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604B1 -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는 스캔유닛 및 이를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는 스캔유닛 및 이를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604B1
KR101109604B1 KR1020070060042A KR20070060042A KR101109604B1 KR 101109604 B1 KR101109604 B1 KR 101109604B1 KR 1020070060042 A KR1020070060042 A KR 1020070060042A KR 20070060042 A KR20070060042 A KR 20070060042A KR 101109604 B1 KR101109604 B1 KR 10110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fc
emi noise
image
unit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727A (ko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604B1/ko
Priority to US12/105,485 priority patent/US8243345B2/en
Priority to CN2008101084013A priority patent/CN101329529B/zh
Publication of KR2008011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7/00Scree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signals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of the apparatus, e.g. arrangements of signal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7Details of supply connection, e.g. arrangement of power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76Arrangements for regulating environment, e.g.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H04N1/00994Compensating for electric noise, e.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17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 G03G2215/0018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 G03G2215/00185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for scanning concerning the original's state of motion original at r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Optical Systems Of Projection Type Copiers (AREA)

Abstract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는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스캔유닛은 원고를 지지하는 원고대, 원고대의 하측에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여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가 마련된 독취모듈, 독취모듈에 연결되어 전원 및 화상신호의 전달통로인 FFC와, 독취모듈의 화상신호 전송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는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Scan unit having EMI noise sheltering member and image-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스캔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스캔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본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를 따라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노이즈 차폐부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FFC고정부가 독취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를 따라 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I 노이즈 차폐부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FFC고정부가 독취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스캔유닛프레임 120...원고지지대
130...독취모듈 131...이미지센서
132,190...FFC고정부 141,142...가이드샤프트
150...FFC 160,180...EMI 노이즈 차폐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독취부에서 독취된 화상신호의 전달 시 발생되는 EMI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EMI 노이즈차폐부를 구비하는 스캔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캔유닛은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원고의 화상을 입력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원고의 화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독취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캔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캔유닛프레임(10)의 상측에는 원고(S)를 지지하며,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유리로 이루어진 원고지지대(20)가 마련되어 있다. 스캔유닛프레임(10)의 내측에는 가이드샤프트(40)에 안내되어 화살표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고지지대(20)위에 놓여 있는 원고(S)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을 독취하는 이미지센서(31)를 구비하는 독취부(30)가 마련되어 있다. 독취부(30)의 하측에는 독취부(30)의 구동 및 화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FFC(50,flexible flat cable)을 고정시키는 FFC홀더(32)가 마련되어 있다. FFC(50)는 스캔유닛프레 임(10)의 하측에 독취부(30)가 왕복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마련되어 있으며, 그 일단은 독취부(3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도시되지 않은 전원 및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다. FFC(50)는 자체가 유연하여 구부러짐과 원상태복구가 자유로운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독취부(30)의 왕복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FFC(50)에는 EMI 노이즈 차폐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스캔유닛은 광원용 전원(5V 또는 3.3V)와 이미지센서 구동용 전원(24V)이 있어, 전원으로부터 들어오는 EMI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페라이트(ferrite)재질의 EMI 노이즈 차폐부(60)를 전원에 가까이 장착하여 EMI를 차폐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EMI 노이즈 차폐부(60)는 전원으로부터 들어오는 EMI 노이즈에 대한 차폐는 효과적이나, 독취부에서 고해상도의 데이터가 고속으로 생성되어 제어부로 전달 시 화상신호의 EMI 노이즈 차폐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독취부로부터 생성되는 화상신호에 의한 EMI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도록 독취부에 마련된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는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스캔유닛은 원고를 지지하는 원고대;
상기 원고대의 하측에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여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가 마련된 독취모듈;
상기 독취모듈에 연결되어 전원 및 화상신호의 전달통로인 FFC와;
상기 독취모듈의 화상신호 전송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독취모듈은 상기 FFC를 고정하기 위한 FFC고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는 상기 FFC고정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는 상기 FFC고정부 내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는 EMI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FFC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FFC 고정부는 상기 독취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원고를 독취하여 화상을 입력하는 스캔유닛과, 상기 스캔유닛이 독취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캔유닛은
원고를 지지하는 원고대;
상기 원고대의 하측에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여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가 마련된 독취모듈;
상기 독취모듈에 연결되어 전원 및 화상신호의 전달통로인 FFC와;
상기 독취모듈의 화상신호 전송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스캔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를 따라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노이즈 차폐부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FFC고정부가 독취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를 따라 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I 노이즈 차폐부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FFC고정부가 독취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캔유닛(101)과, 상기 스캔유닛(101)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캔유닛(101)으로부터 독취된 원고의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인쇄부(201)를 구비한다.
