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610B1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610B1
KR101132610B1 KR1020090056500A KR20090056500A KR101132610B1 KR 101132610 B1 KR101132610 B1 KR 101132610B1 KR 1020090056500 A KR1020090056500 A KR 1020090056500A KR 20090056500 A KR20090056500 A KR 20090056500A KR 101132610 B1 KR101132610 B1 KR 10113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box
unit
air filte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919A (ko
Inventor
히리아키 우스이
다이 하타노
아츠시 니이자토
마사유키 이시제키
세이이치 코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유닛에 대해서 승강가능한 부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부재의 승강 시, 이 부재와 본체 유닛에 설치된 다른 부재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본체 유닛(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화장 패널(21)을 구비하고, 본체 유닛(1) 내에, 에어 필터(40)와, 에어 필터(40)를 이동해서 진애를 제거하는 브러시 유닛(51)을 구비하고, 브러시 유닛(51)으로부터 진애가 옮겨져서 집적되는 더스트 박스(57)와, 더스트 박스(57)를 에어 필터(40) 및 브러시 유닛(51)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유닛(35)을 구비하며,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브러시 유닛(51)이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에, 승강 유닛(35)을 승강가능하게 제어하도록 하였다.
공기조화기, 승강 유닛, 브러시 유닛, 더스트 박스, 에어 필터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흡입공기 중의 진애를 포집하는 에어 필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및 이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에어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회전 브러시와, 이 회전 브러시가 제거한 진애를 포집하는 더스트 박스를 구비하고, 자동으로, 회전 브러시에 의해서 에어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동시에, 제거한 진애를 더스트 박스에 의해서 포집함으로써, 에어 필터의 유지?보수(maintenance)를 용이하게 한 공기조화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본체 유닛(케이스체)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흡입 그릴을 구비하고 있고, 이 흡입 그릴에 상기 회전 브러시나 더스트 박스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 특허 제2007-4068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공기조화기와 같이, 본체 유닛에 대해서 승강가능한 부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이 부재의 승강 시, 이 부재와, 본체 유닛에 설치된 다른 부재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체 유닛에 대해서 승강가능한 부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이 부재의 승강 시, 이 부재와, 본체 유닛에 설치된 다른 부재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 및 이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가진 본체 유닛과, 이 본체 유닛 아래쪽에 배치되는 화장 패널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 내에, 상기 화장 패널의 흡입 그릴을 통해서 흡입한 공기 중의 진애를 포집하는 에어 필터와, 이 에어 필터의 하부면을 이동해서 해당 에어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거 장치를 구비하고, 이 제거 장치에 의해 제거된 진애가 해당 제거 장치로부터 옮겨져서 집적되는 더스트 박스와, 이 더스트 박스를, 상기 에어 필터 및 상기 제거장치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수단과,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이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승강 수단을 승강가능하게 제어하는 승강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더스트 박스는, 제거 장치가 제거한 진애가 이 제거 장치로부터 옮겨져서 집적되는 것으로, 제거 장치로부터 더스트 박스에 진애가 옮겨질 때에는, 제거 장치와 더스트 박스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근접하고, 또는, 제거 장치와 더스트 박스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진애가 옮겨진다. 따라서, 본체 유닛에 대해서 승강가능한 부재인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본체 유닛 내에 설치된 부재인 제거 장치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를 승강시킨 경우, 더스트 박스와 제거 장치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체 유닛에 대해서 승강가능한 부재인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본체 유닛에 설치된 제거 장치가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에, 승강 수단에 의한 더스트 박스의 승강이 가능해지므로, 더스트 박스의 승강 시, 확실하게 더스트 박스와 제거 장치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 유닛에 대해서 승강가능한 부재와 본체 유닛에 설치된 부재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거 장치는, 상기 에어 필터에 부착된 진애의 제거를 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는,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설정된 대기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더스트 박스의 위쪽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설정된 대기 위치에 제거 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제거 장치가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상기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거 장치의 이동을 개시하는 이동 개시 시각이 설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승강 제어 수단은, 상기 이동 개시 시각을 포함하는 소정의 시간대 동안에는, 상기 더스트 박스 승강 수단에 의한 상기 더스트 박스의 승강을 금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동 개시 시각을 포함하는 소정의 시간대에 있어서의 더스트 박스의 승강이 금지된다. 따라서, 현재 시각이 이동 개시 시각에 도달하여, 자동으로 제거 장치가 이동한 경우에, 이 제거 장치의 이동 중에 더스트 박스가 승강되는 것이 금지된다. 여기서, 제거 장치가 이동하고 있을 경우에는, 이동 과정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제거 장치가 위치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제거 장치의 이동 중에 더스트 박스가 승강한 경우, 제거 장치와 더스트 박스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동 개시 시각에 도달하여 자동으로 제거 장치가 이동한 경우, 이 자동으로 제거 장치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의 더스트 박스의 승강을 금지하므로, 자동으로 제거 장치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제거 장치와 더스트 박스가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일으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가진 본체 유닛과, 이 본체 유닛 아래쪽에 배치되는 화장 패널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본체 유닛 내에, 상기 화장 패널의 흡입 그릴을 통해서 흡입한 공기 중의 진애를 포집하는 에어 필터와, 이 에어 필터의 하부면을 이동해서 해당 에어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거 장치를 구비하고, 이 제거 장치에 의해 제거된 진애가 해당 제거 장치로부터 옮겨져서 집적되는 더스트 박스와, 이 더스트 박스를, 상기 에어 필터 및 상기 제거 장치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승강 수단을 승강가능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본체 유닛에 대해서 승강가능한 부재인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본체 유닛에 설치된 제거 장치가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에, 승강 수단에 의한 더스트 박스의 승강이 가능해지므로, 더스트 박스의 승강 시, 확실하게 더스트 박스와 제거 장치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 유닛에 대해서 승강가능한 부재와 본체 유닛에 설치된 부재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더스트 박스의 승강 시, 확실하게 더스트 박스와 제거 장치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 유닛에 대해서 승강가능한 부재와 본체 유닛에 설치된 부재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단면도이다.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판금제의 본체 유닛(1)을 가지고, 이 본체 유닛(1)과, 필터 챔버(20)와, 화장 패널(21)이 3단으로 포개져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유닛(1)의 외측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매달기 쇠장식(1B)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매달기 쇠장식(1B)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면(109)에 고정된 매달림 볼트(2)가 너트(4)(도 1)에 의해서 고정되어, 이들 매달림 볼트(2)를 개재해서,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는 천장면(109)으로부터 매달려 설치된다. 이 경우,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화장 패널(21)은, 상기 천장면(109) 아래쪽에 천장 이면 공간(111)을 개재해서 설치되는 천장판(112)에 배치되어서 피조화실(被調和室)에 노출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유닛(1)의 내부에는, 측판(1A) 및 천장면의 안쪽에 발포 스티롤제의 단열재(3)가 거의 전체 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고, 이 단열재(3)의 안쪽에 송풍기(9) 및 열교환기(11)가 수용되어 있다.
송풍기(9)는 샤프트를 하향으로 해서 배치된 모터(5)와, 모터(5)의 샤프트에 부착된 터보팬(7)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기(11)는, 상부면에서 보아서 오각형 으로 성형된 플레이트 핀형의 열교환기(11)이며, 송풍기(9)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열교환기(11)의 아래쪽에는, 열교환기(11)의 하부면(11A)을 덮도록, 발포스티롤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드레인 판(drain pan)(13)이 배치되고, 드레인 판(13)에 고이는 배수(drain)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 판(13)은, 본체 유닛(1)의 측판(1A)의 내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드레인 판(13)의 중앙에는 흡입 개구부(14)가 개구되어 있으며,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열교환기(11)를 통과한 송풍기(9)의 배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취출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개구부(14)의 상부에는, 흡입 개구부(14)를 통과한 피조화실의 공기를 송풍기(9)에 안내하는 노즐(17)이 부착되어 있다. 또, 드레인 판(13)에는 실내기측 제어부(120)(도 10)나 전원 회로 등을 수용한 전장 박스(도시 생략) 등의 각종 부품이 나사고정되어 있다.
