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531B1 - 단추금형 - Google Patents

단추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531B1
KR101127531B1 KR1020110126736A KR20110126736A KR101127531B1 KR 101127531 B1 KR101127531 B1 KR 101127531B1 KR 1020110126736 A KR1020110126736 A KR 1020110126736A KR 20110126736 A KR20110126736 A KR 20110126736A KR 101127531 B1 KR101127531 B1 KR 101127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hole
forming
butt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중
Original Assignee
김선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중 filed Critical 김선중
Priority to KR1020110126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22Moulds for peculiarly-shaped cast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단추에 형성된 구멍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라운딩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홀에서 실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단추를 제조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단추금형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단추금형{BUTTON METAL MOLD}
본 발명은 단추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추에 형성된 구멍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라운딩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멍에서 실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단추를 제조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단추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급 양복이나 양장의 경우,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로 된 단추(B)를 달게 되는데, 이러한 단추(B)는 상부에 다양한 문양이 입체적으로 표현되고 하방으로 개방되는 용기 형상의 헤드(H)와, 상기 헤드(H)의 내측면(S)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의 네크(N)가 구성되고, 상기 네크(N)에는 측방으로 관통되어 실이 꿰어지는 구멍(L)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부는 도 1a에서처럼 헤드(H)에서 문양이 형성된 부분 쪽을 일컫고, 반대측 방향을 하부로 정한다.
도 1c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단추(B)를 성형하기 위한 단추금형(1)은, 하부틀(10)과 상부틀(2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틀(10)을 측방에서 관통하여 상기 구멍(L)을 성형하는 핀(3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틀(10)은 육면체 형상의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상면(12)에 금속용융물을 안내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유로(15)가 구성되고, 상기 유로(15)에 금속용융물이 유입되도록 공급구(14)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급구(14)는 하부틀(10)을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외부에서 금속용융물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면(12)에는 상기 유로(15)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헤드(H)의 하단부(K)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 (16)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16)에는 상기 헤드(H)의 오목한 내측면(S)을 형성하는 볼록부(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17)의 상단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어 단추(B)의 네크(N)를 형성하는 네크성형홀(18)이 하방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1)의 일측면에서 상대측면으로 관통하는데 상기 네크성형홀(18)을 통과하며 상기 핀(30)이 삽입되는 핀홀(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틀(20)은 육면체 형상의 바디(21)와, 상기 바디(21)의 하면(23)에 상기 성형홈(16)에 부합하며 상기 볼록부(17)를 수용하며 상기 볼록부(17)로부터 떨어져서 형성된 오목부(27)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볼록부(17)와 오목부(27)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금속용융물이 충전되어 헤드(H)가 성형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단추금형은 먼저, 상기 하부틀(10)과 상부틀(20)을 주물성형기에 장착하여 하부틀(10)과 상부틀(20)이 밀착할 때, 상기 성형홈(16)과 오목부(27)가 정확하게 부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핀(30)은 이탈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이 상태에서 상부틀(20)의 하면(23)과 하부틀(10)의 상면(12)이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핀(30)을 핀홀(19)을 관통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구(14)를 통해 금속용융물을 주입한다. 그러면, 유로(15)를 거쳐서 성형홈(16)으로 공급된 후, 오목부(27)와 볼록부(17) 사이에 채워지면서 상기 볼록부(17)에 형성된 네크성형홀(18)에 충전된다. 이렇게 금속용융물의 충전이 완료되고 나서, 응고되면, 상기 핀(30)을 뽑아낸다. 그리고, 상부틀(20)과 하부틀(10)이 분리되도록 한 후, 성형된 단추(B)를 들어낸다. 