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311B1 - 용지 혼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혼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311B1
KR101139311B1 KR1020100084547A KR20100084547A KR101139311B1 KR 101139311 B1 KR101139311 B1 KR 101139311B1 KR 1020100084547 A KR1020100084547 A KR 1020100084547A KR 20100084547 A KR20100084547 A KR 20100084547A KR 101139311 B1 KR101139311 B1 KR 101139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ever
lower unit
unit
up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735A (ko
Inventor
정기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테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테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테크원
Priority to KR102010008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311B1/ko
Priority to US13/188,073 priority patent/US20120049440A1/en
Publication of KR2012002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0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4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 B65H2301/42146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by introducing article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3Oscillating,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e.g. dive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용지 이송로의 용지 버퍼장치, 용지 정렬장치 또는 스택커 트레이 상에 적재된 용지와 후속 이송 용지의 적재 순서의 뒤바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용지 혼입방지장치(100)를 제공한다.
용지 혼입방지장치(100)은 적재된 용지와 후속 진입 용지 사이에 후속 진입 용지가 통과하는 하부 유닛(200) 및 상부 유닛(300)을 설치하여 적재 완료된 용지의 후단이 하부 유닛의 초기 상태에서 적어도 하부 유닛의 지지판(202)의 선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후속 진입 용지가 적재될 때에는 상부 유닛의 누름판(302)과 하부 유닛의 지지판(202)이 연동하도록 하여 상부 유닛의 누름판(302) 하강 회동시 하부 유닛의 지지판(202)이 함께 회전하여 적재되는 후속 용지의 후단부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부 유닛의 누름판(302)이 후속 적재 용지의 후단을 눌러 일정 각도 회전한 위치에서 하부 유닛(200)과 상부 유닛(300)의 연동이 해제되어 하부 유닛이 먼저 초기 상태로 복귀되고, 뒤이어 상부 유닛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용지 혼입방지장치{Paper pressure device for finisher apparatus of paper}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인쇄기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는 용지 후처리장치에 있어서, 용지 정렬장치, 용지 버퍼장치, 스택커 트레이등 용지가 2매 이상 적재되는 장치 쪽으로 배출되는 용지의 순서 뒤바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용지 혼입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작업이 완료된 용지는 용지배출장치를 통하여 용지 버퍼장치, 용지 정렬장치 또는 스택커 트레이 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지배출장치를 통하여 용지 버퍼장치, 용지 정렬장치 또는 스택커 트레이 상으로 배출되는 용지는 장치의 내부 온도 등으로 인하여 호형으로 휘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호형으로 휘어진 용지가 버퍼링되거나 스택커 트레이 상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용지의 휨이나 들뜸이 원인이 되어 후속 용지가 선행 용지의 하면 쪽으로 순서가 뒤바뀌어 이송될 수 있고, 용지 정렬장치에서는 용지 정렬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용지의 적재 순서가 바뀌는 경우, 페이지 순서에 관계없이 적재되는 용지라면 별문제가 없으나, 페이지 순서에 따라 적재되어야 할 제본 용지라면 제본 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버퍼링 또는 적재된 용지와 후속 진입 용지 사이에 후속 진입 용지가 통과하는 하부 유닛 및 상부 유닛을 설치하여 적재 완료된 용지의 후단이 하부 유닛의 초기 상태에서 적어도 하부 유닛의 지지판의 선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후속 진입 용지가 적재될 때에는 상부 유닛의 누름판과 하부 유닛의 지지판이 연동하도록 하여 상부 유닛의 누름판 하강 회동시 하부 유닛의 지지판이 함께 회전하여 적재되는 후속 용지의 후단부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부 유닛의 누름판이 후속 적재 용지의 후단을 눌러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한 위치에서 하부 유닛과 상부 유닛의 연동이 해제되어 하부 유닛이 먼저 초기 상태로 복귀되고, 뒤이어 상부 유닛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 이송로 상에 버퍼링 되거나 스택커 트레이 상에 적재되는 용지와 후속 용지의 적재 순서의 뒤바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용지 정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지 혼입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신뢰성과 안정성이 향상된 용지 혼입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는,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제1축의 적어도 일단부에 상기 제1축의 회전 방향과 연동하도록 지지된 레버를 포함하여 구비하는 하부 유닛과,