필터 챔버(20)는 드레인 판(13)의 바로 아래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고, 필터 챔버(20)에는 드레인 판(13)의 취출 개구부(15)에 연통하는 통풍 구멍(25)과, 흡입 개구부(14)에 연통하는 직사각형상 흡입 개구부(26)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개구부(26)는, 이 흡입 개구부(26)의 네 변을 따라서 형성되는 프레임부(26A)를 구비하고, 이 프레임부(26A)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흡입 개구부(26)를 통해서 본체 유닛(1)에 유입하는 피조화실 내의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진애를 포집하는 에어 필터(40)가 끼워넣어져 있다. 이 에어 필터(40)는, 그물코 형상 으로 형성되는 필터 소재(41)와, 이 필터 소재(41)를 지지하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필터 지지 프레임(42)을 구비하고, 이들 필터 소재(41)와 필터 지지 프레임(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필터 챔버(20)는, 에어 필터(40)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風上側), 즉, 에어 필터(40)의 하부면(포집면) 쪽에, 해당 에어 필터(40)에 부착된 진애를 자동적으로 제거하는 청소 기구(제거 수단)(50)를 구비한다. 이 청소 기구(50)는, 에어 필터(40)의 하부면을, 도 3에 화살표(X)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브러시 유닛(51)을 구비하고 있고, 이 브러시 유닛(51)의 이동 시 해당 에어 필터(40)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 청소 기구(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필터 챔버(20)의 하부면에는, 피조화실 내에 노출하는 화장 패널(21)이 나사(도시 생략)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화장 패널(21)에는, 피조화실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2)와, 열교환기(11)를 통과한 조화 공기를 피조화실에 취출하는 취출구(23)가 형성되고, 이 취출구(23)에는 풍향을 변경하기 위한 루버(louver)(24)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22)는 필터 챔버(20)의 흡입 개구부(26)에 연통하고, 취출구(23)는 필터 챔버(20)의 통풍 구멍(25)에 연통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장 패널(21)의 네 모퉁이에 있어서, 매달기 쇠장식(1B) 아래쪽에 상당하는 위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 패널측 개구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화장 패널측 개구부(21A)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를 폐쇄하도 록 코너 패널(21B), (21C), (21D), (21E)이 화장 패널(21)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위치결정이나 높이조정 등을 행할 경우, 작업자들은, 이 코너 패널(21B), (21C), (21D), (21E)을 떼어내 화장 패널측 개구부(21A)를 노출시키고, 이 화장 패널측 개구부(21A)에, 손이나 공구를 삽입해서 너트(4)에 접근하여, 이 너트(4)를 조작해서,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위치결정이나 높이조정 등을 행한다.
도 4(A)는 코너 패널(21B) 내지 (21E) 중, 코너 패널(21B)을 표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B)는 코너 패널(21C)을 표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여기서, 표면이란, 코너 패널(21B) 내지 (21E)을 화장 패널(21)에 부착한 때에 피조화실측에 면하는 면이다.
코너 패널(21B)은 흡입 그릴(30)의 상태를 통지하는 기능을 가진 코너 패널이다. 코너 패널(21B)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서 대략 정방형의 판형상 부재이며, 화장 패널측 개구부(21A)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편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클릭(211B)을 구비하고 있다. 코너 패널(21B)의 표면의 대략 중앙에는, 통지 장치(212B)가 설치되고, 이 통지 장치(212B)는, LED(213B) 내지 (215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LED(213B) 내지 (215B)는, 미리 정해진 양태에서 발광함으로써 흡입 그릴(30)의 상태를 통지한다. LED(213B) 내지 (215B)의 발광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통지 장치(212B)의 걸어맞춤 클릭(211B) 쪽에는 리모트 컨트롤러(130)(도 10)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부(216B)가 설치되어 있다.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조작해서, 천장 매립 형 공기조화기(100)에 대해서 각종 지시를 행한다.
코너 패널(21C)은, 후술하는 청소 기구(50)의 상태를 통지하는 기능을 가진 코너 패널이다. 코너 패널(21C)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서 대략 정방형의 판형상 부재이며, 화장 패널측 개구부(21A)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편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클릭(211C)을 구비하고 있다. 코너 패널(21B)의 표면의 대략 중앙에는 통지 장치(212C)가 설치되고, 이 통지 장치(212C)는 LED(213C) 내지 (215C)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LED(213C) 내지 (215C)는, 미리 정해진 양태에서 발광함으로써 청소 기구(50)의 상태를 통지하는 것이다. LED(213C) 내지 (215C)의 발광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화장 패널(21)에는, 흡입구(22)에 끼워맞춤하는 흡입 그릴(30)과, 흡입 그릴(30)을 4개의 매다는 끈(36), (37), (38), (39)에 의해서 승강 자유롭게 지지하는 승강 유닛(35)이 부착되어 있다. 흡입 그릴(30)의 중앙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1)가 형성되고, 이 흡입 그릴(30)이 흡입구(22)에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흡입구(31)가 흡입 개구부(26)에 연통한다.
승강 유닛(35)은, 화장 패널(21)의 안쪽, 즉, 필터 챔버(20) 쪽의 면에, 판금제의 스테이(stay)(도시 생략)를 개재해서 부착되어, 4개의 매다는 끈(36) 내지 (39)을 풀어내거나 혹은 되감음으로써, 소정의 범위에서 흡입 그릴(30)을 승강시킨다.
흡입 그릴(30)은, 그 한 변에 2개의 매다는 끈(36), (37)이 고정되고, 다른 변에 2개의 매다는 끈(38), (39)이 고정되어 있다. 승강 유닛(35)은 매다는 끈(36), (37)의 풀어내기 및 되감기를 행하는 제1기구(도시 생략)와, 매다는 끈(38), (39)의 풀어내기 및 되감기를 행하는 제2기구(도시 생략)와, 이들 제1기구 및 제2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도시 생략)을, 1개의 케이스에 수납한 것이다.
매다는 끈(36) 내지 (39)은, 그 일단부가 각각 흡입 그릴(30)의 이면, 즉, 도 1 중 상부측의 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화장 패널(21)의 이면에 설치된 가이드(55), (56)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전향되어, 승강 유닛(35) 내에 수용된다.
상기 제1기구는, 매다는 끈(36), (37)이 감기는 보빈(도시 생략), 보빈을 회전시키는 기어(도시 생략) 및 그릴 승강 모터(129)(도 10)를 내장하고, 이 그릴 승강 모터의 정전(正轉) 혹은 역전 동작에 의해서 보빈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매다는 끈(36), (37)의 풀어내기 및 되감기가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매다는 끈(38), (39)의 타단부는 제2기구가 구비하는 보빈(도시 생략)에 감기고, 제2기구가 가진 모터의 정전 혹 역전 동작이 기어를 개재해서 보빈에 전달되어, 보빈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매다는 끈(38), (39)의 풀어내기 혹은 되감기가 행해진다.
또, 흡입 그릴(3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흡입 그릴(30)을 화장 패널(21)의 흡입구(22)에 끼워맞춘 때에, 상기 승강 유닛(35)과 대향하는 한쪽 변(30A)과 반대쪽의 다른 쪽 변(30B)을 따라서, 더스트 박스(57)가 배치되어 있다. 이 더스트 박스(57)는, 청소 기구(50)에 의해 제거된 진애가 해당 청소 기구(50)로부터 옮겨져서 집적되는 것이며, 흡입 그릴(30)에 지지되어, 흡입 그릴(30)의 승강에 따라 승강한다.
