 또 다른 가로대(30')를 연결된 상태로 고정한다. 이러한 연결스크류(52)는 가로대(30) 및 또 다른 가로대(30')의 후방 즉, 절곡단(34)을 관통하면서 연결대(51)에 체결된다.
따라서, 가로대(30)는 연결부위가 노출됨이 없이 또 다른 가로대(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위가 보강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손잡이를 제공하는 핸드레일(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핸드레일(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파지부(61)가 마련되고, 파지부(61)의 하부에 평판형의 안착부(62)가 형성되어 지주(10)의 상단에 안착되며, 파지부(60)의 양단부에 동일체로 차폐날개(63)가 연장형성되어 안착부(62)를 차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핸드레일(60)은 레일패스너에 의해 지주(10)의 상단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레일패스너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브래킷(64), 레일스크류(65),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연결대(66) 및 연결스크류(67)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레일브래킷(64)은 도 2의 확대도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 앵글로 형성되어 한 쌍이 한 조를 이루며, 일측면이 핸드레일(60)의 안착부(62)와 대면하고 타측면이 지주(10)의 양측면에 제각기 볼팅으로 고정된다.
레일스크류(6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브래킷(64)을 관통하면서 핸드레일(30)의 안착부(62)에 체결되어 핸드레일(30)을 지주(10)의 상단에 고정한다.
레일연결대(66) 및 연결스크류(6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60)을 또 다른 핸드레일(60')에 연결하기 위한 부재로써, 핸드레일(6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레일연결대(66)의 양측에 핸드레일(60) 및 또 다른 핸드레일(60')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연결스크류(67)가 핸드레일(60) 및 또 다른 핸드레일(60')을 제각기 관통하면서 레일연결대(66)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난간은 가로대(30)가 일측에 개방구(33)를 가지면서 수직부(31)의 내측에 수평레일(41)을 갖는 관체형태로 형성되므로 압출성형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특히 수평레일(41)이 고정볼트(42)에 걸린상태로 지주(10)에 설치됨에 따라 지주(1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정위치의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별도의 추가인력이 없이도 혼자서 지주(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를 구성하는 보강스프링(44)에 의해 수직부(31)의 내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므로 개방구(33)에 의해 약화된 가로대(3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가 하니콤(45)이나 연결판(46)으로 구성되어 가로대(30)의 내측에서 충격을 완충시키므로 가로대(3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가로대(30)가 연결부재(50)에 의해 또 다른 가로대(30')에 연결부위의 노출없이 연결될 수 있으며, 고정볼트(42)가 가로대(30)의 내측에 차폐되므로 난간의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패스너(20)를 구성하는 기초대(21)가 정착재에 의해 지주(10)의 하단부에 걸림상태로 정착되므로 지주(10)를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정착재를 구성하는 코일스프링(22)이 지주(10)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지주(10)를 기초대(21)의 콘크리트에 정착시키면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강화시키므로 기초대(21)의 균열이 방지되어 지주(10)가 흔들림없이 수직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정착재가 관통핀(23)에 고정되는 면체(24)로 구성될 경우 망형의 면체(24)에 의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더욱이, 지주(10)의 상단에 마련되는 핸드레일(60)에 의해 손잡이가 제공될 수 있으며, 핸드레일(60)이 레일패스너에 의해 지주(10)에 고정되므로 핸드레일(60)을 지주(10)에 조립상태로 고정함은 물론 또 다른 핸드레일(6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난간을 나타낸다.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난간은 지주(10) 및 가로대(30)의 형태 및 고정수단(40)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으며, 중복되는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지주(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의 관체로 형성되어 전술한 패스너(20)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며, 가로대(30)가 고정수단(40)에 의해 양측면에 고정된다.
가로대(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나 다각의 관체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고정수단(40)에 의해 지주(10)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40)은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레일(71), 걸림턱(72), 절곡브래킷(73), 체결볼트(74) 및 고정볼트(7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직레일(7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된다.
걸림턱(7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레일(71)의 일측에서 돌출되면서 지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절곡브래킷(73)은 가로대(30)의 단부에 고정되는 부재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태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수직레일(71)에 삽입되어 일부분이 걸림턱(72)에 걸린상태로 수직레일(71)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여 후술되는 고정볼트(75)에 의해 걸림턱(72)에 고정된 후, 수직레일(71)의 외측으로 돌출된 타단부에 가로대(30)가 결합된다.
