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895B1 - 패턴화 시트 제품 - Google Patents

패턴화 시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895B1
KR101114895B1 KR1020057020784A KR20057020784A KR101114895B1 KR 101114895 B1 KR101114895 B1 KR 101114895B1 KR 1020057020784 A KR1020057020784 A KR 1020057020784A KR 20057020784 A KR20057020784 A KR 20057020784A KR 101114895 B1 KR101114895 B1 KR 10111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orous
precursor substrate
absorbent nonwoven
rai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922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뤼에
임페 크리스텔 판
맛티아스 하우저
피트로 로자토
Original Assignee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34205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1489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38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04H1/49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for formation of patterns, e.g. drilling or rearrangem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3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fluid current, e.g. air-la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orientated, e.g. in parallel (anisotropic flee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 D04H3/1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95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and varying den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95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and varying density
    • Y10T428/24603Fiber contain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또는 흡수성 재료, 특히 부직포 재료, 예를 들면, 와이프의, 세정용 및 기타 적용을 위한 패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는 추가로, 조성물이 적용되어 있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이러한 제품의 제조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패턴 시트, 부직포, 와이프, 3차원 패턴, 엠보싱, 기재, 구성 부재, 수교락법.

Description

패턴화 시트 제품{Patterned sheet products}
본 발명은 다공성 또는 흡수성 재료, 특히 부직포 재료, 예를 들면, 와이프(wipe)와 같은, 세정용 및 기타 적용을 위한 패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조성물이 도포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제품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와이프 제품은 성인 및 아기에 대한 광범위한 적용이 밝혀진 중요한 제품 범주가 되었다. 예로는 얼굴 또는 신체 세정 와이프, 피부 치료용 와이프 및 피부 조절 와이프를 포함한다. 지난 20년 넘게 소위 습윤 와이프는 이러한 적용에 특히 적합한 제품으로서 성공을 거두어 왔다. 이러한 제품은 일반적으로 부직포로부터 제조된 시트를 적합한 로션으로 함침시켜 제조한다.
와이프 분야에서 최근의 기술 혁신은 직물, 함침액 뿐만 아니라 제품 표시에 있어서 개선을 포함한다.
초기에, 습윤 와이프 제품은 제지 기술을 근거로 하는 전통적인 부직포 재료(펄프 기본 제품)로부터 제조하였다. 이러한 제품은 쉽게 허용되지만, 직물 재료의 유연성이 부족하였다. '스펀레이스(spunlace)' 부직 기술의 도입으로 전통적인 종이제품과 비교하여, 유연성 및 강도의 측면에서 우수한 제품이 제공되었다. 이는 주로 (i) 스펀레이스 공정에서 유연한 장섬유(가장 빈번하게는 레이온 및 PET/PP 또는 이들 섬유의 혼방물)를 사용하고 (ii) 스펀레이스 공정 동안에 결합제를 직물에 첨가한 덕분이다.
이러한 개발과는 별도로, 와이프 제품은 주로 미적인 이유로 엠보싱되거나 천공되었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705932 A호에는 평탄한 배경 부분 및 배경 부분의 평면 밖으로 돌출된 3차원 패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상승 부분을 갖는 부직포가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승 부분(들)의 기본 중량은 배경 부분의 중량보다 크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1032366 A호에는 3차원 패턴을 갖는 수교락(hydro-entanglement)된 섬유로부터의 기재(여기서, 상승된 섬유 영역의 밀도는 기본 표면의 밀도와 동일하다), 및 수성 세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개인 세정 와이프가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공보 제4,718,152호에는 섬유상 웹이 수 투과성 지지 부재로 유도되고 35㎏/㎠ 이하의 제트 압력에서 섬유상 웹의 폭을 가로질러 떨어진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노즐로부터 공급된 다수의 미세한 수 제트 스트림에 적용되고, 이로써 상기 웹의 개별적 섬유를 교락시키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공보 제4,718,152호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부직포는 릴리프 패턴에 의해 개선된 벌크성을 갖고 표면 광택을 없애어 면직물인 것과 같이 보이고, 즉 수득된 제품의 푹신하고, 유연하고, 따뜻한 촉감이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미국 특허공보 제4,529,480호는 강하고, 유연한, 흡수성 종이 웹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종이 웹은 두개의 영역을 갖고, 하나는 망상 또는 개방된 격자 영역이고, 다른 것은 다수의 돔(dome)을 포함한다. 망상 영역이 비교적 낮은 기본 중량 및 비교적 높은 밀도를 갖는 반면, 돔은 비교적 높은 기본 중량 및 비교적 낮은 밀도를 갖는다.
미국 특허공보 제4,127,637호에는 통상적인 텍스타일 직물에 대한 대체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부직포 섬유 시트의 형성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건식 형성된, 접착제로 결합된 부직포 웹의 크레이프 가공은 다수의 상이한 직물을 제공할 수 있는 유연한 시트를 제조하는 방식으로 조절한다. 여기서, 엠보싱 단계는 크레이프 가공 단계 전에 수행한다.
상기 이외에, 와이프의 기본 세정 특성 이외에 피부보호 이점을 제공하는 로션이 개발되었다. 한 가지 접근법은 간단한 수성 세정 제형과 비교하여, 유용한 특성(예: 우수한 부드러움, 보습, 보호 및 피부 매끄러움)을 제공하는 수중유 에멀션을 기본으로 하는 로션의 도입이다. 다른 접근법은 활성 피부보호 성분(예: 카모마일)을 수성 제형에 도입하고, 이에 의해 유용한 특성(예: 진정)을 제공함을 포함한다. 현재의 습윤 와이프 제품은 여전히, 이들이 수성 로션 또는 수중유 에멀션으로 함침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접근법을 근거로 한다.
이는 특히 개인 세정용 와이프, 특히 아기 및 유아용 와이프에 필요하다. 후자의 경우, 습윤 와이프는 기저귀를 교환하는 경우, 회음부를 세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부적합한 세정은 개인적 불쾌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기저귀 발진 및 다른 감염 관련 현상을 발생시킨다. 기저귀 발진을 방지하는 가장 유용한 방법은 피부를 철저하게 세정하고 병원성으로 확인된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미생물의 원천은 빈번하게, 기저귀를 착용하는 동안에 아기의 피부에 잔류할 수 있는 분뇨 부착물이다. 그러나 분뇨 부착물은 수용성 및 지용성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기저귀 부위로부터 분뇨 부착물의 완전한 제거는 수계 및 유계 세정제를 둘다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리하고 신속한 적용을 허용하고,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품 속에 또는 제품 위에 성분을 더욱 용이하고 균질하게 분포시키는, 세정 및 기타 적용을 위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아기 및 어린이에게 적용하기에 편리해야 한다.
최종 용도와 무관하게 와이프 제품의 유연성은 소비자에게 가장 중요하다. 한편으로 와이프 재료의 유연성 및 다른 한편으로 와이프의 사용 후에 피부에 인지되는 유연성은 소비자에게 중요한 혜택이다. 이는 특히 아기에게 적용하기 위한 경우에 해당한다.
부직포의 유연성을 개선시킴에 있어서 제2 접근법은 완성된 제품 또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섬유에 직물 유연제를 첨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건조 부직물의 많은 적용에서 취해졌다. 특히 건조한 안면 티슈 제품 및 화장지에서 유연 성은 '직물 유연제'의 첨가를 통해 상당히 개선되었다. 대부분의 이러한 유연제는 규소계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이다.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와이프 제품의 유연성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증가된 유연성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시트 제품에 의해 달성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특징에 따르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트의 추가 양태는 종속 청구항 2 내지 21의 특징에 따른다. 추가로, 본 발명은 청구항 22의 특징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의 추가 양태는 종속 청구항 23 내지 30의 특징에 따라서 규정된다.
본 발명은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의 상당 부분의 내부에 일련의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패턴이 엠보싱되어 있는 기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승 영역의 기본 중량은 하강 영역의 기본 중량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고, 상승 영역의 밀도는 하강 영역의 밀도보다 낮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의 상당 부분의 내부에 일련의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패턴이 엠보싱되어 있는 기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상승 영역 및/또는 하강 영역은 비평탄 부분을 갖거나 비평탄 부분보다 평탄한 부분을 덜 갖고/거나 상승 영역 또는 하강 영역의 평탄한 부분으로 덮혀진 전체 면적은 상승 영역 또는 하강 영역의 비평탄 부분(들)로 덮혀진 면적보다 협소하고, 상승 영역의 기본 중량은 하강 영역의 기본 중량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고, 상승 영역의 밀도는 하강 영역의 밀도보다 낮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의 상당 부분의 내부에 일련의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패턴이 엠보싱되어 있는 기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승 영역 또는 하강 영역 중의 어느 것도 평탄한 부분을 갖지 않고, 기재의 기본 중량은 전체 표면에 걸쳐서 동일하고, 상승 부분/영역의 밀도는 하강 부분/영역의 밀도보다 낮다.
또한, 본 발명은
- 전구체 기재를 제공하고,
- 상 표면을 갖고 일련의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패턴이 내부에 새겨진 구성 부재를 제공하고,
- 전구체 기재를 3차원 수송 장치로 선행시키고, 수력 에너지를 전구체 기재에 적용함과 동시에 전구체 기재의 섬유를 교락하여 기재를 제공하고, 3차원 패턴을 일련의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포함하는 기재에 제공함으로써(여기서, 상승 영역의 기본 중량은 하강 영역의 기본 중량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상승 영역의 밀도는 하강 영역의 밀도보다 낮다) 수득된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구성 부재, 특히 이의 상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3차원 패턴이 기재에 제공되는 동안, 전구체 기재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성 부재가 구성 실린더를 나타내는 경우에, 이 실린더는 바람직하게는 전구체 기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기재의 기본 중량은 전체 표면에 걸쳐서 동일하다.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의 기재는 일반적으로 부직포 재료를 포함한다.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에 걸쳐 또는 시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본 중량에 대해, 각각 약 ±10g/㎡, 특히 약 ±5g/㎡의 허용도 범위가 측량 정확도에 기인하여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승 영역 또는 하강 영역은, 비평탄 상승/하강 영역의 전체 표면이 평탄한 상승/하강 영역의 전체 면적보다 큰 경우, 비평탄 부분보다 평탄한 부분을 덜 갖는다.
하나 이상의 하강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횡단면은 이의 바닥 부분에서 적어도 일부가 평탄하게 된 원형을 주로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하강 영역이 장치된 시트는 제조에 매우 신뢰성이 높으며 여전히 일반적인 독창적 디자인에 기여한다. 특히, 대부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모든 하강 영역은 이의 바닥 부분에서 평탄하게 된 원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탄하게 된 표면은 특히 하강 영역의 표면을 말하며, 이는 여전히 둥근 부분을 갖고, 이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본질적으로 평탄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3차원 패턴이 시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나타나고 엠보싱 패턴이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시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3차원 패턴은 시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존재한다. 엠보싱된 패턴은 시트의 한 면에서 또는 양면에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은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위치한다. 하강 영역을 상승 영역이 뒤따르며, 이를 하강 영역이 뒤따르는 식이다.
특히,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은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형성하며, 여기서, 상이한 패턴이 서로에 대해 인접하거나 패턴이 없는 부위에 의해 분리된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의 형상은 대략 동일하거나 동일하다. 특정 양태에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의 형상 및 크기는 대략 동일하거나 동일하다. 본 발명의 더욱 특정한 양태에서,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의 순환 패턴으로 배열된다.
또다른 특정 양태에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은 선 또는 줄무늬 패턴을 형성한다. 특히, 이들 선은 한 방향으로 시트의 한쪽에서 다른 쪽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특정 측면에서,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의 하나 이상의 단면은 융기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의 한 면의 상당 부분이 융기되어 있는 기재를 포함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융기된 표면은 시트의 기재에 엠보싱된 3차원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패턴은 반복된 일련의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은 동일하거나 대략 동일한 폭 및 동일하거나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선 또는 줄무늬를 갖고, 상승 영역 또는 하강 영역 중의 어느 것도 평탄한 부분을 갖지 않고, 기재의 기본 중량은 전체 표면에 걸쳐서 동일하며, 상승 부분의 밀도는 하강 부분의 밀도보다 낮다.
바람직하게는,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의 패턴은 기계 방향으로 이어지며, 이에 의해 시트가 생성된다. 또는,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의 패턴은 교차 방향으로 이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은 평행하게 이어진다.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은 선 또는 줄무늬 패턴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선 또는 줄무늬는 한 방향으로 시트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바람직하게는 기계 방향으로 또는 특히 교차 방향으로 이어지며, 이에 의해 시트가 생성된다. "기계 방향"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제조 방향을 언급하며, 이를 사용하여 기재, 특히 부직포 기재가 제조되고,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예를 들어, 절단시켜 수득한다.
일반적으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의 패턴이 기계 방향으로 이어지는 경우,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형성하는 선 또는 줄무늬는 교차 방향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의 순환 패턴을 갖는, 본원에 명시된 시트에 관한 것이며, 상기 영역은 와이프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평행하게 연속해서 이어지는 선 또는 줄무늬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패턴의 예는 웨이브 패턴, 지그재그 패턴 또는 다수의 선 또는 줄무늬 패턴에 따르는 일련의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다.
시트의 하나 이상의 표면이 횡 방향으로 사인 곡선형을 갖는 양태가 특히 중요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서 정의된 시트를 제공하며,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의 폭은 시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승 영역의 폭이 하강 영역의 폭과 대략 동일한 시트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다공성 또는 흡수성 기재는 부직포 재료, 바람직하게는 웹 형성 방법으로서 카딩, 스펀레잉, 용융취입, 에어레잉, 웨트레잉 또는 이들의 조합법으로 처리하고 웹 결합 방법으로서 수교락법으로 처리하여 수득한 부직포 재료이다.
