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387B1 -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387B1
KR101920387B1 KR1020170068873A KR20170068873A KR101920387B1 KR 101920387 B1 KR101920387 B1 KR 101920387B1 KR 1020170068873 A KR1020170068873 A KR 1020170068873A KR 20170068873 A KR20170068873 A KR 20170068873A KR 101920387 B1 KR101920387 B1 KR 10192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lide molds
movable
molds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숙
Original Assignee
유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숙 filed Critical 유재숙
Priority to KR102017006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3Moulds with mould wall parts provided with fine grooves or impressions, e.g. for record dis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29C45/22Multiple nozzl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89Producing honeycomb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면서 전방 중앙에 이동코어금형이 고정설치된 이동베이스금형과, 이동베이스금형의 전면부 좌우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코어금형의 좌우측을 향해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며 좌우로 대향되는 면에는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후방의 측면날개부에는 전후 외측으로 경사지게 측면가이드공이 천공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이동베이스금형의 전방 중앙 상,하부에 각각 이동코어금형의 상,하부를 향해 상하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고 후방의 상,하측날개부에는 상,하방으로 경사지게 상,하측가이드공이 천공된 상,하부슬라이드금형으로 이루어진 이동금형부와; 후방 중앙부분에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이 모이면서 삽입되는 금형삽입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면부 좌우양측 및 상하부에는 좌우측 측면가이드공과 상,하측가이드공에 각각 관통개재되는 복수개의 경사가이드봉이 고정설치된 고정베이스금형과, 고정베이스금형의 금형삽입공간부 내측 중앙에 고정설치되면서 복수개의 노즐유닛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탄성지지되는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고정코어금형으로 이루어진 고정금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An injection mold device for making double-sided honeycomb}
본 발명은 양봉시 꿀벌집이 되는 합성수지재 소비(巢脾)를 일체화하여 사출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면서 전방 중앙에 이동코어금형이 고정설치된 이동베이스금형과, 이동베이스금형의 전면부 좌우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코어금형의 좌우측을 향해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며 좌우로 대향되는 면에는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후방의 측면날개부에는 전후 외측으로 경사지게 측면가이드공이 천공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이동베이스금형의 전방 중앙 상,하부에 각각 이동코어금형의 상,하부를 향해 상하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고 후방의 상,하측날개부에는 상,하방으로 경사지게 상,하측가이드공이 천공된 상,하부슬라이드금형으로 이루어진 이동금형부와; 후방 중앙부분에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이 모이면서 삽입되는 금형삽입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면부 좌우양측 및 상하부에는 좌우측 측면가이드공과 상,하측가이드공에 각각 관통개재되는 복수개의 경사가이드봉이 고정설치된 고정베이스금형과, 고정베이스금형의 금형삽입공간부 내측 중앙에 고정설치되면서 복수개의 노즐유닛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탄성지지되는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고정코어금형으로 이루어진 고정금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시 사용하는 소비(巢脾)라 함은 일정한 틀 형태의 소광에 인공소초가 결합된 것으로, 벌통 내에 삽입되어 여왕벌이 알을 낳고 일벌은 새끼들을 기르며 꿀과 화분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소비는 벌통의 내부에 수납상태로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상부 양단에 지지대가 형성되는 목재로 짜이는 소광과, 상기 소광에 결합되는 밀랍으로 제작한 인공소초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공소초의 결합은 소광의 상부지지대의 밑면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인공소초의 상단을 삽입시키고 양측의 수직프레임 내면에는 철사 등과 같은 와이어를 결속한 후 그 와이어의 상부에 인공소초를 녹여 붙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소비는 소광의 제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소광에 부착된 인공소초에 점진적으로 채집되는 꿀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하중에 의하여 인공소초가 소광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원자재(목재)의 값이 너무 비싸고 대량생산이 불가하여 경제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특히 인공소초에 꿀이 채집되는 과정에서 일정 부분에만 꿀이 채집되는 경우 인공소초의 일부가 처지거나 비틀림이 발생함으로써 벌통 내의 다른 소비와의 간섭으로 인한 인공소초의 파손 및 인출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912713호에서는 양면에 형성된 육각형 격자구조를 갖는 다수의 봉소틀과, 상기 봉소틀에 형성된 육각형 봉소의 내부 중앙을 정점으로 하여 봉소틀의 3개소 꼭지점에 각각 일체로 연결된 다수의 창살과, 상기 창살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연결통로에 채움 설치되어 양측의 봉소를 꿀벌들과 친화적인 상태로 구분하는 밀랍창으로 구성된 꿀벌친화형 인공소초와; 상기 꿀벌친화형 인공소초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1 끼움홈이 형성된 상프레임과, 상기 꿀벌친화형 인공소초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제2 끼움홈이 형성된 하프레임과, 상기 상, 하프레임의 양단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소켓이 내측면 상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소켓 간의 상하구간 내측면에 꿀벌친화형 인공소초의 양단부가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3 끼움홈이 형성된 한 쌍의 측프레임으로 구성된 