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258B1 - 폴리비닐클로라이드에대한안정화제로서단량체-및올리고머성비스포스파이트 - Google Patents

폴리비닐클로라이드에대한안정화제로서단량체-및올리고머성비스포스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258B1
KR100509258B1 KR1019970048613A KR19970048613A KR100509258B1 KR 100509258 B1 KR100509258 B1 KR 100509258B1 KR 1019970048613 A KR1019970048613 A KR 1019970048613A KR 19970048613 A KR19970048613 A KR 19970048613A KR 100509258 B1 KR100509258 B1 KR 100509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t
composition
butyl
formula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936A (ko
Inventor
호르스트 징케
카를 요셉 쿠운
볼프강 베에너
Original Assignee
크롬프톤 비닐 아디티베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롬프톤 비닐 아디티베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롬프톤 비닐 아디티베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8002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 C10M137/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06Phosphorus compounds without P—C bonds
    • C07F9/08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141Esters of phosphorous acids
    • C07F9/1411Esters of phosphorous acids with hydroxyalkyl compounds with further substituents on alky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06Phosphorus compounds without P—C bonds
    • C07F9/08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141Esters of phosphorous acids
    • C07F9/144Esters of phosphorous acids with cycloaliphat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systems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or ring system, with or without other non-condensed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4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 C07F9/657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having phosphorus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74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65742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non-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heter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4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 C07F9/657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having phosphorus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74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65746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the molecule containing more than one cyclic phosphorus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10M2223/042Metal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8Hydraulic fluids, e.g. brake-fl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할로겐-함유 중합체 물질, 및
(ii)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 (1)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뿐만 아니라 하기 화학식 (1)의 신규 화합물 및 안정화제로서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6의 수이고,
R은 하기 화학식의 2가 연결 기이며,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m은 1 내지 5의 수이고,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자적으로 C4-C22알킬, C7-C9페닐알킬, C5-C8시클로알킬 또는 C1-C4알킬-C5-C8시클로알킬,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는 함께 C2-C9알킬렌 또는 하기 화학식의 기이고,

Description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한 안정화제로서 단량체- 및 올리고머성 비스포스파이트.
본 발명은 할로겐-함유 중합체 물질, 특히 비닐 클로라이드의 동종- 또는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성 유기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특히 산화, 열 및/또는 광-유도 분해로부터 상기 중합체 물질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그의 용도; 뿐만 아니라 신규 단량체- 및 올리고머성 비스포스파이트, 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중합체 및 윤활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2가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비스포스파이트는 문헌, 특히 US-A-3 047 608호, US-A-3 342 767호, US-A-3 205 250호, US-A-3 283 037호, US-A-3 592 858호, EP-A-635512호, EP-A-635511호, DE-A-3009634호, DE-A-2330979호, DD-A-229995호, JP-A-52-145452호, JP-A-57-65743호, JP-A-53-67755호, JP-A-55-71744호 및 JP-A-53-40719호에 다수가 공지되어 있다. 포스파이트는 통상 폴리올레핀, 탄성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다른 중합체를 위한 가공 안정화제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또 실용적인 중요성이 충분히 있다. 상술한 특허 공고는 일련의 중합체 기재에 대한 안정화제로서 비스포스파이트를 기재하고 있으며, 또 이들 중 일부를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에 대한 안정화제로서 기재하고 있다.
안정화제의 효능 및 환경적인 상용성에 대한 높은 요구 때문에 유기 포스파이트 분야에서 안정화제 및 안정화제 계를 찾고 최적화에 대한 필요성이 있어 왔다.
특정한 일군의 비스포스파이트만이 PVC와 같은 할로겐-함유 중합체에 대한 안정화제 또는 공안정화제로 특히 적합하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중합체를 산화, 열 및/또는 광-유도 분해로부터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제 및 가공 안정화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i) 할로겐-함유 중합체 물질, 및
(ii)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1)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6의 수이고,
R은 하기 화학식의 2가 연결 기이며,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m은 1 내지 5의 수이고,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자적으로 C4-C22알킬, C7-C9페닐알킬, C5-C8시클로알킬 또는 C1-C4알킬-C5-C8시클로알킬,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는 함께 C2-C9알킬렌 또는 하기 화학식의 기이고,
Figure pat00008
,
단,
a) R1 + R2 및 R3 + R4가 화학식
Figure pat00009
의 기이고, 또 R이 BR1 또는 BR2이면, 조성물은 약간의 바륨-, 아연- 및/또는 칼슘-안정화제를 함유하지 않으며, 또
b) R1, R2, R3 및 R4가 동일하고 C12-C22알킬이며, 또 R이 BR2이면, m이 2와 상이하다.
통상적인 치환체 정의에서 언급되는 알킬 라디칼 및 알킬렌 라디칼은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다. 전형적인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이소옥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헥사데실, 옥타데실, 아이코실 및 헨아이코실이다. 알킬렌기(R1+R2, R3+R4)의 전형적인 예는 에틸렌, 프로필렌, 2-메틸프로필렌, 2,2-디메틸프로필렌, 2-메틸-2-n-프로필-프로필렌 및 2-에틸-2-n-부틸-프로필렌이다. 6-원 고리는 바람직하게는
Figure pat00010
기와 함께 형성된다.
비치환 또는 C1-C4알킬-치환된 C5-C8시클로알킬은, 예컨대 시클로펜틸, 메틸시클로펜틸, 디메틸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메틸시클로헥실, 디메틸시클로헥실, 트리메틸시클로헥실, 삼차부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이다. 시클로헥실, 메틸시클로헥실 및 디메틸시클로헥실이 바람직하다.
C7-C9페닐알킬은, 예컨대 벤질, 펜에틸, α-메틸벤질 또는 α,α-디메틸벤질이다.
성분(i)은 바람직하게는 염소-함유 중합체, 특히 비닐 클로라이드 동종 또는 공중합체(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이다.
화학식 (1)에서, n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이며, 전형적으로는 1 내지 3이고, 또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데, 이때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자적으로 C6-C22알킬 또는 C7-C9페닐알킬,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는 함께 C2-C9알킬렌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인데, 상기 식에서 m은 1 또는 2이고,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자적으로 C6-C15알킬, C7-C9페닐알킬,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는 함께 C2-C9알킬렌이다.
화학식 (1)에서 바람직한 연결기 R은 화학식 BR1, BR3 및 BR4기 또는 화학식 BR1, BR2 및 BR3기이며,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BR1기이다. 후자의 경우,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자적으로 통상 C6-C15알킬 또는 C7-C8페닐알킬, 바람직하게는 C8-C11알킬이다.
특히 실용적인 중요성을 가진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1, R2, R3 및 R4 또는 R1+R2 및 R3+R4가 동일한 화합물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R가 화학식 BR1의 연결기이면, RS, R2, R3 및 R4는 바람직하게는 C6-C11알킬, C7-C8페닐알킬 또는 C5-C8시클로알킬,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는 함께 C2-C9알킬렌이다.
특히 중요한 신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R1, R2, R3 및 R4가 C6-C22알킬, C7-C9페닐알킬 또는 C5-C8시클로알킬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할로겐-함유 중합체 물질에 대한 탁월한 안정화제이며, 또 열, 산소 및/또는 광, 특히 UV의 악영향에 대해 이들을 안정화시키는데 특히 적합하다. 또, 이들은 열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및 광안정화제로서 작용한다. 특별히 언급되는 것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상술한 중합체를 가능한한 적은 손상으로써 가공할 수 있는 이들의 열안정화 작용이다.
신규 조성물은 안정화시킬 중합체 기준으로, 통상 화학식 (1)의 0.005 내지 10 중량%, 특히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전형적으로는 0.05 내지 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한다.
할로겐-함유, 특히 염소-함유 중합체 물질(성분(i))은 예컨대: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이들의 구조내 비닐 클로라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비닐 수지, 예컨대 비닐 클로라이드 및 지방족 산의 비닐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와 아크릴- 및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및 아크릴로니트릴과의 공중합체, 디엔 화합물을 가진 비닐 클로라이드 및 불포화 디카르복시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과의 공중합체, 예컨대 비닐 클로라이드와 디에틸말레에이트, 디에틸푸마레이트 또는 말레산 무수물과의 공중합체, 후염소화 중합체 및 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 및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와 예컨대 아크롤레인, 크로톤알데히드, 비닐메틸 케톤, 비닐 메틸 에테르 및 유사 화합물과 같은 불포화 알데히드, 케톤 등과의 공중합체;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의 중합체 및 이들과 비닐 클로라이드 및 다른 중합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비닐 클로로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디비닐 에테르의 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의 염소화 중합체, 아크릴산- 및 α-치환 아크릴산의 염소화 중합체 에스테르; 염소화 스티롤렌, 예컨대 디클로로스티렌 중합체; 염소화 고무; 에틸렌의 염소화 중합체; 클로로부타디엔의 중합체 및 후염소화 중합체 및 이들과 비닐 클로라이드와의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상술한 중합체 상호간 또는 다른 중합성 화합물과의 혼합물이다.
다른 예는 PVC와 EVA, ABS 및 MBS의 그라프트 중합체이다. 바람직한 기재는 상술한 동종- 및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비닐 클로라이드 동종 중합체와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및 탄성중합체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ABS, MBS, NBR, EVA, CPE, MBAS, PMA, PMMA, EPDM 및 폴리아세톤과의 혼합물이다.
염소-함유 중합체는 특히 현탁 중합체, 괴상 중합체 및 유제 중합체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이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성분(i)은 특히 염소-함유 중합체의 재생물로서, 예컨대 상술한 중합체는 가공, 사용 또는 보관에 의해 손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PVC 재생물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물은 제거하기가 종종 어려운 소량의 이물질, 예컨대 종이, 안료 및 접착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이물질은 사용 또는 가공 중에 연료 찌꺼기, 도료 성분, 미량의 금속, 개시제 찌꺼기 또는 미량의 수분과 같은 다양한 물질과의 접촉으로부터 생길 수 있다.
보통, 신규 조성물은 다른 통상의 첨가제, 예컨대 성분(iii)으로서 윤활제, 가소제, 안료, 점착 방지제, 개질제, 가공 보조제, 발포제, 대전방지제, 생물독, 방무제, 착색제, 방염제, 충전제, 산화방지제, 광안정화제 및/또는 다른 가공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언급될 수 있는 부가적인 성분(iii)은 유기- 또는 무기 아연,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및 알루미늄 화합물, 입체 장애 아민, 다른 유기 아민, 유기 주석 또는/및 유기 안티몬 화합물, 폴리올, 에폭시드, 히드로탈사이트, 제올라이트, 도오소나이트, 1,3-디케톤, 3-케토카르복실레이트 또는/및 과염소산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정된 첨가제이다.
