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943B1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943B1
KR101110943B1 KR1020097006476A KR20097006476A KR101110943B1 KR 101110943 B1 KR101110943 B1 KR 101110943B1 KR 1020097006476 A KR1020097006476 A KR 1020097006476A KR 20097006476 A KR20097006476 A KR 20097006476A KR 101110943 B1 KR101110943 B1 KR 101110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out
key
display
use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7079A (ko
Inventor
도모타케 아오노
쥰이치 우지이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65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7819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94066A external-priority patent/JP5456230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7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1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single handed use or left/right hand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조작 키 그룹을 표시 유닛(4)에 표시하여, 터치 패널(5)을 통해 입력 조작을 행하도록 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방법은, 터치 패널(5) 상에 선 도형을 드로잉하는 사용자 조작에 근거하여, 표시 유닛(4)에 표시된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 및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표시 위치 및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조작 키 그룹을 표시 유닛(4)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PORTABLE TERMINAL APPARATUS}
본 출원은 2006년 9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65289호, 및 2006년 10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9406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을 여기에 참조를 위해 포함시켜 둔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방법 및 상기 레이아웃 방법을 실시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의 입력에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방법 및 상기 레이아웃 방법을 실시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도, 손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전자 메일과 같은 각종 정보를 교환하는 기회가 급증하고 있다.
테스크탑 퍼스널 컴퓨터와는 달리, 휴대 단말 장치를 휴대하기 위해서는 단말 본체를 소형화할 필요가 있다. 소형화에 따라, 키 입력 시스템의 소형화, 및 일정 조작성의 확보라는 모순된 요구를 밸런싱해야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키 입력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키 입력의 조작성 향상을 위한 기술로서, 예컨대, 사용자가 표시 화면 보기를 변경할 때, 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의 방향을 변경하여 휴대 단말 장치를 조작할 때에, 키 조작 시스템의 키 배치 및 키 조작 유닛의 표시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키 조작시의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2-51124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249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의 방향을 변경하여 휴대 통신 단말을 조작하는 경우이더라도, 휴대 단말 장치의 방향 변경에 따라 조작 키도 회전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휴대 단말 장치의 방향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 장치의 방향에 대응하는 키 배열을 기억할 필요가 없다. 또,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휴대 단말 장치를 잡고 휴대 단말 장치를 조작하는 경우 및 사용자가 왼손으로 휴대 단말 장치를 잡고 휴대 단말 장치를 조작하는 경우의 양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따라 조작 키를 반전함으로써 일정한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에 따른 기술은,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표시되는 표 시 화면을 다양한 방향으로 변경할 때 또는 단말 본체의 잡는 위치, 즉, 단말 본체의 조작이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변경될 때이더라도, 본래의 조작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따라서, 상기 기술은 통상 사용시에 있어서의 키 입력 자체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아니다.
이들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는, 통상 사용시에는 모든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의 고유한 키의 구성에 따라 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각 사용자는 휴대 단말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휴대 단말 장치에 적응하여야 한다. 사용자의 손 크기나, 단말 장치를 잡는 위치 등에 따른 손가락의 가동 범위, 휴대 단말 장치를 조작하는 오른손 또는 왼손의 차이에 따른 손가락의 가동 범위 등은 고려되지 않는다. 현재의 키의 레이아웃이 불편하다고 사용자가 느끼더라도, 기본적으로 키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 따라서, 몇몇 사용자들은 단말 장치를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 장치의 터치 패널 상에 표시되는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을 사용자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휴대 단말 장치의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방법 및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방법의 발명은, 조작 키 그룹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여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 조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방법으로서, 터치 패널 상에 표시된 선 도형을 드로잉하는 사용자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 및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표시 위치 및 범위에 근거하여 표시 유닛 상에 조작 키 그룹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1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 패널 상에 연속적으로 드로잉된 도형의 묘사 위치, 및 상기 도형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각각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 및 범위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1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방법에 있어서, 표시 유닛에 조작 키 그룹을 표시한 후에, 조작 키 그룹의 1점을 기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입력에 따라,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켜,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2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방법에 있어서, 표시 유닛에 조작 키 그룹을 표시한 후에, 조작 키 그룹의 1점을 기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입력에 따라,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켜,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3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방법에 있어서, 조작 키 그룹의 1점을 기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입력에 따라,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때에, 조작 키 그룹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 유닛의 표시 범위 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4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방법에 있어서,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때에, 조작 키 그룹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 유닛의 표시 범위 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7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발명은, 조작 키 그룹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여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 조작을 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로서, 조작 키 그룹의 복수 패턴의 레이아웃을 기억하는 기억 유닛과, 터치 패널 상에서의 입력 조작에 근거하여, 표시 유닛에 표시된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 및 범위를 결정하는 결정 유닛과,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표시 위치 및 범위에 근거하여 기억 유닛으로부터 조작 키 그룹을 선택하는 선택 유닛과,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조작 키 그룹을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표시 유닛의 표시 위치 및 범위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7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기억 유닛은 오른손 조작용 및 왼손 조작용의 조작 키 그룹의 복수 패턴을 기억하고, 선택 유닛은,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 유닛의 표시 위치 및 범위에 따라, 기억 유닛으로부터, 오른손 조작용 및 왼손 조작용의 조작 키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7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된 조작 키 그룹의 1점을 기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입력에 따라,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8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된 조작 키 그룹의 1점을 기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입력에 따라,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9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조작 키 그룹의 1점을 기점으로 하는 연속적인 입력에 따라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때에, 조작 키 그룹의 일부가 표시 유닛 상의 표시 범위 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금지하도록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2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발명은, 표시 유닛에 표시된 조작 키 그룹의 표시 범위 내의 1점을 기점으로 하는 터치 패널에 의한 연속적인 이동 입력을 검출하여, 상기 기점과 대응하는 점을 정점(fixed point)으로 하여 연속적인 이동 입력에 따라 기점을 이동시키며, 기점의 이동에 따라 조작 키 그룹의 표시 범위를 확대 또는 축소함과 아울러 조작 키 그룹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12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기점 주변을 높은 확대율로 확대하고, 정점 주변을 낮은 확대율로 확대하도록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4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12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점은, 표시 범위의 중심의 하나의 점에서 교차하는 2개의 직선에 의해 조작 키 그룹의 표시 범위를 4개로 분할하는 경우, 기점을 포함하는 영역과 대각을 이루는 영역에서 상기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긴 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5 관점에 따른 발명은, 제 13 관점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점은, 표시 범위의 중심의 하나의 점에서 교차하는 2개의 직선에 의해 조작 키 그룹의 표시 범위를 4개로 분할하는 경우, 기점을 포함하는 영역과 대각을 이루는 영역에서 상기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긴 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개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단말 장치의 입력 유닛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회로의 개략 블럭도,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의 개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실시예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키 레이아웃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레이아웃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레이아웃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레이아웃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레이아웃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실시예 4에 따른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실시예 4에 따른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실시예 4에 따른 레이아웃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은 실시예 5에 따른 레이아웃의 변경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실시예 5에 따른 레이아웃의 변경시에 정점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실시예 5에 따른 레이아웃의 변경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로서의 휴대 전화의 개관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 장치(1)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입력 조작을 행하는 직사각형의 입력 유닛(2)과, 입력 정보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 유닛(3)을 포함하고 있다. 개략 단면도로서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유닛(2)은, 조작 키 그룹을 표시하는 표시 유닛으로서의 디스플레이(4)와, 디스플레이(4) (상면(front surface))에 배치되고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접점을 갖는 터치 패널(5)을 포함하고 있다. 터치 패널(5)은 디스플레이(4)와 연동하여 키 조작의 입력을 수신한다. 따라서, 예컨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4)에 표시된 조작 키 중 숫자 「1」의 부분에 손가락으로 접촉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실제로는 디스플레이(4)의 「1」의 표시 부분과 대응하는 터치 패널(5)의 부분에 접촉한다. 터치 패널(5)은 그 부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에 관한 제어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휴대 단말 장치(1)는, 전술한 디스플레이(4)와 터치 패널(5)과,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하기 위한 레이아웃 표시 유닛(6)과,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범위를 결정하는 범위 결정 유닛(7) 및 조작 키 그룹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유닛(8)과,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및,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5)의 복수의 입력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9)와, 범위 결정 유닛(7) 및 위치 결정 유닛(8)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패턴의 데이터를 메모리(9)로부터 선택하는 선택 유닛(10)과, 휴대 단말 장 치(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11)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의 개관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1)를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 사용자는, 초기 설정에 의해 표시된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에서 키 조작을 행하기 어렵다고 느끼거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표시에서 키 조작을 행하기 어렵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 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 조작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원형, 다각형 등의 간단한 선 도형(12)(이하 원형 선 도형이라 함)을 한번에 드로잉한다. 원형 선 도형(12)이 드로잉되면, 제어 유닛(11)은 터치 패널(5) 상에 드로잉된 선 도형(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4)의 장소에 근거하여 실시간으로 궤적이 도트로 드로잉되도록 제어한다. 이것은 입력된 실제의 선 도형(12)을 사용자가 체크하기 쉽게 한다.