소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양봉용 소비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인공소초와 상프레임과 하프레임과 한쌍의 측프레임을 각각 별도의 사출금형을 통해 사출성형한 다음 인공소초의 상하좌우에 상프레임과 하프레임과 한쌍의 측프레임을 끼움결합하여 양봉용 소비를 완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바, 각 부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제작금형이 필요하여 초기 설비비용 커질 뿐 아니라 각 제작금형을 통해 생산된 각 부품의 조립체결에 따른 생산시간 및 인건비 등의 증대로 생산원가가 매우 높고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조립된 양봉용 소비를 사용하여 꿀 등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기 등을 통한 채밀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강한 원심력에 의해 끼움결합된 각 부품이 쉽게 분리되면서 서로 부딪쳐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금형부에는 전후진되면서 전방에 이동코어금형이 고정설치된 이동베이스금형을 구비하고 이동베이스금형의 좌우 및 상하에는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을 슬라이드이동되게 설치하며 고정금형부에는 고정베이스금형의 후방 중앙부분에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의 전방이 모아진 상태로 삽입되는 금형삽입공간부를 형성하고 고정베이스금형의 금형삽입공간부 내측 중앙에는 복수개의 노즐유닛과 취출지지블럭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고정코어금형을 설치하여 이동금형부가 고정금형부에 결합되어 이동코어금형과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과 고정코어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의 캐비티(cavity)에 복수개의 노즐유닛으로부터 합성수지액이 주입되면서 소광(巢光)과 소초(巢礎)가 일체화된 소비를 사출성형하고, 또한 이동금형부의 분리과정에서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가 사출성형된 소비의 전방에 끼움개재된 상태로 후방으로 일정거리 탄성지지하여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이 사출성형된 소비로부터 동시에 분리되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의 어느 한쪽에 소비가 붙지않고 원활하게 취출되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면서 전방 중앙에 이동코어금형이 고정설치된 이동베이스금형과, 이동베이스금형의 전면부 좌우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코어금형의 좌우측을 향해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며 좌우로 대향되는 면에는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후방의 측면날개부에는 전후 외측으로 경사지게 측면가이드공이 천공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이동베이스금형의 전방 중앙 상,하부에 각각 이동코어금형의 상,하부를 향해 상하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고 후방의 상,하측날개부에는 상,하방으로 경사지게 상,하측가이드공이 천공된 상,하부슬라이드금형으로 이루어진 이동금형부와; 후방 중앙부분에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이 모이면서 삽입되는 금형삽입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면부 좌우양측 및 상하부에는 좌우측 측면가이드공과 상,하측가이드공에 각각 관통개재되는 복수개의 경사가이드봉이 고정설치된 고정베이스금형과, 고정베이스금형의 금형삽입공간부 내측 중앙에 고정설치되면서 복수개의 노즐유닛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탄성지지되는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고정코어금형으로 이루어진 고정금형부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금형부에는 전후진되면서 전방에 이동코어금형이 고정설치된 이동베이스금형이 구비되고 이동베이스금형의 좌우 및 상하에는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이 슬라이드이동되게 설치되며 고정금형부에는 고정베이스금형의 후방 중앙부분에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의 전방이 모아진 상태로 삽입되는 금형삽입공간부가 형성되고 고정베이스금형의 금형삽입공간부 내측 중앙에는 복수개의 노즐유닛과 취출지지블럭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고정코어금형이 설치되어 있어 이동금형부가 고정금형부에 결합되어 이동코어금형과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과 고정코어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의 캐비티(cavity)에 복수개의 노즐유닛으로부터 합성수지액이 주입되면서 소광(巢光)과 소초(巢礎)가 일체화된 소비가 사출성형될 수 있고, 또한 이동금형부의 분리과정에서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가 사출성형된 소비의 전방에 끼움개재된 상태로 후방으로 일정거리 탄성지지되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이 사출성형된 소비로부터 동시에 분리되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의 어느 한쪽에 소비가 붙지않고 원활하게 취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종단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의 이동금형부를 도시한 정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의 고정금형부를 도시한 후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종단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횡단면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의 이동금형부가 전진이동되어 고정금형부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의 이동금형부와 고정금형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의 이동금형부와 고정금형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노즐유닛을 통해 합성수지액이 내측으로 주입되는 상태의 종단면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의 이동금형부가 후진이동되어 고정금형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종단면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의 이동금형부의 취출핀에 의해 양면형소비가 취출되는 상태의 종단면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를 통해 제조된 양면형소비의 횡단면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1)는 도 1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봉시 꿀벌집이 되는 합성수지재 소비(巢脾)를 일체화하여 사출성형하는 장치로서,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면서 전방 중앙에 이동코어금형(4)이 고정설치되고 사출성형된 소비(S)를 취출시키는 이동베이스금형(3)과,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면부 좌우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코어금형(4)의 좌우측을 