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404A -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404A
KR20080097404A KR1020087017141A KR20087017141A KR20080097404A KR 20080097404 A KR20080097404 A KR 20080097404A KR 1020087017141 A KR1020087017141 A KR 1020087017141A KR 20087017141 A KR20087017141 A KR 20087017141A KR 20080097404 A KR20080097404 A KR 20080097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keyboard
keyboard arrangement
character inpu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741B1 (ko
Inventor
데츠시 구마모토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7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02Details
    • H03M11/04Coding of multi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거친 조작으로도,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키보드 배열의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PDA나 휴대 전화 등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부(34)와, 터치 스크린(12)에, 복수 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 중의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30)와, 터치 스크린(12) 중의 소정 영역에 대하여,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조작 판단부(31)와,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기억부(34)에 의해 기억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 중, 표시부(30)에 의해 표시 중인 키보드 배열 화상 이외의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0)를 제어하는 표시 전환 제어부(3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PDA 등의 소형의 문자 입력 장치에는, 터치 스크린상에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구비하여, 풀-키보드 환경에서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키보드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키보드에 비해 작은 것이 되지 않을 수 없고, 그 때문에 여러 가지 고안이 실시되고 있다.
예컨대,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는, 키보드의 일부에 키보드 배열을 선택하기 위한 콤보 박스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하는 키보드 배열이 변경된다. 이렇게 하면, 하나하나의 키가 작아 각 키에 복수의 문자(가나와 알파벳)를 표시할 수 없더라도, 가나 입력과 로마자 입력의 양쪽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비특허 문헌 1) “Pocket LOOX 사용자 가이드”, “4 입력 패널에서의 문자 입력”, [online], 2004년 6월, 후지츠 주식회사, [평성 18년 1월 14일 검색], 인터넷(http://www.fmworld.net/biz/pda/manua1/0407/)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는, 키보드 배열을 변경하기 위해, 소망하는 배열에 대응한 콤보 박스를 선택하는 조작이 필요하다. 그러나, 표시 영역의 제약상 콤보 박스도 작아지지 않을 수 없어, 키보드 배열의 변경에 관계되는 조작이 대단히 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의 하나는, 거친 조작으로도,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키보드 배열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문자 입력 장치는, 복수 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터치 스크린에, 상기 복수 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 중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터치 스크린 중의 소정 영역에 대하여,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조작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 중인 키보드 배열 화상 이외의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표시 전환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중의 소정 영역에 대하여 터치 조작(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키보드 배열 화상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거친 조작으로도,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키보드 배열의 변경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적어도 3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을 순서를 붙여 기억하고, 당해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터치 조작 판단 수단에 의해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 그 접촉 포인트가 더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조작 판단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이동 조작 판단 수단에 의해 그 접촉 포인트가 이동했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 중인 키보드 배열 화상의 다음에 기억되는 2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키보드 배열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에 의한 터치 조작 후, 터치 스크린에 접촉한 채로의 상태로 스타일러스와 터치 스크린의 접촉 포인트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기억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재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중의 소정 영역은,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 중인 키보드 배열 화상에 있어서 키가 할당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인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키보드 배열 화상에 있어서 키가 할당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임의의 영역에서 터치 조작을 함으로써, 키보드 배열 화상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넓은 영역에서의 거친 조작으로,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키보드 배열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당해 문자 입력 장치는, 전화로서도 기능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에 덧붙여 다이얼 키 배열 화상을 기억하며, 당해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키보드 동작 모드, 또는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는 다이얼 키 배열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다이얼 키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 의해 동작하고, 당해 문자 입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 조작을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전환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한 표시를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면, 동작 모드의 전환에 의해, 문자 입력 장치를 전화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문자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 등의 이동 통신 장치에 있어서, 거친 조작으로도,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키보드 배열의 변경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PDA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다이얼 키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PDA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PDA에서,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을 결정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터치 스크린의 화면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휴대 전화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10)의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DA(10)는 하드웨어 조작키(11), 터치 스크린(12), 마이크로폰(17), 및 스피커(18)를 구비한다.
