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780B1 - 할로겐 함유 중합체용 안정화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할로겐 함유 중합체용 안정화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780B1
KR101104780B1 KR1020067008161A KR20067008161A KR101104780B1 KR 101104780 B1 KR101104780 B1 KR 101104780B1 KR 1020067008161 A KR1020067008161 A KR 1020067008161A KR 20067008161 A KR20067008161 A KR 20067008161A KR 101104780 B1 KR101104780 B1 KR 10110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t
butyl
acid
bis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923A (ko
Inventor
알렉스 베크만
파스칼 크산토폴로스
Original Assignee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1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2Sulfides, e.g. R-(S)x-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08L57/08Homopolymers or copoly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containing hal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할로겐 함유 중합체 슬러리, 특히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를 안정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성 현탁액 또는 에멀전 형태의 할로겐-함유 중합체, 부분적으로 가리어진 페놀성 산화방지제 및 선택된 황-함유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며, 상기 두 산화방지제는 20℃에서 고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할로겐-함유 중합체 현탁액 또는 에멀전, 특히 PVC를 안정화하기 위한 특정 산화방지제 혼합물의 용도에 있다.
할로겐 함유 중합체, 산화방지제, 티오에테르-에스테르

Description

할로겐 함유 중합체용 안정화제 조성물{Stabilizer Compositions for Halogen Containing Polymers}
본 발명은 할로겐 함유 중합체 슬러리, 특히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를 안정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성 현탁액 또는 에멀전 형태의 할로겐-함유 중합체, 부분적으로 가리어진 페놀성 산화방지제 및 선택된 황-함유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며, 상기 두 산화방지제는 20℃에서 고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할로겐-함유 중합체 현탁액 또는 에멀전, 특히 PVC를 안정화하기 위한 특정 산화방지제 혼합물의 용도에 있다.
PVC와 같은 할로겐-함유 중합체의 열 안정성은 수많은 기타 중합체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좋은 성질, 즉 그 다양성 및 비용 면에서 좋기 때문에, 매우 양호한 물질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열, 광, 기계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야기되는 열화에 대해 안정화된다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열적 저하에 대한 보호가 특히 중요하다.
열적 손상으로부터 PVC 화합물 및 목적 물품의 보호는 문헌(예를 들면, H. Zweifel, Handbook of Plastic Additives, 제 5판, Hanser, 2001, 427-483면)에 자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유기 분자(예, 금속 비누)의 금속염을 대부분 기본으로 하 는 소위 "열 안정화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열 안정화제는 혼합 단계에서만 첨가될 수 있다. 이는 중합반응 후의 할로겐-함유 중합체가 단량체 스트리핑 및 건조 공정 동안 미반응 상태로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단계에서 일어나는 손상은 수지 및 대응 화합물과 목적 물품의 열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혼합 공정 동안 열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EP 0 849 314에서는 Zn 카르복실레이트 이외에 페놀성 산화방지제와 티오디프로피온산 에스테르를 첨가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혼합 공정 동안 공지된 PVC 안정화제와 함께 페놀성 산화방지제와 티오디프로피온산 에스테르를 첨가하는 기술이 또한 GB 1,001,344에 기재되어 있다.
PVC의 경우에, 입체적으로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가리어진 페놀성 산화방지제는 반응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때때로 완전 가리어진 페놀성 산화방지제의 소량을 중합반응 초기에 첨가하고, 가끔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가리어진 페놀성 산화방지제를 중합반응 말기에 첨가한다. PVC 수지와 그 PVC 화합물의 열안정성이 개선되었지만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부분적으로 가리어진 페놀성 산화방지제와, 수성 현탁액 또는 에멀전 형태의 할로겐-함유 중합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 티오에테르 또는 티오에테르-에스테르의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반응 말기에 혼합하면, 할로겐-함유 중합체와 그로부터 얻어진 중합체 화합물의 열 안정성이 종래의 상태보다 크게 개선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혼합하는 동안 추가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얻어진 할로겐-함유 중합체, 특히 본래의 PVC 수지는 종래의 안정화된 PVC보다 열처리시에 변색과 탈염소화반응(PVC로부터 염소의 손실)이 훨씬 적다.
본 발명의 한 요지는 하기 성분 a), b) 및 c)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a) 수성 현탁액 또는 에멀전 형태의 할로겐-함유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b) 20℃ 이상의 융점을 갖고 하기 화학식(Ia) 또는 (Ib)의 화합물을 갖는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
Figure 112006029721797-pct00001
Figure 112006029721797-pct00002
상기 식에서,
n은 2 또는 3이고;
R1은 삼차 부틸, 이차 결합 C3-C18알킬 또는 C5-C6시클로알킬이고;
R'1은 삼차 부틸, 일차 또는 이차 결합 C1-C18알킬, 페닐, C7-C9페닐-알킬 또는 C5-C6시클로알킬이고;
R3은 C1-C18 알킬, C1-C18알콕시, C5-C6시클로알킬 또는 -CH2-CH2-CO-O-(C1-C18)알킬이고;
R'2는 2가 또는 3가 연결 기이고;
R4
Figure 112006029721797-pct00003
또는 수소이고;
R2는 수소, 메틸 또는
Figure 112006029721797-pct00004
이고,
상기 식에서, m은 1∼10이고; 그리고
c) 20℃의 융점을 갖고 하기 화학식(IIa), (IIb) 또는 (IIc)의 화합물을 갖는 티오에테르 또는 티오에테르-에스테르:
Figure 112006029721797-pct00005
Figure 112006029721797-pct00006
또는
Figure 112006029721797-pct00007
상기 식에서,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C1-C18알킬이고;
k는 2∼4이고; 그리고
X는 2-메틸-1,2,3-프로판-트리일- 또는 1,2,3,4-메탄-테트릴-이다.
연결 기 R2 1는 이를 테면 OH 기에 대해 2 또는 4 위치, 바람직하게는 2 위치에 있다.
현탁액 또는 에멀전 중 중합체, 특히 PVC의 양은 수성 상을 기본으로 통상 30∼80 중량%, 이를테면 40∼70 중량%이다.
할로겐-함유, 특히 염소-함유 중합성 물질(성분 (a))의 예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염화비닐의 중합체, 그 구조에 염화비닐 단위를 갖는 비닐 수지, 예를 들면 염화비닐과 지방족 산의 비닐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염화비닐과 아크릴 및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 체, 염화비닐과 디엔 화합물 및 불포화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염화비닐과 디에틸말레에이트, 디에틸푸마레이트 또는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염화비닐의 후염소화(postchlorinated) 중합체 및 공중합체, 염화비닐 및 염화 비닐리덴과 불포화 알데히드, 케톤 및 기타, 이를테면 아크롤레인, 크로톤알데히드, 비닐 메틸 케톤, 비닐 메틸 에테르, 비닐 이소부틸 에테르 및 유사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염화 비닐리덴의 중합체 및 염화비닐 및 기타 중합성 화합물과 그 공중합체; 비닐 클로로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디비닐 에테르의 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산 및 α-치환 아크릴산의 염소화 중합성 에스테르의 염소화 중합체; 염소화 스티롤렌, 통상 디클로로스티렌의 중합체; 염소화 고무; 에틸렌의 염소화 중합체; 클로로부타디엔의 중합체 및 후염소화 중합체 그리고 염화비닐과 그의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인용 중합체와 그들 자신 또는 기타 중합성 화합물과의 혼합물.
기타 예로는 PVC와 EVA, ABS 및 MBS의 그라프트 중합체가 있다. 바람직한 기질은 또한 상기 동종- 및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염화비닐 동종중합체와 기타 열가소성 및/또는 탄성 중합체와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ABS, MBS, NBR, SAN, EVA, CPE, MBAS, PMA, PMMA, EPDM 및 폴리아세톤과의 혼합물이다.
염소-함유 중합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현탁 중합체 또는 에멀전 중합체로서 폴리염화비닐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화학식(Ia) 또는 (Ib)의 구조 요소를 갖는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는 하기 화학식(IIIa), (IIIb) 또는 (IIIc)의 화합물이 다:
Figure 112006029721797-pct00008
Figure 112006029721797-pct00009
Figure 112006029721797-pct00010
상기 식에서,
n은 2 또는 3이고;
R1은 삼차 부틸, 이차 결합 C3-C18알킬 또는 C5-C6시클로알킬이고;
R'1은 삼차 부틸, 일차 또는 이차 결합 C1-C18알킬, 페닐, C7-C9페닐-알킬 또 는 C5-C6시클로알킬이고;
R3은 C1-C18 알킬, C1-C18알콕시, C5-C6시클로알킬 또는 -CH2-CH2-CO-O-(C1-C18)알킬이고;
R'2는 C1-C12알킬렌, -S-, 트리메틸렌-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CH2-CH2-CO-(OCH2CH2)p-O-CO-CH2CH2- (여기서 p는 1∼3임)이고;
R2는 수소, 메틸 또는
Figure 112006029721797-pct00011
(여기서 m은 1∼10)이다.