통상의 키 조작에서는, 터치 패널 상에 접촉된 손가락이 1지점에 순간적으로 접촉될 뿐이다. 따라서, 상기 접촉은 의도적으로 드로잉한 원형 선 도형(12)의 동작과 같은 연속적인 입력과는 구별될 수 있다. 제어 유닛(11)은, 이 연속적인 입력을 검출하여, 휴대 단말 장치(1)를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설정 모드로 전환한다.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설정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유닛(조작 키 등)을 별도로 마련하고, 제어 유닛(11)은, 이 전환 유닛으로의 입력에 근거하여, 휴대 단말 장치(1)를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설정 모드로 전환해서,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 및 범위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위치 결정 유닛(8)은, 사용자가 드로잉한 원형 선 도형(12)의 정보에 근거하여, 조작 키 그룹의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범위 결정 유닛(7)은 조작 키 그룹의 표시 범위를 결정한다. 이 경우, 위치 결정 유닛(8)은, 예컨대 원형 선 도형(12)을 드로잉하기 시작하는 위치와 상기 드로잉된 궤적의 기점으로부터 종점까지의 방향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입력이 오른손 조작 또는 왼손 조작에 의한 입력인지를 결정한다. 또한, 범위 결정 유닛(7)은, 사용자가 드로잉한 원형 선 도형(12)의 내측을, 손가락으로 자연스럽게 도달하는 가동 범위(13)로서 결정한다. 범위 결정 유닛(7)은 가동 범위(13)에 근거하여 조작 키 그룹의 표시 범위를 결정한다.
앞서 드로잉한 원형 선 도형(12)에서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이 너무 작다고 사용자가 판단했을 때, 사용자는 연속하여 면적이 넓은 원형 선 도형(12)을 그릴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제어 유닛(11)은, 터치 패널(5)에 손가락이 최초로 접촉됨으로써 연속적인 동작이 개시되고, 원형 선 도형(12)을 드로잉하고 있는 손가락이 터치 패널로부터 떨어진 것을 트리거로서 연속 입력 동작을 완료한다고 보아, 연속 입력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결정 유닛(7, 8)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원형 선 도형(12)을 드로잉하는 의도적 동작을 행할 때에, 제어 유닛(11)은 휴대 단말 장치(1)를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설정 모드로 전환한다. 그 결과, 통상의 키 조작시에, 조작 키에 손가락이 가볍게 접촉되었을 때에 범위 결정 유닛(7) 또는 위치 결정 유닛(8)이 기동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범위 결정 유닛(7)에 의해 결정된 가동 범위(13)가 너무 작아, 상기 가동 범위(13)에 대응하는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이 표시된다고 하더라도 유효한 키 조 작이 수행할 수 없다고 선택 유닛(10)이 판단하는 경우, 선택 유닛(10)은, 휴대 단말 장치(1)가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설정 모드로 전환되기 직전까지 이용하고 있었던 표준 키 레이아웃, 또는 초기 설정시의 키 레이아웃을 선택하여, 해당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된 원형 선 도형(12)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제어 유닛(11)은 경고음을 울려, 사용자의 주의를 야기하여,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수행하도록 요구하거나 이전의 키 레이아웃(또는 초기 설정시의 키 레이아웃)이 선택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 본체를 잡고 휴대 단말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 조작시에 사용자가 키 조작에 사용하는 손가락은 대부분 엄지손가락인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을 너무 작게 설정하면, 제어 유닛(11)은 경고를 발하거나 미리 설정한 키 레이아웃을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오입력(mis-input)하기 쉬운 키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할 수 있다.
또, 장시간 키 입력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어 유닛(11)은,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4)를 구동하지 않는 슬립 모드(에너지 절약 모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슬립 모드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한번에 선 도형을 터치 패널(5) 상에 드로잉할 때에 해제된다. 제어 유닛(11)은 선 도형의 궤적을 디스플레이(4)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물론, 터치 패널(5) 상의 1지점에 손가락이 순간적으로 접촉되는 경우에, 제어 유닛(11)은 휴대 단말 장치(1)가 통상의 키 조작의 모드로 이행하도록 제어를 행할 수도 있 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의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방법에 대해서 도 5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단계 S101에서, 제어 유닛(11)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 패널(5)에 접촉한 것을 검출한다. 디스플레이(4)가 슬립 모드일 때에는, 단계 S102에서, 제어 유닛(11)은 슬립 모드(에너지 절약 모드)를 해제한다.
다음에, 단계 S103에서, 제어 유닛(11)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한번에 터치 패널(5)의 표면에 원형 선 도형(12)을 드로잉하여 연속적인 입력을 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패널(5)로의 입력이 연속적인 입력이 아닌, 즉 사용자가 통상 조작을 요구한다고 제어 유닛(11)이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유닛(11)은 단계 S104로 진행한다. 단계 S104에서는, 제어 유닛(11)은 직전까지 사용하고 있던 키 레이아웃을 표시하기 위한 설정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4에서 직전의 키 레이아웃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고 판단다면, 단계 S105에서, 레이아웃 표시 유닛(6)은 메모리(9)에 저장되어 있는 디폴트 설정(default setting)의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한다. 단계 S105에서, 레이아웃 표시 유닛(6)은, 선택 유닛(10)에 의해 메모리(9)로부터 선택된 디폴트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한다.
단계 S104에서 직전까지 사용하고 있던 키 레이아웃을 사용하는 설정이 이루어지면, 단계 S106에서, 레이아웃 표시 유닛(6)은 직전까지 사용하고 있던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한다.
한편, 단계 S103에서 터치 패널(5)의 표면에 연속적인 입력이 행해진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 유닛(11)은, 사용자가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의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단계 S107에서 휴대 단말 장치(1)를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설정 모드로 전환한다.
다음에, 단계 S108에서, 터치 패널(5)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어 입력이 행해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어 유닛(11)은 손가락이 접촉된 위치의 궤적을 디스플레이(4) 상에 도트 표시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단계 S109에서, 제어 유닛(11)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터치 패널(5)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연속적인 입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속적인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11)은 연속하여 단계 S108에서 궤적을 디스플레이(4)에 도트 표시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가 드로잉한 궤적을 체크할 수 있고, 입력 위치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으며, 드로잉된 선 도형이 너무 작다고 사용자가 느끼면, 연속하여 더 큰 선 도형을 드로잉할 수 있다.
단계 S109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널(5)로부터 손가락 등을 떼어내었다고 즉, 원형 선 도형(12)의 연속적인 입력이 종료했다고 제어 유닛(11)이 판단한 경우, 제어 유닛(11)은 단계 S1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10에서, 제어 유닛(11)은 원형 선 도형(12)이 복수회 드로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선 도형이 복수회 드로잉되었다면, 단계 S111에서 제어 유닛(11)은 큰 궤적의 형상을 선택하고, 단계 S112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110에서 복수의 원형 선 도형(12)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 유닛(11)은 현재 드로잉된 선 도형을 선택한 후, 단계 S112로 진행한다.