추가로, 다공성 또는 흡수성 기재가 웹 형성 단계에서 부직포 섬유의 하나 이상의 섬유 층을 하나 이상의 카딩 단위장치를 사용하여 카딩시켜 전구체 기재를 제조하고 이를 수교락시켜 수득한 부직포 재료인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기재가 부직포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섬유 층을 하나 이상의 카딩 단위장치를 사용하여 카딩시켜 제1 전구체 기재 층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제2 섬유 층을 에어레잉시켜 제1 전구체 기재 층 위에 위치시키고, 부직포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3 섬유 층을 하나 이상의 카딩 단위장치를 사용하여 카딩시키고, 제2 전구체 기재 층에 인접하여 제3 전구체 기재 층을 위치시켜 전구체 기재를 제공하고 이를 수교락함으로써 수득한 부직포 재료인 시트를 제공한다.
웨이브형 패턴으로 엠보싱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가 특히 중요하다.
또 다른 측면에서 다공성 또는 흡수성 재료가 부직포 재료, 특히 스펀레이스 또는 수교락법으로 제조한 부직포 재료인, 본 발명에 따른 시트가 제공된다. 부직포 재료가 스펀레이스 재료 또는 3층 복합 부직포인 양태가 특히 중요하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서 정의된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섬유의 웹을 융기부와 함몰부를 갖는 구성 부재 위에 또는 이에 대해 놓고, 영구적으로 시트를 구성 부재의 패턴으로 엠보싱하기에 적합한 정도의 압력을 가하여 웹을 구성 부재에 대해 가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웹은 웹을 구성 부재에 대해 가압시키기 전에, 동안에 또는 이후에 교락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에서, 웹은 구성 부재에 대해 워터 제트의 압력의 영향하에 수교락 동안에 가압된다.
당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에서 구성 부재는 시트에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형성하도록 성형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갖는 지지 실린더 위에 청동 와이어 메쉬를 포함한다.
다음에, 예비압밀된 웹을 각각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 위로 또는 이 안으로 수력학적 니들링에 의해 가압시켜 부직포에 웨이브 패턴을 생성시킨다.
구성 부재에 대해 가압된 웹은 다소간에 느슨하거나 예비압밀될 수 있다. 웹은 적합하게 성형된 성형 주형에 대해 가압된 섬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는 건조하거나 적합한 조성물로 함침되고/되거나 도포될 수 있다. 특정 조성물은 수성 액체 또는 유계 액체이고, 이들 중의 특정한 것은 수용액, O/W 에멀션, PIT 에멀션, W/O 에멀션, 분무성 에멀션 종류, W/O/W 및 O/W/O와 같은 다중 에멀션, 피커링(Pickering) 에멀션, 마이크로-에멀션, 유계 용액 또는 제형 및 수분산액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수계 제형, 특히 수용액일 수 있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에멀션계이며, 여기서, 에멀션은 유중수 또는 수중유이거나 수중유중수와 같이 더욱 복잡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수중유 에멀션,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는 상 전환 기술에 따라서 제조된 수중유 에멀션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특히 개인 보호 적용에서 세정 기구로서 본원에서 기술된 제품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활성 재료의 도포기로서 본원에서 기술된 제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혼합 세정제 및 활성 재료의 도포기로서 본원에서 기술된 제품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의 범위에서는, 백분율은 언제나 중량에 의한 중량이다(w/w).
본 발명은 본원에 명시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시트를 제조하는 기재의 상당 부분은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 3차원 패턴이 엠보싱된다. 상당 부분은 대부분의 표면이 엠보싱된 패턴을 갖고, 예를 들어, 표면의 약 50% 이상이 패턴을 갖고, 특히 표면의 약 70% 이상 또는 약 80% 이상, 추가로 특히 약 90% 이상에 패턴이 엠보싱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3차원 패턴이 시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존재한다. 부분적으로 엠보싱된 경우, 패턴은 시트의 표면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그 예에서 엠보싱된 패턴은 하나의 통합된 영역을 형성한다.
엠보싱된 패턴은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존재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엠보싱되거나 완전히 엠보싱된 한 면 및 엠보싱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엠보싱되거나 완전히 엠보싱된 제2 표면을 갖는 양태는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함을 의미한다. 또한,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이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의 둘 이상의 패턴을 갖는 양태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시트는 일련의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포함하는 패턴을 갖고, 여기서, 상승 영역 또는 하강 영역 중의 어느 것도 평탄한 부분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에서 표면이 굽어지고, 이의 일부는 평탄한 표면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승 또는 하강 부분에서 시트의 표면의 최고부 또는 최저부는 평탄하지 않다. 기재의 기본 중량은 시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대략 동일하며, "기본 중량"이란 용어는 표면의 단위당 중량이란 당해 분야의 공지된 의미를 갖는다. 상승 부분의 밀도는 하강 부분의 밀도보다 낮고, "밀도"라는 용어는 동일하게 용적 단위당 중량이란 당해 분야의 공지된 의미를 갖는다.
상승 영역의 높이 및 하강 영역의 깊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승 영역의 높이 또는 하강 영역의 깊이는 시트의 표면에 걸쳐 모두 동일할 수 있거나 상승 영역의 높이 또는 하강 영역의 깊이는 상이할 수 있다. 한 면에서 상승 영역 또는 하강 영역의 높이 또는 깊이는 다른 표면에서의 것과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승 영역의 높이는 시트의 표면에 걸쳐 모두 동일하고/거나 하강 영역의 깊이는 시트의 표면에 걸쳐 모두 동일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승 영역의 높이는 하강 영역의 깊이와 동일하다. 본원에서 사용된 상승 영역의 높이는 상승 영역의 최고점에서 시트의 중간까지의 평균 거리인 표면의 지점까지의 거리를 언급한다. 동일하게, 하강 영역의 깊이는 하강 영역의 최저점에서 시트의 중간까지의 평균 거리인 표면의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예를 들어, 시트의 표면의 횡방향이 이후에 개략된 바와 같이, 만곡부 또는 사인 곡선을 형성하는 경우, 깊이 및 높이의 합은 만곡부 또는 사인 곡선의 진폭을 정의한다.
하강 영역 및 상승 영역의 깊이 및 높이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7㎜의 범위,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의 범위, 또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 또는 약 0.3㎜이다. 이후에 개략되는 바와 같이, 시트의 표면의 횡방향이 만곡부 또는 사인 곡선을 형성하는 양태에서, 깊이 및 높이의 합, 즉 만곡부 또는 사인 곡선의 진폭은 바람직하게는 위에 언급된 범위의 대략 두배인 범위이다.
가장 얇은 부분에서, 즉 하강 영역의 최저점에서 시트의 두께는 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7㎜의 범위이거나 약 0.5㎜이다. 가장 두꺼운 부분에서 시트의 두께는 동일하게 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장 얇은 부분에서 시트의 두께와 본원에 개략된 하강 및 상승 부분의 깊이 및 높이의 합이다.
하강 영역의 밀도는 100 내지 18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20 내지 170㎏/㎥의 범위이고, 상승 영역의 밀도는 50 내지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90㎏/㎥의 범위이다.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이 패턴을 형성하는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이러한 패턴은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서 존재할 수 있다. 더욱 많은 패턴이 한 면에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특정 패턴이 다른 것으로부터 분리되고, 즉 서로 이어지지 않는다. 상이한 패턴이 인접하거나 패턴을 함유하지 않는 부위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시트의 한 면(한 면이 특히 선호된다) 또는 양면이 패턴에 의해 완전히 덮이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패턴의 차이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들은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의 형상, 예를 들어, 이의 일반적 형상, 또는 이의 폭 또는 길이, 상승 부위의 높이 또는 하강 부위의 깊이 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선 또는 줄무늬인 패턴의 경우, 상이한 폭의 선 또는 줄무늬가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접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 사이의 거리는 또한, 연속적인 상승 영역 사이의 간격에서 가능한 바와 같이, 한 시트 내에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하강 또는 상승 영역은 대략 동일한 크기의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을 순환시키는 패턴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의 형상은 동일하거나 대략 동일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대략 동일한 크기 또는 대략 동일한 형상이란 용어는 크기 또는 형상이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때 예를 들어, 10% 미만 또는 5% 미만의 작은 편차가 있다.
추가의 특정 양태에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은 시트의 한 쪽에서 다른 쪽까지 한 방향으로 연속해서 이어지는 선 패턴을 형성하고, 특히 선 패턴은 교차 방향으로 이어지며, 예를 들어, 본질적으로 선형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이 교차 방향으로 배향된다.
바람직하게는,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의 패턴은 시트가 제조되는 기계 방향으로 이어지며, 즉 하강 영역 상에 상승 영역의 순환 패턴이 그 방향으로 계속되고, 시트를 수득하는 기재가 제조되었다. 다른 양태에서, 상승 영역 및/또는 하강 영역의 패턴은 교차 방향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은 평행하게 이어진다.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은 또한, 직선이거나 곡선이거나 파단될 수 있는 선 또는 줄무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직선이 아닌 선 또는 줄무늬는 반복적 (또는 주기적) 방식으로(예: 만곡부 또는 사인 곡선 또는 사인 곡선-유사, 지그재그 등의 패턴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선 또는 줄무늬 패턴의 경우, 특히 물결 선 또는 줄무늬가 선택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선 또는 줄무늬가 상으로 존재하여, 평행이 유지되고, 각각의 줄무늬가 인접한 선 또는 줄무늬로부터 동일하게 떨어져 유지되도록 한다.
상승 영역 및/또는 하강 영역의 선 또는 줄무늬는 규칙적 패턴으로 또는 임의로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선 또는 줄무늬가 웨이브-유사 패턴을 갖는 경우, 이러한 웨이브의 진폭 및/또는 이러한 웨이브의 길이는 넓은 범위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흡수성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의 예는 웨이브 패턴, 지그재그 패턴 또는 다수의 선 또는 줄무늬 패턴을 따르는 일련의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다.
웨이브-유사 패턴으로 엠보싱된 본 발명에 따르는 시트가 특히 중요하다.
시트의 하나 이상의 표면이 횡단면으로 사인 곡선형을 갖는 양태가 특히 중요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인 곡선형은 만곡부-유사 형상을 가짐을 의미하며, 이는 표면 단편이 굴곡지고 반복식으로 다소간 동일한 기간에 상승 및 하강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횡단면의 표면 단편은 예를 들어, 다소간 평탄한 단편을 갖는(완전히 평탄하게 되지 않는) 만곡부에 근접하거나 만곡부이다.
흡수성 시트의 횡단면도에서 패턴은 한 양태로 선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의 높이 및/또는 깊이는 각각 교대로 변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높이의 두가지 상승 부분 사이에 높이가 낮은 다른 상승 부분이 배열된다. 또한, 상승 영역 및/또는 하강 영역의 횡단면은 형상이 대칭이거나 비대칭일 수 있다. 비대칭 상승 영역 또는 하강 영역은 예를 들어, 둘 이상의 파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의 순환 패턴은 더욱 높은 제1 상승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및 제3 상승 영역은 둘다 높이가 낮은 반면, 제1 및 제2 상승 영역의 하강 영역 사이의 폭은 제2 및 제3 상승 영역의 하강 영역 사이의 폭보다 수 배 넓다. 제3 상승 영역 다음 다시 넓은 하강 영역이 뒤따를 수 있다. 상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의 패턴이 매우 넓은 범위 내에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정한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의 폭이 시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승 영역 및/또는 하강 영역의 폭은 또한 이의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승 영역의 폭은 하강 영역의 것보다 크거나 반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폭"이란 용어는 표면이 표면의 평균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기 시작하는 거리를 언급한다. 폭은 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5㎜, 특히 약 2 내지 약 4㎜ 범위이다. 약 3㎜의 폭이 특히 중요한데, 이는 유연성 및 다른 유리한 특성에 의해 특히 유용한 생성물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승 영역의 폭은 하강 영역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흡수성 또는 다공성 시트는 티슈, 와이프, 타월, 타월리트(towelette)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당해 재료는 플러싱(flushing)가능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플러싱가능'이란 재료가 2회의 물내림으로 3m 이상의 배수관을 통과함을 의미한다. 재료는 또한, 생분해성일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스텀 테스트(Sturm Test)로도 공지된 ASTM 시험 방법 D 5209에 따라 시험할 수 있다.
시트를 제조하는 재료는 1층 또는 다층이거나 직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이들은 한 가지 또는 다수의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섬유 또는 필라멘트 특성을 갖는 웹 구조를 갖는 부직포 재료가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임의로 또는 특정한 정도의 배향으로 분포되고, 전자는 에어레잉 또는 특정한 웨트레잉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하고, 후자는 특정한 다른 웨트레잉 방법 또는 건식레잉 방법, 바람직하게는 카딩 방법으로 수득가능하다.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천연, 예를 들어, 목재 펄프, 모, 면, 린넨 등, 천연 인공(예: 재생 셀룰로스, 예를 들어, 비스코스, 모달, 큐프로, 리오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등) 또는 합성, 예를 들어, 폴리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등일 수 있다.
다공성 또는 흡수성 기재는 부직포 재료, 바람직하게는 웹 형성 방법으로서 카딩, 스펀레잉, 용융취입, 에어레잉, 웨트레잉 또는 이들의 조합법으로 처리하고 웹 결합 방법으로서 수교락시켜 수득한 부직포 재료이다.