본 구성에서는, 필터 챔버(20)에 에어 필터(40)와, 이 에어 필터(40) 위의 진애를 제거하는 청소 기구(50)를 구비하고, 이 청소 기구(50)에 의해 제거된 진애가 해당 청소 기구(50)로부터 옮겨져서 집적되는 더스트 박스(57)가 흡입 그릴(30)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에어 필터(40)와 청소 기구(50)를 필터 챔버(20)에 남긴 상태에서, 더스트 박스(57)를 흡입 그릴(30)과 함께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 유닛(35)의 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는,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기(11)에 통과시켜서, 열교환기(11)를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서 기능시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기(9)의 동작에 의해서 흡입구(31)로부터 피조화실의 실내공기를 흡입해서, 흡입 개구부(26), 흡입 개구부(14) 및 노즐(17)을 통해서 실내공기를 열교환기(11)에 통과시켜 냉각 또는 가열하여, 조화 공기로 한다. 그리고,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는, 송풍기(9)의 동작에 의해서, 조화 공기를 취출 개구부(15) 및 통풍 구멍(25)을 통해서 취출구(23)로부터 피조화실에 취출하여, 피조화실을 냉방 또는 난방한다.
다음에, 청소 기구(50)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소 기구(5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필터(40)의 전체 폭에 걸쳐서 뻗어 있는 가로로 긴 브러시 유닛(51)과, 이 브러시 유닛(51)을 에어 필터(40)의 하부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1쌍의 가이드 레일(52L), (52R)을 구비한다. 이들 가이드 레일(52L), (52R)은, 긴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면에는, 해당 가이드 레일(52L), (52R)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랙 기어(도시 생 략)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52L), (52R)은, 그 양 단부가 각각 필터 챔버(20)의 프레임부(26A)로부터 수하(垂下)되는 스테이(53), (53)에 연결되어 있다.
청소 기구(50)의 브러시 유닛(51)은,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운전이 정지하고 있는 사이에, 에어 필터(40)의 하부면의 전역을 이동해서, 이 에어 필터(40)에 부착된 진애를 자동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가 개시되면, 도 3에 표시된 대기 위치(H1)에 위치하는 브러시 유닛(51)이, 에어 필터(40)의 하부면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면서, 도 3에 표시된 대기 위치(H1)로부터 진애 이동 위치(H2)에 도달하기까지 이동한 후, 반전해서 진애 이동 위치(H2)로부터 대기 위치(H1)까지 이동하고, 재차 대기 위치(H1)에 위치한다.
여기서, 대기 위치(H1)는, 이 대기 위치(H1)에 브러시 유닛(51)이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있어서, 이 브러시 유닛(51)이 흡입 그릴(30)로부터 유입해서 에어 필터(4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통을 저해하지 않는 바와 같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필터(40)의 일단부에 있어서, 승강 유닛(35) 위쪽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가 운전하고 있는 동안에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도록 제어되어, 브러시 유닛(51)의 존재에 의해서 공기의 유통이 저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브러시 유닛(51)은,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를 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있어서도, 대기 위치(H1)에 위치하도록 제어되고 있고,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전 및 종료 후에는 대기 위치(H1)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진애 이동 위치(H2)는, 더스트 박스(57) 위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브러시 유닛(51)이 이 진애 이동 위치(H2)에 이동한 때에,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가 걸어맞춤하여, 더스트 박스(57)가 제거해서 수집한 진애가 더스트 박스(57)로 이동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 유닛(51)이 진애 이동 위치(H2)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므로, 이들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가 접촉하는 일이 없다.
도 5는 브러시 유닛(51)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상태로부터 위쪽 케이스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브러시 유닛(5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가이드 레일(52L), (52R) 위에 배치되는 케이스체(61)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체(61)는 아래쪽 케이스(62)와 이 아래쪽 케이스(62)에 조합되는 위쪽 케이스(63)로 구성된다. 케이스체(61)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케이스체(61)의 전체 폭에 걸쳐서 뻗어 있는 가로로 긴 회전 브러시(64)가 배치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 케이스(63)의 상부면(63A)에는, 해당 회전 브러시(64)의 외주부가 케이스체(61)의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개구부(6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61)에는, 이 케이스체(61)의 일단측(61A)에 배치되어서 회전 브러시(64)를 회전 구동하는 브러시 구동기구(65)와, 해당 케이스체(61)의 타단부측(61B)에 배치되어서 해당 케이스체(61)를 가이드 레일(52L), (52R) 위에서 이동 시키는 이동 기구(66)가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 구동기구(65)는, 아래쪽 케이스(62)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브러시 구동 모터(71)와, 해당 아래쪽 케이스(72)에 수용되어서 브러시 구동 모터(71)의 구동 축에 설치된 피니언(pinion)(도시 생략)에 톱니결합하는 제1변속바퀴(73)와, 이 제1변속바퀴(73)와 동축 위에 설치된 제2변속바퀴(74)와, 이 제2변속바퀴(74)에 톱니결합하는 제3변속바퀴(75)와, 이 제3변속바퀴(75)와 동축 위에 설치된 제4변속바퀴(76)를 구비하고, 이 제4변속바퀴(76)가 회전 브러시(64)의 한쪽 축단부에 설치된 피니언(77)에 톱니결합하고 있다. 이들 제1변속바퀴(73) 내지 제4변속바퀴(76)는, 브러시 구동 모터(71)의 회전수를 회전 브러시(64)용의 회전수까지 감속시키는 감속바퀴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회전 브러시(64)의 회전 방향을 규정한다. 브러시 구동 모터(71)는, 도 6 중의 화살표(A) 방향(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제어되어, 이 브러시 구동 모터(71)의 회전이 상기 제1변속바퀴(73) 내지 제4변속바퀴(76)를 개재함으로써 감속되어서 회전 브러시(64)에 전달되므로, 이 회전 브러시(64)는 도 6 중의 화살표(B) 방향(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에어 필터(40)에 부착된 진애가 에어 필터(40)의 회전에 의해 긁어 떨어뜨려지고, 이 긁어 떨어뜨려진 진애는 케이스체(61)의 내부에 포집된다.
회전 브러시(64) 근방에는 포토 센서(124)(도 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포토 센서(124)는 반사형 포토 센서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구비하며, 발광 소자가 회전 브러시(64)에 대해서 광을 발하고, 수광소자가 반사한 광을 수광한다. 이 포토 센서(124)에는, 후술하는 챔버측 제어부(121)가 신호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포토 센서(124)는 검출값을 챔버측 제어부(121)에 출력한다. 챔버측 제어부(121)는 포토 센서(124)의 검출값을 실내기측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그리고, 후술하지만, 실내기측 제어부(120)의 브러시 회전 검출부(120B)가, 포토 센서(124)의 검출값에 의거해서, 회전 브러시(64)가 회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동 기구(6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 케이스(62)에 나사고정되어 있는 이동용 모터(81)와, 해당 아래쪽 케이스(72)에 수용되어서 이동용 모터(81)의 구동 축에 설치된 피니언(도시 생략)에 톱니결합하는 제5변속바퀴(82)와, 이 제5변속바퀴(82)와 동축 위에 설치된 제6변속바퀴(83)와, 이 제6변속바퀴(83)에 톱니결합하는 제7변속바퀴(84)와, 이 제7변속바퀴(84)와 동축 위에 설치된 제8변속바퀴(85)와, 이 제8변속바퀴(85)에 톱니결합하는 제9변속바퀴(86)와, 이 제9변속바퀴(86)와 동축 위에 설치된 제10변속바퀴(87)를 구비하고, 이 제10변속바퀴(87)가 한쪽의 가이드 레일(52R)의 랙 기어에 톱니결합하는 피니언(88)과 톱니결합하고 있다. 이 피니언(88)에는, 아래쪽 케이스(62)의 폭방향에 걸쳐서 설치된 회전축(89)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이 회전축(89)의 타단부에는 상기 피니언(88)과 동일 직경 및 동일 톱니수의 피니언(90)이 연결되어 있다. 이 피니언(90)은, 다른 쪽의 가이드 레일(52L)의 랙 기어에 톱니결합하고 있다. 이들 랙 기어 상을 피니언(88), (90)이 회전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시 유닛(51)을, 에어 필터(40)의 하부면을 따라서 해당 에어 필터(40)의 일단측(40A)으로부터 타단부측(40B)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제5변속바퀴(82) 내지 제10변속바퀴(87)는, 이동용 모터(81)의 회전수를 브 러시 유닛(51)이 가이드 레일(52L), (52R) 위를 이동하는 데 알맞은 회전수까지 감속시키는 감속바퀴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가이드 레일(52L), (52R)의 랙 기어에 톱니결합하는 피니언(88), (90)의 회전 방향을 규정한다.