단계 S112에서, 선택 유닛(10)은 선택된 선 도형에 근거하는 위치 및 범위에, 미리 설정된 최소의 키 레이아웃을 배치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최소의 키 레이아웃을 배치할 수 없거나 선택된 선 도형에 근거하는 적절한 키 레이아웃을 발견하지 못하면, 단계 S113에서 제어 유닛(11)은 사용자에게 그 영향을 경고하고, 단계 S103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되돌아가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 상당히 작고 비실용적인 키 레이아웃이 선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112에서, 선 도형에 근거하는 위치 및 범위에 키 레이아웃을 표시할 수 있다고 선택 유닛(10)에 의해 판단되면, 제어 유닛(11)은 단계 S200의 키 레이아웃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S200의 키 레이아웃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114에서, 제어 유닛(11)은 키 레이아웃 처리된 정보에 근거하는 키 레이아웃을 선택 유닛(10)을 이용하여 메모리(9)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키 레이아웃을, 레이아웃 표시 유닛(6)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4)의 지정된 위치 및 범위에 표시한다.
단계 S115에서, 제어 유닛(11)은 터치 패널(5)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패널(5)에 손가락 등이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116에서, 제어 유닛(11)은 키 입력의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에서, 통상의 키 조작을 행하는 모드, 즉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설정 모드가 아닌 키 조작이라고 상정한다.
디스플레이(4)에 표시된 각각의 키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5) 상의 위치 에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접촉하면, 제어 유닛(11)은 해당 키가 눌려진 것을 인식하여, 확인음을 발하고 키 입력 처리를 행한다. 단계 S116에서 제어 유닛(11)이 키 입력 처리를 행한 후에, 제어 유닛(11)은 단계 S115로 되돌아가서, 다음 키 입력을 대기한다.
단계 S115에서 제어 유닛(11)이 터치 패널(5)로부터 키 입력이 없다고 판단하면, 제어 유닛(11)은 단계 S117로 진행하여, 최후에 키 입력이 행해졌을 때로부터의 시간을 계측한다. 측정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있으면, 제어 유닛(11)은 단계 S115로 되돌아가고, 다음 키 입력을 대기한다. 한편,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키 입력이 없으면, 제어 유닛(11)은 단계 S118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4)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방법에 의한 키의 레이아웃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5) 상에 예컨대 원형 선 도형(12)을 그릴 때, 범위 결정 유닛(7)은 상기 원형 선 도형(12)의 궤적을 판독하여, 이 궤적의 내측을, 사용자가 손가락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 가동 범위(13)로서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범위에 근거한 키 레이아웃은 선택 유닛(10)에 의해 메모리(9)로부터 판독되고, 판독한 키 레이아웃은 레이아웃 표시 유닛(6)에 의해 디스플레이(4)에 표시된다. 이들 제어는 제어 유닛(11)에 의해 행해진다. 메모리(9)에는 다양한 경우에 대응한 다수의 키 레이아웃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메모리(9)에 기억된 키 레이아웃의 패턴으로서는, 예컨대 키 레이아웃 전체 를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된 원형 선 도형(12)의 내측에 맞추는 도 6(a)에 도시한 패턴을 생각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된 원형 선 도형(12)의 라인의 범위는 손가락의 가동 범위(13)에 포함된다고 상정하여, 키 레이아웃 전체의 4코너에 배치되는 4개의 각 키의 중심 근처를 궤적이 통과하도록 키 전체를 레이아웃하는 도 6(b)에 도시한 패턴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일부의 키, 예컨대 「전화」, 「매너」 및 「절단」의 키는 휴대 단말 장치에 전자 메일을 입력할 때에 사용 빈도가 낮은 키로서 간주함으로써, 예컨대 이들 키를 제외한 키 레이아웃 전체의 4코너에 배열되는 4개의 키(예컨대 도 6의 경우에 「1」, 「3」, 「#」, 「*」)를 기준으로 하여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키 레이아웃의 패턴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전술한 단계 S200의 키 레이아웃 처리에 대해서 도 7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종횡비가 고정되어 있는 키의 레이아웃의 패턴이 메모리(9)에 다수 기억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단계 S201에서, 제어 유닛(11)은 터치 패널(5) 상에 드로잉된 원형 선 도형(12)으로부터, 드로잉된 도형의 중심을 구한다. 이 때, 드로잉된 도형이 폐(閉) 도형이 아니면, 기점과 종점을 연결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여, 해당 도형을 근사적으로 원형 도형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단계 S202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닛(11)은 중심으로부터 각도 α 방향에서의 거리를 산출한다. 각도 α는, 도형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직사각형 입력 유닛(2)의 변에 직교하는 x축 및 y축이 플롯되는 경우, x축으 로부터의 사전 결정된 각도이다. 예컨대, α를 45°로 설정한다. 단계 S201에서 구한 중심을 O로 표현하고, 각도±α 방향으로 드로잉한 2개의 직선과 궤적의 도형의 4개의 교점을 a, b, c, d로 표현하고, 제어 유닛(11)은 선분 Oa, Ob, Oc, Od의 길이를 산출한다.
다음에, 단계 S203에서, 선분 Oa, Ob, Oc, Od 중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을 선택하고, 이 가장 짧은 선분을 선 A로 설정하며, 단계 S204로 진행한다. 예컨대, 선분 Oa가 가장 짧다고, 즉 Oa=A라고 가정한다.
단계 S204에서, 선택 유닛(10)은 궤적 내에 맞춰지는 기준 키 레이아웃을 메모리(9)로부터 선택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분 Oa가 가장 짧기 때문에(Oa=A), 선택 유닛(10)은 사용자가 드로잉한 원형 선 도형(12)이 점 P1을 통과하는 A≥A'으로 되는 키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이 키 레이아웃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드로잉한 원형 선 도형(12)의 궤적에 포함되어 있다.
다음에, 단계 S205에서, 사용자가 더 큰 레이아웃, 즉 키 간격이 더 큰 레이아웃을 요구하는 경우, 선택 유닛(10)은 조금 더 확대된 키 레이아웃이 선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컨대, A≒B'으로 되는 키 레이아웃에서는, 사용자가 드로잉한 선 도형이 P2를 통과한다. 상기 키 레이아웃은 전술한 A≥A'인 키 레이아웃보다 더 크다. 마찬가지로, A≒C'인 키 레이아웃은, 사용자가 드로잉한 선 도형이 P3을 통과한다. 이 키 레이아웃은 전술한 A≒B'인 키 레이아웃보다 더 크다.
단계 S205에서, 원형 선 도형(12)이, 디스플레이(4)의 키 표시 영역의 범위 내에서 가장 큰 크기로 드로잉된 경우, 선 도형의 궤적에 포함되는 키 레이아웃(A ≥A')이 가장 큰 레이아웃이다. 따라서, 단계 S207에서, 제어 유닛(11)은 메모리(9)를 참조하여 이 키 레이아웃을 판독하고, 해당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단계 S205에서, A≒A'의 경우보다 더 큰 레이아웃을 표시할 수 있다고 선택 유닛(10)에 의해 판단된 경우에, 제어 유닛(11)은 단계 S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6에서,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된 선 도형에 대하여 원하는 키 레이아웃의 크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드로잉된 도형 내에 키 레이아웃 전체가 포함되는 키 레이아웃, 4코너의 키(예컨대, 「전화」, 「종료」, 「#」, 「*」의 키)의 중심이 실질적으로 선 도형의 라인 상에 있는 키 레이아웃, 또는 4코너의 키가 선 도형에 외접하는 키 레이아웃을 사용자가 원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미리 설정했는지가 판단된다.