PDA(10)는 휴대 전화기로서도 기능하고, 터치 스크린(12)에 소프트웨어 키보드가 표시되는 키보드 동작 모드와, 터치 스크린(12)에 다이얼 키가 표시되는 다이얼 키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동작한다. 이들 동작 모드는, 사용자가 행 하는 소정의 동작 모드 전환 조작에 의해 전환된다.
키보드 동작 모드에서는, PDA(10)는 터치 스크린(12)의 영역(13)에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20)에 의해 터치 스크린(12)에 접촉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조작을 행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조작에 의해, PDA(10)에 문자 입력이 행해져, PDA(10)를 문자 입력 장치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PDA(10)는, 이렇게 해서 입력된 문자를 터치 스크린(12)의 소정 영역에 표시한다.
도 2는 영역(13)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15)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소프트웨어 키보드(15)는, 「WEB」, 「ひら」, 「カナ」 등의 각종 키를 구비하는 고정 표시 영역과, 가변 영역 A를 구비하고 있다. 또, 고정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통화」 키는, 오프훅/온훅 키이다. 이 「통화」 키에 의해, 사용자는, 키보드 동작 모드에 있어서도 착신을 받은 경우에 통화를 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통화는, 마이크로폰(17), 스피커(18)를 거쳐 행해진다.
도 3은 가변 영역 A에 표시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기서는 키보드 배열 화상으로서 3종류의 것, 즉, 「히라가나 키보드 배열 화상」, 「가타카나 키보드 배열 화상」, 「영숫자 키보드 배열 화상」이 사용된다. 이들 각 화면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다. 선택된 화면은, 영역 A에 표시된다.
다이얼 키 동작 모드에서는, PDA(10)는 터치 스크린(12)의 영역(14)에 다이얼 키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동작 모드를 다이얼 키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
도 4는, 영역(14)에 표시되는 다이얼 키(16)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얼 키(16)는, 오프훅 키, 온훅 키, 「0」~「9」의 넘버 키 등의 휴대 전화기로서 필요한 각종 키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넘버 키에 의해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오프훅 키를 누르면, PDA(10)는 입력된 전화 번호에 대하여 발신한다. 또한, PDA(10)는, 넘버 키가 눌릴 때마다, 눌린 넘버 키에 대응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터치 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표시한다.
이하, PDA(10)의 기능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PDA(10)는, CPU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터이다. CPU는, 메모리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처리 유닛이며, PDA(1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각 기능을 실현한다. 메모리는, 본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함과 아울러, CPU의 워크 메모리로서도 동작한다.
도 5는, PDA(10)의 기능 블록(무선 통신부나 통화 회로부 등을 제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DA(10)는 기능적으로, 표시부(30), 터치 조작 판단부(31), 표시 전환 제어부(33), 기억부(34), 동작 모드 전환부(35)를 포함한다. 그리고, 터치 조작 판단부(31)는 또한, 이동 조작 판단부(32)를 포함한다.
기억부(34)는, 도 3에 나타내는 각 키보드 배열 화상을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을 순서를 붙여 기억하고 있다. 또한, 기억부(34)는 소프트웨어 키보드(15)의 고정 표시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고정 표시 키 배열 화면을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기억부(34)는 또한, 다이얼 키(16)를 표시하기 위한 다이얼 키 배열 화상을 기억하고 있다.
동작 모드 전환부(35)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조작을 받아들인다. 동작 모드 전환 조작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터치 스크린(12)의 소정 영역의 터치 조작이나, 하드웨어 조작 키(11)의 조작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착신시 혹은 통화시 이외의, 사용자에 의한 「통화」 키(도 2)의 터치 조작 등을 들 수 있다.
동작 모드 전환부(35)는, 이렇게 해서 받아들인 조작에 따라, 표시부(30)에 의한 표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동작 모드 전환부(35)는, 그때까지 키보드 표시 동작 모드였던 경우에는 다이얼 키 표시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그때까지 다이얼 키 표시 동작 모드였던 경우에는 키보드 표시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동작 모드 전환부(35)는, 키보드 표시 동작 모드에서는, 기억부(34)에 의해 기억되는 고정 표시 키 배열 화면과, 마찬가지로 기억부(34)에 의해 기억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함께 표시부(30)에 표시시킨다. 또한, 동작 모드 전환부(35)는, 다이얼 키 표시 동작 모드에서는, 기억부(34)에 의해 기억되는 다이얼 키 배열 화상을 표시부(30)에 표시시킨다.