이동용 모터(81)는, 도 6 중의 화살표(C) 방향(시계 회전 방향) 혹은 화살표(D) 방향(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제어된다. 이동용 모터(81)를 화살표(C)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이 이동용 모터(81)의 회전은, 제5변속 바퀴(82) 내지 제10변속바퀴(87)를 개재해서 감속되는 동시에, 동일한 회전 방향인 채로 피니언(88), (90)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 유닛(51)은 가이드 레일(52L), (52R) 위를 화살표(X1) 방향(대기 위치(H1)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이동용 모터(81)를 화살표(D)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이 이동용 모터(81)의 회전은, 제5변속바퀴(82) 내지 제10변속바퀴(87)를 개재해서 감속되면서, 동일한 회전 방향인 채로 피니언(88), (90)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 유닛(51)은 가이드 레일(52L), (52R) 위를 화살표(X2) 방향(진애 이동 위치(H2)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52L)의 대기 위치(H1) 쪽의 단부에는 리미트 스위치(110L)가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52R)의 대기 위치(H1) 쪽의 단부에는 리미트 스위치(110R)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리미트 스위치(110L), (110R)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스위치이며, 케이스부(111L), (111R)와, 이 케이스부(111L), (111R)로부터 진애 이동 위치(H2) 쪽으로 돌출한 스위치부(112L), (112R)를 구비하고 있다.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리미트 스위치(110L), (110R)의 스위치부(112L), (112R)가 함께 눌려 「온」(on) 상태로 되고(도 7의 2점 쇄선으로 표시된 상태),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스위치부(112L), (112R)의 눌림이 개방되어 「오프」(off) 상태로 된다. 리미트 스위치(110L), (110R)는, 후술하는 챔버측 제어부(121)(도 10)와 신호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리미트 스위치(110L), (110R)의 검출값은 챔버측 제어부(121)(도 10)에 출력되며, 챔버측 제어부(121)는 이 검출값을 실내기측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운전 중에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기 때문에, 리미트 스위치(110L), (110R)가 온 상태로 되고,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중에는, 브러시 유닛(51)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리미트 스위치(110L), (110R)가 오프 상태로 된다.
도 7은 브러시 유닛(51)의 측면도이다.
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시 유닛(51)은, 회전 브러시(64) 아래쪽에, 이 회전 브러시(64)에 의해 긁어 떨어뜨린(제거한) 진애를 받아, 이 진애를 일시적으로 모으는 진애 수용실(진애 받이부)(67)을 구비한다. 이 진애 수용실(67)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52L), (52R) 사이에 돌출해서, 아래쪽 케이스(62)의 폭방향에 걸쳐서 해당 아래쪽 케이스(62)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진애 수용실(67)은 하부면에 개폐 자유로운 하부 덮개(바닥 덮개)(68)를 구 비하고, 이 하부 덮개(68)는 진애 수용실(67)에 쌓인 진애를 더스트 박스(57)에 투하할 때에 개방된다. 이 하부 덮개(68)는, 진애 수용실(67)에 있어서의 승강 유닛(35) 쪽의 측면(67A)의 하부 가장자리부에 힌지 축(69)을 개재해서 힌지 연결되고, 통상 시에는, 내부의 진애가 낙하하지 않도록 폐쇄되는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어 있다.
또한, 하부 덮개(68)는, 힌지 축(69) 쪽으로 뻗어나온 연출부(延出部)(68A)를 구비하고, 이 연출부(68A)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삼각형상의 복수개의 돌출편(9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편(91)은, 진애 수용실(67)의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거의 같은 크기로 설치되어 있어, 브러시 유닛(51)을 더스트 박스(57) 위로 이동시킨 경우에, 이 더스트 박스(57)와 맞닿아, 스프링 힘에 저항해서 하부 덮개(68)를 개방시키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도 8은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스(57) 위쪽의 전술한 진애 이동 위치(H2)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 8 및 도 9에서는 변속바퀴 등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더스트 박스(57)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되어서 상자형상으로 형성된 상자 본체(92)와, 이 상자 본체(92)의 상부면을 개폐자유로운 상부 덮개(93)를 구비한다. 이 상부 덮개(93)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스(57) 위로 이동했을 때에 개방되어서, 브러시 유닛(51)의 진애 수용실(67)로부터 투하된 진애를 받는다.
상부 덮개(93)는, 상자 본체(92)에 있어서의 흡입 그릴(30)의 다른 쪽 변(30B) 쪽에 위치하는 측면(92A)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힌지 축(94)을 개재해서 힌지 연결되어 있다. 또, 상자 본체(92)의 상기 측면(92A)에 대향하는 측면(92B)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상부 덮개(93)의 상부에 뻗어 있는 스토퍼부(92B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92B1)는, 상부 덮개(93)에 맞닿아, 이 상부 덮개(93)가 상자 본체(92)의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힌지 축(94)에는, 스프링 부재(95)가 설치되어, 통상 시, 즉,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스(57)로부터 이간되었을 때에, 이 더스트 박스(57)의 내부의 진애가 바람에 의해 뿜어올려지지 않도록 상부 덮개(93)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덮개(93)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삼각형상의 복수개의 돌출편(9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편(96)은, 더스트 박스(57)의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거의 같은 크기로 설치되어 있어, 브러시 유닛(51)을 더스트 박스(57) 위로 이동시킨 경우에, 브러시 유닛(51)의 진애 수용실(67)과 맞닿아, 스프링 힘에 저항해서 상부 덮개(93)를 개방시키는 기능을 지닌다.
본 구성에서는, 더스트 박스(57)는 흡입 그릴(30)에 착탈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 그릴(30)에 더스트 박스(57)가 부착되어 있을 경우, 더스트 박스(57)는 승강 유닛(35)의 승강에 따라서 승강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유닛(35)이 더스트 박스(57)를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흡입 그릴(30)에 대한 더스트 박스(57)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 상술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 그릴(30)의 상부면에는, 더스트 박스(57)를 지지하는 1쌍의 지지부(32A), (32B)가, 해당 더스트 박스(57)의 상자 본체(92)의 폭과 거의 동일한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되어 있고, 이들 지지부(32A), (32B)의 안쪽 면에는, 오목부(32A1), (32B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32A1), (32B1)에는, 더스트 박스(57)의 상자 본체(92)의 측면(92A), (92B)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97), (98)가 걸어맞춤되어, 더스트 박스(57)가 지지부(32A), (32B)로부터 용이하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더스트 박스(57)를 지지부(32A), (32B)에 부착할 경우에는, 이들 지지부(32A), (32B) 사이에 더스트 박스(57)를 밀어넣음으로써, 해당 지지부(32A), (32B)가, 도 8 중 화살표(Y) 방향으로 만곡하고, 상기 돌기부(97), (98)가 오목부(32A1), (32B1)에 끼워지면, 해당 지지부(32A), (32B)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므로, 더스트 박스(57)가 지지부(32A), (32B)에 걸어맞춤된다.