향해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며 좌우로 대향되는 면에는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15)가 돌출형성되고 후방의 측면날개부(16)에는 전후 외측으로 경사지게 측면가이드공(17)이 천공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과,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방 중앙 상,하부에 각각 이동코어금형(4)의 상,하부를 향해 상하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고 후방의 상,하측날개부(23)(24)에는 상,하방으로 경사지게 상,하측가이드공(25)(26)이 천공된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으로 이루어진 이동금형부(2)와; 후방 중앙부분에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모이면서 삽입되는 금형삽입공간부(31)가 형성되고 후면부 좌우양측 및 상하부에는 좌우측 측면가이드공(17)과 상,하측가이드공(25)(26)에 각각 관통개재되는 복수개의 경사가이드봉(32a)(32b)이 고정설치된 고정베이스금형(30)과, 고정베이스금형(30)의 금형삽입공간부(31) 내측 중앙에 고정설치되면서 복수개의 노즐유닛(35)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탄성지지되는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37)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고정코어금형(33)으로 이루어진 고정금형부(29)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금형부(2)는 도 1, 2, 4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이동되게 설치되어 고정금형부(29)와 결합 및 분리되면서 사출성형된 소비(巢脾)를 취출시키는 부분으로,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면서 전방 중앙에 이동코어금형(4)이 고정설치된 이동베이스금형(3)과,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면부 좌우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코어금형(4)의 좌우측을 향해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며 좌우로 대향되는 면에는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15)가 돌출형성되고 후방의 측면날개부(16)에는 전후 외측으로 경사지게 측면가이드공(17)이 천공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과,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방 중앙 상,하부에 각각 이동코어금형(4)의 상,하부를 향해 상하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고 후방의 상,하측날개부(23)(24)에는 상,하방으로 경사지게 상,하측가이드공(25)(26)이 천공된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베이스금형(3)은 도 1, 2, 4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면서 전방 중앙에 이동코어금형(4)이 고정설치되고 사출성형된 소비(S)를 취출시키도록 되어 있되, 상기 이동베이스금형(3)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블럭형상으로 별도로 설치된 유압실린더(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전방에 일정거리 이격설치된 고정금형부(29)를 향하여 전후진되게 설치되며 전방 중앙부분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의 이동코어금형(4)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이동코어금형(4)의 전방에는 상하 일직선상의 제1코어돌부(5)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제1코어돌부(5)가 사출성형되는 소비(S)의 후방 내측에 삽입되어 소비(S)의 후방 소광부분을 형성하면서 이동금형부(2)의 분리과정에서 사출성형된 소비(S)가 유동되지 않게 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베이스금형(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 좌우양측이 이동코어금형(4)의 전방 중앙에 형성된 제1코어돌부(5)를 향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측 경사면에는 각각 측면가이드레일(6)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후면부에 형성된 측면가이드요홈(18)이 측면가이드레일(6)에 부합되게 가이드결합되면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이 좌우로 경사지게 슬라이드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베이스금형(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중앙 상,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상,하부가이드레일(7)(8)이 형성되어 있어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좌우양측면에 형성된 상,하부가이드요홈(27)(28)이 상,하부가이드레일(7)(8)에 부합되게 가이드결합되면서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드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동베이스금형(3)은 후방에 전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후방플레이트(9)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고 후방플레이트(9)의 후방에는 취출실린더(10)가 전후수평으로 고정설치되며 후방플레이트(9)의 전방에는 취출실린더(10)의 피스톤과 연결되어 전후 일정거리 전후진되는 취출판(11)이 설치되고 취출판(11)의 중앙부분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취출핀(12)이 고정설치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취출핀(12)은 이동베이스금형(3)과 이동코어금형(4)의 제1코어돌부(5)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된 소비(S)의 후방 내측에 제1코어돌부(5)가 삽입된 상태에서 취출실린더(10)가 전진작동되면 취출판(11)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취출핀(12) 전방끝부분이 제1코어돌부(5)의 전방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면서 소비(S)를 전방으로 밀어내 취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베이스금형(3)은 전면부 상하 좌우양측에 각각 전방 수평으로 수평가이드봉(13)이 돌출되게 고정설치되어 있어 이동금형부(2)와 고정금형부(29)의 결합시 각 수평가이드봉(13)이 고정베이스금형(30)의 후면부 상하 좌우양측에 각각 형성된 수평가이드공(34)에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이동베이스금형(3)이 전후 일직선상으로 안정되게 가이드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은 도 1, 2, 4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되는 소비(S)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육각통형상의 봉소(蜂巢)가 다수개 밀집된 상태로 형성되게 하는 부분으로, 상기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면부 좌우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코어금형(4)의 제1코어돌부(5) 좌우측을 