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210B1 -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210B1
KR101970210B1 KR1020190009107A KR20190009107A KR101970210B1 KR 101970210 B1 KR101970210 B1 KR 101970210B1 KR 1020190009107 A KR1020190009107 A KR 1020190009107A KR 20190009107 A KR20190009107 A KR 20190009107A KR 101970210 B1 KR101970210 B1 KR 101970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car
recognized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민
유주영
Original Assignee
(주)청명씨앤아이
문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명씨앤아이, 문현민 filed Critical (주)청명씨앤아이
Priority to KR1020190009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 G06K9/3258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은, 입차량을 복수번 촬영하여 각 촬영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차번을 인식한 복수개의 차번정보를 입차정보로서 등록하여 입차된 차량들에 대한 입차DB를 갱신하는 단계; 출차량이 인식되면, 출차량을 복수번 촬영한 각 촬영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차번을 인식한 복수개의 차번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 동일한 차번정보가 등록된 입차량에 대한 입차정보를 입차DB에서 탐색하는 단계; 및 출차량에 대응되어 탐색된 입차정보에 상응하는 주차이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ntrance or exit of vehicle based on recognizing car number}
본 발명은 입출차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대형오피스건물, 대형 쇼핑몰 등 다수의 차량이 출입하는 건물, 지역 등에는 차량의 주차를 위한 주차장이 있으며, 주차장을 출입하는 차량은 소수의 관리자에 의해 차량번호 등을 이용한 출입관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소수의 관리자가 출입하는 차량을 모두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최근에는 임의의 지역에 출입하는 차량을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주차관리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자동화된 주차관리시스템은 출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해당 차량에 따른 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한다.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RF(Radio Frequency)태그를 이용하는 방식, 하이패스(High Pass)에 의한 방식, 루프 센서에 의한 방식 및 카메라를 이용한 이미지 분석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RF태그를 이용하는 방식은 운전자가 RF판독기에 카드를 접근시켜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입출차가 불가능함은 물론, RF 파손, 분실 및 사고로 인한 대차시, 이용자에게 이용상의 불편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이패스에 의한 방식은 차량에 하이패스 장비를 장착해야 하므로, 이용자의 차량에 대한 추가적인 설치비용이 발생됨은 물론, 사용자에게 하이패스 장착을 강제 할 수 없으며, 하이패스가 장착되지 않은 채 운행되는 차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관리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루프센서에 의한 방식은 루프센서를 땅에 매설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축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며,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되어 수리를 해야 할 경우, 주차장의 진입로 또는 진출로를 상당시간 통제해야 하기 때문에 주차를 위한 차량의 출입이 불가능하게 되며, 차고 또는 차폭이 높은 차량(덤프트럭등)의 경우 검지율이 현저히 낮고 이로 인한 사고 발생률이 높다. 따라서 최근에는 설치, 관리 및 이용이 용이한 카메라 인식 방식을 주로 이용하는데, 카메라 인식 방식은 차량의 번호판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문자 인식 기술 등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카메라에 의한 촬영영상이 빛 반사에 의해 흐릿하거나, 촬영된 각도가 나쁘거나 너무 빨리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번호판을 제대로 촬영하지 못하는 등 갖가지 경우에 차량번호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차량번호 일부를 잘못 인식하는 오인식등의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카메라 성능이 좋아져 인식률이 굉장히 높아졌지만, 아직 100%의 인식률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100%의 인식률이 되지 않는다면, 한번의 인식실패만으로도 많은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이 실패된 차량은 뒤로 후진했다가 다시 진입해야 하거나, 만일 뒤에 차가 밀려있다면 난감한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9685 (공개일자 2016년06월17일)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 인식 실패로 인한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출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입차량을 복수번 촬영하여 각 촬영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차번을 인식한 복수개의 차번정보를 입차정보로서 등록하여 입차된 차량들에 대한 입차DB를 갱신하는 단계;
출차량이 인식되면, 상기 출차량을 복수번 촬영한 각 촬영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차번을 인식한 복수개의 차번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 동일한 차번정보가 등록된 입차량에 대한 입차정보를 상기 입차DB에서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출차량에 대응되어 탐색된 입차정보에 상응하는 주차이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인식된 모든 차번정보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미인식입차량에 대해, 촬영영상의 분석에 의해 차량 형상, 차량 색상, 번호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차량형상정보를 인식된 차번정보와 함께 상기 미인식입차량에 대한 입차정보로서 생성 및 저장하며, 상기 미인식입차량의 입차정보에 대응하는 차번정보를 인식한 출차제어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형상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동일차량인지 여부를 더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형상정보로서 구비된 음원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차량소음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차량의 차번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는, 인식된 모든 