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211B1 - 인쇄기의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인쇄기의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211B1
KR100370211B1 KR10-2000-0009100A KR20000009100A KR100370211B1 KR 100370211 B1 KR100370211 B1 KR 100370211B1 KR 20000009100 A KR20000009100 A KR 20000009100A KR 100370211 B1 KR100370211 B1 KR 100370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roller
paper
cam member
locking groov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236A (ko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211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인쇄기의 급지장치는,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인쇄기 본체 내부로 한 장씩 밀어넣는 픽업롤러와; 픽업롤러의 축샤프트에 결합되어 그 픽업롤러와 같이 회전하는 캠부재와; 캠부재의 외주면에 몰입 형성된 로킹홈과; 캠부재 회전에 따라 로킹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된 센서레버와; 걸림돌기가 로킹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센서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로킹홈은 픽업롤러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걸림돌기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픽업롤러가 홈 포지션에 위치될 때 걸림돌기가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막아주기 때문에, 잼 처리를 위해 픽업롤러에 물려있는 용지를 잡아당겨 빼내더라도 홈 포지션이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기의 급지장치{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인쇄기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인쇄기 내부로 피딩하는 유닛의 구조가 개선된 인쇄기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인쇄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기 본체(10) 안으로 급지될 복수매의 용지(S)가 적재되는 트레이(19)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기 본체(10) 내부에는 상기 트레이(19)에 적재된 용지(S)를 본체(10) 안으로 한 장씩 진입시키기 위한 반달형의 픽업롤러(12)가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시 그 원통부가 상기 트레이(19)에 적재된 용지 중 최상단 용지의 선단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픽업롤러(12)가 회전되면 최상단에 적재된 용지가 그 픽업롤러(12)와 접촉되며 마찰력에 이끌려 본체(10) 안으로 진입된다. 물론 픽업롤러(12)의 후단에는 진입된 용지(S)를 인계받아 인쇄기 안으로 연속해서 이송시키기 위한 피딩롤러(미도시)들이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픽업롤러(12)는 용지(S) 선단이 피딩롤러에 물릴 수 있을 정도만 밀어넣으면 된다. 참조부호 11은 적재된 용지(S)의 선단부를 픽업롤러(12) 측으로 들어올리는 노크-업 플레이트를 나타낸 것으로, 그 하부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1a)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또한, 픽업롤러(12)의 축샤프트(13)와 동축상에는 그 픽업롤러(12) 1회전마다 상기 노크-업 플레이트(11)를 압축스프링(11a)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인 하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돌기부(14a)가 마련된 캠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초기상태인 홈 포지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4a)에 의해 노크-업 플레이트(11)가 하방으로 밀려나 있다가, 모터(17)에 의해 축샤프트(13)가 회전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4a)가 돌아가면서 노크-업 플레이트(11)가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올라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최상단의 용지(S)가 픽업롤러(12)에 접촉되어 본체(10) 안으로 끌려 들어간다. 그리고 급지가 끝나면 캠부재(14)의 돌기부(14a)에 의해 노크-업 플레이트(11)가 다시 하방으로 내려가서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급지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려면 상기 노크-업 플레이트(11)의 승하강동작과 상기 픽업롤러(12)의 회전동작이 항상 정확한 타이밍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노크-업 플레이트(11)가 상승되면서 픽업롤러(12)가 용지와 접촉되며 회전하고, 용지의 선단부가 본체(10) 내부의 피딩롤러에 물리는 순간 다시 노크-업 플레이트(11)는 하강하며 픽업롤러(12)도 정지한다. 물론 여러 장의 용지를 계속해서 급지할 경우에는 상기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진행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인쇄작업이 있을 때까지 대기상태에 들어가며 전자클러치(16)가 모터(17)로부터의 동력연결을 끊어놓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대기상태 즉, 홈 포지션이 정확해야만 상기한 동작들의 타이밍이 맞게 된다. 만약 홈 포지션이 부정확하여 타이밍이 제대로 맞지 않으면 용지가 인쇄기 안으로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고 잼(jam)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인쇄기 본체(10) 내부에는 픽업롤러(12)가 1회전을 완료하고 홈 포지션으로 돌아온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레버(1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레버(15)의 일단에는 상기 캠부재(14)에 형성된 만곡홈(14b)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V"자 모양의 걸림돌기(15a)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센서(18)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판(15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센서레버(15)는 인장스프링(15c)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15a)가 상기 만곡홈(14b)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초기상태인 홈 포지션에서는 도 2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5a)가 만곡홈(14b) 속에 들어가며, 이때 타단측의 감지판(15b)은 센서(18) 사이에 위치되어, 픽업롤러(12)와 노크-업 플레이트(11)가 홈 포지션에 위치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급지가 개시되어 픽업롤러(12)가 회전하고 노크-업 플레이트(11)가 상승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레버(15)의 걸림돌기(15a)가 만곡홈(14b)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이때 감지판(15b)도 센서(18)에서 빠져나온다. 