향해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며 좌우로 대향되는 면에는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15)가 돌출형성되고 측면날개부(16)에는 전후 외측으로 경사지게 측면가이드공(17)이 천공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은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방 좌우양측에 각각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은 수직으로 세워진 평면형으로 형성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점점 두껍게 형성되어 타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후면부는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면부 좌우양측에 형성된 경사면과 부합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측면가이드요홈(18)이 형성되어 있어 이동베이스금형(3)의 측면가이드레일(6)과 가이드결합되면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이 제1코어돌부(5)의 좌우측으로 서로 근접되게 모이거나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은 좌우로 대향되는 면에 의해 소비(S)의 좌우양측면이 형성되게 하면서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15)에 의해 사출성형되는 소비(S)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육각통형상의 봉소(蜂巢)가 밀집되게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15)는 육각기둥형상으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외곽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일정간격으로 밀집되게 돌출 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볼 때 전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고정금형부(29)의 노즐유닛(35)으로부터의 합성수지액이 주입되는 경우 전방으로부터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15) 사이의 경사진 틈새로 합성수지액이 자연스럽게 흘러 채워지면서 소비(S) 내부에 기포층이나 빈 공간없이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은 서로 근접되게 모아진 상태에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전방부분이 고정베이스금형(30)의 금형삽입공간부(31) 내부 좌우양측에 부합되게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는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봉소성형돌기(15)가 서로 맞닿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은 후방 타측에 각각 측면날개부(16)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각 측면날개부(16)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측면가이드공(17)이 천공되어 있어 이동금형부(2)의 전진이동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베이스금형(30)의 후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고정설치된 좌우측 경사가이드봉(32a)에 측면가이드공(17)이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좌우측 경사가이드봉(32a)을 따라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이 가이드이동되어 서로 근접되게 동시에 모아지도록 되어 있고 이동금형부(2)의 후진이동시에는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이 좌우측 경사가이드봉(32a)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동시에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은 내측에 냉매순환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 캐비티의 내측에 합성수지액이 주입된 후 외부로부터의 냉매가 순환되면서 사출성형된 소비(S)를 냉각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은 도 1, 2, 4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되는 소비(S)의 상하측 소광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방 중앙 상,하부에 각각 제1코어돌부(5)의 상,하부를 향해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면서 상하로 대향되는 면에는 상,하측성형돌부(21)(22)가 돌출형성되고 후방의 상,하측날개부(23)(24)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방으로 경사지게 상,하측가이드공(25)(26)이 천공되어 있되, 상기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은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방 중앙 상,하부에 각각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상하 대칭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은 수평으로 눕혀진 평면형으로 형성되면서 각각 전후 일직선상의 상,하측성형돌부(21)(22)가 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점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상부슬라이드금형(19)의 상면부와 하부슬라이드금형(20)의 하면부는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좌우양측면에는 각각 상,하부가이드요홈(27)(28)이 형성되어 있어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방 중앙 상,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된 상,하부가이드레일(7)(8)과 부합되게 가이드결합되면서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제1코어돌부(5)의 상,하부에 서로 근접되게 모이거나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은 상하로 대향되는 면에 의해 소비(S)의 상하측 소광부분이 형성되게 하면서 이동금형부(2)의 분리과정에서 상,하측성형돌부(21)(22)가 사출성형되는 소비(S)의 상,하부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일정시간 소비(S)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은 후방 상,하부에 각각 상,하측날개부(23)(24)가 상,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 상,하측날개부(23)(24)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방으로 경사지게 상,하측가이드공(25)(26)이 천공되어 있어 이동금형부(2)의 전진이동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베이스금형(30)의 후면부 상하측에 각각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고정설치된 상하측 경사가이드봉(32b)에 상,하측가이드공(25)(26)이 삽입되면서 경사가이드봉(32b)을 따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가이드이동되어 상하 동시에 모아지고 이동금형부(2)의 후진이동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상하측 