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429B1 -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및 이를 사용한 높이 조정 테이블 - Google Patents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및 이를 사용한 높이 조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429B1
KR101105429B1 KR1020090062810A KR20090062810A KR101105429B1 KR 101105429 B1 KR101105429 B1 KR 101105429B1 KR 1020090062810 A KR1020090062810 A KR 1020090062810A KR 20090062810 A KR20090062810 A KR 20090062810A KR 101105429 B1 KR101105429 B1 KR 101105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ight
adjusting
adjustmen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889A (ko
Inventor
카즈야 타카기
준 시라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ublication of KR2010002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7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supporting substrates others than wafers, e.g.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Liquid Crystal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트의 높이를 그 위쪽(윗면쪽)에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복수의 플레이트 전체의 평면도를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은 판상 부재를 올려놓는 테이블의 높이를 조정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및 이를 사용한 높이 조정 테이블이다. 상기 판상 부재가 직접 놓이는 플레이트를 그 아래쪽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고리형태로 배설된 공구 감합(嵌合)용 복수의 감합구멍을 갖는 조정 링과, 바깥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조정 링을 끼우고 회전시켜 그 조정 링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를 그 높이를 조정하여 지지하는 나사 받침대와,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된 나사 감합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나사 받침대를 통해 상기 베이스 쪽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쪽에 고정하는 고정나사와, 상기 플레이트 내 상기 나사 감합구멍 주위로서 상기 조정 링의 감합구멍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공구 삽입용 조정구멍을 갖추었다.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액정 디스플레이, 유리기판, 플레이트, 판상 부재, 고정나사, 조정 링, 구면 와셔, 조임부(fastening portion), 평면도

Description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및 이를 사용한 높이 조정 테이블{Table Height Adjusting Mechanism and Height Adjusting Tab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유리기판 같은 판상 부재를 올려놓는 테이블의 높이를 조정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및 이를 사용한 높이 조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유리기판 같은 판상 부재를 올려놓고 회로패턴의 제조나 검사 등을 할 경우, 평면도가 높은 테이블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테이블의 예로 특허문헌 1∼3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히 대형 유리기판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2와 같이, 복수의 판으로 구성된 조정 테이블을 사용해 지지된다. 상기 조정 테이블의 경우, 각 판마다 높이 조정을 하여, 대형 유리기판 전체를 높은 평면도로 지지한다.
이들 특허문헌 1∼3에서의 테이블의 평면도 조정은, 특허문헌 1, 2의 경우, 볼트와 너트로, 특허문헌 3의 경우, 잭(jack)으로 조정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2의 경우는, 볼트의 덜거덕거림에 의해 고정 시, 정밀도에 이상이 생길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3의 경우는, 잭을 다수 설치함으로 써, 비용이 증대해 버린다.
더욱이, 놓이는 유리기판 등의 변형을 막기 위해, 테이블의 평면도를 조정할 경우, 테이블을 바닥면 등에 대해 약간 경사지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는, 특허문헌 4, 5와 같이, 구면 와셔를 구비한 조정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10-14135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4-2864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5-35181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11-109722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2-295440호 공보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각 특허문헌에 기재된 조정기구는, 어느 것이나 테이블 아래쪽(뒤쪽)에서 조정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조정이 어렵다. 