차번정보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임계값 이하인 경우,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운전자의 육성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육성을 분석하여 취득된 정보와 미리 인식된 차번정보를 이용하여 정확도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 되는 차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식된 차번 중 가장 정확도가 높은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운전자가 육성으로 차번을 말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차량 및 상기 출차량에 대해 각각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N번의 촬영영상을 생성하되, 일정기간 동안 복수개의 진입 차량에 대해 상기 시간 간격을 특정 범위 내로 변화시켜가면서 촬영영상에 대한 차번 인식 정확도가 가장 높은 시간간격을 찾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진입하는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를 제어하는 입출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입차하는 차량을 복수번 촬영한 각 촬영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차번을 인식한 복수개의 차번정보를 생성하는 입차제어장치; 출차하는 차량을 복수번 촬영한 각 촬영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차번을 인식한 복수개의 차번정보를 생성하는 출차제어장치; 및 상기 입차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각 입차량의 복수개의 차번정보를 기반으로, 출차하는 차량에 대해 상기 출차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복수개의 차번정보에 대응되어 동일한 차번이라 인식되는 입차량에 대한 입차정보를 확인하는 중앙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입출차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입차제어장치는 인식된 모든 차번정보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미인식입차량에 대해, 촬영영상의 분석에 의해 차량 형상, 차량 색상, 번호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차량형상정보를 인식된 차번정보와 함께 상기 미인식입차량에 대한 입차정보로서 생성하며, 상기 중앙관리장치는 상기 미인식입차량의 입차정보에 대응하는 차번정보를 인식한 출차제어장치에게 상기 차량형상정보와의 비교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여 비교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차제어장치는 입차하는 차량 중 인식된 모든 차번정보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운전자의 육성을 입력받고, 상기 육성을 분석하여 취득된 정보와 미리 인식된 차번정보를 이용하여 정확도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 되는 차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차제어장치는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식된 차번 중 가장 정확도가 높은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운전자가 육성으로 차번을 말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차제어장치 및 상기 출차제어장치는 각각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N번의 촬영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시간 간격을 특정 범위 내로 변화시켜가면서 촬영영상에 대한 차번 인식 정확도가 가장 높은 시간간격을 찾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차번이 정상적으로 모두 인식되지 않더라도 입차하는 차량과 출차하는 차량을 정확히 일치시킬수 있어, 인식 실패로 인한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번인식과 함께 차량 형상, 차량의 고유 주파수 또는 운전자의 육성 등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을 보다 정확히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출입구에 설치되어 입차 또는 출차를 관리하는 장치들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촬영영상을 이용한 차번 정보를 예시한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번의 촬영을 위한 시간간격 이력정보를 예시한 테이블.
도 6 및 도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량 형성 또는 운전자의 육성을 활용하는 입출차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출입구에 설치되어 입차 또는 출차를 관리하는 장치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입차제어장치(100), 출차제어장치(200) 및 중앙관리장치(300)를 포함한다.
입차제어장치(100) 및 출차제어장치(200)는 입구 또는 출구에 설치되어 입차하는 차량(이하 입차량) 또는 출차하는 차량(이하 출차량)의 차번을 인식하여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
중앙관리장치(300)는 입차량에 대한 입차정보(인식된 차번에 대한 정보, 입차시각 등)를 저장하고, 출차량의 차번을 인식한 출차제어장치(200)로 해당 출차량의 차번에 상응하는 입차정보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차량 A가 입차하면 입차제어장치(100)는 차량 A의 차번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차량영상에서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번호(차번)를 인식하는 것이며, 중앙관리장치(300)는 차량 A에 대한 차번정보, 입차시각에 대한 입차정보를 입차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 A가 출차함에 따라 출차제어장치(200)가 차량 A의 차번을 인식하여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하면, 중앙관리장치(300)는 저장된 입차정보를 기반으로 차량A의 차번에 상응하는 입차정보로서 입차시각에 대한 정보를 중앙관리장치(300)로 제공한다. 따라서, 출차제어장치(200)는 입차시각과 현재시가간의 시간차에 따른 비용을 안내하고, 정산처리되면 출차를 허용한다. 여기서, 중앙관리장치(300)는 미리 각 입차량에 대한 비용정산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앙관리장치(300)는 출차제어장치(200)로 비용정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입차제어장치(100) 및 출차제어장치(200)는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는데,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출입구에는 루프코일(10), 차번인식기(50) 및 차단기(30)가 설치된다. 루프코일(10)은 바닥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차번인식기(50)는 루프코일(10)에 의해 진입차량이 인식되면 카메라를 구동하여 차량영상을 촬영하고 해당 영상에서 문자(숫자 포함)를 인식하여 차번을 인식한다. 차단기(30)는 입차제어장치(100)(또는 출차제어장치(200))의 제어하에 차단봉(32)을 동작시켜 차량을 통과시키거나 막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구성부들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의 입차제어장치(100) 및 출차제어장치(200)는 카메라를 이용한 차번인식을 기반으로 하되, 각각 n(2이상 자연수)번 카메라를 구동하여 n개의 촬영영상을 생성하며, 각 촬영영상에서 각각 차번을 인식하여 n개의 차번정보를 생성한다.
