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896B1 - 엔진 발전기 - Google Patents

엔진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896B1
KR101118896B1 KR1020090057086A KR20090057086A KR101118896B1 KR 101118896 B1 KR101118896 B1 KR 101118896B1 KR 1020090057086 A KR1020090057086 A KR 1020090057086A KR 20090057086 A KR20090057086 A KR 20090057086A KR 101118896 B1 KR101118896 B1 KR 10111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enter
generator
frame
gener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203A (ko
Inventor
다다후미 히로세
준지 히라누마
마사노리 신
히토시 유키
마사시 가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68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0075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688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18528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02B63/04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the engine-generator unit being placed on a frame or in an housing
    • F02B63/047Movable engine-generator combinations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성의 경질 골격 부재(11)를 구비하는 엔진 발전기(10)를 개시한다. 바닥 커버(25)가 엔진/발전기 유닛(12)을 지지한다. 바닥 커버의 전방부에서 엔진 발전기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벽형상의 수직 프레임(26)이 바닥 커버의 전방부로부터 서 있다. 바닥 커버의 후방부와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T형 센터 프레임(27)이 연장된다. 골격 부재(11)는 바닥 커버, 수직 프레임 및 센터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엔진 발전기{ENGINE GENERATOR}
본 발명은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가 엔진과 함께 케이스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엔진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33638호 공보는, 엔진과 발전기가 소음 억제(제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엔진 발전기를 개시하고 있다.
엔진 발전기는, 엔진과 발전기를 지지하는 바닥판의 두 측부에 직립 배치된 단면이 역 U자 형상인 보강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의 골격부를 구비한다. 골격부는 수지 케이스로 덮여 있다. 엔진과 발전기는 케이스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고, 케이스 운반용의 파지부가 일체로 설치되어 소형 엔진 발전기를 형성한다.
소형의 엔진 구동 발전기는, 단면이 역 U자 형상인 한 쌍의 보강 프레임의 하단부만이 바닥판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한 쌍의 보강 프레임의 상단부는 보강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한 쌍의 보강 프레임의 상단부는 수지 케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엔진 발전기가 소형이기 때문에, 한 쌍의 보강 프레임의 상단부를 수지 케이스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엔진 발전기가 비교적 대형인 경우에는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지 케이스를 사용하여 단면이 역 U자 형상인 한 쌍의 보강 프레임의 상단부를 지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수지 케이스를 강철 케이스로 대체하여 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지 케이스를 강철 케이스로 대체하면, 엔진 발전기의 무게가 증가하고, 엔진 발전기의 운반성이 훼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경량으로 할 수 있으면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엔진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엔진과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가 일체의 유닛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엔진/발전기 유닛; 엔진/발전기 유닛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기 부품부; 전기 부품부와 엔진/발전기 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스; 엔진/발전기 유닛을 지지하는 바닥 커버; 엔진 발전기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바닥 커버의 일단 근방으로부터 서 있는 벽형상의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의 상부 중앙부와 바닥 커버의 타단 중앙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엔진/발전기 유닛의 위에 배치된 센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엔진 발전기로서, 바닥 커버, 수직 프레임 및 센터 프레임에 의해 골격 부재가 구성되고, 수직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 T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엔진 발전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엔진 발전기에 의해,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 중 2개의 단부를 바닥 커 버에 장착함으로써, 수직 프레임이 엔진 발전기의 폭방향(즉,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터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의 상부 중앙부와 바닥 커버의 타단 중앙부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수직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은 위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T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센터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이 수직 프레임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바닥 커버, 수직 프레임 및 센터 프레임을 이용하여 고강성의 골격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고강성의 골격 부재를 이용하여 케이스를 지지함으로서 케이스의 강성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를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다른 수지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구동 발전기를 보다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직 프레임은 케이스 내측의 수용 공간을, 엔진/발전기 유닛이 배치되는 유닛 수용 영역과, 전기 부품부가 배치되는 전기 부품부 수용 영역으로 구획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직 프레임을 이용하여 엔진/발전기 유닛과 전기 부품부를 분리함으로써 전기 부품부의 주변 온도를 최적의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 프레임이 격벽으로서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격벽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구조를 훨씬 경량으로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엔진은 센터 프레임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구동축을 구비하고, 센터 프레임의 일측에 엔진이 배치되며, 센터 프레임의 타측에 발전기가 배치되어 있다. 센터 프레임은 유닛 수용 영역을, 엔진을 배치하기 위한 고온 영역과 발전 기를 배치하기 위한 저온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열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저온 영역에 배치된 엔진 발전기의 주변 온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센터 프레임을 이용하여 절연 부재를 지지함으로써, 절연 부재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더욱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센터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의 상부 중앙부로부터 바닥 커버의 타단 중앙부까지 바닥 커버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빔부; 프레임 빔부의 말단으로부터 바닥 커버의 타단 중앙부까지 하향 연장되는 프레임 레그부를 구비하고, 프레임 빔부와 프레임 레그부는 L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 빔부가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빔부의 아래에 비교적 큰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써, 프레임 빔부의 아래에 엔진/발전기 유닛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엔진 발전기는, 센터 프레임과 엔진/발전기 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을 수용하는 영역과 발전기를 수용하는 영역을 구획하는 탄성 시일 부재; 엔진/발전기 유닛의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탄성 시일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센터 범프 스토퍼; 센터 범프 스토퍼와 접촉하도록 센터 프레임에 배치되는 범프 시트부(425)를 더 포함하며, 센터 범프 스토퍼와 범프 시트부의 접촉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의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이 최소화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센터 범프 스토퍼를 엔진/발전기 유닛의 중앙부 위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엔진/발전기 유닛의 무게 중심은 실질적으로 엔진/발전기 유닛의 중앙에 위 치 결정된다. 따라서 센터 범프 스토퍼를 엔진/발전기 유닛의 무게 중심 위치에 근접하게 할 수 있다. 엔진/발전기 유닛은 무게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진동한다. 그 결과, 무게 중심 위치에 근접한 센터 범프 스토퍼의 진동량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진동에 의해 센터 범프 스토퍼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콤팩트한 센터 범프 스토퍼로 진동을 줄일 수 있고, 엔진 구동 발전기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센터 범프 스토퍼를 탄성 시일 부재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로써, 센터 범프 스토퍼를 조립하는 단계를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센터 프레임은 엔진 위에 배치된 머플러와 접촉할 수 있는 머플러 범프 스토퍼를 구비하고, 머플러와 머플러 범프 스토퍼의 접촉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의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이 최소화된다. 센터 프레임이 엔진/발전기 유닛의 상부 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머플러 범프 스토퍼를 엔진/발전기 유닛의 무게 중심 위치에 근접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센터 범프 스토퍼와 동일한 방식으로, 머플러 범프 스토퍼의 진동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콤팩트한 머플러 범프 스토퍼로 진동을 줄일 수 있고, 엔진 구동 발전기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바닥 커버는 엔진/발전기 유닛의 바닥부와 접촉하는 하부 범프 스토퍼를 구비하고, 엔진/발전기 유닛의 바닥부와 하부 범프 스토퍼의 접촉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의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이 최소화된다.
엔진/발전기 유닛의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하부 범프 스토퍼가 엔진/발전기 유닛의 바닥부의 외주 근방에 접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바닥부의 외주의 근방은 엔진/발전기 유닛의 무게 중심 위치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위치이며, 진동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청구항 5의 센터 범프 스토퍼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의 진동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범프 스토퍼와 접촉하는 위치에서의 진동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하부 범프 스토퍼를 보다 콤팩트하게 할 경우에도 접촉 위치에서의 진동을 충분하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경량으로 할 수 있으면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엔진 발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적으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적인 설명에 있어서, "전방 방향"이라는 표현은, 견인 핸들(125)에 의해 엔진 발전기(10)를 견인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엔진 발전기(10)는 골격 본체를 형성하는 골격 부재(11)와, 골격 부재(11)에 설치되는 엔진/발전기 유닛(12)과,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기 부품부(13)와, 엔진/발전기 유닛(12)에 연료를 공급하는 흡기/연료 공급 기구(14; 도 3 참조)와, 엔진/발전기 유닛(12)에 냉각 공기를 유도하는 냉각 구조(15)와, 엔진 발전기(10)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구조(16)와, 엔진/발전기 유닛(12)과 전기 부품부(13)를 둘러싸는 케이스(17)와, 케이스(17) 내측의 수용 공간(20)을 구획하는 절연 부재(18)와,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엔진(21)에 설치된 머플러(23; 도 3 참조)와,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진동 억제 수단(28; 도 11 및 도 13 참조)을 구비한다.
골격 부재(11)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을 지지하는 바닥 커버(25)와, 바닥 커버(25)의 전단부(일단부; 25a)의 근처에 직립 배치된 벽형상의 수직 프레임(26)과, 수직 프레임(26)의 상부 중앙부(26a; 도 5)와 바닥 커버(25)의 후단 중앙부(타단부; 25e)(도 5) 사이에서 연장되는 센터 프레임(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센터 프레임(2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중앙부(24) 위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발전기(10)는, 골격 부재(11)의 바닥 커버(25)의 전단부(일단부; 25a)에 설치된 좌우 레그부(29)와, 후단부(25b)에 설치된 좌우 휠(31, 32)을 구비한다. 좌우 레그부(29)는 각각 고무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좌우 레그부(29)와 좌우 휠(31, 32)이 지면과 접촉하고 있을 때에, 바닥 커버(25)는 수평하다.