성분(iii)으로서 적합한 단독 또는 조합한 첨가제를 하기에 예시하였다.
a) 아연 화합물 및 기타 금속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Zn-O-결합을 함유하는 유기 아연 화합물은, 예컨대 아연 엔올레이트, 아연 페놀레이트 또는/및 아연 카르복실레이트이다. 이들 중 후자는 일련의 지방족 포화- 및 불포화 C1-22 카르복실레이트, 하나 이상의 OH기에 의해 치환된 또는/및 사슬 중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원자(옥사산)를 포함하는 지방족 포화- 및 불포화 C2-22 카르복실레이트, 5-2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시클릭 및 비시클릭 카르복실레이트,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OH기 및/또는 C1-16알킬에 의해 치환된 페닐카르복실레이트, 페닐-C1-16알킬카르복실레이트, 불포화 또는 C1-12알킬-치환된 페놀레이트, 또는 아비에트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정된 화합물이다. Zn-S 화합물은, 예컨대 아연 메르캅티드, 아연 메르캅토카르복실레이트 및 아연 메르캅토카르복실레이트이다.
언급될 수 있는 예로는, 일가 카르복시산, 예컨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헥산산, 오에난트산, 옥탄산, 네오데칸산, 2-에틸헥산산, 펠라곤산, 데칸산, 운데칸산, 도데칸산, 트리데칸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라우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9,10-디히드록시스테아르산, 올레산, 리시놀산, 3,6-디옥사헵탄산, 3,6,9-트리옥사데칸산, 베헨산, 벤조산, p-삼차부틸 벤조산, 디메틸히드록시벤조산,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산, 톨릴산, 디메틸벤조산, 에틸벤조산, n-프로필벤조산, 살리실산, p-삼차옥틸살리실산, 및 소르브산, 신남산, 만델산, 글리콜산의 아연염; 예컨대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푸마르산, 펜탄-1,5-디카르복시산, 헥산-1,6-디카르복시산, 헵탄-1,7-디카르복시산, 옥탄-1,8-디카르복시산, 3,6,9-트리옥사데칸-1,10-디카르복시산, 락트산, 말론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말산, 살리실산, 폴리글리콜 디카르복시산(n=10-12),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히드록시프탈산과 같은 2가 카르복시산 또는 모노에스테르의 아연염; 및 예컨대 헤미멜리트산, 트리멜릭트산, 피로멜리트산, 시트르산 및 소위 과염기화 아연 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아연 라우릴메르캅티드, 아연 티오글리콜레이트, 아연 티오살리실레이트, 아연-비스-이소-옥틸티오글리콜레이트, 아연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아연 티오락테이트, 아연 티오말레이트, 아연-비스-옥틸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아연-비스-이소옥틸티오락테이트 및 아연-비스-라우릴티오말레이트와 같은 3- 또는 4가 카르복시산의 디- 또는 트리에스테르의 아연염이 있다.
아연 엔올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틸아세톤, 벤조일아세톤, 디벤조일메탄의 엔올레이트 뿐만 아니라 아세토아세트산 및 벤조일 아세테이트 및 디히드로아세트산의 엔올레이트이다. 산화 아연, 수산화 아연, 탄산 아연, 염기성 탄산 아연 또는 황화 아연과 같은 무기 아연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벤조산- 또는 알칸산-, 바람직하게는 C8알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베헨산-, 베르사트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및 히드록시올레산-, 리시놀산-, 디히드록시스테아르산-, p-삼차부틸벤조산-, 또는 (이소)옥탄산 아연과 같은 1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아연 비누)를 갖는 카르복시산의 중성 또는 염기성 카르복시산 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아르산-, 올레산-, 베르사트산-, 벤조산-, p-삼차부틸벤조산- 및 2-에틸헥산산 아연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아연 화합물 이외에,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칼슘 화합물, 바륨 화합물, 칼륨 화합물 또는 나트륨 화합물, 아연 화합물에 대해 열거한 기에 상응하는 음이온 라디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종류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은, 예컨대 염기성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염기성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 스테아산 칼슘, 알루미늄 옥토에이트, 알루미늄-2-에틸헥사노에이트, 칼륨-2-에틸헥사노에이트, 라우르산 알루미늄, 올레산 칼슘, 올레산 바륨, 칼슘-삼차부틸벤조에이트, 염기성 아세트산 알루미늄과 같은 카르복시산 알루미늄, 카르복시산 칼슘, 카르복시산 바륨, 카르복시산 칼륨 또는 카르복시산 마그네슘 뿐만 아니라, 예컨대 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마그네슘 아세틸아세토네이트와 같은 알루미늄 엔올레이트 또는 마그네슘 엔올레이트 및 알루미늄 알코올레이트 또는 마그네슘 알코올레이트 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바륨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언급하고 있는 것은 상술한 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및 염기성 탄산염 뿐만 아니라 이들 유기산의 혼합염이다. 전형적인 예로는 NaOH, KOH, CaO, Ca(OH2), MgO, Mg(OH)2, CaCO3, MgCO3 백운석, 훈타이트, 뿐만 아니라 지방산 Na-, K-, Ca 또는 Mg-염이다. 알칼리 토금속 카르복실레이트 및 아연 카르복실레이트의 경우, MO 또는 M(OH2)(M=Ca, Mg, Ba, Sr 또는 Zn)와 함께 부가 생성물, 소위 과염기화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재된 금속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할로겐-함유 중합체의 100부 기준으로, 예컨대 0.0001 내지 10 중량부, 유리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부, 예컨대 0.01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혼합염(공침물)으로서 수득될 수도 있다.
b) 다른 포스파이트
전형적인 예는 트리옥틸-, 트리데실-, 트리도데실-, 트리트리데실-, 트리펜타데실-, 트리올레일-, 트리스테아릴-, 트리페닐-, 트리크레실-, 트리스노닐페닐-, 트리스-2,4-삼차부틸페닐- 또는 트리시클로헥실 포스파이트이다.
다른 적합한 포스파이트로는 상이하게 혼합된 아릴디알킬- 또는 알킬디아릴포스파이트, 예컨대 페닐디옥틸-, 페닐디데실-, 페닐디도데실-, 페닐디트리데실-, 페닐디테트라데실-, 페닐디펜타데실-, 옥틸디페닐-, 데실디페닐-, 운데실디페닐-, 도데실디페닐-, 트리데실디페닐-, 테트라데실디페닐-, 펜타데실디페닐-, 올레일디페닐-, 스테아릴디페닐- 및 도데실-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가 있다.
상이한 디올 또는 폴리올의 포스파이트는 유리하게 사용될수 있다: 예컨대 테트라페닐디프로필렌 글리콜 디포스파이트, 폴리디프로필렌 글리콜 페닐 포스파이트, 테트라메틸올시클로헥산올데실 디포스파이트, 테트라메틸올시클로헥산올부톡시에톡시에틸 디포스파이트, 테트라메틸올시클로헥산올노닐페닐 디포스파이트, 비스노닐페닐-디-트리메틸올프로판 디포스파이트, 비스-2-부톡시에틸-디-트리메틸올프로판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헥사데실 트리포스파이트, 디데실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뿐만 아니라 상기 포스파이트의 혼합물 및 임의의 조성물 (H19C9-C6H4O)1.5P(OC12,13H25,27)1.5 또는 (C8H17-C6H4-O-)2P(i-C8H17O) 또는 (H19C9-C6H4)O1.5P(OC9,11H19,23)1.5의 아릴/알킬포스파이트 혼합물.
유기 포스파이트를 성분(i)의 100부 기준으로, 예컨대 0.01 내지 10 중량부, 유리하게는 0.05 내지 5 중량부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c) 폴리올
이 유형의 적합한 화합물은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비스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비스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비스-트리메닐올프로판, 소르비톨, 말티트, 이소말티트, 락티트, 리카신, 만니톨, 크실리트, 이노시트, 락토스, 류크로스,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팔라티니트, 테트라메틸올시클로헥산올(TMCH), 테트라메틸올시클로펜탄올, 테트라메틸올시클로피란올,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티오디글리세롤, 또는 1-0-α-D-글리코피라노실-D-만니톨 디히드레이트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 알코올 및 시클로덱스트린; 및 예컨대 디펜타에리트리톨 아디페이트, 글리세롤 올레에이트, 글리세롤 트리올레이트 등과 같은 상기 폴리올의 축합 생성물이다. TMCH,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및 이당류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을 성분(i)의 100부 기준으로, 예컨대 0.01 내지 20 중량부, 유리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부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d) 1,3-디카르보닐 화합물
1,3-디카르보닐 화합물의 상세한 예로는 아세틸아세톤, 부타노일아세톤, 헵타노일아세톤, 스테아로일아세톤, 팔미토일아세톤, 라우로일아세톤, 7-삼차노닐티오헵탄-2,4-디온, 벤조일아세톤, 디벤조일메탄, 라우로일벤조일메탄, 팔미토일벤조일메탄, 스테아로일벤조일메탄, 이소옥틸벤조일메탄, 5-히드록시카프로닐벤조일메탄, 트리벤조일메탄, 비스(4-메틸벤조일)메탄, 벤조일-p-클로로벤조일메탄, 비스(2-히드록시벤조일)메탄, 4-메톡시벤조일벤조일메탄, 비스(4-메톡시벤조일)메탄, 1-벤조일-1-아세틸노난, 벤조일아세틸페닐메탄, 스테아로일-4-메톡시벤조일메탄, 비스(4-삼차부틸벤조일)메탄, 벤조일-포르밀-메탄, 벤조일페닐아세틸메탄, 비스(시클로헥사노일)메탄, 디(피발로일)메탄,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헥실 아세토아세테이트, 옥틸 아세토아세테이트, 도데실 아세토아세테이트 또는 옥타데실 아세토아세테이트, 에틸 벤조일아세테이트, 부틸 벤조일아세테이트, 2-에틸헥실 벤조일아세테이트, 도데실 벤조일아세테이트 또는 옥타데실 벤조일아세테이트, 에틸 스테아로일아세테이트, 프로필 스테아로일아세테이트, 부틸 스테아로일아세테이트, 헥실 스테아로일아세테이트 또는 옥틸스테아로일아세테이트 및 디히드로아세토아세트산 뿐만 아니라 이들의 아연,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알루미늄 염이 있다.