이하에서는, 키보드 표시 동작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 배열 화상이 선택될 때에 PDA(10)를 구성하는 각 부에서 행해지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키보드 표시 동작 모드에서는, 표시부(30)는, 동작 모드 전환부(35)에 의한 제어에 따라, 기억부(34)에 기억되는 고정 표시 키 배열 화면을 영역(13)에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30)는 또한, 후술하는 표시 전환 제어부(33)의 지시에 따라 기억부(34)에 기억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시킨 고정 표시 키 배열 화면 중의 영역 A에 표시한다.
터치 조작 판단부(31)는, 터치 스크린(12) 중의 소정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 터치 조작은, 스타일러스(20) 등으로 터치 스크린(12)에 접촉하는 조작이다. 여기서는 특히, 터치 조작 판단부(31)는, 소프트웨어 키보드(15)에 있어서 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영역(후술의 도 7 참조), 그리고, 이것과는 별도로 문자 입력 등을 위한 키가 할당되어 있는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조작 판단부(32)는, 터치 조작 판단부(31)에 의해 소프트웨어 키보드(15)에 있어서 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 그 접촉 포인트가 더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동 조작 판단부(32)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2)에 접촉시킨 채로, 스타일러스(20)를 이동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조작 판단부(32)는, 스타일러스(20)가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고 있는 점(접촉 포인트)의 좌표를 상시 취득하여, 스타일러스(20)가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질 때까지의 사이에 이 좌표가 소정량 이상 변화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접촉 포인트가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조작 판단부(32)는, 접촉 포인트가 이동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표시 전환 제어부(33)에 대하여, 소정 영역에 터치 조작이 이루어진 것 및 접촉 포인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이동 조작 판단부(32)는, 접촉 포인트가 이동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표시 전환 제어부(33)에 대하여, 소정 영역에 터치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표시 전환 제어부(33)는, 이동 조작 판단부(32)에 의해 터치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기억부(34)에 기억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 중, 표시 중인 키보드 배열 화상 이외의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0)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전환 제어부(33)는, 이동 조작 판단부(32)에 의해 접촉 포인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도 입력된 경우에는, 그 이동 방향에 따라, 표시 중인 키보드 배열 화상의 다음에 기억되는 2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키보드 배열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30)를 제어한다.
표시 전환 제어부(33)의 상기 제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억부(34)는, 「히라가나 키보드 배열 화상」, 「가타카나 키보드 배열 화상」, 「영숫자 키보드 배열 화상」의 순서의 순환 배열에 따라, 3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을 기억하고 있다. 표시 전환 제어부(33)는, 예컨대, 표시부(30)에 의해 「히라가나 키보드 배열 화상」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터치 조작이 이루어진 것 및 접촉 포인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그 이동 방향에 따라, 키보드 배열 화상의 다음에 기억되는 2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 즉, 「히라가나 키보드 배열 화상」의 「앞에」 기억되는 「영숫자 키보드 배열 화상」 또는 「히라가나 키보드 배열 화상」의 「뒤에」 기억되는 「가타카나 키보드 배열 화상」의 어느 하나를 표시부(30)에 선택 표시시킨다.
도 6은 표시 전환 제어부(33)가 표시부(30)에 표시시키는 키보드 배열 화상을 결정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에서는, Ts가 터치 조작의 접촉 포인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동 조작 판단부(32)는, 터치 조작 후, 스타일러스(20)가 터치 스크린(12)으로부터 떨어진 포인트 Tf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들이 소정량 이상 떨어져있지 않은 경우에는, 접촉 포인트가 이동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한편, 이들이 소정량 이상 떨어져있는 경우에는, 포인트 Tf가 포인트 Ts와 이루는 직선이, 소정 방향 L과 이루는 각도 θ를 취득한다. 이동 조작 판단부(32)는, 이 각도 θ를 나타내는 신호를, 접촉 포인트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상기 신호로서 출력한다.