상기 인쇄부(201)는 다수의 용지(P)를 적재하는 카세트(210)와,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231)를 구비하는 현상장치(230)와, 상기 감광매체(231)에 대접하면서 닙을 형성하여 상기 감광매체(231)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닙을 통과하는 용지(P)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232)와, 상기 감광매체(231)에 광을 조사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250)과,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P)에 융착시키는 정착장치(240)와, 토너화상이 융착된 용지(P)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롤러(260)를 구비한다. 배지롤러(260)에 의하여 배지된 용지(P)는 적재부(270)에 적재된다.
상기 카세트(210)는 스프링(212)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으며 다수의 용지(P)가 적재되는 적재판(121)을 구비한다. 카세트(210)의 상측에는 용지(P)에 접촉되어 낱장 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캔유닛은 스캔유닛프레임(110)의 상측에 마련되어 원고(S)를 지지하면서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유리로 된 원고지지대(120)와, 상기 스캔유닛프레임(110)의 내측에 마련되어 원고(S)에 광을 조사하여 원고(S)의 화상을 독취하는 독취모듈(130)을 구비한다.
상기 독취모듈(130)은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141)(142)에 지지되어 있으며, 화살표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샤프트(141)의 일측에는 상기 독취모듈(130)을 화살표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독취모듈(130)에는 광을 원고(S)에 조사하고, 원고(S)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이미지센서(131)와, 그 하측에 마련되어 FFC(150)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FFC고정부(132)를 구비한다.
상기 FFC(150)는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류를 상기 독취모듈(130)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센서(131)로부터 생성된 화상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자체는 유연한 재질로 되어 있어 구부러짐이 자유롭고 원상태로 복귀가 용이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독취모듈(130)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141)(142)를 따라 왕복 운동하더라도, 상기 FFC(150)는 상기 독취모듈(130)의 왕복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전원 및 화상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FFC고정부(132)는 상기 FFC(150)의 일측을 상기 독취모듈(130)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독취모듈(130)에 상기 FFC(150)의 연결이 단락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FFC고정부(13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에 EMI 노이즈 차폐부(1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FFC(150)는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180)를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FFC(150)는 상기 FFC고정부(132)에 고정되어 있는 EMI 노이즈 차폐부(180)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FFC고정부(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독취모듈(1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을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독취모듈(1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FFC고정부(132)는 EMI 노이즈 차폐기능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FC고정부(132)에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180)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상기 FFC고정부(190)를 EMI 노이즈 차폐기능이 있는 재료로 제작하였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EMI 노이즈 차폐기능을 가지는 FFC고정부(190)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FFC고정부(190)에 EMI 노이즈 차폐부(180)를 별도로 설치하는 구성보다 간단하다.
