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376B1 - 휴대용 주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주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376B1
KR101103376B1 KR1020090116376A KR20090116376A KR101103376B1 KR 101103376 B1 KR101103376 B1 KR 101103376B1 KR 1020090116376 A KR1020090116376 A KR 1020090116376A KR 20090116376 A KR20090116376 A KR 20090116376A KR 101103376 B1 KR101103376 B1 KR 101103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cen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929A (ko
Inventor
전병천
송한영
연삼모
Original Assignee
(주)넷비젼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넷비젼텔레콤 filed Critical (주)넷비젼텔레콤
Priority to KR1020090116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3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휴대용 주차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휴대용 주차 관리 시스템은 운송수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카메라에 부착되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조준장치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및 촬영된 영상 내에서 운송수단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영상 내에서 번호판의 위치를 판단하는 번호판위치판단부; 상기 판단된 위치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방향조준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방향이동명령생성부; 및 상기 영상 내에서 운송수단의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부를 포함하는 번호판인식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번호의 인식률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량, 카메라, 방향조준장치, 번호판인식장치, 주차

Description

휴대용 주차 관리 시스템{Portable park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번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아파트 및 유료 주차장 등과 같은 주차장 시설이 설비된 특정 장소에는 차량의 관리를 위한 다수의 인력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력 사용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하고자 주차장 입구와 출구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 뒤 이를 문자와 숫자로 인식하여 차량을 식별하고 해당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주차장의 경우 차량의 움직임이나 장애요소 때문에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무인 주차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에도 차량 번호 인식 실패를 대비하여 주차관리원이 배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번호의 인식률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는 차량 번호 인식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상장치, 번호판인식창치, 및 출력장치가 통합된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하는 차량의 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은 운송수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카메라에 부착되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조준장치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및 촬영된 영상 내에서 운송수단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영상 내에서 번호판의 위치를 판단하는 번호판위치판단부; 상기 판단된 위치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방향조준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방향이동명령생성부; 및 상기 영상 내에서 운송수단의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부를 포함하는 번호판인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번호판인식장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상기 촬영 방향 변경에 상응하여 확대 영상 촬영을 위한 줌인명령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번호인식부는 상기 확대 영상 내에서 운송수단의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의 구동 명령을 입력 받는 번호캡쳐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은 운송수단의 출입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은 상기 센서부가 운송수단의 출입을 감지하면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은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의 설정 및 이동수단의 번호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장치 및 상기 번호판인식장치는 데이터송수신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은 상기 운송수단의 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및 주차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장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번호인식장치는 데이터송신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부 및 데이터수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된 운송수단의 번호와 미리 저장된 운송수단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운송수단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이력정보 출 력 시 미리 저장된 상기 운송수단 관련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은 상기 운송수단의 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및 주차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로 저장하는 이력정보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은 상기 운송수단의 출차 시 상기 운송수단의 입차시간과 출차시간을 비교하여 주차요금을 계산하는 주차요금정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번호판위치판단부는 상기 영상 내에서 번호판 외곽을 나타내는 영역을 추출하여 그 가로와 세로비에 관한 데이터와 정형화된 차량 번호판의 가로와 세로비에 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운송수단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은 운송수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지시하는 레이저 포인터; 영상캡쳐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캡쳐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캡쳐부; 상기 캡쳐영상, 및 상기 운동수단의 입차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정보생성부; 상기 차량정보가 맵핑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정보생성부; 및 상기 차량정보 및 상기 바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증을 출력하는 프린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운송수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영상캡쳐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캡쳐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캡쳐부; 상기 촬영되는 영상 및 상기 캡쳐영상을 출력하는 디 스플레이부; 상기 캡쳐영상, 및 상기 운동수단의 입차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정보생성부; 상기 차량정보가 