특히, 특허문헌 2와 같이, 복수의 판이 나란히 놓여 구성되어 있는 조정 테이블의 경우는, 각각의 판을 아래쪽에서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테이블 전체의 평면도를 조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만들어진 것으로, 테이블 위쪽에서 용이하게 높은 정밀도로 평면도 조정을 할 수 있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및 이를 사용한 높이 조정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는, 판상 부재를 올려놓는 테이블의 높이를 조정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로서, 상기 판상 부재가 직접 놓이는 플레이트를, 그 아래쪽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고리형태로 배설된 공구 감합용 복수의 감합구멍을 갖는 조정 링과, 바깥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조정 링을 끼우고 회전시켜 그 조정 링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를, 그 높이를 조정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나사 받침대와,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된 나사 감합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나사 받침대를 통해 베이스 쪽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쪽에 고정하는 고정나사와, 상기 플레이트 내 상기 나사 감합구멍 주위로서 상기 조정 링의 감합구멍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공구 삽입용 조정구멍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정 테이블은, 판상 부재를 올려놓고 여러 위치에서 그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판상 부재의 높이 및 평면도 조정을 하는 높이 조정 테이블로서,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배열되어 상기 판상 부재를 직접 지지하는 1개 또는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정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갖추고, 상기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로서 상기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사용함과 동시에,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1개의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적어도 2군데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에 따르면, 상기 조정구멍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조정 링의 감합구멍에 끼워 그 조정 링을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플레이트의 높이를 그 플레이트의 위쪽(윗면쪽)에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높이 및 평면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정 테이블에 따르면, 1개의 플레이트에 대해 복수 설치된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개별적으로 그 플레이트의 위쪽(윗면쪽)에서 조정함으로써, 1개의 플레이트의 높이와 경사를 조정하여, 복수의 플레이트 전체의 평면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플레이트의 전체의 높이 및 평면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및 이를 사용한 높이 조정 테이블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2는 높이 조정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에 조정공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에 조정공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사용한 높이 조정 테이블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유리기판과 같은 판상 부재의 표면의 가공, 검사 등의 각종 처리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높이 조정 테이블은, 판상 부재를 올려놓고, 여러 위치에서 그 높이를 조정해 평면도를 향상시킨다. 판상 부재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판상의 재료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정 테이블(1)은, 도1∼3에 나타나 있듯이 주로, 베이스(2)와, 플레이트(3)와,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2)는, 플레이트(3) 및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 등의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베이스(2)는 두꺼운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2)에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6)이 여러 군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나사구멍(6)은,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의 설치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는, 1개의 플레이트(3)에 대해 3군데 위치에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가 설치되기 때문에, 1개의 플레이트(3)에 대해 3군데, 4장의 플레이트(3)에 대응해 12군데에 나사구멍(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이 때문에, 베이스(2)는, 판재 뿐 아니라, 다른 부재여도 된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정 테이블(1)을 설치하는 자리의 바닥면이어도 되고, 또는 그 바닥면 위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치(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의 검사장치)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플레이트(3)는, 베이스(2) 상에 배열되어 상기 판상 부재를 직접 지지하기 위한 판재이다. 상기 플레이트(3)는, 지지하는 판상 부재의 크기에 맞춰 1장 또는 여러장이 조합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4장의 플레이트(3)를 조합시키고 있다.
플레이트(3)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고정나사(12)의 나사 감합구멍(7)과, 공구 삽입용 조정구멍(8)이 설치되어 있다.