일반적인 치환체 정의로 존재하는 바와 같은 알킬 라디칼 및 알킬렌 라디칼은 측쇄 또는 비측쇄일 수 있다. 통상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이소옥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헥사데실, 옥타데실, 아이코실 및 헨아이코실이 있다. 알킬렌 기의 전형적인 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2-메틸프로필렌, 2,2-디메틸프로필렌, 2-메틸-2-n-프로필-프로필렌 및 2-에틸-2-n-부틸-프로필렌이 있다.
C1-C18알콕시의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도데실옥시 및 옥타데실옥시가 있다. 알콕시 잔기는 직쇄 알킬 또는 측쇄 알킬기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분 c)에서 R11은 모두 C12알킬 또는 C18알킬이고, R12는 C12알킬이다.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는 실온에서 고체가 되도록 20℃ 이상의 융점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한 융점은 25℃ 이상, 특히 30℃ 이상이다. 마찬가지로, 티오에테르 또는 티오에테르-에스테르는 실온에서 고체가 되도록 20℃ 이상의 융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융점은 25℃ 이상, 특히 30℃ 이상이다.
특히 바람직한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2-삼차-부틸-4,6-디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테트라데스-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또는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삼차-부틸-4-히드록시-m-톨일)프로피오네이트].
특정 조성물의 예로는, 성분 b)에서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가 2-삼차-부틸-4,6-디-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테트라데스-1'-일)페놀 또는 그의 혼합물이고, 그리고 성분 c)가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티오 -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인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조성물은, 성분 b)에서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가 2,4-디메틸-6-(1'-메틸테트라데스-1'-일)페놀이고, 성분 c)가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인 것이다.
화학식(Ia, Ib, IIa, IIb, IIc, IIIa, IIIb 및 IIIc)의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으며 대부분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로서 성분 b)는 할로겐-함유 단량체의 중량 기준으로 50 ppm∼2000 ppm, 바람직하게는 100 ppm∼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 c)는 이를 테면 할로겐-함유 단량체의 중량 기준으로 50 ppm∼2000 ppm, 바람직하게는 100 ppm∼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 b) 대 성분 c)의 비는 이를 테면 1:10 내지 10:1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성분 b)와 다른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 인-함유 안정화제, 2-벤조푸란온 안정화제, 입체 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또는 UV-흡수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추가 첨가제, 예를 들면 충전제, 안료, 광택제 등도 존재할 수 있다. 안정화제 및 추가 첨가제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들어 2,6-디-삼차부틸-4-메틸페놀, 2,6-디-삼차부틸-4-에틸페놀, 2,6-디-삼차부틸-4-n-부틸페놀, 2,6-디-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6- 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삼차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직쇄 또는 측쇄에서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삼차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 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를들어 2,6-디-삼차부틸-4-메톡시페놀, 2,5-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를 들어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 (비타민E)
1.5.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3,5,3',5'-테트라-삼차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머캅토아세테이트.
1.6.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삼차부틸- 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7.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3, 5, 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8.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 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9. 벤질 포스포네이트, 예를들어 디메틸-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 포스포네이트,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10. 아실아미노페놀, 예를들어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 닐리드, 옥틸 N-(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1.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 삼차부틸 -4- 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2.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 페닐 )-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3.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 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 디시클로헥실 -4- 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4. β-(3,5-디- 삼차부틸 -4- 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들어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헥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피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삼차부 틸-4-히드록시-페닐프오피오닐)히드라지드, N,N'-비스[2-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옥사미드 (Naugard® XL-1, 유니로얄사 공급).
1.15.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1.16. 아민 산화방지제,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 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 -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이차부틸 -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삼차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삼차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 아미노페놀, 4-노난오일아미노-페놀, 4-도데칸오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칸오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삼차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삼차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페노타이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2. UV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
2.1. 2-(2'- 히드록시페닐 )- 벤조트리아졸, 예를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삼차부틸 -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이차부틸 -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의 혼합물,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과 2-[3'-삼차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생성물; R이 3'-삼차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인
Figure 112006029721797-pct00012
, 2-[2'-히드록시-3'-(α,α-디메틸벤질)-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2'-히드록시-3'-(1,1,3,3-테트라메틸부틸)-5'-(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 2- 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 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4-삼차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삼차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를들어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예 :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가 있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 벤질 포스폰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예 :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예: 2-히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가 있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 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장애 아민, 예를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n-부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삼차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 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 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티렌디아민 및 4-시클로헥실아민-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및 2,4,6-트리크로로-1,3,5-트리아진 뿐만 아니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생성물(CAS Reg. No.[136504-96-6]); 1,6-헥산디아민 및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뿐만아니라 N,N-디부틸아민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물([CAS Reg. No. 192268-64-7]); N-(2,2,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생성물, 1,1-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카르보닐)-2-(4-메톡시페닐)에텐, N,N'-비스-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4-메톡시메틸렌말론산과 1,2,2,6,6-펜타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의 디에스테르, 폴리-[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실옥산, 말레산 무수물-α-올레핀 공중합체와 2,2,6,6-테트라메틸-4-아미노피페리딘 또는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의 반응 생성물.
2.7. 옥사미드, 예를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삼차부톡사아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삼차부 톡사아닐리드, 2-에톡시-2'-에톡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미드, 2-에톡시-5-삼차부틸-2'-에톡사닐리드 및 그와 2-에톡시-2'-에틸-5,4'-디-삼차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중 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중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2.8. 2-(2- 히드록시페닐 )-1,3,5- 트리아진, 예를들어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라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 4-디메틸)-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3-(2-에틸헥실-1-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 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들어 N,N'-디페닐옥사아미드, N-살리실알-N'-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오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포스포나이트, 예를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알킬 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큐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삼차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삼차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삼차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삼차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 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삼차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삼차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5-부틸-5-에틸-2-(2,4,6-트리-삼차-부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피란.
이하의 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Irgafos® 168, 시바 가이기 제조),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및 하기 화학식(A), (B), (C), (D), (E), (F) 및 (G)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스파이트:
Figure 112006029721797-pct00013
Figure 112006029721797-pct00014
Figure 112006029721797-pct00015
Figure 112006029721797-pct00016
Figure 112006029721797-pct00017
5. 히드록실아민, 예를들어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 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 수지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6. 니트론, 예를들어 N-벤질-α-페닐-니트론, N-에틸-α-메틸-니트론, N-옥틸-α-헵틸-니트론, N-라우릴-α-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α-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α-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페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α -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 수지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과산화물 제거제, 예를들어 β-티오디프로핀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즈이미다졸 또는 2-머캅토벤즈 이미다졸의 아연염, 디부틸디티오카밤산 아연,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8.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 예를 들어 요오드화물 및/또는 인 화합물과 조합된 구리 염 및 2가 망간염.
9.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를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베헨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리시놀레산 나트륨, 팔미트산 칼륨, 피로카테콜산 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 아연.
10. 핵생성제, 예를들어 무기물질(예;활석), 금속 산화물(예; 이산화 티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탄산염 또는 황산염; 유기 화합물(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이들의 염, 예컨대 4-삼차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 나트륨 또는 벤조산 나트륨; 중합성 화합물, 예컨대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 특히 바람직한 것은 1,3: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2,4-디(파라메틸디벤질리덴)소르비톨, 및 1,3:2,4-디(벤질리덴)소르비톨이다.
11. 충전제 및 강화제, 예를 들어 탄산칼슘, 규산염, 유리 섬유, 유리 벌브,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블랙, 흑연, 목재 가루 또는 기타 천연물의 가루 또는 섬유, 합성 섬유.
12. 기타 첨가제, 예를들어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유동학적 첨가제, 촉 매, 흐름-조절제, 광학 광택제, 내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및 발포제.
13. 벤조푸라논 인돌리논 , 예를들어 US-A-4 325 863호, US-A-4 338 244호, US-A-5 175 312호, US-A-5 216 052호, US-A-5 252 643호, DE-A-4 316 611호, DE-A-4 316 622호, DE-A-4 316 876호, EP-A-0 589 839호 또는 EP-A-0 591 102호에 개시된 것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삼차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4-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2,3-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첨가제는 할로겐-함유 중합체 100부를 기준으로 0.01부∼10부, 바람직하게는 0.05∼5부, 특히 0.1∼3부의 양으로 편리하게 첨가된다. 1항에서 열거한 산화방지제를 제외하고, 이들 첨가제는 통상 할로겐-함유 중합체의 혼합 단계에서 첨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1항에서 언급한 종래의 산화방지제가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임의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추가 첨가제의 예로는, 공지된 PVC 안정화제, 윤활제, 안료, 충전제 및 가소제가 있다. 이들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a) 아연 화합물 및 기타 금속 화합물
Zn-O-결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유기 아연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아연 에놀레이트, 아연 페놀레이트 및/또는 아연 카르복실레이트이다. 이들 후자의 성분은 지방족 포화 및 불포화 C1 - 22카르복실레이트; 1 이상의 OH 기로 치환되고 및/또는 사슬 중간에 1 이상의 O 원자(옥사 산)를 갖는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C2 - 22카르복실레이트; 5∼22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릭 및 비시클릭 카르복실레이트; 비치환 또는 1 이상의 OH 기 및/또는 C1 - 16알킬에 의해 치환된 페닐카르복실레이트; 페닐-C1 - 16알킬-카르복실레이트; 또는 비치환 또는 C1 - 12알킬-치환 페놀레이트; 및 아비에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이다. Zn-S 화합물은 통상 아연 메르캅티드, 아연 메르캅토카르복실레이트 및 아연 메르캅토카르복실레이트이다.