이때, 단추(B)에는 상기 유로(15) 때문에 형성된 성형물이 붙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함으로써, 단추(B)의 성형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단추(B)에는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네크성형홀(18)에 의해서 네크(N)가 형성되고, 상기 핀(30)에 의해서 상기 네크(N)에 구멍(L)이 형성된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단추(B)에 형성된 구멍(L)이 상기 네크성형홀(18)과 핀(30)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도 1b에서처럼, 구멍(L)의 모서리(E)가 날카롭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양복이나 양장에 바느질로 부착할 경우, 상기 모서리(E) 때문에 실이 금세 끊어짐으로써,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단추에 형성된 구멍의 모서리를 라운딩 성형할 수 있어, 상기 구멍에서 실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가 구성된 단추금형이 국내실용신안등록 제453762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슬라이드가 구성된 단추금형은 하방으로 개방되는 용기 형상의 헤드와, 상기 헤드의 내측면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의 네크와, 상기 네크에서 측방으로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 단추를 주물에 의해 성형하는 하형 및 상형이 구성되고, 상기 하형을 측방에서 관통하여 상기 홀을 형성하는 슬라이드가 구성되고, 상기 하형은 육면체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상기 헤드의 하단부를 형성하도록 형성된 성형홈과, 상기 성형홈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의 상단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네크를 형성하는 네크성형홀과,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서 상대측면으로 관통하고 상기 네크성형홀의 하단을 통과하여 상기 네크성형홀에 연결되고 상기 네크성형홀보다 폭이 크고, 상기 슬라이드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홀이 구성되고, 상기 상형은 육면체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면에 상기 성형홈에 부합하며 상기 볼록부를 수용하며 상기 볼록부로부터 떨어져서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슬라이드홀의 양쪽에서 출입되며 단면이 동일한 2개의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측 종단에 상호 밀착하도록 형성된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상기 네크의 하부와, 홀을 성형하기 위한 홀성형부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홀성형부는 상기 접촉면에 네크의 하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와 측방으로 개방된 네크홈과, 상기 네크홈의 내측면에 상기 홀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된 성형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성형축과 상기 내측면의 연결부는 라운딩 되어 형성되고, 상기 네크홈이 조합되었을 때, 개방된 상부가 상기 네크성형홀의 하단부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단추를 성형할 때, 슬라이드홀의 양쪽에서 출입되는 로드의 종단인 접촉면이 상호 밀착되어 접촉면에 형성된 홀성형부를 통해 네크의 하부 및 홀을 형성하게 되는 데, 여기서 상기 상호 밀착되는 접촉면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촉면에 이물질이 끼게 되면 접촉면의 상호 밀착될 때, 이물질에 의해 접촉면의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접촉면이 벌어진 사이로 금속용융물이 침투되어 홀성형부에 의해 성형되는 네크의 하부 및 홀의 내부에 날카로운 파편들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네크를 전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아니라, 접촉면에 형성된 홀성형부를 통해 네크의 하부만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단추의 하부에 형성된 네크가 일체적인 느낌이 들지 않고 2개 부분으로 분리된 느낌이 들어 제품의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한 금형 내에서 1열로만 단추를 제조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한 금형 내에서 적은 수의 단추만이 제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추에 형성된 구멍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라운딩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멍에서 실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단추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단추금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금형 내에서 다수의 단추를 제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단추금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헤드와, 상기 헤드의 내측면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의 네크와, 상기 네크에서 측방으로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단추를 주물에 의해 성형하는 단추금형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되, 하면에는 상기 헤드의 상단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상부성형홈으로 구성되는 상부틀과, 상기 상부틀과 대응되게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틀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되, 상면에는 상기 상부성형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하단부를 형성하도록 하부성형홈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성형홈에는 상기 헤드의 오목한 내측면을 형성하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의 중앙부분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네크를 형성하는 네크성형홀이 마련되고, 양측면에서 상기 네크성형홀의 하단부측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핀홀이 마련되는 하부틀과, 상기 핀홀의 양측에서 각각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그 단부가 서로 상기 네크성형홀의 중앙부분에서 면접촉되도록 만나 상기 네크의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각각의 단부에는 네크의 구멍의 내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마련되는 라운드형성돌기가 형성된 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금형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틀의 상부성형홈 및 상기 하부틀의 하부성형홈은 2열로 마련되되, 서로 마주보는 행의 상부성형홈 및 하부성형홈은 엇갈리게 단차지게 