엔진/발전기 유닛(12)은 4개의 장착 부재(마운트 부재; 33)를 매개로 골격 부재(11)의 바닥 커버(25)에 장착된다. 엔진(21)과 엔진(21)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22; 도 3 참조)는 엔진/발전기 유닛(12)에 일체로 설치된다.
발전기(22)는 엔진(21; 도 3 참조)의 구동축(크랭크샤프트; 34)에 동축으로 설치된다. 엔진(21)의 실린더 블록(35)은, 지지점으로서의 구동축(34)을 이용하여 좌우 휠(31, 32)에 대하여[즉, 좌우 휠(31, 32)을 지지하는 축(113)의 방향에 대하 여] θ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도면 부호 36은 실린더 블록(35)의 실린더 중심을 도시한다. 엔진(21)의 실린더 블록(35)을 각도 θ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엔진(21)의 높이(H1)를 낮출 수 있고, 엔진 발전기(1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엔진 발전기(10)를 보다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엔진(21)의 실린더 블록(35)이 각도 θ로 경사져 있는 상태에서 실린더 블록(35)의 아래에 충분한 휠 수용 공간(38)을 마련할 수 있다. 운반 구조(16)의 좌우 휠(31, 32)은 휠 수용 공간(38) 내에 배치되어 있다. 좌우 휠(31, 32)을 휠 수용 공간(38) 내에 배치함으로써 엔진 발전기(10)를 훨씬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좌우 휠(31, 32)을 바닥 커버(25)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고, 엔진/발전기 유닛(12)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 부품부(13)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출력을 제어한다. 전기 부품부(13)는, 상반부의 제어 패널(79)과 하반부의 인버터 유닛(78)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1)의 구동축(34)이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엔진/발전기 유닛(12)은 바닥 커버(25)에 장착되어 있다.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엔진(21)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34)이 회전한다. 구동축(34)의 회전은 냉각 팬(85)에 전달되어, 냉각 팬(85)이 회전한다. 냉각 팬(85)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22)의 로터(22a)가 스테이터(22b)의 외주를 따라 회전한다. 로터(22a)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22)가 전력을 발생시킨다.
머플러(23)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엔진(21) 위에 설치되어 있다. 엔 진(21)의 실린더 블록(35; 도 2 참조)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배기 포트(39; 도 6 참조)로부터 배출된다.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발전기(22) 위에 흡기/연료 공급 기구(14)의 연료 탱크(41)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발전기 유닛(12), 머플러(23) 및 연료 탱크(41)는, 실질적으로 단면 U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7)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17)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다른 수지로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45), 전방 케이스부(46) 및 후방 케이스부(47)를 구비한다. 케이스(17)는 바닥 커버(25)의 위에 배치되어 있어, 케이스(17)와 바닥 커버(25)에 의해 수용 공간(20)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20)은 유닛 수용 영역(51)과 전기 부품부 수용 영역(52; 도 2)으로 구획되고, 유닛 수용 영역(51)은 저온 영역(53)과 고온 영역(54)으로 구획된다. 엔진/발전기 유닛(12)은 유닛 수용 영역(51)에 수용되고, 전기 부품부(13)는 전기 부품부 수용 영역(52)에 수용된다. 엔진(21)과 머플러(23)는 고온 영역(54)에 수용되고, 발전기(22)와 연료 탱크(41)는 저온 영역(53)에 수용된다. 리코일 스타터(111), 냉각 팬(85), 발전기(22) 및 연료 탱크(41)는 저온 영역(53)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구조(15)는, 냉각 팬(85)을 회전시켜 외기를 냉각 팬(85)에 도입하고, 냉각 공기인 외기를 팬 커버(391)와 커버 가이드(392)를 거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엔진(21)에 송풍하고, 엔진(21)으로 유도되는 외기를 엔진 슈라우드(98)와 바닥 커버(25)를 거쳐서 화살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35)에 송풍함으로써 엔진(21)과 머플러(23)를 냉각한다.
케이스 본체(45)는 유닛 수용 영역(51)의 상부 및 좌우 측부를 덮고 있다. 케이스 본체(45)는 고온 영역(54)을 덮는 좌측 케이스부(61), 좌측 케이스부(61)의 하부에 설치된 장식용 좌측 커버(62), 저온 영역(53)을 덮는 우측 케이스부(63), 우측 케이스부(63)의 하부에 설치된 장식용 우측 커버(64)를 구비한다.
좌측 케이스부(61)의 하단부(61a)는 바닥 커버(25)의 좌측부(25c)에 장착되어 있고, 좌측 케이스부(61)의 상단부(61b)는 골격 부재(11)[센터 프레임(27)]의 상부(27a)에 장착되어 있다. 좌측 케이스부(61)는 좌측 벽부(66)와 좌상 벽부(67)에 의해 실질적으로 단면 U 형상으로 형성된다.
우측 케이스부(63)의 하단부(63a)는 바닥 커버(25)의 우측부(25d)에 장착되어 있고, 상단부(63b)는 골격 부재(11)[센터 프레임(27)]의 상부(27a)에 장착되어 있다. 우측 케이스부(63)는 우측 벽부(68)와 우상 벽부(69)에 의해 실질적으로 단면 U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7)의 상부 벽부는, 좌측 케이스부(61)의 좌상 벽부(67)와 우측 케이스부(63)의 우상 벽부(69)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케이스부(46)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덮개로 형성되고, 골격 부재(11)의 바닥 커버(25) 또는 수직 프레임(26) 등에 장착되어 있으며, 케이스(17)의 전방 벽부를 구성한다. 전기 부품부 수용 영역(52; 도 2 참조)의 전방부는 전방 케이스부(46)에 의해 덮여 있다. 전기 부품부(13)는 전기 부품부 수용 영역(52)에 수용된다.
후방 케이스부(47)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덮개로 형성되고, 골격 부재(11) 의 바닥 커버(25) 또는 센터 프레임(27) 등에 장착되어 있으며, 케이스(17)의 후방 벽부를 구성한다. 유닛 수용 영역(51)의 전방부는 후방 케이스부(47)에 의해 덮여 있다. 후방 케이스부(47)는 좌반부의 좌측 커버부(74)와 우반부의 우측 커버부(75)를 구비한다.
냉각 구조(15)는 케이스(17)를 냉각하는 케이스 냉각 구조(82)와, 전기 부품부(13)의 인버터 유닛(78), 엔진(21) 및 머플러(23)를 냉각하는 엔진 냉각 구조(81)를 구비한다.
엔진 냉각 구조(81)는 전방 케이스부(46)의 하반부에 형성된 외기 흡입 루버부(84; louver portion)와, 외기 흡입 루버부(84)로부터 유도된 외기를 인버터 유닛(78)을 매개로 냉각 팬(85)으로 안내하는 제1 냉각 채널(86)과, 냉각 팬(85)으로부터 유도된 외기를 엔진(21)의 실린더 블록(35)으로 안내하는 제2 냉각 채널(87; 도 2 참조)과, 실린더 블록(35)을 통과한 외기를 배출 루버부(89)로 안내하는 제3 냉각 채널(88)과, 제3 냉각 채널(88)로 안내된 외기를 탈출시킬 수 있는 배출 루버부(89)를 구비한다. 편의를 위하여, 제1 냉각 채널(86), 제2 냉각 채널(87) 및 제3 냉각 채널(88)은 화살표로 표시한다.
제2 냉각 채널(87)은 냉각 공기를 실린더 블록(35)으로 유도하고, 제2 냉각 채널(87)은 실린더 블록(35) 위에 엔진 슈라우드(98)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배출 루버부(89)는 좌측 커버부(74)의 상반부에 형성되어 있다.
엔진 냉각 구조(81)에 따르면, 흡입 루버부(84)로부터 인버터 유닛(78), 엔진(21) 및 머플러(23)로 외기가 도입되어, 인버터 유닛(78), 엔진(21) 및 머플 러(23)가 외기에 의해 냉각된다.
케이스 냉각 구조(82)는 바닥 커버(25)의 좌측부(25c)에 형성된 외기 흡입 슬릿부(91; 도 8 참조)와, 흡입 슬릿부(91)로부터 유도된 외기를 좌측 케이스부(61)를 따라 머플러(23) 위의 영역으로 안내하는 제4 냉각 채널(92)과, 센터 프레임(27)에 형성된 안내 포트(93; 도 2 참조)와, 제4 냉각 채널(92)의 외기를 복수의 안내 포트(93)를 통하여 연료 탱크(41) 위의 영역으로 안내하는 제5 냉각 채널(94)과, 연료 탱크(41) 위의 영역에 안내된 외기를 냉각 팬(85)으로 안내하는 제6 냉각 채널(95)을 구비한다. 편의를 위하여, 제4 냉각 채널(92), 제5 냉각 채널(94) 및 제6 냉각 채널(95)은 화살표로 표시한다.
케이스 슈라우드(97)를 좌측 케이스부(61)에 예정된 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좌측 케이스부(61)와 케이스 슈라우드(97) 사이에 제4 냉각 채널(92)이 형성된다.
케이스 냉각 구조(82)에 따르면, 흡입 슬릿부(91)로부터 외기가 도입되고, 좌측 케이스부(61)의 내면과 우측 케이스부(63)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좌우측 케이스부(61, 63)가 외기에 의해 냉각된다.
편의를 위하여, 도 5는, 도 6에 도시된 좌우 핸들 장착부(121, 122)가 제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흡기/연료 공급 기구(14)는 연료(공기-연료 혼합물)를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엔진(21)에 공급한다. 흡기/연료 공급 기구(14)는 발전기(22; 도 3 참조) 위에 배치된 연료 탱크(41)와, 엔진(21)의 실린더 블록(35)에 설치된 기화기(101)를 구비한다.