그 예로서는, 1가 카르복시산, 이를테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헥사노산, 오에난트산, 옥타노산, 네오데칸산, 2-에틸헥사노산, 펠라르곤산, 데카노산, 운데카노산, 도데카노산, 트리데카노산, 미리스틸산, 팔미트산, 라우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9,10-디히드록시스테아르산, 올레산, 리시놀산, 3,6-디옥사헵타노산, 3,6,9-트리옥사데카노산, 베헨산, 벤조산, p-삼차-부틸-벤조산, 디메틸히드록시벤조산,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산, 톨일산, 디메틸벤조산, 에틸벤조산, n-프로필벤조산, 살리실산, p-삼차-옥틸살리실산, 소르브산, 신남산, 만델산, 및 글리콜산의 아연 염; 2가 카르복시산 또는 모노에스테르, 통상적으로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푸마르산, 펜탄-1,5-디카르복시산, 헥산-1,6-디카르복시산, 헵탄-1,7-디카르 복시산, 옥탄-1,8-디카르복시산, 3,6,9-트리옥사데칸-1,10-디카르복시산, 락트산, 말론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말산, 살리실산, 폴리글리콜 디카르복시산 (n=10∼12),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히드록시프탈산의 아연 염; 3가 또는 4가 카르복시산, 통상적으로 헤미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구연산의 디- 또는 트리에스테르의 아연 염; 및 소위 과염기(overbased) 아연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아연 라우릴메르캅티드, 아연 티오글리콜레이트, 아연 티오살리실레이트, 아연-비스-i-옥틸티오글리콜레이트, 아연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아연 티오락테이트, 아연 티오말레이트, 아연-비스-옥틸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아연-비스-이소옥틸티오-락테이트 및 아연-비스-라우릴티오말레이트가 있다.
아연 에놀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틸아세톤, 벤조일아세톤, 디벤조일-메탄의 에놀레이트 뿐만 아니라 아세토아세트산 및 벤조일 아세테이트 및 디하이드라세트산(dehydracetic acid)의 에놀레이트이다. 무기 아연 화합물, 이를테면 아연 산화물, 아연 수산화물, 아연 카보네이트, 염기성 아연 카보네이트 또는 아연 황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1∼22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카르복시산의 천연 또는 염기성 아연 카르복실레이트(아연 비누), 통상적으로는 벤조에이트 또는 알카노에이트, 바람직하게는 C8알카노에이트, 스테아레이트, 올레에이트, 라우레이트, 팔미테이트, 베헤네이트, 베르사테이트(versatate),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히드록시-올레에이트, 리시놀레에이트, 디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p-삼차-부틸벤조에이트, 또는 (이소)옥타노에이 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아레이트, 올레에이트, 베르사테이트, 벤조에이트, p-삼차-부틸벤조에이트 및 2-에틸헥사노에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인용된 아연 화합물 이외에,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칼슘 화합물, 바륨 화합물, 칼륨 화합물 또는 나트륨 화합물, 아연 화합물에 대해 열거한 그룹에 해당하는 음이온 라디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알루미늄 카르복실레이트, 칼슘 카르복실레이트, 바륨 카르복실레이트, 칼륨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마그네슘 카르복실레이트, 이를테면 염기성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염기성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옥토에이트, 알루미늄-2-에틸헥사노에이트, 칼슘-2-에틸헥사노에이트, 바륨-2-에틸헥사노에이트, 칼륨-2-에틸헥사노에이트, 알루미늄 라우레이트, 칼슘 올레에이트, 바륨 올레에이트, 칼슘-t-부틸벤조에이트, 염기성 알루미늄 아세테이트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에놀레이트 또는 마그네슘 에놀레이트, 이를테면 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마그네슘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및 알루미늄 알코올레이트 또는 마그네슘 알코올레이트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바륨 화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언급할 수 있는 것은 유기 산과 상기 인용한 금속 뿐만 아니라 그 혼합 염의 산화물, 수산화물, 카보네이트 및 염기성 카보네이트이다. 통상적인 예로는 NaOH, KOH, CaO, Ca(OH2), MgO, Mg(OH)2, CaCO3 , MgCO3 돌로마이트, 훈타이트, 뿐만 아니라 지방산 Na-, K-, Ca 또는 Mg-염이 있다. 알칼리 토금속 카르복실레이트 및 아연 카르복실레이트의 경우에는, MO 또는 M(OH)2 (M = Ca, Mg, Ba, Sr 또는 Zn), 소위 과염기 화합물과 그의 부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은 할로겐-함유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10 중량부, 편리하게는 0.00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부, 이를테면 0.01∼1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혼합된 염(공침전물)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b) 다가 알코올류
이러한 형태의 적당한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비스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비스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비스-트리메틸올프로판, 소르비톨, 말타이트, 이소말타이트, 락타이트, 리카신, 만니톨, 크실라이트, 이노사이트, 락토오스, 류크로스,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팔티나이트, 테트라메틸올시클로헥산올 (TMCH), 테트라메틸올시클로펜탄올, 테트라메틸올-시클로피란올,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티오디글리세롤, 또는 1-0-α-D-글리코피라노실-D-만니톨 이수화물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 알코올 및 시클로덱스트린; 및 이러한 다가 알코올의 축합물, 통상적으로는 디펜타에리트리톨 아디페이트, 글리세롤 올레에이트, 글리세롤 트리올레에이트 등. TMCH,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및 이당류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은 성분(i)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를테면 0.01∼20, 편리하게는 0.1∼20 및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c) 1,3- 디카르보닐 화합물
1,3-디카르보닐 화합물의 예는 아세틸아세톤, 부타노일-아세톤, 헵타노일-아세톤, 스테아로일아세톤, 팔미토일아세톤, 라우로일아세톤, 7-삼차-노닐-티오-헵탄-2,4--디온, 벤조일아세톤, 디벤조일메탄, 라우로일벤조일-메탄, 팔미토일-벤조일메탄, 스테아로일벤조일메탄, 이소옥틸벤조일메탄, 5-히드록시카프로닐-벤조일메탄, 트리벤조일-메탄, 비스(4-메틸벤조일)메탄, 벤조일-p-클로로-벤조일--메탄, 비스(2-히드록시-벤조일)메탄, 4-메톡시벤조일벤조일메탄, 비스(4-메톡시-벤조일)-메탄, 1-벤조일-1-아세틸노난, 벤조일아세틸페닐메탄, 스테아로일--4-메톡시-벤조일-메탄, 비스(4-삼차-부틸벤조일)메탄, 벤조일-포르밀-메탄, 벤조일페닐아세틸메탄, 비스(시클로헥사노일)메탄, 디(피발로일)메탄,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헥실 아세토아세테이트, 옥틸 아세토아세테이트, 도데실 아세토아세테이트 옥타데실, 아세토아세테이트, 에틸 벤조일아세테이트, 부틸 벤조일아세테이트, 2-에틸헥실 벤조일아세테이트, 도데실 벤조일아세테이트, 옥타데실 벤조일아세테이트, 에틸 스테아로일아세테이트, 프로필 스테아로일아세테이트, 부틸 스테아로일아세테이트, 헥실 스테아로일아세테이트, 옥틸 스테아로일아세테이트 및 디하이드라세토아세트산 뿐만 아니라 그의 아연,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알루미늄 염이다.
1,3-디카르보닐 화합물은 PVC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를테면 0.01∼10 중량부, 편리하게는 0.01∼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2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d) 에폭시드류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류
이와 관련하여, 특히 언급할 수 있는 것은 천연 공급원, 이를테면 대두유 또는 평지씨유로부터의 지방산 에폭시화 에스테르이다.
에폭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를 테면 0.1 중량부, 편리하게는 성분(i)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30, 바람직하게는 0.5∼2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기타 예로는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에폭시화 아마인유(linseed oil), 에폭시화 생선유, 에폭시화 수지(tallow), 메틸부틸- 또는 2-에틸헥실에폭시스테아레이트, 트리스-(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에폭시화 피마자유, 에폭시화 해바라기씨유, 3-페녹시-1,2-에폭시프로판,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닐시클로-헥센 디-에폭시드, 디시클로펜타디엔 디에폭시드 및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가 있다.