특히, 다공성 또는 흡수성 기재는 스펀레이싱으로 제조된 부직포 재료이다. 스펀레이싱은, 웹 형성 단계에서 부직포 섬유의 섬유 층을 하나 이상의 카딩 단위장치를 사용하여 카딩시켜 전구체 기재를 제조한 다음, 이를 웹 결합을 위해 수교락하는 것이다. 스펀레이싱에 적합한 섬유는, 예를 들어, 재생 셀룰로스 섬유(예: 비스코스), 합성 섬유(예: 폴리에스테르 섬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PET)) 또는 이들의 혼방물이다. 다른 양태에서 2개, 3개, 4개 또는 심지어 그 이상의 카딩된 전구체 웹은 서로의 위에 적어도 일부 중첩시켜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하며, 이를 계속해서 수교락 과정으로 처리한다. 수교락법의 강도 및 기간에 따라서, 개별적 층은 최종 스펀레이싱된 생성물에서 더 이상 식별할 수 없다. 개별적 섬유 층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섬유 또는 섬유 블렌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다공성 또는 흡수성 기재는 에어레이싱으로 제조한 부직포 재료이다. 에어레이싱을 사용하여 부직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섬유 층을 하나 이상의 카딩 단위장치를 사용하여 카딩시켜 제1 전구체 기재 층을 생성한다. 이러한 제1 전구체 기재 층에 하나 이상의 제2 섬유 층을 에어레이싱으로 위치시킨다. 또한, 제2 전구체 기재 층을 하나 이상의 카딩 단위장치를 사용하여 카딩시킨 부직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3 섬유 층을 포함하는 제3 전구체 기재 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혀진다. 상기 전구체 기재 층은, 서로의 상부에 놓인 경우, 전구체 기재를 형성하며, 이는 복합 시스템을 제공하며 수교락하고, 여기서, 모든 층은 서로에게 밀접하게 결합된다. 특정한 실시에서, 스테이플 섬유의 카딩에 의한 제1 층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층을 에어레잉에 의해 펄프의 제2 층으로 덮고, 다시 펄프 층을 스테이플의 카딩된 층으로 덮는다. 이렇게 수득된 3층 구조물은 계속해서, 바람직하게는 수교락법에 의해 교락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층을 레잉한 후, 전부를 칼렌더링한다. 따라서, 상기 양태에서 부직포 재료는 다수층, 특히 3층, 복합 부직물을 수교락시켜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특히 중간 층은 에어레잉에 의해 수득되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중간 층에 인접한 하나 이상, 특히 두개의 층은 카딩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전구체 기재는 에어레이싱 방법에 대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카딩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구체 기재 층에 의해 제조되고, 스펀레이싱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2 전구체 기재 층은 제1 전구체 기재 층의 상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스펀레이싱에 대해 사용된 적합한 섬유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PET 및 PBT, 및 폴리락티드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다음에, 상기 적층된 전구체 기재는 수교락시켜 복합 시스템을 제공하며, 여기서, 모든 층은 서로에게 밀접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 전구체 기재 층의 상기 시스템에 대한, 즉 스펀레잉된 층에 인접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또 다른 카딩된 제3 전구체 기재 층은 수교락 웹 결합 단계 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전구체 기재는 또한 위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카딩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된 하나 이상의 제1 전구체 기재 층, 및 용융취입으로 제조한 하나 이상의 제2 전구체 기재 층을 포함한다. 다음에, 이러한 전구체 기재는 수교락 웹 결합 단계에 적용한다.
추가로,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는 위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카딩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하나 이상의 제1 전구체 기재 층, 용융취입으로 제조한 하나 이상의 제2 전구체 기재 층, 및 위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카딩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제1 층으로서 제2 전구체 기재 층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구체 기재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3 전구체 기재 층을 포함한다. 다음에, 이러한 전구체 기재는 수교락 웹 결합 단계에 적용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전구체 기재는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카딩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1 전구체 기재 층, 이어서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에어레잉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2 전구체 기재 층, 이어서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스펀레이싱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전구체 기재 층을 포함하며, 이어서 차례로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카딩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4 전구체 기재 층이 뒤따른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전구체 기재 층은 서로의 상부에 중첩되는 경우, 전구체 기재를 형성하며, 이는 다음에 수교락 웹 결합 단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전구체 기재는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카딩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1 전구체 기재 층, 이어서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에어레잉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2 전구체 기재 층, 이어서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용융취입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3 전구체 기재 층을 포함하며, 이어서 차례로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카딩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4 전구체 기재 층이 뒤따른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전구체 기재 층은 서로의 상부에 중첩되는 경우, 전구체 기재를 형성하며, 이는 다음에 수교락법 웹 결합 단계에 적용된다. 카딩으로 수득한 층에 대해 재생 셀룰로스 섬유, 예를 들어, 비스코스,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티드산, 폴리비닐 알콜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교락에 의한 웹 결합 동안에 또한 목적하는 3차원 패턴은 기재의 표면 위에 적어도 일부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성 또는 흡수성 기재는 에어레이싱 및/또는 스펀레이싱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재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층 시트 재료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의 직물, 부직포 또는 상이한 기술에 의해 수득된 층들의 2층 이상을 갖는다. 한 가지 양태는 3개의 층,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펄프/폴리에틸렌 또는 비스코스/폴리프로필렌/비스코스, (폴리프로필렌 + 폴리에스테르)/펄프/(폴리프로필렌 +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펄프/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재료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는 10 내지 80g/㎡, 특히 20 내지 70g/㎡ 범위의 ㎡당 중량을 갖는다. 특정한 재료는 부직포 유형의 것이다. 사용된 원료를 근거로 하여, 두가지 상이한 유형의 생성물이 식별될 수 있다.
제1 유형의 캐리어는 종이계이다. 이러한 캐리어에 대한 원료는 식물 세포 공급원(펄프)으로부터의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부터 거의 배타적으로 제조된다. 이들은 새로 만든 대팻밥으로부터 또는 재생 재료(재생지)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다수의 와이프 용도(예: 아기용 와이프, 세정용 와이프, 습윤 종이 타월 등)에서, 부직포 웹의 높은 습윤 강도 또는 경도는 바람직한 특성이다. 이는 결합 재료의 첨가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예는 소위 습윤 강도 수지이다. 특정한 경우, 첨가제를 첨가하여 최종 생성물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제2 유형 용도에서 웹은 주로, 예를 들어, 면, 모, 린넨 등, 천연 인공(예: 재생 셀룰로스, 예를 들어, 비스코스, 모달, 큐프로, 리오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등) 또는 합성, 예를 들어, 폴리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등을 기본으로 하는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제조된다.
상업적 제품은 셀룰로스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다.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프로필렌은 합성 섬유의 제조에 적합한 중합체로서 공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품에서 결합제를 사용하여 부직포의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증가된 강도를 갖는 웹은 소위 스펀레이스 또는 수교락 기술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 기술에서 개별적 섬유는 함께 가연되어 허용되는 강도 또는 경도가, 결합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수득되도록 한다. 후자 기술의 이점은 부직포 재료의 탁월한 유연성이다.
펄프 및 스테이플 섬유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재료가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는 결합 재료, 특히 위에 언급된 것을 사용하여 또는 결합 재료의 부재하에 수득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부직포는 바람직하게는 수교락법에 의해,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펀레이스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 양태의 한 가지 유형에서, 시트 재료는 셀룰로스 펄프 및 소량의 결합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시트 재료 중의 결합제의 양은 5 내지 20%(w/w) 범위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부직포 시트 재료는 수교락법으로 제조하며, 결합 재료를 함유하지 않는다.
특정 유형의 시트 재료는 2층, 3층 또는 다층 재료를 샌드위치 구조 재료에 교락하여 제조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교락은 수교락법으로 수행한다. 특정 양태에서, 3층 웹은 교락, 바람직하게는 수교락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3층 웹의 외부 층은 스테이플 섬유 및 비스테이플 섬유 재료(예: 비스코스, 또는 바람직하게는 종이 펄프)의 내부 층으로 이루어진다. 적합한 스테이플 섬유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뒤의 두가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프로필렌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스테이플 섬유의 층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을 갖고, 예를 들어, 상이한 스테이플 섬유 또는 스테이플 섬유의 상이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테이플 섬유의 외부 층은 동일한 두께 또는 동일한 중량을 가질 수 있거나 상이한 두께 또는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외부 층은 최종 생성물의 총량의 12.5 내지 45%를 구성하고, 중간 층은 최종 생성물의 총량의 10 내지 75%를 구성한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외부 층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스테이플 섬유의 혼합물로, 특히 10 내지 90%의 각 성분으로, 바람직하게는 50/50중량% 비로 이루어진다. 더욱더 바람직한 양태에서, 외부 층은 폴리프로필렌 스테이플 섬유의 혼합물로, 특히 10 내지 90%의 각 성분으로, 바람직하게는 50/50중량% 비로 이루어진다. 바로 기술된 스테이플 섬유의 두개의 외부 층으로 이루어진 3층 웹이 특히 중요하며, 각각은 최종 생성물의 약 25중량%를 포함하고, 펄프 내부 층은 최종 생성물의 50중량%를 포함한다.
2층, 3층 또는 다층 샌드위치 웹에서 각각의 층은 카딩, 에어레잉, 웨트레잉, 스펀레잉 또는 이들의 병행으로 수득할 수 있다. 각각의 층은 상이한 레잉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조성의 층은 동일한 레잉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상기에서 개략된 바와 같이, 특히 수교락 처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다층 시스템에서, 개별적 층은 식별불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시트의 부착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교락 단계 전에 3층 웹의 외부 층은, 예를 들어,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2409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가열된 표면과 접촉한다. 특정의 유용한 방법은 먼저 카딩된 스테이플 섬유 층과 가열된 로울을, 계속해서 다른 카딩된 스테이플 섬유 층과 다른 가열된 로울을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한 제1, 즉 하부 카딩된 스테이플 섬유 층만 가열된 로울과 접촉시킨다.
샌드위치 웹 구조물은 교락 과정,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교락 과정 동안에 엠보싱될 수 있거나 엠보싱은 교락 후에 별도의 단계로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샌드위치 웹 구조물은 제1 교락 과정에 의해 압밀되고, 계속해서 결합 단계에서 엠보싱되고 교락될 수 있다.
시트 재료의 흡수능은 본 발명에 의해 고안된 적용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하다. 제조하는 동안에 함침액은 시트로 신속하게 흡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와이프는 다수의 와이프 더미로 포장된다. 이러한 예에서 부직포의 흡수능은 더미에서 크로마토그래피 효과(로션의 가라앉음)가 저장 동안에 방지되도록 해야 한다. 한편 와이프의 사용 동안에 함침액은 피부에 균질하게 전달되고 활성 성분은 정량적으로 방출됨을 보장한다.
시트 재료의 흡수능은 본질적으로 세가지 상이한 파라미터에 의해 측정된다: 시트 재료의 표면 중량, 제조에 사용된 원료 및 사용된 제조방법의 특성 및 특히 시트 재료의 밀도.
본 발명에 따르는 적용에 대해 시트 재료는 일반적으로 10 내지 80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g/㎡,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g/㎡의 표면 중량을 갖는다. 부직포 재료가 제조되는 원료의 선택은 제조방법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수교락법에 의해 부직포 시트의 제조에서, 셀룰로스 섬유 및 합성 섬유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부직포에서 합성 섬유의 상대량은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범위이다(모든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본 발명의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 대상물은 섬유의 웹을 융기부와 함몰부를 갖는 적합하게 성형된 구성 부재 위에 또는 이에 대해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조 설비에 따라서, 웹은 구성 부재 위에 배치하거나 반대로 구성 부재는 웹 위에 배치할 수 있다. 구성 부재는 로울 또는 드럼 또는 로울 또는 드럼의 일부, 예를 들어, 부재는 곡선이며 로울 또는 드럼 위에 설치할 수 있다.
구성슬리브 또는 슬리브라고도 하는 구성 부재는, 예를 들어, 구성판 또는 제직된 와이어 스크린(예: 와이어 메쉬)일 수 있다. 특히, 구성 부재는 구성판, 구성 벨트 및/또는 구성 실린더를 포함한다.
웹은 느슨하거나 어느 정도 압밀될 수 있으며, 웹은 예비압밀되거나 부분적으로 압밀될 수 있다. 웹은 심지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교락될 수 있다. 구성 부재는 평면형이거나 곡선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원형이며 슬리브로서 로울 또는 드럼 위에 설치되고, 이는 생산 라인의 일부를 구성한다. 구성 부재는 적합한 강도의 재료, 예를 들어, 합성 물질 또는 금속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구성 부재는 하나 이상의 표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특히 강, 구리 및/또는 청동 또는 합성 물질, 특히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스티렌-공중합체, 예를 들어, ASA, ABS 및 SAN, 폴리아세탈,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페닐렌 에테르(PP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flon
Figure 112005062917611-pct00001
), 합성 고무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및/또는 천연 고무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또한,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를 들어, PPE/ABS, PPE/SAN, PPE/ASA 및/또는 언급된 중합체 재료의 충격 개질된 변형물을 포함한다.
또한, 한 양태에서 구성 부재는 본질적으로 상기 융기부와 함몰부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표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 부재는, 예를 들어, 소위 솔기 없고, 끝이 없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적 표면을 사용하여 구성 부재의 융기 또는 상승 부분 및 우묵한, 함몰 또는 하강 부분은 일반적으로 구멍을 제공하지 않거나 유공 구조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연속 표면은 하나 이상의 하관을 가져 수교락 동안에 사용되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 부재는 증가된 라인 효율을 허용하고, 필수적인 세정 시간 및 주기를 감소시키고, 천공되거나 와이어 메쉬로부터 제조되는 구성 부재보다 일반적으로 저렴하다.
일반적으로, 구성 부재의 융기/상승 부분 및 함몰/하강 부분은 공지된 조각 기술(예: 레이저 조각)에 의해 수득한다. 이러한 융기부와 함몰부는 본질적으로 각각 본 발명 시트의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구성 부재의 상승 부분/융기부가 이의 상단부에서 평탄하게 된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평탄하게 된 바닥 부분을 갖는 시트 재료의 하강 영역을 초래한다.
구성 부재에서 평탄하게 된 상승 부분/융기부를 사용함으로써 매우 밀접한 시트 재료가 수득되며, 이는 여전히 유연성이 우수하다. 또한, 수교락법은 구멍 또는 틈을 나타내지 않는 매우 밀착된 시트를 제공한다.
평탄하게 된 바닥 부분을 갖는 하강 영역을 제조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합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재료, 특히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부터 형성된 구성 부재가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구성 부재는 적합한 강도를 갖는 와이어의 메쉬를 포함하는 제직된 스크린이다. 메쉬에서 와이어는 금속 또는 합성 물질로,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둘다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금속은 강, 구리 또는 바람직한 청동이다.
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에서 구성 부재는 시트 위에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형성하도록 성형된 상승 및 함몰 영역을 갖는 지지 실린더 위에 청동 와이어 메쉬를 포함한다.