단계 S206에서, 원하는 키 레이아웃에 대하여 사용자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 단계 S207에서, 제어 유닛(11)은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는 키 레이아웃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 설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단계 214에서, 제어 유닛(11)은 사용자가 기준 위치의 설정을 입력하도록 촉구한다. 단계 S207에서, 제어 유닛(11)은 상기 설정에 대응하는 키 레이아웃을 메모리(9)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에게 간편한 손가락의 조작을 요구하는 것만으로, 손가락의 가동 범위를 고려한 키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방법의 주요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도 5에 도시한 키 레이아웃 방법에서, 단계 S200에서의 키 레이아웃 처리와 상이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오른손으로 휴대 단말 장치(1)를 잡고, 엄지손가락으로 터치 패널(5) 상에 원형 선 도형(12)을 드로잉하면, 원형 선 도형(12)의 궤적의 기점은 좌측 또는 좌측 위쪽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궤적은 시계 방향으로 드로잉되는 경우가 많다. 드로잉된 궤적의 중심 위치는 터치 패널(5)의 중심 위치보다 약간 좌측 또는 좌측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들 3가지의 정보(궤적의 기점의 위치, 궤적의 방향, 궤적의 중심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원형 선 도형(12)을 그릴 때에 조작한 손가락이 오른손 또는 왼손의 손가락인지를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휴대 단말 장치(1)의 키를 조작한다고 가정하면, 통상 설정의 키 레이아웃에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의 베이스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는 키(즉 오른손 조작의 경우, 「#」, 「9」, 「0」의 키 등)를,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상당히 굽어진 상태에서 조작해야 한다. 따라서, 키 조작을 행하기 상당히 어렵다. 한편, 엄지손가락의 베이스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키는, 약간 더 떨어진 방향으로 키가 시프트되더라도, 자연스러운 손가락의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 장치(1)의 위치 결정 유닛(8)에 의해서,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단말 조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레이아 웃 전체를 약간 좌측 위쪽으로 시프트시킴으로써 키의 조작성을 훨씬 향상시킬 수 있다. 시프트하는 거리는 사용자가 조절하도록 한다. 또, 좌측 상단에 있는 키의 위치는 전혀 시프트시키지 않고, 키 레이아웃 전체를 좌측 위쪽으로 축소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대로, 사용자가, 왼손으로 휴대 단말 장치(1)를 잡고 엄지손가락으로 터치 패널(5) 상에 원형 선 도형(12)을 드로잉하면, 통상 상기 원형 선 도형(12)의 궤적의 기점이 우측 또는 우측 위쪽에 위치한다. 또, 상기 궤적은 반시계 방향으로 드로잉되는 경우가 많다. 드로잉된 궤적의 중심 위치는 터치 패널(5)의 중심 위치보다 약간 더 우측 또는 우측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레이아웃 전체를 우측 위쪽으로 시프트시키거나, 또는 우측 위쪽으로 축소시켜서, 오른손 조작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드로잉된 원형 선 도형(12)의 궤적의 중심 위치가 터치 패널(5)의 중심 위치 또는 중심선과 그다지 차이가 없는 경우, 위치 결정 유닛(8)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 단말 본체(1)를 잡고, 다른 한 손의 손가락으로 원형 선 도형(12)을 드로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오른손/왼손으로 특별히 시프트하지 않고, 디스플레이(4)에 키 레이아웃을 더 큰 크기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키 레이아웃을 메모리(9)에 기억시키고, 사용자가 원형 선 도형(12)을 드로잉하는 경우 이외에, 예컨대, 수직선 또는 수평선과 같은 연속적인 입력이 터치 패널(5) 상에서 이루어지면, 그 연속 입력된 선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범위에 대응하는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따 른 키 레이아웃의 설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방법의 주요부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단계 S200의 키 레이아웃 처리에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키 그룹의 키 크기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키 그룹의 키 크기가 다른 키 레이아웃도 선택 가능하다. 위치 결정 유닛(8)에 의해 키를 조작하는 손이 오른손 또는 왼손인지가 판단된 후, 엄지손가락의 베이스에 가까운 부분의 키의 면적을 증가시키고, 키가 엄지손가락의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키의 면적을 줄인 키 레이아웃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엄지손가락의 베이스에 가까운 부분의 키는 확대하고, 키 레아아웃시에는 키의 본래의 크기로 리셋하는 구성도 선택할 수 있다. 키의 확대 및 축소율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계 S200의 키 레이아웃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201~단계 204의 설명은 도 7에서의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08에서, 위치 결정 유닛(8)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1)를 조작하는 손이 오른손인지를 판단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터치 패널(5) 상에 드로 잉된 원형 선 도형(12)을 고려하여, (1) 궤적이 시계 방향으로 드로잉됨, (2) 궤적의 기점 위치가 좌측 또는 좌측 위쪽에 위치함, (3) 궤적의 중심(中心)(또는 중심(重心)) 위치가 터치 패널(5)의 가로 방향(키 「1」~「3」의 방향)의 중심보다 더 좌측에 위치함의 3가지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면, 위치 결정 유닛(8)은 단계 S212로 진행하고, 오른손 조작이라고 판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3가지의 조건 중 임의의 조합을 요건으로서 설정하여 오른손 조작이라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S208에서 오른손 조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위치 결정 유닛(8)은 단계 S209로 진행하고, 왼손 조작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209에서, 터치 패널(5)에 드로잉된 원형 선 도형(12)을 고려하여, (1) 궤적이 반시계 방향으로 드로잉됨, (2) 궤적의 기점 위치가 우측 또는 우측 위쪽에 위치함, (3) 궤적의 중심(中心)(또는 중심(重心)) 위치가 터치 패널(5)의 가로 방향(키 「1」~「3」의 방향)의 중심보다 더 우측에 위치함의 3가지 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면, 위치 결정 유닛(8)은 단계 S211로 진행하고, 왼손 조작이라고 판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2가지의 조건 중 임의의 조합을 요건으로 설정하여 왼손 조작이라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S209에서 사용자가 왼손 조작을 행한다고 판단할 수 없는 경우, 단계 S210에서, 위치 결정 유닛(8)은, 조작에 사용하는 손을 사용자에게 직접 문의하여, 조작하는 손이 오른손 또는 왼손인지를 확정한다.
조작하는 손이 왼손 또는 오른손인지가 확정되면, 단계 S213에서, 제어 유 닛(11)은 키 레이아웃에 관한 사용자 설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사용자 설정에서는, 예컨대, 오른손 조작의 경우에, (1) 키 레이아웃의 위치 전체를 시프트할지 여부(도 10(a)), (2) 「전화」 키의 위치를 고정하고, 「#」을 시프트하도록 키 레이아웃 전체를 축소시키는지 여부, 및 (3) 일부 키를 확대하고, 일부 키를 축소할지 여부(도 11(a))와 같은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다.
단계 S207에서, 선택 유닛(10)은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는 키 레이아웃을 메모리(9)로부터 판독한다. 단계 S213에서 사용자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단계S214에서, 제어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사용자 설정을 실시하도록 요구한다.
사용자 설정이 키의 확대에 관한 설정이면, 선택 유닛(10)은 확대에 대응하는 키 레이아웃을 메모리(9)로부터 판독한다. 레이아웃 표시 유닛(6)은 판독된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한다. 그러나, 사용자 설정에서 키 레이아웃 전체를 시프트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계 S216에서, 범위 결정 유닛(7)은 키 레이아웃 전체를 이동(시프트)시킬 수 있는 영역이 디스플레이(4) 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키 레이아웃 전체를 시프트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면, 제어 유닛(11)은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키 레이아웃을 메모리(9)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한다. 키 레이아웃 전체를 시프트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17에서, 제어 유닛(11)은 사용자에게 경고를 발하고, 디스플레이(4)의 표시 범위 내에 맞춘 레이아웃을 메모리(9)로부터 판독해서, 이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한다. 키 레이아웃의 표시시에, 예컨대 오른손 조작의 경우, 디스플레이(4)의 표시 영역의 우측 위쪽으로 키 레이아웃 전체를 시프트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 유닛(11)은 「전화」 키의 위치를 고정하고, 「#」을 시프트하도록 전체를 축소한 키 레이아웃을 메모리(9)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의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방법의 주요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3에서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5) 상에서 원형 선 도형(12)을 드로잉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는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한다. 그러나, 그 후, 사용하는 기능의 용도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또는 휴대 단말 장치(1)를 사용자가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옮긴 경우에,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전체의 위치를 약간 조정하도록 사용자가 요구할 수도 있음이 예상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전체의 크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변경하도록 요구하면, 사용자는 전술한 실시예 1~3에서 설명한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요구한 레이아웃을 재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레이아웃의 위치만을 변경하도록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상기 실시예 1~3에서 설명한 방법에서는, 다른 위치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형 선 도형(12)을 드로잉하여야 하므로, 조작이 비교적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는, 한번 형성한 레이아웃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레이아웃의 위치만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3~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설명한다.