적당한 에폭시드는 또한 US-A-5 492 949, US-A-5 519 077 및 US-A-5 543 449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F의 유도체이다.
e) 디하이드로피리딘 폴리디하이드로피리딘
적당한 단량체 디하이드로피리딘은 FR-A-2039496, EP-A-2007, EP-A-362012, EP-A-24754 및 EP-A-716123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6029721797-pct00018
상기 식에서, Z는 CO2CH3, CO2C2H5 , CO2-n-C12H25 또는 -CO2C2H4-S-n-C12H25 이다.
폴리디하이드로피리딘은 바람직하게는 다음 화학식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6029721797-pct00019
상기 식에서,
T는 비치환된 C1 - 12알킬이고,
L은 T와 동일한 의미이고.
m 및 n는 0∼20이고,
k는 0 또는 1이고,
R 및 R'는 서로 독립적으로 -(-CpH2p-X-)tCpH2p 형의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또는 알킬렌- 또는 시클로알킬렌비스메틸렌 기이고,
p는 2∼8이고,
T는 0∼10이고,
X는 산소 또는 황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EP-A-286887에 더욱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폴리-)디하이드로피리딘은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편리하게는 0.00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5∼1 중량부의 양으로 할로겐-함유 중합체에 사용될 수 있다.
티오디에틸렌-비스[5-메톡시카르보닐-2,6-디메틸-1,4-디하이드로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및 1,4-디하이드로-2,6-디메틸-3,5-디카르보도데실옥시피리딘이 특 히 바람직하다.
f) 과염소산염
전형적인 예는 화학식 M(ClO4)n (여기서 M은 Li, Na, K, Mg, Ca, Ba, Zn, Al, Ce 또는 La임)의 화합물이다. 지수 n은 M가에 따라 1, 2 또는 3이다. 과염소산염은 알코올 또는 에테르 알코올과 착화합물로 될 수 있다. 각 과염소산염은 서로 다른 표준 제공 형태, 예를 들면 PVC, 칼슘 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와 같은 기질에 적용된 유리 산의 염 또는 염의 수용액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와 과염소산과의 화합반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과염소산염은 성분(i)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를 테면 0.001∼5 중량부, 편리하게는 0.01∼3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2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g)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제올라이트
이들 화합물의 화학적 조성은 이를 테면 DE-A-3843581, US-A-4000100, EP-A-062813, WO-A-93/20135에서와 같이 당해 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하이드로탈사이트 계열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III)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M2 + 1-xㆍM3 + xㆍ(OH)2ㆍ(An-)x/nㆍmH2O (III)
상기 식에서,
M2 +는 Mg, Ca, Sr, Zn 및 S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금속 이고,
M3 +는 Al 또는 B이고,
An은 n가의 음이온이고,
n은 1∼2이고,
0 < x ≤ 0.5이고,
m은 0∼20이다.
An은 OH-, ClO4 -, HCO3 -, CH3COO-, C6H5COO-, CO3 2 -, SO4 --,
Figure 112006029721797-pct00020
, (CHOHCOO)2 2-, (CH2COO)2 2-, CH3CHOHCOO-, HPO3 2 - 또는 HPO4 2 -가 바람직하다.
LiOH 또는 Li2CO3 ("고용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Al2O3ㆍ6MgOㆍCO2ㆍ12H2O, Mg4 .5Al2(OH)13ㆍCO3ㆍ3.5H2O, 4MgOㆍAl2O3ㆍCO2ㆍ9H2O, 4MgOㆍAl2O3ㆍCO2ㆍ6H2O, ZnOㆍ3MgOㆍAl2O3ㆍCO2ㆍ8-9H2O 및 ZnOㆍ3MgOㆍAl2O3ㆍCO2ㆍ5-6H2O.
제올라이트 계열의 화합물(알칼리 금속 알루모실리케이트 또는 알칼리 토 금속 알루모실리케이트)은 하기 화학식(IV)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Mx /n[(AlO2)x(SiO2)y]ㆍwH2O (IV)
상기 식에서,
n은 양이온 M의 전하이고;
M은 주기율표 제1족 또는 제2족의 원소, 이를테면 Li, Na, K, Mg, Ca, Sr, Ba, 또는 Zn이고,
y:x는 0.8∼15, 바람직하게는 0.8∼1.2이고; 그리고
w는 0∼300, 바람직하게는 0.5∼30이다.
구조는 이를 테면 문헌 "W.M. Meier and D.H.Olson, Butterworth-Heinemann, 3. Ed. 1992"의 "Atlas of Zeolite"로 나타나 있다.
제올라이트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의 나트륨 알루모실리케이트: Na12Al12Si12O48ㆍ27H2O [제올라이트 A], Na6Al6Si6O24ㆍ2NaXㆍ7.5H2O, X= OH, 할로겐, ClO4 [소달라이트]; Na6Al6Si30O72ㆍ24H2O; Na8Al8Si40O96ㆍ24H2O; Na16Al16Si24O80ㆍ16H2O; Na16Al16Si32O96ㆍ16H2O; Na56Al56Si136O384ㆍ250H2O [제올라이트 Y], Na86Al86Si106O384ㆍ264H2O [제올라이트 X]; 뿐만아니라 Al/Si 비가 1/1인 X- 및 Y-제올라이트; 또는 나트륨 원자가 Li 원자, K 원자, Mg 원자, Ca 원자, Sr 원자 또는 Zn 원자로 부분 또는 완전 교환될 수 있는 제올라이트, 이를테면 (Na,K)10Al10Si22O64ㆍ20H2O; Ca4.5Na3[(AlO2)12(SiO2)12]ㆍ30H2O; K9Na3[(AlO2)12(SiO2)12]ㆍ27 H2O.
기타 적당한 제올라이트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Na2OㆍAl2O3ㆍ(2-5)SiO2ㆍ(3.5-10)H2O [제올라이트 P],
Na2OㆍAl2O3ㆍ2SiO2ㆍ(3.5∼10)H2O (제올라이트 MAP), 또는
Na 원자 대신에 Li 원자, K 원자 또는 H 원자로 부분 또는 완전 교환된 제올라이트, 통상적으로 "Barrer et al., J. Chem. Soc. 1952, 1561-71" 및 US 2 950 952에 기재된 (Li,Na,K,H)10Al10Si22O64ㆍ20H2O, K9Na3[(AlO2)12(SiO2)12]ㆍ27H2O, K4Al4Si4O16ㆍ6H2O [제올라이트 K-F], Na8Al8Si40O96ㆍ24H2O 제올라이트 D.
다음 제올라이트가 적당하다:
이를테면 EP-A-400 961에 기재된 K 오프레타이트(offretite); 이를테면 GB-A-841 812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R; US-A-4 503 023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LZ-217; US-A-4 333 859에 기재된 무칼슘 제올라이트 LZ-218; US-A-4 503 023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T, 제올라이트 LZ-220; Na3K6Al9Si27O72ㆍ21H2O [제올라이트 L]; US-A-4 503 023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LZ-211; US-A-4 503 023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LZ-212; US-A-4 503 023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O, 제올라이트 LZ-217; US-A-4 503 023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LZ-219; US-A-4 503 023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Rho, 제올라이트 LZ-14; Am. Mineral. 54 1607 (1969)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ZK-19; Barrer et al. J. Chem. Soc. 1956, 2882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W(K-M); Na30Al30Si66O192ㆍ98H2O [제올라이트 ZK-5, 제올라이트 Q]; 뿐만 아니라 제올라이트 구조를 갖는 AlPO4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M2OㆍAl2O3ㆍxSiO2ㆍyH2O (IVa) (여기서 x는 2∼5이고, y는 3.5∼10이고, 그리고 M은 알칼리 금속 원자임)의 제올라이트 P형, 특히 바람직 하게는 화학식(IVa)의 제올라이트 MAP(여기서 x는 2이고, y는 3.5∼10임)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것은 제올라이트 Na-P이고, 즉 M은 Na이다. 이 제올라이트는 통상 변이체 Na-P-1, NaP-2 및 Na-P-3로 얻어지는 데, 이들은 입방체, 정방정계(tetragonal) 또는 사방정계(orthorhombic) 구조에서 서로 다르다(R. M. Barrer, B. M. Munday, J. Chem. Soc. A 1971, 2909-14). 상기 문헌은 또한 제올라이트 P-1 및 P-2의 제조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이 문헌에 따르면, 제올라이트 P-3는 매우 희귀하므로, 실용상 관심이 적다. 제올라이트 P-1의 구조는 상기 제올라이트 구조의 Atlas로부터 알려진 지스몬다이트(gismondite)에 해당한다. 문헌 EP-A-384 070에서는 입방체 (제올라이트 B 또는 Pc) 및 P형의 정방정계 (제올라이트 P1) 제올라이트의 사이에 차이를 두고 있다. 그 문헌에서는 또한 1.07:1 미만의 Si:Al 비를 갖는 더욱 새로운 P 형의 제올라이트를 언급하고 있다. 이들 제올라이트는 "최대 알루미늄 P" 대한 MAP 또는 MA-P로 불린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올라이트 P는 소량의 기타 제올라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매우 순수한 제올라이트 P는 WO-A-94/26662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수용성 무기 또는 유기 분산제의 존재 하에서 침전 및 결정화된 미립자 비수용성 나트륨 알루모실리케이트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침전 또는 결정화 전 또는 도중에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반응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나트륨 제올라이트 A, 나트륨 제올라이트 P, 나트륨 제올라이트 X 및 나트륨 제올라이트 Y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이드로탈사이트와 제올라이트는 또한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무기물 또는 합성 화합물일 수 있다.