표시 전환 제어부(33)는, 각도 θ가 0° 이상 180° 미만인 경우에는, 「히라가나 키보드 배열 화상」의 「앞에」 기억되는 「영숫자 키보드 배열 화상」을 표시부(30)에 선택시킨다. 또한, 각도 θ가 180°이상 360° 미만인 경우에는, 「히라가나 키보드 배열 화상」의 「뒤에」 기억되는 「가타카나 키보드 배열 화상」을 표시부(30)에 선택시킨다. 표시 전환 제어부(33)는 이렇게 하여, 접촉 포인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표시부(30)에 표시시키는 키보드 배열 화상을 결정하고 있다.
표시부(30)는, 표시 전환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기억부(34)로부터 키보드 배열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한 키보드 배열 화상에 따라 영역 A의 표시를 갱신 한다.
이상 설명한 키보드 배열 화상의 선택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키보드 표시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터치 스크린(12)의 화면 천이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b), (c)는 각각, 터치 스크린(12)에 「히라가나 키보드 배열 화상」, 「가타카나 키보드 배열 화상」, 「영숫자 키보드 배열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전환 제어부(33)는, 이동 조작 판단부(32)로부터 출력된 접촉 포인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a)→(b)→(c)→(a)의 순으로의 화면 선택, 혹은 (a)→(c)→(b)→(a)의 순으로의 화면 선택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도록, 표시부(30)를 제어하고 있다.
또, 터치 조작 판단부(31)는, 도 7(a), (b), (c)의 각각에 있어 사선으로 표시되는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영역은, 도 7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키보드 배열 화상에 따라 다르고, 터치 조작 판단부(31)는, 표시부(30)가 표시 중인 키보드 배열 화상에 따라 다른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PDA(10)에 의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2) 중의 소정 영역에 대하여 스타일러스(20)에 의한 터치 조작(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키보드 배열 화상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거친 조작으로도, 터치 스크린(12)상에 표시되는 키보드 배열의 변경이 가능해 진다. 또한, 이 소정 영역을 키보드 배열 화상에 있어서 키가 할당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임의의 영역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넓은 영역에서의 거친 조작으로, 터치 스크린(12)상에 표시되는 키보드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타일러스(20)에 의한 상기 터치 조작 후, 터치 스크린(12)에 접촉한 채로의 상태로 스타일러스(20)와 터치 스크린(12)의 접촉 포인트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기억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의 전환에 의해, PDA(10)를 전화로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PDA(10)의 터치 스크린(12)상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예컨대, 휴대 전화기 등의 이동 통신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00)는, 접이식이며, 터치 스크린(101), 스크린(102), 마이크로폰(103), 스피커(104)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 터치 스크린(101)상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종류는 상기 3종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한글 키보드 배열 화상, 병음 키보드 배열 화상 등의 여러 가지 언어에 대응한 키보드 배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30)의 선택대상으로 하는 키보드 배열 화상을 미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두는 것 으로 하여도 좋다.

Claims (5)

  1. 복수 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터치 스크린에, 상기 복수 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 중의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터치 스크린 중의 소정 영역에 대하여,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조작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 중인 키보드 배열 화상 이외의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표시 전환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적어도 3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을 순서를 붙여 기억하고,
    상기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터치 조작 판단 수단에 의해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 그 접촉 포인트가 더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조작 판단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이동 조작 판단 수단에 의해 그 접촉 포인트가 이동했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 중인 키보드 배열 화상의 다음에 기억되는 2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키보드 배열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중의 소정 영역은,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 중인 키보드 배열 화상에 있어서 키가 할당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장치는, 전화로서도 기능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키보드 배열 화상에 덧붙여 다이얼 키 배열 화상을 기억하고,
    상기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는 키보드 배열 화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키보드 동작 모드, 또는 상기 기 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는 다이얼 키 배열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다이얼 키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문자 입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 조작을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전환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한 표시를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문자 입력 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
KR1020087017141A 2006-01-30 2007-01-23 문자 입력 장치 KR101396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0642 2006-01-30
JPJP-P-2006-00020642 2006-01-30
PCT/JP2007/050977 WO2007086371A1 (ja) 2006-01-30 2007-01-23 文字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404A true KR20080097404A (ko) 2008-11-05
KR101396741B1 KR101396741B1 (ko) 2014-05-16

Family