즉, 입차제어장치(100)는 입구에 설치되어 구비된 차번인식기(50)를 제어하여 n개의 차번정보를 생성하여 중앙관리장치(300)로 입차정보로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출차제어장치(200)는 출구에 설치되어 구비된 차번인식기(50)를 제어하여 n개의 차번정보를 생성하여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면 중앙관리장치(300)는 출차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복수개의 차번 중 어느 하나 이상 동일한 차번정보를 갖는 입차정보를 탐색하고, 탐색된 입차정보에 상응하는 주차이용정보(예를 들어, 입차시각과 출차시각에 상응하는 주차 이용 시간, 주차 이용 시간에 따른 주차비용, 주차비용 정산 처리 여부 등)를 출차제어장치(200)로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은 단한번의 촬영에 의한 차번 미인식(정확히 모든 번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 의한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 정확히 차번이 인식되지 않더라도 복수개의 차번정보를 활용하여 동일한 차량의 입차와 출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복수번의 차번인식에 의한 차번정보를 이용한 처리 방식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촬영영상을 이용한 차번 정보를 예시한 테이블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번의 촬영을 위한 시간간격 이력정보를 예시한 테이블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차제어장치(100)는 입차량을 n번(이하에서는 3회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함)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각각의 차번정보를 생성한다(S310). 예를 들어, 차량의 진입을 인식하면(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루프코일(10)을 이용한 인식), 1회 촬영 및 차번 인식을 수행하고, 일정 시간(예를 들어 0.1초 후) 경과 후 재촬영 및 차번인식 수행하고, 또 일정 시간(예를 들어, 0.2초 등) 경과 후 3번째 촬영 및 차번인식을 수행한다.
일례에 따른 도 4를 참조하면, 3회의 촬영 및 차번 인식 결과로서 3개의 차번정보(400-1, 400-2, 400-3)가 생성된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입차제어장치(100)(출차제어장치(200)도 마찬가지임)는 각 차번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더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확도는 차량넘버를 구성하는 텍스트 수에 비례한 인식된 텍스트 수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는데, 실례를 들면 제1 차번정보(400-1)는 7자리 차번 중 4개의 텍스트가 인식되어 약 57%의 정확도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차번정보를 병합한 합산차번(410)을 생성할 수 있으며, 합산차번(410)의 정확도까지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 차번정보가 어느 하나 이상 서로 다른 텍스트를 인식한 경우 합산차번(410)의 정확도는 올라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높은 정확도의 차번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대부분 100% 정확도의 차번을 인식하므로, 3회의 촬영을 수행하면 최소 1회 이상은 100%의 정확도를 갖는 차번이 인식될 확률이 높다. 그러나 비나 눈이 많이 오거나 빛이 많이 비치는 경우와 같이 환경이 악조건일 경우 3회의 차번 인식 모두 정확히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번인식을 재수행할 필요가 없이도 동일 차량에 대한 입차 및 출차 시 서로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차제어장치(100)는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3회의 촬영 및 차번인식을 수행하는데, 그 촬영 시간 간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다른 일례에 따르면,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6개월에 한번 등) 일정기간(예를 들어, 3일 등) 동안 서로 다른 시간간격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일간 하루마다 서로 다른 시간간격으로 촬영을 수행하고, 각 시간간격마다의 인식 정확도를 이용하여 가장 인식 정확도가 높은 시간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3일간 서로 다른 시간간격(500-1, 500-2, 500-3)으로 n회의 촬영을 수행하고, 각각의 차번 인식 정확도를 기록한다. 