하이드로탈사이트 및/또는 제올라이트는 할로겐-함유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를테면 0.1∼50 중량부, 편리하게는 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h) 알칼리알루모카보네이트 ( 도소나이트 ),
이들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V)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M2O)mㆍ(Al2O3)nㆍZoㆍpH2O} (V)
상기 식에서,
M은 H, Li, Na, K, Mg1 /2, Ca1 /2, Sr1 /2 또는 Zn1 /2이고;
Z는 CO2, SO2, (Cl2O7)1/2, B4O6, S2O2 (티오설페이트) 또는 C2O2 (옥살레이트)이고;
M은, M = Mg1 /2 또는 Ca1 /2인 경우, 1∼2이고, 기타 모든 경우에 1∼3이고;
n은 1 및 4이고;
o는 2∼4이고; 그리고
p는 0∼30이다.
사용될 수 있는 화학식(V)의 알루모 염 화합물은 천연적으로 존재하거나 합성될 수 있다. 금속은 서로 부분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인용된 알루모 염 화합물 은 결정질, 부분 결정질 또는 무정형이거나, 또는 건조된 겔 형태일 수 있다. 알루모 염 화합물은 또한 더욱 희귀한 결정질 변형체로 얻어질 수 있다. EP 394670에서는 이러한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알루모 염 화합물의 전형적인 예로는 인디기라이트(indigirite), 투니사이트(tunisite), 알루모하이드로칼사이트, 파라-알루모하이드로칼사이트, 스트론티오드레서라이트(strontiodresserite) 및 하이드로스트론티오드레서라이트(hydrostrontiodresserite)가 있다. 기타 알루모 염 화합물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칼륨 알루모카보네이트 {(K2O)ㆍ(Al2O3)ㆍ(CO2)2ㆍ2H2O},
나트륨 알루모티오설페이트 {(Na2O)ㆍ(Al2O3)ㆍ(S2O2)2ㆍ2H2O},
칼륨 알루모설파이트 {(K2O)ㆍ(Al2O3)ㆍ(SO2)2ㆍ2H2O},
칼슘 알루모옥살레이트 {(CaO)ㆍ(Al2O3)ㆍ(C2O2)2ㆍ5H2O},
마그네슘 알루모테트라보레이트 {(MgO)ㆍ(Al2O3)ㆍ(B4O6)2ㆍ5H2O},
{([Mg0 .2Na0 .6]2O)ㆍ(Al2O3)ㆍ(CO2)2ㆍ4.1H2O},
{([Mg0 .2Na0 .6]2O)ㆍ(Al2O3)ㆍ(CO2)2ㆍ4.3H2O} 및
{([Mg0 .3Na0 .4]2O)ㆍ(Al2O3)ㆍ(CO2)2.2ㆍ4.9H2O}.
혼합된 알루모 염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알루모 염 화합물로부터 또는 조합 침전(combination precipitation)에 의해 양이온 교환에 의한 공지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US 5 055 284 참조).
바람직한 알루모 염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M은 Na 또는 K이고; Z는 CO2, SO2 또는 (Cl2O7)1/2이고; m은 1∼3이고; n은 1∼4이고; o는 2∼4이고, 그리고 p는 0∼20임)이다. 특히 바람직한 Z는 CO2이다.
기타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 화학식으로 나타내지는 것들이다:
M2OㆍAl2O3ㆍ(CO2)2ㆍpH2O (Ia),
(M2O)2ㆍ(Al2O3)2ㆍ(CO2)2ㆍpH2O (Ib),
M2Oㆍ(Al2O3)2ㆍ(CO2)2ㆍpH2O (Ic),
여기서, M은 Na, K, Mg1 /2, Ca1 /2, Sr1 /2 또는 Zn1 /2과 같은 금속이고, p는 0∼12이다.
나트륨 알루모디히드록시카보네이트(DASC) 및 동족의 칼륨 화합물(DAPC)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소나이트 대신에, 벤토나이트, 마가디이트, 하레마이트 등과 같은 양이온 교환 성질을 갖는 실시케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소나이트는 할로겐-함유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를테면 0.01∼50 중량부, 편리하게는 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i) 가소제
적당한 유기 가소제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그룹이 있다:
A) 프탈레이트류:
이러한 가소제의 전형적인 예는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헥실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n-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트리데실 프탈레이트, 디시클로-헥실 프탈레이트, 디-메틸시클로헥실 프탈레이트, 디메틸 글리콜 프탈레이트, 디부틸 글리콜 프탈레이트, 벤질부틸 프탈레이트 및 디페닐 프탈레이트 뿐만 아니라 프탈레이트의 혼합물, 이를테면 흔히 있는 알코올의 C7 -9- 및 C9 - 11알킬프탈레이트, C6 -10-n-알킬프탈레이트 및 C8 -10-n-알킬프탈레이트이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헥실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n-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트리데실 프탈레이트 및 벤질부틸 프탈레이트 뿐만 아니라 알킬 프탈레이트의 인용된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인데, 이들은 표준 약어 DOP(디-옥틸-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DINP(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DIDP(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로 공지되어 있다.
B)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류, 특히 아디프산, 아젤라산 및 세바스산의 에스테르류
이러한 가소제의 전형적인 예로는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이소옥틸아디페이트(혼합물),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혼합물), 디-이소데실 아디페이트(혼합물), 벤질 부틸 아디페이트, 벤질 옥틸 -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 아젤레이트, 디-2-에틸헥실 세바케이트 및 디-이소데실 세바케이트(혼합물)이 있다. 디-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및 디-이소옥틸 아디페이트가 바람직하다.
C) 트리멜리테이트,
통상적으로 트리-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이소데실트리멜리테이트(혼합물), 트리-이소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이소옥틸트리멜리테이트(혼합물) 뿐만 아니라 트리-C6 - 8알킬 트리멜리테이트, 트리-C6 - 10알킬 트리멜리테이트, 트리-C7-9알킬 트리멜리테이트 및 트리-C9 - 11알킬 트리멜리테이트. 마지막에 언급한 트리멜리테이트는 트리멜리트산을 대응하는 알칸올 혼합물과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어진다. 바람직한 트리멜리테이트는 트리-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 및 알칸올 혼합물의 인용된 트리멜리테이트이다. 사용된 표준 약어는 TOTM (트리-옥틸-트리멜리테이트, 트리-2-에틸헥실-트리멜리테이트), TIDTM (트리-이소데실-트리멜리테이트) 및 TITDTM (트리-이소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이다.
D) 에폭시드 가소제
이들은 주로 에폭시화 불포화 지방산, 이를테면 에폭시화 대두유이다.
E) 중합성 가소제
폴리에스테르 가소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 가장 통상적인 출발물질은 다음 과 같다: 디카르복시산, 이를테면 아디프산, 프탈산, 아젤라산 및 세바스산; 디올류, 이를테면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
F) 인산 에스테르류
이러한 인산 에스테르의 전형적인 예로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트리-2-에틸부틸 포스페이트, 트리-2-에틸헥실 포스페이트, 트리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및 트리크실렌일 포스페이트가 있다. 트리-2-에틸헥실 포스페이트 및 ®Reofos 50 및 95 (예 FMC)가 바람직하다.
G) 염소화 탄화수소(파라핀)
H) 탄화수소
I) 모노에스테르, 이를테면 부틸 올레에이트, 페녹시에틸 올레에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올레에이트 및 알킬 설포네이트.
J) 글리콜 에스테르, 이를테면 디글리콜 벤조에이트.
그룹 A)∼J)의 가소제의 정의 및 예는 다음 문헌에 나타나 있다:
"Taschenbuch der Kunststoffadditive", 편집인 R. Gaehter and H. Muler, Carl Hanser Verlag, 1989, 5장 S 341-442.
"PVC Technology", 편집인 W.V. Titow, 4th Ed., Elsevier Publishers, 1984, 6장, 페이지 147-180.