도 13(a)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의 가동 범위에 따라 디스플레이(4)에 표시된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한 키 레이아웃에 표시되어야 할 숫자 키의 문자는 그 일부를 제외하고 생략하고 있다. 레이아웃 표시 전체를 우측으로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키 레이아웃이 표시된 디스플레이(4) 상의 임의의 점, 예컨대 「5」 키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5)의 부분에 손가락으로 접촉하여, 연속해, 즉 터치 패널(5)에 접촉된 채로 그 손가락으로 우측으로 해당 부분을 스트로크(stroke)한다(드래그(drag)한다). 터치 패널(5) 상에서 스트로킹 동작을 행하는 연속 입력은 통상의 버튼 조작과 같이 임의의 점만을 순간적으로 접촉하는 동작과는 명확히 구별될 수 있다. 사용자가 「5」 키를 우측으로 스트로크하면, 해당 키에 대응하는 신호가 터치 패널(5)로부터 제어 유닛(11)으로 전송된다. 제어 유닛(11)은,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된 지점의 이동량에 따라 디스플레이(4)에 표시된 키 레이아웃 전체가, 키 레이아웃의 크기를 변경시키지 않고,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레이아웃 디스플레이 유닛(6)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키 레이아웃을 스트로킹함으로써 키 레이아웃을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유지하고, 키 레이아웃 전체의 우측 단부를 디스플레이(4)의 표시 가능한 범위의 우측 단부로 이동시킬 때, 사용자가 키 레이아웃을 우측까지 더 이동시키는 경우, 키 레이아웃 전체를 디스플레이(4)에 완전하게 표시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 유닛(11)은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키 레이아웃을 더 스트로크하더라도, 디스플레이(4)의 키 레이아웃의 표시를 더 이상 이동시키지 않도록 레이아웃 표시 유닛(6)을 제어한다.
키 레이아웃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터치 패널(5)을 왼쪽으로 스트로킹함으로써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를 수행하여 키 레이아웃 전체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가로 방향의 이동과 동일한 처리에 의해 키 레이아웃 전체를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a) 및 도 14(b)는, 예로서, 키 레이아웃 전체를 우측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의 조작과 해당 조작에 의한 디스플레이(4) 상의 표시 변화를 나타낸다.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키 레이아웃 중앙의 「5」 키를 누른 채로, 터치 패널(5)을 우측 아래쪽으로 스트로킹함으로써, 키 레이아웃 전체를 우측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에 있어서, 이동 전의 키 레이아웃 전체의 우측 단부와 디스플레이(4)의 표시 가능 범위의 우측 단부 사이의 공간, 및 키 레이아웃 전체의 하단과 디스플레이(4)의 표시 가능한 범위의 하단 사이의 공간을 비교하면, 키 레이아웃의 하단상의 공간이 더 넓다. 따라서, 예컨대, 우측 아래쪽의 45°의 각도로 사용자가 터치 패널(5)을 스트로크하여, 디스플레이(4) 상에 표시된 키 레이아웃을 이동시키면, 키 레이아웃 전체는 디스플레 이(4)의 하단에 도달하기 전에 우측단에 도달한다(도 14(a)). 이 기점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과 같이 키 레이아웃의 표시도 디스플레이(4) 상을 이동한다. 그러나, 키 레이아웃의 표시의 우측 단부가 디스플레이(4)의 표시 가능 범위의 우측 단부에 도달하더라도 여전히 사용자가 우측 아래쪽의 45°의 각도로 손가락으로 스트로크시키면, 제어 유닛(11)은 X 방향으로는 키 레이아웃 이웃의 표시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레이아웃 표시 유닛(6)을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우측 아래쪽의 45°의 각도로 손가락으로 더 스트로크할 때에, 키 레이아웃의 표시는, 키 레이아웃의 표시의 아래쪽 단부가 디스플레이(4)의 표시 가능한 범위의 아래쪽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Y 방향, 즉 아래쪽 방향으로만 이동한다(도 14(b)).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레이아웃의 표시의 아래쪽 단부가 디스플레이(4)의 표시 가능한 범위의 아래쪽 단부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우측 아래쪽 방향의 45° 각도로 손가락으로 더욱 스트로크하더라도, 제어 유닛(11)은 키 레이아웃의 표시가 우측 방향 및 아래쪽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이아웃 표시 유닛(6)을 제어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4(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터치 패널(5)을 위쪽 방향, 왼쪽 방향, 또는 좌측 위쪽 방향으로 스트로크하면, 해당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키 레이아웃 표시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전술한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의 이동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 유닛(11)은 터치 패널(5)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1). 입력이 있으면, 제어 유닛(11)은 해당 입력이 1지점에서 순간적으로 검출되는 입력인지, 스트로킹 동작에 의한 연속적인 입력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302). 상기 입력이 1지점에서 순간적으로 검출되는 입력인 경우, 제어 유닛(11)은 해당 입력이 통상의 키 조작에 의한 입력이라고 판정한다(단계 S303).
입력 조작이 스트로킹 조작인 경우, 제어 유닛(11)은, 해당 조작이 키 누름 조작이라고 판정하지 않고, 휴대 단말 장치(1)가 키 레이아웃 이동 모드에 있다고 판정한다(단계 S304). 도 15의 흐름도에 있어서, 전술한 키 레이아웃 이동 모드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이동량의 단위(이하 이동 단위라고 함)로서 매우 미세한 구획된 것(예컨대, 디스플레이(4)의 표시에서 1도트씩)으로서 설명한다.
키 레이아웃 이동 모드에 있어서, 먼저, 디스플레이(6)에 표시된 조작 키 그룹 레이아웃 전체에서의 이동 방향의 단부의 X 좌표 XE의 절대값이 디스플레이(4)의 표시 가능 범위의 X 좌표 Xth의 절대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범위 결정 유닛(7)이 판정한다(단계 S305). X 좌표 XE의 절대값이 X 좌표 Xth의 절대값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 여전히 사용자의 손가락의 진행 방향으로 키 레이아웃의 표시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유닛(11)은 이동 단위와 동일한 거리만큼 디스플레이(4) 상에서 키 레이아웃 전체가 이동하도록 레이아웃 표시 유닛(6)을 제어한다(단계 S306). 그러나, 키 레이아웃의 상기 단부에서의 X 좌표 XE의 절대값이 디스플레이(4)의 표시 가능한 범위의 단부에서의 X 좌표 Xth의 절대값 이상인 경우, 키 레이아웃의 표시를 더 이동시키면, 키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없다. 그 결과, 제어 유닛(11)은 X 방향의 이동을 취소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07).
다음에, X 방향과 동일한 판정이 Y 방향에 대해서도 행해진다. 범위 결정 유닛(7)은, 표시된 키 레이아웃 전체의 이동 방향의 단부의 Y 좌표 YE의 절대값이 디스플레이(4)의 표시 가능 범위의 단부의 Y 좌표 Yth의 절대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8). Y 좌표 YE의 절대값이 Y 좌표 Yth의 절대값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 제어 유닛(11)은 이동 단위와 동일한 거리만큼 디스플레이(4) 상에서 키 레이아웃 전체가 이동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09). Y 좌표 YE의 절대값이 Y 좌표 Yth의 절대값 이상인 경우, 제어 유닛(11)은 Y 방향의 이동을 취소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10).