나사 감합구멍(7)은, 베이스(2)의 나사구멍(6)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나사 감합구멍(7)은, 축부 삽입부(7A)와, 두부(頭部) 감합부(7B)로 구성되어 있다. 축부 삽입부(7A)는, 고정나사(12)의 축부(12A)가 삽입되는 구멍부이다. 두부 감합부(7B)는, 고정나사(12)의 두부(12B)가 끼워지기 위한 오목부이다. 고정나사(12)의 축부(12A)는, 두부 감합부(7B)에 삽입된 상태로, 플레이트(3)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판상 부재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정구멍(8)은, 뒤에서 설명하는 조정 링(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정공구(15)(도4 참조)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조정구멍(8)은 플레이트(3) 내 나사 감합구멍(7)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구멍(8)은, 나사 감합구멍(7) 주위로서, 뒤에서 설명하는 조정 링(10)의 감합구멍(10C)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조정구멍(8)은, 감합구멍(10C)보다 큰 직경의 원형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정구멍(8)은, 둥근 고리형태로 배설된 감합구멍(10C)의 둥근 고리형태의 궤적상의 4군데 위치에 두 쌍 설치되어 있다. 두 쌍인 4개의 조정구멍(8)은, 90도씩 옮겨진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대향하는 2개의 조정구멍(8)을 한 쌍으로 하는 두 쌍의 조정구멍(8)은, 그 어느 한 쌍의 조정구멍(8) 내에 항상 상기 감합구멍(10C)이 위치하도록, 각 감합구멍(10C)의 간격, 각 감합구멍(10C)과 조정구멍(8) 의 위치관계가 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두 쌍의 조정구멍(8) 중 항상 어느 한 쌍에 상기 감합구멍(10C)이 위치하여, 조정공구(15)를 항상 어느 한 쌍의 조정구멍(8) 내의 감합구멍(10C)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는, 베이스(2)와 플레이트(3) 사이에 위치하여 플레이트(3)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기구이다.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는, 1개의 플레이트(3)에 대해 3군데 위치에 설치되어, 플레이트(3)의 높이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3군데의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로 플레이트(3)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전체로서 플레이트(3)의 각도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한다. 4장의 플레이트(3)에 대해 개별적으로 각도 및 높이를 조정하여, 4장의 플레이트(3) 전체에서 평탄한 면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4장의 플레이트(3) 전체에서, 높은 평면도를 유지하며 임의의 높이로 조정할 수 있다.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는, 조정 링(10)과, 나사 받침대(11)와, 고정나사(12)와, 조정구멍(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정구멍(8)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조정 링(10)은, 플레이트(3)를 그 아래쪽에서 지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조정 링(10)은, 두꺼운 도넛형태로 형성되어, 그 중심 구멍이 나사 받침대(11)에 끼워지는 나사구멍(10A)으로 되어 있다. 조정 링(10)의 위쪽면의 중앙부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구면 와셔(14)가 끼워지는 원형 오목형태의 감합 오목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 링(10)의 위쪽면 중, 감합 오목부(10B) 주위에는, 공구 감합용 감합구멍(10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합구멍(10C)은, 자루형 구멍 으로 구성되어, 감합 오목부(10B) 주위에 둥근 고리형태로 10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합구멍(10C)의 크기 및 간격은, 플레이트(3)의 두 쌍의 조정구멍(8) 중 어느 한 쌍의 조정구멍(8) 내에, 10개의 감합구멍(10C) 중 어느 하나가 항상 위치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구면 와셔(14)는, 조정 링(10)과 플레이트(3) 사이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구면 와셔(14)는, 하측 와셔부(14A)와, 상측 와셔부(14B)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하측 와셔부(14A)와 상측 와셔부(14B)의 경계면은 구면형태로 되어 있어, 플레이트(3)의 회전과 회동(回動)을 허용하고 있다. 즉, 조정 링(10)의 감합 오목부(10B)에 끼워진 하측 와셔부(14A)가, 플레이트(3) 쪽의 상측 와셔부(14B)를 지지하여, 플레이트(3)의 회전과 회동을 허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구면 와셔(14)는, 플레이트(3)를, 하측 와셔부(14A)에 지지된 상측 와셔부(14B)에 의해, 고정나사(12)를 축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그 플레이트(3)가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도4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조정공구(15)는, 플레이트(3)의 위쪽(수평으로 설치된 플레이트(3)의 윗면쪽)에서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를 조정하기 위한 공구이다. 상기 조정공구(15)는, 회전 조정부(16)와, 조임부(fastening portion)(17)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조정부(16)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의 조정 링(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회전 조정부(16)는, 레버부(16A)와, 회전봉(16B)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부(16A)는, 작업자가 손으로 쥐어 조정 링(10)을 돌리기 위한 레버이다. 회전봉(16B)은, 플레이트(3)의 조정구멍(8)으로 삽입되어 조정 링(10)의 감합구멍(10C)에 끼우기 위한 봉재이다. 회전봉(16B)은 레버부(16A)에 2개 설치되어 있다.
조임부(17)는, 고정나사(12)를 조이기 위한 부재이다. 조임부(17)는, L형 육각 렌치로 구성되며, 회전 조정부(16)의 2개의 회전봉(16B)의 중간 위치에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17)는, 회전 조정부(16)의 2개의 회전봉(16B)이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의 조정 링(10)의 감합구멍(10C)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나사(12)의 두부(12B)의 육각구멍(12C)에 끼워져, 그 고정나사(12)를 조이게 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나사 받침대(11)는, 플레이트(3)의 높이를 조정해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나사 받침대(11)는, 바깥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조정 링(10)을 끼우고 회전시켜 그 조정 링(10)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그 조정 링(10)에 지지된 플레이트(3)의 높이를 조정한다.