서로 다른 가소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소제는 PVC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를 테면 5∼120 중량부, 편리하게는 10∼10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j) 적당한 윤활제의 예:
몬탄 왁스, 지방산 에스테르, PE 왁스, 아미드 왁스, 클로로파라핀, 글리세롤 에스테르, 고체 또는 액체 파라핀 왁스 또는 알칼리 토 금속 비누, 또는 실리콘계 윤활제, 이를테면 EP-A-225261에 기재된 것. 사용될 수 있는 윤활제는 또한 "Taschenbuch der Kunststoffadditive", 편집인 R. Goehter and H. Muler, Carl Hanser Verlag, 3rd Ed. 1989, 페이지 478-488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성 물질에 첨가하기 전에, 윤활제를 또한 안정화제와 혼련할 수도 있다.
k) 충전제
적당한 충전제 ("Handbook of PVC-Formulating", by E. J. Wickson,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3, p.393-449) 및 보강제 ("Taschenbuch der Kunststoffadditive", 편집인 R. Goehter and H. Muller, Carl Hanser Verlag, 3rd Ed. 1989, 페이지 549-615)가 있으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칼슘카보네이트, 돌로마이트, 월라스토나이트, 마그네슘 산화물, 마그네슘 수산화물,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활석, 카올린, 초크, 운모,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 카본블랙 또는 흑연. 초크가 바람직하다.
l) 안료
적당한 물질이 당해 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무기 안료의 통상적인 예는 TiO2, 카본블랙, Fe2O3, Sb2O3, (Ti,Ba,Sb)O2, Cr2O3, 스피넬, 이를테면 코발트 블루 및 코발트 그린, Cd(S,Se), 울트라마린 블루이다. 미세 형태의 TiO2가 또한 바람직하다. 유기 안료의 예로는 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페릴렌 안료, 피롤로피릴리돈 안료 및 안트라퀴논 안료가 있다. 더욱 상세한 것은 "Handbook of PVC Formulating", E.J. Wickson,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3, p. 449-474에 기재되어 있다.
m)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주석 화합물의 예로는 EP-A-573394에 기재된 바와 같은 유기 주석 산화물, 유기 주석 황화물, 유기 주석 카르복실레이트, 유기 주석 메르캅토카르복실레이트, 유기 주석 메르캅티드 및/또는 유기 주석 메르캅토카르복실레이트, 이를테면 디부틸틴 산화물, 디옥틸틴 말레이네이트, 디부틸틴 말레산 세미에스테르, 비스-디부틸틴-2-에틸헥사노에이트 산화물 및 기타 SnO 화합물이 있다.
적당한 유기 주석 메르캅티드의 예로는 일반식 RnSn(SA)4-n의 화합물(여기서 R은 메틸, 부틸, 옥틸, 라우릴 또는 카르보부톡시에틸 기이고, n은 1 또는 2이고, 그리고 A는 통상적으로 데실, 도데실 또는 카르보알콕시메틸 또는 카르보알킬옥시에틸 라디칼이고, 그리고 알콕시 잔기는 직쇄 또는 측쇄 C6-C18알콕시 또는 C5-C8시클로-알콕시 라디칼임)이다. 이러한 주석 화합물의 예로는 디메틸틴 비스-카르보이소-옥틸옥시메틸 메르캅티드, 디부틸틴 디라우릴 메르캅티드, 디옥틸틴 비스-카르보-2-에틸헥속시-메틸 메르캅티드, 디메틸틴 비스메르캅토에틸 스테아레이트, 옥틸 틴 트리스-카르보-2-에틸헥속시-메틸 메르캅티드, 모노메틸틴 메르캅토에틸 올레에이트 황화물 및 비스-디메틸틴 메르캅토에틸 스테아레이트 황화물이 있다.
n) 유기 질소 화합물
적당한 유기 질소 화합물의 예로는 DE-A-746 081, US-A-2 557 474, DD-A-652, DE-A-871 834, EP-A-174 412, DE-A-1 162 073, US-A-2 367 483, GB-A-923 319, DE-A-862 512, DE-A-2 524 659, DE-A-1 544 768, DE-A-1 134 197, EP-A-2 756, DE-A-3 048 659, DE-A-3 602 367, EP-A-48 222, EP-A-41 479, EP-A-65 934, EP-A-22 087, EP-A-465 405 및 EP-A-390 739에 기재된 바와 같은, 우레아 및 티오우레아, 아미노벤젠 술포네이트, 아미노벤조에이트, 아미노벤즈아미드, 시안아미드, 디시안디아미드, 구아니딘, 구안아민, 멜라민, 인돌, 아미노크로토네이트, 테트라졸, 트리아졸, 치환된 아미노-트리아졸, m-아미노페놀, 아미노우라실, 피롤, 아미노피롤 등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임의적인 첨가제는 혼합기, 카렌더, 반죽기, 압출기, 밀 등과 같은 공지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화합물 및 추가 임의의 첨가제를 할로겐-함유 중합체와 혼합함으로써 공지의 방법으로 이를 테면 혼합 과정에서 중합체에 첨가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그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중에 또는 소위 매스터뱃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신규 중합체 조성물은 카렌더링, 압출, 사출성형, 소결 또는 스피닝, 압출 취입 성형 또는 플라스티졸 공정과 같은 공지 방법으로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될 수 있다. 중합체 조성물은 또한 발포체로 가공될 수 있다.
최종 중합체 조성물은 예를 들면 반강성(semirigid) 또는 연성 배합물, 이를 테면 와이어 시트, 케이블 절연체, 바닥재, 튜브 및 실링 프로파일용 연성 배합물에 적합하다. 반강성 배합물 형태에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장식용 필름, 폼, 농업용 시팅, 튜브, 실링 프로파일, 오피스 필름, 압출 프로파일 및 플레이트, 바닥재 필름 및 패널 코틴재 및 인조 피혁 뿐만 아니라 크래쉬-패드 필름(자동차용)에 적합하다. 견고한 배합물 형태에는, 조성물은 중공 물품(병, 포장 필름, 열형성 필름, 취입 필름, 크래쉬-패드 필름(자동자), 파이프, 포옴, 무거운 프로파일(윈도우 프레임), 가벼운 벽 프로파일, 빌딩 프로파일, 사이딩, 피팅, 및 장치 하우징(컴퓨터 및 가전 제품) 뿐만 아니라 기타 사출 성형 물품에 적합하다. 프라스티졸로서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조성물의 사용 예는 인조 피혁, 코팅 물질, 바닥재, 직물 코팅, 벽 커버링, 코일 코팅, 크래쉬-패드 필름 및 자동자용 하도실(underseals)이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중합체 조성물의 소결 이용 분야의 예로는 슬러쉬(slush), 슬러쉬 몰드 및 코일 코팅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중합반응 도중 또는 후에 할로겐-함유 중합체에 하기 성분 b) 및 c)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열적 저하에 대해 할로겐-함유 중합체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이다:
b) 20℃ 이상의 융점을 갖고 하기 화학식(Ia) 또는 (Ib)의 화합물을 갖는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
Figure 112006029721797-pct00021
Figure 112006029721797-pct00022
상기 식에서,
n은 2 또는 3이고;
R1은 삼차-부틸, 이차 결합 C3-C18알킬 또는 C5-C6시클로알킬이고;
R'1은 삼차 부틸, 일차 또는 이차 결합 C1-C18알킬, 페닐, C7-C9페닐-알킬 또는 C5-C6시클로알킬이고;
R3은 C1-C18 알킬, C1-C18알콕시, 또는 C5-C6시클로알킬이고;
R'2는 2가 또는 3가 연결 기이고;
*는 직접 결합 또는 수소이고;
R2는 수소, 메틸 또는
Figure 112006029721797-pct00023
이고,
상기 식에서, m은 1∼10이고; 그리고
c) 20℃의 이상의 융점을 갖고 하기 화학식(IIa), (IIb) 또는 (IIc)의 화합물을 갖는 티오에테르 또는 티오에테르-에스테르:
Figure 112006029721797-pct00024
Figure 112006029721797-pct00025
또는
Figure 112006029721797-pct00026
상기 식에서,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C1-C18알킬이고;
k는 2∼4이고; 그리고
X는 2-메틸-1,2,3-프로판-트리일- 또는 1,2,3,4-메탄-테트릴-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열적 저하에 대해 할로겐-함유 중합체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은 중합반응 동안 또는 그 후에 수성 현탁액 또는 에멀전 형태로 있는 할로겐-함유 중합체에 하기 성분 b) 또는 c)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b) 20℃ 이상의 융점을 갖고 하기 화학식(Ia) 또는 (Ib)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
Figure 112006029721797-pct00027
Figure 112006029721797-pct00028
상기 식에서,
n은 2 또는 3이고;
R1은 삼차-부틸, 이차 결합 C3-C18알킬 또는 C5-C6시클로알킬이고;
R'1은 삼차 부틸, 일차 또는 이차 결합 C1-C18알킬, 페닐, C7-C9페닐-알킬 또는 C5-C6시클로알킬이고;
R3은 C1-C18 알킬, C1-C18알콕시, C5-C6시클로알킬 또는 -CH2-CH2-CO-O-(C1-C18)알킬이고;
R'2는 2가 또는 3가 연결 기이고;
R4
Figure 112006029721797-pct00029
또는 수소이고;
R2는 수소, 메틸 또는
Figure 112006029721797-pct00030
이고,
상기 식에서, m은 1∼10이고; 그리고
c) 20℃ 이상의 융점을 갖고 하기 화학식(IIa), (IIb) 또는 (IIc)의 화합물을 갖는 티오에테르 또는 티오에테르-에스테르:
Figure 112006029721797-pct00031
Figure 112006029721797-pct00032
또는
Figure 112006029721797-pct00033
상기 식에서,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C1-C18알킬이고;
k는 2∼4이고; 그리고
X는 2-메틸-1,2,3-프로판-트리일- 또는 1,2,3,4-메탄-테트릴-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정의, 바람직한 예 및 임의의 첨가제는 중합 공정에서도 적용된다.