경사가이드봉(32b)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동시에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은 서로 근접되게 모아진 상태에서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전방부분이 고정베이스금형(30)의 금형삽입공간부(31) 내측 상하부에 부합되게 삽입되며, 상기 상,하측가이드공(25)(26)의 상하 내경은 고정베이스금형(30)의 상하측 경사가이드봉(32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금형부(2)의 후진이동시 상,하측가이드공(25)(26)과 상하측 경사가이드봉(32b)의 이격된 사이의 거리만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보다 일정시간 차로 늦게 벌어지면서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상,하측성형돌부(21)(22)가 사출성형된 소비(S)의 상,하부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에 각각 밀집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15)가 소비(S)의 좌우양측면으로부터 동시에 분리되어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동금형부(2)의 분리과정에서 사출성형된 소비(S)가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 중 어느 한쪽에 치우친 상태로 붙어 있지 않고 동시에 안정적으로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슬라이드금형(19)은 별도의 탄성지지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하게 매달린 상태로 탄성지지되어 상승이동된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하강이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금형부(29)는 도 1, 3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금형부(2)가 결합된 상태에서 합성수지액의 주입으로 소비(S)를 사출성형하고 이동금형부(2)의 분리과정에서 사출성형된 소비(S)가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으로부터 동시에 분리되게 소비(S)의 전방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후방 중앙부분에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모이면서 삽입되는 금형삽입공간부(31)가 형성되고 후면부 좌우양측 및 상하부에는 좌우측 측면가이드공(17)과 상,하측가이드공(25)(26)에 각각 관통개재되는 복수개의 경사가이드봉(32a)(32b)이 고정설치된 고정베이스금형(30)과, 고정베이스금형(30)의 금형삽입공간부(31) 내측 중앙에 고정설치되면서 복수개의 노즐유닛(35)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탄성지지되는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37)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고정코어금형(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베이스금형(30)은 도 1, 3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블럭형상으로 후방 중앙부분에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모이면서 부합되게 삽입되는 금형삽입공간부(31)가 형성되고 후면부 좌우양측 및 상하부에는 좌우측 측면가이드공(17)과 상,하측가이드공(25)(26)에 각각 관통개재되는 복수개의 경사가이드봉(32a)(32b)이 고정설치되어 있되, 상기 고정베이스금형(30)은 금형삽입공간부(31)의 좌우양측에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전방이 부합되게 삽입되고 금형삽입공간부(31)의 상하부에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전방이 부합되게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측면날개부(16)와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상,하측날개부(23)(24)는 고정베이스금형(30)의 후면부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베이스금형(30)은 후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된 복수개의 경사가이드봉(32a)이 좌우 외측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이동금형부(2)의 전진이동시 도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측면날개부(16)에 천공된 좌우측 측면가이드공(17)에 각각 좌우측 경사가이드봉(32a)이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좌우측 경사가이드봉(32a)을 따라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이 좌우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가이드이동하여 금형삽입공간부(31)의 내부 좌우양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고정베이스금형(30)의 후면부 상하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된 복수개의 경사가이드봉(32b)은 상하 외측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이동금형부(2)의 전진이동시 도 4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상,하측날개부(23)(24)에 천공된 상,하측가이드공(25)(26)에 각각 상하측 경사가이드봉(32b)이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상하측 경사가이드봉(32b)을 따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상하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가이드이동되어 금형삽입공간부(31)의 내부 상하양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코어금형(33)은 도 1, 3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베이스금형(30)의 금형삽입공간부(31) 내측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설치되면서 복수개의 노즐유닛(35)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탄성지지되는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37)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되, 상기 고정코어금형(33)은 후방에 상하 일직선상의 제2코어돌부(36)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제2코어돌부(36)가 사출성형되는 소비(S)의 전방 내측에 삽입되어 소비(S)의 전방 소광부분을 형성하면서 이동금형부(2)의 분리과정에서 사출성형된 소비(S)가 유동되지 않게 전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코어금형(33)의 후면부 좌우양측 및 상하부에는 이동금형부(2)의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전방끝단이 부합되게 맞닿으면서 이동코어금형(4)과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와 고정코어금형(33)에 의해 내측에 캐비티(cavity)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노즐유닛(35)으로부터 합성수지액이 캐비티 내로 주입되면서 소광(巢光)과 소초(巢礎)가 일체화된 소비(S)를 사출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노즐유닛(35)은 고정코어금형(33)의 전방 내측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면서 각 노즐유닛(35)의 배출구는 