구성 부재, 예를 들어, 구성 실린더 또는 구성 벨트가 지지 부재 위에 배치되는 경우, 구성 부재는 지지 부재에 고정해서 부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 부재 및 지지 부재 사이에 상대적 이동이 없다. 지지 부재로 고정해서 부착되는 구성 부재의 한 양태에서 구성 부재 및 지지 부재 사이에 틈새가 없거나 본질적으로 틈새가 없다. 상기 필수조건하에 구성 부재는 지지 부재 위에 자유롭게 이동하지 않는다. 구성 부재 및 지지 부재 사이에 틈새가 있는 다른 양태에서 구성 부재는 지지 부재에 고정해서 부착되지 않고, 이에 의해 지지 부재 위에 적어도 제한된 정도로 이동성인 구성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구성 부재는 추가 지지 부재, 예를 들어, 지지 실린더가 필요하지 않은 이점을 갖는 자체 유지 구성 부재이다.
엠보싱 단계는 특정량의 압력을 가하여 웹을 구성 부재 위에 또는 이에 대해 가압시킴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양의 압력은 시트를 구성 부재의 패턴으로 영구적으로 엠보싱하기에 적합하다. 엠보싱 단계에서, 웹은 상승 및 함몰 영역 위로 또는 각각 이들 영역으로 가압되어 시트 재료에 패턴을 발생시킨다. 웹은 구성 부재에 대한 웹의 가압 전에, 가압 동안에 또는 가압 후에 교락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에서, 엠보싱은 교락 단계와 함께 발생하며, 이는 부분적 또는 완전한 교락일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수교락법이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웹은 구성 부재에 대해서 및 수교락 과정 동안에 수력학적 니들링의 워터 제트의 압력의 영향하에 가압된다. 후자의 경우, 구성 부재는 천공되어 워터 제트의 물이 제거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특정의 유용한 구성 부재는 메쉬 와이어의 상기 구성 부재이다. 특히 흥미로운 실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예비압밀된 스펀레이스인 웹이 엠보싱 단계 동안에 상승 및 함몰 영역 위로 또는 각각 이들 영역으로 수력학적 니들링에 의해 가압되고, 이 동안에 추가의 수교락 단계가 일어난다.
엠보싱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재료의 제조과정의 말기에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제품 중에 또는 제품 위에 피부 보호 조성물 또는 성분의 더욱 용이하고 더욱 균질한 분포를 허용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들은 또한, 오물 및 구성물을 매우 효율적으로 흡수하고, 피부에 매우 유연한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론에 구애받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시트를 사용하여 시트 및 피부 사이에 유용한 접촉 면적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감소된 접촉 면적은 피부 세정 특성을 완화시키고, 또한 시트에 함침된 피부 보호 조성물이 본 발명의 시트의 표면 구조를 통해 균질하게 및 충분히 전달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건조한 또는 본질적으로 건조한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이는 적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부하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건조한"이라는 용어는 시트 제품이 물을 함유하지 않거나 제한된 양, 예를 들어, 1% 미만의 물을 함유함을 의미하고, "본질적으로 건조한"이란 시트가 제한된 양, 예를 들어, 시트의 총량의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8%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시트 총량의 2% 미만의 물을 함유함을 의미한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조성물일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시트가 부하된다. 조성물은 액체, 반고체 또는 고체이고, 시트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조성물로 부하시킬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조성물은 액체이다. 이는 상기 시트 위에 도포되거나 시트로 함침될 수 있다.
시트는 상이한 종류의 로션으로 함침될 수 있으며, 이들 중에는 수성 액체, 수성 로션, 에멀션, 예를 들어, W/O 에멀션, O/W 에멀션 또는 W/O/W 및 O/W/O 에멀션과 같은 다중 에멀션, 피커링 에멀션, 분무성 에멀션, 마이크로에멀션, PIT 에멀션, 수분산액 및 또한 유성 제형이 있다.
조성물
액상 조성물인 조성물이 특히 중요하다. 이들은 수계 제형일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은 수용액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에멀션을 기본으로 한다. '로션'으로도 언급되는 액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성 특성을 갖는다.
수용액
시트에 적용할 수 있는 제1 그룹의 조성물은 소위 '수용액'이다. 이들은 특히 에멀션이 아니거나 에멀션을 함유하지 않거나 소량의 에멀션만 함유하는 수계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량이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w/w로 나타내어 약 10% 미만, 특히 5% 미만, 더욱 특히 3% 미만 또는 1% 미만을 의미한다.
수용액은 추가 성분, 특히 본원에 언급된 추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특정한 아류의 수용액은 세정을 위한 것이며, 즉 소위 '세정 로션'이다. 후자는 특정한 세정제(예: 계면활성제) 및 임의의 추가 성분(예: 연화제, 방향제, 방부제, 활성제 등)을 함유한다. 소량의 가용화제를 첨가하여 유성 성분, 예를 들어, 유성 방향제 또는 유성 활성제를 가용화시킬 수 있다. 베타인 계면활성제가 특히 중요하다. 특정한 연화제는 폴리알콜(예: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이다.
에멀션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에멀션을 기본으로 한다. 에멀션은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션이거나 수중유중수와 같이 더욱 복잡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중유 에멀션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품 중의 조성물은 추가로 W/O 또는 O/W형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호한 피부 적합성을 갖는 비이온성 유화제가 바람직하다. 개선된 감각 특성은 비이온성 W/O 및 O/W 유화제를 배합하는 경우, 수득된다. 조성물은 유화제(들)을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0 내지 20%(w/w), 각각 0.1 내지 15%(w/w), 특히 0.1 내지 10%(w/w)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특정한 비이온성 유화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탄소수 8 내지 40의 직쇄 지방 알콜, 탄소수 12 내지 40의 지방산 및 알킬 잔기에 탄소수 8 내지 15의 알킬페놀에 2 내지 50mol의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0 내지 20mol의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부가 생성물.
1 내지 50mol의 에틸렌 옥사이드 및 글리세린의 부가 생성물의 C12 /18-지방산 모노- 및 -디에스테르.
탄소수 6 내지 22의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의 글리세린 모노- 및 -디에스테르 및 소르비탄 모노- 및 -디에스테르 및 이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알킬 잔기에 탄소수 8 내지 22의 알킬 모노- 및 -올리고글리코사이드 및 이의 에톡시화 동족체.
피마자유 및/또는 경화된 피마자유에 에틸렌 옥사이드 7 내지 60mol을 부가한 생성물.
폴리올- 및 특히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올 폴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린 폴리리시놀레이트, 폴리글리세린 디이소스테아레이트 또는 폴리글리세린 다이머레이트. 또한, 다수의 이러한 재료 종류의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선형, 측쇄, 불포화 또는 포화 C6-C22 지방산, 리시놀레산 뿐만 아니라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및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펜타에리트라이트, 디펜타에리트라이트, 당 알콜(예: 소르비톨), 알킬글루코사이드(예: 메틸글루코사이드, 부틸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뿐만 아니라 폴리글루코사이드(예: 셀룰로스)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 또는 혼합 에스테르, 예를 들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락테이트.
울 왁스 알콜.
폴리실록산-폴리알콜-폴리에테르-공중합체 및 이의 유도체.
펜타에리트라이트, 지방산, 시트르산 및 지방 알콜로부터의 혼합 에스테르 및/또는 탄소수 6 내지 22의 지방산과 메틸글루코스 및 폴리올, 각각 글리세린 또는 폴리글리세린의 혼합 에스테르.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및 지방 알콜, 지방산, 알킬페놀, 글리세린 모노- 및 -디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지방산의 또는 피마자유의 소르비탄 모노- 및 -디에스테르의 부가 생성물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시판되는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평균 알콕시화도가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출발량의 비에 상응하는 동족체 및 기질의 혼합물이며, 이를 사용하여 부가 반응이 수행된다. 알콕시화도에 따라서 이들 제품은 W/O 또는 O/W 유화제이다. 에틸렌 옥사이드의 부가 생성물의 C12 /18-지방산 모노- 및 -디에스테르는 향장학적 적용에서 탈지방제로서 공지되어 있다.
특정의 유용하고 순한 유화제는 폴리올폴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기타 성분과 이의 혼합물이며, 이는 상품명 "Dehymuls
Figure 112005062917611-pct00002
PGPH"(W/O- 유화제) 또는 "Eumulgin
Figure 112005062917611-pct00003
VL 75"(코코-글루코사이드, O/W-유화제의 1:1 w/w 혼합물) 또는 Dehymuls
Figure 112005062917611-pct00004
SBL(W/O-유화제)(제조원: Cognis Deutschland GmbH)로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유화제의 폴리올 성분은 둘 이상, 특히 3 내지 12개, 더욱 특히 3 내지 8개의 하이드록실 그룹 및 탄소수 2 내지 12의 재료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첨가될 수 있는 유화제는 비이온성 O/W-유화제(HLB가: 8 내지 18) 및/또는 가용화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은, 예를 들어, 상응하는 높은 에톡시화도, 예를 들어, O/W-유화제의 경우에 10 내지 20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및 소위 가용화제에 대한 20 내지 40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이미 언급된 에틸렌 옥사이드-부가물일 수 있다. O/W 유화제로서 Ceteareth-12 및 PEG-20 스테아레이트가 특히 관심을 끈다. 특히 관심을 끄는 가용화제는 Eumulgin
Figure 112005062917611-pct00005
HRE 40(INCI: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Eumulgin
Figure 112005062917611-pct00006
HRE 60(INCI: PEG-60 수소화 피마자유), Eumulgin
Figure 112005062917611-pct00007
L(INCI: PPG-1-PEG-9 라우릴글리콜에테르) 및 Eumulgin
Figure 112005062917611-pct00008
SML 20(INCI: 폴리소르베이트-20)이다.
알킬 올리고글리코사이드 그룹의 비이온성 유화제는 특히 피부-상용성이며, 따라서 O/W 유화제로서 바람직하다. C8-C22-알킬 모노- 및 -올리고글리코사이드, 이의 제조 및 용도가 선행 기술에 기술되어 있다. 올리고글리코사이드는 올리고머화도가 약 8 이하인 올리고머 글리코사이드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올리고머화도는 또한, 특정한 범위의 올리고글리코사이드로 이루어진 생성물에 사용된 통계학적 평균일 수 있다. 일례는 상품명 Plantacare
Figure 112005062917611-pct00009
로 판매되는 제품이며, 이는 평균 올리고머화도가 1 내지 2인, 올리고글루코사이드 잔기에 글리코사이드 결합된 C8-C16-알킬 그룹을 갖는다.
다른 비이온성 유화제는 아실 글루카미드이다.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지방 알콜의 1:1 혼합물인 상품명 Emulgade
Figure 112005062917611-pct00010
PL 68/50(Cogins Deutschland GmbH)으로 판매되는 생성물, 및 상품명 Eumulgin
Figure 112005062917611-pct00011
VL 75로 판매되는,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친유성 W/O 유화제는 기본적으로 1 내지 8 범위의 HLB가를 갖는 유화제이며, 예를 들어,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3rd Ed., 1979, Vol. 8, p. 913]. 에톡시화된 생성물의 HLB가는 식에 의해 계산된다: HLB = (100-L) : 5(여기서, L은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에서 친유성 그룹, 즉 지방 알콜- 또는 지방 아실 그룹의 비율(중량%)이다).
특히 관심을 끄는 W/O 유화제는 폴리올의 부분 에스테르, 특히 폴리올, 더욱 특히 C3-C6-폴리올의 지방산의 모노-, 디- 또는 트리-, 세스퀴 에스테르, 예를 들어, 글리세릴 모노에스테르, 펜타에리트라이트의 부분 에스테르 또는 탄수화물 에스테르, 예를 들어, 사카로스 디스테아레이트, 또는 소르비탄 모노-, 디-, 트리- 또는 세스퀴 지방산 에스테르, 특히 스테아레이트, 올리에이트, 에루케이트, 리시놀레이트,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레이트(또한 타타레이트, 시트레이트, 말리에이트) 등이다. 또한, 이러한 소르비탄 에스테르에 1 내지 30, 각각 5 내지 10mol 에틸렌 옥사이드의 부가 생성물이 관심을 끈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소위 상 전환 기술에 의해 제조된 에멀션을 기본으로 한다.
이 기술에 따라서, 비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수중유 제형은 일반적으로 가열시에 상 전환되며, 이는 특정 온도 내에서 에멀션형 변화가 일어남을, 즉 수중유에서 유중수 에멀션으로 됨을 의미한다. 이 방법에서 외부 연속 상은 수성에서 유성 상으로 변화하여 전기 전도도가 실질적으로 0으로 감소된다. 최대 전도도 및 최소 전도도 사이의 평균 온도는 상 전환 온도('PIT')로서 언급한다.
PIT 이상의 온도로 가열한 후, 에멀션은 PIT 이하로 냉각시키고, 여기서, 전환 상 이동이 일어나며, 즉 유중수로부터 수중유로 된다. 수득된 에멀션은 일반적으로 'PIT 에멀션'으로 언급한다.
PIT 에멀션의 액적 크기는 다수의 인자에 따라 다르다. 작은 액적 크기를 갖는 PIT 에멀션은 상 전환시에 유상 및 수상 사이에 낮은 표면 장력을 갖는 마이크로에멀션을 형성하거나 적층 액정 상을 형성하는 에멀션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미분된, 즉 작은 액적 크기를 갖고 낮은 점도를 갖는 PIT 에멀션이 바람직하다.
PIT 에멀션 중의 유상은 특히 식물성 유래의 천연 오일 또는 천연 오일 유도체를 포함한다. 예로는 아마인유, 팜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유채유, 특히 땅콩 오일, 코코넛유, 해바라기 오일 및 순무씨유가 있다. 유상은 추가로 이러한 천연 오일로부터 분리된 지방 성분, 즉 순수한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후자 성분은 화학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소위 트리글리세라이드는 글리세린과 지방산 또는 지방산 혼합물의 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불포화 또는 포화된, 탄소수 10 내지 24, 특히 14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의 지방산, 예를 들어, 팔미트산, 헵타데카노산, 올레인산 또는 스테아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글리세린 에스테르이다. 스테아린으로도 언급되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상은 추가로 지방산의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여기서, 알킬 그룹은 탄소수가 1 내지 4이다. C16 -18 지방산, 예를 들어, 팔미트산, 헵타데카노산 또는 스테아르산의 C1 -4 알킬 에스테르, 특히 메틸 또는 에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의 알킬 에스테르와 함께 식물성 오일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유상이 특히 중요하다.