그 결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서, 실제의 입력이 표시 이동에 반영되는지, 또는 실제 입력이 취소되어 이동 표시에 반영되지 않는다. 그 후, 제어 유닛(11)은 단계 S301로 되돌아가서, 이후의 키 입력의 유무를 판정한다.
(실시예 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에 의한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 변화 동작의 주요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1)의 용도를 전화 기능으로부터 메일 작성 기능으로 전환하는 등의 몇가지 이유로 인해 현재의 키 레이아웃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1)를 조작하기 어렵다고 느끼는 경우에, 그 때의 사용 기능에 따라 키 레이아웃을 쉽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 상에 표시된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이다. 키의 크기는 동일하다. 키의 가로 방향의 크기는 X11=X12=X13이다. 키의 세로 방향의 크기는 Y11=Y12=Y13=Y14=Y15이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키 레이아웃을 변경할 것을 원하는 경우, 예컨대, 키 레이아웃 전체의 프레임 우측 아래의 1점, 즉, 「#」 키의 오른쪽 아래(포인트 XY1)에 대응하는 위치를 터치 패널(5)에서 손가락 등으로 사용자가 눌러서, 도 16(b)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키 레이아웃 프레임의 외측의 1점(예컨대 포인트 XY2)까지 위치를 드래그(접촉된 채로 스트로크)한다.
그 후, 이 포인트 XY1을 프레싱 포인트(기점)로 한 드래그 동작에 관한 정보가 터치 패널(5)로부터 제어 유닛(11)에 의해 판독된다. 제어 유닛(11)은 이 정보에 근거하여, 프레싱 포인트 XY1(기점)과 대응하는 1점(예컨대 포인트 XY)을 정점(fixed point)으로서 설정하여, 연속하는 이동 입력에 따라 프레싱 포인트 XY1의 표시 위치를 포인트 XY2까지 드래그시키고, 조작 키 그룹을 확대하여 레이아웃을 변경한다.
정점은 이하의 설명과 같이 결정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레이아웃 전체의 프레임의 중심점 M을 설정하고, 이 중심점 M을 통과하는 2개의 임의의 직선 L1 및 L2에 의해 키 레이아웃의 표시 영역을 4개로 분할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점 XYnn을 기점으로 한 드래그 조작을 개시하면, 4개로 분할된 영역 중 점 XYnn이 가압되는 영역과 대향하는 영역에서, 중심점 M으로부터 가정 먼 점(점 XYnn이 가압된 영역과 대향하는 영역의 레이아웃 프레임의 꼭지점(頂点))이 정점(正点) XY로서 설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 레이아웃이 확대될 때에, 키의 확대율이 가로 방향에 대해서 X21<X22<X23의 관계 및 세로 방향에 대해서 Y21<Y22<Y23<Y24<Y25의 관계로 되도록, 확대 조작(드래그) 전의 키 레이아웃에서의 기점(XY1) 주변은 높은 확대율로 확대 표시되고, 정점(XY) 주위는 낮은 확대율로 확대 표시된다. 제어 유닛(11)은 이러한 레이아웃을 메모리(9)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 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매번 확대율을 산출하여, 산출된 확대율로 드래그 전의 키 레이아웃을 확대 표시한다. 키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키 상의 숫자 등의 문자의 폰트 크기를 키의 크기에 따라 변경하여, 해당 문자를 디스플레이(4)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드래그 조작에 의해 키 레이아웃의 이동을 실행한 후에, 키 레이아웃을 너무 이동했다고 사용자가 느끼면, 이번에는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 조작을 행함으로써 도 16(b)에 도시한 상태의 레이아웃을 도 16(a)의 상태로 리셋할 수 있 다. 이러한 작업을 행하여 레이아웃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매칭된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컨대 레이아웃 전체의 외부 프레임의 바닥측의 1점(즉, 「*」, 「0」, 「#」 키의 하부의 라인)을 터치 패널(5) 상에서 가압 드래그하면, 제어 유닛(11)은 키 레이아웃을 세로 방향으로만 확대 및 축소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키의 크기는 세로 방향의 배율만이 변경된다. 즉, 대향하는 변으로서의 레이아웃 전체의 외부 프레임의 위측(즉, 「전화」, 「매너」, 「종료」의 상부의 라인)을 고정축으로서 설정하여, 키의 행 방향의 사이즈의 비율은 Y21<Y22<Y23<Y24<Y25의 관계로 된다.
마찬가지로, 레이아웃 전체의 외부 프레임의 우측의 변(즉, 「종료」, 「3」, 「6」, 「9」, 「#」 키의 우측의 라인) 상의 1점을 터치 패널(5) 상에서 가압 드래그하면, 키의 레이아웃을 가로 방향으로만 확대 및 축소할 수 있다.
또, 해당 포인트를 프레싱 포인트(XY1)로부터 X축 상에서 더 드래그하면, 레이아웃 및 키의 X축 방향의 크기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고, 레이아웃 및 키의 Y축 방향의 크기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은 키의 레이아웃 전체를 확대 및 축소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음에, 특정 키 세트를 중심으로 설정하여 레이아웃을 확대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예컨대, 사용 빈도가 높은 키를 확대하여 사용 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8(a)는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에 따른 디스플레이(4) 상에 최초로 표시되는 키 그룹이다. 키의 크기는 동일하다. 키의 가로 방향의 크기는 X41=X42=X43이다. 세로 방향의 크기는 Y41=Y42=Y43=Y44=Y45이다.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예컨대 키 레이아웃의 우측 아래쪽의 1점, 즉 터치 패널(5) 상의 「8」 키의 우측 아래쪽(포인트 XY41)에 상당하는 위치(기점)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서, 도 18(b)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XY51까지 키 레이아웃 프레임의 외측으로 해당 위치를 직접 드래그한다고 가정한다.
그 후, 이 XY41을 프레싱 포인트(기점)로 설정한 드래그 동작에 관한 정보가 터치 패널(5)로부터 제어 유닛(11)에 의해 스캔된다. 제어 유닛(11)은 이 정보에 근거하여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2개의 점, 즉 드래그 전의 프레싱 포인트(XY41)와 이 프레싱 포인트에 대응하는 정점으로서의 포인트 XY를 연결한 선분을 대각선으로 한 직사각형 영역의 키 레이아웃은, 드래그 동작 후에는, 드래그 후의 프레싱 포인트(XY51)와 정점으로서의 포인트(XY)를 연결한 선분을 대각선으로 한 키 레이아웃으로 확대한다. 그 이외의 키는,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키가 가로 방향으로의 크기 변경없이 확대되고,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키는 세로 방향으로 크기 변경없이 확대된다. 상기 레이아웃은 키 크기의 가로 방향의 확대율이 X51<X52, X53=X43인 관계, 세로 방향의 확대율을 Y51<Y52<Y53<Y54, Y55=Y45의 관계인 키 레이아웃이다. 제어 유닛(11)은, 이러한 레이아웃을 메모리(9)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 상에 표시하거나, 매번 확대율을 산출하여, 산출된 확대율로 드래그 전의 키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도 18(b)에서는, 키 레이아웃 전체의 프레임 내의 특정 키를 중심으로 설정하여 키 그룹을 확대한다. 그러나, 도 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레이아웃 전체의 프레임의 크기 변경없이, 프레임 내의 특징 키를 중심으로 설정하여 레이아웃 전체의 프레임 내의 키를 확대 및 축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드래그 동작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키, 예컨대, 터치 패널(5) 상의 「8」 키의 우측 아래쪽의 위치에 상당하는 1점(도 18(a)에서는 기점으로 한 포인트 XY41)을 사용자가 누르고, 도 18(c)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1점(포인트 XY61)까지 키 레이아웃의 외측으로 해당 점을 드래그하고, 손가락을 뗀다. 이 경우에는, 키 레이아웃 전체의 프레임의 크기는 변경되지 않고, 레이아웃 전체의 프레임 내의 키는 확대 및 축소된다. 본 예에서는, X63의 열 및 Y65의 행에는 키가 축소 표시된다. 그 외의 키는, 가로 방향에 대해서는 X61<X62의 관계, 세로 방향에 대해서는 Y61<Y62<Y63<Y64의 관계로 확대 표시된다. 제어 유닛(11)은 이러한 레이아웃을 메모리(9)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하거나, 또는 매번 확대율 및 축소율을 산출하여, 산출된 확대율로 드래그 전의 키 레이아웃을 확대 표시한다.