연료 탱크(41)는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탱크이다.
기화기(101)는 에어 클리너(도시 생략)로부터의 공기와 연료 탱크(41)로부터의 연료를 혼합한다. 연료 탱크(41)와 기화기(101)는 센터 프레임[27; 절연 부재(18)]의 우측 영역, 즉 저온 영역(53)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21)과 머플러(23)는, 센터 프레임[27; 절연 부재(18)]의 좌측 영역, 즉 고온 영역(54)에 배치되어 있다.
골격 부재(11)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바닥 커버(25)와, 바닥 커버(25)의 전단부(일단부; 25a)의 근처에 직립 배치된 수직 프레임(26)과, 수직 프레임(26)의 상부 중앙부(26a)와 바닥 커버(25)의 후단 중앙부(타단 중앙부; 25e) 사이에서 연장되는 센터 프레임(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21) 및 발전기(22)와 일체로 설치된 엔진/발전기 유닛(12)은 4개의 장착 부재(마운트 부재; 33)를 통하여 골격 부재(11)의 바닥 커버(25)에 장착된다. 엔진 시동용의 리코일 스타터(111)가 엔진(21)에 설치되어 있다. 배기 머플러(23)가 엔진(21)의 위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냉각 구조(82; 도 3 참조)의 케이스 슈라우드(97)는 머플러(23)의 외부에 설치된다. 엔진 냉각 구조(81; 도 3 참조)의 엔진 슈라우드(98)는 머플러(23)와 엔진(21) 사이에 설치된다. 케이스 슈라우드(97)와 엔진 슈라우드(98)는 외기(냉각 공기)를 케이스(17) 내를 향하도록 안내한다. 머플러(23)와 엔진(21)은 엔진 슈라우드(98)에 의해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도 3 참조)으로 구획된다.
골격 부재(11)의 센터 프레임(27)에 절연 부재(18)가 설치된다. 절연 부 재(18)는, 예컨대 실린더 블록(35)으로 유도된 외기(냉각 공기)를 배출 루버부(89; 도 4 참조)로 안내하는 슈라우드로서도 작용한다.
운반 구조(16)의 좌우 휠(31, 32)은 축(113)을 매개로 골격 부재(11)의 바닥 커버(2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달리 말하면, 바닥 커버(25)의 후단부(25b)의 좌우 단부에 좌우 휠 하우징(115, 116)이 형성된다. 좌우 휠 하우징(115, 116)은 좌우 휠(31, 32)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위로 불룩하다. 좌측 휠(31)은 좌측 휠 하우징(115) 아래에 배치되고, 우측 휠(32)은 우측 휠 하우징(116) 아래에 배치된다.
좌우 핸들 장착부(121, 122)를 매개로 바닥 커버(25)의 후단부(25b)에 운반 구조(16; 도 1 및 도 4 참조)의 후방 고정 핸들(118)이 설치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좌측 핸들 장착부(121)는 후단부(25b)의 좌측부에 직립 설치되어 있다. 우측 핸들 장착부(122)는 후단부(25b)의 우측부에 직립 설치되어 있다. 후방 고정 핸들(118)의 좌우 단부(118a, 118b)는 볼트(123; 도 1 참조)에 의해 좌우 핸들 장착부(121, 122)에 고정되어 있다. 후방 고정 핸들(118)은 위에서 보았을 때 U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운반 구조(16)의 견인 핸들(125)은 골격 부재(11)의 수직 프레임(26)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견인 핸들(125)은 핸들 지지부(128)를 매개로 수직 프레임(26)의 상부 중앙부(26a)에 수직 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 지지부(128)는, 복수의 볼트(129)에 의해 센터 프레임(27)과 함께 수직 프레임(26)의 상부 중앙부(26a)에 체결되어 있다. 핸들 지지부(128)는 도 9에 도시되 어 있다.
운반 구조(16)는 좌우 휠(31, 32), 후방 고정 핸들(118), 전방 고정 핸들(119; 도 1 및 도 2 참조) 및 견인 핸들(125)을 구비한다. 전방 고정 핸들(11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핸들(125)의 지지축(131)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운반 구조(16)에 따르면, 견인 핸들(125)을 지지축(131)을 중심으로 견인 위치(도 5에 도시된 상태)로 상향 스윙하고, 견인 핸들(125)의 파지부(132)를 파지하고, 엔진 발전기를 견인한다. 달리 말하면, 파지부(132)를 파지하고 들어올려, 좌우 레그부(29)를 지면(노면)으로부터 들어올린다. 이 상태에서 파지부(132)를 견인함으로써, 좌우 휠(31, 32)을 회전시킬 수 있고, 엔진 발전기(10)를 이동(운반)시킬 수 있다.
견인 핸들(125)을 지지축(131)을 중심으로 하향 스윙하고, 견인 핸들(125)을 전방 케이스부(46; 도 1)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후방 고정 핸들(118)과 전방 고정 핸들(119)을 파지하고, 엔진 발전기(10)를 들어올려 운반한다.
골격 부재(11)의 바닥 커버(25)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격 부재(11)의 바닥부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 커버(25)는, 전단부(25a), 후단부(25b), 좌측부(25c) 및 우측부(25d)에 의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고강도 수지제로 구성된다. 바닥 커버(25)를 고강성의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바닥 커버(25)를 보다 얇고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바닥 커버(25)는 전단부(25a)를 따라 배치된 전방 측방향 리브(141)와, 전방 측방향 리브(141)의 후방[즉, 전단부(25a)의 근방]에 배치된 전방 근방의 측방향 리브(142)와, 후단부(25b)의 중앙부에 배치된 후방 측방향 리브(143)와, 후방 측방향 리브(143)의 전방[즉, 후단부(25b)의 근방]에 배치된 축 측방향 리브(144)와, 축 측방향 리브(144)에 수직하게 배치된 중앙 종방향 리브(145)와, 좌우 측부(25c, 25d)에 각각 설치된 좌우 종방향 리브(146, 147)와, 좌측부(25c)의 중앙측[즉, 좌측부(25c)의 근방]에 설치된 좌측 근방의 종방향 리브(148)와, 우측부(25d)의 중앙측[즉, 우측부(25d)의 근방]에 설치된 우측 근방의 종방향 리브(149)를 포함한다.
축 측방향 리브(144)는, 바닥 커버(25)의 바닥면(28)에, 좌우 휠(31, 32)의 축(113)을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152)를 구비한다.
중앙 종방향 리브(145)는 축 측방향 리브(144)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중앙 종방향 리브(145)는 바닥 커버(25)의 후단 중앙부(타단부; 25e)로부터 전단부(일단부; 25a)까지 연장된다.
전방 측방향 리브(141), 전방 근방의 측방향 리브(142), 후방 측방향 리브(143) 및 축 측방향 리브(144)는, 실질적으로 단면이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위로 불룩한 보강 리브이다.
중앙 종방향 리브(145), 좌측 종방향 리브(146), 우측 종방향 리브(147), 좌측 근방 종방향 리브(148) 및 우측 근방 종방향 리브(149)는, 실질적으로 단면이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위로 불룩한 보강 리브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 커버(25)에, 전방 측방향 리브(141), 전방 근방의 측방향 리브(142), 후방 측방향 리브(143), 축 측방향 리브(144), 중앙 종방향 리 브(145), 좌측 종방향 리브(146), 우측 종방향 리브(147), 좌측 근방의 종방향 리브(148) 및 우측 근방의 종방향 리브(149)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커버(25)의 강성이 증가한다.
전방 측방향 리브(141)는 좌우 단부에 형성된 장착 구멍(141a, 141b)을 구비한다. 좌우 레그부(29)는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좌우 장착 구멍(141a, 141b)에 장착되어 있다.
전방 측방향 리브(141)의 좌우 장착 구멍(141a, 141b) 사이에는 한 쌍의 장착 구멍(141c, 141d)이 형성되어 있다. 인버터 유닛(78; 도 2 참조)은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한 쌍의 장착 구멍(141c, 141d)에 장착된다.
전방 근방의 측방향 리브(142)는 좌우 단부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좌우 프레임 지지부(156, 157)를 구비한다. 수직 프레임(26)의 하단부(26b)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156a, 157a)이 좌우 프레임 지지부(156, 157)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26)의 하단부(26b)는 볼트(154, 154)에 의해 좌우 장착 구멍(156a, 157a)에서 장착된다.
후방 측방향 리브(143)의 중앙 지지부, 즉 후단 중앙부(25e)가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후단 중앙부(25e)에 한 쌍의 너트(158)가 인서트 성형된다. 센터 프레임(27)의 후단 하부(27e)가 볼트(159)에 의해 한 쌍의 너트(158)에 장착된다.
축 측방향 리브(144)의 좌우 단부에는 좌우 장착 구멍(144a, 144b)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지지 베어링(211; 도 6 참조)은 좌측 장착 구멍(144a)에 볼트로 장착되고, 우측 지지 베어링(212; 도 6 참조)은 우측 장착 구멍(144b)에 볼트로 장착 된다. 따라서 좌우 휠(31, 32)의 축(113; 도 6 참조)은 좌우 지지 베어링(211, 212)에 의해 수용 오목부(152)에 장착된다.