예를 들면, PVC는 3개의 서로 다른 공정에 의해 비닐클로라이드 단량체 (VCM)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약 80∼85%에 달하는 현탁형 중합반응이다. 액체 염화비닐의 소적(droplets)은 가압 교반 반응기에서 보호 콜로이드를 사용하여 물에 분산된다. 중합반응은 오일-가용성 개시제의 사용 결과로서 소적 내에서 일어난다. 제품은 100∼150 ㎛ 직경의 다공성 그레인 형태를 갖는다. 또 다른 공정은 단량체가 물에 분산되고 교반 및 강력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에멀전 방법이고, 중합반응은 수용성 개시제를 사용하여 수성 상에서 실시된 다. 중합반응 생성물은 직경 0.1∼2.0 ㎛를 갖는 PVC 입자의 수성 라텍스 분산액 형태이다. 이들은 용매 및 가소제에 분산되어 플라스티졸을 얻기 전에 분쇄되고 여러 산포 및 침지 이용에 사용되는 더 큰 응집물을 형성하도록 분무-건조된다. 제3 방법은 벌크 또는 매스 중합법이다. 그 이름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중합반응은 물 없이 염화비닐(VCM) 중에서 실시된다. PVC의 제조에 관한 연구는 이를테면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2판, vol. 17, 페이지 295-376"에 기재되어 있다.
성분 b) 및 c)는 중합반응 과정에서 또는 반응 종료 후에 첨가될 수 있다.
염화비닐 중합반응과 관련하여, 폴리염화비닐의 상당량이 중합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이 공정에서, 비닐클로라이드 단량체 및 개시제는 적절한 온도와 압력에서 물에 교반함으로써 분산된다. 현탁제, 예를 들면 메틸 또는 에틸 셀룰로오스, 젤라틴,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기타 수용성 중합체가 중합반응 동안 현탁을 안정화하는 데 이용된다. 미반응 VCM은 진공 스트리핑 공정에 의해 제거된다. 슬러리 형태의 중합체 미세 과립은 반응기로부터 배출되고, 원심분리 또는 여과되어 물을 제거하게 된다. 현탁 안정화제와 반응 매체의 흔적량을 제거하기 위한 중합체의 완전한 세척과 건조가 공정을 종결시킨다.
중합반응 사이클이 말기에 들면서 시스템 내의 압력은 떨어지기 시작하며, 곧 이어 중합반응 속도가 피크가 된다. 피크를 넘어서, 중합속도는 날카롭게 떨어지기 시작하고, 중합체 비드는 자유 단량체가 중합체에 흡수되어 중합함으로써 덜 다공성이 된다. 다공성 및 입경 분포 모두에서 입자 특성의 상기 변화는 성능 감소 및 제조 원가 면에서 제조업자에게 불리하다. 그러므로, 과립화 다공성 구조는 여러 압출 또는 카란다링 작업에 대해 촉진된 가소제 흡입이 건조 블렌드를 형성하도록 하는 데 바람직하다. 이러한 역효과를 피하기 위해서, 제조업자는 완전한 단량체 전환 전에 중합반응을 종결하게 된다. 70∼90% 전환율이 일반적인 종결점에 영향을 미칠지라도, 제조업자의 경험은 가장 좋은 품질의 중합체를 얻기 위해서 중합반응이 종결되는 점을 가장 잘 결정하게 된다.
성분 b) 및 c)는 PVC의 제조 단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중합반응이 현탁 중합반응이고, 그리고 성분 b) 및 c)가 에멀전으로서 중합반응 말기에 슬러리에 첨가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할로겐-함유 중합체의 수성 현탁액 또는 에멀전을 열적으로 안정화하기 위한, 융점 20℃ 이상의 제 1항에 따른 티오에테르 또는 티오에테르-에스테르와 함께 융점 20℃ 이상의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의 용도이다.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일반 중합반응 과정:
표준 PVC 중합반응은 현탁중합법에 따라 회분식으로 실시된다. 부피 5000 ml의 이중 재킷 압력 반응기는 57℃ 및 1000 rpm의 교반기 속도에서 작동된다. 반응 과정에서 반응기의 압력 및 온도가 기록된다.
다음 성분을 반응기에 첨가한다:
탈기 및 탈염수 1000 ml
염화비닐 단량체 375 g
폴리비닐 알코올, 현탁제 1,500 mg
개시제 디-2-에틸헥실퍼옥소디카보네이트 0.1 몰% (염화비닐 단량체 기준)
이소데칸(Luperox 233M®, Atofina) 중 75%.
표1의 첨가제(비닐클로라이드 단량체 중량 기준) 300 ppm을 압력 강하 시점(반응시간 약 3시간 후)에서 첨가한다. 1 시간 동안 더 반응한 후, 반응기를 탈기하고, 얻어진 중합체를 여과 분리한다. 얻어진 조 중합체를 물로 세척하고, 여과한 후, 에탄올로 세척한 다음, 중량이 일정해질 때까지 40℃에서 진공 건조한다. 수율 88%.
PVC 수지의 열 안정성에 대한 평가:
PVC 수지의 열 안정성은 "763 PVC Thermomat®"(Metrohm AG, CH 9101 Herisau, 스위스)를 사용하여 탈염화수소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된다. PVC 수지로부터 방출된 염산의 양은 열 불안정성에 대한 척도이다. 염산의 양은 물에 그것을 물에 용해하고 그 용액의 전도성을 측정함으로써 측정된다(표1 참조). 특정 수준의 전도성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수지의 안정성은 더 좋다.
표 1
Figure 112006029721797-pct00034
*시험: 180℃의 공기에서 탈염화수소화 반응(60 마이크로지멘스/cm의 전도도에 도달하는 시간, 분)
PVC 화합물의 제조 및 그의 열안정성 평가
PVC 화합물의 열안정성은 다음 조성을 기준으로 밀 블렌드를 제조함으로써 평가된다:
PVC 수지 (S-PVC K-60) 300 g
시중 상품의 가공 보조제 9 g
왁스 2 g
칼슘 스테아레이트 2 g
메틸틴 메르캅티드 안정화제 1 g
블렌드를 약 195℃의 가열된 2 롤밀 상에 15분 이내의 기간 동안 놓는다. 매 3분 동안 밀에서 물질을 제거하고 압축하여 플레이크를 만든다. 플레이크의 색상(YI, DIN 6174에 따른 황색지수)을 측정한다. YI가 낮을수록, PVC 화합물의 열안정성은 더 좋다(표 2 참조).
표 2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는 혼합 단계에서 안정화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표 2
Figure 112006029721797-pct00035
Irganox 245®
Figure 112006029721797-pct00036
화합물 1
Figure 112006029721797-pct00037
Irganox 1076®
Figure 112006029721797-pct00038
Irganox 1141®: 화합물 1과 Irganox 1076의 혼합물, 4:1;
DLTDP는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임.
모든 화합물은 시바 스페셜티 케밀칼사 제품임.

Claims (15)

  1. 하기 성분 a), b) 및 c)를 포함하는 조성물:
    a) 수성 현탁액 또는 에멀전 형태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b) 20℃ 이상의 융점을 갖고 하기 화학식의 2,4-디메틸-6-(1'-메틸-1'-테트라데실-메틸)-페놀인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
    Figure 112011041527487-pct00039
    c) 20℃의 융점을 갖고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인 티오에테르-에스테르;
    이때,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또는 그의 공중합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로서 성분 b)가 비닐 클로라이드의 중량 기준으로 50 ppm ~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성분 c)가 비닐 클로라이드의 중량 기준으로 50 ppm ~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성분 b) 대 성분 c)의 비가 1:10 내지 10:1인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성분 b)와 다른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 인-함유 안정화제, 2-벤조푸란온 안정화제, 입체 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또는 UV-흡수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2. 중합반응 동안 또는 그 후에 수성 현탁액 또는 에멀전 형태로 있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하기 성분 b) 및 c)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열적 저하에 대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b) 20℃ 이상의 융점을 갖고 하기 화학식의 2,4-디메틸-6-(1'-메틸-1'-테트라데실-메틸)-페놀인 입체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
    Figure 112011041527487-pct00040
    c) 20℃의 융점을 갖고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인 티오에테르-에스테르;
    이때,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또는 그의 공중합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13. 제 12항에 있어서, 성분 b) 및 성분 c)가 중합반응 말기에 첨가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중합반응이 현탁중합 반응이고, 그리고 성분 b) 및 c)가 에멀전으로서 중합반응 말기에 슬러리에 첨가되는 방법.