이후 픽업롤러(12)가 한바퀴 회전하여 용지를 본체(10) 안으로 진입시키고 다시 도 2의 상태로 돌아오면, 상기 센서(18)가 감지판(15b)을 감지함으로써 용지 1매에 대한 진입작업이 완료되고 홈 포지션으로 복귀했음을 감지하게 된다.
참조부호 20은 픽업롤러(12)의 회전시 그 원통부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마찰패드로서, 2매의 용지가 픽업롤러(12)에 의해 한꺼번에 물려들어갈 경우, 하방의 용지는 이 마찰패드(20)와의 마찰접촉에 의해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픽업롤러(12)에 의해 본체(10) 안으로 진입되던 용지가 예컨대 잼(jam)과 같은 소정 원인에 의해 정지하게 될 경우가 있다. 이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픽업롤러(12)에 물려있는 용지를 다시 트레이(19) 쪽으로 잡아당겨서 빼내게되는데, 그렇게 되면 용지를 물고 있던 픽업롤러(12)도 용지(S)를 진입시킬 때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홈 포지션 쪽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그런데 이때 다행히 센서레버(15)의 걸림돌기(15a)가 캠부재(14)의 만곡홈(14b)에 들어가며 홈 포지션에 위치될 때 정지할 수도 있겠지만, 용지(S)를 잡아당겨 빼내는 힘의 관성 때문에 그 위치를 지나쳐서 정지하는 경우가 더 많게 된다. 이렇게 되면 픽업롤러(12)뿐 아니라 노크-업 플레이트(11)의 홈 포지션이 틀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인쇄를 재개하면 작동 타이밍이 맞지 않아 다시 잼이 발생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픽업롤러에 물려있던 용지를 잡아당겨 빼낼 때 픽업롤러가 홈 포지션을 지나치지 않고 정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인쇄기의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지장치가 채용된 인쇄기의 트레이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급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각각 홈 포지션 상태와 급지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급지장치로서 홈 포지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캠부재와 걸림돌기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급지장치의 급지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픽업롤러 13...축샤프트
19...트레이 20...마찰패드
140...캠부재 141...돌기부
142...로킹홈 142a,b...제1,2경사면
150...센서레버 151...걸림돌기
151a,b...제1,2접촉면 152...감지판
180...센서 S...용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급지장치는, 인쇄기의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에 접촉되며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홈 포지션으로부터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인쇄기 본체 내부로 한 장씩 밀어넣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가 홈 포지션에 위치되면, 용지를 인쇄기 내부로 밀어넣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동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역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픽업롤러의 축샤프트에 결합되어 그 픽업롤러와 같이 회전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에 몰입 형성된 것으로, 예각으로 몰입된 제1경사면과 직각 이상의 각으로 몰입된 제2경사면을 구비한 로킹홈과;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센서레버와; 상기 센서레버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것으로, 상기 제1경사면과 대향되는 제1접촉면과 상기 제2경사면에 대향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캠부재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접촉면이 상기 제1경사면에 접촉된 후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로킹홈에서 이탈되고, 상기 캠부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접촉면이 상기 제2경사면에 걸려서 상기 캠부재를 로킹시키도록 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로킹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센서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급지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전술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도 4 및 도 5는 픽업롤러(12)가 용지를 밀어넣기 전의 초기위치인 홈 포지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에는 픽업롤러(12)가 정지되어 있고, 노크-업 플레이트(11)도 캠부재(140)의 돌기부(141)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급지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홈 포지션에서 픽업롤러(12)가 이하에 설명되는 역회전방지수단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역회전방지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픽업롤러(12)의 축샤프트(13)에 설치된 캠부재(140)의 외주면에 제1,2경사면(142a)(142b)이 구비된 로킹홈(142)이 몰입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142a)은 약 45°정도의 예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경사면(142b)은 직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센서(180)에 감지되는 감지판(152)을 구비한 센서레버(150)에는, 상기 캠부재(1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홈(142)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걸림돌기(151)가 마련되어 있다. 