1,3-디카르보닐 화합물을 PVC의 100부 기준으로, 예컨대 0.01 내지 10 중량부, 유리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부 및,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e) 티오포스파이트 및 티오포스페이트
티오포스파이트 또는 티오포스페이트는 DE-A-2809492호, EP-A-090770호 및 EP-A-57339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유형의 화합물 (RS)3P, (RS)3P=O 또는 (RS)3P=S으로 이해된다. 전형적인 예는 트리티오헥실포스파이트, 트리티오옥틸포스파이트, 트리티오라우릴포스파이트, 트리티오벤질포스파이트, 트리티오아인산-트리스-[카르복시-이소옥틸옥시]메틸 에스테르, 트리티오인산-S,S,S-트리스-[카르보-이소옥틸옥시]메틸 에스테르, 트리티오인산-S,S,S-트리스-[카르보-2-에틸헥실옥시]메틸 에스테르, 트리티오인산-S,S,S-트리스-1-[카르보-헥실옥시]에틸 에스테르, 트리티오인산-S,S,S-트리스-1-[카르보-2-에틸헥실옥시]에틸 에스테르, 트리티오인산-S,S,S-트리스-2-[카르보-2-에틸헥실옥시]에틸 에스테르이다.
티오포스파이트 또는 티오포스페이트는 할로겐-함유 중합체에서, 유리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f) 메르캅토카르복실레이트
이 화합물의 상세한 예는 특히 FR-A-2459816호, EP-A-90748호, FR-A-2552440호 및 EP-A-36548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티오글리콜산, 티오말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 메르캅토벤조산 또는 티오락트산의 에스테르이다. 또한, 메르캅토카르복실레이트는 상응하는 폴리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부분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들은 할로겐-함유 중합체에서, 유리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g) 에폭시드 및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
이와 관련하여, 콩 오일 또는 유채 종자 오일과 같은 천연 원료의 지방산 에폭시화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은 조성물의 100부 기준으로 예컨대 0.1 중량부, 성분(i)의 100부 기준으로 유리하게는 0.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에폭시화 아마씨 오일, 에폭시화 어유, 에폭시화 수지, 메틸부틸- 또는 2-에틸헥실에폭시스테아레이트, 트리스(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에폭시화 피마자 오일, 에폭시화 해바라기 오일, 3-페녹시-1,2-에폭시프로판,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닐시클로헥센 디에폭시드, 디시클로펜타디엔 디에폭시드 및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가 있다.
또한, 적합한 에폭시드로는, 특히 US-A-5 492 949호, US-A-5 519 077호 및 US-A-5 543 449호에 기재된 바대로,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F의 유도체가 있다
g) 디히드로피리딘 및 폴리디히드로피리딘
적합한 디히드로피리딘 단량체는, 특히 FR-A-2039496호, EP-A-2007호, EP-A-362012호, EP-A-24754호 및 EP-A-71612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합물이다.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1
상기 식에서, Z는 CO2CH3, CO2C2H5, CO2 nC12H25 또는 -CO2C2H4-S-nC12H25임.
폴리디히드로피리딘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다:
Figure pat00012
상기 식에서,
T는 비치환된 C1-12알킬이고,
L은 T와 같은 동일한 의미이며,
m 및 n은 0 내지 20의 수이고,
k는 0 또는 1 이며,
R 및 R'는 서로 독자적으로 -(-CPH2P-X-)tCPH2P 유형의 다른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또는 알킬렌- 또는 시클로알킬렌비스메틸렌기이고,
p는 2 내지 8이며,
t는 0 내지 10이고, 또
X는 산소 또는 황임.
이들 화합물은 EP-A-286887호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폴리-)디히드로피리딘은 할로겐-함유 중합체에서 중합체의 100부 기준으로, 유리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티오디에틸렌-비스[5-메톡시카르보닐-2,6-디메틸-1,4-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및 1,4-디히드로-2,6-디메틸-3,5-디카르보도데실옥시피리딘이 특히 바람직하다.
h) 과염소산염
전형적인 예는 M이 Li, Na, K, Mg, Ca, Ba, Zn, Al, Ce 또는 La인 화학식 M(ClO4)이다. M의 원자가 전자에 따라, 지수 n은 1, 2 또는 3으로 다르다. 과염소산염은 알코올 또는 에테르 알코올과 함께 착화될 수 있다. 각 과염소산염은 상이한 표준 존재 형태에 있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재(예컨대 PVC, 규산 칼슘, 제올라이트 또는 히드로탈시트)에 도포되는 염 또는 자유 산(free acid)의 염 또는 수용액, 또는 히드로탈시트 및 과염소산의 화학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도 있다.
과염소산염은 성분(i)의 100부 기준으로, 예컨대 0.001 내지 5 중량부, 유리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i) 히드로탈시트 및 제올라이트
이 화합물의 화학적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DE-A-3843581호, US-A-4000100호, EP-A-062813호, WO-A-93/2013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련의 히드로탈시트 화합물은 일반식 (3)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M2+ 1-X · M3+ X · (OH)2 · (An-)X/n · mH2O
상기 식에서,
M2+는 Mg, Ca, Sr, Zn 및 S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정된 하나 이상의 금속이고,
M3+는 Al 또는 B이며,
An은 원자가 전자 n의 음이온이고,
n은 1 내지 2의 수이며,
x는 0<x≤ 0.5이고, 또
m은 0 내지 20의 수임.
An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인 것이 바람직하다.
LiOH 또는 Li2CO3("고액")을 포함하는 히드로탈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히드로탈시트의 예는
Figure pat00015
이다. 일련의 제올라이트 화합물(알칼리 금속 알루모실리케이트 또는 알칼리 토금속 알루모실리케이트)은 하기의 일반식 (4)으로 기재될 수 있다:
[화학식 4]
Mx/n[AlO2)x(SiO2)y].wH2O
상기 식에서,
n은 양이온 M의 전하이고;
M은 주기율표의 제 I 또는 제 II족의 원소이며,
y:x는 0.8 내지 15의 수,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이고; 또
w는 0 내지 300의 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임.
예컨대 "Atlas of Zeolite" W.M.Meier and D.H.Olson 저, Butterworth-Heinemann, 3rd.Ed. 1992에서 그 구조를 찾을 수 있다.
제올라이트의 예는 화학식
Na12Al12Si12O48.27H2O [제올라이트 A], Na6Al6Si6O24.2NaX.7.5H2O, X=OH, 할로겐, ClO4[소달라이트]; Na6Al6Si30O72.24H2O; Na8Al8Si40O96.24H2O; Na16Al16Si24O80.16H2O; Na16Al16Si32O96.16H2O; Na56Al56Si136O384.250H2O[제올라이트 Y], Na86Al86Si106O384.264H2O[제올라이트 X]의 나트륨 알루모실리케이트; 뿐만 아니라 1:1의 Al/Si 비율의 X- 및 Y-제올라이트; 또는 (Na,K)10Al10Si22O64.20H2O; Ca4.5Na3[(AlO2)12(SiO2)12].30H2O; K9Na3[(AlO2)12(SiO2)12].27H2O와 같이 Li원자, K원자, Mg원자, Ca원자, Sr원자 또는 Zn원자에 의해 나트륨 원자의 부분 또는 완전 교환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제올라이트이다.
다른 적합한 제올라이트는 Na2O·Al2O3·(2 내지 5)SiO2·(3.5 내지 10)H2O[제올라이트 P], Na2O·Al2O3·SiO2·(3.5 내지 10)H2O[제올라이트 MAP] 또는 Li원자, K원자 또는 수소원자에 의해 Na 원자의 부분 또는 완전 교환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제올라이트, 예컨대 Barrer et al., J. Chem. Soc. 1952, 1561-71, 및 US 2 950 95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Li, Na, K, H)10Al10Si22O64.20H2O, K9Na3[(AlO2)12(SiO2)12].27H2O, K4Al4Si4O16·6H2O(제올라이트 K-F), Na8Al8Si40O96.24H2O 제올라이트 D이다.
EP-A-400 961호에 기재된 K 오프레티트; GB-A-841 812호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R; US-A-4 503 023호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LZ-217; US-A-4 333 859호에 기재된 LZ-218; US-A-503 023호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T, 제올라이트 LZ-220; Na3K6Al9Si27O72.21H2O [제올라이트 L]; US-A-4 503 023호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LZ-211; US-A-4 503 023호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LZ-212; US-A-4 503 023호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제올라이트 O, LZ-217; US-A-4 503 023호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LZ-219; US-A-4 503 023호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Rho, 제올라이트 LZ-14; Am. Mineral.54 1607(1969)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ZK-19; Barrer et.al. J. Chem. Soc. 1956, 2882에 기재된 제올라이트 W(K-M); Na30Al30Si66O192.98H2O[제올라이트 ZK-5, 제올라이트 Q]; 뿐만 아니라 제올라이트 구조를 갖는 AlPO4 화합물도 적합한 제올라이트이다.
화학식 (4a)의 M2O·Al2O3·xSiO2·yH2O 제올라이트 P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x는 2 내지 5이고, y는 3.5 내지 10이며, M은 알칼리 금속 원자이고, 매우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x가 2 이고 y가 3.5 내지 10인 화학식 (4a)의 제올라이트 MAP이다. M이 Na인 제올라이트 Na-P가 바람직하다. 이 제올라이트는 Na-P-1, Na-P-2 및 Na-P-3으로 다양하게 수득되는데, 이때 이들은 등방형, 정방형 또는 사방형 구조(R.M.Barrer, B.M.Munday, J.Chem.Soc.A 1971, 2909-14)로 서로 상이하다. 상술한 문헌은 제올라이트 P-1 및 P-2의 제조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따르면, 제올라이트 P-3은 매우 드물며, 따라서 거의 실제적인 중요성은 없다. 제올라이트 P-1의 구조는 상술한 제올라이트 구조로부터 알려진 지스먼다이트 구조에 상응한다. 보다 최근의 문헌(EP-A-384 070호)은 P형의 등방형(제올라이트 B 또는 PC) 및 정방형(제올라이트 P1) 제올라이트간의 차이를 두고 있다. 또한, Si:Al의 비가 1.07:1 미만을 갖는 P 형의 보다 새로운 제올라이트를 언급하고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최대 알루미늄 P"에 대한 MAP 또는 MA-P라고 명명된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올라이트 P는 다른 제올라이트의 미량을 함유할 수 있다. 매우 순수한 제올라이트 P는 WO-A-94/26662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수용성 무기 또는 무기 분산액의 존재에서 침전 및 결정화되고 물에 불용성인 나트륨 알루모실리케이트의 미세 미립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미립자는 침전 또는 결정화 전 또는 중간에 임의의 방식으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나트륨 제올라이트 A, 나트륨 제올라이트 P, 나트륨 제올라이트 X 및 나트륨 제올라이트 Y가 특히 바람직하다.
히드로탈사이트 및 제올라이트는 천연 광물 또는 합성하여 수득되는 화합물일 수도 있다.