PIT 에멀션은 추가로 비이온성 유화제를 함유한다. 적합한 비이온성 유화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2 내지 30개의 에톡시 단위 및 0 내지 5개의 프로폭시 단위를 갖거나 1 내지 5개의 프로폭시 단위를 갖고, 출발 알콜과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반응시켜 제조된, 폴리에톡시화 또는 프로폭시화 지방 알콜, 지방산 또는 C8 -15 알킬페놀;
포화된 또는 불포화 C12 -18 지방산을 갖고, 1 내지 30개의 에톡시 단위를 갖는 폴리에톡시화 글리세린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글리세린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및 포화된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소르비탄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이의 에톡시화 유도체(후자는 특히 1 내지 30개의 에톡시 단위를 갖는다);
C8 -22 알킬 모노- 또는 올리고글루코사이드 뿐만 아니라 이의 에톡시화 유도체(후자는 특히 1 내지 30개의 에톡시 단위를 갖는다);
특히 1 내지 30개의 에톡시 단위를 갖는, 에톡시화 피마자유 또는 수소화 피마자유;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특히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더욱 특히 리시놀레산 또는 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린 폴리리시놀레산 또는 폴리글리세린 폴리 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하나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혼합물로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모노- 및 디-펜타에리트라이트, 알콜로부터 유도된 당(예: 소르비톨), 알킬글루코사이드 및 폴리글루코사이드;
트리알킬포스페이트 뿐만 아니라 이의 폴리에톡시화 유도체(후자는 특히 1 내지 30개의 에톡시 단위를 갖는다);
울 왁스 알콜;
폴리실록산-폴리알킬-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이의 유도체;
펜타에리트라이트, 지방산, 시트르산 및 지방 알콜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혼합 에테르;
글리세린 카보네이트.
본원에서 사용된 "지방산"이란 용어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포화된 또는 불포화, 직쇄 또는 측쇄 알카노산을 언급한다.
특정의 유용한 유화제는 친수성 및 소수성 유화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유화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친수성 유화제는 에톡시화 지방 알콜 또는 지방산을 포함한다. 전자의 예는 에톡시화 C16 -22 알콜, 예를 들어, 세틸, 팜올레일,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릴 및 올레일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이며, 여기서, 분자당 에톡실 그룹의 수는 1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의 범위이다. 에톡시화 지방산의 예는 에톡시화 C12 -22 알킬카본산, 예를 들어, 팔미틴산, 팜올레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고, 여기서, 에톡시 그룹의 수는 5 내지 50, 특히 15 내지 35의 범위이다. 소수성 유화제는 1 내지 30개의 에톡시 단위를 갖는 폴리에톡시화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 및 디에스테르, 즉 1 내지 2개의 하이드록시 관능기가 1 또는 2개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혼합물로 에스테르화된 폴리에톡시화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친수성 유화제 성분 대 소수성 유화제 성분의 w/w 비는 10:90 내지 90:10의 범위, 특히 25:75 내지 75:25, 더욱 특히 40:60 내지 60:40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PIT 에멀션은 특히 20 내지 90%, 더욱 특히 3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의 물을 함유한다. 제형을 구성하는 나머지는 유상, 유화제 및 기타 성분을 포함한다. 유상은 일반적으로 제형의 10 내지 80%, 특히 40 내지 70%를 구성한다. 오일 및 조성물의 w/w 비가 약 1:1인 에멀션이 바람직하다. 유화제는 1 내지 25%, 특히 5 내지 20%, 더욱 특히 5 내지 15%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 전환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95℃의 범위, 특히 40 내지 95℃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PIT 로션은 특히 본원에 언급된, 하나 이상의 흡광 또는 광 반사 재료를 함유한다. 이들은 친수성 또는 소수성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이러한 재료는 조성물로 용해되는 한편, 후자는 유상으로 용해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특정 PIT 에멀션은 예를 들어, WO-00/51247 및 WO-00/71676에 기술되어 있다.
상 전환 기술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00 mPas 이하의 점도를 갖는다. 유적의 평균 입자 크기는 50 내지 300nm의 범위, 특히 50 내지 200nm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0nm 이하, 예를 들어, 70 내지 90nm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이들이 양호한 전개 및 함침 특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특히 관심을 끈다.
기타 성분
조성물은 또한, 추가 성분 또는 첨가제(예: 계면활성제, 밀도 인자, 조절제, 보습제, 증점제, 방부제, 활성 성분, 특히 피부학적 활성 성분, 방향제, 막 형성제, 자외선 필터, 항산화제, 하이드로트로피제(hydrotropic agent), 방부제, 곤충 기피제, 자체 태닝제, 가용화제, 향료 오일, 염료 등)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항산화제는 본 발명의 시트 제품에 또는 제품 위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서 성분의 산화 또는 자동산화를 차단하는 제제이다. 항산화제의 예는, 예를 들어, 설파이트, 예를 들어, 아황산나트륨, 토코페롤 또는 이의 유도체, 비타민 E 또는 이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 또는 이의 유도체, 시트르산, 프로필 갈레이트, 키토산 글리콜레이트, 시스테인, N-아세틸 시스테인 + 황산아연, 티오설페이트, 예를 들어, 티오황산나트륨, 폴리페놀, 토코페롤,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HA), 레시틴 등이다.
첨가될 수 있는 연화제는 지질, 예를 들어, 라놀린, 라놀린 알콜, 라놀린산, 폴리에톡시화 또는 아실화 라놀린 또는 라놀린 유도체, 레시틴 및 레시틴 유도체, 쇄 길이가 C6 내지 C40인 선형 또는 측쇄 지방 알콜, 및 유기산, 예를 들어, 탄소수가 2 내지 30이고 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분지된, 방향족 또는 선형의 탄산 또는 다가산과의 에스테르, 지방산 및 탄소수가 2 내지 40이고 분지된, 방향족 또는 선형의 알콜 또는 다가알콜과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아보카도 오일, 아몬드 오일, 대두유 등의 비비누성 분획에서 밝혀진 스테롤, 예를 들어, 콩 피토스테롤, β-시토스테롤, β-시토스테릴 라우레이트, β-시토스테릴 스테아레이트 등, 천연 및 합성 왁스, 예를 들어, 밀랍, 퓨셀린, 쉐어 버터, 코코아 버터, 세레신, 오조케릿, 와셀린, 마이크로 왁스, 카나우바 왁스, 칸델리라 왁스 등, 치환된 사이클로헥산, 예를 들어, 디-n-옥틸사이클로헥산, 구에베트(Guerbet) 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비스-2-옥틸 도데실카보네이트, 디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디-n-옥틸 에테르 등을 포함한다.
오일의 예는 천연 오일, 예를 들어, 아몬드 오일, 대두유, 밀 배아유, 아보카도 오일, 조조바 오일, 아마인유, 참깨유, 호도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등, 광유 및 파라핀 오일 및 모노-, 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합성 오일 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이다.
조성물은 또한, 막 형성 물질, 예를 들어, 키토산 및 이의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이의 유도체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과지방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예를 들어, 라놀린 또는 라놀린 유도체, 예를 들어, 라놀린 알콜, 라놀린산, 폴리에톡시화 또는 아실화 라놀린 또는 다른 라놀린 유도체; 인지질(예: 폴리에톡시화 또는 아실화 레시틴 또는 다른 레시틴 유도체와 같은 레시틴 또는 레시틴 유도체);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이다.
적합한 증점제는, 예를 들어, Aerosil
Figure 112009025706003-pct00012
형(친수성 규산), 다당류, 특히 크산탄 고무, 구아-구아, 아가-아가, 알기네이트 및 타일로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추가로 지방산의 비교적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및 -디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Goodrich의 Carbopol
Figure 112009025706003-pct00013
또는 Sigma의 Synthalene
Figure 112009025706003-pct00014
),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에톡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과 폴리올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라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제한된 범위의 동족체를 갖는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알킬올리고글루코사이드 뿐만 아니라 전해질(예: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이다.
적합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양이온성 셀룰로스 유도체, 예를 들어, 4급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Amerchol에 의해 상품명 Polymer JR 400으로 판매), 양이온성 전분, 디알릴암모늄염 및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4급화 비닐피롤리돈/비닐이미다졸-중합체(예: BASF의 Luviquat
Figure 112005062917611-pct00015
), 폴리글리콜 및 아민의 축합 생성물, 4급화 콜라겐 폴리펩타이드, 예를 들어, 라우릴디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콜라겐(Lamequat
Figure 112005062917611-pct00016
L/Grunau), 4급화 밀 폴리펩타이드, 폴리에틸렌 이민, 양이온성 실리콘 중합체, 예를 들어, 아모디메티콘, 아디핀산 및 디메틸아미노하이드록시프로필디에틸렌트리아민의 공중합체(Cartaretine
Figure 112005062917611-pct00017
/Sandoz), 지방산과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Merquat
Figure 112005062917611-pct00018
550/Chemviron), 폴리아미노폴리아미드, 양이온성 키틴 유도체, 예를 들어, 임의로 미정질 형태로 분산된 4급화 키토산, 디할로겐알킬렌, 예를 들어, 디브로모부탄으로부터 비스디알킬아민을 사용하여 유도된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비스-디메틸아미노-1,3-프로판, 양이온성 구아 고무, 예를 들어, Jeguar
Figure 112005062917611-pct00019
CBS, Jeguar
Figure 112005062917611-pct00020
C-17, Jeguar
Figure 112005062917611-pct00021
C-16(제조원: Celanese), 4급화 암모늄염 중합체, 예를 들어, Mirapol
Figure 112005062917611-pct00022
A-15, Mirapol
Figure 112005062917611-pct00023
AD-1, Mirapol
Figure 112005062917611-pct00024
AZ-1(제조원: Miranol)이다.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쯔비터이온성, 양쪽성 및 비이온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비닐아세테이트/크로톤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비닐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부틸말리에이트/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비닐에테르/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이의 에스테르(이들은 가교결합되지 않고, 폴리올을 사용하여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가교된다), 아크릴아미도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메틸메타크릴레이트/3급-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비닐 카프로락탐 삼원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임의로 유도체화된 셀룰로스 에테르 및 실리콘이다.
추가의 경점제로서 소량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뿐만 아니라 C12-C24-지방산 또는 C12-C24-하이드록시지방산의 알루미늄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 특히 스테아르산아연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은 추가로 탈쿰, 볼러스 알바(Bolus alba), 미리강 알콜, 세틸 알콜, 세틸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르산칼슘 또는 마그네슘, 마그네슘 라우릴 설페이트, 전분 또는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이전분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전분 옥테닐석시네이트, 카복시메틸 전분, 타피오카 전분, 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 쌀 전분,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감자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등과 같은 분말 또는 분말상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방부제,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 C1 -4 알킬파라벤 및 이의 염, 특히 이의 알칼리금속염, 예를 들어, 나트륨염{예: C1 -6 알킬 파라벤(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파라벤 등의 파라벤)}, 클로로헥시딘,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 방출제, 벤질 알콜, 클로로크실레놀, 페녹시에탄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벤조산나트륨, 클로로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메틸디브로모 글루타로니트릴, 붕산나트륨, 5-브로모-5-니트로-1,3-디옥산, 알콜, 벤조산, 데하이드로아세트산,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디클로로벤질 알콜, 글루코스 옥시데아제, 헥사미딘 디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이소부틸파라벤, 이소프로필파라벤, 락토퍼옥시데아제, 질산마그네슘, PEG-4 라우레이트, 펜에틸 알콜, 폴리아미노프로필 비구아니드, 소르빈산칼륨, 프로필렌 글리콜, 피리독신 HCl, 쿼터늄-15, 소르빈산, 트리클로산, 토코페롤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유화제
본 발명 제품의 사용에 따라서, 조성물은 쯔비터이온성, 양쪽성, 양이온성 및/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유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나 이상의 4급 암모늄 그룹 및 하나 이상의 -COO(-)- 또는 -SO3 (-)- 그룹을 함유하는 계면 활성 화합물이다. 특히 유용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위 베타인, 예를 들어, N-알킬-N,N-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 예를 들어, 코코-알킬 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 N-아실-아미노프로필-N,N-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 예를 들어, 코코-아실 아미노프로필 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 및 2-알킬-3-카복시메틸-3-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린(이들은 각각 알킬 또는 아실 그룹의 탄소수가 8 내지 18이다) 뿐만 아니라 코코-아실 아미노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카복시메틸 글리시네이트이다. 바람직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의 INCI 명칭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으로 공지된 지방산 아미드 유도체이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추가로 특히 공-계면활성제로서 첨가할 수 있으며, C8-C18-알킬- 또는 아실 그룹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리 아미노 그룹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COOH- 또는 -SO3H- 그룹을 함유하고 내부염을 형성할 수 있는 계면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N-알킬 글리신, N-알킬 프로피온산, 예를 들어, N-코코-알킬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N-알킬 아미노 부테르산, N-알킬 이미노디프로피온산, N-하이드록시에틸-N-알킬 아미도프로필 글리신, N-알킬 타우린, N-알킬 사코신, 2-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 및 알킬아미노 아세트산(각각의 알킬 그룹의 탄소수가 약 8 내지 18이다)이다. 적합한 양쪽성 재료는, 예를 들어,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나트륨 코코암포아세테이트, 나트륨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이나트륨 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이나트륨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나트륨 라우로암포프로피오네이트, 이나트륨 라우로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상기 양쪽성 재료의 칼륨 또는 암모늄염, 카프릴/카프라미도프로필 베타인, 운데실렌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을 포함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 가용화 음이온 그룹(예: 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그룹) 및 친유성 잔기를 특징으로 한다. 특정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설페이트의 알칼리-, 암모늄- 또는 알칸올 암모늄염, 예를 들어,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세테아릴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설페이트, 예를 들어, 라우레스 설페이트, 나트륨 트리데세스 설페이트, 나트륨 올레스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카복실레이트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예를 들어, 나트륨 라우릴 설포아세테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석시네이트, 예를 들어, 이나트륨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아실 사코시네이트, 탄소수 12 내지 18의 직쇄 알킬- 또는 아실 그룹을 갖는 아실 타우린 뿐만 아니라 설포석시네이트 및 아실 글루타메이트의 알칼리- 또는 암모늄염이다.
