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790B1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790B1
KR101135790B1 KR1020090048064A KR20090048064A KR101135790B1 KR 101135790 B1 KR101135790 B1 KR 101135790B1 KR 1020090048064 A KR1020090048064 A KR 1020090048064A KR 20090048064 A KR20090048064 A KR 20090048064A KR 101135790 B1 KR101135790 B1 KR 101135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il
damper
yoke
frame
coil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710A (ko
Inventor
토모히코 카미무라
히데오 유아사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5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10Telephon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스피커의 박형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해서, 내입력(耐入力) 성능을 댐퍼(damper)에 의해 향상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요크(7)와 마그넷(15) 및 폴피스(16)를 가지는 자기회로(3)와, 보이스 코일 보빈(23)을 개재해서 연결된 보이스 코일(18)과 진동판(19)을 가지는 진동계(4)와, 이들 자기회로(3)와 진동계(4)를 유지하는 프레임(2)을 구비하고, 자기 갭(17)에 상기 보이스 코일(18)을 배치해서 이루어진 스피커(1)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 보빈(23)의 개구측 단부의 복수 개소에서 연장해서, 각각의 선단부를 상기 프레임(2)에 접착 고정하는 댐퍼(26)를 설치하고, 보이스 코일 보빈(18)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SPEAKER}
본 발명은, 휴대전화 등에 사용되는 소형 스피커(다이나믹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테레오 등에 사용되는 대형 스피커(콘형)에서는 일반적인 구조인 댐퍼(damper)를 채용하여, 내입력(耐入力) 성능을 향상시킨 소형 스피커(돔형)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 3 참조).
댐퍼는, 진동판의 외주부(에지부)와 해당 하측에 있는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외주 가장자리부분을 프레임에 접착 고정하고, 내주 가장자리부분을 보이스 코일과 해당 상측에 있는 진동판의 중앙부(센터부)의 사이에서 보이스 코일 보빈의 외부면에 접착 고정하고, 보이스 코일이 정확한 피스톤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이것을 정위치에 유지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0-1399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0-20969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1-309489호 공보
소형 스피커에는 가일층의 소형ㆍ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지만, 대형 스피커와 같이 보이스 코일 보빈의 외부면을 지지하는 종래 댐퍼에서는, 스피커의 박형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진동판은 공기를 압압해서 진동시켜야 하는 것에 대해서, 종래 댐퍼에는 높은 통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보이스 코일 보빈이 진동판의 중앙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댐퍼는 보이스 코일 보빈에 일체로 형성할 수 없고, 보이스 코일 보빈이 진동판의 중앙부와 별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댐퍼는 보이스 코일 보빈의 외부면을 지지하면 보이스 코일 보빈과 일체로 형성할 수 없다. 그러므로, 댐퍼는 단일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스피커의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가 증가하여, 제조비용을 상승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소형 스피커의 박형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해서, 내입력 성능을 댐퍼에 의해 향상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요크와 마그넷 및 폴피스를 가지는 자기회로와, 보이스 코일 보빈을 개재해서 연결된 보이스 코일과 진동판을 가지는 진동계와, 이들 자기회로와 진동계를 유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자기 갭에 상기 보이스 코일을 배치해서 이루어진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 보빈의 개구측 단부의 복수개소에서 연장해서, 각각의 선단부를 상기 프레임에 접착 고정하는 댐퍼를 설치한 스피커를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은, 한 장의 시트형상의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해서 바닥을 가진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프레임의 바닥판을 적어도 2개소 이상 절기(切起) 가공해서 바닥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의 형상을 한 요크를 형성하여 요크 일체형으로 하고, 상기 댐퍼는, 요크 측벽부의 사이에서 상기 요크의 외측으로 연장해서, 각각의 선단부를 상기 요크의 바닥판의 주위에 있는 상기 프레임의 바닥판에 접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댐퍼의 각각의 선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환상의 댐퍼 연결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댐퍼 연결판을 상기 댐퍼와 별체로 형성하거나 일체로 형성하거나 어느 쪽이든 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댐퍼 연결판을 개재해서 상기 프레임에 접착 고정한다. 댐퍼 연결판을 댐퍼와 별체로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댐퍼는 각각의 선단부를 상기 댐퍼 연결판에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에 의해 보이스 코일 보빈을 하측에서 지지하므로, 새롭게 댐퍼의 조립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소형 스피커의 박형을 손상시키지 않고, 내입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각의 댐퍼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통되어서, 댐퍼 자체에는 통기성이 불필요하며, 또한 댐퍼가 보이스 코일 보빈을 하측에서 지지하므로, 보이스 코일 보빈이 진동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별체이거나 상관없이, 댐퍼를 보이스 코일 보빈 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소형 스피커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해서, 내입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댐퍼 연결판을 개재해서 댐퍼의 각각의 선단부를 서로 연결하면, 댐퍼에 의해 보이스 코일 보빈을 하측에서 지지할 때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동시에, 댐퍼의 프레임에의 접착 작업성도 양호하여, 양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 3을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 ~ 도 3에 실시형태 1의 스피커를 도시하고, 도 1은 평면도, 도 2는 진동판 에지부를 투명화한 평면도, 도 3은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진동판 센터부의 외관도이다.