나사 받침대(11)는, 통부(筒部)(11A)와, 받침대부(11B)로 구성되어 있다. 통부(11A)는, 그 내부에 고정나사(12)를 통과시키고, 외부에서 고정 링(10)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통부(11A)의 바깥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부(11A)에 조정 링(10)의 나사구멍(10A)이 끼워진다. 통부(11A)의 내부는 원형구멍으로 되어 있고, 고정나사(12)의 축부(12A)가 통과된다. 통부(11A)의 내부에 나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받침대부(11B)는, 나사 받침대(11)를 베이스(2)에 안정적으로 놓기 위한 부재이다. 받침대부(11B)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통부(11A)가 조정 링(10)을 사이 에 두고 플레이트(3)를 지지한다.
도1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고정나사(12)는, 플레이트(3)를 베이스(2) 쪽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이다. 고정나사(12)는, 플레이트(3)에 설치된 나사 감합구멍(7)에 끼워지고, 나사 받침대(11)를 통해 베이스(2) 쪽에 끼워짐으로써, 플레이트(3)를 베이스(2) 쪽에 고정한다. 고정나사(12)의 축부(12A)가, 나사 감합구멍(7)의 축부 삽입부(7A) 및 나사 받침대(11)의 통부(11A) 내를 통과해, 베이스(2)의 나사구멍(6)에 끼워진다. 이 때, 나사 감합구멍(7)의 두부 감합부(7B)에 고정나사(12)의 두부(12B)가 끼워진다. 두부(12B)에는, 고정나사(12)를 회전시키기 위한 육각구멍(12C)(도3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높이 조정 테이블(1)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높이 조정 테이블(1)은, 표면처리 등의 가공장치나 검사장치의 테이블로서 사용된다. 이 같은 장치의, 높은 평면도가 요구되는 테이블로서 사용된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유리기판 등이, 높은 평면도를 유지한 높이 조정 테이블(1)에 놓여 처리된다.
이 때, 높이 조정 테이블(1)의 평면도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를 조정함으로써 높아진다.
조정공구(15)를 위쪽(플레이트(3)의 윗면쪽)에서 플레이트(3)의 조정구멍(8)으로 삽입하여, 회전 조정부(16)의 회전봉(16B)을 조정구멍(8)에서 조정 링(10)의 감합구멍(10C)에 끼운다. 이와 동시에, 조임부(17)를 고정나사(12)의 두부(12B)의 육각구멍(12C)에 끼운다.
이어서, 조임부(17)로 고정나사(12)를 회전시켜 느슨하게 한다. 이에 의해, 고정나사(12)가 느슨해진 범위에서 플레이트(3)가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의 기울어짐은, 구면 와셔(14)에서 흡수된다.
이어서, 회전 조정부(16)를 돌려 회전 링(10)을 회전시켜 플레이트(3)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 동작을, 1개의 플레이트(3)의 3개의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에 대해 동시에 한다.
더욱이, 베이스(2)에 설치된 4장의 플레이트(3) 전부에 대해,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를 조정해, 4장의 플레이트(3) 전부의 높이를 조정하여, 평면도를 높인다.
[효과]
이상과 같이, 플레이트(3)의 위쪽(플레이트(3)의 윗면쪽)에서 조정구멍(8)에 조정공구(15)를 삽입하여, 조정 링(10)의 감합구멍(10C)에 끼워 그 조정 링(10)을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3)의 높이를 그 위쪽(플레이트(3)의 윗면쪽)에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3)의 평면도를 그 위쪽(플레이트(3)의 윗면쪽)에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플레이트(3)에 대해 복수 설치된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를 개별적으로, 그 플레이트(3)의 위쪽(플레이트(3)의 윗면쪽)에서 조정함으로써, 1개의 플레이트(3)의 높이와 경사를 조정하여, 복수의 플레이트(3) 전체의 평면도를 용이하게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플레이트(3) 전체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 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는, 1개의 플레이트(3)에 대해 3군데 위치에 설치되었으나, 2군데 또는 4군데 이상 설치해도 된다.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의 수는, 플레이트(3)의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설정된다. 플레이트(3)를, 2개의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와 1개의 지지부재로 지지하는 상태일 경우, 1군데를 볼 조인트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2군데의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4)로 플레이트(3)의 각도를 조정하여 평면도를 높이게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정구멍(8)을 두 쌍, 총 4개 설치했으나, 두 쌍에 한하지 않고, 한 쌍 또는 세 쌍 이상 설치해도 된다. 조정 링(10)의 크기, 감합구멍(10C)의 수 등의 조건에 따라 설정한다.