4급 암모늄 유도체는 특히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할로겐화물, 특히 클로라이드 및 브로마이드, 예를 들어, 알킬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트리알킬 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 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트리세틸 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이다. 추가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우수한 생물학적 분해성을 갖는 4급 에스테르, 예를 들어, 디알킬암모늄 에토설페이트 및 메틸하이드록시알킬 디알코일옥시 알킬암모늄 메토설페이트(상품명 Stepantex
Figure 112005062917611-pct00025
으로 판매 및 Dehyquart
Figure 112005062917611-pct00026
계열의 제품)이다. "Esterquat"라는 용어는 상의, 특히 조성물의 유연성에 유리한 영향을 주는 4급화 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에스테르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추가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급화 단백질 가수분해물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글루코사이드, 예를 들어, 데실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알킬 이소티오네이트를 포함한다.
적합한 조절제는, 예를 들어, 알킬아미도 암모늄 락테이트,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디스테아로일에틸 하이드록시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및 세테아릴 알콜, 세틸 디메티콘, 세틸 리시놀레이트, 디메티콘, 라우레스-23, 라우레스-4, 폴리데센, 레티닐 팔미테이트, 혼합물을 포함하여 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 및 코코글루코사이드로부터 선택된 제제(특히 이러한 두가지 성분의 혼합물인 Cognis의 제품 'Lamesoft
Figure 112005062917611-pct00027
'), 4급화 셀룰로스 및 전분 유도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또는 염의 4급화 공중합체, 4급화 실리콘 유도체, 실리콘 오일, 사이클로메티콘 등의 제제이며,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증점제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카보머, 카복시메틸 전분, 세라 알바(cera alba), 디메티콘/비닐 디메티콘 교차중합체,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실리카, 실리카 디메틸 실리에이트, 크산탄 고무, 수소화 부틸렌/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이다.
조성물은 추가로 키토산 및 이의 유도체, 폴리아크릴산의 유도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이의 유도체 등과 같은 막 형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연제
추가로 C12 -30 카복실산 글리세라이드, 또는 추가로 특히 C12 -30 카복실산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 및 C8 -20 알킬 글루코사이드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품이 특히 중요하다. C8 -20 알킬 글루코사이드, 특히 코코-글루코사이드를 갖는 글리세릴 모노- 또는 디올리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된 'C12 -30 카복실산'이란 용어는 탄소수 약 12 내지 약 30의 직쇄(선형) 또는 측쇄 알카노산을 언급한다.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 이들 산은 불포화 또는 포화될 수 있으며, 또한 하나 이상의, 예를 들어, 두개의 하이드록시 그룹을 함유할 수 있다. 'C8 -20 알킬' 또는 'C8 -16'이란 용어는 불포화 또는 포화되고 탄소수가 약 8 내지 약 20, 또는 약 8 내지 약 16인 직쇄 또는 측쇄 탄화수소 라디칼을 언급하며,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C12 -30 카복실산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의 양은 0.01 내지 2%, 특히 0.015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175 내지 0.5%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75 내지 0.335% 또는 0.02 내지 0.5%,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2% 범위이다. 글루코사이드는 동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 절에서 모든 비율은 w/w 비율이다.
본 발명의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서 글리세릴 모노- 또는 디올리에이트 대 지방 알콜 글루코사이드의 비는 2:1 내지 1:2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1:1.5의 범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는 약 1:1이다. 특히 적합한 배합물은 20 내지 40%의 C12 -30 카복실산 글리세라이드, 20 내지 40%의 C8 -20 알킬 글루코사이드 및 물의 혼합물인 것이다. 이러한 특정 혼합물은 조성물에 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5% 범위의 양으로 첨가한다.
특히 바람직한 배합물은 상품명 'Lamesoft™', 특히 'Lamesoft PO65™'로 판매되고, 20 내지 40%의 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 20 내지 40%의 코코 글루코사이드 및 물의 혼합물인 것이다. 이러한 'Lamesoft' 제품은 조성물에 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5% 범위의 양으로 첨가한다.
활성 성분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갖는 제품은 본 발명의 특히 관심을 끄는 양태를 구성한다.
친유성 또는 친수성일 수 있는 활성 성분은 적합한 캐리어와 혼합되거나 캐리어로 혼입될 수 있다. 이들은 활성 성분을 제형화하기 위해 공지된 피부-수용성 불활성 재료를 포함한다. 캐리어는 미세하게 또는 더욱 조악하게 분리된 분말이거나 심지어 과립일 수 있다. 이들은 전분, 당, 결합제, 윤활제, 희석제, 충전제, 붕해제, 입상화제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재료의 특성은 내부에서 제형화된 활성 성분 및 목적하는 제형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활성 성분을 혼입하기 위해 특정한 캐리어는 활성 성분이 특정 형태로 포획된 비드이다.
본 발명의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소수성 또는 친수성일 수 있는 활성제의 예는 항미생물제, 예를 들어, 항균제 및 항진균제, 소염제, 항자극성 화합물, 항소양증제, 보습제, 피부 보호 성분, 식물 추출물, 비타민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성분의 예는 PVP 및 과산화수소의 복합물, 소염제, 식물 추출물, 비스아볼롤, 판테놀, 토코페롤, 항자창, 항자극, 항비듬, 노화방지용 활성제, 예를 들어, 레티놀, 멜리비오스 등을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활성제에는, 예를 들어, 메디카고 오피키날리스(Medicago officinalis), 악티니디아 키넨시스(Actinidia chinensis), 알란토인, 알로에 바르바덴시스(Aloe barbadensis), 아노나 케리몰리아(Anona cherimolia), 안테미스 노빌리스(Anthemis nobilis), 아라키스 하이포가에아(Arachis hypogaea),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아베나 사비타(Avena sativa), 베타-카로테네, 비사볼롤, 보라고 오피키날리스(Borago officinalis), 부틸렌 글리콜, 칼렌둘라 오피키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캠퍼,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 카프릴로일 글리신, 카리카 파파야(Carica papaya), 켄타우레아 사이아누스(Centaurea cyanus), 염화세틸피리디늄, 카모밀라 레쿠티타(Chamomilla recutita), 케노포듐 쿠이노아(Chenopodium quinoa), 킨코나 수키루브라(Chinchona succirubra), 콘드루스 크리스푸스(Chondrus cripus), 시트루스 아루란튬 둘시스(Citrus aurantium dulcis), 시트루스 그란디스(Citrus grandis), 시트루스 리모눔(Citrus limonum), 코코스 누시페라(Cocos nucifera),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 크라타에구스 모노기나(Crataegus monogina), 쿠쿠미스 멜로(Cucumis melo), 디클로로페닐 이미다졸디옥솔란, 엔테로모르파 콤프레사(Enteromorpha compressa), 에퀴세툼 아르벤세(Equisetum arvense), 에톡시디글리콜, 에틸 판테놀, 파네솔, 페룰산, 프라가리아 킬로엔시스(Fragaria chiloensis), 겐티아나 루테아(Gentiana lutea), 깅코 빌로바(Ginkgo biloba), 글리세린,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글라이카이르히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하마멜리스 비르기니아나(Hamamelis virginiana), 헬리오트로핀, 수소화 팜 글리세라이드, 시트레이트, 가수분해된 피마자유,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하이페리쿰 페르포라툼(Hypericum perforatum), 이리스 플로렌티나(Iris florensis), 주니페루스 콤무니스(Juniperus communis), 락티스 프로테이눔(lactis proteium), 락토스, 라우소니아 이네르미스(Lawsonia inermis), 리나룰, 리눔 우시타티시뭄(Linum usitatissimum), 리신, 아스파르트산마그네슘, 마그니페라 인디카(magnifera indica),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만니톨, 멜, 멜라루에카 알테르니폴리아(Melaleuca alternifolia), 멘타 피페리타(Mentha piperita), 멘톨, 멘틸 락테이트, 미모사 테누이플로라(Mimosa tenuiflora), 나임파에아 알바(Nymphaea alba), 올라플루르,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판테놀, 파라피눔 리쿠이둠(paraffinum liquidum), PEG-20M, PEG-26 조조바산, PEG-26 조조바 알콜, PEG-35 피마자유,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PEG-60 수소화 피마자유, PEG-8 카프릴산/카프르산, 페르세아 그라티시마(Persea gratissima), 석유, 아스파르트산칼륨, 소브빈산칼륨, 프로필렌 글리콜, 프루누스 아미그달루스 둘시스(Prunus amygdalus dulcis), 프루누스 아르메니아카(Prunus armeniaca), 프루누스 페르시카(Prunus persica), 레티닐 팔미테이트, 리시누스 콤무니스(Ricinus communis), 로사 카니나(Rosa canina), 로스마리누스 오피키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루부스 이다에우스(Rubus idaeus), 살리실산, 삼부쿠스 니그라(Sambucus nigra), 사코신, 세레노아 세룰라타(Serenoa serrulata), 심몬드시아 키넨시스(Simmondsia chinensis), 나트륨 카복시메틸 베타글루칸, 나트륨 코코일 아미노산,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 나트륨 팔리토일 프롤린, 스테아록시트리메틸실란, 스테아릴 알콜, 황화 TEA-리시놀리에이트, 탈쿰, 타이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틸리아 코르다타(Tilia cordata), 토코페롤,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트리데세스-9, 트리티쿰 불가레(Triticum vulgare), 티로신, 운데실레노일 글리신, 우레아, 박키니움 마이르틸루스(Vaccinium mytillus), 발린, 산화아연, 황산아연 등이 있다.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즉 자극되거나 적변되거나 손상된 피부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활성 성분이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제제의 예는 아연 화합물 또는 황이다.
활성 성분은 성분의 특성 및 이의 적용에 따라서 다양한 농도로 존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0.01 내지 10%(w/w),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w/w),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w/w는 지질의 총량 또는 조성물에 대해 표현된 것이다.
항미생물제의 대표적 예는 그람-양성균에 대해 활성인 것이며, 예를 들어,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비페닐 에테르, 클로로헥시딘(1,6-디-(4-클로로페닐비구아니도)헥산) 또는 TCC(3,4,4'-트리클로로카바닐리드)이다. 또한, 많은 방향제 및 에테르계 오일은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다. 대표적 예는 카네이션 중의 활성 성분 에우게놀, 멘톨 및 티몰, 민트 및 백리향 오일이다. 항미생물 특성을 갖는, 추가의 중요한 천연 탈취제는 테르펜 알콜 파르네솔(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엔-1-올) 및 키토산이다. 또한 글리세린 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올리에이트 뿐만 아니라 글리세린 디올리에이트는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의 순함 및 부작용 부재에 기인하여 아기에게 적용하는 제품에의 사용에 특히 관심을 끈다. 항미생물제의 양은 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질 및/또는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약 0.1 내지 2%(w/w)의 범위이다.
지질 및/또는 조성물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보습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을 첨가하여 감지 특성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수화를 조절한다. 이러한 제제는 추가로 시트에서 또는 시트로 조성물의 침입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보습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1 내지 20%(w/w),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w/w),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w/w)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보습제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 피롤리돈 탄산, 유산 및 이의 염, 락티톨, 우레아 및 우레아 유도체, 유레산, 글루코사민, 크레아티닌, 콜라겐의 가수분해 생성물, 키토산 또는 키토산염/유도체, 특히 폴리올 및 폴리올 유도체{예: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에리트라이트, 1,2,6-헥산트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예: PEG-4, PEG-6, PEG-7, PEG-8, PEG-9, PEG-10, PEG-12, PEG-14, PEG-16, PEG-18, PEG-20, PEG-135, PEG-150)}, 당 및 당 유도체(예: 프럭토스, 글루코스, 말토스, 말티톨, 만니트, 이노시트, 소르비트, 소르비틸 실란디올,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크실로스, 크실리트, 글루쿠론산 및 이의 염), 에톡시화 소르비톨(Sorbeth-6, Sorbeth-20, Sorbeth-30, Sorbeth-40), 벌꿀 및 수소화 벌꿀, 수소화 전분 가수분해물 뿐만 아니라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가수분해된 우유 단백질, 레시틴, 히알루론산 및 이의 염, 및 PEG-20-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트리글리세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항발한제 또는 탈취제로서, 특히 이러한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와이프 또는 티슈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을 위한 제품에서 조성물은 탈취 및/또는 항발한 특성을 갖는 활성제, 예를 들어, 알루미늄 클로로수화물, 알루미늄-지르코늄-클로로수화물 뿐만 아니라 아연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또한, 선스크린 적용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 선스크린 와이프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제품에서 지질 및/또는 조성물은 유기 재료일 수 있는 선스크린 필터를 함유한다. UVA 또는 UVB 필터 또는 이들 둘다, 또는 무기 안료(예: 이산화티탄).
자체 닝제로서 디하이드록시 아세톤을 첨가할 수 있다.
지질 및/또는 조성물은 액체 및/또는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0.001 내지 0.1%(w/w)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는 향장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의 적용
조성물은 수성 또는 비수성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해 당해 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시트에 적용할 수 있다. 너무 점성이지 않은 액상 조성물 또는 반고체 조성물에 대해 분무, 적하, 침지 등과 같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조성물에 바람직한 적용 방법은 적합한 노즐을 사용하는 분무 또는 예를 들어, 구멍 또는 슬릿을 갖는 천공 튜브를 사용하는 적하에 의한 것이다. 침지 기술은 시트를 조성물을 함유하는 욕으로 통과시키고, 계속해서 가압에 의해 흡수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여 수행할 수 있다. 와이프 위에 이러한 액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의 양은 약 100 내지 약 400%,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400%의 범위일 수 있으며, 이는 무수 조건에서 시트의 중량에 대한 조성물의 중량으로서 표현된 것이다.
조성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균질하게 또는 불균질하게,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표면 또는 표면 부분에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재료의 전체에 걸쳐서 적용할 수 있다. 임의로 시트의 특정 부분은 건조한 상태로 남을 수 있으며, 즉 조성물을 갖지 않는다. 조성물은 시트의 양면에서 또는 한 면에서만 적용할 수 있다.