스피커(1)는 환형(丸型)으로서, 원형의 프레임(2)과 자기회로(3)(구동계) 및 진동계(4)를 구비한다.
프레임(2)은 요크 일체형으로 한 것으로서, 한 장의 시트형상의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드로잉 가공)해서, 원형의 바닥판(5)과 해당 외주 가장자리부분에서 세워진 측벽부(6)를 형성한 얕은 바닥을 가진 원통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바닥판(5)에 대해서 절단 가공 및 절곡 가공을 실시하여, 바닥판(5)의 외측부 4개소를 절기(切起)해서, 프레임(2)보다 한층 작은 동심인 원형의 바닥을 가진 프레임형상의 요크(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측벽부(6)는 계단식으로서, 바닥판(5)과 평행인 원 환상의 단차면(8)을 가지 며, 단차면(8)으로부터 상측이 하측보다 한층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크(7)는, 측벽부(6)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는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4개의 요크 측벽부(9)와, 각 요크 측벽부(9)보다 내측에 있는 바닥판(5)의 중앙부로 이루어진 원형의 요크 바닥판(10)을 형성하고 있다.
요크(7) 내에는, 각 요크 측벽부(9)의 상호간에 있는 4개의 극간(11)을 통해서 요크(7)의 주위에 있는 프레임(2) 내의 외측부에 연통되어 있다.
요크 바닥판(10)에는, 이 외측부로서, 요크 바닥판(1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상의 대략 등간격의 4개소에 원형의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진 지그삽입구(12)가 개설되고, 스피커(1)의 조립 시에, 후술하는 마그넷(15)이나 폴피스(16)를 요크(7) 내에서 위치 결정해서 유지하기 위한 지그(도시생략)를, 요크(7)의 하측에서 지그삽입구(12)를 통해서 요크(7)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닥판(5)에는, 각 요크 측벽부(9)의 절기(切起)에 의해 형성된 4개의 원호형상의 개구부(14)가 있으며, 이 각 개구부(14)를 스피커(1)의 배면 음공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자기회로(3)는, 요크(7)와, 요크 바닥판(10) 위에 중심을 맞춰서 접착 고정하는 원주형상의 영구자석인 마그넷(15)과, 이 마그넷(15) 위에 중심을 맞춰서 접착 고정하는 원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폴피스(16)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회로(3)는, 폴피스(16)와 각 요크 측벽부(9)의 사이에 원형의 자기 갭(17)을 형성하고 있다.
진동계(4)는, 도선을 권회해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보이스 코일(18)과, 이 보이스 코일(18)을 장착한 진동판(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판(19)은, 수지필름이나 금속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센터부(20)와 에지부(21)의 2피스로 구성되어 있다.
센터부(20)는, 천장을 가진 원통형상으로서, 천장부에서, 상부면이 오목, 하부면이 볼록하게 되는 반구형상의 돔부(22)(상부면이 오목, 하부면이 볼록하게 되는 반구형상의 역돔부이어도 됨)를 구성하고, 동체부에서 원통형상의 보이스 코일 보빈(23)을 구성하고, 돔형의 진동판인 돔부(22)와 보이스 코일 보빈(23)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에지부(21)는, 원 환상으로서, 내주 가장자리부분이 돔부(22)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에 중첩해서 접착 고정되고, 돔부(22)의 주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에지부(21)는, 이 외주 가장자리부분을 단면 L자형의 원 환상의 진동판 링(24)을 개재해서 측벽부(6)의 단차면(8)에 접착 고정되고, 돔부(22)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을 프레임(2)의 외측부에 연결하여, 돔부(22)를 항상 정위치에 유지한다. 또 돔부(22)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그 동작에 추종한다. 또한 돔부(22)의 배면의 소리를 차단한다.
보이스 코일 보빈(23)은, 돔부(22)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에서 수하(垂下)되어 자기 갭(17)에 개구측 단부(하단부)를 삽입하고, 거기에 감은 보이스 코일(18)을 자기 갭(17)에 배치한다. 또 보이스 코일(18)의 피스톤운동(상하진동)을 돔부(22)에 전달한다.
돔부(22)와 보이스 코일 보빈(23)을 만약 별체로 구성한 경우, 이들의 접착 공정이 필요하게 되지만,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것은 불필요하다. 또 센터부(20)와 에지부(21)를 별체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다른 재료의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각각 필요한 특성을 쉽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보이스 코일 보빈(23)에는, 좁은 자기 갭(17)에서 보이스 코일(18)을 원형으로 유지하여, 보이스 코일(18)과 돔부(22)를 손실 없이 연결하는 강성의 높음과, 공진이나 공명을 일으키지 않는 유연성, 보이스 코일(18)의 발열에 견디는 높은 내열성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센터부(20)의 필름의 재료에는 폴리에테르이미드가 이용되고 있다.