ID=3830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141A KR101396741B1 (ko) 2006-01-30 2007-01-23 문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02321A1 (ko)
EP (1) EP1980953B1 (ko)
JP (1) JP4602417B2 (ko)
KR (1) KR101396741B1 (ko)
CN (1) CN101379474A (ko)
WO (1) WO20070863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17B1 (ko) * 2010-01-29 2012-02-2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정보통신기기의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0344B (zh) 2007-12-31 2013-12-21 Htc Corp 切換觸碰鍵盤的方法以及使用此方法的手持電子裝置與儲存媒體
TWI389015B (zh) * 2007-12-31 2013-03-11 Htc Corp 軟體鍵盤之操作方法
CN103135786B (zh) * 2008-04-18 2016-12-28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向电子设备输入文本的方法
CN103197765B (zh) * 2008-04-18 2017-01-25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键盘布局调整方法
CN101266520B (zh) * 2008-04-18 2013-03-27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实现灵活键盘布局的系统
KR101545569B1 (ko) * 2008-07-01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KR101504201B1 (ko) * 2008-07-02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CN102023732B (zh) * 2009-09-10 2013-01-30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控制装置及方法
JP5211019B2 (ja) * 2009-11-26 2013-06-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電子機器
CN102760030A (zh) * 2011-11-28 2012-10-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装置及电子终端
JP6605921B2 (ja) * 2015-11-09 2019-11-13 圭司 中川 ソフトウエアキーボードプログラム、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JP2017151747A (ja) * 2016-02-25 2017-08-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キー画面の表示方法及びキー画面の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2302A (en) * 1994-03-07 1999-11-09 Ure; Michael J. Touch-sensitive keyboard/mouse
KR960024839A (ko) * 1994-12-29 1996-07-20 김광호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정보 입력방법
JP3296685B2 (ja) * 1995-05-15 2002-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JP3738066B2 (ja) * 1995-11-07 2006-01-2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US7168046B2 (en) * 2001-04-26 2007-0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O2003017244A1 (en) * 2001-08-17 2003-02-27 Multidigit,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ction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user's fingers
US20030119543A1 (en) * 2001-12-20 2003-06-26 Kfoury Tony 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terchangeable user input module
US6882337B2 (en) * 2002-04-18 2005-04-19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keyboard for touch-typing using audio feedback
US7098896B2 (en) * 2003-01-16 2006-08-29 Forwo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US7401300B2 (en) * 2004-01-09 2008-07-15 Nokia Corporation Adaptive user interface input device
US20050245293A1 (en) * 2004-04-30 2005-11-03 Mike Provencher Computer keyboard having hybrid computer/telephone keypad
US7477233B2 (en) * 2005-03-16 2009-01-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difier key behavior through pen ges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17B1 (ko) * 2010-01-29 2012-02-2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정보통신기기의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0953A4 (en) 2009-05-27
EP1980953B1 (en) 2018-07-18
WO2007086371A1 (ja) 2007-08-02
CN101379474A (zh) 2009-03-04
JP4602417B2 (ja) 2010-12-22
JPWO2007086371A1 (ja) 2009-06-18
EP1980953A1 (en) 2008-10-15
KR101396741B1 (ko) 2014-05-16
US20090002321A1 (en) 200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741B1 (ko) 문자 입력 장치
US20220129150A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input device
US11188207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115467B1 (ko) 가상 키보드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US8791918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nput control method, storing character input program
US8279182B2 (en) Us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JP2000278391A (ja) 背面手書き入力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US20060114224A1 (en) Electronic apparatus, input control apparatus, and input control program storage medium
WO2010089918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JP2009099057A (ja) 移動体端末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20080097563A (ko) 키보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3015805A (ja) 携帯端末、及びその文字入力方法
JP2006197159A (ja) 携帯情報処理装置および入力情報入力方法
KR10146569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방법
KR101147730B1 (ko) 가상 키보드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KR101417037B1 (ko) 모바일 인터넷 브라우저에서의 카메라 화상정보를 이용한화면 스크롤링 장치 및 그 방법
JP2004013376A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
KR20120083739A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30019151A (ko) 알파벳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20024034A (ko) 알파벳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20030011117A (ko)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