고체 또는 반고체인 조성물은 여러 양으로, 예를 들어, 기재 1g당 약 0.1 내지 약 10g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재 1g당 약 1.0 내지 약 10g,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5g, 가장 바람직하게는 무수 기재 1g당 약 2 내지 약 4.5g,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7 내지 약 3.8g의 양으로 적용한다. 또는, 조성물은 약 4 내지 약 8g/17.2 x 21cm 크기의 와이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g/와이프의 양으로 적용한다.
반고체 또는 고체인 조성물은 시트에 여러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시트의 표면에 조성물 재료의 도포를 허용하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도포'라는 용어는 프린팅, 커버링, 오버레잉, 가공, 분무, 압출, 적층 또는 시트의 표면에 상을 적용하는 다른 방법을 언급한다. 또다른 기술은 전통적인 프린팅 기술을 근거로 하며, 이는 예를 들어, 스크린 프린팅, 롤러 프린팅 및 그라비야 프린팅을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시트의 표면에 또는 표면 부분에, 한 면에 또는 양면에 적용할 수 있다. 이들은 시트에 균질하게 또는 불균질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불균질하다는 것은 조성물의 양의 분포가 시트의 면적에 걸쳐 변함을, 즉 시트의 특정 면적이 많거나 적은 양의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시트의 면적에 균질하게 적용한다.
조성물은 시트의 한 면에 또는 양면에 불연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적용할 수 있거나 심지어 직물의 한 면 또는 양면의 완전한 커버링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시트의 제한된 부분 또는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특정 형태는, 예를 들어, 규칙적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줄무늬, 도트 또는 반점, 기하학적 구조, 예를 들어, 원, 타원, 정방형, 장방형 등, 로고, 텍스트, 문자 또는 다른 비연속적 패턴이다. 조성물은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즉 차단된, 또는 바람직하게는 와이프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연속적인 별개의 줄무늬로서 존재할 수 있다. 줄무늬는 또한, 줄무늬를 공동으로 포함하는 별개 단편의 패턴을 형성하거나 이들은 반복적 패턴(예: 사인 곡선형 또는 웨이브-유사 등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웨이빙 줄무늬가 선택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줄무늬가 상(phase)에 존재하여 평행이 유지되고 각각의 줄무늬가 인접한 줄무늬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줄무늬는 바람직하게는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해서 기계 방향으로 배향된다.
반고체 또는 고체인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시트의 한 면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약 3 내지 40g/㎡,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0g/㎡의 양으로 적용한다. 또는, 대신에 이러한 조성물은 기재 1g당 약 0.06 내지 0.8g, 바람직하게는 무수 기재 1g당 약 0.20 내지 0.40g의 양으로 적용한다.
제조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서 정의된 시트를 포함하는 생성물 및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시트를 본원에서 기술된 조성물과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방법은 시트를 본원에서 기술된 조성물로 함침시키거나 특히 와이프를 액상 조성물로 함침시키거나 분무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원에서 정의된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를 본원에서 기술된 고체 또는 반고체 조성물로 도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한 실시에서, 시트는 줄무늬로 절단되며, 이의 횡방향 크기는 최종 제품, 특히 티슈 또는 와이프의 크기와 유사하다. 계속해서 운반 줄무늬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고 적용되는 방법에 따라서 접는다. 이렇게 접힌 줄무늬는 본원에서 기술된 액상 조성물로 습윤시키고, 상기 습윤은 바람직하게는 분무 또는 적하를 포함한다. 또는 직물 줄무늬는 먼저 습윤되고, 이어서 접힐 수 있다. 줄무늬는 또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욕에 침지시키거나 조각을 통과시킴으로써 조성물로 함침시킬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예를 들어, 조성물로 분무 또는 프린팅함으로써 도포할 수 있다.
추가 단계에서, 줄무늬를 절단하여 목적하는 크기의 시트, 특히 와이프가 수득되도록 한다. 이렇게 수득된 시트(또는 와이프)는 개별적으로 충전시키거나 소정의 수, 예를 들어, 1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의 수, 또는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2의 수로 퇴적시킬 수 있으며, 다음에 더미는 적합한 포장, 예를 들어, 플라스틱 랩, 박스 등에 포장할 수 있다.
조성물은 시트의 제조 공정 동안에 언제라도 시트에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시트의 제조 공정을 마친 후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트가 건조된 후에 시트에 적용한다. 조성물은 또한, 여전히 축축한 동안 이를 제조한 직후에 시트 재료에 적용할 수 있다.
용도 및 특성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아기 또는 성인 와이프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적용에 개인 보호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은 세정 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이의 용도는 이러한 적용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활성 재료, 특히 본원에서 언급된 활성 재료의 도포기로서 용도를 발견할 수 있거나 활성 재료의 세정제 및 도포기로서 용도를 발견할 수 있다. 시트는 광범위한 적용에 와이프로서 용도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아기 세정 와이프, 안면 또는 아기 세정 와이프, 피부 치료 또는 피부 컨디셔닝, 예를 들어, 피부 보습을 위한 및 피부 노화에 대한 와이프, 곤충 기피성 와이프, 분말 와이프, 화장실 와이프, 항발한 와이프, 박리 와이프, 일광욕후 치료 와이프, 선스크린 와이프, 여성 위생용 와이프, 기저귀 발진 와이프, 후자는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으로서 산화아연 등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서 상승 영역은 하강 영역보다 낮은 밀도를 갖고, 시트 내에 또는 시트 위에 부하된, 조성물, 특히 액상 조성물을 보다 다량 흡수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성물은 시트의 상승 영역에서 집중되며, 이는 시트의 사용시에 피부와 접촉하는 시트의 부분에서 발생한다. 결국, 피부와 시트의 상승 영역이 더욱 강하게 접촉하며, 여기서, 조성물이 집중되고, 상승 영역에서 피부에 조성물이 다량 방출된다. 이러한 조성물이 세정 조성물, 특히 액상 세정제인 경우, 이는 더욱 효과적인 세정을 초래한다. 이러한 조성물이 보호 특성을 갖는 특정한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또는 특히 이러한 조성물이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이러한 조성물을 갖는 시트 제품은 피부에 보호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세정제, 보호 성분, 또는 활성 성분 또는 이들의 배합물에 더욱 효율적인 비히클이다. 본 발명의 시트 제품은 추가로 피부에 보호 또는 활성 성분의 더욱 균질한 분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트 제품은 유연성 및 느낌에 의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이들은 특정 엠보싱에 의해 유발된 직물 표면의 변화에 기인하여 직물에 더욱 유연한 느낌을 제공한다. 제품은 또한, 피부에 와이프의 적은 마찰 때문에(유연한 피부 느낌) 더욱 부드러운 세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품은 편리하고 신속한 적용, 및 제품의 더욱 용이하고 균질한 분포를 허용하므로, 특히 관심을 끈다. 이들은 또한, 아기 및 어린이에게 적용하기에 용이하다.
이러한 유리한 특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제품은 광범위한 향장학적 및 개인 보호 적용에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은 또한 세정 적용(예: 경질 표면의 세정)에서 용도를 발견할 수 있다.
시트 제품의 유연성은 다수의 시험으로 입증할 수 있다. 이러한 한 가지 시험은 시트를 종방향판에 정의된 질량의 대상물이 놓인 한쪽 말단에서 배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계속해서 판의 그 말단은 대상물이 하향 글라이딩을 시작할 때까지 상승된다. 중량이 글라이딩을 시작하는 순간에 판의 각을 측정하고, 표준 시트의 것과 비교한다.
다음 실시예는 INCI의 명명법을 사용하여 제공한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및 레이온의 스테이플 섬유를 카딩기로 가공하여 웹을 제조한다. 카딩기는 50g/㎡의 표면 중량을 갖는 폭에 걸쳐 균질하게 전개된 섬유를 카딩 및 스파이킹된 롤러로 이동시키는 것 아래에 배치된 진동 슈우트를 갖는 호퍼 공급기를 포함한다. 연속 벨트는 계속해서 레잉된 카딩된 부직포를 칼렌더링 장치로 및 이어서 부분적 수교락가 발생하는 수교락법 장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이렇게 예비압밀된 웹을 제2 칼렌더링 장치로 및 이어서 결합된 수교락/엠보싱 장치로 이동시킨다. 후자는 웨이브 패턴을 갖는 청동 메쉬가 표면에서 장치된 드럼을 포함한다. 이 드럼은 3개의 워터 제트 세트로 포위되고, 각각의 세트는 드럼을 교차하여 약 1cm의 거리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된 일련의 워터 제트를 포함한 다. 워터 제트의 다음 시리즈에서 제트는 앞의 것으로부터 1cm의 약 1/3에 배치되어 3개의 시리즈를 모두 통과한 후, 웹의 전체 표면이 가압되고 수교락되도록 한다. 이 단계에서, 수교락는 엠보싱이 일어남과 동시에 완결된다. 이 단계 후에, 압밀된 웹을 건조시킨다.
실시예 2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건조한 수교락된 시트 재료를 줄무늬로 절단한다. 아래에 실시예 3에서 기재된 조성을 갖는 액상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분무한다. 액체 첨가는 6g/와이프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줄무늬를 접고 절단한다.
실시예 3
조성 A
물 96.336%
폴리소르베이트 20 0.600%
PEG-75 라놀린 0.100%
향료 0.150%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0.400%
프로필렌 글리콜 1.120%
페녹시에탄올 0.800%
사나트륨 EDTA 0.078%
카모밀라 레쿠티타 0.070%
에톡시디글리콜 0.171%
부틸렌 글리콜 0.035%
글루코스 0.016%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0.010%
PEG-4 라우레이트 0.090%
시트르산 0.020%
조성 B
물 98.252%
페녹시에탄올 0.800%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0.010%
PEG-4 라우레이트 0.090%
향료 0.150%
사나트륨 EDTA 0.078%
시트르산 0.020%
폴리소르베이트 20 0.600%
조성 C
물 97.250%
글리세린 1.000%
페녹시에탄올 0.800%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0.010%
PEG-4 라우레이트 0.090%
향료 0.150%
사나트륨 EDTA 0.078%
시트르산 0.020%
폴리소르베이트 20 0.600%
조성 D
물 96.332%
글리세린 1.000%
페녹시에탄올 0.800%
폴리소르베이트 20 0.600%
PPG-15 스테아릴 에테르 0.400%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0.100%
프로필렌 글리콜 0.350%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0.010%
PEG-4 라우레이트 0.090%
카모밀라 레쿠티타 0.070%
향료 0.150%
사나트륨 EDTA 0.078%
시트르산 0.020%
조성 E
물 97.33%
페녹시에탄올 0.800%
폴리소르베이트 20 0.600%
소르베트-30 0.400%
프로필렌 글리콜 0.350%
디메티콘 코폴리올 0.100%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0.010%
PEG-4 라우레이트 0.090%
카모밀라 레쿠티타 0.070%
향료 0.150%
사나트륨 EDTA 0.078%
시트르산 0.020%
상기 제형은 성분들을 이의 기재 순서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Claims (39)

  1.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의 상당 부분의 내부에 서로에 인접하게 위치한 일련의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패턴이 엠보싱되어 있는 기재(여기서, 기재의 기본 중량은 전체 표면에 걸쳐서 본질적으로 동일하고, 상승 영역의 밀도는 하강 영역의 밀도보다 낮다)를 포함하고, 웹 형성 방법으로서 카딩, 스펀레잉, 용융취입, 에어레잉, 웨트레잉 또는 이의 조합법으로 처리한 다음, 웹 결합 방법으로서 수교락법(hydro-entanglement)으로 처리하여 수득한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
    시트의 양면이 융기 패턴을 갖고, 상승 영역 또는 하강 영역 중의 어느 것도 평탄한 부분을 갖지 않고,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이 10% 편차 내에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의 순환 패턴으로 배열되고,
    하강 영역의 밀도가 100 내지 180㎏/㎥의 범위이고, 상승 영역의 밀도가 50 내지 100㎏/㎥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시트의 기본 중량이 10 내지 80g/m2의 범위인,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시트가 셀룰로스와 합성 섬유와의 혼방물을 사용하여 수교락법으로 제조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강 영역의 일부분 이상의 횡단면이 이의 바닥 부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하게 된 원형을 나타내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또는 흡수성 기재가, 웹 형성 단계에서 부직포 섬유의 하나 이상의 섬유 층을 하나 이상의 카딩 단위장치를 사용하여 카딩시켜 전구체 기재를 제조하고 이를 수교락시켜 수득한 부직포 재료인,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또는 흡수성 기재가, 부직포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섬유 층을 하나 이상의 카딩 단위장치를 사용하여 카딩시켜 제1 전구체 기재 층을 제조하고, 하나 이상의 제2 섬유 층을 에어레잉시켜 제1 전구체 기재 층 위에 위치시키고, 부직포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3 섬유 층을 하나 이상의 카딩 단위장치를 사용하여 카딩시키고, 제3 전구체 기재 층을 제2 전구체 기재 층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전구체 기재를 제공하고 이를 수교락시킴으로써 수득한 부직포 재료인,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전구체 기재가 하나 이상의 카딩 방법으로 수득된 하나 이상의 제1 전구체 기재 층 및 스펀레잉으로 수득되고 제1 전구체 기재 층의 상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시킨 하나 이상의 제2 전구체 기재 층에 의해 제조되고, 적층된 전구체 기재가 수교락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전구체 기재가 카딩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1 전구체 기재 층, 이어서 에어레잉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2 전구체 기재 층, 이어서 스펀레잉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3 전구체 기재 층, 및 이어서 차례로 카딩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4 전구체 기재 층을 포함하고, 다층 전구체 기재를 수교락법 웹 결합 단계로 처리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전구체 기재가 카딩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1 전구체 기재 층, 이어서 에어레잉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2 전구체 기재 층, 이어서 용융취입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3 전구체 기재 층, 및 이어서 차례로 카딩으로 수득한 하나 이상의 제4 전구체 기재 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재료이고, 제1 내지 제4 전구체 기재 층이 서로의 상부에 중첩되는 경우, 전구체 기재가 형성되며, 이를 수교락법 웹 결합 단계에서 처리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3차원 패턴이 시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존재하고, 엠보싱된 패턴이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존재할 수 있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이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형성하고, 상이한 패턴이 서로에게 인접하거나 패턴이 없는 영역에 의해 분리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하강 영역의 밀도가 120 내지 170 ㎏/㎥의 범위이고, 상승 영역의 밀도가 60 내지 90 ㎏/㎥의 범위인,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이 선 또는 줄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에서 시트의 하나 이상의 표면이 사인 곡선형을 갖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18. 제1항에 있어서, 하강 영역과 상승 영역의 폭이 시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시트가 건조하거나 수성 액체 또는 유계 액체로 함침되거나 피복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21. 삭제
  22. 섬유의 웹을 융기부와 함몰부를 갖는 고정 부재 위에 또는 부재를 향해 위치시키고, 시트를 고정 부재의 패턴으로 영구적으로 엠보싱하는 정도의 압력을 가하여 웹을 고정 부재에 대해 가압시키는 제1항에 따르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웹이 고정 부재에 대해 가압시키기 전에, 가압하는 동안 또는 가압시킨 후에 교락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웹이 고정 부재에 대해 워터 제트의 압력의 영향하에 수교락 동안에 가압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섬유의 웹이 수교락법에 의해서 및 수교락 동안에 엠보싱되고 교락되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구성판, 구성 벨트 또는 구성 실린더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적어도 이의 한 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합성 물질 또는 천연 고무로부터 제조되는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자체 유지 고정 부재인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융기부와 함몰부를 포함하는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을 포함하는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지지 부재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시트 위에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을 형성하도록 성형된 융기 영역과 함몰 영역을 갖는 지지 실린더 위에 청동 와이어 메쉬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4항에 있어서, 시트가 합성 섬유 30 내지 50중량%와 셀룰로스 섬유 50 내지 70중량%를 사용하여 수교락법으로 제조되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32. 제15항에 있어서, 줄무늬 또는 선이 시트의 한쪽에서부터 다른 쪽까지 한 방향으로 연속해서 이어지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줄무늬 또는 선이 시트가 제조되는 기계 방향으로 또는 교차 방향으로 이어지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34. 제1항에 있어서, 상승 영역과 하강 영역이 웨이브 패턴, 지그재그 패턴, 다수의 선 패턴 또는 줄무늬 패턴에 따르는,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35. 제18항에 있어서, 상승 영역의 폭이 하강 영역의 폭과 10% 편차 내에서 동일한,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36. 제20항에 있어서, 수성 액체 또는 유계 액체가 수용액, O/W 에멀션, PIT 에멀션, W/O 에멀션, 다중 에멀션, 피커링(Pickering) 에멀션, 마이크로에멀션, 유계 용액 또는 제형, 또는 수분산액인, 다공성 또는 흡수성 부직포 시트.