보이스 코일 보빈(23)은 단면 L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보이스 코일 보빈(23)의 개구측 단부에서 보이스 코일 보빈(23)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의 평면 내에서 보이스 코일 보빈(23)의 외측에 연장하는 원 환상의 플랜지부(25)를 형성하고 있다. 이 플랜지부(25)에 보이스 코일(18)의 하단부가 접착 고정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 보빈(23)에 의해 보이스 코일(18)의 내부면과 하단부를 유지하므로, 보이스 코일(18)의 흐트러짐이나 보이스 코일 보빈(23)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 보빈(23)에는 복수의 댐퍼(26)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각 댐퍼(26)는, 각 극간(11)에서 요크(7)의 주위에 있는 프레임(2) 내의 외측부로 돌출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25)의 등간격의 4개소에서 보이스 코일 보빈(23)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의 평면 내에서 보이스 코일 보빈(23)의 직경방향 외측에 방사형상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상의 연장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댐퍼(26)의 선단부에는 접은선(27)을 개재해서 접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각 댐퍼(26)는, 접착부(28)를 요크 바닥판(10)의 주위에 있는 바닥판(5)의 외측부로서, 각 개구부(14)의 사이의 부분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원호형상으로 휘어져서 탄성이 부여되고, 보이스 코일 보빈(23)을 해당 외부면이 아니라 하측에서 지지하여, 보이스 코일(18)이 정확한 피스톤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그것을 정위치에 유지하고, 보이스 코일(18)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그 동작에 추종한다.
보이스 코일(18)의 리드선(29, 30)은, 이 보이스 코일(18)의 하단부로서, 도 2에 나타낸 스피커의 좌우에 대향하는 2개의 극간(11)에 대응하는 2개소에서 U자 형상으로 인출되어 있다.
프레임(2)에는, 요크 바닥판(10)의 주위에 있는 바닥판(5)의 외측부로서, 상술한 2개의 극간(11)에서 위쪽으로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개구부(14)의 일부를 막도록 판형상의 절연체(31, 32)가 고정되어 있다.
각 절연체(31, 32)의 프레임(2)에의 고정은, 버링가공에 의해 바닥판(5)에서 세워진 고정핀(도시생략)을 절연체(31, 32)에 관통구멍(도시생략)을 통해서 관통시키고, 고정핀의 선단부를 압궤 가공함으로써 실행되고 있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해서 고정할 수도 있다.
각 절연체(31, 32)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접촉패드(33, 34)와, 이 접촉패드(33, 34)와 도통이 있는 판 스프링이나 코일 스프링제의 외부접속단자(도시생략)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패드(33, 34)는, 절연체(31, 32)의 상부면에 대략 한면으로 매설되어서 프레임(2) 내에 노출되어 있다. 외부접속단자는 절연체(31, 32)의 하측에 있는 개구부(14)에서 프레임(2)의 하측(스피커(1)의 외부)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18)로부터 인출된 리드선(29, 30)은, 상술한 2개의 극간(11)에서 요크(7)의 주위에 있는 프레임(2) 내의 외측부로 인출되고, 스피커의 위쪽에서 접속대상의 접촉패드(33, 34)로 안내하는 둘러치기 처리가 실시된 후, 리드선(29, 30)의 말단부가 접속대상의 접촉패드(33, 34)에 스폿용접(납땜에 의해서도 가능)에 의해 접속되어서, 접속된 접촉패드(33, 34)와 도통이 있는 외부접속단자와 전기접속되어 있다. 이때, 리드선(29, 30)에는 보이스 코일(18)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또 대(大)입력 시에 리드선(29, 30)이 단선되지 않도록 느슨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2)의 개방 상부면(스피커(1)의 정면)에는, 판금(板金)제이며, 천장면에 정면 음공을 가지는 얕은 천장을 가진 원통형상의 배플(도시생략)이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스피커(1)는, 요크(7)와 마그넷(15) 및 폴피스(16)를 가지는 자기회로(3)와, 보이스 코일 보빈(23)을 개재해서 연결된 보이스 코일(18)과 진동판(19)을 가지는 진동계(4)와, 이들 자기회로(3)와 진동계(4)를 유지하는 프레임(2)을 구비하고, 자기 갭(17)에 보이스 코일(18)을 배치하고 있다. 부가해서, 보이스 코일 보빈(23)의 개구측 단부의 복수개소에서 연장하여, 각각의 선단부를 프레임(2)에 접착 고정하는 댐퍼(26)를 형성하고 있다. 또 프레임(2)은, 한 장의 시트형상의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해서 바닥을 가진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프레임(2)의 바닥판(5)을 적어도 2개소 이상 절기(切起) 가공해서 바닥을 가진 프레임형상의 요크(7)를 형성하여, 요크 일체형으로 하고, 댐퍼(26)는, 요크 측벽부(9)의 사이에서 요크(7)의 외측으로 연장해서, 각각의 선단부를 요크 바닥판(10)의 주위에 있는 프레임(2)의 바닥판(5)에 접착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회로에서 한 쌍의 외부접속단자를 개재해서 보이스 코일(18)에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자기회로(3)에 발생하고 있는 자계와 보이스 코일(18)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보이스 코일(18)이 상하로 진동되고, 이것에 연동해서 상하로 진동되는 돔부(22)(돔형의 진동판)에 의해 주위의 공기를 진동시켜서 소리를 낸다.
이때, 댐퍼(26)는, 에지부(21)와 함께 진동계(4)의 스프링에 상당하며, 진동계 스티프니스(SO)를 낮게 해서, 최저 공진주파수(fO)를 낮게 한다(저음을 쉽게 나오게 함). 이에 의해, 소형의 스피커(1)이면서, 왜곡을 억제하여, 양질의 음질(저음)을 유지하면서, 높은 내입력 성능을 얻고 있다.