좌측 핸들 장착부(121)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151a)이 좌측 장착 구멍(144a)의 외측에, 즉 후단부(25b)의 좌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우측 핸들 장착부(122)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151b)이 우측 장착 구멍(144b)의 외측에, 즉 후단부(25b)의 우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핸들 장착부(121, 122; 도 6 참조)는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좌우 장착 구멍(151a, 151b)에 장착되어 있다.
좌측 근방의 종방향 리브(148)의 전후 좌측에는 장착 구멍(148a, 148b)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근방의 종방향 리브(149)의 전후 우측에는 장착 구멍(149a, 149b)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부재(33)는, 전후 좌측 장착 구멍(148a, 148b)과 전후 우측 장착 구멍(149a, 149b)을 통하여 볼트(164; 도 10 참조)에 의해 좌측 근방의 종방향 리브(148)와 우측 근방의 종방향 리브에 장착된다.
4개의 장착 부재(3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64)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레그 장착부(37)에 장착된다. 엔진/발전기 유닛(12; 도 2 참조)은 장착 부재(33)를 매개로 좌우 근방의 종방향 리브(148, 149)에 의해 지지된다.
도 9는 골격 부재(11)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수직 프레임(26)은 바닥 커버(25)의 전방 근방의 측방향 리브(142)를 따라 배치된다. 수직 프레임(26)은 고강성의 수지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벽형상으로 형성되고, 폭 치수(W)는 바닥 커버(25)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수직 프레임(26)을 고강성 의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수직 프레임(26)을 보다 얇고 경량으로 할 수 있다.
좌우 단부(두 단부; 26c, 26d)는 수직 프레임(26)의 하단부(26b)에서 좌우 프레임 지지부(156, 157)와 접촉하고 있다. 좌측 단부(26c)의 장착 구멍(161)은 좌측 프레임 지지부(156)의 장착 구멍(156a)과 동축으로 위치 결정된다. 우측 단부(26d)의 장착 구멍(162)은 우측 프레임 지지부(157)의 장착 구멍(157a)과 동축으로 위치 결정된다.
수직 프레임(26)의 좌측 단부(26c)는 볼트(154)에 의해 좌측 프레임 지지부(156)에 장착된다. 수직 프레임(26)의 우측 단부(26d)는 볼트(154)에 의해 우측 프레임 지지부(157)에 장착된다. 수직 프레임(26)은 바닥 커버(25)의 전방 근방 측방향 리브(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방향으로 직립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 프레임(26)을 바닥 커버(25)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직 프레임(26)은 폭 치수가 W인 벽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 프레임(26)은 바닥 커버(25)에 측방향으로 장착되어, 수직 프레임(26)이 표면 방향(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중앙부(26a) 아래의 전방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덮개부(166; visor section)가 수직 프레임(26)에 형성되어 있고, 좌측 하부 위치에 개구(167)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부(26e)에는 노브 수용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전기 부품부(13)의 제어 패널(79), 인버터 유닛(78; 도 4 참조) 등이 덮개부(166)의 아래에서 수직 프레임(26)의 전방면에 장착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26)의 개구(167)는, 인버터 유닛(78)의 후방부를 수용하고, 도 4에 도시된 케이스(17)에 유도된 외기(냉각 공기)를 냉각 팬(도 4 참조)으로 유도하는 개구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전기 부품부(13)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반부의 제어 패널(79)과 하반부의 인버터 유닛(78)을 구비한다. 엔진 시동용의 스위치와, 발전된 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AC 단자, DC 단자 등이 전방 케이스부(46)의 개구(48)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제어 패널(79)에 설치되어 있다. 인버터 유닛(78)은 발전기(22)의 출력 주파수를 제어한다.
노브 수용부(168)는 도 4에 도시된 리코일 스타터(111)의 견인 노브(112)를 수용하는 오목부이다. 견인 노브(112)는 와이어(114; 도 4)에 연결되어 있다. 엔진(21)의 시동 시에는, 견인 노브(112)에 의해 와이어(114)를 당겨, 리코일 스타터(111)를 동작시킨다.
수직 프레임(26)의 상부 중앙부(26a)측에 좌우 내측 장착 구멍(171, 172)이 형성되어 있고, 좌내측 장착 구멍(171)의 외측에 좌외측 장착 구멍(173)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내측 장착 구멍(172)의 외측에 우외측 장착 구멍(174)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 프레임(26)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중앙 장착 구멍(175)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 프레임(27)의 전단부(27b)는 핸들 지지부(128)와 함께 좌우 내측 장착 구멍(171, 172), 좌우 외측 장착 구멍(173, 174) 및 중앙 장착 구멍(175)에 장착되어 있다.
핸들 지지부(128)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181)와, 베이스부(181)의 좌우 단부로부터 직립 설치되는 좌우 브래킷부(182, 183)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181)에는, 수직 프레임(26)의 좌우 내측 장착 구멍(171, 172)과 동축으로 좌우 내측 장착 구멍(185, 186)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 프레임(26)의 좌우 외측 장착 구멍(173, 174)과 동축으로 좌우 외측 장착 구멍(187, 188)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 브래킷부(182, 183)에는 좌우 지지 구멍(182a, 18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견인 핸들(125)의 지지축(131; 도 5 참조)은 좌우 지지 구멍(182a, 183a)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견인 핸들(125)은, 핸들 지지부(128)를 매개로 수직 프레임(26)의 상부 중앙부(26a)에 수직 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센터 프레임(27)은 알루미늄 재료로 형성된 백본 부재(backbone member; 척추 부재)이고, 수직 프레임(26)에 장착된 프레임 빔부(195)와, 프레임 빔부(195)의 말단부(195a)에 설치되고 바닥 커버(25)에 장착된 프레임 레그부(196)를 구비한다.
프레임 빔부(195)는 전단부(27b)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빔부(197)와, 전단부(27b)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빔부(198)와, 상부 빔부(197)와 하부 빔부(198) 사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의 크로스부(199)를 구비한다.
상부 및 하부 빔부(197, 198)는 각각 실질적으로 단면 U형으로 형성되고, 리브(197a, 198a)에 의해 보강된다. 크로스부(199)는 단면 U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 빔부(195)를 보다 경량으로 할 수 있고, 프레임 빔부(195)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프레임 레그부(196)는 실질적으로 단면 U형으로 형성되고, 리브(196a)에 의 해 보강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 레그부(196)를 보다 경량으로 할 수 있고, 프레임 레그부(196)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센터 프레임(27)은 알루미늄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프레임 빔부(195)와 프레임 레그부(196)는 단면 U 형상으로 형성되어, 센터 프레임(27)을 보다 경량으로 할 수 있고,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프레임 빔부(195)는 수직 프레임(26)의 상부 중앙부(26a)로부터 바닥 커버(25)의 후단 중앙부(25e)까지 바닥 커버(25)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다.
프레임 레그부(196)는 프레임 빔부(195)의 말단(195a)으로부터 후단 중앙부(25e)까지 하향 연장되고, 후단 중앙부(25e)에 장착된다.
센터 프레임(27)은 프레임 빔부(195)와 프레임 레그부(196)에 의해 L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27)은 프레임 빔부(195)와 프레임 레그부(196)에 의해 실질적으로 L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레그부(196)는 바닥 커버(25)의 후단 중앙부(25e)와 프레임 빔부(195)의 말단(195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 빔부(195)는 엔진/발전기 유닛(12; 도 6)의 위에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프레임 빔부(195)의 아래에, 엔진/발전기 유닛(12)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200)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센터 프레임(27)의 전단부(27b)는 전방 수평부(27c)와 전방 수직부(27d)에 의해 T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수평부(27c)에는, 수직 프레임(26)의 좌우 내측 장착 구멍(171, 172)에 동축으로 너트(도시 생략)가 인서트 성형되고, 수직 프레임(26)의 좌우 외측 장착 구멍(173, 174)에 동축으로 좌우 장착 구멍(201, 202)이 형성된다.
수직 프레임(26)의 중앙 장착 구멍(175)에 동축으로 전방 수직부(27d)에 너트(도시 생략)가 인서트 성형된다.
센터 프레임(27)의 전단부(27d)의 전방 수평부(27c)는 볼트(129, 129)에 의해 핸들 지지부(128)와 함께 수직 프레임(26)의 상부 중앙부(26a)에 체결된다. 볼트(129)를 사용하여 센터 프레임(27)의 전단부(27b)를 수직 프레임(26)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형성된 중앙 장착 구멍(175)에 장착한다.