형성되어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틀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그재그로 배치된 마주보는 행의 네크성형홀의 하단부측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한쌍의 핀홀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한쌍의 핀홀의 양측에서 각각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그 단부가 서로 상기 네크성형홀의 중앙부분에서 면접촉되도록 만나도록 구성된 한쌍의 핀부재가 각각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추금형은 단추에 형성된 구멍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라운딩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멍에서 실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단추를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추금형은 금형 내에서 단추를 2열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단추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은 종래의 단추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c 내지 도 1e은 종래의 단추금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c는 상부틀이 하부틀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d는 상부틀이 하부틀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e는 도 1d의 C-C'선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금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추금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금형을 도시한 분리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금형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 하부틀과 핀부재의 결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금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추금형은 헤드(H)와, 상기 헤드(H)의 내측면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의 네크(N)와, 상기 네크(N)에서 측방으로 관통되는 구멍(L)이 형성된 단추를 주물에 의해 성형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상부틀(100), 하부틀(200), 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부틀(100)은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되, 하면에는 상기 헤드(H)의 상단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상부성형홈(110)으로 구성된다. 즉, 후술하는 하부틀(200)과 결합되어 금속용융물이 상부성형홈(110)에 채워지면 헤드(H)의 상단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성형홈(110) 내부에는 헤드(H)의 상부에 문양이 형성되도록 헤드 문양에 대응되는 음각의 문양성형홈(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틀(100)의 하면에는 금속용융물을 상부성형홈과 후술하는 하부성형홈 내부로 안내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주입로(121)가 구성되고, 상기 주입로(121)에 금속용융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공(1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유입공(122)은 상부틀 외부에서 주입로(121) 내부로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외부에서 금속용융물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틀(200)은 상기 상부틀(100)과 대응되게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틀(100)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틀(20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성형홈(11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H)의 하단부를 형성하도록 하부성형홈(210)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성형홈(210)에는 상기 헤드(H)의 오목한 내측면을 형성하는 볼록부(220)가 형성된다. 즉, 상부틀(100)과 하부틀(200)이 결합되면, 상기 볼록부(220)와 상부성형홈(110)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금속용융물이 충전되면 헤드(H)가 성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220)의 중앙부분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네크(N)를 형성하는 네크성형홀(230)이 마련된다. 즉, 상기 네크성형홀(230)은 상기 볼록부(220)의 중앙부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금속용융물이 채워지면 네크(N)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틀(200)에는 그 양측면에서 상기 네크성형홀(230)의 하단부측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핀홀(240)이 마련된다. 즉, 상기 핀홀(240)은 후술하는 핀부재(300)가 삽입되어 네크성형홀(230) 하단에 구멍을 성형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틀(200)의 상면에는 상부성형홈(110)과 하부성형홈(210) 사이에서 금속용용융물이 응고되어 단추가 성형되었을 때, 미도시된 밀핀이 투입되어 하부성형홈(210)에서 성형된 단추를 밀어 하부틀(20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밀핀투입공(251)이 형성된다.
상기 핀부재(300)는 상기 핀홀(240)의 양측에서 각각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그 단부가 서로 상기 네크성형홀(230)의 중앙부분에서 면접촉되도록 만나 상기 네크(N)의 구멍(L)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핀부재(300)의 단부가 상기 네크성형홀(230)의 중앙부분에서 만나면, 상기 네크성형홀(230)에 금속용융물이 채워질 때, 핀부재(300)의 단부가 만나는 부분에는 금속용융물이 채워지지 않아, 네크성형홀(230) 하단부에 구멍(L)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핀부재(300) 단부에는 네크의 구멍(L) 내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마련되는 라운드형성돌기(3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라운드형성돌기(310)를 통해 네크의 구멍(L)이 형성될 때, 구멍(L)의 내부가 라운딩(R)되면서 부드럽게 성형된다.