그리고 가장 높은 정확도를 갖는 시간간격(500-3)을 최종설정값(510)으로 이용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입차제어장치(100)는 생성한 복수개(3개)의 차번정보를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S320). 이때 입차시각(차량진입 또는 차단기 통과한 시점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중앙관리장치(300)가 입차제어장치(100)로부터 차번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입차시각으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입차량이 RF송신기 또는 하이패스 단말 등을 이용하는 경우 입차제어장치(100)는 구비된 RF 리더기(미도시)를 통해 차량으로부터의 RF정보 및 하이패스 정보에 대한 내용 등이 입차정보로서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중앙관리장치(300)는 수신된 차번정보, 입차시각을 포함하는 입차량에 대한 정보로서 입차정보를 등록하여 입차DB를 갱신한다(S330). 즉, 중앙관리장치(300)는 현재 관리하는 주차구획으로 입차한 모든 차량에 대한 입차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새로이 입차한 입차량 또는 출차한 출차량에 대한 정보를 갱신(추가 또는 삭제)하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차후, S310에서 차번이 인식된 입차량을 포함하여 임의의 차량이 출차하고자 하여 출차제어장치(200)로 진입하게 되면, 출차제어장치(200)는 마찬가지로 복수번(예를 들어 3회) 촬영 및 차번인식을 수행한다(S340). 출차젱어장치에서 수행되는 복수번의 촬영 및 차번인식으로 인한 복수개의 차량정보의 생성은 입차제어장치(100)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출차제어장치(200)는 복수개의 차번정보를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함으로써 출차량에 대한 주차이용정보를 요청한다(S350). 중앙관리장치(300)는 출차량의 각 차번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 동일한 차번정보가 입차정보로서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탐색하고, 탐색된 입차정보에 대응된 입차량에 대한 주차이용정보를 생성하고(S360), 출차제어장치(200)로 제공한다(S370).
예를 들어, 차량A가 입차할 때 인식된 차번정보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가정하고, 출차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출차량의 차번이 도 4에 따른 3개의 차번(400-1, 400-2, 400-3) 중 어느 하나라도 동일한 것이 있다면, 출차량은 차량A가 되는 것이다.
또는 만일 완전 동일한 차번을 갖는 입차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차량번호를 이루는 7자리 문자 중 6개가 동일한 것을 찾고, 그래도 없으면 5개가 동일한 것을 탐색한다. 예를 들어, 출차량의 인식 차번 중 하나가 [가 07 12X4]인 경우, 이 차번은 도 4에 도시된 차번과 모두 상이하나, 첫번째 차번(400-1)과 5개의 텍스트가 동일하고 또한 합산차번(410)과 6개가 동일하여 서로 동일차량이라 인식될 수 있다.
출차제어장치(200)는 수신된 주차이용정보를 기반으로 출차량에 대한 정산을 처리한다(S380). 물론 정산은 별도의 정산시스템에서 처리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중앙관리장치(300)는 정산된 내역까지도 출차제어장치(200)로 제공하고, 출차제어장치(200)는 이를 확인한 이후 출차량에 대한 통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환경(날씨 등) 등이 열악하여 차번인식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에는 더욱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어, 차번과 함께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도 6 및 도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량 형성 또는 운전자의 육성을 활용하는 입출차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먼저 일례에 따른 도 6을 참조하면, 입차제어장치(100)는 각 인식된 차번의 정확도를 확인하고(S610), 각 차번의 정확도가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620). 예를 들어, 임계값은 50%일 수 있으며, 모든 인식된 차번정보의 정확도가 5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만일 임계값을 넘는 경우, 인식된 차번정보들을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한다(S630).