맵핑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정보생성부; 및 상기 차량정보 및 상기 바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증을 출력하는 프린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쳐영상을 분석하여 운송수단의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인식된 운송수단의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차증에 포함된 바코드정보를 판독하는 바코드리더기; 및 상기 바코드정보에 상응하는 차량정보 및 상기 운송수단의 출차시간을 비교하여 주차요금을 계산하는 주차요금정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바코드정보 판독에 상응하여 상기 바코드정보에 맵핑된 차량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 기술은 차량 번호의 인식률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상장치, 번호판인식창치, 및 출력장치가 통합된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하는 차량의 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은 촬상장치(10) 및 번호판인식장치(20)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은 센서부(40), 번호캡쳐입력부(50) 및 입력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장치(10)는 카메라(11)와 방향조준장치(12)를 포함한다. 카메라(11)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의 구동에 따라 출입(出入)하는 운송수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촬영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촬영되는 동영상의 프레임율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운송수단은 들어, 차량, 오토바이 등과 같이 운송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판을 구비한 것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운송수단은 차량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할 것이지만, 이는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방향조준장치(12)는 카메라(11)에 부착되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11)의 촬영 방향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방향이동명령생성부(22)에서 생성되어 수신된다. 여기서, 방향조준장치(12)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방향조준장치(12)와 연결된 카메라(11)의 촬영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방향조준장치(12)는 이와 연결된 카메라(11)의 촬영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장치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1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장치(10)는 주차장의 입차 위치가 복수인 경우 주차장의 입차 위치 마다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촬상장치(10)는 주차장의 입차 위치 및 출차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번호판인식장치(20)는 번호판위치판단부(21), 방향이동명령생성부(22), 및 번호인식부(23)를 포함한다. 또한, 번호판인식장치(20)는 줌인명령생성부(24), 이력정보저장부(25), 주차요금정산부(26), 및 제어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번호판위치판단부(21)는 촬영된 영상 내에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영상 내에서 번호판의 위치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고 번호판의 위치를 판단할 때 사용되는 영상인식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그 한 예로, 번호판위치판단부(21)는 영상 내에서 번호판 외곽을 나타내는 영역을 추출하여 그 가로와 세로비에 관한 데이터와 정형화된 차량 번호판의 가로와 세로비에 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다.
방향이동명령생성부(22)는 번호판의 위치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방향조준장치(1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방향이동명령생성부(22)는 다시 촬영되는 영상의 중심에 차량의 번호판이 위치하도록 카메라(11)의 촬영방향을 변경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의 하단부에 차량의 번호판이 위치하는 경우, 방향이동명령생성부(22)는 카메라(11)의 촬영방향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방향조준장치(12)로 전송한다. 이때, 이동 거리는 영상 내에서 영상의 중심점과 번호판의 중심점까지의 거리를 연산하여 결정된다.
번호인식부(23)는 영상인식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 내에서 차량 의 번호판에 표시된 번호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인식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그 일 예로, 차량번호인식 알고리즘은 차량번호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차량번호영역에 전처리 및 이치화를 하는 단계, 전처리 및 이치화를 행한 이미지에서 잡영을 제거하고 영역해석을 이용하여 번호영역과 색상영역을 추출하는 문자열(숫자열)/색상 영역화 단계, 및 상기한 문자열/색상 영역화 단계를 거친 데이터를 실제 문자/색상 인식기에 저장된 문자/색상의 특정 값과 비교하여 차량 번호의 문자/색상과 이에 따른 배열을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줌인명령생성부(24)는 방향이동명령생부(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의 중심에 차량의 번호판이 위치하도록 카메라(11)의 촬영방향이 변경된 경우 확대 영상 촬영을 위한 줌인(zoom in) 명령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카메라(11)는 줌인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줌(zoom) 렌즈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켜 확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된 영상 내에 대부분의 영역은 차량의 번호판이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번호인식부(23)는 상기한 확대 영상 내에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번호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력정보저장부(25)는 인식된 차량의 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정산된 주차요금 등의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미리 저장된 차량에 관한 데이터와 이력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력정보는 상기한 차량에 관한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력정보는 차량의 출차가 완료되어 주차요금이 정산된 경우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 저장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차요금정산부(26)는 차량의 출차 시 차량의 입차시간과 출차시간을 비교하여 주차시간을 계산하고, 이에 상응하는 주차요금을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7)는 번호판인식장치(20)의 구성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및 각종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7)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차량에 관한 데이터와 이력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력정보와 차량 데이터를 매칭시켜서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장치(30)는 차량의 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및 주차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등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번호와 미리 저장된 차량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출력장치(30)는 이력정보 출력 시 미리 저장된 차량 관련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정보의 출력명령은 제어부(27)에서 생성되어 수행될 수 있다.