상기 제1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축과, 상기 제2축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유닛의 지지판과 대향하는 쪽으로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에 설치되는 레버 푸시부재를 포함하여 구비하는 상부 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상부 유닛의 누름판의 회동시 상기 하부 유닛의 지지판은 상기 레버 푸시부재와 상기 레버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상부 유닛의 누름판이 소정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하부 유닛의 레버와 상기 상부 유닛의 레버 푸시부재의 접촉이 해제되어 하부 유닛이 먼저 초기 상태로 복귀한 후, 상부 유닛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 유닛의 하부에는 용지 정렬장치, 스택커 트레이, 용지 버퍼장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 유닛의 레버는 상기 제1축의 중심축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 유닛의 초기 상태 복귀시에 상기 레버 푸시부재는 상기 하부 유닛의 레버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레버의 측면을 밀쳐내고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레버 푸시부재와 상기 레버의 측면 접촉부는 서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레버 푸시부재가 상기 레버의 상부에 위치할 때는 상기 레버 푸시부재의 하면이 상기 레버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버 푸시부재가 상기 레버의 하부에 위치할 때는 상기 레버 푸시부재의 경사면과 상기 레버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레버는 상기 제1축의 중심축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 유닛의 지지판의 후방에는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지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용지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상부 유닛이 구동되고, 상기 상부 유닛의 구동에 따라 그 상부 유닛의 누름판이 이송되어 오는 용지의 후단을 누름과 동시에 상기 하부 유닛의 지지판이 상기 이송되어 용지의 후단 눌림에 방해되지 않도록 연동하여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 유닛의 초기 상태 복귀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는 용지 이송로 상에 용지가 임시로 적재되는 용지 버퍼장치, 용지 정렬장치 또는 스택커 트레이의 용지 진입부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진입 용지가 통과하는 하부 유닛 및 상부 유닛을 설치하고, 진입 용지가 스택커 트레이 상에 적재될 때에는 상부 유닛의 누름판과 하부 유닛의 지지판이 연동하도록 하여 진입 용지의 후단을 상부 유닛의 누름판이 눌러 주도록 하고, 하부 유닛의 지지판이 용지의 누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회피 회전하여 용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용지 버퍼장치, 용지 정렬장치 또는 스택커 트레이 상에 적재되는 용지의 후단이 하부 유닛의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부 유닛의 지지판 선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적재함으로써, 후속 용지와 순서가 뒤바뀌어 적재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용지 정렬장치에 적용 설치하는 경우 휘어진 용지의 후단을 눌러 주므로 조거 등을 이용하여 용지를 정렬할 때 용지 정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용지의 배출 신뢰성과 안정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의 상부 유닛의 누름판 및 하부 유닛의 지지판이 동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의 하부 유닛의 지지판이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부 유닛의 누름판이 복귀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의 상부 유닛의 누름판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부 유닛의 레버 푸시부재가 하부 유닛의 레버 측면과 접촉하여 그 레버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의 상부 유닛과 하부 유닛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의 상부 유닛의 레버 푸시부재의 측면과 하부 유닛의 레버 측면이 서로 경사지게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주로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100)는 용지 이송로 즉, 한 예로 용지 버퍼장치(도시 생략)의 입구, 조거 등이 설치된 용지 정렬장치(도시생략) 또는 스택커 트레이의 입구 등에 용지의 적재 순서 뒤바뀜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용지 이송로 중 스택커 트레이(400)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100)는 스택커 트레이(400)의 입구부 뿐만 아니라 용지가 2매 이상 임시 임시적재되는 장치가 있는 곳이면 그 장치의 입구부의 용지 이송로 상에 설치 적용할 수 있는 기술임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부 유닛(200), 상부 유닛(300)을 구비한다.