이와 달리 어느 하나라도 임계값 이하인 차번정보가 존재한다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형상정보를 생성하여 함께 전송한다(S640). 차량형상정보는 차량의 형상(차폭, 차높이, 차모양 등), 차량 색상, 번호판 색상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입차제어장치(100) 및 출차제어장치(200)는 외부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원입력모듈을 구비하여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엔진소리 등)을 녹음하고, 이를 차량형상정보로서 함께 이용한다. 차량소음에 따른 음원 자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그 음원 분석에 의한 특징정보(예를 들어, 소음의 크기, 소음의 음질, 엔진소리의 패턴 정보, 또는 주파수 등)를 생성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임계값 이하의 정확도를 갖는 차번들이 인식된 차량에 대해서는 미인식입차량으로서 지정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형상정보를 생성하여 인식된 차번정보와 함께 중앙관리장치(3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앙관리장치(300)는 차후 출차관리장치로 미인식입차량의 경우 차량형상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관리장치(300)는 미인식입차량의 차번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출차량에 대한 차번정보를 출차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출차량에 대해 차량형상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 이후 출차제어장치(200)로부터 출차량의 차량형상정보가 수신되면 둘을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출차량과 동일한 입차량을 보다 정확히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영상의 분석에 의한 상술한 차량형상정보를 독출하는 것은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므로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차번정보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일례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합산차번(410)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합산차번이 80%이하의 정확도를 갖는 경우 차량형상정보를 추가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을 참조하면, S710 내지 S730은 도 6의 S610 내지 S630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S730에서의 판단 결과 인식된 차번의 정확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음성입력 안내멘트를 출력한다(S740). 예를 들어, [차번이 정확히 인식되지 못하였습니다. 차창을 내리시고 삐 소리 이후 차번을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라는 안내멘트를 구비된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후, 운전자로부터의 육성을 녹음하여 STT(Speech to Text) 기술을 이용하여 텍스트 변환하여, 변환된 텍스트에서 차번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기 인식된 차번정보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인식된 합산차번이 [가 07 12XX]이고, 운전자의 육성으로 인식된 차번이 [가 0X 1234]인 경우, 차번정보는 [가 07 1234]로 갱신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갱신된 차번정보가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S760). 이때의 임계값은 S720에서와 같은 값일 수 있으며, 또는 더 높은 값일 수도 있다.
판단 결과 갱신된 차번정보의 정확도도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된 복수개의 영상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분석하여 차량형상정보를 생성하여 차번정보와 함께 이용한다(S77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번인식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더라도 운전자의 육성을 이용하여 인식된 차번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번인식을 다시 수행하기 위해 차량을 뒤로 뺐다가 다시 진입시키는 불편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루프코일
30 : 차단기
32 : 차단봉
50 : 차번인식기
100 : 입차제어장치
200 : 출차제어장치
300 : 중앙관리장치

Claims (11)

  1. 입출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입차량을 복수번 촬영하여 각 촬영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차번을 인식한 복수개의 차번정보를 입차정보로서 등록하여 입차된 차량들에 대한 입차DB를 갱신하는 단계;
    출차량이 인식되면, 상기 출차량을 복수번 촬영한 각 촬영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차번을 인식한 복수개의 차번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 동일한 차번정보가 등록된 입차량에 대한 입차정보를 상기 입차DB에서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출차량에 대응되어 탐색된 입차정보에 상응하는 주차이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입차량 및 상기 출차량에 대해 각각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N번의 촬영영상을 생성하되, 일정기간 동안 복수개의 진입 차량에 대해 상기 시간 간격을 특정 범위 내로 변화시켜가면서 촬영영상에 대한 차번 인식 정확도가 가장 높은 시간간격을 찾아 설정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식된 모든 차번정보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미인식입차량에 대해, 촬영영상의 분석에 의해 차량 형상, 차량 색상, 번호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차량형상정보를 인식된 차번정보와 함께 상기 미인식입차량에 대한 입차정보로서 생성 및 저장하며,
    상기 미인식입차량의 입차정보에 대응하는 차번정보를 인식한 출차제어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형상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동일차량인지 여부를 더 확인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형상정보로서 구비된 음원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차량소음정보가 포함되는, 입출차 관리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입차량의 차번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는,
    인식된 모든 차번정보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임계값 이하인 경우,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운전자의 육성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육성을 분석하여 취득된 정보와 미리 인식된 차번정보를 이용하여 정확도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 되는 차번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식된 차번 중 가장 정확도가 높은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운전자가 육성으로 차번을 말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멘트를 출력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
  6. 삭제
  7. 진입하는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를 제어하는 입출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입차하는 차량을 복수번 촬영한 각 촬영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차번을 인식한 복수개의 차번정보를 생성하는 입차제어장치;
    출차하는 차량을 복수번 촬영한 각 촬영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차번을 인식한 복수개의 차번정보를 생성하는 출차제어장치; 및
    상기 입차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각 입차량의 복수개의 차번정보를 기반으로, 출차하는 차량에 대해 상기 출차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복수개의 차번정보에 대응되어 동일한 차번이라 인식되는 입차량에 대한 입차정보를 확인하는 중앙관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입차제어장치 및 상기 출차제어장치는 각각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N번의 촬영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시간 간격을 특정 범위 내로 변화시켜가면서 촬영영상에 대한 차번 인식 정확도가 가장 높은 시간간격을 찾아 설정하는, 입출차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입차제어장치는 인식된 모든 차번정보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미인식입차량에 대해, 촬영영상의 분석에 의해 차량 형상, 차량 색상, 번호판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차량형상정보를 인식된 차번정보와 함께 상기 미인식입차량에 대한 입차정보로서 생성하며, 상기 중앙관리장치는 상기 미인식입차량의 입차정보에 대응하는 차번정보를 인식한 출차제어장치에게 상기 차량형상정보와의 비교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여 비교처리하는, 입출차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입차제어장치는 입차하는 차량 중 인식된 모든 차번정보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운전자의 육성을 입력받고, 상기 육성을 분석하여 취득된 정보와 미리 인식된 차번정보를 이용하여 정확도가 상기 임계값 이상이 되는 차번정보를 생성하는, 입출차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입차제어장치는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식된 차번 중 가장 정확도가 높은 것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운전자가 육성으로 차번을 말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멘트를 출력하는, 입출차 관리 시스템.