제2코어돌부(36)를 관통하여 후방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노즐유닛(35)으로부터의 합성수지액이 내측의 캐비티(cavity)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37)은 고정코어금형(33)의 후방 내측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면서 이동금형부(2)의 분리과정에서 사출성형된 소비(S)를 일정거리 탄성지지하여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으로부터 소비(S)가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되, 상기 취출지지블럭(37)은 전방이 고정코어금형(33)의 후방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내측에 개재된 탄성스프링(38)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지지되며 취출지지블럭(37)의 후방끝부분은 제2코어돌부(36)의 후방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취출지지블럭(37)의 후방끝단에는 지지돌기(39)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이동금형부(2)의 전진이동에 따른 결합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전방끝단이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37)의 후방끝부분에 맞닿아 취출지지블럭(37)을 전방 내측으로 밀어 넣도록 되어 있고 각 지지돌기(39)가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유지되며 합성수지액의 충진 후 이동금형부(2)가 후방으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37)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39)가 사출성형된 소비(S)의 전방에 끼움개재된 상태로 취출지지블럭(37)이 탄성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소비(S)를 후방으로 일정거리 탄성지지하여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이 좌우 외측으로 벌어지는 과정에서 사출성형된 소비(S)로부터 동시에 분리되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일측면에 밀집되게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15)에 의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 중 어느 한쪽에 소비(S)가 들러 붙지않고 원활하게 취출되도록 되어 있고, 이 후 상기 이동금형부(2)가 계속적으로 후진이동됨에 따라 각 취출지지블럭(37)의 지지돌기(39)는 사출성형된 소비(S)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베이스금형(30)은 전방에 유로형성플레이트(40)가 맞닿은 상태로 고정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유로형성플레이트(40)의 내측에 형성된 유로(41)가 각 노즐유닛(35)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유로형성플레이트(40)의 전방에 형성된 주입구(42)에 별도의 수지주입장치(43)로부터 합성수지액이 주입되면서 유로(41)를 거쳐 각 노즐유닛(35)을 통해 캐비티 내부로 합성수지액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양면형 소비제작용 사출금형장치(1)를 통해 합성수지재질의 소비(S)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금형부(2)가 전진이동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측면날개부(16)에 전후 외측으로 경사지게 천공된 측면가이드공(17)에 고정베이스금형(30)의 후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고정설치된 좌우측 경사가이드봉(32a)이 부합되게 삽입되고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이 좌우측 경사가이드봉(32a)을 따라 가이드이동되어 서로 근접되게 모아지면서 고정베이스금형(30)의 금형삽입공간부(31) 내부 좌우양측에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전방이 부합되게 삽입되며, 이와 동시에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상,하측날개부(23)(24)에 상하 외측으로 경사지게 천공된 상,하측가이드공(25)(26)에 고정베이스금형(30)의 후면부 상하측에 각각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고정설치된 상하측 경사가이드봉(32b)이 부합되게 삽입되고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상하측 경사가이드봉(32b)을 따라 가이드이동되어 모아지면서 고정베이스금형(30)의 금형삽입공간부(31) 내부 상하양측에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전방이 부합되게 삽입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전방끝단이 고정코어금형(33)에 구비된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37)의 후방끝부분에 맞닿아 취출지지블럭(37)을 전방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서 각 취출지지블럭(37)의 지지돌기(39)는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고정코어금형(33)의 후면부 좌우양측 및 상하부에는 이동금형부(2)의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전방끝단이 부합되게 맞닿으면서 이동코어금형(4)과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와 고정코어금형(33)에 의해 내측에 캐비티(cavity)를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별도의 수지주입장치(43)로부터 유로형성플레이트(40)를 통해 합성수지액이 주입되면 복수개의 노즐유닛(35)을 통해 합성수지액이 캐비티 내로 주입된다.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액이 캐비티 내부에 주입되어 일정시간 동안 냉각처리과정을 거친 후 이동금형부(2)의 후진이동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이 좌우측 경사가이드봉(32a)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동시에 벌어지게 되고 이와 함께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상하측 경사가이드봉(32b)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동시에 벌어지게 되며, 상기 이동금형부(2)가 후방으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37)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39)가 사출성형된 소비(S)의 전방에 끼움개재된 상태로 취출지지블럭(37)이 탄성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소비(S)를 후방으로 일정거리 탄성지지하여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이 좌우 외측으로 벌어지는 과정에서 사출성형된 소비(S)로부터 동시에 분리되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일측면에 밀집되게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15)에 의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 중 어느 한쪽에 소비(S)가 들러 붙지않고 원활하게 취출되며, 이 후 상기 이동금형부(2)가 계속적으로 후진이동됨에 따라 각 취출지지블럭(37)의 지지돌기(39)는 사출성형된 소비(S)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된다.