여기서, 상기 핀부재(300)는 봉형태로 마련되되, 그 하단부는 상기 핀홀(240)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호형상(D)으로 마련되고, 그 상면은 상기 하부틀(200)의 상면과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도록 평면(U)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홀(240)은 상기 핀부재(300)에 대응되도록 그 하단부가 호형상(241)으로 마련되고, 상면은 평면(242)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하부틀 상에서 상기 핀부재가 상기 핀부재(300)의 상면과 상기 하부틀(200)의 상면이 최대한으로 좁혀지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300)의 상면이 평면으로 마련되었을 때, 핀부재(300)의 단부에 형성된 라운드형성돌기(310)가 상면이 하부틀(200)의 상면과 가깝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라운드형성돌기(310)를 통해 네크(N)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을 최대한 네크(N)의 상측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네크(N)의 전체길이가 짧은 단추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관이 미려한 단추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핀부재(300)를 전체적으로 원형의 봉형태로 마련될 때에도 네크(N)의 전체길이가 짧은 단추를 제조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원형의 핀부재의 최상단부와 하부틀의 상면과의 간격이 너무 얇아지게 되어 하부틀이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형성돌기(310)의 길이는 상기 네크성형홀(230) 좌우폭의 절반 크기로 마련되고, 상기 네크성형홀의 직경(A)은 라운드형성돌기의 시작단부 직경(B)보다 크게 형성되고, 라운드형성돌기의 시작단부 직경(B)은 라운드형성돌기의 끝단부 직경(C)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라운드형성돌기(310)의 길이가 상기 네크성형홀 좌우폭의 절반 크기로 마련되기 때문에 라운드형성돌기(310)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 네크의 구멍(L)이 성형되고, 상기 네크성형홀의 직경(A)은 라운드형성돌기의 시작단부 직경(B)보다 크게 형성되고, 라운드형성돌기의 시작단부 직경(B)은 라운드형성돌기의 끝단부 직경(C)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네크(N)의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면서 부드럽게 라운딩된 구멍(L)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라운드형성돌기(310)의 끝단부에는 상기 핀부재(300)가 네크성형홀(230)의 중앙부분에서 서로 면접촉될 때, 그 단부가 서로 닿는 면적이 최소하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접촉방지홈(3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라운드형성돌기(310)의 단부에 이물질이 끼게 되면 라운드형성돌기(310)의 단부가 서로 면접촉될 때, 이물질에 의해 라운드형성돌기(310)의 단부 사이가 벌어지게 되기 때문에, 이 벌어진 사이로 금속용융물이 침투되어 네크의 구멍(L) 내부에 날카로운 파편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접촉방지홈(311)을 통해 라운드형성돌기(310)의 단부가 전체적으로 서로 접촉되지 않고, 라운드형성돌기(310)의 접촉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라운드형성돌기(310)의 단부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밀착되어 네크(N)에 부드러운 구멍(L)을 형성할 수 있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추금형을 통해 단추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상부틀(100)과 하부틀(200)을 미도시된 주물기에 장착하여 상호 착탈이 가능하도록 조립한다. 이때, 상기 상부틀의 상부성형홈(110)과 하부틀의 하부성형홈(210)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부틀(100)과 하부틀(200)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조립한다.
또한 하부틀(200)의 양측에 형성된 핀홀(240)에 삽입되는 핀부재(300)는 전후진하는 구동수단에 장착하여 핀부재(300)가 핀홀(240)을 통해 상기 네크성형홀(230)로 삽입 또는 배출되도록 조립한다. 여기서, 상기 핀부재(300)가 핀홀(240)을 통해 상기 네크성형홀(230)로 삽입되었을 때는 한쌍의 핀부재(300)의 단부가 상기 네크성형홀(230)의 중앙부분에서 정확하게 만나도록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틀(100)과 하부틀(200) 및 핀부재(300)가 주물기 및 구동수단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틀의 상부성형홈(110)과 하부틀의 하부성형홈(210)이 일치하도록 상부틀(100)의 하면을 하부틀(200)의 상면에 안착시켜 결합시킨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을 전진시켜 핀홀(240)을 따라 핀부재(300)를 네크성형홀(230)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이때, 상기 핀부재(300)의 단부에 형성된 라운드형성돌기(310)의 단부가 서로 상기 네크성형홀(230)의 중앙부분에서 면접촉되도록 만나게 된다.