히드로탈사이트 및/또는 제올라이트는 할로겐-함유 중합체의 100부 기준으로 예컨대 0.1 내지 50 중량부, 유리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j) 알칼리알루모카르보네이트(도오소나이트),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5]
{(M2O)m.(Al2O3)n.Zo.pH2O}
상기 식에서,
M은 H, Li, Na, K, Mg1/2, Ca1/2, Sr1/2 또는 Zn1/2이고; Z는 CO2, SO2, (Cl2O7)1/2, B4O6, S2O2(티오술페이트) 또는 C2O2(옥살레이트)이며; M이 Mg1/2 또는 Ca1/2이면, m은 1 내지 2의 수이고, 또 다른 모든 경우에서는 1 내지 3이고; o는 2 내지 4의 수이며; 또 p는 0 내지 30의 수이다.
사용될 수 있는 화학식 (5)의 알루모 염 화합물은 천연 광물 또는 합성 제조된 화합물일 수 있다. 금속은 각각에 대해 부분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상술한 알루모 염 화합물은 결정, 부분 결정 또는 무정형이며 또는 건성 겔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알루모 염 화합물은 보다 희박한 결정 개질물로 수득될 수도 있다. EP 394670호는 상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천연 알루모 염 화합물의 전형적인 예로는 이디그라이트, 투니사이트, 알루모히드로칼사이트, p-알루모히드로칼사이트, 스트론티오드레세라이트 및 히드로스트론티오드레세라이트가 있다. 알루모 염 화합물의 다른 예는 칼륨알루모카르보네이트 {(K2O).(Al2O3).(CO2)2.2H2O}, 나트륨 알루모티오술페이트 {(Na2O).(Al2O3).(S2O2)2.2H2O}, 칼륨 알루모술피트 {(K2O).(Al2O3).(SO2)2.2H2O}, 칼슘 알루모옥살레이트 {(CaO).(Al2O3).(C2O2)2.5H2O}, 마그네슘알루모테트라보레이트{(MgO).(Al2O3).)(B4O6)2.5H2O}{([Mg0.2Na0.6]2O).(Al2O3).(CO2)2.4.1H2O}, {([Mg0.2Na0.6]2O).(Al2O3).(CO2)2.4.3H2O} 및 {([Mg0.3Na0.4]2O).(Al2O3).(CO2)2.2.4.9H2O}이다.
양이온 교환에 의해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알루모 염 화합물로부터 또는 조합 침전에 의해 혼합된 알루모 염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예컨대 US 5 055 284호 참조).
바람직한 알루모 염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인데, 이때, M은 Na 또는 K이고; Z는 CO2, SO2 또는 (Cl2O7)1/2이며; m은 1 내지 3이고; n은 1 내지 4이며; o는 2 내지 4이고, 또 p는 0 내지 20이다. Z는 CO2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M2O.AlO3.(CO2)2.pH2O, (M2O)2.(Al2O3)2.(CO2)2.pH2O,
M2O.(AlO3)2.(CO2)2.pH2O,
상기 식에서 M은 Na, K, Mg1/2, Ca1/2, Sr1/2 또는 Zn1/2와 같은 금속이고, 또 p는 0 내지 12의 수이다.
나트륨 알루모디히드록시카르보네이트(DASC) 및 동형 칼륨 화합물(DAPC)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오소나이트 대신에, 벤토나이트, 마가다이트, 헤어마이트 등과 같은 양이온 교환 특성을 갖는 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오소나이트는 할로겐-함유 중합체 100부 기준으로, 예컨대 0.01 내지 50 중량부, 유리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잇다.
k) 산화 방지제
적합한 산화 방지제는 다음과 같다:
1. 알킬화 모노페놀, 예컨대 2,6-디-삼차-부틸-4-메틸페놀, 2-삼차-부틸-4,6-디메틸페놀, 2,6-디-삼차-부틸-4-에틸페놀, 2,6-디-삼차-부틸-4-n-부틸페놀, 2,6-디-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삼차-부틸-4-메톡시메틸페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스-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컨대 2,4-디옥틸티오메틸-6-삼차-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컨대 2,6-디-삼차-부틸-4-메톡시페놀, 2,5-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아디페이트.
4. 토코페롤, 예컨대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비타민E)
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컨대 2,2'-티오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이차-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6. 알킬리덴비스페놀, 예컨대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삼차-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삼차-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메르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삼차-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메르캅토부탄, 1,1,5,5-테트라-(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컨대 3,5,3',5'-테트라-삼차-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메르캅토아세테이트.
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컨대 디옥타데실 2,2-비스(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메르캅토에틸-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컨대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0. 트리아진 화합물, 예컨대 2,4-비스(옥틸메르캅토)-6-(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메르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메르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 벤질포스포네이트, 예컨대 디메틸-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포스포네이트,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의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2. 아실아미노페놀, 예컨대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3.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4.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5.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6.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의 에스테르.
17.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컨대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민,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l) UV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이들의 전형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1.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컨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이차-부틸-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의 혼합물,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3'-삼차-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생성물; R이 3'-삼차-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인 [R-CH2CH2-COO(CH2)3]-.
2. 2-히드록시벤조페논, 예컨대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3. 치환 및 비치환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4-삼차-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삼차-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레조르시놀, 2,4-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4.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5. 니켈 화합물, 예컨대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 예컨대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이 있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 포스폰산 모노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 예컨대 2-히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가 있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 피라졸의 니켈 착물.
6. 옥사미드, 예컨대 4,4'-디옥틸옥시옥사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삼차-부톡사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삼차-부톡사닐리드, 2-에톡시-2'-에틸옥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미드, 2-에톡시-5-삼차-부틸-2'-에톡시아닐리드 및 이들과 2-에톡시-2'-에틸-5,4'-디-삼차-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및 o- 및 p-메톡시-이치환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치환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7.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예컨대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톡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8. 입체 장애 아민, 일반적으로 알킬, 또는 하나 이상의 2,2,6,6-테트라메틸- 또는 1,2,2,6,6-펜타메틸피페리디닐기, 또는/및 YTN 기를 함유하는 일련의 폴리알킬피페리딘의 화합물이다. 상기 식에서, A 및 Y는 서로 독자적으로 다른 C1-C8알킬, C3-C8알켄일, C5-C8시클로알킬 또는 C7-C9페닐알킬 또는 함께 중간에 O, NH 또는 CH3-N을 포함하는 C2-C5알킬렌이다. 입체 장애 아민은, 예컨대 N,N'-디아세틸-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에틸렌디아민;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옥사미드;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프탈산 디아미드;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벤젠-1,3-디카르복시산 디아미드;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디핀산 디아미드; N,N'-디아세틸-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프로필렌-1,3-디아민; N,N'-디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실렌-1,6-디아민; N,N'-디아세틸-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실렌-1,6-디아민; 아디프산-비스[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 에스테르; 폴리(4'-삼차옥틸아미노-2',6'-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1,6-디아미노[1,3,5]트리아진); 폴리(4'-모르폴리노-2',6'-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1,6-디아미노-[1,3,5]트리아진); 폴리(4'-시클로헥실아미노-2'-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1,6-디아미노-[1,3,5]-트리아진); 폴리(4'-피페리디닐-2',6'-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N,N',N",N'"-테트라키스(2',4'-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1,3,5-트리아지닐)-1",2"-비스[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트리스[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 N,N'-비스[2'-디-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아디프산 디아미드; 트리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1,3,5]트리아진; 트리스[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1,3,5]트리아진; 2'-[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4',6'-디아미노-[1,3,5]트리아진; 2',4'-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 폴리(N,N',N",N"'-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세틸헥사메틸렌디아미노헥사메틸렌디아민)이다.
신규 조성물에서 UV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산화 방지제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범위내이다.
m) 가소제
예컨대 하기 군의 유기 가소제가 적합하다.
A) 프탈레이트:
이들 가소제의 전형적인 예는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헥실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n-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트리데실 프탈레이트, 디시클로헥실 프탈레이트, 디-메틸시클로헥실 프탈레이트, 디메틸 글리콜 프탈레이트, 디부틸 글리콜 프탈레이트, 벤질부틸 프탈레이트 및 디페틸 프탈레이트 뿐만 아니라, 예컨대 주로 선형 알코올의 C7-9- 및 C9-11 알킬프탈레이트, C6-10-n-알킬프탈레이트 및 C8-10-n-알킬프탈레이트와 같은 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다. 이들 중에서,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헥실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n-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트리데실 프탈레이트 및 벤질부틸 프탈레이트 뿐만 아니라 상술한 알킬 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한데, 이들의 표준 약칭인 DOP(디옥틸 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DINP(디오소노닐 프탈레이트), DIDP(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로 공지되기도 한다.
B)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특히 아디프산, 아젤라산 및 세바스산의 에스테르.
이들 가소제의 전형적인 예는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이소옥틸아디페이트(혼합물),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혼합물), 디-이소데실 아디페이트(혼합물), 벤질 부틸 아디페이트, 벤질 옥틸 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 아젤레이트, 디-2-에틸헥실 세바케이트 및 디-이소데실 세바케이트(혼합물)이다. 디-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및 디-이소옥틸 아디페이트가 바람직하다.
C) 트리멜리테이트
예컨대 트리-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이소데실트리멜리테이트(혼합물), 트리-이소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이소옥틸트리멜리테이트(혼합물) 뿐만 아니라 트리-C6-8알킬 트리멜리테이트, 트리-C6-10알킬 트리멜리테이트, 트리-C7-9알킬 트리멜리테이트 및 트리-C9-11알킬 트리멜리테이트이다. 최종 언급된 트리멜리테이트는 트리멜리트산과 상응하는 알칸올 혼합물의 에스테르화에 의해 수득된다. 사용된 표준 약칭은 TOTM(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트리-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 TIDTM(트리이소데실 트리멜리테이트) 및 TITDTM(트리이소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이다.
D) 에폭시드 가소제
이들은 주로 에폭시화 콩 오일과 같은 에폭시화 불포화 지방산이다.
E) 중합체 가소제
폴리에스테르 가소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가장 통상적인 개시 물질은: 디카르복시산, 예컨대 아디프산, 프탈산, 아젤라산 및 세바스산; 디올, 예컨대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이다.
F) 인산 에스테르
이들 인산 에스테르의 전형적인 예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트리-2-에틸부틸 포스페이트, 트리-2-에틸헥실 포스페이트, 트리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및 트리크실레닐 포스페이트이다. 트리-2-에틸헥실 포스페이트 및 상품명 RReofos 50 및 95(예 FMC)가 바람직하다.