그 결과, 키 레이아웃 전체 크기의 변경없이, 본래의 키 레이아웃의 임의의 키만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키 레이아웃의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드래그를 개시함으로써 해당 키 레이아웃을 소망하는 레이아웃으로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먼저 사용자가 원형 선 도형(12)을 드래그하고, 상기 원형 선 도형(12)에 근거하여 키 레이아웃이 설정된 후에, 해당 레이아웃을 소망하는 레이아웃으로 변경한다. 그러나, 당연히, 초기 설정 상태에서 디폴트로서 설정되어 있는 키 레이아웃에 근거하여 해당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손가락의 가동 범위(13)를 결정할 때, 터치 패널(5) 상에 원형 선 도형(12)을 드래그하도록 사용자에게 요구하지 않고, 직사각형의 입력 유닛(2)에 대해 경사진 직선 도형을 드래그하도록 사용자에게 요구하여, 이 선 도형을 대각선으로 한 직사각형에 근거하는 키 레이아웃을 메모리(9)로부터 판독하거나, 또는 확대율을 산출하여, 드래그 전의 키 레이아웃을 확대하고, 해당 키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4) 상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실시예 1 내지 3에 있어서는, 제어 유닛(11)은 결정된 가동 범위(13)에 근거하여 키 레이아웃의 크기 등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따라 메모리(9)에 기억된 사전 결정된 키 레이아웃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실시예 4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 패널(5)을 스트로크할 때에, 조작 키 그룹 중 「5」 키가 사용된다. 그러나, 「5」 키 이외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 조작을 행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입력 조작에 사용되는 것은 임의의 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키의 단부, 키의 에지, 키들 사이에 표시되는 경계선, 또는 키 레이아웃 전체의 단부 등의 임의의 1점을 이용하여 키 레이아웃 전체의 표시를 이동시키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입력 조작에 이용하는 이 임의의 점은, 디스플레이(4) 상에 표시된 키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5) 상에서 입력 조작을 행함에 있어 미리 결정된 소정의 1점을 이용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4에서는, 터치 패널(5)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트로크하는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4)에서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이 이동하는 거리가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 거리와 스트로킹 거리를 1:1 대응 관계로 하면, 상기 스트로킹 거리와 상기 이동 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 거리와 스트로킹 거리간의 대응 관계는 반드시 1:1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미세 조정 목적의 경우와 같이, 터치 패널(5)을 스트로크하는 거리를 더 길게 설정하면, 실제로 디스플레이(4) 상에서 이동하는 거리를 더 작게 하도록 거리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실시예 5에서는, 키 레이아웃의 변경 동작을 행할 때에, 변경 전의 레이아웃으로부터 손가락을 레이아웃의 외측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키 그룹을 확대시킨다. 그러나, 변경 전의 레이아웃으로부터 손가락을 레이아웃의 내측으로 드래그함 으로써 키 그룹을 축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키 레이아웃 전체의 외부 프레임의 1점을 드래그하여 축소시킬 때에, 레이아웃 전체가 축소되어, 키 그룹도 단계적으로 해당 축소율로 축소된다. 키 레이아웃 내부의 1점을 더 내측으로 드래그하면, 특히 드래그된 키를 중심으로 하여 키 그룹을 축소시켜 레이아웃 전체를 축소시키는 처리, 또는 레이아웃 전체의 크기 변경없이 특히 드래그한 키를 축소시켜, 해당 키의 주위를 확대한 키와 축소한 키를 혼재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는 전형적으로 휴대 전화와 같은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PDA와 같은 휴대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휴대 단말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키 그룹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여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의 설정 시에, 단말의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 패널 상에 간단한 선 도형을 드로잉하여, 손가락의 가동 범위가 결정된다. 상기 가동 범위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가동 범위를 고려한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이 선택되어 터치 패널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손 크기가 다른 사용자들이 이러한 휴대 단말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에 따라 최적화된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이 설정된다. 휴대 단말의 통상 이용 시에 사용자가 조작 키 그룹을 조작할 때의 조작성을 매우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키 그룹의 표시 범위 내의 1점을 기점으로 한 터치 패널에 의한 연속적인 이동 입력을 검출하여, 이 기점과 대응하는 1점을 정점으로 설정한 연속적인 이동 입력에 따라 기점을 이동시키고, 이 기점의 이동에 따라 조작 키 그룹의 표시 범위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 조작 키 그룹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또는 축소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에서 드래깅(스트로킹)하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터치 패널 상에 표시된 조작 키 그룹을 소망하는 레이아웃으로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조작 키 그룹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여,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 조작을 행하도록 한 휴대 단말 장치로서,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된 상기 조작 키 그룹의 표시 범위 내의 1점을 기점으로 한 상기 터치 패널에 의한 연속적인 이동 입력을 검지하여, 상기 기점과 대응하여 정점(a fixed point)으로 설정된 1점에 대한 상기 연속적인 이동 입력에 따라 상기 기점을 이동시켜, 상기 기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조작 키 그룹의 표시 범위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 상기 조작 키 그룹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조작 키 그룹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제어 유닛
    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은, 상기 조작 키 그룹의 표시 범위를, 상기 표시 범위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2개의 직선에 의해 4개로 분할될 때에, 상기 기점을 포함하는 영역과 대각을 이루는 영역에서 상기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긴 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5. 삭제
KR1020097006476A 2006-09-28 2007-09-19 휴대 단말 장치 KR101110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65289 2006-09-28
JP2006265289A JP4781957B2 (ja) 2006-09-28 2006-09-28 携帯端末装置
JPJP-P-2006-294066 2006-10-30
JP2006294066A JP5456230B2 (ja) 2006-10-30 2006-10-30 携帯端末装置における操作キー群のレイアウト方法および操作キー群レイアウト装置
PCT/JP2007/068191 WO2008041485A1 (en) 2006-09-28 2007-09-19 Operation key layout method i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for realizing the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307A Division KR20110127248A (ko) 2006-09-28 2007-09-19 터치 패널 부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079A KR20090057079A (ko) 2009-06-03
KR101110943B1 true KR101110943B1 (ko) 2012-02-20

Family

ID=392683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476A KR101110943B1 (ko) 2006-09-28 2007-09-19 휴대 단말 장치
KR1020117023307A KR20110127248A (ko) 2006-09-28 2007-09-19 터치 패널 부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307A KR20110127248A (ko) 2006-09-28 2007-09-19 터치 패널 부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69059B2 (ko)
KR (2) KR101110943B1 (ko)
CN (1) CN101523332B (ko)
WO (1) WO2008041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2238B2 (en) * 2005-08-01 2015-10-06 Wai-Lin Maw Asymmetric shuffle keyboard
JP4608475B2 (ja) * 2006-11-16 2011-01-1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表示画面への画像表示方法
KR100913962B1 (ko) * 2007-05-14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4364273B2 (ja) * 2007-12-28 2009-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表示制御プログラム
TWI381304B (zh) * 2008-04-22 2013-01-01 Htc Corp 使用者介面顯示區域的調整方法、裝置及儲存媒體
JP5045559B2 (ja) * 2008-06-02 2012-10-10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TWI478038B (zh) * 2008-09-24 2015-03-21 Htc Corp 輸入習慣判定及介面提供系統及方法,及其機器可讀取媒體
KR101078380B1 (ko) * 2009-03-23 2011-10-31 주식회사 코아로직 가상 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00295796A1 (en) * 2009-05-22 2010-11-2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rawing on capacitive touch screens
JP5590342B2 (ja) * 2009-09-17 2014-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利用した電子機器およびその設定値変更方法
JP4824805B2 (ja) 2009-09-28 2011-11-3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20110042893A (ko) * 2009-10-20 201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8599130B2 (en) * 2009-11-30 2013-12-03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370144B2 (ja) * 2009-12-28 2013-12-18 ソニー株式会社 操作方向判定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操作方向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121832A (ko) * 2010-05-03 2011-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20078684A1 (en) * 2010-09-28 2012-03-29 Giuliano Maciocci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esenting a level of interest in an available item
US20140062932A1 (en) * 2011-05-11 2014-03-06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Input device