또, 더스트 박스(57)를 지지부(32A), (32B)로부터 떼어낼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한쪽의 지지부(32A)를 상기 화살표(Y) 방향으로 만곡시켜서, 돌기부(97)와 오목부(32A1)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더스트 박스(57)를 위쪽으로 떼어낸다. 이것에 의해, 더스트 박스(57)를 흡입 그릴(30)의 지지부(32A), (32B)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여기서,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시의 동작, 및, 진애 이동 위치(H2)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57)에 진애가 이동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소 기구(50)의 이동용 모터(81)를 동작시키면, 이 이동용 모터(81)의 회전 이 복수개의 변속바퀴를 개재해서 피니언(88), (90)에 전달되고, 이 피니언(88), (90)의 회전에 의해서 브러시 유닛(51)이 가이드 레일(52L), (52R) 위를 왕복 이동한다.
또, 브러시 구동 모터(71)가 동작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브러시 구동 모터(71)의 회전이 복수개의 변속바퀴를 개재해서 회전 브러시(64)에 전달되어, 해당 회전 브러시(64)가 도면 중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 브러시(64)의 회전에 의해, 에어 필터(40)에 부착된 진애(200)는 회전 브러시(64)에 긁어 떨어뜨려져, 이 회전 브러시(64)에 부착된다. 케이스체(61)에는, 회전 브러시(64) 아래쪽에 해당 회전 브러시(64)의 전체 폭에 걸쳐서 뻗어 있는 진애 박리판(58)이 부착되어 있다. 이 진애 박리판(58)은, 그 선단부를 회전 브러시(64)의 외주면을 대략 따르는 방향으로 굴곡해서 해당 회전 브러시(64)에 접촉하는 클릭부를 지니고, 회전 브러시(64)가 회전한 경우에, 이 회전 브러시(64)와 상기 클릭부가 접촉해서, 회전 브러시(64)에 부착된 진애(200)를 박리해서 진애 수용실(67)에 수용시킨다.
이 진애 수용실(67)에 수용된 진애(200)는, 진애 수용실(67)(브러시 유닛(51))이 진애 이동 위치(H2)로 이동했을 때에, 이 더스트 박스(57) 내에 투하된다. 구체적으로는,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스(57) 위로 이동할 때에, 더스트 박스(57)의 상부 덮개(93)에 형성된 돌출편(96)과, 브러시 유닛(51)의 진애 수용실(67)이 맞닿는다. 이 돌출편(96)은, 브러시 유닛(51)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뻗는 사변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사변부와 진애 수용실(67)이 맞닿은 상태에서, 이 진애 수용실(67)이 더스트 박스(57) 쪽으로 이동하면, 이 이동 동작에 따라서 돌출편(96)이 눌려, 상부 덮개(93)는 힌지 축(94)을 중심으로 상자 본체(92)의 안쪽으로 개방된다.
한편, 브러시 유닛(51)의 진애 수용실(67)의 하부 덮개(68)는, 이 하부 덮개(68)의 연출부(68A)에 형성된 돌출편(91)이 더스트 박스(57)의 상자 본체(92)에 맞닿는다. 이 돌출편(91)은, 더스트 박스(57)를 향해서 위쪽으로 길어지는 사변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사변부와 더스트 박스(57)의 상자 본체(92)가 맞닿은 상태에서, 이 진애 수용실(67)이 더스트 박스(57) 쪽으로 이동하면, 이 이동 동작에 따라서 돌출편(91)이 눌려, 하부 덮개(68)는 힌지 축(94)을 중심으로 진애 수용실(67)의 바깥쪽으로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진애 수용실(67) 내의 진애(200)는, 더스트 박스(57)의 상부 덮개(93)의 상부면을 경유해서 해당 더스트 박스(57)의 상자 본체(92) 내에 투하된다.
더스트 박스(57) 내에 진애가 쌓이면, 흡입 그릴(30)을 하강시킴으로써, 더스트 박스(57)를 하강시킨다. 이 더스트 박스(57)는, 흡입 그릴(30)에 착탈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더스트 박스(57)를 흡입 그릴(30)로부터 떼어내서 해당 더스트 박스(57) 내의 진애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더스트 박스(57)는,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운전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하면 강하하도록 해도 되고, 또, 더스트 박스(57) 내에 진애의 양을 검출하는 만량(滿量) 센서를 설치하고, 이 만량 센서가 작동한 경우에, 더스트 박스(57)를 강하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10은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는, 본체 유닛(1)의 드레인 판(13)에 설치된 전장 박스에 수납된 실내기측 제어부(120)와, 필터 챔버(20)에 설치된 챔버측 제어부(121)와, 화장 패널(21)에 설치된 그릴측 제어부(122)를 구비하고, 이들 제어부가 신호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각 부를 중추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연산 실행 수단으로서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이 CPU에 실행되는 기본 제어 프로그램이나, 이 기본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 등을 불휘발적으로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CPU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이 프로그램에 관계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그 밖의 주변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도시하지 않은 발진기가 생성한 기준 클록에 의거해서 각종 계시(計時) 동작 및 현재 시각의 계시를 실행한다.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위치검출수단)와 브러시 회전 검출부(120B)를 구비하고 있다.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는, 리미트 스위치(110L), (110R)의 출력값에 의거해서,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는, 리미트 스위치(110L), (110R)의 양쪽으로부터 온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경우에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별하고, 리미트 스위치(110L), (110R) 중 적어도 어느 쪽인가 한쪽으로부터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경우에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다. 이와 같이,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는, 리미트 스위치(110L), (110R)의 쌍방이 온 상태일 경우에만,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므로, 브러시 유닛(51)에 이동 방향에 대한 어긋남이 생기고, 브러시 유닛(51)이 정상적으로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더라도, 이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110L), (110R)의 검출값은, 챔버측 제어부(121)에 출력되어, 챔버측 제어부(121)가 실내기측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 위치(H1)와 진애 이동 위치(H2)는 다른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에 의해서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검출되고 있는 동안에는, 브러시 유닛(51)이 진애 이동 위치(H2)에 확실하게 위치하고 있지 않게 된다.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스(57) 위쪽의 진애 이동 위치(H2)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가,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스(57) 위쪽의 진애 이동 위치(H2)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확실하게,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스(57)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브러시 회전 검출부(120B)는, 포토 센서(124)의 출력값에 의거해서, 회전 브 러시(64)가 회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브러시(64)의 회전이 개시된 후에, 브러시 회전 검출부(120B)는, 포토 센서(124)의 검출값에 의거해서, 회전 브러시(64)가 반사하는 광의 변화율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의거해서, 회전 브러시(64)가 회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토 센서(124)의 검출값은, 챔버측 제어부(121)에 출력되어, 챔버측 제어부(121)가 실내기측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실내기측 제어부(120)에는 기억부(125)가 접속되어 있다. 이 기억부(125)는, EEPROM이나 플래시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실내기측 제어부(120)의 제어 하, 개서가능하게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기억부(125)에는, 종료후 시간 테이블(125A)과, 개시 시각 테이블(125B)과, 누적 시간 테이블(125C)이 기억되어 있지만, 이들 테이블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릴측 제어부(122)는, 화장 패널(21)에 설치되어, 실내기측 제어부(120)의 제어 하, 흡입 그릴(30)의 승강 등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며, 모터 구동기(127)와, LED 기판(128)과, 수광부(216B)가 접속되어 있다. 또, 그릴측 제어부(122)는, 실내기측 제어부(120)와 마찬가지로, CPU, ROM, RAM 및 주변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 구동기(127)는, 흡입 그릴(30)을 승강시키기 위한 그릴 승강 모터(129)에 접속되어, 그릴측 제어부(122)의 제어 하, 그릴 승강 모터(129)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이 그릴 승강 모터(129)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그릴 승강 모터(129)가 스테핑 모터로 구성될 경우, 모터 구동기(127)는, 해당 모터에 대해서 구동 펄스를 출력해서, 필요량만큼 해당 모터를 동작시킨다.