G) 염소화 탄화수소(파라핀)
H) 탄화수소
I) 모노에스테르, 예컨대 부틸 올레에이트, 페녹시에틸 올레에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올레에이트 및 알킬 술폰네이트.
J) 글리콜 에스테르, 예컨대 디글리콜 벤조에이트.
상술한 정의 및 성분 A) 내지 J)의 가소제 예는 하기의 참조 문헌에서 찾아 볼 수 있다:
"Taschenbuch der Kunststoffadditive", R. Gacheter and H. Muller, Carl Hanser Verlag, 1989, chapter 5 S 341-442.
"PVC Technology", W.V.Titow, 4th Ed., Elsevier Publishers, 1984, chapter 6, 147-180쪽.
상이한 가소제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소제는 PVC 100부 기준으로, 예컨대 5 내지 120 중량부, 유리하게는 10 내지 10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n) 적합한 윤활제는 예컨대:
예컨대 EP-A-225261호에 기재된 몬탄 왁스, 지방산 에스테르, PE 왁스, 아미드 왁스, 클로로파라핀, 글리세롤 에스테르, 고형분 또는 액체 파라핀 왁스 또는 알칼리 토금속 비누, 또는 실리콘을 기재로 하는 윤활제이다. 사용될 수 있는 윤활제는 "Taschenbuch der Kunststoffadditive", R. Gachter and H. Muller, Carl Hanser Verlag, 3rd Ed. 1989, 478-488쪽에 기술되어 있다. 중합체 물질에 첨가하기 전에, 윤활제를 안정화제와 혼합시킬 수도 있다.
o) 충전제
적합한 충전제("Handbook of PVC-Formulating, E.J.Wickson,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3, 393-449쪽) 및 강화제("Taschenbuch der Kunststoffadditive", R.Gachter and H. Muller, Carl Hanser Verlag, 1989, 549-615쪽)는 예컨대: 탄산 칼슘, 백운석, 규회석, 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규산염, 유리 섬유, 활석, 카올린, 백악, 운모,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 카본 블랙 또는 흑연일 수 있다. 백악이 바람직하다.
p) 안료
적합한 물질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무기 안료의 전형적인 예는 TiO2, 카본 블랙, Fe2O3, Sb2O3, (Ti,Ba,Sb)O2, Cr2O34, 스피넬(예컨데 코발트 블루 및 코발트 그린), Cd(S,Se), 울트라마린 블루이다. 초미 분쇄된 TiO2 형태도 바람직하다. 유기 안료는, 예컨대 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페릴렌 안료, 피롤로피릴리돈 안료 및 안트라퀴논 안료이다. 보다 상세한 것은 " Handbook of PVC Formulating ", E.J. Wickson,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3, 449-474쪽에서 찾아볼 수 있다.
q) 유기 주석 화합물
특히, EP-A-57339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기 주석 화합물은, 예컨대 디부틸틴 옥사이드, 디옥틸틴 말레이네이트, 디부틸틴 말레산 세미에스테르, 비스-디부틸틴-2-에틸헥사노에이트 옥사이드 및 기타 SnO 화합물과 같은 유기 주석 산화물, 유기 주석 황화물, 유기 주석 카르복시산, 유기 주석 메르캅토카르복시산, 유기 주석 메르캅티드 및/또는 유기 주석 메르캅토카르복시산이다.
적합한 유기 주석 메르캅티드는, 예컨대 일반적 구조 RnSn(SA)4-n의 화합물인데, 식 중에서 R은 특히 메틸, 부틸, 옥틸, 라우릴 또는 카르보부톡시에틸기이고, n은 1 또는 2이며, 또 A는 예컨대 데실, 도데실 또는 카르보알콕시메틸 또는 카르보알콕시에틸 라디칼, 및 알콕시 잔기는 직쇄 또는 측쇄된 C6-C18알콕시 또는 C5-8시클로알콕시 라디칼이다. 상기 주석 화합물의 상세예는 디메틸틴 비스-카르보이소옥틸옥시메틸 메르캅티드, 디부틸틴 디라우릴 메르캅디드, 디옥틸틴 비스-카르보-2-에틸헥속시메틸 메르캅티드, 디메틸틴 비스메르캅토에틸 스테아레이트, 옥틸틴 트리스-카르보-2-에틸헥속시메틸 메르캅티드, 모노메틸틴 메르캅토에틸 올레에이트 술피드 및 비스-디메틸틴 메르캅토에틸 스테아레이트 술피드이다.
r) 유기 질소 화합물
적합한 유기 질소 화합물은, 특히 DE-A-746 081호, US-A-2 557 474호, DD-A-652호, DE-A-871 834호, EP-A-174 412호, DE-A-1 162 973호, US-A-2 367 483호, GB-A-923 319호, DE-A-862 512호, DE-A-2 524 659호, DE-A-1 544 768호, DE-A-1 134 197호, EP-A-2 756호, DE-A-3 048 659호, DE-A-3 602 367호, EP-A-48 222호, EP-A-41 479호, EP-A-65 934호, EP-A-22 087호, EP-A-465 405호 및 EP-A-390 73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컨대 우레아 및 티오우레아, 아미노벤젠 술포네이트, 아미노벤조에이트, 아미노벤즈아미드, 시안아미드, 디시안디아미드, 구아니딘, 구안아민, 멜라민, 인돌, 아미노크로토네이트, 테트라졸, 트리아졸, 치환 아미노트리아졸, m-아미노페놀, 아미노우라실, 피롤, 아미노피롤 등이다.
부가적인 성분(iii)으로서 바람직한 신규 조성물은 화학식 ZnR5R6의 아연 화합물을 포함하는데, 상기 식에서 R5 및 R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C1-C22알킬-COO, 페닐-COO, C1-C12알킬-치환된 페닐-COO, C5-C8시클로알킬-COO, OH, Cl, C1-C22알킬-O-C(O)-[CH2]P-S- 또는
Figure pat00016
또는, 함께 O, S 또는 CO3이고, 이때 R7 및 R8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또 p는 1 내지 3의 수이고; 또는/및 하나 이상의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기를 함유하는 입체 장애 아민; 또는/및 일련의 유기 주석 황화물, 유기 주석 메르캅티드 또는 유기 주석 메르캅토카르복실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정된 유기 주석 화합물; 또는/및 일련의 3-아미노크로토네이트, 2-페닐인돌, 피롤 또는 아미노우라실의 군으로부터 선정된 유기 질소 화합물이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할로겐-함유 중합체 물질, 특히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화학식 (1)의 포스파이트의 용도에 관한 것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상기 물질에 혼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할로겐-함유 중합체 물질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다른 임의의 첨가제는 공지된 방식, 예컨대 상기 화합물 및 다른 임의의 첨가제와 혼합기, 칼렌더, 반죽기, 압출기,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할로겐-함유 중합체와 혼합하는 방식으로 중합체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방법에서는 단독 또는 혼합물, 또는 소위 마스터 뱃치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신규 중합체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 예컨대 칼렌더링, 압출, 사출-성형, 신터링 또는 방사, 및 압출 발포 성형 또는 플라스티솔 방법에 의한 가공에 의해 바람직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중합체 조성물을 가공하여 발포성 물질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신규 조성물은 반경질 또는 연질 조합물, 예컨대 전선 피복, 케이블 절연체, 바닥재, 튜브 및 밀봉용 프로필에 대해 적합하다. 반경질 배합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신규 중합체 조성물은 장식 필름, 발포 물질, 농업용 플리이스, 튜브, 밀봉용 프로필, 사무용 필름, 압출 프로필 및 판, 바닥재 필름 및 패널, 코팅 물질 및 인조 피혁 뿐만 아니라 안전-패드(자동차용)에 적합하다. 경질 배합물 형태에 있어서, 신규 조성물은 중공 제품(병), 포장 필름, 발포성 필름, 과-하중 프로필(창틀), 발광벽용 프로필, 건물 프로필, 벽판, 이음쇠 및 가정용 제품(컴퓨터, 가정용 기구) 뿐만 아니라 다른 사출 성형된 제품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조성물의 플라스티솔로서의 사용 예는 인조 피혁, 코팅 물질, 바닥재, 섬유 제품 코팅, 벽지, 코일 코팅, 안전 패드 필름 및 자동차용 언더실(underseal)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시킬 중합체 조성물의 소결 도포의 예는 슬러시, 슬러시 성형 및 코일 코팅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상기한 몇몇 출원 공고에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또는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hen Chemie", Vol. XII/2, 53-62쪽 및 73-78쪽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무극성 용매 및 HCl 수용체로서 바람직하게는 삼차아민인 염기 존재하에서, 삼염화인과 화학식 HO-R-OH의 디올 및 화학식 R1OH, R2OH, R3OH 또는/및 R4OH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 혼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는, 예컨대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또는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와 같은 삼차아릴 포스파이트와 화학식 HO-R-OH의 디올 및 화학식 R1OH, R2OH, R3OH 또는/및 R4OH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 혼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특히 유리하게 수행된다. 예컨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금속 알코올레이트(예컨대 나트륨 메틸레이트)와 같은 염기인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두 방법에서, 하나 또는 다른 성분의 다소간 과량이 허용되지만, 삼염화인 또는 트리아릴 포스파이트: 디올: 알코올의 몰비는 약 2:1:4이다.
R1 및 R2 또는/ 및 R3 및 R4가 함께 알킬렌 라디칼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기위해 화학식
Figure pat00017
(Hal은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게는 염소)의 고리상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Figure pat00018
의 비치환 또는 알킬-치환된 클로로포스포리난을 화학식 HO-R-OH의 디올과 반응시키는 것도 또한 유리하다. 상기 반응에서, 할로겐화 수소 분해제로서, 예컨대 삼차아민과 같은 염기를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컨대 톨루엔, 헵탄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존재하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1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술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이용하고, 또 삼차 포스파이트, HO-R-OH 및 R1OH, R2OH, R3OH, R4OH성분의 몰비를 상응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는 종종 화학식 (1)의 포스파이트 혼합물이 생성되는데, 이는 필요에 따라서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 등과 같은 통상적인 물리적 분리 방법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혼합물을 신규 조성물에 직접 혼입할 수도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제시한 제조 실시예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신규 화합물에 관한 것인데, 여기서 R은 화학식 BR3, BR4 또는 BR6의 연결기이고, 또 일반 기호는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이들 화학식 (1)의 화합물이 R1, R2, R3 및 R4 또는 R1+R2 및 R3+R4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규 화합물에서, n은 특히 1 내지 4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며, 또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이다.