먼저, 하부 유닛(200)은 스택커 트레이(400)의 상단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제1축(201)과, 상기 제1축(201)에 날개 모양으로 고정되어 상기 스택커 트레이(400)의 바닥 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판(202)과, 상기 제1축(20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레버(203)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판(202)은 용지가 이송되어 오는 방향을 등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레버(203)는 상기 지지판(202)의 단부를 스택커 트레이(400)의 바닥면 쪽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지렛대로 작용하는 것으로써, 제1축(201)에 고정된다.
상기 레버(203)는 제1축에 그 축의 회전과 연동하도록 고정되고, 제1축의 중심축 방향에 대하여는 유동 가능한 상태로 스프링(205)에 의하여 탄지된다. 상기 레버(203)는 도 10과 같이 일 측면이 테이퍼진 경사면(203)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 제1축(201)은 지지판(202)이 이송용지 가이드면(501)으로부터 약간 경사지게 하향된 위치에서 상부 방향 쪽으로 회전 이동하지 않도록 스토퍼(도시 생략)에 의하여 축 회전이 규제되고, 그 스토퍼된 위치에서 지지판(202)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206)이 고정된다.
한편, 상부 유닛(300)은 하부 유닛의 제1축(201)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축(301)과, 상기 제2축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유닛의 지지판(202)과 대향하는 쪽으로 배치되는 누름판(302)과, 상기 누름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레버 푸시부재(303)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 푸시부재(303)의 일측면에는 도 10과 같이 레버의 경사면 (203a)과 대향하는 경사면(30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 푸시부재(303)가 초기 상태에서 하강할 때는 레버(203)의 끝 단부를 눌러 지지판(202)을 회동시키고, 지지판(202) 및 레버(203)가 초기 위치로 복귀한 후 레버 푸시부재(203)가 복귀하는 과정에서 레버(203)의 측면을 밀어내기 용이하도록 도 10과 같이 레버 푸시부재(203)의 하면 지름이 상면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구조에서 경사면(303a)이 구성되어야 한다. 반면 레버(203)는 하면 지름이 상면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된 구조에서 경사면(203a)이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누름판(302)은 상기 하부 유닛의 지지판(202) 보다 상면 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롤러쌍(502)을 통하여 이송되어 온 용지가 지지판(202)과 누름판(302)에 가이드 되어 스택커 트레이(400)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누름판(302)이 고정된 제2축(301)은 기어(304)를 개재한 구동 모터(305)를 이용하여 소정 각도만큼 정역회전된다. 상기 누름판(302)이 고정된 제2축(301)의 회전 각도는 1개 이상의 누름판 위치감지센서(306)에 의하여 규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 유닛(300) 및 하부 유닛(200)의 전방 즉, 이송용지 가이드면(501)에는 롤러쌍(503)과 용지 감지센서(503)가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는 구동모터(305)가 구동되어 레버 푸시부재(303)가 레버(203)를 누름으로써, 누름판(302)과 지지판(202)이 연동하여 스택커 트레이(400) 바닥면 쪽으로 동시에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누름판(302)이 누름판 위치감지센서(306)에 의하여 감지되는 위치까지 회전 하강하였을 때 레버 푸시부재(303)와 레버(203)의 접촉이 해제되어 스프링(206)의 작용으로 지지판(202) 및 레버(203)가 초기 상태로 복귀한 상태를 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8은 지지판(202) 및 레버(203)가 초기 상태로 복귀한 후 누름판(302) 및 레버 푸시부재(303)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레버(203)의 하부에 위치하는 레버 푸시부재(303)의 경사면이 스프링(205)의 탄지력을 극복하고 레버(202)의 경사면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물론, 하부 유닛이 원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스토퍼에 의하여 제1축(201)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레버 푸시부재(303)가 하부에서 레버(203)을 밀고 올라오더라도 레버(203)는 회전하지 않고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지 혼입방지장치(100)의 동작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부 유닛(300) 및 하부 유닛(200)이 초기 상태(도 9a)에서 상부 유닛이 구동되면 레버 푸시부재(303)에 의하여 레버(203)의 단부가 눌려 지지판(202)이 회전한다(도 9b,도 9c).