  37. 제26항에 있어서, 금속이 강, 구리 또는 청동인 방법.
  38. 제26항에 있어서, 합성 물질이 플라스틱, 합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인 방법.
  39. 제29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가 지지 실린더인 방법.
KR1020057020784A 2003-05-01 2005-11-01 패턴화 시트 제품 KR101114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76322 2003-05-01
EP03076322.1 2003-05-01
EP03076372 2003-05-05
EP03076372.6 2003-05-05
PCT/EP2004/004627 WO2004097096A1 (en) 2003-05-01 2004-04-30 Patterned sheet produ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922A KR20060038922A (ko) 2006-05-04
KR101114895B1 true KR101114895B1 (ko) 2012-03-06

Family

ID=3342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784A KR101114895B1 (ko) 2003-05-01 2005-11-01 패턴화 시트 제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35625B2 (ko)
EP (1) EP1618240B1 (ko)
JP (1) JP4739182B2 (ko)
KR (1) KR101114895B1 (ko)
CN (1) CN1780954B (ko)
BR (1) BRPI0409900B1 (ko)
CA (1) CA2523748C (ko)
DE (1) DE602004002206T2 (ko)
ES (1) ES2271883T3 (ko)
WO (1) WO2004097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95711B1 (en) 2001-09-19 2006-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color printed laminated structur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04060623A1 (de) * 2004-12-16 2006-08-03 Paul Hartmann Ag Wattepad
US20060141217A1 (en) * 2004-12-29 2006-06-29 Ellis Clifford J Deep pattern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them
US8410005B2 (en) 2006-03-30 2013-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cks of pre-moistened wipes with unique fluid retention characteristics
US20070254145A1 (en) 2006-05-01 2007-1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lded elements
JP2008208492A (ja) * 2007-02-27 2008-09-11 Kochi Prefecture 保湿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ITFI20070084A1 (it) 2007-04-06 2008-10-07 Delicarta Spa Materiale nastriforme cartaceo goffrato
KR100905501B1 (ko) * 2007-10-01 2009-07-01 주식회사 아모메디 흡습 속건 기능을 갖는 나노섬유층으로 구성된 복합 시이트
JP4642063B2 (ja) * 2007-12-10 2011-03-02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柔軟性のある長繊維不織布
AU2010330866A1 (en) * 2009-12-17 2012-07-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mensionally stable nonwoven fibrous webs, melt blown fine fib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856591B2 (en) 2010-03-30 2018-01-02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fabric
BR112013000281A2 (pt) * 2010-07-07 2016-05-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antas fibrosas não tecidas produzidas por deposição a ar (airlaid) dotadas de um padrão e métodos de preparo e uso das mesmas
US9648874B2 (en) 2010-12-07 2017-05-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atural, multiple use and re-use, user saturated wipes
US9832993B2 (en) 2010-12-07 2017-12-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lt processed antimicrobial composition
US9149045B2 (en) 2010-12-07 2015-10-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pe coated with a botanical emulsion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US8524264B2 (en) 2010-12-07 2013-09-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tein stabilized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med by melt processing
US8445032B2 (en) 2010-12-07 2013-05-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lt-blended protein composition
JP5542080B2 (ja) * 2011-03-30 2014-07-09 帝人株式会社 柔軟性と保水性に優れた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55115B1 (ko) * 2011-09-27 2012-06-11 주식회사 성진물산 3 레이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US8574628B2 (en) 2011-12-19 2013-1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atural, multiple release and re-use compositions
WO2013103629A1 (en) * 2012-01-04 2013-07-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tive containing fibrous structures with multiple regions
JP5927061B2 (ja) * 2012-06-22 2016-05-25 帝人株式会社 シート状止血材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JP5946487B2 (ja) 2013-04-01 2016-07-06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毛髪処理方法及び頭皮の清拭方法
TW201508118A (zh) * 2013-08-30 2015-03-01 Kang Na Hsiung Entpr Co Ltd 非織造紙巾及其製備方法
JP2015193621A (ja) * 2014-03-28 2015-11-05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整髪用化粧品及びそれを用いた整髪方法
US9791269B2 (en) 2014-08-29 2017-10-17 Jutta Krebber Dent mirror
AT516414B1 (de) * 2014-10-28 2017-07-15 Chemiefaser Lenzing Ag Flüssigkeitsgetränkter Vliesstoff, enthaltend Zinkoxid-haltige Cellulosefasern
CN104473836A (zh) * 2014-11-20 2015-04-01 柳江县联华纸制品厂 卸妆湿纸巾
JP6647129B2 (ja) * 2015-04-28 2020-02-14 旭化成株式会社 圧密化された柄を有するセルロース不織布
JP6734072B2 (ja) * 2016-02-25 2020-08-05 旭化成株式会社 フェイスマスク用セルロース繊維不織布
US20190150522A1 (en) 2016-03-08 2019-05-23 Pedilay Care Gmbh Sock
EP3426479A1 (en) * 2016-03-08 2019-01-16 Pfnonwovens, Llc Three-dimensionally patterned non-woven having stress recovery
WO2017196517A1 (en) 2016-05-09 2017-11-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extured subtractive patterning
CN106906570A (zh) * 2017-03-13 2017-06-30 浙江洁诺新材料有限公司 水刺无纺布及其制造方法
JP6632579B2 (ja) * 2017-08-01 2020-0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凹凸パターン付き不織布の製造方法
US10722091B2 (en) 2017-10-06 2020-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ly coated tow fibers
US10653286B2 (en) 2017-10-06 2020-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coating
MX2021000098A (es) * 2018-07-10 2021-03-25 Kimberly Clark Co Sustratos a base de fibras micro- y nanoestructurados.
EP3623509B1 (de) * 2018-09-13 2021-04-07 Lenzing Aktiengesellschaft Gewebe aus miteinander verwobenen zwirnen
EP3650082B1 (en) * 2018-11-07 2024-03-20 O-pac S.r.l. Società A Socio Unico Dispersion including glitters for the preparation of humidifying wipes
JP7266392B2 (ja) * 2018-11-22 2023-04-28 花王株式会社 ワイピングシート
DE102020117127A1 (de) 2020-06-30 2021-12-30 Bode Chemie Gmbh Wischtuch für die Reinigung und Desinfektion von Gegenständen und Oberflächen
US11053696B1 (en) * 2020-01-31 2021-07-06 Champion 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such floor covering
US11927020B2 (en) 2020-01-31 2024-03-12 Champion 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Floor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or panel
US11718565B2 (en) 2020-01-31 2023-08-08 Champion 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such floor covering
US11097512B1 (en) 2020-01-31 2021-08-24 Champion Link Intern Aiton Al Corporation Floor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or panel
US11391049B2 (en) * 2020-01-31 2022-07-19 Champion 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panel
US11542712B2 (en) 2020-03-13 2023-01-03 Champion 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panel
US11149441B2 (en) 2020-03-13 2021-10-19 Champion 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panel
WO2021207441A1 (en) 2020-04-10 2021-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rheological solid composition
US11812909B2 (en) 2020-04-10 2023-1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with a rheological solid composition
US11724537B2 (en) 2020-05-26 2023-08-15 Champion 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NL2025684B1 (en) 2020-05-26 2021-12-14 Champion Link Int Corp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US11530536B2 (en) 2020-07-15 2022-12-20 Champion 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Panel
US11326356B2 (en) 2020-07-15 2022-05-10 Champion Link International Corporation Floor or wall panel
DE102020120291A1 (de) 2020-07-31 2022-02-03 Cmc Consumer Medical Care Gmbh Reinigungstuch mit einem absorbierenden Vliesmateria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SE546124C2 (en) * 2020-08-24 2024-05-28 Stora Enso Oyj Air-laid blank and a method of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shaped product from said air-laid blank
WO2022082192A1 (en) 2020-10-16 2022-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coating
US11833237B2 (en) 2021-03-09 2023-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enhancing scalp active de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7637A (en) * 1975-03-13 1978-11-28 Scott Paper Co. Method of manufacturing a dry-formed, embossed adhesively bonded, nonwoven fibrous sheet
DE3000130A1 (de) 1980-01-04 1981-07-09 Consortium für elektrochemische Industrie GmbH, 8000 München 4-thioparabansaeure-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anwendung als herbizide mittel
JPS58132155A (ja) * 1982-01-31 1983-08-06 ユニ・チヤ−ム株式会社 模様を有する不織布の製造方法
US4529480A (en) * 1983-08-23 1985-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issue paper
JPH05209353A (ja) * 1991-08-05 1993-08-20 Oji Paper Co Ltd 不織布の製造方法
JPH06184893A (ja) * 1992-12-07 1994-07-05 Unitika Ltd 鮮明な模様を有する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986689B2 (ja) * 1994-08-29 1999-1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ワイパーの製造方法
US5674591A (en) * 1994-09-16 1997-10-07 James; William A. Nonwoven fabrics having raised portions
ZA969572B (en) 1995-11-29 1997-06-02 Kimberly Clark Co Creped hydroentangled nonwoven laminate and process for making
US6420013B1 (en) 1996-06-14 2002-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ly tissue paper
JP3575685B2 (ja) * 1997-11-19 2004-10-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人体をクレンジングするための払拭体物品
EP1210342A1 (en) * 1999-08-19 2002-06-05 Gentest Corporation The use of fluorescein aryl ethers in high throughput cytochrome p450 inhibition assays
CN100392166C (zh) 2000-03-24 2008-06-04 花王株式会社 膨松片材及其制造方法
JP3703711B2 (ja) * 2000-11-27 2005-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6725512B2 (en) * 2001-06-05 2004-04-27 Polymer Group, Inc. Imaged nonwoven fabric for cleaning applications
JP2003070707A (ja) 2001-08-31 2003-03-11 Kinsei Seishi Kk 清掃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34543A1 (en) 2004-11-11
CN1780954B (zh) 2010-04-28
EP1618240B1 (en) 2006-08-30
ES2271883T3 (es) 2007-04-16
CN1780954A (zh) 2006-05-31
JP2006525440A (ja) 2006-11-09
BRPI0409900B1 (pt) 2016-01-19
KR20060038922A (ko) 2006-05-04
US8435625B2 (en) 2013-05-07
EP1618240A1 (en) 2006-01-25
CA2523748A1 (en) 2004-11-11
JP4739182B2 (ja) 2011-08-03
CA2523748C (en) 2011-11-29
WO2004097096A1 (en) 2004-11-11
DE602004002206D1 (de) 2006-10-12
BRPI0409900A (pt) 2006-04-25
DE602004002206T2 (de) 2007-08-02
US20080318004A1 (en) 200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895B1 (ko) 패턴화 시트 제품
ES2281534T3 (es) Productos secos que comprenden una lamina y dos fases.
MXPA04000365A (es) Productos que comprenden una hoja y una fase lipidica y una acuosa.
US6926931B2 (en) Dual sided nonwoven cleaning articles
EP1555982B1 (en) Products comprising a dry applicator, an aqueous phase and a lipid phase
ES2337781T3 (es) Productos secos que comprenden un aplicador y una fase de cera.
US20060210771A1 (en) Cleaning sheet with improved three-dimensional cleaning surface
AU2003250011B2 (en) Products comprising an applicator and a lipid and aqueous phase
AU2004234543B2 (en) Patterned sheet products
US20040258844A1 (en) Nonwoven cleaning articles having compound three-dimensional images
US20060154834A1 (en) Products comprising an applicator and lipid and aqueous phase
US20050025936A1 (en) Nonwoven cleaning articles having intercalated three-dimensional images
WO2004091358A2 (en) Dual sided nonwoven articles for clea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