이 걸림돌기(151)에는 상기 로킹홈(142)에 삽입 시 상기 제1경사면(142a)에 대향되는 제1접촉면(151a) 및 상기 제2경사면(142b)에 대향되는 제2접촉면(15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접촉면(151a)은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제2접촉면(151b)은 상기 제2경사면(142b)과 같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캠부재(140)가 도 5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인장스프링(153)의 탄력에 의해 걸림돌기(151)가 로킹홈(142)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제1접촉면(151a)이 제1경사면(142a)을 타고 미끄러져 나오기 때문에, 캠부재(140)는 계속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와 반대방향으로 캠부재(140)가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돌기(151)가 로킹홈(142)에 들어간 후 상기 제2접촉면(151b)이 제2경사면(142b)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 역방향으로는 캠부재(140)가 더 이상 회전할 수가 없게 된다. 결국, 도 4 및 도 5와 같이 걸림돌기(151)가 로킹홈(142)에 들어가 있는 상태, 즉 상기한 홈 포지션의 상태에서는 픽업롤러(12)가 도면의 반시계방향에 해당되는 급지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고 그 역방향으로는 상기 제2접촉면(151b)이 제2경사면(142b)에 걸리기 때문에 회전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용지를 급지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샤프트(13)가 회전하며 픽업롤러(12)와 캠부재(140)를 급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에는 상기 제1접촉면(151a)이 제1경사면(142a)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로킹홈(142)을 벗어나기 때문에, 픽업롤러(12)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이때의 센서레버(150)는, 전술한 기존의 것과 마찬가지로, 그 일단의 감지판(152)이 픽업롤러(12)의 1회전 완료시 마다 센서(180)에 감지되면서 용지 1매의 진입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만일, 용지 잼 등이 발생하여 픽업롤러(12)에 물려있는 용지를 다시 뒤로 빼낼 경우에는, 픽업롤러(12)와 캠부재(14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하여 픽업롤러(12)와 캠부재(140)가 다시 도 4에 도시된 홈 포지션으로 돌아오게 되면, 상기와 같이 제2접촉면(151b)이 제2경사면(142b)에 걸려서 캠부재(140) 및 픽업롤러(12)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픽업롤러(12)에 물려있던 용지를 사용자가 아무리 세게 잡아당겨서 빼내더라도, 상기 홈 포지션을 지나서는 픽업롤러(12)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관성 때문에 초기위치인 홈 포지션이 어긋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센서레버(150)는 픽업롤러(12)의 매 회전 완료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에 더하여 상기와 같이 픽업롤러(12)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능까지 가지게 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킹홈(142)의 제2경사면(142b)을 직각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그 이상의 둔각으로 형성하더라도 제2접촉면(151b)이 그경사면(142b)을 타고 올라오지 못하게만 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급지장치는, 픽업롤러가 홈 포지션에 위치될 때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막아주기 때문에, 잼 처리를 위해 픽업롤러에 물려있는 용지를 잡아당겨 빼내더라도 홈 포지션이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2)

  1. 인쇄기의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에 접촉되며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홈 포지션으로부터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인쇄기 본체 내부로 한 장씩 밀어넣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가 홈 포지션에 위치되면 용지를 인쇄기 내부로 밀어넣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동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인쇄기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픽업롤러의 축샤프트에 결합되어 그 픽업롤러와 같이 회전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에 몰입 형성된 것으로, 예각으로 몰입된 제1경사면과 직각 이상의 각으로 몰입된 제2경사면을 구비한 로킹홈과;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센서레버와;
    상기 센서레버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것으로, 상기 제1경사면과 대향되는 제1접촉면과 상기 제2경사면에 대향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캠부재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접촉면이 상기 제1경사면에 접촉된 후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로킹홈에서 이탈되고, 상기 캠부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접촉면이 상기 제2경사면에 걸려서 상기 캠부재를 로킹시키도록 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로킹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센서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센서레버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픽업롤러의 1회전마다 소정 센서에 주기적으로 감지되는 감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급지장치.