조정구멍(8)을 한 쌍 설치할 경우는, 그 조정구멍(8)이, 적어도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감합구멍(10C)을 포함하는 크기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정구멍(8)을, 적어도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감합구멍(10C)을 포함하는 크기의 원형 구멍이나, 적어도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감합구멍(10C)을 포함하는 길이의 원호 형태의 긴 구멍 등으로 구성한다.
이 경우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 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높이 조정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에 조정공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에 조정공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높이 조정 테이블 2: 베이스
3: 플레이트 4: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6: 나사구멍 7: 나사 감합(嵌合)구멍
8: 조정구멍 10: 조정 링
11: 나사 받침대 12: 고정나사
14: 구면 와셔 15: 조정공구
16: 회전 조정부 17: 조임부(fastening portion)

Claims (7)

  1. 판상 부재를 올려놓는 테이블의 높이를 조정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로서,
    상기 판상 부재가 직접 놓이는 플레이트를, 그 아래쪽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고리형태로 배설된 공구 감합(嵌合)용 복수의 감합구멍을 갖는 조정 링;
    바깥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조정 링을 끼우고 회전시켜 그 조정 링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를, 그 높이를 조정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나사 받침대;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된 나사 감합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나사 받침대를 통해 베이스 쪽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쪽에 고정하는 고정나사; 및
    상기 플레이트 내 상기 나사 감합구멍 주위로서 상기 조정 링의 감합구멍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공구 삽입용 조정구멍;
    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를, 상기 고정나사를 축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의 경사를 허용하는 구면 와셔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의 감합구멍이 둥근 고리형태로 복수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의 조정구멍이, 상기 복수의 감합구멍이 설치된 둥근 고리형태의 궤적상에 한 쌍 이상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감합구멍보다 크게 형성되어, 어느 한 쌍의 조정구멍 내에 항상 상기 감합구멍이 위치하도록, 위치관계를 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조정구멍이, 상기 감합구멍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원형 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조정구멍이, 적어도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감합구멍을 포함하는 직경의 원 구멍 또는 2개의 상기 감합구멍을 포함하는 길이의 긴 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조정구멍 및 나사 감합구멍이, 상기 플레이트의 윗면 쪽에서 아래면 쪽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7. 판상 부재를 올려놓고 여러 위치에서 그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판상 부재의 높이 및 평면도 조정을 하는 높이 조정 테이블로서,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배열되어 상기 판상 부재를 직접 지지하는 1개 또는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정하는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갖추고,
    상기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사용함과 동시에, 그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를 1개의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적어도 2군데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정 테이블.
KR1020090062810A 2008-08-26 2009-07-10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및 이를 사용한 높이 조정 테이블 KR101105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6908A JP4953213B2 (ja) 2008-08-26 2008-08-26 テーブル高さ調整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高さ調整テーブル
JPJP-P-2008-216908 2008-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89A KR20100024889A (ko) 2010-03-08
KR101105429B1 true KR101105429B1 (ko) 2012-01-17

Family

ID=4207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810A KR101105429B1 (ko) 2008-08-26 2009-07-10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및 이를 사용한 높이 조정 테이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53213B2 (ko)
KR (1) KR101105429B1 (ko)