체결볼트(7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브래킷(73) 및 가로대(30)의 단부를 관통하면서 가로대(30)를 절곡브래킷(73)의 타단부에 체결한다.
고정볼트(7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72) 및 수직레일(71)에 삽입된 절곡브래킷(73)을 관통하여 지주(10)에 체결되면서 가로대(30)를 지주(10)에 고정한다.
한편, 제2실시예의 고정수단(40)은 가로대(30)의 단부를 구성하면서 가로대(30)를 체결볼트(74)를 통해 절곡브래킷(73)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7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커넥터(76)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변형돌기(76a-1)가 탄성변형하여 가로대(30)의 내주면과 마찰되면서 가로대(30)에 억지끼움된 상태로 고정되는 삽입관(76a)을 가지며, 삽입관(76a)의 단부에 플랜지형태로 돌출되어 가로대(30)의 단부에 걸리면서 삽입관(76a)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76b)가 마련되고, 스토퍼(76b)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절곡브래킷(73)의 타단부에 밀착되면서 체결볼트(74)가 관통되는 밀착브래킷(76c)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관체로 형성된 가로대(30)는 수직레일(7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볼트(75)에 의해 고정된 절곡브래킷(73)에 커넥터(76)를 통해 조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볼트(7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내측에서 마련되는 보강스프링(75a) 및 너트(75b)에 의해 지주(10)의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지주(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72) 및 수직레일(71)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15a)으로 구성되는 하니콤(15)이 동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하니콤(15)은 절곡브래킷(73)이 고정되는 부위인 걸림턱(7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절곡브래킷(73)을 통해 걸림턱(72)에 가해지는 가로대(30)의 충격을 완충한다.
또 다른 한편, 걸림턱(7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된 상태로 연장형성되면서 탄성절곡부(72b)가 절곡형성된 절첩날개(72a)가 마련될 수 있다.
절첩날개(72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72)과 함께 고정볼트(75)에 의해 관통되며, 탄성절곡부(72b)를 통해 걸림턱(7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걸림턱(72)은 절첩날개(72a) 및 탄성절곡부(72b)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간에 의하면, 지주(10)에 동일체로 형성된 수직레일(71)을 따라 이동하는 절곡브래킷(73)을 먼저 지주(10)에 고정한 후 가로대(30)를 절곡브래킷(73)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추가인력이 없이도 가로대(30)를 지주(10)의 양측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특히, 가로대(30)가 커넥터(76)에 의해 절곡브래킷(73)에 조립상태로 연결되므로 가로대(3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커넥터(76)를 구성하는 삽입관(76a)에 마련되는 변형돌기(76a-1)가 탄성변형하면서 가로대(30)의 내측에 밀착되므로 삽입관(76a)을 가로대(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72)에 마련되는 하니콤(15)이나 절첩날개(72a) 및 탄성절곡부(72b)에 의해 걸림턱(72)의 강성이 보강되므로 절곡브래킷(73)을 통해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어 지주(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지주 20 : 패스너
21 : 기초대 22 : 코일스프링
23 : 관통핀 24 : 면체
30 : 가로대 31 : 수직부
32 : 수평부 33 : 개방구
34 : 절곡단 40 : 고정수단
41 : 수평레일 42 : 고정볼트
43 : 고정너트 44 : 보강스프링
45 : 하이콤 50 : 연결부재
60 : 핸드레일 71 : 수직레일
72 : 걸림턱 73 : 절곡브래킷
74 : 체결볼트 75 : 고정볼트
76 : 커넥터 76a : 삽입관
76b : 스토퍼 76c : 밀착브래킷

Claims (9)

  1. 지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주;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지면에 일체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지주를 수직상태로 지면에 고정하는 패스너;
    상기 패스너에 의해 수직상태로 고정된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상태로 이격설치되고, 길이를 갖는 관체형의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를 상기 지주에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길게 형성된 평판형태의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양측에 상기 수직부와 직각상태로 연장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수직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각기 절곡되어 상기 수직부의 후방에 개방구를 형성하는 절곡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직부의 내측면에 동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수직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상태로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후크형태의 수평레일;
    상기 수평레일에 헤드부가 끼워져서 일측이 상기 수평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나사부가 상기 가로대의 개방구로 돌출되어 상기 지주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지주에 고정되며,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헤드부를 통해 상기 수평레일의 내측을 지지하여 상기 지주에 수평상태로 고정된 상기 가로대의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볼트;
    상기 지주를 관통한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가로대를 상기 지주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너트; 및
    상기 가로대의 내측에 지지력을 제공하여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부가 관통된 상기 가로대의 개방구에 의해 강성이 약화된 상기 가로대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부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너트의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가로대의 내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보강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가로대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의 수직부 및 절곡단 사이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상기 가로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하니콤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의 일단부를 또 다른 가로대의 일단부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가로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대의 일단부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또 다른 가로대의 일단부에 타측이 삽입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가 삽입된 상기 가로대 및 상기 또 다른 가로대를 제각기 관통하면서 상기 연결대에 체결되는 연결스크류;를 포함하는 조립식 난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지주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지면에 매립되는 콘크리트재 기초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간.