특히 중요한 화학식 (1)의 신규 화합물은 R이 화학식 BR3, BR4 또는 BR6의 연결기이고, 또 R1, R2, R3 및 R4가 함께 C2-C9알킬렌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이 2 내지 6의 수이고, R이 연결기 BR1, BR2 또는 BR5이며, 또 다른 일반 기호가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단, 화학식 (1)에 대해 상기한 성분 a) 및 b)는 적용되지 않음)와 같은 화학식 (1)의 신규 화합물이다. n이 2 내지 5의 수이고, 뿐만 아니라 R1, R2, R3 및 R4가 C8-C18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가 함께 C2-C9 알킬렌인 상술한 종류의 이들 신규 화합물이 특별히 언급되고 있다.
상술한 화학식 (1)의 신규 화합물은 산화, 열적 또는 광-유도 분해에 대한 유기 물질의 안정화에 특히 적합하다.
이들 물질의 전형적인 예는 하기에 나타난다:
1.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의 중합체(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뿐만 아니라 시클로올레핀(예컨대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의 중합체, 경우에 따라 가교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VLDPE) 및 (ULDPE).
폴리올레핀, 즉 상기에서 예를 든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상이한 방법 및 특히 하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a) 라디칼 반응(통상 고압 및 승온 상태에서).
b) 주기율표의 Ⅳb, Ⅴb, Ⅵb 또는 Ⅶ족 금속을 통상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 반응. 상기 금속은 보통 π- 또는 σ-배위 결합할 수 있는 리간드, 예컨대 산화물, 할로겐화물,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켄일 및/또는 아릴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가진다.
상기 금속 착물은 유리(free)형태 이거나 예컨대 활성 염화 마그네슘, 염화 티탄(Ⅲ), 산화 알루미늄 또는 산화 실리콘과 같은 기재(carrier)에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중합 반응 매질에 용해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중합 과정에서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활성화제, 예컨대 금속 알킬, 금속 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로겐화물, 금속 알킬 산화물 또는 금속 알킬옥산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금속은 주기율표의 Ⅰa, Ⅱa, Ⅲa족의 원소이다. 활성화제는 다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기에 의해 유리하게 개질될 수 있다. 상기 촉매 계는 보통 필립스, 표준 오일 인디아나, 지글러(-나타), TNZ(듀퐁), 메탈로센 또는 단일 자리 촉매(SSC)로 통상 명명되어 있다.
2. 1)에서 상술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예컨대 PP/HDPE, PP/LDPE) 및 상이한 형태의 폴리에틸렌(LPDE/HDPE)간의 혼합물.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 상호간 또는 기타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직쇄 저밀도 프로필렌(LLDPE) 및 이들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과 일산화탄소와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이오노머)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예컨대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과의 삼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 상호간 또는 상기 1)에서 상술한 중합체와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LLDPE/EVA, LLDPE/EAA 및 교차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및 이들과 다른 중합체(예컨대 폴리아미드)의 혼합물.
4. 수소화 개질물(예컨대 점착제 수지)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예컨대 C5-C9) 및 폴리알킬렌 및 전분의 혼합물.
5.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6.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과 디엔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와의 공중합체; 스티렌 공중합체 및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엔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합체와 같은 다른 중합체으로 이루어진 고 충격 강도의 혼합물; 및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과 같은 스티렌의 블록 공중합체.
7. 예컨대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스티렌 또는 폴리부타티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이미드,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말레산이미드;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합체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이들과 6)항에 수록한 공중합체(예컨대, 소위 ABS, MBS, ASA 또는 AES 중합체로 공지된 공중합체 혼합물)의 혼합물.
8. 예컨대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고무, 이소부티렌-이소프렌(할로부틸 고무)의 염소화 또는 브롬화 공중합체, 염소화 또는 술포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틸렌 및 염소화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동종- 및 공중합체, 특히 할로겐-함유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라이드, 뿐만 아니라, 예컨대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이들의 공중합체.
9.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내충격-개질된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α,β-불포화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10. 9)항에서 상술한 단량체 상호간 또는 다른 불포화 단량체간의 공중합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비닐 할라이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삼합체.
11.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벤조에이트 또는 폴리비닐 말레에이트,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알릴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릴 멜라민과 같은 불포화 알코올 및 아민 또는 이들의 아실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뿐만 아니라 1)항에서 상술한 올레핀과 이들의 공중합체.
12.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와 같은 고리형 에테르의 동종 중합체 및 공중합체 또는 이들과 비스글리시딜 에테르와의 공중합체.
13. 폴리아세탈, 예컨대 폴리옥시메틸렌 및 예컨대 에틸렌 옥사이드를 공단량체로 함유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에 의해 개질된 폴리아세탈.
14.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및 술피드, 및 폴리페닐렌 옥사이드와 스티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의 혼합물.
15. 한 쪽 끝에는 히드록시기를 말단기로, 다른 한 쪽에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부타디엔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전구체.
16. 디아민 및 디카르복시산 및/또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상응하는 락탐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아미드 4,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6/10, 6/9, 6/12, 4/6, 12/12,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m-크실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에서 유도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이소프탈산 또는/및 테레프탈산 및 경우에 따라 개질제로서, 예컨대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폴리-m-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와 같은 탄성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아미드; 상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또는 분지된 탄성중합체와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과의 블록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또한 EPDM 또는 ABS에 의해 개질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 가공 중에 축합된 폴리아미드("반응물 사출 성형법(RIM) 폴리아미드 계.).
17. 폴리우레아,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18.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디카르복시산 및 디올 및/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또는 상응하는 락톤 뿐만 아니라 히드록시 말단기를 갖는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블록-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MBS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19.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20.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및 폴리에테르 케톤.
21. 한쪽에는 알데히드로부터, 다른 한쪽은 페놀, 우레아 및 멜라민으로부터 유도된 가교 중합체, 예컨대 페놀/프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22. 건조 및 비건조 알키드 수지
23. 가교제로 다가 알코올 및 비닐 화합물 및 저가연성인 이들의 할로겐-함유 개질물과 함께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시산의 코폴리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24. 치환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가교성 아크릴 수지.
25.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로 가교된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
26. 지방족, 지환족, 헤테로 고리 또는 방향족 글리시딜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가교된 에폭시 수지, 예컨대 가속제와 함께 또는 가속제 없이 무수물 또는 아민 등의 통상의 경화제와 함께 가교된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의 생성물.
27. 천연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오스, 고무, 젤라틴 및 화학적으로 개질된 이들의 동족 유도체, 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또는 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테르; 뿐만 아니라 로진(rosin) 및 이들의 유도체.
28. 상술한 중합체의 혼합물(복혼합물), 예컨대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BTP/ABS, PC/ASA, PC/P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HI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HDPE, PA/PP, PA/PPO, PBT/PC/ABS 또는 PBT/PET/PC.
29. 순단량체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인 천연 및 합성 유기 물질, 예컨대 광물성 오일,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오일 및 왁스, 또는 합성 에스테르(예컨대,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인산염 또는 트리멜리테이트) 및 다양한 중량비의 광물성 오일과 합성 에스테르와의 혼합물을 기재로 한 지방 및 왁스, 예컨대 방사 조성물로 사용되는 물질, 뿐만 아니라 이들 물질의 수성 유제.
30. 천연 또는 합성 고무의 수성 유제, 예컨대 천연 라텍스 또는 카르복시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라티스.
보호할 유기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천연, 반-합성 또는 합성 중합체, 특히 합성 중합체이다. 열가소성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한데, 특별하게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PP)이다.
또, 본 발명은 또한 합성 또는 반합성 유기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상술한 화학식 (1)의 신규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상술한 중합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신규 포스파이트를 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합성 또는 반합성 유기 중합체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정화시킬 중합체의 상세한 예는 상기 목록(No. 1-28 및 30)에서 찾을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및 탄성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신규 화합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리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전형적으로는 0.05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들은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일 수 있고 중량%는 상기 화합물의 총량 기준이다.
물질로의 이러한 혼입은, 예컨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혼합 또는 투여 및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 다른 임의의 첨가제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상기 혼입은 성형 전 또는 후에, 또는 필요에 따라 후속적인 용매의 증발과 함께 용해 또는 분산된 화합물을 중합체에 투여함에 의해 실행된다. 탄성중합체는 라티스로서 안정화될 수도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 혼입의 다른 가능성은 상응하는 단량체의 중합반응 전, 중간 또는 직후, 또는 가교 전에 이들을 첨가하는데 있다.
상기 방법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그 자체, 또는 캡슐 형태(왁스, 오일 또는 중합체)로 첨가할 수 있다. 중합반응 전 또는 중간에 첨가되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중합체의 사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사슬 종결제).
화학식 (1)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예컨대 2.5 내지 25 중량%의 농도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마스터 뱃치 형태로 안정화시킬 가소성 물질에 첨가할 수도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혼입은 통상적으로 하기 방법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유제 또는 분산제로서 (예컨대 라티스 또는 유제 중합체에)
-부가적인 성분 또는 중합체 혼합물을 혼합하는 동안 건성 혼합물로서
-가공 장치(예컨대, 압출기, 밀폐 혼합기 등)에 직접 첨가에 의해
-용액 또는 용융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은 상이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필름, 섬유, 필라멘트, 성형 제품, 프로필, 또는 도료 계를 위한 결합제, 접착제 또는 퍼티와 같은 상이한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할 유기 물질은 반-합성 또는 합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합성 중합체이다.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 폴리올레핀은 특히 유리하게 보호된다. 가공 안정화제(열안정화제)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탁월한 효능은 특히 가장 중요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중합체를 가공되기 전 또는 가공하는 동안 유용하게 첨가된다.
그러나, 예컨대 광-유도 또는/및 열산화 분해와 같은 분해에 대한 다른 중합체(예컨대 탄성중합체) 또는 윤활제 또는 작동액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탄성중합체는 상기에 나타낸 유기 물질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른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윤활제, 작동액 또는 금속 가공액 및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윤활제 및 상술한 기능액의 첨가제의 첨가제로서 포스파이트의 용도, 뿐만 아니라 윤활제, 작동액 또는 금속 가공액의 성능 특성 강화를 위해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포스파이트의 첨가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합한 윤활제, 금속 가공액 및 작동액은, 예컨대 광물성 또는 합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기재로 한다. 특히, Dieter Klamann, "Shmierstoffe und verwandte Produkte", (Verlag Chemie, Weinheim, 1982), in Schewe-Kobek, "Das Schmiermittel-Taschenbuch" (Dr.Alfred Huthig-Verlag, Heidelberg, 1974) 및 "Ulmanns Enzyklopadie der technischen Chemie", vol.13, pages 85-94(Verlag Chemie, Weimheim, 1977)에 기재된 윤활제는 당업자에게는 공지되어 있다.