댐퍼(26)는, 보이스 코일 보빈(23)을 하측에서 지지하므로, 새롭게 댐퍼(26)의 조립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 소형 스피커(1)의 박형을 손상시키지 않고, 높은 내입력 성능을 얻고 있다.
댐퍼(26)는, 각각의 댐퍼(26)의 사이에서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어, 댐퍼(26) 자체에는 환기성이 불필요하며, 또한 댐퍼(26)가 보이스 코일 보빈(23)을 하측에서 지지하므로, 보이스 코일 보빈(23)이 돔부(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별체이거나 상관없이, 댐퍼(26)를 보이스 코일 보빈(23)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소형 스피커(1)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해서, 높은 내입력 성능을 얻고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5, 도 6에 실시형태 2의 스피커를 도시하고, 도 5는 진동판 에지부를 투 명화한 평면도, 도 6은 단면도이다. 또 도 7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진동판 센터부의 외관도이다. 또한, 실시형태 1의 스피커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도 6에 도시한 스피커(41)는, 각 댐퍼(26)의 접착부(28)를 서로 연결하는 원 환상의 댐퍼 연결판(42)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도 1 ~ 도 3에 도시한 스피커(1)와 상이하다.
댐퍼 연결판(4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26)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댐퍼(26)의 접착부(28) 하부면을 댐퍼 연결판(42)의 상부면에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시켜, 각 댐퍼(26)의 접착부(28)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때, 댐퍼 연결판(42)은 보이스 코일 보빈(23)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의 평면 내에 있으며, 댐퍼 연결판(42)의 중심은 보이스 코일 보빈(23)의 축선 위에 있다.
그리고, 댐퍼 연결판(42)은,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하부면을, 바닥판(5)의 4개의 원호형상의 개구부(14)보다 외측인 최외측부에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하고, 각 댐퍼(26)의 접착부(28)를 바닥판(5)에 접착 고정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댐퍼 연결판(42)을 개재해서, 각 댐퍼(26)의 선단부(접착부(28))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각 댐퍼(26)에 의해 보이스 코일 보빈(23)을 하측에서 지지할 때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동시에, 각 댐퍼(26)의 프레임(바닥판(5))에의 접착 작업성도 양호하여, 양산성을 높일 수 있다.
댐퍼 연결판(42)은 댐퍼(26)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센터부(20)와 동일한 재료의 필름이든 다른 재료의 필름이든 형성 가능하다.
또한, 댐퍼 연결판은 각 댐퍼(26)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이때, 각 댐퍼(26)의 원호형상은 성형 시에 부여된다. 또 각 댐퍼(26)의 접착부(28)가 댐퍼 연결판의 내주측 가장자리부분에 연설되어서, 각 댐퍼(26)의 접착부(28)와 댐퍼 연결판이 동일평면 내에 있다. 이와 같이 각 댐퍼(26)와 일체로 형성된 댐퍼 연결판(42a)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9 ~ 도 11에 실시형태 2의 스피커를 도시하고, 도 9는 평면도, 도 10은 진동판 에지부를 투명화한 평면도, 도 11은 단면도이다.
도 9 ~ 도 11에 도시한 스피커(51)는 각형(角型)으로서, 실시형태 1의 환형의 스피커(1)에서는 원형인 프레임과 자기회로 및 진동계의 직사각형화에 의해 가일층의 소형화(소구경화)를 실현한 것으로서, 직사각형의 프레임(52)과 자기회로(53) 및 진동계(54)를 구비한다.
프레임(52)은 요크 일체형으로 한 것으로서, 한 장의 시트형상의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드로잉 가공)해서, 직사각형의 바닥판(55)과 해당 외주 가장자리부분에서 세워진 측벽부(56)를 형성한 얕은 바닥을 가진 사각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바닥판(55)에 대해서 절단 가공 및 절곡 가공을 실시하여, 바닥판(55)의 긴 쪽의 한쪽 가장자리부분과 다른 쪽 가장자리부분의 2개소를 절기해서, 프레임(52)보다 한층 작은 동심인 직사각형의 바닥을 가진 프레임형상의 요크(5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요크(57)는, 긴쪽방향의 측벽부(56)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는 평행인 2개의 요크 측벽부(59)와, 각 요크 측벽부(59)의 사이에 있는 바닥판(55)의 중앙부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요크 바닥판(60)을 형성하고 있다.
요크(57) 내는, 각 요크 측벽부(59)의 일단부의 사이와 타단부의 사이에서 요크(57)의 주위에 있는 프레임(52) 내의 긴쪽방향의 양측 단부에 연통되어 있다.