그리고, 상부틀(100)에 형성된 유입공(122)을 통해 금속용융물을 주입하게 되면, 주입로(121)를 따라 유입된 금속용융물은 상부틀의 상부성형홈(110)과 하부틀의 하부성형홈(210) 사이로 채워진다. 그리고, 금속용융물은 네크성형홀(230) 내부로도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용융물이 상부틀(100) 및 하부틀(200) 사이에서 응고되면,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핀홀(240)에서 핀부재(300)를 분리하고, 상부틀(100)과 하부틀(200)을 분리하면, 성형된 단추(B)가 완성된다. 여기서, 단추(B)에는 주입로(251)를 통해 응고된 성형물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를 절단하게 되면 단추의 제조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단추금형에 의해 제조된 단추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에 형성된 구멍(L)의 내부가 부드럽게 라운딩(R)되게 제조된다. 즉, 상기 각각의 핀부재 단부에 네크(N)의 구멍(L)의 내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마련되는 라운드형성돌기(310)를 통해 네크의 구멍(L)이 형성될 때, 구멍(L)의 내부가 라운딩(R)되어 부드럽게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단추(B)를 양복 또는 양장에 바느질을 통해 부착하면 단추의 네크(N)에 형성된 구멍 내부가 라운딩되어 성형되기 때문에 실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금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추금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핀부재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추금형은 상기 일 실시예와 비교할 때 단추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었다는 점이 상이할 뿐 목적, 효과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서로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추금형은 상기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틀(100)과 하부틀(200) 및 핀부재(300-1)가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기 상부틀의 상부성형홈(110-1) 및 상기 하부틀의 하부성형홈(210-1)은 2열로 마련되되, 서로 마주보는 행의 상부성형홈(110-1) 및 하부성형홈(210-1)은 엇갈리게 단차지게 형성되어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틀(2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그재그로 배치된 마주보는 행의 네크성형홀(230) 하단부측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한쌍의 핀홀(240-1)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핀홀(240-1)의 양측에서 각각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그 단부가 서로 상기 네크성형홀(230)의 중앙부분에서 면접촉되도록 만나도록 구성된 한쌍의 핀부재(300-1)가 각각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단추금형은 상기 상부틀(100) 및 하부틀(200)에 서로 마주보는 행의 상부성형홈(110-1) 및 하부성형홈(210-1)을 엇갈리게 단차지게 형성시켜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단추금형에서 1열만으로 단추를 제조하는 것을 2열로 단추를 제조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단추금형을 통해 단추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핀부재(300-1)는 육면체 형상의 고정구(3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핀부재(300-1)의 일단부는 각각 상기 고정구(320)의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고정공(321)에 각각 끼워져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핀부재(300-1)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게 구성되는 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틀(300-1)의 측면에서 가까운측에 형성된 하부성형홈방향으로 끼워지는 핀부재(300-1a)는 짧게, 먼측에 형성된 하부성형홈방향으로 끼워지는 핀부재(300-1b)는 길게 형성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공(321)의 후방에는 상기 핀부재(300-1)의 일단이 밀착 지지되는 길이조절볼트(322)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길이조절볼트(322)는 상기 고정구(321)의 후방을 통해 체결 및 분리되면서 상기 핀부재(300)의 일단을 지지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핀부재(300-1)가 고정구(320)의 일측으로 배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의 단부가 네크성형홀(230)의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을 때는 길이조절볼트를 회전시켜 상기 핀부재(300-1)의 일단을 지지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핀부재(300-1)의 단부가 네크성형홀(230)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상부틀 110: 상부성형홈
200: 하부틀 210: 하부성형홈
220: 볼록부 230: 네크성형홀
240: 핀홀 300: 핀부재

Claims (7)

  1. 헤드와, 상기 헤드의 내측면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의 네크와, 상기 네크에서 측방으로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단추를 주물에 의해 성형하는 단추금형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되, 하면에는 상기 헤드의 상단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상부성형홈으로 구성되는 상부틀과,
    상기 상부틀과 대응되게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틀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되, 상면에는 상기 상부성형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하단부를 형성하도록 하부성형홈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성형홈에는 상기 헤드의 오목한 내측면을 형성하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의 중앙부분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네크를 형성하는 네크성형홀이 마련되고, 양측면에서 상기 네크성형홀의 하단부측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핀홀이 마련되는 하부틀과,