또한, 상기 이동금형부(2)의 후진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된 소비(S)의 후방 내측에 제1코어돌부(5)가 삽입된 상태에서 취출실린더(10)가 전진작동되고 취출판(11)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취출핀(12) 전방끝부분이 제1코어돌부(5)의 전방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면서 사출성형된 소비(S)를 전방으로 밀어내 취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광(巢光)과 소초(巢礎)이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재질의 소비(S)를 간편,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가능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사출성형된 소비(S)는 좌우양측면에 각각 육각통형상의 봉소가 밀집되게 형성된 양면형으로 제조되어 별도의 후속 조립공정없이 곧바로 벌통에 투입하여 간편하고 원활한 양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1. 사출금형장치 2. 이동금형부
3. 이동베이스금형 4. 이동코어금형
5. 제1코어돌부 6. 측면가이드레일
7. 상부가이드레일 8. 하부가이드레일
9. 후방플레이트 10. 취출실린더
11. 취출판 12. 취출핀
13. 수평가이드봉 14. 측면슬라이드금형
15. 봉소성형돌기 16. 측면날개부
17. 측면가이드공 18. 측면가이드요홈
19. 상부슬라이드금형 20. 하부슬라이드금형
21. 상측성형돌부 22. 하측성형돌부
23. 상측날개부 24. 하측날개부
25. 상측가이드공 26. 하측가이드공
27. 상부가이드요홈 28. 하부가이드요홈
29. 고정금형부 30. 고정베이스금형
31. 금형삽입공간부 32a, 32b. 경사가이드봉
33. 고정코어금형 34. 수평가이드공
35. 노즐유닛 36. 제2코어돌부
37. 취출지지블럭 38. 탄성스프링
39. 지지돌기 40. 유로형성플레이트
41. 유로 42. 주입구
43. 수지주입장치 S : 소비

Claims (6)

  1. 전후이동되게 설치되면서 전방 중앙에 이동코어금형(4)이 고정설치된 이동베이스금형(3)과,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면부 좌우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코어금형(4)의 좌우측을 향해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며 좌우로 대향되는 면에는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15)가 돌출형성되고 후방의 측면날개부(16)에는 전후 외측으로 경사지게 측면가이드공(17)이 천공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과,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방 중앙 상,하부에 각각 이동코어금형(4)의 상,하부를 향해 상하 슬라이드이동되게 가이드결합되고 후방의 상,하측날개부(23)(24)에는 상,하방으로 경사지게 상,하측가이드공(25)(26)이 천공된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으로 이루어진 이동금형부(2)와; 후방 중앙부분에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모이면서 삽입되는 금형삽입공간부(31)가 형성되고 후면부 좌우양측 및 상하부에는 좌우측 측면가이드공(17)과 상,하측가이드공(25)(26)에 각각 관통개재되는 복수개의 경사가이드봉(32a)(32b)이 고정설치된 고정베이스금형(30)과, 고정베이스금형(30)의 금형삽입공간부(31) 내측 중앙에 고정설치되면서 복수개의 노즐유닛(35)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탄성지지되는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37)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고정코어금형(33)으로 이루어진 고정금형부(29)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다수개의 봉소성형돌기(15)는 육각기둥형상으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외곽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일정간격으로 밀집되게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서 볼 때 전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베이스금형(3)은 이동코어금형(4)의 전방에 상하 일직선상의 제1코어돌부(5)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면부 좌우양측은 제1코어돌부(5)를 향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좌우측 경사면에는 각각 측면가이드레일(6)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후면부에 형성된 측면가이드요홈(18)이 가이드결합되고,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방 중앙 상,하부에는 각각 수직으로 상,하부가이드레일(7)(8)이 형성되어 있어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좌우양측면에 형성된 상,하부가이드요홈(27)(28)이 가이드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베이스금형(3)은 후방에 전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후방플레이트(9)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고 후방플레이트(9)의 후방에는 취출실린더(10)가 전후수평으로 고정설치되며 후방플레이트(9)의 전방에는 취출실린더(10)의 피스톤과 연결되어 전후 일정거리 전후진되는 취출판(11)이 설치되고 취출판(11)의 중앙부분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취출핀(12)이 고정설치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취출핀(12)은 이동베이스금형(3)과 이동코어금형(4)의 제1코어돌부(5)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취출실린더(10)의 전진작동에 따라 복수개의 취출핀(12)이 제1코어돌부(5)의 