요크 바닥판(60)에는, 이 코너부분 4개소에 L형의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진 지그삽입구(62)가 개설되고, 스피커(51)의 조립 시에, 후술하는 마그넷(65)이나 폴피스(66)를 요크(57) 내에서 위치 결정해서 유지하기 위한 지그(도시생략)를, 요크(57)의 하측에서 지그삽입구(62)를 통해서 요크(57)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닥판(55)에는, 이 긴쪽방향 일단부측에 있는 코너부분 2개소에 원형의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진 다른 지그삽입구(63)가 개설되고, 스피커(51)의 조립 시에, 보이스 코일(68)의 후술하는 리드선(79, 80)을 포밍하기 위한 다른 지그(도시생략)를, 프레임(52)의 하측에서 다른 지그삽입구(63)를 통해서 프레임(52)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닥판(55)에는, 각 요크 측벽부(59)의 절기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직사각형상의 개구부(64)가 있으며, 이 개구부(64)를 스피커(51)의 배면 음공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자기회로(53)는, 요크(57)와, 요크 바닥판(60) 위에 중심을 맞춰서 접착 고 정하는 사각기둥형상의 영구자석인 마그넷(65)과, 이 마그넷(65) 위에 중심을 맞춰서 접착 고정하는 직사각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폴피스(66)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회로(53)는, 폴피스(66)와 각 요크 측벽부(59)의 사이에 직선형상의 자기 갭(67)을 형성하고 있다.
진동계(54)는, 도선을 권회해서 이루어진 사각 통형상의 보이스 코일(68)과, 이 보이스 코일(68)을 장착한 진동판(69)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판(69)은, 수지필름이나 금속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센터부(70)와 에지부(71)의 2피스로 구성되어 있다.
센터부(70)는, 천장을 가진 사각 통형상으로서, 천장부에서, 상부면이 볼록, 하부면이 오목하게 되는 직사각형상의 돔부(72)(상부면이 오목, 하부면이 볼록하게 되는 직사각형상의 역돔부이어도 됨)를 구성하고, 동체부에서 사각 통형상의 보이스 코일 보빈(73)을 구성하고, 돔형의 진동판인 돔부(72)와 보이스 코일 보빈(73)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에지부(71)는, 직사각형 환상으로서, 내주 가장자리부분이 돔부(72)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에 중첩해서 접착 고정되고, 돔부(72)의 주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에지부(71)는, 이 외주 가장자리부분을 단면 L자형의 직사각형 환상의 진동판 링(74)을 개재해서 측벽부(56)의 상부에 접착 고정하고, 돔부(72)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을 프레임(52)의 외측부에 연결하여, 돔부(72)를 항상 정위치에 유지한다. 또 돔부(72)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그 동작에 추종한다. 또한 돔부(72)의 배면의 소리를 차단한다.
보이스 코일 보빈(73)은, 돔부(72)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에서 수하되어 자기 갭(67)에 개구측 단부(하단부)를 삽입하고, 거기에 외측에 감은 보이스 코일(68)의 긴 쪽의 대변(對邊)을 자기 갭(17)에 배치한다. 또 보이스 코일(68)의 피스톤운동(상하진동)을 돔부(22)에 전달한다. 보이스 코일(68)의 긴쪽방향의 폭치수는 요크 측벽부(59)의 폭치수보다 약간 길고, 보이스 코일(68)의 긴쪽방향의 양측 단부는, 각 요크 측벽부(59)의 일단부의 사이와 타단부의 사이에서 돌출되어 있다.
돔부(72)와 보이스 코일 보빈(73)을 만약 별체로 구성한 경우, 이들의 접착공정이 필요하게 되지만,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것은 불필요하다. 또 센터부(70)와 에지부(71)를 별체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다른 재료의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각각 필요한 특성을 쉽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보이스 코일 보빈(73)에는, 좁은 자기 갭(67)에서 보이스 코일(68)을 사각 통형상으로 유지하여, 보이스 코일(68)과 돔부(72)를 손실 없이 연결하는 강성의 높음과, 공진이나 공명을 일으키지 않는 유연성, 보이스 코일(68)의 발열에 견디는 높은 내열성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센터부(70)의 필름의 재료에는 폴리에테르이미드가 이용되고 있다.
보이스 코일 보빈(73)은 단면 L자형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보이스 코일 보빈(73)의 개구측 단부에서 보이스 코일 보빈(73)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의 평면 내에서 보이스 코일 보빈(73)의 외측에 연장하는 직사각형 환상의 플랜지부(75)를 형성하고 있다. 이 플랜지부(75)에 보이스 코일(68)의 하단부가 접착 고정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 보빈(73)은 보이스 코일(68)의 내부면과 하단부를 유지하므로, 보이스 코일(68)의 흐트러짐이나 보이스 코일 보빈(73)에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 보빈(73)에는 복수의 댐퍼(76)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각 댐퍼(76)는, 요크(57)의 긴쪽방향 외측에 있는 프레임(52) 내의 긴쪽방향 양측 단부에 돌출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75)의 한쪽의 짧은 측변의 중앙부와 다른 쪽의 짧은 측변의 중앙부의 2개소(플랜지부(75)의 짧은 쪽의 대변의 중앙부)에서, 보이스 코일 보빈(73)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의 평면 내에서 보이스 코일 보빈(73)의 긴쪽방향 외측에 연장하는 직사각형상의 연장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댐퍼(76)의 선단부에는 접은선(77)을 개재해서 접착부(78)가 형성되어 있다.