센터 프레임(27)의 후단 하부(27e)는 바닥 커버(25)의 후단 중앙부(25e)에 장착되어 있다. 후단 중앙부(25e)의 한 쌍의 너트(158; 도 8 참조)에 대하여 동축으로 후단 하부(27e)에 한 쌍의 장착 구멍(206, 20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센터 프레임(27)의 후단 하부(27e)는 볼트(159, 159)에 의해 바닥 커버(25)의 후단 중앙부(25e)에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센터 프레임(27)은 수직 프레임(26)의 상부 중앙부(26a)와 바닥 커버(25; 도 7 참조)의 후단 중앙부(25e)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 프레임(26)과 센터 프레임(27)은 위에서 보았을 때(도 8 참조), T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센터 프레임(27)은, 수직 프레임(26)이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6)의 폭 치수(W)를 바닥 커버(25)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수직 프레임(26)이 표면 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바닥 커버(25), 수직 프레임(26) 및 센터 프레임(27)을 포함한 3개의 부재를 이용하여 고강성의 골격 부재(11)를 형성할 수 있다. 바닥 커버(25) 및 수직 프레임(26)을 고강성의 수지로 형성하여 두께를 얇게 하고, 센터 프레임(27)을 알루미늄 재료로 형성하여 고강도로 함으로써, 골격 부재(11)의 강성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고, 골격 부재(11)의 무게를 더욱 줄일 수 있다. 고강성의 골격 부재(11)로 케이스(17)를 지지함으로써 케이스(17)의 강성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7)를 강철 대신에,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다른 수지로 형성할 수 있어서, 케이스(17)의 무게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골격 부재(11)의 무게를 줄이고 케이스(17)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엔진 발전기(10)를 보다 경량으로 하면서도 엔진 발전기(10)에 충분한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핸들 지지부(128)를 고강성의 골격 부재(11)의 수직 프레임(26)에 장착함으로써, 핸들 지지부(128)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핸들 지지부(128)를 이용하여 견인 핸들(125)의 지지축(131; 도 5 참조)을 지지함으로써, 견인 핸들(125)을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케이스(17) 내의 수용 공간(2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6)을 바닥 커버(25)의 전방 근방의 측방향 리브(142)에 직립 배치함으로써, 수직 프레임(26)에 의해 유닛 수용 영역(51)과 전기 부품부 수용 영역(52)으로 구획된다. 수용 공간(20)은 바닥 커버(25)와 케이스(17)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유닛 수용 영역(51)은 수용 공간(20) 내의 공간이며, 엔진/발전기 유닛(12; 도 6 참조)을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전기 부품부 수용 영역(52)은 수 용 공간(20) 내의 공간이며, 전기 부품부(13; 도 4 참조)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수직 프레임(26)을 이용하여 수용 공간(20)을 유닛 수용 영역(51)과 전기 부품부 수용 영역(52)으로 구획함으로써, 전기 부품부(13)를 최적의 주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6)이 격벽으로서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닛 수용 영역(51)과 전기 부품부 수용 영역(52)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부품의 수를 줄이고, 구조의 무게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바닥 커버(25)의 축 측방향 리브(144)는 후방 측방향 리브(143)의 전방[즉, 후단부(25b) 근방]에 설치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보강부로서 위로 불룩하다. 축 측방향 리브(144)가 단면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 측방향 리브(144)에는, 바닥 커버(25)의 바닥면에 배치된 축(113)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152)가 마련된다.
축(113)은, 축(113)이 수용 오목부(152) 내에 수용된 상태로 좌우 지지 베어링[211, 212; 도 6에는 좌측 지지 베어링(211)이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지지된다. 좌우 지지 베어링(211, 212)은 복수의 볼트(204)에 의해 바닥 커버(25)의 바닥면에 장착된다. 좌우 휠[31, 32; 도 6에는 좌측 휠(31)이 도시되어 있음]은 각각 축(113)의 좌우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운반 구조(16)의 좌우 휠(31, 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1)의 실린더 블록(35) 아래에 휠 수용 공간(38)을 마련함으로써 휠 수용 공간(38)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좌우 휠(31, 32)은 상방(즉,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로써, 축(113)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장착 부재(3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113)의 높이(H2)는 장착 부재(33)의 높이(H3)보다 크게(높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휠 수용 공간(38) 내에 좌우 휠(31, 32)을 배치함으로써, 좌우 휠을 상방(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엔진 발전기(10)를 훨씬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센터 프레임(2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위이면서 측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중앙에서 유닛 수용 영역(51)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발전기 유닛(12)은 엔진(21)의 구동축(34)이 센터 프레임(27)에 수직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21)은 센터 프레임(27)의 좌측(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발전기(22)는 센터 프레임(27)의 우측(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 부재(18)가 센터 프레임(27)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절연 부재(18)는 유닛 수용 영역(51)을, 엔진(21)이 배치되는 측인 고온 영역(54)과 발전기(22)가 배치되는 측인 저온 영역(53)으로 구획한다.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엔진(21)과 발전기(22)의 경계부(24)의 전체 외주에 탄성 시일 부재(215; 도 5 참조)가 설치된다. 탄성 시일 부재(215)는 고온 영역(53)과 저온 영역(54)을 구획한다.
센터 프레임(27)에 절연 부재(18)를 설치함으로써, 유닛 수용 영역(51)을 절연 부재(18)에 의해 고온 영역(54)과 저온 영역(53)으로 구획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고온 영역(54)에 수용된 엔진(21)의 열이 저온 영역으로 전달되지 않고 차폐된다. 따라서 저온 영역(53)에 배치된 발전기(22)의 주변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센터 프레임(27)을 이용하여 절연 부재(18)를 지지함으로써, 절연 부재(18)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더욱 경량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발전기 유닛(12)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1)의 구동축(크랭크샤프트; 34)에 대하여 동축으로 설치되는 발전기(22) 및 냉각 팬(85)과, 바닥 커버(25)에 장착된 4개의 장착 부재(33)를 구비한다.
엔진/발전기 유닛(12)은, 냉각 팬(85)을 덮는 금속 팬 커버(391)와, 금속 팬 커버(391)에 설치되고 엔진(21)까지 연장되는 지지 수단(394)과, 지지 수단(394)과 함께 엔진(21)에 체결되는 수지제 커버 가이드(392)와, 커버 가이드(392)의 외주에 설치되는 탄성 시일 부재(215)를 구비한다.
금속 팬 커버(391)는 냉각 팬(85)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둘레벽(396)과, 둘레벽(396)의 내부 가장자리(396a)에 형성된 내부 개구(397; 도 3 참조)와, 둘레벽(396)의 외부 가장자리(396b)에 형성된 외벽(398)과, 외벽(398)에 형성된 외부 개구(399)를 구비한다. 금속 팬 커버(391)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금속 팬 커버(391)는, 볼트(401, 401)(전방 하단부의 볼트는 도시 생략)에 의해 후방 하단부(391a)와 전방 하단부(도시 생략)에 장착 부재(33, 33)가 장착되어 있다. 후방 하단부(391a)는 전방 하단부(도시 생략)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이다. 금속 팬 커버(391)는 후방 하단부(391a)에 장착된 장착 부재(33)와 전방 하단부에 장착된 장착 부재(33)를 통해 바닥 커버(25)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하단부(391a)에 장착된 장착 부재(33)는 볼트(402)에 의해 우측 보강 리브(149)의 후단부(149a)에 장착된다. 우측 보강 리브(149)는 바닥 커버(25)의 우측 단부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하단부에 장착된 장착 부재(33)는 볼트(402)에 의해 우측 근방의 종방향 리브(149)의 전단부(149b)에 장착된다. 나머지 두 장착 부재(33, 33)는 볼트(401, 401)에 의해 크랭크케이스(56)의 바닥부(56a)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나머지 두 장착 부재(33)는 바닥부(56a)의 전방 장착부(414; 도 18 참조)와 후방 장착부(415)에 장착된다.
후방 장착부(415)에 장착된 장착 부재(33)는 좌측 보강 리브(148; 도 18)의 후단부에 장착된다. 좌측 보강 리브(148)는 바닥 커버(25)의 좌측의 근방에 설치된다. 전방 장착부(414)에 장착된 장착 부재(33)는 볼트(402; 도 12 참조)에 의해 좌측 보강 리브(148)의 전단부에 장착된다.
금속 팬 커버(391)의 외벽(398)에 복수의 볼트(405)에 의해 리코일 스타터 커버(404)가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리코일 스타터(111)가 리코일 스타터 커버(404) 내에 장착된다.
지지 수단(394)은 금속 팬 커버(391)를 엔진(21)에 장착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지지 레그부(406 내지 408)를 구비한다. 제1 지지 레그부(406)의 선단(406a)이 금속 팬 커버(391)의 내부 가장자리(396a)의 상부 위치(396c)에 설치되고, 말단(406b)이 엔진(21)[크랭크케이스(56)]의 상부 장착부(411)에 볼트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레그부(406)의 말단(406b)은, 커버 가이드(392)의 상부 중앙부(417a)와 함께 볼트(412)에 의해 크랭크케이스(56)의 상부 장착부(411)에 체결된 다.
제2 지지 레그부(407)의 선단(407a)은 금속 팬 커버(391)의 내부 가장자리(396a)의 후방 하부 위치(396d)에 설치되고, 말단(407b)은 엔진(21)[크랭크케이스(56)]의 바닥부(56a)의 후방 장착부(413)에 볼트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 레그부(407)의 말단(407b)은, 커버 가이드(392)의 상부 중앙부(417a)와 함께 볼트(412)에 의해 크랭크케이스(56)의 후방 장착부(413)에 체결된다.
제3 지지 레그부(408)는 제2 지지 레그부(407)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이며, 선단이 금속 팬 커버(391)의 내부 가장자리(396a)의 전방 하부 위치에 설치되고, 말단(408b)이 엔진(21)[크랭크케이스(56)]의 바닥부(56a)의 전방 장착부(도시 생략)에 볼트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제3 지지 레그부(408)의 말단(408b)은 커버 가이드(392)의 전방 하부(417c)와 함께 볼트(412)에 의해 크랭크케이스(56)의 전방 하부에 체결된다.
크랭크케이스(56)의 전방 장착부는 크랭크케이스(56)의 후방 장착부(413)와 좌우 방향으로 대칭이다.
수지제 커버 가이드(392)의 둘레벽(416)이 발전기(22)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외부로 돌출하는 연장부(417)가 둘레벽(416)의 내부 가장자리(416a)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 시일 부재(215)가 장착되는 시일 장착부(418)가 연장부(417)에 설치된다.