US8316319B1 (en) * 2011-05-16 2012-11-20 Google Inc. Efficient selection of characters and commands based on movement-inputs at a user-inerface
JP5533837B2 (ja) * 2011-11-02 2014-06-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手書き入力装置及び手書き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1340703B1 (ko) 2011-11-25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배치장치 및 방법
CN102591581B (zh) * 2012-01-10 2014-01-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操作界面的显示方法和设备
EP2813936A4 (en) * 2012-02-07 2015-09-30 Nec Cor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FORM CONTROL METHOD, AND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30212093A1 (en) * 2012-02-15 2013-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visualizations of a display group of tags representing content instances in objects satisfying a search criteria
CN102681775A (zh) * 2012-04-13 2012-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区域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9360982B2 (en) 2012-05-01 2016-06-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visualizations of facet values for facets defined over a collection of objects
KR101375166B1 (ko) * 2012-05-14 2014-03-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문자화장단말기 및 제어방법
KR101979666B1 (ko) * 2012-05-15 2019-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2694915B (zh) * 2012-05-18 2014-04-09 张群 用于具有触摸屏幕的手机的显示控制方法及系统
JP6381032B2 (ja) * 2012-06-08 2018-08-2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68690B1 (ko) * 2012-07-10 2019-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EP2884376A4 (en) * 2012-08-08 2016-06-08 Ne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2018656B1 (ko) * 2012-09-17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CN103635873B (zh) * 2012-09-17 2017-06-20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摸操作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04007917B (zh) * 2013-02-27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虚拟键盘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4601767A (zh) * 2013-10-31 2015-05-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手机拨号键盘管理方法及系统
US10075600B2 (en) * 2014-12-22 2018-09-11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Display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including display of soft key array
CN105138217A (zh) * 2015-07-08 2015-12-09 广州优蜜移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终端的悬浮窗运行方法及系统
CN105426111A (zh) * 2015-12-25 2016-03-23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浮动软键盘的控制系统及其方法
US11487425B2 (en) * 2019-01-17 2022-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hand wide-screen smart device management
CN114995702A (zh) * 2022-07-19 2022-09-02 深圳润方创新技术有限公司 计算机辅助显示的儿童电子画板及显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374A (ja) * 1994-02-17 1995-08-29 Fujitsu Ltd マルチウィンドウシステムにおける新規ウィンドウ作成方法及び装置
JPH09319502A (ja) * 1996-05-28 1997-12-12 Toshiba Corp 表示一体型座標入力装置を備えた情報機器
JPH10149258A (ja) * 1996-11-15 1998-06-02 Omron Corp 入力操作装置
JP2001075691A (ja) * 1999-09-02 2001-03-23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323B2 (ja) 1991-02-09 2001-02-13 ソニー株式会社 ウインドウ表示装置およびウインドウ表示方法
JPH07117868B2 (ja) * 1991-04-30 1995-12-1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タツチ型作動キーボード定義方法及び装置
JPH08314596A (ja) 1995-05-22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H1055467A (ja) 1996-08-12 1998-02-24 Toshiba Corp 入力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000330946A (ja) 1999-05-17 2000-11-30 Casio Comput Co Ltd 機能切換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2051124A (ja) 2000-08-02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電話装置
JP2002055753A (ja) 2000-08-10 2002-02-2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機能一覧表表示方法、及び記憶媒体
JP5128026B2 (ja) 2000-11-29 2013-01-2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7446783B2 (en) * 2001-04-12 2008-1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n image on a screen
JP2003022161A (ja) 2001-07-05 2003-01-24 Ricoh Co Ltd コンピュータ補助入力装置
JP2003177848A (ja) 2001-12-12 2003-06-2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のキー表示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US20030107604A1 (en) * 2001-12-12 2003-06-12 Bas Ording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window resizing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03316490A (ja) 2002-04-26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遠隔操作方法
FI20021162A0 (fi) * 2002-06-14 2002-06-14 Nokia Corp Elektroninen laite ja menetelmä sen näppäimistön hallintaan
US20040046742A1 (en) * 2002-09-06 2004-03-11 Deanna Johnson Keyboard for tablet computers
US7081887B2 (en) * 2002-12-19 2006-07-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software keyboard
US20040183834A1 (en) * 2003-03-20 2004-09-23 Chermesino John C. User-configurable soft input applications
JP2005012493A (ja) 2003-06-19 2005-01-13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
US20060007178A1 (en) * 2004-07-07 2006-01-12 Scott Davis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mporoved user interface
US20060022953A1 (en) * 2004-07-30 2006-02-02 Nokia Corporation Left-hand originated user interface control for a device
US20060077183A1 (en) * 2004-10-08 2006-04-13 Studt Peter C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rting touchscreen events into application formatted data
JP2006138779A (ja) 2004-11-15 2006-06-01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自動分析装置
US8196055B2 (en) * 2006-01-30 2012-06-0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pplication windows in an oper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374A (ja) * 1994-02-17 1995-08-29 Fujitsu Ltd マルチウィンドウシステムにおける新規ウィンドウ作成方法及び装置
JPH09319502A (ja) * 1996-05-28 1997-12-12 Toshiba Corp 表示一体型座標入力装置を備えた情報機器
JPH10149258A (ja) * 1996-11-15 1998-06-02 Omron Corp 入力操作装置
JP2001075691A (ja) * 1999-09-02 2001-03-23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3332B (zh) 2012-10-24
US20100127994A1 (en) 2010-05-27
CN101523332A (zh) 2009-09-02
KR20090057079A (ko) 2009-06-03
KR20110127248A (ko) 2011-11-24
US8869059B2 (en) 2014-10-21
WO2008041485A1 (en)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943B1 (ko) 휴대 단말 장치
JP4781957B2 (ja) 携帯端末装置
JP5456230B2 (ja) 携帯端末装置における操作キー群のレイアウト方法および操作キー群レイアウト装置
KR101567785B1 (ko) 휴대단말에서 줌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US7750893B2 (en) Storage medium storing input posi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put position processing device
KR10087109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38459B1 (ko) 핸드헬드 이동 통신 장치의 접촉 감지 스크린을 사용하는 텍스트 선택
JP4215549B2 (ja) タッチパネル・モードと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モードで動作する情報処理装置
EP0661619B1 (en) A data input device with a display keyboard
KR101915615B1 (ko) 모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4078693A (ja) 視野移動操作方法
JP5507646B2 (ja) 携帯端末装置における操作キー群のレイアウト方法および操作キー群レイアウト装置
KR20080097404A (ko) 문자 입력 장치
US20110025718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JP4628295B2 (ja) 携帯端末装置における操作キー群のレイアウト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1085239B1 (ko) 양면 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JP5025450B2 (ja) 文字入力装置
JP2011227913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装置の制御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装置
JPH11327733A (ja) ウィンドウサイズ変更装置および方法
JP2014207000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5418713B1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134719A (ja)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819276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CN110297589B (zh) 自定义虚拟按键位置自动排列方法、系统及虚拟输入装置
JP2010152848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