  2. 삭제
KR10-2000-0009100A 2000-02-24 2000-02-24 인쇄기의 급지장치 KR10037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100A KR100370211B1 (ko) 2000-02-24 2000-02-24 인쇄기의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100A KR100370211B1 (ko) 2000-02-24 2000-02-24 인쇄기의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236A KR20010084236A (ko) 2001-09-06
KR100370211B1 true KR100370211B1 (ko) 2003-01-29

Family

ID=1964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100A KR100370211B1 (ko) 2000-02-24 2000-02-24 인쇄기의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2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311B1 (ko) 2010-08-31 2012-04-26 주식회사 비즈테크원 용지 혼입방지장치
CN102806759A (zh) * 2011-05-31 2012-12-05 迪巴赫(苏州)实业有限公司 印花机的锁定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1132A (ja) * 1988-04-07 1989-10-18 Konica Corp 給紙装置
JPH04106032A (ja) * 1990-08-24 1992-04-08 Brother Ind Ltd 給紙装置
JPH08268584A (ja) * 1995-04-04 1996-10-15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シート給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9240853A (ja) * 1996-03-06 1997-09-16 Canon Inc 給紙装置及び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1132A (ja) * 1988-04-07 1989-10-18 Konica Corp 給紙装置
JPH04106032A (ja) * 1990-08-24 1992-04-08 Brother Ind Ltd 給紙装置
JPH08268584A (ja) * 1995-04-04 1996-10-15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シート給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9240853A (ja) * 1996-03-06 1997-09-16 Canon Inc 給紙装置及び記録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311B1 (ko) 2010-08-31 2012-04-26 주식회사 비즈테크원 용지 혼입방지장치
CN102806759A (zh) * 2011-05-31 2012-12-05 迪巴赫(苏州)实业有限公司 印花机的锁定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236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2258B2 (ja) シ―ト給送装置
US20030184000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for printing device
EP2594514B1 (en) Documen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08310688A (ja) 印刷媒体の状況検知器
US6874778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JP3733841B2 (ja) シート供給装置
JP2000296925A (ja) 給紙装置
KR100370211B1 (ko) 인쇄기의 급지장치
US6349931B1 (en) Automatic paper feeding system
JP2001328734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装置
JP4078728B2 (ja) 綴じ部材除去装置
KR100202314B1 (ko) 프린터의 용지절환장치
KR20230037876A (ko)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갖는 스캐너의 원고 역이송 및 재이송
JP2514431B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2005263355A (ja) シート処理装置
JP2001002251A5 (ko)
JP3939880B2 (ja) 給紙装置
JPH0569973A (ja) 給紙装置
JP2008214088A (ja) シート供給装置、シートの供給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H05147831A (ja) 給紙装置
JPH0412037Y2 (ko)
JP4028138B2 (ja) シート供給装置
KR200191275Y1 (ko) 화상형성기기의 중송급지 방지장치
JP2807547B2 (ja) 原稿自動送給装置
KR940007340B1 (ko) 선별기능을 갖는 복사지 자동급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