신규 조성물은 특히, 이들이 유기, 바람직하게는 합성 중합체를 포함한다면, 신규 화합물 이외에 다른 통상의 첨가제(예컨대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1. 산화 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컨대 2,6-디-삼차-부틸-4-메틸페놀, 2-삼차-부틸-4,6-디메틸페놀, 2,6-디-삼차-부틸-4-에틸페놀, 2,6-디-삼차-부틸-4-n-부틸페놀, 2,6-디-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삼차-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선형이나 측쇄에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스-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컨대 2,4-디옥틸티오메틸-6-삼차-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컨대 2,6-디-삼차-부틸-4-메톡시페놀, 2,5-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컨대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비타민E)
1.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컨대 2,2'-티오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이차-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1.6. 알킬리덴비스페놀, 예컨대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삼차-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삼차-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메르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삼차-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메르캅토부탄, 1,1,5,5-테트라-(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1.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컨대 3,5,3',5'-테트라-삼차-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메르캅토아세테이트.
1.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컨대 디옥타데실 2,2-비스(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메르캅토에틸-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컨대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리아진 화합물, 예컨대 2,4-비스(옥틸메르캅토)-6-(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메르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메르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포스포네이트, 예컨대 디메틸-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포스포네이트,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의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예컨대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3.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4.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아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5.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6.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의 에스테르.
1.17.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컨대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1.18.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1.19. 아민 산화방지제,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삼차-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삼차-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나노일아미노페놀, 4-도데카노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카노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삼차-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디(페닐아미노)프로판, (o-톨일)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삼차-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2. UV 흡수제와 광 안정화제
2.1.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컨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2차부틸-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또는 2-[3'-삼차-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 생성물; [R-CH2CH2-COO-CH2CH2-]2 (R은 3'-삼차-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임)
2.2. 2-히드록시벤조페논, 예컨대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4-삼차-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삼차-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컨대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과 같은 부가적인 리간드를 경우에 따라 갖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 벤질 포스폰산의 모노알킬 에스테르(예컨대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예컨대 2-히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부가적인 리간드를 경우에 따라 갖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 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 장애 아민, 예컨대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n-부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삼차-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 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티렌디아민과 4-시클로헥실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과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뿐만 아니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 생성물 (CAS Reg. No.[136504-96-6]);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 생성물.
2.7. 옥사미드, 예컨대 4,4'-디옥틸옥시옥사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삼차-부톡사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삼차-부톡사닐리드, 2-에톡시-2'-에틸옥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미드, 2-에톡시-5-삼차-부틸-2'-에톡사닐리드 및 이들과 2-에톡시-2'-에틸-5,4'-디-삼차-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및 o- 및 p-메톡시-이치환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치환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2.8.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예컨대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톡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3-(2-에틸헥실-1-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컨대 N,N'-디페닐옥사미드, N-살리실알-N'-살리실로일 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 히드라진,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 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일 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로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옥살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티오프로피온일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컨대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삼차-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삼차-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삼차-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6-플루오로-2,4,8,10-테트라-삼차-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 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에틸포스파이트.
5. 히드록시아민, 예컨대 N,N-디벤질히드록시아민, N,N-디에틸히드록시아민, N,N-디옥틸히드록시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시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시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시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시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시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시아민, 수소화 수지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시아민.
6. 니트론, 예컨대 N-벤질-알파-페닐-니트론, N-에틸-알파-메틸-니트론, N-옥틸-알파-헵틸-니트론, N-라우릴-알파-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알파-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펜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 수지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시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티오상승제, 예컨대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8. 과산화물 분해제, 예컨대 β-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또는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디부틸디티오카르밤산 아연,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9.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컨대 요오드화물 및/또는 인 화합물과 조합한 구리 염 및 이가 마그네슘 염.
10.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컨대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지방산의 알칼리금속 염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베헨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리시놀레산 나트륨, 팔미트산 칼륨, 피로카테콜산 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 아연.
11. 핵 생성제, 예를 들어 무기 물질, 예컨대 활석, 금속 옥사이드, 예컨대 이산화 티타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탄산염 또는 황산염; 유기 화합물(예컨대 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이들의 염, 예컨대 4-삼차-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 나트륨 또는 벤조산 나트륨; 중합성 화합물, 예컨대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
12. 충전제 및 강화제, 예컨대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유리 벌브(bulb),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 블랙, 흑연, 목재 분말 및 기타 천연 생성물의 분말 또는 섬유, 합성 섬유.
13. 기타 첨가제, 예컨대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유동 첨가제, 촉매, 유량-조절제, 광학 광택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및 발포제.
14. 벤조푸라논 및 인돌리논, 예컨대 US-A-4,325,863호; US-A-4,338,244호; US-A-5,175,312호; US-A-5,21,6052호; US-A-5,252,643호; DE-A-4316611호; DE-A-4316622호; DE-A-4316876호; EP-A-0589839호 또는 EP-A-0591102호에 개시된 것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삼차-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청구항 뿐만 아니라 나머지 모든 표현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부 및 중량%이다.
실시예 1:
테트라(트리데실/펜타데실)디안히드로소르비톨 디포스파이트
무수 질소로 잘 세척하고 교반기, 온도계, 증류 브릿지 및 응축기 플라스크가 구비된 반응 장치에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310.3g(1.0몰), 1,4,3,6-디안히드로소르비톨 73.1g(0.5몰), 트리데실-/펜타데실 알코올 혼합물(RACROPOL-35) 422.0g(2.0몰) 및 나트륨 메틸레이트 2.7g(0.05몰)을 장입한 후, 상기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 110℃까지 가열하고 1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80℃까지 냉각한 후, 서서히 150℃까지 온도를 올리는 동안, 방출되는 페놀의 대부분을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켰고 잔여 페놀은 오일 펌프를 이용하여 150℃ 및 약 0.1mbar에서 1시간에 걸쳐 증발시켰다.
잔류물에 여과 보조제 2.0g을 장입한 후, 여과시켰다. 담황색 액체 502.3g을 수득하였고, 구조 및 분석치는 실시예 1의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상응하는 디올 및 모노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하기표의 실시예 2-7에 나타낸 포스파이트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실시예 8:
비스네오펜틸 글리콜 디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 2.6 ]데실 포스파이트
실시예 1에 따라 준비된 반응 장치에 3(4),8(9)-디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49.08g(0.25몰) 및 트리에틸 아민 55.62g(0.55몰)을 테트라히드로푸란(THF) 250ml와 함께 장입한 후, 교반과 동시에 30분에 걸쳐 냉각하면서 THF 100ml에 있는 2-클로로-5,5-디메틸[1,3]디옥사포스포리난 84.29g(0.50몰)을 적가하였다.
온도를 35℃로 유지하였다. 60℃에서 2시간동안 혼합물을 교반하고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침전된 트리에틸 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회전 증발기상에서 증류에 의해 용매를 증발시키고, 60℃ 및 0.1mbar까지 올려 잔류물을 증류시키며, 또 여과 보조제 (셀라이트) 1g을 첨가한 후, 여과에 의해 분리시켰다. 무색 액체 98.3g을 수득하였고, 구조 및 분석치는 실시예 8의 하기 표에 주어졌다.
상응하는 디올 및 클로로포스포리난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하기 표의 실시예 9-16에 나타낸 포스파이트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실시예 1 또는 8의 과정을 반복하여, 하기 표에 나타낸 포스파이트를 수득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표 1]
Figure pat00031
실시예 44:
S-PVC(K 값 65-71) 100부, 디옥틸 프탈레이트 20부 및 바륨-2-에틸헥사노에이트, 바륨-p-삼차부틸벤조에이트, 올레산 아연 및 염기성 바륨 노닐페놀레이트를 포함하는 바륨/아연 안정화제 2부, 및 상기 표 1에 따른 신규 포스파이트(PVC 100부 기준으로 0.5부에 상응하는) 23.6%를 190℃의 혼합기 로울상에서 5분동안 소성화시키고 매우 짙은색으로 변색되기 시작할 때까지, 수득한 필름(0.3mm)을 연속 로울링 시험에서 열역학적 응력을 가하였다. 5분 간격으로, 표본에 대해 변색도를 측정(황색 지수 YI)하였다. 안정화계의 효능은 5분 및 30분에 ASTM D 1925-70에 따른 황색 지수 YI 및 종결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하기 표 참조).
연속 로울링 시험
황색 지수 YI; 열안정성(종결 시간)
Figure pat00032
YI 값이 낮을수록, 안정화제계의 황색화 및 유기 중합체 물질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였다. 실질적인 변색 개시 시간(종결 시간)은 장기간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안정화제가 보다 효과적일수록, 열 응력하에서 변색은 보다 오래 늦춰졌다.
실시예 45:
E+S-PVC 혼합물(K값 80) 100부, 디부틸 프탈레이트 및 디옥틸 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소제 혼합물 50.1부,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 3.7부, 부틸틴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안정화제(주성분: 디부틸틴 이소옥틸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1.1부 및 신규 포스파이트 1.6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플라스티솔(plastisol)로 가공한 후, 200℃에서 0.5mm 필름으로 PVC 바닥 기재상에서 겔(gell)화시키고, 상기 필름을 200℃의 전열 시험(static heat test)으로 변색에 대해 측정하였다. 상기 목적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ASTM D 1925-70에 따른 황색 지수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200℃에서 전열 시험
황색 지수 YI
Figure pat00033
실시예 46:
S-PVC(K값 68) 100부, 백악(ROMYALITE 95T) 3부, 스테아르산 칼슘 0.6부, 에폭시 수지, NaClO4·H2O(백악/칼슘 실리케이트로 구성된 기재상에 입혀진), 탄화수소 왁스 및 1,3-디메틸-6-아미노우라실로 구성된 안정화제 2.7부 및 신규 포스파이트 0.4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90℃의 혼합기 로울에서 5분동안 소성화시켰다. 수득한 0.3mm의 시험 스트립을 190℃에서 40분동안 Mathis RThermo-Takter에서 열 응력을 가하였다. ASTM D 1925-70에 따라 황색 지수 (YI)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에서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190 ℃에서 전열 시험
황색 지수 YI
Figure pat00034
실시예 47:
S-PVC(K 값 60) 100부, 가소제로서 디옥틸 프탈레이트 18부,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 2부, 신규 포스파이트 0.8부 및 스테아르산 칼슘/-아연(∼3/2) 혼합물 1.5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90℃의 혼합기 로울에서 5분동안 소성화시켰다. 수득한 0.3mill의 로울 시이트의 시험 스트립은 180℃의 Mathis RThermo-Takter에서 전열 시험을 하고, 6분후에 ASTM D 1925-70(초기 색)에 따른 황색 지수(YI)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180℃에서 전열 시험
황색 지수 YI
Figure pat00035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은 필름, 섬유, 필라멘트, 성형제품, 프로필, 결합제, 접착제 또는 퍼티와 같은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Claims (41)

  1. i) 할로겐-함유 중합체 물질, 및
    ii)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 (1)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Figure pat00036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6의 수이고,
    R은 상기 화학식의 2가 연결기이며: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m은 1 내지 5의 수이고,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자적으로 C4-C22알킬, C7-C9페닐알킬, C5-C8시클로알킬 또는 C1-C4알킬-C5-C8시클로알킬,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는 함께 C2-C9알킬렌 또는 하기 화학식의 기이고,
    Figure pat00039
    , 단
    a) R1 + R2 및 R3 + R4가 화학식
    Figure pat00040
    의 기이고, 또 R이 BR1 또는 BR2이면, 조성물은 바륨-, 아연- 및/또는 칼슘-안정화제를 함유하지 않으며, 또
    b) R1, R2, R3 및 R4가 동일하고 C12-C22알킬이며, 또 R이 BR2이면, m은 2가 아님.