각 댐퍼(76)는, 접착부(78)를 요크 바닥판(60)의 긴쪽방향 외측에 있는 바닥판(55)의 긴쪽방향 양측 단부의 중앙부에 접착 고정함으로써, 원호형상으로 휘어져서 탄성이 부여되고, 보이스 코일 보빈(73)을 해당 외부면이 아닌 하측에서 지지하여, 보이스 코일(68)이 정확한 피스톤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이것을 정위치에 유지하고, 보이스 코일(68)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그 동작에 추종한다.
보이스 코일(68)의 리드선(79, 80)은, 이 보이스 코일(68)의 하단부로서, 포밍용의 다른 지그삽입구(63)에 가까운 보이스 코일(68)의 짧은 쪽의 한 변의 2개소에서 인출되고 있다.
프레임(52)에는, 요크 바닥판(60)의 주위에 있는 바닥판(65)의 외측부로서, 포밍용의 다른 지그삽입구(63)에 가까운 측의, 한쪽의 개구부(64)의 일단부 위와 다른 쪽의 개구부(64)의 일단부 위의 2개소에, 직사각형 판형상의 절연체(도시생략)가 고정되어 있다.
절연체의 프레임(52)에의 고정은, 버링가공에 의해 바닥판(55)에서 세워진 고정핀(도시생략)을 절연체에 관통구멍(도시생략)을 통해서 관통시키고, 고정핀의 단부를 압궤 가공함으로써 실행되고 있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해서 고정할 수도 있다.
절연체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접촉패드(도시생략)와, 이 접촉패드와 도통이 있는 판 스프링이나 코일 스프링제의 외부접속단자(도시생략)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패드는, 절연체의 상부면에 대략 한면으로 매설되어서 프레임(52) 내에 노출되어 있다. 외부접속단자는 절연체의 하측에 있는 개구부(64)에서 프레임(52)의 하측(스피커(51)의 외부)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68)로부터 인출된 리드선(79, 80)은, 다른 지그삽입구(63)를 개설한 프레임(52)의 긴쪽방향 일단부측에 있는 코너부분을 향해서 인출되고, 거기에 삽입된 포밍용의 지그(둥근 봉)에 걸린 상태에서, 접속대상의 접촉패드의 방향으로 인장되어서 포밍되고, 접속대상의 접촉패드로 안내되는 둘러치기 처리가 실시된 후, 리드선(79, 80)의 말단부가 접속대상의 접촉패드에 스폿용접(납땜에 의해서도 가능)에 의해 접속되어서, 접속된 접촉패드와 도통이 있는 외부접속단자와 전기접속되어 있다. 이때, 리드선(79, 80)에는 보이스 코일(68)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또 대입력 시에 리드선(79, 80)이 단선되지 않도록 느슨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52)의 개방 상부면(스피커(51)의 상부면)에는, 판금제이며, 천장면에 정면 음공을 가지는 얕은 천장을 가진 사각 통형상의 배플(도시생략)이 끼워 맞춰져 있다.
이상과 같이 스피커(51)는, 요크(57)와 마그넷(65) 및 폴피스(66)를 가지는 자기회로(53)와, 보이스 코일 보빈(73)을 개재해서 연결된 보이스 코일(68)과 진동판(69)을 가지는 진동계(54)와, 이들 자기회로(53)와 진동계(54)를 유지하는 프레임(52)을 구비하고, 자기 갭(67)에 보이스 코일(68)을 배치하고 있다. 부가해서, 보이스 코일 보빈(73)의 개구측 단부의 복수개소에서 연장하여, 각각의 선단부를 프레임(52)에 접착 고정하는 댐퍼(76)를 형성하고 있다. 또 프레임(52)은, 한 장의 시트형상의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해서 바닥을 가진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프레임(52)의 바닥판(55)을 적어도 2개소 이상 절기 가공해서 바닥을 가진 프레임형상의 요크(57)를 형성하여, 요크 일체형으로 하고, 댐퍼(76)는, 요크 측벽부(9)의 사이에서 요크(57)의 외측으로 연장해서, 각각의 선단부를 요크 바닥판(60)의 주위에 있는 프레임(52)의 바닥판(55)에 접착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회로에서 한 쌍의 외부접속단자를 개재해서 보이스 코일(68)에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자기회로(53)에 발생하고 있는 자계와 보이스 코일(68)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보이스 코일(68)이 상하로 진동되고, 이것에 연동해서 상하로 진동되는 돔부(72)(돔형의 진동판)에 의해 주위의 공기를 진동시켜서 소리를 낸다.
이때, 댐퍼(76)는, 에지부(71)와 함께 진동계(54)의 스프링에 상당하며, 진동계 스티프니스(SO)를 낮게 해서, 최저 공진주파수(fO)를 낮게 한다(저음을 나오기 쉽게 함). 이에 의해, 소형 스피커(51)이면서, 왜곡을 억제하여, 양질의 음질(저음)을 유지하면서, 높은 내입력 성능을 얻고 있다.
댐퍼(76)는, 보이스 코일 보빈(73)을 하측에서 지지하므로, 새롭게 댐퍼(76)의 조립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 소형 스피커(51)의 박형을 손상시키지 않고, 높은 내입력 성능을 얻고 있다.