금속 팬 커버(391)[둘레벽(396)]의 내부 가장자리(396a)에 합치될 수 있도록 둘레벽(416)의 외부 가장자리(416b)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417)는 내부 가장자리(416a)의 전방부, 후방부 및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위치에 있다.
시일 장착부(418)는 내부 가장자리(416a)의 하부 뿐만 아니라 연장부(417)의 외부 가장자리에도 설치되어 있다. 탄성 시일 부재(215)가 시일 장착부(418; 도 3 참조)에 장착된다.
연장부(417)의 상부 중앙부(417a)는 볼트(412)에 의해 제1 지지 레그부(406)의 말단(406b)과 함께 체결된다. 연장부(417)의 후방 하부(417b)는 볼트(412)에 의해 제2 지지 레그부(407)의 말단(407b)과 함께 체결된다. 연장부(417)의 전방 하부(417c)는 볼트(412)에 의해 제3 지지 레그부(408)의 말단(408b)과 함께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 가이드(392)는 금속 팬 커버(391)와 엔진(21)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둘레벽(416)의 외부 가장자리(416b)는 금속 팬 커버(391)[둘레벽(396)]의 내부 가장자리(396a)에 맞대어진 상태로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팬(85)에서 보내진 냉각 공기를,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커버(391) 및 커버 가이드(392)에 의해 엔진(21)으로 안내할 수 있다.
냉각 팬(85)은 금속 팬 커버(391)에 의해 둘러싸이고, 엔진(21)까지 연장되는 제1 내지 제3 지지 레그부(406 내지 408)가 금속 팬 커버(391)에 설치된다. 제1 내지 제3 지지 레그부(406 내지 408)와 수지제 커버 가이드(392)가 함께 엔진(21)에 체결되고, 금속 팬 커버(391)는 복수의 장착 부재(33)에 의해 바닥 커버(25)에 지지된다. 따라서 수지제 커버 가이드(392)에 의한 지지 없이 제1 내지 제3 지지 레그부(406 내지 408)와 금속 팬 커버(391)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수지제 커버 가이드(392)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무게를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버 가이드(392)를 수지로 형성할 수 있고, 강성을 충분하게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지제 커버 가이드(392)를 금속 팬 커버(391)와 엔진(21)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엔진 발전기(10)를 보다 경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지제 커버 가이드(392)는 금속 팬 커버(391)와 엔진(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팬(85)에서 보내진 냉각 공기는, 금속 팬 커버(391)와 커버 가이드(392)에 의해 엔진(21)으로 충분하게 유도된다. 이와 같이 유도된 냉각 공기에 의해 엔진(21)이 냉각된다.
탄성 시일 부재(215)는,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오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 시일 부재(215)의 결합부(215a; stop)가 내주에 마련되고, 립(lip)(설형부; 215b)이 외주에 마련된다(도 15 및 도 16). 탄성 시일 부재(215)의 결합부(215a)는 시일 장착부(418a)에 장착된다. 따라서 탄성 시일 부재(215)가 커버 가이드(392)의 외주에 설치된다.
탄성 시일 부재(215)는, 립(215b)이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바닥 커버(25), 수직 프레임(26) 및 센터 프레임(27)의 내주(30)와 접촉하고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따라서 탄성 시일 부재(215)에 의해, 커버 가이드(392)로부터 엔진(21)으로 유도된 냉각 공기가 엔진(21)으로부터 커버 가이드(392)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냉각 팬(85)에서 보내진 냉각 공기를 엔진(21)으로 효율적 으로 유도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유도된 냉각 공기에 의해 엔진(21)을 냉각할 수 있다.
탄성 시일 부재(21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5a)의 후단부(215d)에 하네스 클램프(409)가 설치되어 있다. 하네스 클램프(409)는 후단부(215d)로부터 고온 영역(54)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장력 코드(플러그 코드; 410)가 하네스 클램프(409)와 결합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력 코드(410)의 상단에는 점화 플러그(스파크 플러그; 419)가 연결되어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력 코드(410)의 하단에는 점화 코일(스파크 코일; 420)이 연결되어 있다. 하네스 클램프(409)와 탄성 시일 부재(215)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재의 수를 줄일 수 있다.
탄성 시일 부재(2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프레임(27)과 엔진/발전기 유닛(12)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엔진(21)을 수용하는 고온 영역(영역; 54)과 발전기(22)를 수용하는 저온 영역(영역; 53)을 구획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는, 상부 진동 억제부(421)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절연 부재(18)의 지지 패널(18a)만이 도시되어 있고, 절연 부재 본체(18b; 도 15)는 생략하고 있다.
진동 억제 수단(28)은 엔진/발전기 유닛(12) 위에 배치된 상부 진동 억제부(421)와, 엔진/발전기 유닛(12) 아래에 배치된 하부 진동 억제부(422; 도 11 참조)를 구비한다.
상부 진동 억제부(421)를 먼저 설명한다.
상부 진동 억제부(421)는 탄성 시일 부재(215)와 일체로 형성된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센터 범프 스토퍼; 424)와,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와 접촉할 수 있는 상부 센터 범프 시트부(범프 시트부; 425)와, 센터 프레임(27)에 설치된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를 구비한다.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는 탄성 시일 부재(215)의 결합부(215a)의 상부 중앙부(215c)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부(215c)로부터 고온 영역(54)측으로 돌출한다.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부위이며, 말단(424a)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와 탄성 시일 부재(215)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재 수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를 조립하는 단계를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 시일 부재(215)는 센터 프레임(27)과 엔진/발전기 유닛(12; 도 3 참조) 사이에 설치된다. 센터 프레임(27)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중앙부(24)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와 탄성 시일 부재(215)의 상부 중앙부(215c)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중앙부(24)의 위에 배치된다.
엔진(21)의 무게 중심(G)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 결정된다. 엔진/발전기 유닛(12)은 무게 중심(G)을 중심으로 진동한다. 따라서 무게 중심(G)에 근접함에 따라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의 진동량이 낮은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로써, 상부 센터 범 프 스토퍼(424)가 진동에 의해 받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콤팩트한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로 진동을 줄일 수 있고, 엔진 구동 발전기(10)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판을 절곡 성형함으로써 상부 센터 범프 시트부(425)가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상부 센터 범프 시트부(425)는, 체결 부재(예컨대 리벳; 428)에 의해 상반부(425a)가 센터 프레임(27)의 하부 중앙부(30a)에 장착되고, 중앙부(425b)가 상반부(425a)의 하부로부터 고온 영역(54)측으로 절곡되고, 하반부(425c)가 중앙부(425b; 도 14)의 하부로부터 하향 절곡되며, 외주를 따라 보강 리브(427)가 형성되어 있다(도 14 참조).
상부 센터 범프 시트부(425)의 상반부(425a)는 절연 부재(18)의 지지 패널(18a)과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지지 패널(18a)의 하부 중앙(18c)을 고온 영역(54; 도 13 및 도 14 참조)측으로 돌출시키고, 상반부(425a)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431)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부 센터 범프 시트부(425)의 상반부(425a)가 오목부(431)에 수용되어, 상반부(425a)가 절연 부재(18)의 지지 패널(18a)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하반부(425c)는,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의 말단(424a)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말단(424a)에 대하여 예정된 간격(L1)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예정된 간격(L1)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이 진동할 때에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가 상부 센터 범프 시트부(425)의 하반부(425c)와 접촉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예정된 간격(L1)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에 기인하여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가 하반부(425c)와 접촉할 수 있게 하도록 설정된다. 상부 센터 범프 시트부(425)의 중앙부(425b)의 굴곡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예정된 간격(L1)을 조정할 수 있다.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는 상부 센터 범프 시트부(425)의 후방 위치[센터 프레임(27)의 하부 중앙부(30a)]로부터 고온 영역(54)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 본체(426a)와, 스토퍼 본체(426a)의 선단에 설치된 클립(426b)을 구비한다.
스토퍼 본체(426a)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고무 재료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단면 원형으로 형성된 돌출부이고, 평탄한 말단(426c)을 갖는다.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의 스토퍼 본체(426a)는 절연 부재(18)의 지지 패널(18a)과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지지 패널(18a)의 하측 중앙(18d; 도 13 참조)을 상방으로 돌출시키고, 스토퍼 본체(426a)와 마주하는 위치에 오목부(43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 본체(426a)가 오목부(432)에 수용되어, 스토퍼 본체(426a)가 절연 부재(18)의 지지 패널(18a)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의 클립(426b)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를 센터 프레임(27)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 부재이다. 클립(426b)을 결합 구멍(30b; interlocking hole) 내로 삽입하여 클립(426b)의 결합 멈춤쇠(426d)를 결합 구멍(30b)의 둘레와 결합하게 함으로써,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가 센터 프레임(27)의 하부 중앙부(30a)에 장착된다. 따라서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중앙부(24) 위에 배치된다(도 13 및 도 14 참조).
스토퍼 본체(426a)는 머플러(23)의 내벽(23a)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내벽(23a)에 대하여 예정된 간격(L2)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예정된 간격(L2)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이 진동할 때에, 머플러(23)의 내벽(23a)이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스토퍼 본체(426a)의 말단(426c)]와 접촉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예정된 간격(L2)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에 기인하여 머플러(23)의 내벽(23a)이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의 말단(426c)과 접촉할 수 있게 하도록 설정된다.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중앙부(24) 위에 배치되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무게 중심(G; 도 2 및 도 3 참조)에 근접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 도 15)와 마찬가지로,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의 진동량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진동에 의해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콤팩트한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로 진동을 줄일 수 있고, 엔진 구동 발전기(10)를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고로 하여 하부 진동 억제부(422)를 설명한다.