상부 유닛의 레버 푸시부재(303)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면 레버 푸시부재(303)와 레버(203)의 접촉이 해제되어 하부 유닛(200)이 원위치로 복귀된다(도 9d). 하부 유닛이 원위치로 복귀된 후 상부 유닛(300)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하부 유닛의 초기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레버 푸시부재(303)가 레버(203)만을 외측으로 밀어낸다(도 9e). 도 9e의 상태에서 레버 푸시부재(303)를 더 역회전시키면 상부 유닛(300)은 도 1 및 도 2의 상태로 원위치 복귀하게 된다.
이어서, 도 11a, 내지도 도 11e를 참고하여 용지 혼입방지장치(100)를 통한 용지 적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1a와 같이 상부 유닛(300) 및 하부 유닛(200)이 초기 상태에서 첫 번째 용지(600)가 롤러쌍(502)을 통하여 상부 유닛의 누름판(302)과 하부 유닛의 지지판(202) 사이로 이송되어 오고, 상기 첫 번째 용지(600)의 후단이 용지 감지센서(503)에 의하여 감지된다.
이어서,도 11b와 같이 그 용지의 후단이 지지판(202)에 도달하는 시간에 맞추어 누름판(302)에 의하여 용지의 후단이 눌려 질 수 있도록 상부 유닛(200)이 구동된다. 상기 상부 유닛이 구동되어 누름판(302)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레버 푸시부재(303)가 레버(203)의 상단을 눌러 지지판(202)이 스택커 트레이(400) 쪽으로 하강 회전한다. 즉, 용지(600이 이송되어 오는 과정에서 용지의 이송로 상에 있던 지지판(202)이 용지의 후단이 통과하는 순간에는 용지의 후단과 접촉되지 않도록 회피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판(202)이 용지의 후단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회피 회전함으로써 누름판(302)이 용지(600)의 후단 누름을 원활히 하고, 스택커 트레이(400)에 용지(600)가 적재되었을 때 용지의 후단이 하부 유닛의 초기 상태 위치를 기준으로 지지판(202)의 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11c와 같이 누름판 위치감지센서(306)에 의하여 감지되는 위치까지 누름판(302)이 회전하면 레버 푸시부재(303)와 레버(203)의 접촉이 해제되어 하부 유닛(200)이 원위치로 복원되고, 스택커 트레이 상에는 첫 번째 용지(600)가 적재완료된다.
첫 번째 용지(600)가 적재완료된 후 도 11d와 같이 상부 유닛(300)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부 유닛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상기 상부 유닛이 원위치로 복귀한 후에는 도 11e와 같이 두 번째 용지(601)가 이송되어 오고, 도 11b내지 도 11d의 과정을 거쳐 두 번째 용지(601)가 스택커 트레이(400) 상에 적재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용지가 이송되어 오는 동안에는 하부 유닛의 지지판(202)이 용지의 이송로 위치에 있다가 용지의 단부가 통과하는 순간에는 용지의 단부를 누르는 누름판(302)과 연동하여 하측으로 회피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후속 용지의 선단이 지지판(202) 쪽으로 진입하는 순간에는 스택커 트레이에 적재완료된 용지의 후단이 지지판의 선단보다 항상 후방에 위치하므로 적재된 용지와 후속 용지의 순서 뒤바뀜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도면 구조 및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용지 혼입방지장치 200 - 하부 유닛
201 - 제1축 202 - 지지판
203 - 레버 203a,303a - 경사면
205,206 - 스프링
300 - 상부 유닛 301 - 제2축
302 - 누름판 303 - 레버 푸시부재
304 - 기어 305 구동모터
306 - 누름판 위치감지센서 400 - 스택커 트레이
501 - 이송용지 가이드면 502 - 롤러쌍
503 - 용지 감지센서 600,601 - 용지

Claims (9)

  1.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제1축의 적어도 일단부에 상기 제1축의 회전 방향과 연동하도록 지지된 레버를 포함하여 구비하는 하부 유닛과,
    상기 제1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축과, 상기 제2축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유닛의 지지판과 대향하는 쪽으로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에 설치되는 레버 푸시부재를 포함하여 구비하는 상부 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상부 유닛의 누름판의 회동시 상기 하부 유닛의 지지판은 상기 레버 푸시부재와 상기 레버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상부 유닛의 누름판이 소정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하부 유닛의 레버와 상기 상부 유닛의 레버 푸시부재의 접촉이 해제되어 하부 유닛이 먼저 초기 상태로 복귀한 후, 상부 유닛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혼입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의 하부에는 용지 버퍼장치, 용지 정렬장치, 스택커 트레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혼입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의 레버는 상기 제1축의 중심축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 유닛의 초기 상태 복귀시에 상기 레버 푸시부재는 상기 하부 유닛의 레버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레버의 측면을 밀쳐내고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혼입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푸시부재와 