댐퍼(76)는, 각각의 댐퍼(76)의 사이에서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어서, 댐퍼(76) 자체에는 통기성이 불필요하며, 또한 댐퍼(76)가 보이스 코일 보빈(73)을 하측에서 지지하므로, 보이스 코일 보빈(73)이 돔부(7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별체이거나 상관없이, 댐퍼(76)를 보이스 코일 보빈(73)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소형의 스피커(51)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해서, 높은 내입력 성능을 얻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돔부(72)에, 실시형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각 댐퍼(76)의 접착부(78)를 서로 연결하는 댐퍼 연결판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의 댐퍼 연결판의 형상은 직사각형 환상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진동판 에지부를 투명화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진동판 센터부의 외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진동판 에지부를 투명화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진동판 센터부의 외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다른 진동판 센터부의 외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진동판 에지부를 투명화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스피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1, 51: 스피커 2, 52: 프레임
3, 53: 자기회로 4, 54: 진동계
5, 55: 바닥판 7, 57: 요크
9, 59: 요크 측벽부 10, 60: 요크 바닥판
15, 65: 마그넷 16, 66: 폴피스
17, 67: 자기 갭 18, 68: 보이스 코일
19, 69: 진동판 23, 73: 보이스 코일 보빈
26, 76: 댐퍼 28, 78: 접착부
42, 42a: 댐퍼 연결판

Claims (5)

  1. 삭제
  2. 요크와 마그넷 및 폴피스를 가지는 자기회로와, 보이스 코일 보빈을 개재해서 연결된 보이스 코일과 진동판을 가지는 진동계와, 이들 자기회로와 진동계를 유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자기 갭에 상기 보이스 코일을 배치해서 이루어진 스피커로서,
    상기 보이스 코일 보빈의 개구측 단부의 복수 개소에서 연장해서, 각각의 선단부를 상기 프레임에 접착 고정하는 댐퍼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은, 한 장의 시트형상의 금속재료를 프레스 가공해서 바닥을 가진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프레임의 바닥판을 적어도 2개소 이상 절기(切起) 가공해서, 바닥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의 형상을 한 요크를 형성하여 요크 일체형으로 하고,
    상기 댐퍼는, 요크 측벽부의 사이에서 상기 요크의 외측으로 연장해서, 각각의 선단부를 요크 바닥판의 주위에 있는 상기 프레임의 바닥판에 접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각각의 선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환상의 댐퍼 연결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연결판을 상기 댐퍼와 별체로 설치하고, 상기 댐퍼는 각각의 선단부를 상기 댐퍼 연결판에 접착 고정해서 상기 댐퍼 연결판을 개재해서 상기 프레임에 접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연결판을 상기 댐퍼와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댐퍼 연결판을 개재해서 상기 프레임에 접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1020090048064A 2008-06-02 2009-06-01 스피커 KR101135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44046A JP5049883B2 (ja) 2008-06-02 2008-06-02 スピーカ
JPJP-P-2008-144046 2008-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710A KR20090125710A (ko) 2009-12-07
KR101135790B1 true KR101135790B1 (ko) 2012-04-16

Family

ID=4105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064A KR101135790B1 (ko) 2008-06-02 2009-06-01 스피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41070B2 (ko)
EP (1) EP2131606B1 (ko)
JP (1) JP5049883B2 (ko)
KR (1) KR101135790B1 (ko)
CN (1) CN101600138B (ko)
TW (1) TWI4101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3793B2 (ja) * 2007-08-29 2011-08-10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振動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ー
KR101116307B1 (ko) * 2010-03-25 2012-03-14 주식회사 비에스이 슬림형 스피커
CN202004956U (zh) * 2010-12-31 2011-10-05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发声器
DE102012205230A1 (de) * 2012-03-30 2013-10-02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Mikrofon mit einer Mikrofonkapsel, dynamischer Schallgeber für Kopfhörer, Ohrhörer oder Headset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ikrofonkapsel oder eines Schallgebers
GB2519573A (en) * 2013-10-25 2015-04-29 B & W Group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oudspeakers
US9584921B2 (en) 2014-07-15 2017-02-28 Nokia Technologies Oy Sound transducer
DE102015201940A1 (de) * 2015-02-04 2016-08-04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Elektrodynamischer Schallwandler
CN106604196B (zh) * 2016-11-28 2022-05-03 黄清山 一种弹波和音圈骨架一体成型工艺及成型模具
US10555085B2 (en) * 2017-06-16 2020-02-04 Apple Inc. High aspect ratio moving coil transducer
KR102085845B1 (ko) * 2018-04-09 2020-03-06 주식회사 이엠텍 보이스코일의 락킹 제한 구조물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CN109362002B (zh) * 2018-09-30 2020-09-1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发声器件
CN109362022B (zh) * 2018-11-02 2020-12-11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发声装置及其加工方法以及耳机
JP2022043691A (ja) 2020-09-04 2022-03-16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ピーカ
KR102601939B1 (ko) * 2022-05-09 2023-11-14 주식회사 알머스 벤트커버를 포함하는 스피커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2896A (ja) * 1996-05-23 1997-12-02 Pioneer Electron Corp スピーカ
JPH10117396A (ja) * 1996-10-09 1998-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KR19990056378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스피커 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8294U (ko) * 1981-02-04 1982-08-10