TW (1) TWI428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214B1 (ko) 2010-08-02 2011-08-09 김복인 현장조립형 중,대형 가공기
JP5865164B2 (ja) * 2012-04-16 2016-02-17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離間距離調整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搬送装置
JP5983342B2 (ja) * 2012-11-20 2016-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転倒抑制具
JP2014111239A (ja) * 2012-12-05 2014-06-19 Ngk Spark Plug Co Ltd 水素分離装置
KR101285167B1 (ko) 2013-01-04 2013-07-11 주식회사 프로이천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 테이블
CN103441094A (zh) * 2013-08-14 2013-12-11 吴江佳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片传输导向装置
FR3061119B1 (fr) * 2016-12-23 2019-06-21 A. Raymond Et Cie Dispositif d’ecartement a rattrapage angulaire
JP6890032B2 (ja) * 2017-04-07 2021-06-18 新東エス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載置テーブル及び載置方法
JP6658826B1 (ja) * 2018-09-07 2020-03-04 株式会社明電舎 回転電機の仮固定治具及びこれを使用する回転電機の組立方法
CN109443706A (zh) * 2018-11-23 2019-03-08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检测方法和检测设备
CN110293412A (zh) * 2019-07-10 2019-10-01 浙江贝尔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间隔铁的可调工位集装式工装平台
JP7268775B2 (ja) * 2019-09-20 2023-05-08 株式会社明電舎 回転電機の仮固定治具を使用した回転電機の組立方法
JP7226218B2 (ja) * 2019-09-20 2023-02-21 株式会社明電舎 回転電機の仮固定治具
CN114833790A (zh) * 2022-05-06 2022-08-02 金华澳特玛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流水线安装支撑机构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1842A (ja) * 1983-02-02 1984-08-14 Rohm Co Ltd ステレオ復調回路
JPH06299679A (ja) * 1993-04-14 1994-10-25 Kanebo Ltd 二重床用支持脚の高さ調整方法
KR20070020640A (ko) * 2005-08-16 2007-02-22 주식회사 제우스 돌출 높이 조절이 용이한 기판지지용 근접핀
KR20070066597A (ko) * 2005-12-22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높이조절다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49A (ja) * 1989-06-01 1991-01-11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7032A (ja) * 1990-05-23 1992-01-30 Taisei Corp 掘削機の排土装置
JPH11109722A (ja) * 1997-10-07 1999-04-23 Mitsubishi Heavy Ind Ltd 露光装置の固定機構
JP2002295440A (ja) * 2001-04-04 2002-10-09 Isuzu Motors Ltd テーブル装置
JP2003028644A (ja) * 2001-07-12 2003-01-29 Denso Corp 角速度センサ装置
JP4469659B2 (ja) * 2004-06-11 2010-05-26 株式会社ミツトヨ 載物台装置、画像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1842A (ja) * 1983-02-02 1984-08-14 Rohm Co Ltd ステレオ復調回路
JPH06299679A (ja) * 1993-04-14 1994-10-25 Kanebo Ltd 二重床用支持脚の高さ調整方法
KR20070020640A (ko) * 2005-08-16 2007-02-22 주식회사 제우스 돌출 높이 조절이 용이한 기판지지용 근접핀
KR20070066597A (ko) * 2005-12-22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높이조절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53894A (ja) 2010-03-11
TWI428214B (zh) 2014-03-01
JP4953213B2 (ja) 2012-06-13
KR20100024889A (ko) 2010-03-08
TW201008723A (en) 201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429B1 (ko) 테이블 높이 조정기구 및 이를 사용한 높이 조정 테이블
KR1007266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글라스패널의 마이크로 검사장비용스테이지
CN106737478A (zh) 一种旋转工作台
KR20160043488A (ko) 히터 레벨링 장치
TWI640058B (zh) 基板處理裝置的水平調整裝置及利用此水平調節裝置的水平調節方法
JP4625826B2 (ja) プローブユニット
KR100851960B1 (ko) 디스플레이장치 제조장비의 틸트앤로테이션 스테이지
KR101825193B1 (ko) 카세트 정위치 자동 정렬장치
KR20210138833A (ko) 증착 장치
KR20060118742A (ko) 웨이퍼 리프팅 장치
KR200396412Y1 (ko) 자동차 실린더 헤드 정비용 서포트 행거
CN211416621U (zh) 一种烫金、印刷用扁瓶瓶体的可伸缩限位夹具
US200901092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substrate
TW201321757A (zh) 擴充卡測試夾具
JP4251546B2 (ja) 薄板の水平保持装置
JPH10141350A (ja) 水平面度調整機構
KR20080022898A (ko) 클린룸의 플로어시스템
CN220208934U (zh) 一种用于晶圆对准的导正装置
KR100259882B1 (ko) 용접 고정구의 레벨링 장치
CN217123197U (zh) 一种调平装置及晶圆搬运机器人
CN216201671U (zh) 一种仪器设备定位机构
KR101326727B1 (ko) 디스플레이 기판용 대면적 정전척의 연마를 위한 베이스 부재
JP4156471B2 (ja) 自動販売機用アジャストベース
KR200481669Y1 (ko) 가스 인젝터
KR20230086404A (ko) 기판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