상기 레버의 측면 접촉부는 서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혼입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푸시부재가 상기 레버의 상부에 위치할 때는 상기 레버 푸시부재의 하면이 상기 레버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버 푸시부재가 상기 레버의 하부에 위치할 때는 상기 레버 푸시부재의 경사면과 상기 레버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혼입방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축의 중심축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혼입방지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의 지지판의 후방에는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지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용지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상부 유닛이 구동되고, 상기 상부 유닛의 구동에 따라 그 상부 유닛의 누름판이 이송되어 오는 용지의 후단을 누름과 동시에 상기 하부 유닛의 지지판이 상기 이송되어 용지의 후단 눌림에 방해되지 않도록 연동하여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혼입방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의 초기 상태 복귀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혼입방지장치.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혼입방지장치.

KR1020100084547A 2010-08-31 2010-08-31 용지 혼입방지장치 KR101139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47A KR101139311B1 (ko) 2010-08-31 2010-08-31 용지 혼입방지장치
US13/188,073 US20120049440A1 (en) 2010-08-31 2011-07-21 Paper mixing preven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47A KR101139311B1 (ko) 2010-08-31 2010-08-31 용지 혼입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35A KR20120020735A (ko) 2012-03-08
KR101139311B1 true KR101139311B1 (ko) 2012-04-26

Family

ID=4569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547A KR101139311B1 (ko) 2010-08-31 2010-08-31 용지 혼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49440A1 (ko)
KR (1) KR1011393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211B1 (ko) 2000-02-24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쇄기의 급지장치
KR100485794B1 (ko) 2003-01-18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3765A (ja) * 1991-01-23 1992-08-31 Canon Inc 排紙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211B1 (ko) 2000-02-24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쇄기의 급지장치
KR100485794B1 (ko) 2003-01-18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49440A1 (en) 2012-03-01
KR20120020735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606B1 (en) Sheet receiving/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408540B2 (en) Sheet ejection devic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S6050699B2 (ja) 複写機、印刷機等のスタツキング装置
CN102398786A (zh) 成像设备
CN102085967A (zh) 纸张传送装置和包括该纸张传送装置的成像设备
JP2007099430A (ja)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139311B1 (ko) 용지 혼입방지장치
CN109422123B (zh) 片材处理装置
US20060244192A1 (e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5699989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976246B2 (ja) シート処理装置
JP5389514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101147464B1 (ko)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JPH0748607Y2 (ja) シート積載装置
JP4006237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90078A (ja) シート積層機構
JP2010037041A (ja) シート処理装置
JP2006306530A5 (ko)
JP5316773B2 (ja) 用紙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75827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5123719B2 (ja) 後処理装置
JPS63143168A (ja) 用紙スタツク装置
JP3028968U (ja) 用紙格納装置
JP2013124140A (ja) 冊子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64310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