  11. 삭제
KR1020190009107A 2019-01-24 2019-01-24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970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107A KR101970210B1 (ko) 2019-01-24 2019-01-24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107A KR101970210B1 (ko) 2019-01-24 2019-01-24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210B1 true KR101970210B1 (ko) 2019-04-18

Family

ID=6628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107A KR101970210B1 (ko) 2019-01-24 2019-01-24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450A (ko) * 2021-06-10 2022-12-19 (주)파크원에이피에스 번호판 도용 차량의 차단이 가능한 차량 입출차 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5874A (ja) * 2007-02-28 2008-09-18 Yamaha Corp エンジン音認識装置およ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0964886B1 (ko) * 2009-11-10 2010-06-23 파크너(주) 차량번호 인식시스템 및 그 인식방법
KR101400765B1 (ko) * 2013-08-08 2014-05-29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음성인식 주차관리시스템
KR101493009B1 (ko) * 2014-10-17 2015-02-13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전후면 차량 번호 인식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625384B1 (ko) * 2016-02-26 2016-06-13 (주)토마토전자 차량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9685A (ko) 2014-12-09 2016-06-17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5874A (ja) * 2007-02-28 2008-09-18 Yamaha Corp エンジン音認識装置およ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0964886B1 (ko) * 2009-11-10 2010-06-23 파크너(주) 차량번호 인식시스템 및 그 인식방법
KR101400765B1 (ko) * 2013-08-08 2014-05-29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음성인식 주차관리시스템
KR101493009B1 (ko) * 2014-10-17 2015-02-13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전후면 차량 번호 인식 방법과 그 시스템
KR20160069685A (ko) 2014-12-09 2016-06-17 (주)토마토전자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KR101625384B1 (ko) * 2016-02-26 2016-06-13 (주)토마토전자 차량 식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450A (ko) * 2021-06-10 2022-12-19 (주)파크원에이피에스 번호판 도용 차량의 차단이 가능한 차량 입출차 관리 시스템
KR102604069B1 (ko) 2021-06-10 2023-11-22 (주)파크원에이피에스 번호판 도용 차량의 차단이 가능한 차량 입출차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833B1 (ko) 영상처리 기반의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9451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223572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N109509365B (zh) 一种车辆信息纠错方法、系统和手持移动终端装置
KR102256802B1 (ko) 반사경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주차 불법 꼬리물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08917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주차관제시스템
KR102297169B1 (ko) 차량 번호판 및 차종 인식, rfid 센서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KR100887341B1 (ko)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00765B1 (ko) 음성인식 주차관리시스템
KR101625384B1 (ko) 차량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493009B1 (ko) 전후면 차량 번호 인식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660254B1 (ko)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KR101970210B1 (ko) 차번인식 기반의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30465B1 (ko) 차량의 부가정보를 활용한 차량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0630445B1 (ko) 주정차 차량 감시 시스템
JP532418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14048964A (ja) 駐車場システム
KR102040040B1 (ko) 스마트 건물시스템과 차량블랙박스간의 통신을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방법
US105878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2712626A (zh) 基于车牌信息的车辆验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00126743A (ko)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3715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CN211375784U (zh) Etc车道应急通行系统
KR101671904B1 (ko)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차량 찾기 시스템
JP5613299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