LED 기판(128)은, 흡입 그릴(30)의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 장치(212B)에 설치된 LED(213B), (214B), (215B)에 접속되어, 그릴측 제어부(122)의 제어 하, 이들 LED의 발광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지 장치(212B)의 LED(213B), (214B), (215B)의 발광 양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LED(213B)는 흡입 그릴(30)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그릴(30)의 승강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거나, 또한, 흡입 그릴(30)이 화장 패널(21)의 흡입구(22)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정상적으로 끼워맞추어져 있지 않았거나 했을 경우, 점멸함으로써 흡입 그릴(30)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을 통지한다. 또, 흡입 그릴(30)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는, 리미트 스위치, 포토 센서 등의 공지의 기술을 이용한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LED(214B)는 흡입 그릴(30)의 현재의 상태를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그릴(30)이 화장 패널(21)의 흡입구(22)에 끼워맞추어져 있을 경우에는 소등하고, 흡입 그릴(30)이 강하하고 있을 경우에는 점멸하며, 흡입 그릴(30)이 상승하고 있을 경우에는 점등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더스트 박스(57)는 흡입 그릴(30)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 그릴(30)의 상태를 통지함으로써, 더스트 박스(57)의 상태도 아울러서 통지하는 것으로 된다.
LED(215B)는,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조작해서 흡입 그릴(30)의 강하를 지시했을 때,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를 실행 중일 경우, 또는, 현재 시각이 후술하는 승강 금지 시간대에 있을 경우, 점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중, 및, 현재 시각이 승강 금지 시간대의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흡입 그릴(30)의 승강을 금지함으로써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을 금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유저는, LED(214C)가 점멸하고 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금지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수광부(216B)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3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광하고, 이 신호를 그릴측 제어부(122)에 출력한다. 그릴측 제어부(122)는, 수광부(216B)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실내기측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그릴측 제어부(122)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거해서,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각 부를 제어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30)는,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운전의 개시/정지나, 냉방 운전/난방 운전의 전환, 설정 온도의 설정 등의 공기조절에 관한 지시 외에, 흡입 그릴(30)의 강하의 지시, 흡입 그릴(30)의 상승의 지시 및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지시를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30)는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를 개시하는 조건에 대해서 지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1(A)는, 종료후 시간 테이블(125A)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개시 시각 테이블(125B)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C)는 누적 시간 테이블(125C)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 시 조건으로서,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운전이 종료하고 나서 미리 설정한 경과 시간(T1)이 경과했을 때라고 하는 조건(이하, 「조건 A」라고 함)을 선택가능하게 되어 있어,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조작하여, 조건 A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T1)을 설정할 수 있다.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조작해서, 경과 시간(T1)을 설정하면, 리모트 컨트롤러(130)로부터 경과 시간(T1)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광부(216B) 및 그릴측 제어부(122)를 개재해서 실내기측 제어부(120)에 출력된다.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그릴측 제어부(122)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거해서, 기억부(125)에 기억되어 있는 종료후 시간 테이블(125A)(도 11(A))의 값을 유저가 지시한 경과 시간(T1)을 나타내는 값으로 개서한다. 그리고,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조건으로서 조건 A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운전이 정지했을 때에, 경과 시간을 계시하는 동시에, 종료후 시간 테이블(125A)을 참조하여, 경과 시간이 종료후 시간 테이블(125A)에 기억되어 있는 경과 시간(T1)에 도달한 때에,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를 개시한다.
또,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조건으로서, 현재의 시각이 미리 설정한 시각(T2)(이동 개시 시각)에 도달했다고 하는 조건(이하, 「조건 B」라 함)을 선택가능하게 되어 있어,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조작해서, 조건 B에 있어서의 시각(T2)을 설정할 수 있다.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조작해서, 시각(T2)을 설정하면, 리모트 컨트롤러(130)로부터 시각(T2)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광부(216B) 및 그릴측 제어부(122)를 개재해서 실내기측 제어부(120)에 출력된다.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그릴측 제어부(122)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거해서, 기억부(125)에 기억되어 있는 개시 시각 테이블(125B)(도 11(B))의 값을 시각( T2)을 나타내는 값으로 개서한다. 그리고,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조건으로서 조건 B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개시 시각 테이블(125B)을 참조해서, 현재 시각이 개시 시각 테이블(125B)에 기억되어 있는 시각에 도달한 때에,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를 개시한다.
또,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조건으로서,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누적 운전 시간이 미리 설정한 누적 시간(T3)에 도달한 때라고 하는 조건(이하, 「조건 C」라 함)을 선택가능하게 되어 있어,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조작해서, 조건 C에 있어서의 누적 시간(T3)을 설정할 수 있다.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조작해서, 누적 시간(T3)을 설정하면, 리모트 컨트롤러(130)로부터 누적 시간(T3)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광부(216B) 및 그릴측 제어부(122)를 개재해서 실내기측 제어부(120)에 출력된다.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그릴측 제어부(122)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거해서, 기억부(125)에 기억되어 있는 누적 시간 테이블(125C)(도 11(C))의 값을 누적 시간(T3)을 나타내는 값으로 개서한다. 그리고,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조건으로서 조건 C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운전 누적 시간을 계시하고, 기억부(125)에 기억하는 동시에, 누적 시간 테이블(125C)을 참조하여, 현재의 누적 시간이 누적 시간 테이블(125C)에 기억되어 있 는 시간에 도달한 때에,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를 개시한다. 이 조건 C를 선택한 경우,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누적 운전 시간이 누적 시간(T3)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가 개시되므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조작해서, 전술한 조건 A, B, C를 선택할 수도 있고, 또한, 어느 쪽의 조건을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도 10으로 되돌아가서, 챔버측 제어부(121)는, 필터 챔버(20)에 설치되어, 실내기측 제어부(120)의 제어 하, 청소 기구(50)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 구동기(131)와, LED 기판(132)과, 리미트 스위치(110L), (110R)와, 포토 센서(124)가 접속되어 있다. 또, 챔버측 제어부(121)는, 실내기측 제어부(120)와 마찬가지로, CPU, ROM, RAM 및 주변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 구동기(131)는, 전술한 브러시 구동 모터(71)와 이동용 모터(81)에 접속되어, 그릴측 제어부(122)의 제어 하, 이들 모터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여, 구동 제어한다. 또, 브러시 구동 모터(71), 이동용 모터(81) 중 어느 하나가 스테핑 모터로 구성될 경우, 모터 구동기(131)는, 그 모터에 대해서 구동 펄스를 출력하고, 필요량만큼 모터를 동작시킨다.
LED 기판(132)은, 청소 기구(50)의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 장치(212C)에 설치된 LED(213C), (214C), (215C)에 접속되어, 챔버측 제어부(121)의 제어 하, 이들 LED의 발광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지 장치(212C)의 LED(213C), (214C), (215C)의 발광 양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LED(213C)는 청소 기구(50)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러시 회전 검출부(120B)에 의해서 회전 브러시(64)가 정상으로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 경우나, 브러시 유닛(51)의 이동이 정상으로 행해지지 않고 있을 경우, 점멸하는 것에 의해 청소 기구(50)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을 통지한다.
LED(214C)는 청소 기구(50)의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소등하고,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점멸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LED(214C)를 참조함으로써, 유저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측 제어부(120)의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가 검출한다.
LED(215C)는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가 종료한 것을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가 종료한 경우, 일정 시간 점멸한다.