센서부(40)는 차량의 출입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는 센서부가 차량의 출입을 감지하면 구동되고, 이에 따라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은 차량의 출입 시에만 동작하되 되므로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촬상장치(10)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번호캡쳐입력부(5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의 구동 명령을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번호캡쳐입력부(50)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 구동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는 카메라(11)의 구동명령을 생성하여 촬상장치(1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여기서, 번호캡쳐입력부(50)는 번호판인식장치(20)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때, 번호캡쳐입력부(50)는 버튼 형식일 수 있다. 또한, 번호캡쳐입력부(50)가 도 1과 같이 별도의 구성요소인 경우 번호캡쳐입력부(50)에서 번호판인식장치(20)로 전송되는 신호는 무선신호일 수 있다. 이때, 번호판인식장치(20)는 상기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인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60)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의 설정 및 차량의 번호를 입력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장치(6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입출 차량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장치(60)를 이용하여 차량의 번호를 입력한 경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생략될 수 있다. 입력장치(60)는 키 버튼 형식이나 터치 패드 형식일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60)는 터치 스크린 형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촬상장치(10)는 번호판인식장치(20) 기계적으로 결합된 하나의 통합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40), 번호캡쳐입력부(50), 및 입력장치(60) 역시 번호판인식장치(20) 기계적으로 결합된 하나의 통합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출력장치(30) 역시 번호판인식장치(20) 기계적으로 결합된 하나의 통합된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 번호인식장치, 및 출력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장치(10)와 번호판인식장치(20)은 상호간에 원격지에 위치하고 통신망(70) 통해 상호간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촬상장치(10)와 번호판인식장치(20)는 데이터송수신부(미도시)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통신망(70)은 유선 또는 무선망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번호인식장치(20)와 출력장치(30)는 상호간에 원격지에 위치하고 통신망(70) 통해 번호인식장치(20)에서 생성된 데이터 및 제어신호가 출력장치(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번호인식장치(20)는 데이터송신부(미도시)를 그리고 출력장치(30)는 데이터수신부(미도시) 각각 구비하고 있고, 통신망(80)은 유선 또는 무선망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획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촬상장치(10)는 입출 차량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촬상장치(10)의 영상 촬영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은 차량의 출입을 감지하는 센서부(10)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시작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촬상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번호판인식장치(20)로 전송한다.
단계 S330에서 번호판인식장치(20)는 수신된 영상 내에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영상 내에서 번호판의 위치를 판단한다. 여기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고 번호판의 위치를 판단할 때 영상인식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단계 S340에서 번호판인식장치(20)는 영상 내의 번호판의 위치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촬상장치(10)의 촬영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방향이동명령을 생성한다. 이때, 방향이동명령은 다시 촬영되는 영상의 중심에 차량의 번호판이 위치하도록 촬상장치(10)의 촬영방향을 변경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단계 S350에서 번호판인식장치(20)는 방향이동명령을 촬상장치(10)로 전송하고, 촬상장치(10)는 방향이동명령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촬영방향을 변경한다(S360). 즉, 촬상장치(10)는 카메라(11)와 방향조준장치(12)를 포함하고, 상기한 방향이동명령에 따라 카메라(11)와 부착된 방향조준장치(12)의 구동에 따라 카메라(11)의 촬영 방향이 변경된다(S360).
단계 S370에서 촬상장치(10)는 영상을 재 촬영한다. 이때, 촬영되는 영상은 확대 영상일 수 있다. 즉, 단계 S360을 통해 촬영방향이 변경되면, 촬상장치(10)는 카메라(11)의 줌인 기능을 구동시킨 후 확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단계 S380에서 촬상장치(10)는 번호판인식장치(20)로 재 촬영된 영상을 전송한다.