DE3123098C2 (de) * 1981-06-11 1983-06-01 Martin 4600 Dortmund Stute Membran für elektroakustische Wandlersysteme
JPS6433298U (ko) * 1987-08-24 1989-03-01
IT1229706B (it) * 1989-05-11 1991-09-07 Mario Cesati Diaframma per trasduttore elettroacustico, del tipo elettrodinamico a bobina mobile, per la conversione di segnali elettrici in suono e per la diffusione dello stesso
DE4317775C2 (de) * 1993-02-03 1995-02-02 Foster Electric Co Ltd Lautsprecher
JP3307066B2 (ja) * 1994-04-08 2002-07-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ッシブラジエータ
JPH1013992A (ja) 1996-06-19 1998-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用ダンパ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JP4134419B2 (ja) 1999-01-14 2008-08-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JP2000209633A (ja) 1999-01-14 2000-07-28 Toshiba Corp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無線端末装置
TW424405B (en) * 1999-04-12 2001-03-01 Li Yu Ling Whole-body made method and structure for aluminum metal speaker trunk and voice coil
JP3491569B2 (ja) * 1999-08-11 2004-01-26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導電ダンパおよび導電ダンパ型スピーカ
US6836551B2 (en) * 2000-03-23 2004-12-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udspeaker
JP4178717B2 (ja) * 2000-04-26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用ダンパ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ユニット
US6842529B2 (en) * 2000-09-04 2005-0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TW499820B (en) * 2000-10-24 2002-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Speaker, manufacturing method of speaker and manufacturing device of speaker
JP3901012B2 (ja) * 2002-05-22 2007-04-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EP2369854A1 (en) * 2002-11-28 2011-09-28 Panasonic Corporation Loudspeaker
US6865282B2 (en) * 2003-05-01 2005-03-08 Richard L. Weisman Loudspeaker suspension for achieving very long excursion
JP2006165913A (ja) * 2004-12-06 2006-06-22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フレーム及びスピーカフレームを備えたスピーカ装置
KR100791494B1 (ko) * 2004-12-14 2008-01-03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피커
JP4626462B2 (ja) * 2005-09-21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
JP2007088911A (ja) * 2005-09-22 2007-04-05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
JP4735306B2 (ja) * 2006-02-09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
KR100663175B1 (ko) * 2006-04-19 2007-01-05 주식회사 한국토프톤 장방형 슬림 스피커의 댐퍼
US20080053745A1 (en) * 2006-08-30 2008-03-06 Takumu Tada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diaphragm
JP2008092030A (ja) * 2006-09-29 2008-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US8259987B2 (en) * 2007-01-11 2012-09-0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iaphragm, diaphragm assembly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4997173B2 (ja) * 2008-05-13 2012-08-08 ホシデン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JP2009278214A (ja) * 2008-05-13 2009-11-26 Hosiden Corp 電気音響変換器
JP5028485B2 (ja) * 2008-05-13 2012-09-19 ホシデン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US20090296979A1 (en) * 2008-06-02 2009-12-03 Hosiden Corporation Spea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2896A (ja) * 1996-05-23 1997-12-02 Pioneer Electron Corp スピーカ
JPH10117396A (ja) * 1996-10-09 1998-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KR19990056378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스피커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710A (ko) 2009-12-07
TWI410147B (zh) 2013-09-21
CN101600138B (zh) 2014-05-14
US20090296978A1 (en) 2009-12-03
JP5049883B2 (ja) 2012-10-17
JP2009290815A (ja) 2009-12-10
CN101600138A (zh) 2009-12-09
EP2131606B1 (en) 2013-01-02
EP2131606A2 (en) 2009-12-09
EP2131606A3 (en) 2011-11-02
US8041070B2 (en) 2011-10-18
TW200952511A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790B1 (ko) 스피커
US8290201B2 (en) Speaker
JP2011071681A (ja) スピーカ用ダンパおよびスピーカ
JP4386327B2 (ja) スピーカ装置
US10979816B2 (en) Speaker
JP2018512014A (ja) コイルワイヤ及びリードが随意に支持されたモバイル用フレームレス音響トランスジューサ
WO2019205661A1 (zh) 发声单体、发声模组及电子终端
EP2725820A1 (en) Vibration module for sound transducer
US20070242850A1 (en) Loudspeaker with cone-coupled damper
KR101590178B1 (ko) 통전기능을 갖는 서스펜션이 적용된 박형 스피커유니트
KR20090118854A (ko) 전기음향변환기
CN110418255B (zh) 发声单体、发声模组及电子终端
JP2008263515A (ja) スピーカ
CN110662144A (zh) 一种定心支片以及发声装置
CN111629308A (zh) 扬声器及耳机
KR101759065B1 (ko) 틴셀 와이어 삽입형 댐퍼를 구비한 스피커 및 그 댐퍼의 제조방법
KR101778295B1 (ko) 멀티 코일 음향변환기
JP2011071682A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スピーカ
CN114466288A (zh) 扬声器和电子设备
KR101822186B1 (ko) 틴셀 와이어 삽입형 댐퍼를 구비한 스피커 및 그 댐퍼의 제조방법
JP3687235B2 (ja) スピーカ
CN215601459U (zh) 一种扬声器及音箱
KR20040107014A (ko)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CN213126454U (zh) 动圈扬声器
KR200188945Y1 (ko) 평판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