  8. 삭제
  9. 삭제
KR1020110096263A 2011-09-23 2011-09-23 조립식 난간 KR101140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263A KR101140796B1 (ko) 2011-09-23 2011-09-23 조립식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263A KR101140796B1 (ko) 2011-09-23 2011-09-23 조립식 난간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058A Division KR20130032813A (ko) 2012-02-20 2012-02-20 조립식 난간
KR1020120017052A Division KR101262613B1 (ko) 2012-02-20 2012-02-20 조립식 난간
KR1020120017055A Division KR101270834B1 (ko) 2012-02-20 2012-02-20 조립식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796B1 true KR101140796B1 (ko) 2012-05-03

Family

ID=4627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263A KR101140796B1 (ko) 2011-09-23 2011-09-23 조립식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7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278B1 (ko) 2012-06-19 2013-08-08 이성재 파이프 조립체
KR102008616B1 (ko) 2018-04-13 2019-08-07 유창열 난간 지주
KR102070378B1 (ko) * 2019-07-24 2020-01-28 주식회사 거원 도로변 동물보호 펜스 구조체
KR20230042818A (ko) 2021-09-23 2023-03-30 유창열 난간 지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773A (ja) * 1993-04-16 1994-10-25 Umeda Kinzoku:Kk 組立建物用構成部材の接合構造
KR100837432B1 (ko) * 2007-11-16 2008-06-12 한경현 충격흡수 볼라드 및 시공방법
KR100915804B1 (ko) 2009-04-28 2009-09-07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시공성이 개선된 난간
KR100949451B1 (ko) * 2010-01-11 2010-03-29 주식회사 누리플랜 매립형 중앙 분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773A (ja) * 1993-04-16 1994-10-25 Umeda Kinzoku:Kk 組立建物用構成部材の接合構造
KR100837432B1 (ko) * 2007-11-16 2008-06-12 한경현 충격흡수 볼라드 및 시공방법
KR100915804B1 (ko) 2009-04-28 2009-09-07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시공성이 개선된 난간
KR100949451B1 (ko) * 2010-01-11 2010-03-29 주식회사 누리플랜 매립형 중앙 분리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278B1 (ko) 2012-06-19 2013-08-08 이성재 파이프 조립체
KR102008616B1 (ko) 2018-04-13 2019-08-07 유창열 난간 지주
KR102070378B1 (ko) * 2019-07-24 2020-01-28 주식회사 거원 도로변 동물보호 펜스 구조체
KR20230042818A (ko) 2021-09-23 2023-03-30 유창열 난간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796B1 (ko) 조립식 난간
KR101687733B1 (ko)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KR101198575B1 (ko) 조립식 난간
KR101262613B1 (ko) 조립식 난간
KR101678849B1 (ko) 출렁거림 및 비틀림 억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케이블 교량
KR101792440B1 (ko) 산책로용 목재 데크
KR101191142B1 (ko) 가드레일용 지주 고정장치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JP6294601B2 (ja) 吊り足場用パネル、吊り足場用パネルの施工方法及び吊り足場用パネルユニット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270834B1 (ko) 조립식 난간
KR20130032813A (ko) 조립식 난간
KR102470452B1 (ko) 교량 점검용 가설 구조물
KR101228441B1 (ko) 강도 보강형 목재난간
KR101249007B1 (ko) 와이어 타입 안전 펜스
KR200480289Y1 (ko)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298689B1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KR100893323B1 (ko) 차량 방호용 목재 난간
KR101701782B1 (ko) 지주의 지지력 보강 기능을 갖는 가드레일
KR102066048B1 (ko) 수직 및 수평하중 보강형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42520A (ko) 산책로용 목교
KR100900554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용 안전장치
KR101939997B1 (ko) 방음벽 시공방법
KR102626645B1 (ko) 무장선 데크시스템
KR200466569Y1 (ko) 철골 설치용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