    상기 핀홀의 양측에서 각각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그 단부가 서로 상기 네크성형홀의 중앙부분에서 면접촉되도록 만나 상기 네크의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각각의 단부에는 네크의 구멍의 내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마련되는 라운드형성돌기가 형성된 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라운드형성돌기의 끝단부에는 상기 핀부재가 네크성형홀의 중앙부분에서 서로 면접촉될 때, 그 단부가 서로 닿는 면적이 최소하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접촉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봉형태로 마련되되, 그 하단부는 상기 핀홀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호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상면은 상기 하부틀의 상면과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도록 평면으로 마련되며,
    상기 핀홀은 상기 핀부재에 대응되도록 그 하단부가 호형상으로 마련되고, 상면은 평면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금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형성돌기의 길이는 상기 네크성형홀 좌우폭의 절반 크기로 마련되고,
    상기 네크성형홀의 직경은 라운드형성돌기의 시작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라우드형성돌기의 시작단부 직경은 라운드형성돌기의 끝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금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틀의 상부성형홈 및 상기 하부틀의 하부성형홈은 2열로 마련되되, 서로 마주보는 행의 상부성형홈 및 하부성형홈은 엇갈리게 단차지게 형성되어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틀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그재그로 배치된 마주보는 행의 네크성형홀의 하단부측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한쌍의 핀홀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한쌍의 핀홀의 양측에서 각각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그 단부가 서로 상기 네크성형홀의 중앙부분에서 면접촉되도록 만나도록 구성된 한쌍의 핀부재가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금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핀부재는 육면체 형상의 고정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핀부재의 일단부는 각각 상기 고정구의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고정공에 각각 끼워져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금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의 후방에는 상기 핀부재의 일단이 밀착 지지되는 길이조절볼트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길이조절볼트는 상기 고정구의 후방을 통해 체결 및 분리되면서 상기 핀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핀부재의 고정구의 일측으로 배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금형.
KR1020110126736A 2011-11-30 2011-11-30 단추금형 KR10112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36A KR101127531B1 (ko) 2011-11-30 2011-11-30 단추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36A KR101127531B1 (ko) 2011-11-30 2011-11-30 단추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531B1 true KR101127531B1 (ko) 2012-03-22

Family

ID=4614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736A KR101127531B1 (ko) 2011-11-30 2011-11-30 단추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804B1 (ko) * 2017-10-11 2018-12-28 이명자 단추 제작용 다이캐스트 금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62Y1 (ko) * 2010-12-17 2011-05-27 윤동웅 슬라이드가 구성된 단추금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62Y1 (ko) * 2010-12-17 2011-05-27 윤동웅 슬라이드가 구성된 단추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804B1 (ko) * 2017-10-11 2018-12-28 이명자 단추 제작용 다이캐스트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231B1 (ko) 사출성형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의 제조방법.
JP4294611B2 (ja) 縫製不要の面ファス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27531B1 (ko) 단추금형
CN212147395U (zh) 一种复眼透镜及灯罩同模异出式模具
KR200453762Y1 (ko) 슬라이드가 구성된 단추금형
JP2012218390A (ja) 多色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KR101920387B1 (ko)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KR20080037245A (ko) 사출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TWI526167B (zh) The open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zippe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en tail
JP3137895U (ja) 交換可能なオス金型コアおよびメス金型コアを備えるトリプレート射出成形用金型
KR200457710Y1 (ko) 단추금형
CN213648323U (zh) 一种梯形扣模具
CN105705055B (zh) 拉链、模具装置以及拉链拉头的制造方法
CN212241866U (zh) 双色注塑模具
CN213321399U (zh) 一出二成型导光柱的注塑模具
CN217018475U (zh) 一种提升镂空盖体铸造质量的模仁结构
CN216828536U (zh) 红酒机合金配件成型模具
CN207724661U (zh) 静模
CN213006303U (zh) 汽车车灯透镜的注塑模具
JP2003159721A (ja) 射出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装置、製造方法
CN221067044U (zh) 一种拉链头模具及拉链头
JP4303557B2 (ja) 合成樹脂製の2色容器の製造方法
CN107999723A (zh) 防盗锁壳用压铸模具
CN216267381U (zh) 一种用于折弯产品成型的模具及注塑机
KR200229614Y1 (ko) 합성수지제 안경코받침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