단계 S390에서 번호판인식장치(20)는 영상인식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 내에서 차량의 번호판에 표시된 번호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인식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번호 획득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은 촬상장치(10) 및 번호판인식장치(20)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은 영상캡쳐입력부(70), 바코드리더기(80), 디스플레이부(90) 및 프린터부(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장치(10)는 카메라(11)와 레이저포인터(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메라(11)는 진입하는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레이저포인터(13)는 카메라(11)의 촬영방향을 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를 휴대한 상태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는 레이저포인터(13)가 지시하는 방향을 보고 카메 라(11)의 촬영방향을 알 수 있다.
또한, 번호판인식장치(20)는 영상캡쳐부(41), 번호인식부(42), 차량정보생성부(43), 바코드정보생성부(44), 주차요금정산부(45), 차량정보저장부(46) 및 제어부(47)을 포함한다.
영상캡쳐입력부(70)는 사용자(예를 들어, 주차 관리인 등)로부터 영상캡쳐명령을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캡쳐입력부(70)는 주차관리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버튼 형식일 수 있다.
영상캡쳐부(41)는 사용자로부터 영상캡쳐입력부(70)를 통해 영상캡쳐명령이 입력되면 영상캡쳐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캡쳐영상은 차량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주차증이 출력될 때 캡쳐영상 자체가 주차증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캡쳐영상은 번호인식부(42)로 제공되어 차량번호 인식을 위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번호인식부(42)는 캡쳐영상 내에서 차량의 번호를 인식 또는 판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번호인식부(42)가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정보생성부(43)는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차량정보는 캡쳐영상, 인식된 차량의 번호 및 차량의 입차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생성된 차량정보는 차량정보저장부(46)에 저장될 수 있다.
바코드정보생성부(44)는 차량정보와 맵핑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출입하는 차량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차량정보 와 맵핑된 바코드 정보는 차량정보저장부(46)에 저장될 수 있다.
주차요금정산부(45)는 바코드정보에 상응하는 차량정보 및 차량의 출차시간을 비교하여 주차요금을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계산된 주차요금은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47) 번호판인식장치(20)의 구성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및 각종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47)는 바코드리더기(80)가 주차증에 포함된 바코드정보를 읽어 들인 후 바코드정보와 맵핑된 차량정보가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출력되면 상기한 바코드정보와 관련된 차량정보 및 바코드 정보를 차량정보저장부(46)에서 삭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의 데이터 저장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코드리더기(80)는 차량의 출차 시 주차증에 포함된 바코드정보를 판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증을 제시한 경우 주차 관리인은 바코드리더기(80)를 이용하여 주차증에 인쇄된 바코드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에 따라 번호판인식장치(20)는 바코드정보에 맵핑된 차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0)는 촬상장치(10)에서 촬영되는 영상 및 캡쳐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 사용자는 카메라(11)의 촬영방향이나 촬영되는 영상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캡쳐영상의 품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90)는 출차 시 바코드 정보에 맵핑된 차량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차하는 차량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프린터부(95)는 차량정보 및 바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증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차량의 입차 시 주차증에는 바코드정보 및 이에 맵핑된 차량정보가 인쇄된다. 여기서, 차량정보는 캡쳐영상, 인식된 차량의 번호 및 차량의 입차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100)은 주차된 차량에 대한 정보검색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검색조건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47)은 검색조건에 따른 차량정보를 차량정보저장부(46)에서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정보검색기능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검색조건을 선택하면, 이에 따라 주차된 차량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정보는 주차된 차량의 수, 차량의 캡쳐영상, 인식된 차량번호, 입차시간 등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 번호인식장치, 및 출력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획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10 : 촬상장치
11 : 카메라
12 : 방향조준장치
20 : 번호판인식장치
30 : 출력장치

Claims (15)

  1. 운송수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카메라에 부착되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조준장치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및
    촬영된 영상 내에서 운송수단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영상 내에서 번호판의 위치를 판단하는 번호판위치판단부; 상기 판단된 위치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방향조준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방향이동명령생성부; 및상기 영상 내에서 운송수단의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상기 촬영 방향 변경에 상응하여 확대 영상 촬영을 위한 줌인명령생성부를 포함하는 번호판인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번호인식부는 상기 확대 영상 내에서 운송수단의 번호를 인식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의 구동 명령을 입력 받는 번호캡쳐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은 운송수단의 출입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은 상기 센서부가 운송수단의 출입을 감지하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의 설정 및 이동수단의 번호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 및 상기 번호판인식장치는 데이터송수신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의 