다음에,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흡입 그릴(30)의 승강이 지시되는 것에 의해, 이 흡입 그릴(30)에 지지된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도 12의 순서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동작에 있어서,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승강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흡입 그 릴(30)의 승강에 따라서 더스트 박스(57)가 상승하는 것을, 단지, 「더스트 박스(57)가 상승한다」라고 칭한다.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지시되면, 실내기측 제어부(120)에 그 취지의 신호가 입력된다(스텝 SA1). 그 다음에, 실내기측 제어부(120)의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는, 리미트 스위치(110L), (110R)의 출력값에 의거해서,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A2).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브러시 유닛(51)은 더스트 박스(57) 위쪽의 진애 이동 위치(H2)에 확실하게 위치하지 않고 있다.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할 경우(스텝 SA2: 예), 즉, 브러시 유닛(51)이 진애 이동 위치(H2)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현재 시각이 흡입 그릴(30)의 승강 금지 시간대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A3). 여기서, 승강 금지 시간대에 대해서 상술한다.
승강 금지 시간대란, 흡입 그릴(30) 및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금지되어 있는 시간대를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조건으로서 전술한 조건 B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 승강 금지 시간대로서, 시각(T2)을 포함하는 시간대가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 금지 시간대는, 시각(T2)에 도달하여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가 개시되고 나서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대를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시각인 시각(T2)이 12:05이며, 종료 시각이 12:10인 것 으로 하면, 승강 금지 시간대는 12:00 내지 12:15로 설정된다. 또,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조건으로서 조건 B가 선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 금지 시간대는 설정되지 않는다.
스텝 SA3에 있어서, 현재 시각이 승강 금지 시간대의 범위 밖에 있다고 판별한 경우(스텝 SA3: 아니오),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그릴측 제어부(122)를 제어하여,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을 허가해서 승강을 실행하고(스텝 SA4), 그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A5). 구체적으로는, 더스트 박스(57)를 강하할 경우,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그릴측 제어부(122)를 제어하여, LED(214B)를 점멸하고, 더스트 박스(57)를 상승할 경우,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그릴측 제어부(122)를 제어하여, LED(214B)를 점등한다. 한편, 현재 시각이 승강 금지 시간대의 범위 내에 있다고 판별한 경우(스텝 SA3: 예),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흡입 그릴(30) 및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을 금지해서 승강을 실행하지 않고(스텝 SA6), 그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A7). 구체적으로는,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그릴측 제어부(122)를 제어하여, LED(215B)를 점멸한다. 그 다음에,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스텝 SA2로 처리를 귀환하여, 재차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한편, 스텝 SA2로 귀환하여,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스텝 SA2: 아니오),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흡입 그릴(30) 및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을 금지하여 승강을 실행하지 않고(스텝 SA6), 그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A7). 구체적으로는,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그릴측 제어부(122)를 제어하여, LED(215B)를 점멸한다. 그 다음에,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스텝 SA2로 처리를 귀환하여, 재차,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을 허가하고,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을 금지한다. 여기서,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스(57) 위쪽의 진애 이동 위치(H2)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흡입 그릴(30)을 승강한 경우,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가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 즉, 진애 이동 위치(H2)에 확실하게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에,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허가되므로,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조건으로서, 조건 B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시각인 시각(T2)을 포함하는 승강 금지 시간대에 있어서는,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금지된다.
여기서, 에어 필터(40)의 진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브러시 유닛(51)이 이동하고 있을 경우, 이동 과정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57) 위쪽의 진애 이동 위치(H2)에 브러시 유닛(51)이 위치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브러시 유닛(51)의 이동 중에 더스트 박스(57)가 승강한 경우,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건 B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 현재 시각이 시각(T2)에 도달하여, 자동으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를 하고 있는 동안에는,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금지되므로,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의 순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A1에서 흡입 그릴(30) 및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지시된 후,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을 계속해서 금지하고, 그 후,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면, 흡입 그릴(30) 및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을 허가한다. 따라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중에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지시된 경우,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가 종료하고,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한 후, 자동으로,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행해지므로,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을 지시할 필요가 없어,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어서,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시에 있어서의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13의 순서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3의 순서도가 나타내는 동작의 개시 시점에 있어서는,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우선,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를 개시한다(스텝 SB1).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타이밍으로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30)를 개재해서 개시의 지시가 있었을 때, 또는, 개시 조건으로서 전술한 조건 A, B, C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조건이 성립한 때가 있다. 이 밖에, 청소 기구(50)에 의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를 금지하는 시간대를 설정가능하게 구성하고, 현재 시간이 설정한 시간대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진애의 제거를 금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전회의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진애의 제거를 금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극히 짧은 시간 사이에 연속해서 진애의 제거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가 개시되면, 실내기측 제어부(120)의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B2).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스텝 SB2: 아니오), 대기 위치(H1)에 당연히 위치하고 있을 것인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되어, 어떠한 이상이 생기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에 관한 동작을 중단하고, 브러시 유닛(51)을 포함하는 청소 기구(50)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하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B3). 구체적으로는, 챔버측 제어부(121)를 제어해서, LED(213C)를 점멸한다.
한편, 대기 위치(H1)에 브러시 유닛(51)이 위치하고 있을 경우(스텝 SB2: 예),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챔버측 제어부(121)를 제어해서, 브러시 구동 모 터(71)를 구동 제어하고, 회전 브러시(64)를 회전한다(스텝 SB4). 그 다음에, 실내기측 제어부(120)의 브러시 회전 검출부(120B)는, 회전 브러시(64)가 회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B5). 회전 브러시(64)가 회전하고 있지 않을 경우(스텝 SB5: 아니오), 어떠한 이상이 생기고 있으므로,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에 관한 동작을 중단하고, 그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B3). 구체적으로는, 챔버측 제어부(121)를 제어하여, LED(213C)를 점멸한다.
한편, 회전 브러시(64)가 회전하고 있을 경우(스텝 SB5: 예),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챔버측 제어부(121)를 제어해서, 이동용 모터(81)를 구동 제어하고, 브러시 유닛(51)을 이동한다(스텝 SB6). 이 스텝 SB6에 있어서, 브러시 유닛(51)은, 대기 위치(H1)로부터 진애 이동 위치(H2)(도 3)까지 이동한 후, 반전해서 진애 이동 위치(H2)로부터 대기 위치(H1)로 이동한다.
브러시 유닛(51)의 이동이 종료한 후, 즉,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가 종료한 후, 실내기측 제어부(120)의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B7).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스텝 SB7: 아니오), 어떠한 이상이 생기고 있는 것이므로,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에 관한 동작을 중단하고, 그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B3). 구체적으로는, 챔버측 제어부(121)를 제어하고, LED(213C)를 점멸한다. 한편,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스텝 SB7: 예),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챔버측 제어부(121)를 제어해서, 브러시 구동 모터(71)를 구동 제어하고, 회전 브러시(64)의 회전을 종료한다(스텝 SB8). 그 다음에,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포토 센서(124)의 출력값에 의거해서, 회전 브러시(64)의 회전이 종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B9). 회전 브러시(64)의 회전이 종료하고 있지 않을 경우(스텝 SB9: 아니오),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에 관한 동작을 중단하고, 그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B3). 구체적으로는, 챔버측 제어부(121)를 제어해서, LED(213C)를 점멸한다. 한편, 회전 브러시(64)의 회전이 종료하고 있을 경우(스텝 SB9: 예),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챔버측 제어부(121)를 제어해서, LED(215C)를 일정 시간 점멸한다(스텝 SB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을 허가하고,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경우, 실내기측 제어부(120)는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을 금지한다. 여기서,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스(57) 위쪽의 진애 이동 위치(H2)에 위치하고 있을 때, 흡입 그릴(30)을 승강시킨 경우,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가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 즉, 진애 이동 위치(H2)에 확실하게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에,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허가되므로,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120A)가,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 스(57) 위쪽의 진애 이동 위치(H2)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확실하게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스(57)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조건으로서, 조건 B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 개시 시각인 시각(T2)을 포함하는 승강 금지 시간대에 있어서는,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금지된다.