  15. 삭제
KR1020067008161A 2003-11-03 2004-10-25 할로겐 함유 중합체용 안정화제 조성물 KR101104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4049.6 2003-11-03
EP03104049 2003-11-03
PCT/EP2004/052645 WO2005049715A2 (en) 2003-11-03 2004-10-25 Stabilizer compositions for halogen containing polym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923A KR20060117923A (ko) 2006-11-17
KR101104780B1 true KR101104780B1 (ko) 2012-01-13

Family

ID=3461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161A KR101104780B1 (ko) 2003-11-03 2004-10-25 할로겐 함유 중합체용 안정화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20070027243A1 (ko)
EP (1) EP1680463A2 (ko)
JP (1) JP4886519B2 (ko)
KR (1) KR101104780B1 (ko)
CN (1) CN100467517C (ko)
AU (1) AU2004290720B2 (ko)
BR (1) BRPI0415687B1 (ko)
CA (1) CA2544329C (ko)
SG (1) SG148148A1 (ko)
TW (1) TWI374907B (ko)
WO (1) WO2005049715A2 (ko)
ZA (1) ZA20060280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4259B2 (en) 2014-10-17 2018-07-03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ompris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09434A2 (pt) * 2008-03-13 2015-12-15 Basf Se couro, solução de um tioéter, usos do couro e de uma solução, calçado, parte interna de automóveis ou peça de mobiliário, e, processos para a produção de couro, de peças de mobiliário, calçados ou partes internas de automóveis.
US8287765B2 (en) * 2008-06-17 2012-10-16 R.T. Vanderbilt Company, Inc. Systems and compositions for color stabilization of polymer
JP2011527358A (ja) * 2008-07-11 2011-10-2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安定剤としての貯蔵安定性水性エマルジョンおよび低粘度の液体ブレンド
JP5804738B2 (ja) * 2011-03-23 2015-11-04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窯業系サイディング材用塗料及び窯業系サイディング材
FR3001222B1 (fr) * 2013-01-24 2016-01-22 Arkema France Composition composite de polymere halogen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GB201320919D0 (en) 2013-11-27 2014-01-08 Addivant Switzerland Gmbh Composition
CN103897274B (zh) * 2014-04-22 2017-01-11 江苏爱特恩东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专用于含卤橡胶的稳定剂组合物
CN106471049B (zh) * 2014-05-01 2018-12-14 塞特工业公司 用于稳定化材料抵抗紫外光和热降解的稳定组合物
RU2736260C2 (ru) 2015-11-27 2020-11-12 Солвей Са Композиция винилиденхлоридного полимера, содержаща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ин сорбатный сложный эфир
ES2896477T3 (es) 2016-10-14 2022-02-24 Basf Se Composición estabilizante
WO2019070208A1 (en) * 2017-10-06 2019-04-11 Thai Plastic And Chemicals Public Co., Ltd. ANTIOXIDANT COMPOSITION
CN109897308A (zh) * 2019-03-18 2019-06-18 浙江东阳君邦科技有限公司 一种片状钙锌稳定剂
CN112852016B (zh) * 2021-01-13 2022-11-04 徐州工业职业技术学院 Pvc用含氮热稳定剂组合物及其应用
CN115246986B (zh) * 2021-04-26 2023-08-1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热稳定剂、透明pvc树脂及制备方法
CN113337051A (zh) * 2021-06-08 2021-09-03 杜云彩 一种金属纤维永久性导电防静电塑料地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6075A1 (en) * 1999-08-09 2001-02-14 Shin-Etsu 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vinyl chloride 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01344A (en) * 1962-02-13 1965-08-18 Bx Plastic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halogen-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s
DE2545647C3 (de) * 1975-10-11 1982-03-11 Bayer Ag, 5090 Leverkusen Stabilisierung synthetischer Polymerer
US5166271A (en) * 1988-09-12 1992-11-24 Mitsui Toatsu Chemicals, Inc. Heat resistant polyvinyl chloride copolymer and preparation process of the copolymer
MY113152A (en) * 1996-01-31 2001-11-30 Ciba Holding Inc Synergistic mixture consisting of a 2-4-dimethyl-6-s-alkylphenol and a sterically hindered phenol
US6362264B1 (en) 1996-12-20 2002-03-26 Ck Witco Corporation Stabilizer for food contact and medical grade PVC
JPH10287783A (ja) * 1997-04-15 1998-10-27 Taiyo Enbi Kk 塩化ビニル系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15179A (ja) * 1998-05-01 1999-11-16 Kureha Chem Ind Co Ltd 塩化ビニリデ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355463B (en) 1999-10-18 2001-12-05 Ciba Sc Holding Ag Stabilisers for emulsion crude rubbers, synthetic latex and natural rubber latex
ES2264681T3 (es) * 2000-09-21 2007-01-16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Mezclas de fenoles y materiales inorganicos con actividad antimicrobiana.
US6537670B1 (en) * 2000-11-03 2003-03-25 Cytec Technology Corp. Bis(alkyleneoxybenzophenone) ultraviolet light absorb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6075A1 (en) * 1999-08-09 2001-02-14 Shin-Etsu 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vinyl chloride polym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4259B2 (en) 2014-10-17 2018-07-03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ompris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comprising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73731B2 (en) 2012-05-08
WO2005049715A2 (en) 2005-06-02
KR20060117923A (ko) 2006-11-17
US20070027243A1 (en) 2007-02-01
SG148148A1 (en) 2008-12-31
US20110112228A1 (en) 2011-05-12
CA2544329C (en) 2012-10-16
TWI374907B (en) 2012-10-21
US20100048776A1 (en) 2010-02-25
ZA200602808B (en) 2007-06-27
EP1680463A2 (en) 2006-07-19
TW200523308A (en) 2005-07-16
AU2004290720B2 (en) 2010-07-01
BRPI0415687B1 (pt) 2013-12-10
AU2004290720A1 (en) 2005-06-02
JP4886519B2 (ja) 2012-02-29
CN100467517C (zh) 2009-03-11
JP2007510767A (ja) 2007-04-26
WO2005049715A3 (en) 2005-07-21
BRPI0415687A (pt) 2006-12-26
CA2544329A1 (en) 2005-06-02
CN1878828A (zh)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3731B2 (en) Stabilizer compositions for halogen containing polymers
CA2216170C (en) Monomeric and oligomeric bisphosphites as stabilisers for polyvinyl chloride
JP3921641B2 (ja) 塩素含有ポリマーのための安定剤の組合せ
US6531533B1 (en) Stabilized halogen-containing polymers
US6013703A (en) Stabilizer combination for chlorine-containing polymers
KR19980024864A (ko) N,n-디메틸-6-아미노우라실로써 안정화된 경질 pvc
CZ89994A3 (en) Stabilized polyvinyl chloride
AU692226B2 (en) Stabilized halogen-containing polymers
JP2002534574A (ja) 向上された効果を有する添加剤ブレンド含有合成ポリマー
NO309942B1 (no) Stabilisert polyvinylklorid-blanding, fremgangsmÕte for fremstilling av stabilisert PVC, anvendelse av denne PVC samt anvendelse av et perklorat for stabilisering av PVC
NO309941B1 (no) Stabilisert myk-PVC-blanding, dens fremstilling og anvendelse
US5804622A (en) Monomeric N-piperidinylmelamines as stabilizers for chlorine-containing polymers
BE1012198A5 (fr) Combinaisons de stabilisants a base de derives de 2,2,6,6-tetramethylpiperidine et de composes organiques du zinc pour des polymeres chlores.
JPH1053571A (ja) 塩素含有ポリマーのための安定剤
KR100509258B1 (ko) 폴리비닐클로라이드에대한안정화제로서단량체-및올리고머성비스포스파이트
JPH07300544A (ja) 安定化ハロゲン含有ポリマー
MXPA06004870A (en) Stabilizer compositions for halogen containing polymers
CA2147053A1 (en) Stabilized halogen-containing polymers
MXPA97007315A (es) Bisfosfitos monomeros y oligomeros como estabilizadores del poli(cloruro de vinilo)
GB2345695A (en) Stabilizer combinations for halogen-containing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