하부 진동 억제부(422)는, 바닥 커버(25)의 우측 근방 종방향 리브(149)에 설치된 하부 센터 범프 스토퍼(하부 범프 스토퍼; 435)와, 하부 센터 범프 스토퍼(435)가 접촉할 수 있는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 도 17 참조)[엔진/발전기 유닛(12)의 바닥부]와, 바닥 커버(25)의 좌측 보강 리브(148)에 설치된 하부 전방 범프 스토퍼(하부 범프 스토퍼; 437)와, 하부 후방 범프 스토퍼(하부 범프 스토퍼; 438)를 구비한다.
우측 근방 종방향 리브(149)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하부 센터 범프 스토퍼(435)의 스토퍼 지지부(441)가 형성되고, 스토퍼 지지부(441)에 스토퍼 본체(442)가 설치된다. 스토퍼 본체(442)는 스토퍼 지지부(441)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돌출부이고,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고무 재료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단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토퍼 본체(442)는 평평한 상단부(442a)를 구비한다.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팬 커버(391)의 외벽(398)의 하부(398a)에 형성된다.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는 예정된 간격으로 있는 전후 벽부(436a, 436b)와, 전후 벽부(436a, 436b)의 하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닥부(436c)를 구비한다.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는 전후 벽부(436a, 436b)와 바닥부(436c)에 의해 실질적으로 U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의 바닥부(436c)는 하부 센터 범프 스토퍼(435)의 상단(442a)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단(442a)에 대하여 예정된 간격(L3)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예정된 간격(L3)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이 진동할 때에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의 바닥부(436c)가 하부 센터 범프 스토퍼(435)와 접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정된 간격(L3)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에 기인하여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의 바닥부(436c)가 하부 센터 범프 스토퍼(435)와 접촉할 수 있게 하도록 설정된다.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의 바닥부(436c)는 금속 팬 커버(391)의 외벽(398)에 설치된다. 금속 팬 커버(391)의 외벽(398)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우측부에 설치되고,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무게 중심(G; 도 2 및 도 3 참조)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의 바닥부(436c)의 진동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은 상부 진동 억제부(421)에 의해 최소화된다. 따라서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의 바닥부(436c)의 진동량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하부 센터 범프 스토퍼(435)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의 바닥부(436c)의 진동을 충분히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보강 리브(148)의 전단 근방에 하부 전방 범프 스토퍼(437)의 전방 스토퍼 지지부(444)가 배치되어 있다. 전방 스토퍼 지지부(444)에 전방 스토퍼 본체(445)가 설치된다. 전방 스토퍼 본체(445)는 전방 스토퍼 지지부(444)로부터 위로 돌출하고, 상단(445a)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전방 스토퍼 본체(445)는 예컨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고무 재료로, 볼록한 가이드부(225)와 일체로 형성된다. 볼록한 가이드부(225)는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냉각 팬(85)에서 보낸 냉각 공기를 유도한다(도 11 참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공기를 화살표 B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함으로써, 냉각 공기는 바닥 커버(25)를 따라 실린더 블록(35)까지 유도된다.
전방 스토퍼 본체(445)는 볼트(401)의 헤드부[12;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바닥부]에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볼트(401)는 장착 부재(33)를 크랭크케이 스(56)의 바닥부(56a)의 전방 장착부(414)에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전방 스토퍼 본체(445)의 상단(445a)은 볼트(401)의 헤드부(401a)로부터 예정된 간격(L4)을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예정된 간격(L4)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이 진동할 때에, 볼트(401)의 헤드부(401a)가 하부 전방 범프 스토퍼(437)와 접촉하게 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예정된 간격(L4)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에 기인하여, 볼트(401)의 헤드부(401a)가 하부 전방 범프 스토퍼(437)와 접촉할 수 있게 하도록 설정된다.
전방 장착부(414)에 장착된 볼트(401)의 헤드부(401a)는 크랭크케이스(56)[바닥부(56a)]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케이스(56)[바닥부(56a)]의 외부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좌측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무게 중심(G; 도 2 및 도 3 참조)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배치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방 장착부(414)에 장착되는 볼트(401)[헤드부(401a)]의 진동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은 상부 진동 억제부(421)에 의해 최소화된다. 따라서 볼트(401)[헤드부(401a)]의 진동량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하부 전방 범프 스토퍼(437)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볼트(401)[헤드부(401a)]의 진동을 충분하게 최소화할 수 있다.
하부 후방 범프 스토퍼(438)는 하부 전방 범프 스토퍼(437)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대칭이다. 달리 말하면, 하부 후방 범프 스토퍼(438)는 좌측 보강 리 브(148)의 후단 근방에 설치된 후방 스토퍼 지지부(446)와, 후방 스토퍼 지지부(446)에 설치된 후방 스토퍼 본체(447)를 구비한다.
후방 스토퍼 본체(447)는 후방 스토퍼 지지부(446)로부터 위로 돌출하고, 상단부(447a)가 평평하게 형성된다. 후방 스토퍼 본체(447)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고무 부재로, 볼록한 가이드부(225)와 일체로 형성된다.
후방 스토퍼 본체(447)는 볼트(401)의 헤드부[401a;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바닥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볼트(401)는 장착 부재(33)를 크랭크케이스(56)의 바닥부(56a)의 후방 장착부(415)에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후방 스토퍼 본체(447)의 상단부(447a)는 볼트(401)의 헤드부(401a)에 대하여 예정된 간격(L4)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예정된 간격(L4)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이 진동할 때에 볼트(401)의 헤드부(401a)가 하부 후방 범프 스토퍼(438)와 접촉할 수 있게 하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예정된 간격(L4)은,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에 기인하여, 볼트(401)의 헤드부(401a)가 하부 후방 범프 스토퍼(438)와 접촉할 수 있게 하도록 설정된다.
후방 장착부(415)에 장착된 볼트(401)의 헤드부(401a)는 크랭크케이스(56)[바닥부(56a)]의 외부에 설치된다. 크랭크케이스(56)[바닥부(56a)]의 외부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좌측부에 배치되므로,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무게 중심(G; 도 2 및 도 3 참조)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후방 장착부(415)에 장착된 볼트(401)[헤드부(401a)]의 진동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진동 억제부(421)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볼트(401)[헤드부(401a)]의 진동량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하부 후방 범프 스토퍼(438)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볼트(401)[헤드부(401a)]의 진동을 충분히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동 억제 수단(28)을 이용하여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을 최소화하는 예를 도 19 및 도 20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9a에 있어서, 무게 중심(G; 도 2 및 도 3 참조)을 중심으로 하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에 기인하여,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가 무게 중심(G)을 중심으로 진동한다.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는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에 기인하여 화살표의 방향(수평 방향)으로 진동한다. 따라서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는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화살표 방향의 성분)에 기인하여 상부 센터 범프 시트부(425)의 하반부(425c)와 접촉한다. 이로써,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이 최소화되고,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이 최소화된다.
도 19b에 있어서, 무게 중심(G; 도 2 및 도 3 참조)을 중심으로 하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에 기인하여, 머플러(23)는 무게 중심(G)을 중심으로 진동한다. 머플러(23)는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에 기인하여 화살표의 방향(수평 방향)으로 진동한다. 따라서 머플러(23)의 내벽(23a)은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화살표 방향의 성분)에 기인하여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의 말단(426c)과 접촉한다. 이로써,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이 최소화되고,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이 최소화된다.
도 20a에 있어서,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는 무게 중심(G; 도 2 및 도 3 참조)을 중심으로 하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에 기인하여, 금속 팬 커버(391)와 함께 무게 중심(G)을 중심으로 진동한다.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는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에 기인하여 화살표의 방향(수직 방향)으로 금속 팬 커버(391)와 함께 진동한다. 따라서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의 바닥부(436c)는,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화살표 방향의 성분)에 기인하여 하부 센터 범프 스토퍼(435)의 상단(442a)과 접촉한다. 이로써,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이 최소화되고,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이 최소화된다.
도 20b에 있어서, 크랭크케이스(56)의 바닥부(56a)는, 무게 중심(G; 도 2 및 도 3 참조)을 중심으로 하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에 기인하여, 무게 중심(G)을 중심으로 진동한다. 볼트(401)의 헤드부(401a)는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에 기인하여 화살표의 방향(수직 방향)으로 바닥부(56a)의 전방 장착부(414)와 함께 진동한다. 따라서 볼트(401)의 헤드부(401a)는,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화살표 방향의 성분)에 기인하여 하부 전방 범프 스토퍼(437)의 상단(445a)과 접촉한다. 이로써,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이 최소화되고,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이 최소화된다.
도 18에 도시된 하부 후방 범프 스토퍼(438)는 하부 전방 범프 스토퍼(437)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이며, 하부 전방 범프 스토퍼(437)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탄성 시일 부재(2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215b)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바닥 커버(25), 수직 프레임(26) 및 센터 프레임(27)의 내주(30)와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탄성 시일 부재(215)의 상부 및 하부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수직 방향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전후 방향의 진동을 탄성 시일 부재(215)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탄성 시일 부재(215)는 방진재로서도 작용한다.