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및 주차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을 포함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번호판인식장치는 데이터송신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부 및 데이터수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운송수단의 번호와 미리 저장된 운송수단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운송수단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이력정보 출력 시 미리 저장된 상기 운송수단 관련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의 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및 주차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로 저장하는 이력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의 출차 시 상기 운송수단의 입차시간과 출차시간을 비교하여 주차요금을 계산하는 주차요금정산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12. 운송수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지시하는 레이저 포인터;
    영상캡쳐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캡쳐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캡쳐부;
    상기 캡쳐영상, 및 상기 운송수단의 입차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정보생성부;
    상기 차량정보가 맵핑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정보생성부; 및
    상기 차량정보 및 상기 바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증을 출력하는 프린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13. 운송수단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영상캡쳐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캡쳐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캡쳐부;
    상기 촬영되는 영상 및 상기 캡쳐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캡쳐영상, 및 상기 운송수단의 입차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정보생성부;
    상기 차량정보가 맵핑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정보생성부; 및
    상기 차량정보 및 상기 바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증을 출력하는 프린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영상을 분석하여 운송수단의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인식된 운송수단의 번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증에 포함된 바코드정보를 판독하는 바코드리더기; 및
    상기 바코드정보에 상응하는 차량정보 및 상기 운송수단의 출차시간을 비교하여 주차요금을 계산하는 주차요금정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바코드정보 판독에 상응하여 상기 바코드정보에 맵핑된 차량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주차관리시스템.
KR1020090116376A 2009-11-30 2009-11-30 휴대용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103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376A KR101103376B1 (ko) 2009-11-30 2009-11-30 휴대용 주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376A KR101103376B1 (ko) 2009-11-30 2009-11-30 휴대용 주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929A KR20110059929A (ko) 2011-06-08
KR101103376B1 true KR101103376B1 (ko) 2012-01-06

Family

ID=4439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376A KR101103376B1 (ko) 2009-11-30 2009-11-30 휴대용 주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3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951A (ko) * 2003-08-28 2003-09-29 김관영 핸디터미널을 이용한 원격 관리 시스템
JP2005301377A (ja) 2004-04-07 2005-10-27 Nec Corp 車両照会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車両照会方法
KR20080092240A (ko) * 2007-04-10 2008-10-15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951A (ko) * 2003-08-28 2003-09-29 김관영 핸디터미널을 이용한 원격 관리 시스템
JP2005301377A (ja) 2004-04-07 2005-10-27 Nec Corp 車両照会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車両照会方法
KR20080092240A (ko) * 2007-04-10 2008-10-15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929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725B1 (ko)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93307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KR102223572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070109712A (ko) 차량 번호 인식을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198172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0970278B1 (ko) 주차위치 안내 및 방범기능을 갖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044606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위치 확인시스템
JP4618062B2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CN114694385B (zh) 停车管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5991886B2 (ja) 駐車場システム
KR101108202B1 (ko)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JP532418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103376B1 (ko) 휴대용 주차 관리 시스템
KR20090035798A (ko) 차량 번호판의 영상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320599A (ja) 駐車場案内システム
KR20040071479A (ko) 차량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KR200409649Y1 (ko) 주차된 차량의 위치 검색 시스템
JP2000172993A (ja) 駐車場の車両管理設備
KR101970210B1 (ko)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5613299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171909B1 (ko) 주차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435518Y1 (ko) 차량 번호 인식을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JPH09282590A (ja) 自動車ナンバ自動読取装置
JP4456397B2 (ja) 車両識別のための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US202202928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authent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