여기서, 에어 필터(40)의 진애를 제거하기 위해 브러시 유닛(51)이 이동하고 있을 경우, 이동 과정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57) 위쪽의 진애 이동 위치(H2)에 브러시 유닛(51)이 위치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브러시 유닛(51)의 이동 중에 더스트 박스(57)가 승강한 경우,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건 B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 현재 시각이 시각(T2)에 도달하여, 자동으로, 에어 필터(40)의 진애의 제거를 하고 있는 동안에는, 더스트 박스(57)의 승강이 금지되므로, 브러시 유닛(51)과 더스트 박스(57)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LED(213B), (214B), (215B) 및 LED(213C), (214C), (215C)의 발광 양태의 일례를 들었지만, 이들 LED의 발광 양태는 이 일례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30)에 의해서 각종 지시가 행해지는 구성이었지만, 유선 리모컨에 의해서 각종 지시가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입 그릴(30)에 더스트 박스(57)가 부착되어, 흡입 그릴(30)의 승강에 따라, 더스트 박스(57)가 승강하는 구성이었지만, 예를 들어, 흡입 그릴(30)의 움직임에 관계 없이, 더스트 박스(57)만이 승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미트 스위치(110L), (110R)를 이용해서,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구성이었지만, 리미트 스위치(110L), (110R)의 형상 및 구조는,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형상 및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리미트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포토 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해서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 유닛(51)이 대기 위치(H1)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브러시 유닛(51)이 더스트 박스(57) 위쪽의 진애 이동 위치(H2)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는 구성이었지만, 진애 이동 위치(H2)에 브러시 유닛(51)이 위치했을 때 작동하는 리미트 스위치나 포토 센서 등을 설치하고, 이들을 이용해서, 진애 이동 위치(H2)에 브러시 유닛(51)이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즉, 진애 이동 위치(H2)에 브러시 유닛(51)이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기구 및 방법은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4는 코너 패널의 사시도;
도 5는 브러시 유닛의 외관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로부터 위쪽 케이스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브러시 유닛의 측면도;
도 8은 브러시 유닛과 더스트 박스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브러시 유닛이 더스트 박스 위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A)는 종료 후 시간 테이블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개시 시각 테이블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C)는 누적 시간 테이블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흡입 그릴 강하 시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에어 필터의 진애의 제거 시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유닛 9: 송풍기
11: 열교환기 21: 화장 패널
30: 흡입 그릴 35: 승강 유닛(승강 수단)
40: 에어 필터 51: 브러시 유닛(제거장치)
57: 더스트 박스 100: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
120: 실내기측 제어부(승강제어수단)
120A: 브러시유닛 위치검출부(위치검출수단)
H1: 대기 위치

Claims (4)

  1.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가진 본체 유닛과, 이 본체 유닛 아래쪽에 배치되는 화장 패널을 구비한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본체 유닛 내에, 상기 화장 패널의 흡입 그릴을 통해서 흡입한 공기 중의 진애를 포집하는 에어 필터와, 이 에어 필터의 하부면을 이동해서 해당 에어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거 장치를 구비하고,
    이 제거 장치에 의해 제거된 진애가 해당 제거 장치로부터 옮겨져서 집적되는 더스트 박스와, 이 더스트 박스를, 상기 에어 필터 및 상기 제거 장치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수단과,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이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승강 수단을 승강가능하게 제어하는 승강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거 장치는, 상기 에어 필터에 부착된 진애의 제거를 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는,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정된 대기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장치의 이동을 개시하는 이동 개시 시각이 설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승강 제어 수단은, 상기 이동 개시 시각을 포함하는 소정의 시간대 동안에는, 상기 더스트 박스 승강 수단에 의한 상기 더스트 박스의 승강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가진 본체 유닛과, 이 본체 유닛 아래쪽에 배치되는 화장 패널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본체 유닛 내에, 상기 화장 패널의 흡입 그릴을 통해서 흡입한 공기 중의 진애를 포집하는 에어 필터와, 이 에어 필터의 하부면을 이동해서 해당 에어 필터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거 장치를 구비하고,
    이 제거 장치에 의해 제거된 진애가 해당 제거 장치로부터 옮겨져서 집적되는 더스트 박스와, 이 더스트 박스를, 상기 에어 필터 및 상기 제거 장치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거 장치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승강 수단을 승강가능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056500A 2008-09-30 2009-06-24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132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52117 2008-09-30
JP2008252117A JP5193782B2 (ja) 2008-09-30 2008-09-30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919A KR20100036919A (ko) 2010-04-08
KR101132610B1 true KR101132610B1 (ko) 2012-04-06

Family

ID=4221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500A KR101132610B1 (ko) 2008-09-30 2009-06-24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93782B2 (ko)
KR (1) KR101132610B1 (ko)
CN (1) CN1017135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1353B2 (ja) * 2008-11-20 2012-11-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1257548A (ja) * 2010-06-08 2011-12-22 Sanyo Electric Co Ltd エアフィル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20120083114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13213604A (ja) * 2012-04-02 2013-10-17 Toshiba Carrier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2878640A (zh) * 2012-09-26 2013-01-16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洁的空调控制方法
KR101706812B1 (ko) 2013-10-02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2169B1 (ko) 2013-10-0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043573A (ko) 2013-10-11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4654515B (zh) * 2013-11-21 2017-06-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积尘检测方法及系统
KR101662377B1 (ko) 2014-01-27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599020B2 (ja) * 2016-11-07 2019-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20190124633A (ko) 2018-04-23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41158B1 (ko) * 2019-09-02 2019-11-06 주식회사 테크엔 필터 자동 클리닝 공기정화 시스템을 구비한 led 가로등
US20220373204A1 (en) * 2021-05-24 2022-11-24 Lg Electronics Inc. Air-conditioning system
KR102544480B1 (ko) * 2022-11-18 2023-06-20 주식회사 유종테크산업 유증기 및 냄새 비산 방지 후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5524A (ko) * 2005-11-14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방법
KR20080007858A (ko) * 2006-07-18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415B2 (ja) * 1997-06-11 2001-02-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4218963A (ja) * 2003-01-16 2004-08-05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194422B2 (ja) * 2003-05-30 2008-12-10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4939080B2 (ja) * 2006-02-28 2012-05-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CN2919226Y (zh) * 2006-06-08 2007-07-04 汤富盛 风管内部积尘定量采样装置
CN101606028B (zh) * 2007-02-09 2011-04-13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的室内机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5524A (ko) * 2005-11-14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방법
KR20080007858A (ko) * 2006-07-18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93782B2 (ja) 2013-05-08
JP2010084961A (ja) 2010-04-15
CN101713568B (zh) 2012-11-28
CN101713568A (zh) 2010-05-26
KR20100036919A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610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133213B1 (ko) 공기조화기
US9920976B2 (en)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a dehumidifier
JP4586973B2 (ja) 空気調和機
JP5356042B2 (ja) 空気調和機
EP2476964A2 (en)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KR101060999B1 (ko) 공기 조화기
JP5108121B2 (ja) フィルタ保持装置、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134915B1 (ko) 공기조화기
CN101493249B (zh) 空调室内单元的控制方法
JP5108119B2 (ja) ダストボックス、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5108120B2 (ja) フィルタ保持装置、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5305808B2 (ja) 空気調和装置
JP5283448B2 (ja) 空気調和機
JP2007307508A (ja) 空気清浄機
JP2010038415A (ja) 空調機
JP2010078267A (ja) 空気調和機
JP5356041B2 (ja) 空気調和機
JP5643404B1 (ja) フィルタ保持装置、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5180552B2 (ja) 空気調和装置
KR0149911B1 (ko) 공기조화기의 자동셔터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6217604A (ja) 空気調和機
JP2009079860A (ja) 空気調和装置
KR100909558B1 (ko) 그릴승강수단의 동작제어방법
JP2019184094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