전술한 예는, 좌우 휠(31, 32)이 바닥 커버(25)의 후단부(25b)에 설치되어 있고, 레그부(29)가 바닥 커버(25)의 전단부(25a)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단부(25a)에, 레그부(29) 대신에 휠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예는, 탄성 시일 부재(215)를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로 형성한 것이지만, 탄성 시일 부재(215)의 재료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에서 나타내고 있는 골격 부재(11), 케이스(17), 절연 부재(18), 머플러(23), 바닥 커버(25), 수직 프레임(26), 센터 프레임(27), 장착 부재(33), 프레임 빔부(195), 프레임 레그부(196), 탄성 시일 부재(215), 상부 센터 범프 스토퍼(424), 상부 센터 범프 시트부(425),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 하부 센터 범프 스토퍼(435), 하부 센터 범프 시트부(436), 하부 전방 범프 스토퍼(437), 하부 후방 범프 스토퍼(438) 등은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발전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엔진 발전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케이스를 발전기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도 1의 엔진 발전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도 1의 엔진 발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엔진 발전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골격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바닥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골격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골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바닥 커버와 축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바닥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엔진/발전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엔진/발전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엔진/발전기 유닛의 진동 억제 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진동 억제 수단의 확대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선 16-16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엔진/발전기 유닛의 하부 센터 범프 스토퍼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 유닛의 하부 전방 범프 스토퍼와 하부 후방 범프 스토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9a 및 도 19b는 상부 진동 억제부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의 진동을 최소화하는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바닥 진동 억제부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의 진동을 최소화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Claims (7)

  1. 엔진(21)과 엔진(21)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22)가 일체의 유닛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엔진/발전기 유닛(12);
    상기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기 부품부(13);
    상기 전기 부품부(13)와 엔진/발전기 유닛(12)을 수용하는 케이스(17);
    상기 엔진/발전기 유닛(12)을 지지하는 바닥 커버(25);
    상기 엔진 발전기(10)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바닥 커버(25)의 일단 근방으로부터 서 있는 벽형상의 수직 프레임(26);
    상기 수직 프레임(26)의 상부 중앙부(26a)와 바닥 커버(25)의 타단의 중앙부(25e) 사이에서 연장되고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위에 배치된 센터 프레임(27)
    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커버(25), 수직 프레임(26) 및 센터 프레임(27)에 의해 골격 부재(11)가 구성되는 엔진 발전기로서,
    상기 수직 프레임(26)과 센터 프레임(27)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 T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센터 프레임(27)은,
    상기 수직 프레임(26)의 상부 중앙부(26a)로부터 바닥 커버(25)의 타단 중앙부(25e)까지 바닥 커버(25)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빔부(195);
    상기 프레임 빔부(195)의 말단(195a)으로부터 바닥 커버(25)의 타단 중앙부(25e)까지 하향 연장되는 프레임 레그부(196)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빔부(195)와 프레임 레그부(196)는 L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발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26)은 케이스(17) 내측의 수용 공간(20)을, 엔진/발전기 유닛(12)이 배치되는 유닛 수용 영역(51)과, 전기 부품부(13)가 배치되는 전기 부품부 수용 영역(52)으로 구획하는 것인 엔진 발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21)은 센터 프레임(27)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구동축(34)을 구비하고, 센터 프레임(27)의 일측에 엔진(21)이 배치되고, 센터 프레임(27)의 타측에 발전기(22)가 배치되며, 상기 센터 프레임(27)은 유닛 수용 영역(51)을, 엔진(21)을 배치하기 위한 고온 영역(54)과 발전기(22)를 배치하기 위한 저온 영역(53)으로 구획하는 단열 부재(18)를 포함하는 것인 엔진 발전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27)과 엔진/발전기 유닛(12)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21)을 수용하는 영역(54)과 발전기(22)를 수용하는 영역(53)을 구획하는 탄성 시일 부재(215);
    상기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탄성 시일 부재(215)와 일체로 형성된 센터 범프 스토퍼(424);
    상기 센터 범프 스토퍼(424)와 접촉하도록 센터 프레임(27)에 배치되는 범프 시트부(42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터 범프 스토퍼(424)와 범프 시트부(425)의 접촉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이 최소화되는 것인 엔진 발전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프레임(27)은 엔진(21) 위에 배치된 머플러(23)와 접촉할 수 있는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를 포함하고, 머플러(23)와 머플러 범프 스토퍼(426)의 접촉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의 수평 방향 성분이 최소화되는 것인 엔진 발전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커버(25)는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바닥부(436c)와 접촉하는 하부 범프 스토퍼(435)를 포함하고, 엔진/발전기 유닛(12)의 바닥부(436c)와 하부 범프 스토퍼(435)의 접촉에 의해 엔진/발전기 유닛(12)의 진동의 수직 방향 성분이 최소화되는 것인 엔진 발전기.
  7. 삭제
KR1020090057086A 2008-06-27 2009-06-25 엔진 발전기 KR101118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68899A JP2010007594A (ja) 2008-06-27 2008-06-27 エンジン駆動発電機
JPJP-P-2008-168853 2008-06-27
JPJP-P-2008-168899 2008-06-27
JP2008168853A JP4918528B2 (ja) 2008-06-27 2008-06-27 エンジン駆動発電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203A KR20100002203A (ko) 2010-01-06
KR101118896B1 true KR101118896B1 (ko) 2012-03-20

Family

ID=4106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086A KR101118896B1 (ko) 2008-06-27 2009-06-25 엔진 발전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78985B2 (ko)
EP (1) EP2138685B8 (ko)
KR (1) KR101118896B1 (ko)
AT (1) ATE537344T1 (ko)
AU (1) AU2009202425B8 (ko)
BR (1) BRPI0901991B1 (ko)
CA (1) CA2668522C (ko)
RU (1) RU242265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4155B2 (ja) * 2007-04-02 2012-07-11 ヤマハモーターパワープロダクツ株式会社 遮音型エンジン発電機
JP5597571B2 (ja) * 2011-02-15 2014-10-01 ヤンマー株式会社 パッケージ収納型エンジン作業機
CN102383926B (zh) * 2011-10-23 2013-02-06 浙江乐恒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发动机驱动的箱式发电机
US8960708B2 (en) * 2012-11-30 2015-02-24 Kohler Co. Enclosure guide system for a towable generator
EP2762702A1 (en) * 2013-02-02 2014-08-06 Kohler Co. Portable generators
US10186931B2 (en) * 2015-02-06 2019-01-22 Champion Engine Technology, LLC Electrical generator heat management system
JP6653196B2 (ja) * 2016-03-10 2020-02-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付き作業機
CN111542691A (zh) * 2017-12-19 2020-08-1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发动机发电机
US11143099B2 (en) * 2018-06-15 2021-10-12 Champion Power Equipment, Inc. Backplate for engine-alternator coupling in standby generator
RU2730710C1 (ru) * 2020-02-21 2020-08-25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Уральск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АО «УКБТМ») Вспомогательн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392A (ja) * 1984-10-09 1986-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携帯用エンジン作業機のフレ−ム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48604A (fr) 1962-11-29 1964-01-10 Groupe électrogène portable
DE1613745A1 (de) * 1967-02-24 1971-05-13 Hanning Elektro Werke Transportables Stromversorgungsaggregat
JPH0128270Y2 (ko) * 1984-10-09 1989-08-29
US4647835A (en) * 1984-12-19 1987-03-03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Portable generator
US4827147A (en) * 1986-11-12 1989-05-0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ngine-powered portable working apparatus
US5014660A (en) * 1990-10-29 1991-05-14 Westerbeke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an enclosed heat source
US5125378A (en) * 1990-10-29 1992-06-30 Westerbeke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an enclosed heat source
JP3815703B2 (ja) * 1997-07-24 2006-08-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JP3954700B2 (ja) * 1997-09-09 2007-08-08 澤藤電機株式会社 発動発電機
US5899174A (en) * 1998-02-06 1999-05-04 Anderson; Wayne A. Enclosed engine generator set
JP4052823B2 (ja) 2001-09-25 2008-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JP4327558B2 (ja) 2003-10-30 2009-09-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JP4897399B2 (ja) * 2006-08-28 2012-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作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392A (ja) * 1984-10-09 1986-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携帯用エンジン作業機のフレ−ム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8685A1 (en) 2009-12-30
AU2009202425A8 (en) 2011-09-15
CA2668522C (en) 2017-07-04
KR20100002203A (ko) 2010-01-06
US8178985B2 (en) 2012-05-15
BRPI0901991A2 (pt) 2010-04-13
AU2009202425B8 (en) 2011-09-15
AU2009202425A1 (en) 2010-01-14
BRPI0901991B1 (pt) 2019-07-02
CA2668522A1 (en) 2009-12-27
AU2009202425B2 (en) 2011-05-19
RU2422653C2 (ru) 2011-06-27
EP2138685B1 (en) 2011-12-14
RU2009124120A (ru) 2010-12-27
EP2138685B8 (en) 2012-03-14
ATE537344T1 (de) 2011-12-15
US20090322097A1 (en)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896B1 (ko) 엔진 발전기
CA2668536C (en) Engine-driven power generator apparatus
US20090320773A1 (en) Engine generator
CN101614149B (zh) 发动机驱动式发电机装置
US10224783B2 (e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KR101041922B1 (ko) 엔진 발전기
US10001055B2 (e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housed in outer case with vibration isolating support
US10280837B2 (e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CN101614156B (zh) 发动机驱动型发电机
JP4977657B2 (ja) エンジン駆動発電機
JP2010007598A (ja) エンジン駆動発電機
JP2010007594A (ja) エンジン駆動発電機
JP5023002B2 (ja) エンジン駆動発電機
RU2446293C2 (ru) Электрогенераторный агрегат с приводом от двигате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