전방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면서 사출성형된 소비(S)를 전방으로 취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은 이동베이스금형(3)의 전방 좌우양측에 각각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좌우대칭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은 수직으로 세워진 평면형으로 형성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점점 두껍게 형성되어 타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은 상,하측가이드공(25)(26)의 상하 내경이 고정베이스금형(30)의 상하측 경사가이드봉(32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이동금형부(2)의 후진이동시 상,하측가이드공(25)(26)과 상하측 경사가이드봉(32b)의 이격된 사이의 거리만큼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이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보다 일정시간 차로 늦게 벌어지면서 상,하부슬라이드금형(19)(20)의 상,하측성형돌부(21)(22)가 사출성형된 소비(S)의 상,하부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좌우측 측면슬라이드금형(14)의 봉소성형돌기(15)가 소비(S)의 좌우양측면으로부터 동시에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코어금형(33)은 후방에 상하 일직선상의 제2코어돌부(36)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37)은 전방이 고정코어금형(33)의 후방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내측에 개재된 탄성스프링(38)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지지되며 취출지지블럭(37)의 후방끝부분은 제2코어돌부(36)의 후방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설치되고 취출지지블럭(37)의 후방끝단에는 지지돌기(39)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합성수지액의 주입 후 이동금형부(2)의 분리과정에서 복수개의 취출지지블럭(37)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39)가 사출성형된 소비(S)의 전방에 끼움개재된 상태로 후방으로 일정거리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KR1020170068873A 2017-06-02 2017-06-02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KR10192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873A KR101920387B1 (ko) 2017-06-02 2017-06-02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873A KR101920387B1 (ko) 2017-06-02 2017-06-02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387B1 true KR101920387B1 (ko) 2018-11-20

Family

ID=6456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873A KR101920387B1 (ko) 2017-06-02 2017-06-02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3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1763A (zh) * 2019-05-30 2019-08-30 开平市盈光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双穴模具的定位工艺
CN111421766A (zh) * 2020-04-23 2020-07-17 唐海棠 一种注塑加工用分体式注塑模具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23B1 (ko) * 2008-10-28 2009-08-14 주식회사 디엠디 양봉용 소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23B1 (ko) * 2008-10-28 2009-08-14 주식회사 디엠디 양봉용 소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1763A (zh) * 2019-05-30 2019-08-30 开平市盈光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双穴模具的定位工艺
CN111421766A (zh) * 2020-04-23 2020-07-17 唐海棠 一种注塑加工用分体式注塑模具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387B1 (ko) 양면형 소비제조용 사출금형장치
CN105818333B (zh) 薄型注射成型装置
CN207747333U (zh) 一种伞插模具
CN202742634U (zh) 全周倒钩脱模机构
CN209240408U (zh) 360°内扣抽芯机构
CN208558187U (zh) 眼镜脚套的制造模具
CN209320130U (zh) 一种磁铁嵌件注塑模具
CN209699751U (zh) 带有斜销侧抽芯机构的茶杯盖注塑机构
CN211334431U (zh) 一种用于生产内杯盖的模具
JP6074478B1 (ja) 人工巣脾の製造方法
CN208681996U (zh) 一种输液单翼针柄模具
CN217670858U (zh) 用于3v空气过滤器塑框的注塑模具
CN106393762A (zh) 单色射出ip滑块穿孔鞋底模具
CN107053426B (zh) 一种半自动式胡蜂筑巢桶成型脱模机
CN111113781A (zh) 一种用于拉链头注胶的自动上料装置
CN206217085U (zh) 一种橡胶注塑成型模具
CN214820637U (zh) 一种用于输液器加药注射件的注塑成型模具
CN208714394U (zh) 一种模具斜孔弹动抽芯及缩呵结构
CN214773683U (zh) 一种用于奶酪棒的一出多模具
CN210497482U (zh) 斜槽式吸粉头
CN109262947A (zh) 一种楦注鞋用连帮注射机的快速调模结构
CN202225384U (zh) 二次顶出的模具结构
CN208714388U (zh) 全自动产品流道分离模具机构
CN220429051U (zh) 一种包胶模具的自动落料机构
CN216182421U (zh) 用于六角尼龙帽的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