EMI 노이즈 차폐기능을 가지는 FFC고정부(1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독취모듈(130)에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독취모듈(1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FFC(150)는 상기 FFC고정부(190)를 통과하여 상기 독취모듈(130)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FFC(150)의 타측에는 또 다른 EMI 노이즈 차폐부(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 전원공급 시 발생되는 EMI 노이즈를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EMI 노이즈 차폐부의 재료 및 그 기능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공지된 어떤 것을 사용하더라도 관계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180)와, 도 6에 도시된 EMI 노이즈 차폐기능을 가지는 FFC고정부(190)는 상기 이미지센서(131)에서 화상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EMI 노이즈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160)는 전원공급 시 발생되는 EMI 노이즈를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미지센서(131)로부터 조사된 광은 원고(S)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이미지센서(131)로 수광된다. 상기 이미지센서(131)에 수광된 광의 강도에 따라 밝기에 비례한 전압값을 아나로그 형태의 화상신호로 출력된다. 상기 독취모듈(130)에 연결된 상기 FFC(150)를 통해 아날로그 화상신호가 전송되거나, 상기 독취모듈(130)내부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FFC(150)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FFC(150)를 통해 전송되는 화상신호의 신호 노이즈 및 상기 독취모듈(130)에서 발생되는 EMI 노이즈가 상기 독취모듈(130)에 부착된 EMI 노이즈 차폐부(180) 및 EMI 노이즈 차폐기능을 구비하는 FFC고정부(190)를 통과하면서 차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캔유닛은
첫째, EMI 노이즈 차폐부를 독취모듈에 설치함으로써 화상신호 전송 시 발생되는 EMI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으며,
둘째, EMI 노이즈 차폐기능을 가지는 재질로 FFC고정부를 제작함으로써 EMI 노이즈를 차폐함과 동시에 FFC를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비용측면에서 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원고를 지지하는 원고대;
    상기 원고대의 하측에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여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가 마련된 독취모듈;
    상기 독취모듈에 연결되어 전원 및 화상신호의 전달통로인 FFC와;
    상기 독취모듈의 화상신호 전송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며,
    상기 독취모듈은 상기 FFC를 고정하기 위한 FFC고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는 상기 FFC고정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는 상기 FFC고정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는 EMI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 으며, 상기 FFC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FC 고정부는 상기 독취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유닛.
  6. 삭제
  7. 원고를 독취하여 화상을 입력하는 스캔유닛과, 상기 스캔유닛이 독취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캔유닛은
    원고를 지지하는 원고대;
    상기 원고대의 하측에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여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센서가 마련된 독취모듈;
    상기 독취모듈에 연결되어 전원 및 화상신호의 전달통로인 FFC와;
    상기 독취모듈의 화상신호 전송 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며,
    상기 독취모듈은 상기 FFC를 고정하기 위한 FFC고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는 상기 FFC고정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는 상기 FFC고정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EMI 노이즈 차폐부는 EMI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FFC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FC 고정부는 상기 독취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60042A 2007-06-19 2007-06-19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는 스캔유닛 및 이를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10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042A KR101109604B1 (ko) 2007-06-19 2007-06-19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는 스캔유닛 및 이를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2/105,485 US8243345B2 (en) 2007-06-19 2008-04-18 Scan unit having EMI noise block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can unit
CN2008101084013A CN101329529B (zh) 2007-06-19 2008-05-27 扫描单元及具有该扫描单元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042A KR101109604B1 (ko) 2007-06-19 2007-06-19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는 스캔유닛 및 이를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727A KR20080111727A (ko) 2008-12-24
KR101109604B1 true KR101109604B1 (ko) 2012-01-31

Family

ID=4013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042A KR101109604B1 (ko) 2007-06-19 2007-06-19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는 스캔유닛 및 이를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43345B2 (ko)
KR (1) KR101109604B1 (ko)
CN (1) CN1013295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6893A (ja) * 2008-08-28 2010-03-11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4947177B2 (ja) * 2010-03-25 2012-06-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003781B2 (ja) * 2010-03-25 2012-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複合機
JP4947178B2 (ja) * 2010-03-25 2012-06-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671947B2 (ja) * 2010-11-02 2015-02-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露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004682B2 (ja) * 2011-03-22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66614B2 (ja) * 2012-08-09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6070058B2 (ja) * 2012-10-25 2017-02-01 株式会社リコー 配線装置、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TWI511521B (zh) * 2012-12-12 2015-12-0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掃描裝置