  2. 제 1항에 있어서, 성분(i)가 비닐 클로라이드 동종- 또는 공중합체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n이 1 내지 4인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n이 1 내지 3인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n이 1인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가 서로 독자적으로 C6-C22알킬 또는 C7-C9페닐알킬,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가 함께 C2-C9알킬렌인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m이 1 또는 2이고, R1, R2, R3 및 R4가 서로 독자적으로 C6-C15알킬, C7-C9페닐알킬,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가 함께 C2-C9알킬렌인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 BR1, BR3 또는 BR4의 2가 연결기인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 BR1, BR2 또는 BR3의 2가 연결기인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R이 화학식 BR1의 2가 연결기인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가 서로 독자적으로 C6-C15알킬 또는 C7-C8페닐알킬인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가 동일한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R1+R2 및 R3+R4가 동일한 조성물.
  14. 제 10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가 C6-C11알킬, C7-C8페닐알킬 또는 C5-C8시클로알킬,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가 함께 C2-C9알킬렌인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가 C6-C22알킬, C7-C9페닐알킬 또는 C5-C8시클로알킬인 조성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성분(i)을 기준으로 화학식 (1)의 포스파이트를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17. 제 1항에 있어서, 성분(iii)으로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성분(iii)이 윤활제, 가소제, 안료, 점착 방지제, 개질제, 가공 보조제, 발포제, 대전방지제, 살생물제, 방무제, 착색제, 방염제, 충전제, 산화방지제, 광안정화제 및/또는 다른 가공 안정화제인 조성물.
  19. 제 17항에 있어서, 성분(iii)이 유기- 또는 무기 아연,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및 알루미늄 화합물, 입체 장애 아민, 다른 유기 아민, 유기 주석 또는/및 유기 안티몬 화합물, 폴리올, 에폭시드, 히드로탈사이트, 제올라이트, 도오소나이트, 1,3-디케톤, 3-케토카르복실레이트 또는/및 과염소산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정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첨가제인 조성물.
  20. 제 19항에 있어서, 성분(iii)이 R5 및 R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또 C1-C22알킬-COO, 페닐-COO, C1-C12알킬-치환 페닐-COO, C5-C8시클로알킬-COO, OH, Cl, C1-C22알킬-O-C(O)-[CH2]P-S- 또는
    Figure pat00041
    또는, 함께 O, S 또는 CO3이고, 또 R7 및 R8은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p는 1 내지 3의 수인 화학식 ZnR5R6의 아연 화합물인 조성물.
  21. 제 19항에 있어서, 성분(iii)이 하나 이상의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기를 함유하는 입체 장애 아민인 조성물.
  22. 제 19항에 있어서, 성분(iii)이 일련의 유기 주석 황화물, 유기 주석 메르캅티트 또는 유기 주석 메르캅토카르복실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정된 유기 주석 화합물인 조성물.
  23. 제 19항에 있어서, 성분(iii)이 3-아미노크로토네이트, 2-페닐인돌, 피롤 또는 아미노우라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정된 유기 질소 화합물인 조성물.
  24. 제 1항에 정의된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할로겐-함유 중합체 물질에 혼입시켜 할로겐-함유 중합체 물질을 안정하시키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중합체 물질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인 방법.
  26. R이 화학식 BR3, BR4 또는 BR6의 연결기이고, 또 다른 일반 기호가 제 1항에 정의된 것인 제 1항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화학식 (1)의 포스파이트.
  27. 제 26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 또는 R1+R2 및 R3+R4가 각각 동일한 포스파이트.
  28. 제 26항에 있어서, n이 1 내지 4인 포스파이트.
  29. 제 26항에 있어서, n이 1인 포스파이트.
  30. 제 26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가 C8-C18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가 함께 C2-C9알킬렌인 포스파이트.
  31. n이 2 내지 6의 수이고, R이 연결기 BR1, BR2 또는 BR5이며, 또 다른 일반 기호가 제 1항에서 정의된 것과 같고, 또 제 1항의 단서 a) 및 b)는 적용되지 않는 제 1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포스파이트.
  32. 제 31항에 있어서, n이 2 내지 5인 포스파이트.
  33. 제 31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가 C8-C18알킬이거나, 또는 R1 및 R2 및/또는 R3 및 R4가 함께 C2-C9알킬렌인 포스파이트.
  34. 합성 또는 반-합성 유기 중합체 및 제 26항 및 제 31항에서 정의된 하나 이상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35. 제 34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탄성중합체인 조성물.
  36. 윤활제, 작동액 또는 금속 가공액 및 제 1항, 제 26항 및 제 31항에 정의된 하나 이상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37. 제 34항 또는 제 36항에 있어서, 포스파이트가 중합체 또는 윤활제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38. 제 34항 또는 제 36항에 있어서, 다른 안정화제 또는/및 통상의 첨가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39. 제 38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첨가제가 산화방지제, 광안정화제 또는/및 다른 가공 안정화제인 조성물.
  40. 제 26항 및 제 31항에 정의된 하나 이상의 포스파이트를 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합성 또는 반-합성 유기 중합체의 안정화 방법.
  41. 제 1항, 제 26항 및 제 31항에 정의된 하나 이상의 포스파이트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윤활제, 작동액 또는 금속 가공액의 성능 특성을 강화하는 방법.
KR1019970048613A 1996-09-25 1997-09-25 폴리비닐클로라이드에대한안정화제로서단량체-및올리고머성비스포스파이트 KR100509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34396 1996-09-25
CH2343/96 1996-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936A KR19980024936A (ko) 1998-07-06
KR100509258B1 true KR100509258B1 (ko) 2005-12-14

Family

ID=423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613A KR100509258B1 (ko) 1996-09-25 1997-09-25 폴리비닐클로라이드에대한안정화제로서단량체-및올리고머성비스포스파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1) KR100509258B1 (ko)
BE (1) BE1012645A5 (ko)
DK (1) DK110297A (ko)
ES (1) ES2154111B1 (ko)
NL (1) NL1007102C2 (ko)
TW (1) TW402619B (ko)
ZA (1) ZA9785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4758B2 (ja) * 2012-06-22 2016-05-11 ドーヴァー ケミ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脂環式ポリホスファイトポリマー安定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36184B (de) * 1961-08-07 1967-03-09 Pure Chem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gebenenfalls verschaeumten Polyurethanen
DE1252208B (ko) * 1963-09-12
US3714116A (en) * 1970-04-08 1973-01-30 Raychem Corp Polyimide compositions
BE766399A (fr) * 1970-04-29 1971-10-28 Union Carbide Corp Polymeres ethyleniques thermostables
US3886114A (en) * 1973-08-24 1975-05-27 Vanderbilt Co R T Synergistic antioxidant combination
US4088709A (en) * 1977-07-01 1978-05-09 Eastman Kodak Company Phosphorus stabilized-polyester-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s
DD229995A1 (de) * 1984-12-13 1985-11-20 Greiz Doelau Chemie Fluessiges cadmiumfreies stabilisatorsystem fuer formmassen des polyvinylchlorids
IT1237994B (it) * 1990-01-19 1993-06-21 Composizione stabilizzante per polimeri del vinilcloruro e composizioni polimeriche contenenti la stessa
EP0635512B1 (en) * 1993-07-22 2000-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Cyclic phosphites as polymer stabiliz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07102C2 (nl) 2000-11-14
DK110297A (da) 1998-03-26
MX9707315A (es) 1998-08-30
ES2154111A1 (es) 2001-03-16
ES2154111B1 (es) 2001-10-16
KR19980024936A (ko) 1998-07-06
ZA978530B (en) 1998-03-25
BE1012645A5 (fr) 2001-02-06
NL1007102A1 (nl) 1998-03-26
TW402619B (en) 200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6170C (en) Monomeric and oligomeric bisphosphites as stabilisers for polyvinyl chloride
US8173731B2 (en) Stabilizer compositions for halogen containing polymers
EP0796888B1 (de) Stabilisatorkombination für chlorhaltige Polymere
KR19980024864A (ko) N,n-디메틸-6-아미노우라실로써 안정화된 경질 pvc
US6531533B1 (en) Stabilized halogen-containing polymers
KR100525177B1 (ko) 유기재료에대한안정화제혼합물
NO309941B1 (no) Stabilisert myk-PVC-blanding, dens fremstilling og anvendelse
JPH08333522A (ja) 充填剤および安定剤としての、キャリアに結合された光安定剤および酸化防止剤
GB2189489A (en) 1, 3, 2-oxazaphospholidine stabilizers
KR100452336B1 (ko) 2,4-디메틸-6-s-알킬페놀과입체장애페놀로구성된상승작용혼합물
KR100509258B1 (ko) 폴리비닐클로라이드에대한안정화제로서단량체-및올리고머성비스포스파이트
US5804622A (en) Monomeric N-piperidinylmelamines as stabilizers for chlorine-containing polymers
DE19713158A1 (de) Polyalkylpiperidinyloxy- oder Polyalkylpiperidinylaminogruppen enthaltende Polytriazinderivate
FR2746405A1 (fr) Combinaisons de stabilisants a base de derives de 2,2,6,6-tetramethylpiperidine et de composes organiques du zinc pour des polymeres chlores
JPH1053571A (ja) 塩素含有ポリマーのための安定剤
JPH07300544A (ja) 安定化ハロゲン含有ポリマー
MXPA97007315A (es) Bisfosfitos monomeros y oligomeros como estabilizadores del poli(cloruro de vinilo)
JPH08239393A (ja) 安定剤としてのhalsホスホルアミド
MXPA06004870A (en) Stabilizer compositions for halogen containing polymers
GB2345696A (en) Stabilizer combinations for halogen-containing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