US9423754B2 (en) 2013-04-26 2016-08-2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JP6173115B2 (ja) * 2013-08-15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98930B2 (ja) * 2014-12-25 2019-04-10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伝送ケーブルの固定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6327202B2 (ja) * 2015-05-25 2018-05-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10821758B2 (en) * 2017-12-05 2020-11-03 Canon Components, Inc. Illumination device, line sensor assembly, read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US11625933B2 (en) * 2021-05-07 2023-04-11 Capital One Services, Llc Identifying invalid identification docu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710A (ja) * 1993-06-25 1995-01-31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原稿読取装置及び可撓性ケーブル
JP2006015509A (ja) 2004-06-30 2006-01-19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電磁波遮蔽装置、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KR20060034455A (ko) * 2004-10-19 2006-04-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과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JP2007043237A (ja) 2005-07-29 2007-02-15 Seiko Epson Corp 画像読み取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8667A (ja) 1989-05-23 1990-12-21 Fuji Xerox Co Ltd 画像読取装置
US5650615A (en) * 1995-08-29 1997-07-22 Xerox Corporation Electromagnetic emission shielding of an image aperture opening for a digital scanner
JP2000002947A (ja) * 1998-06-12 2000-01-07 Canon Inc 原稿走査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4018847B2 (ja) * 1999-08-19 2007-12-05 株式会社トキメック スパイラルアンテナ
JP2002135539A (ja) * 2000-10-23 2002-05-10 Seiko Epson Corp 画像読み取り装置
JP4164284B2 (ja) * 2002-04-23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584350U (en) * 2003-01-30 2004-04-11 Veutron Corp A scanner
JP3873915B2 (ja) * 2003-03-11 2007-01-31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150047A (ja) 2003-11-20 2005-06-0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TWI241839B (en) * 2004-08-11 2005-10-11 Primax Electronics Ltd Flatbed scanner
KR100573713B1 (ko) * 2004-10-09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닝장치
JP4397862B2 (ja) * 2005-07-20 2010-01-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クランプ
TWI328960B (en) * 2006-08-18 2010-08-11 Avision Inc Image acquiring device having a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edium
JP4396690B2 (ja) * 2006-11-15 2010-0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複写装置
US20080220626A1 (en) * 2007-03-08 2008-09-11 Tennrich International Corp. Electronic product connection means
JP5159136B2 (ja) * 2007-03-28 2013-03-0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710A (ja) * 1993-06-25 1995-01-31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原稿読取装置及び可撓性ケーブル
JP2006015509A (ja) 2004-06-30 2006-01-19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電磁波遮蔽装置、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KR20060034455A (ko) * 2004-10-19 2006-04-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과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JP2007043237A (ja) 2005-07-29 2007-02-15 Seiko Epson Corp 画像読み取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29529A (zh) 2008-12-24
KR20080111727A (ko) 2008-12-24
US8243345B2 (en) 2012-08-14
US20080316547A1 (en) 2008-12-25
CN101329529B (zh)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604B1 (ko) Emi 노이즈 차폐부를 구비하는 스캔유닛 및 이를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442513B1 (ko) 화상 판독 장치
KR102070937B1 (ko) 이미징 유닛의 위치 조정 장치, 이미징 유닛 및 이를 포함한 화상 독취 장치
JP6229575B2 (ja) 画像処理装置
KR101505092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060124875A (ko) 복합기
CN100465693C (zh) 光扫描装置以及使用该装置的图像形成装置
JP5205839B2 (ja) 画像形成装置
CN108459410B (zh) 光扫描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6327202B2 (ja) 画像読取装置
JP5698855B2 (ja) レンズアレイ並びにこれを用いた読取装置、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14984A (ja) 画像形成装置
JP483969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露光手段位置調整方法
JP2015141349A (ja) 画像読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998791B1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JP2019041257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3088661A (ja) レンズアレイ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20060197821A1 (en) Apparatus for image correction of a laser printer and method for the same
JP5975944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8117297A (ja) 画像読取装置及び該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504584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74334A (ja) コンタクトイメージセンサーの基板
JP201121698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20060019729A (ko) 화상형성장치
JP2006128858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複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