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341B1 -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341B1
KR100887341B1 KR1020050110609A KR20050110609A KR100887341B1 KR 100887341 B1 KR100887341 B1 KR 100887341B1 KR 1020050110609 A KR1020050110609 A KR 1020050110609A KR 20050110609 A KR20050110609 A KR 20050110609A KR 100887341 B1 KR100887341 B1 KR 10088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area
information
par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2853A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Priority to KR1020050110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34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주차공간의 주차 관리 방법은 (a) 각 주차 영역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 좌표 정보, 관할 카메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카메라를 통하여 주차 공간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주차 공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차량 유무를 인식하는 단계; (d) 상기 각 주차 영역 중 새롭게 주차된 영역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e)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를, 대응하는 주차 영역의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f) 사용자로부터 주차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주차영역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차 영역의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주차 유도 및 주차 위치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parking area}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초음파 센서 방식을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관리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카메라의 영상을 이용하여 주차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5는 제어부가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차량 위치 확인 장치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응용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차량 유무 관리, 주차 유도, 주차 위치 확인 등 전반적인 주차 공간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차 관리란 주차장 입구부터 출구까지 주차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특히, 주차 관리 중에서 주차장에서 차량이 주차하는 공간의 점유 또는 비점유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했을 때 운전자에게 주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주차 유도 방법 및 운전자에게 차량이 주차된 공간의 위치를 알려주는 주차 확인 방법과 관련이 있다.
종래에도 다양한 주차 관리 방법이 있었다.
종래에는 주차 관리원이 빈 주차 영역이 있는지 확인하고, 빈 주차 영역에 주차를 유도하는 등 차량의 출입과 출차를 일일이 관리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기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주차 공간을 관리하는 방법은 일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초음파 센서 방식을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관리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방식은 모든 주차 영역(110)에 초음파 센서(120)를 설치하여 차량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주차 영역이 100개일 경우 100개의 센서(120)를 설치해야만 하는 것이다. 즉 센서 1개가 1개의 주차 영역을 확인하여 관리하는 방법이다. 센서(120)에서 감지된 차량의 유무는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이 방식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각 주차 영역마다 센서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비용이 증가하고, 많은 장비로 인해 고장 확률이 증가하여 효율적 관리가 어려우며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주차 공간 변경에 따른 효율적 대처가 어렵다.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주차 공간에 많은 장비가 설치되어 있어, 주차 공간에 대한 불쾌감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요원 및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주차 공간의 상태를 제공하기 어렵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RFID 방식은 상술한 초음파 센서 방식과 유사하지만 주파수 대역에 따라 인식할 수 있는 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초음파 센서 방식에 비해, 하나의 RFID 리더기(220)당 최대 5개의 주차 영역을 관리할 수가 있다. RFID 리더기(220)는 차량이 주차 영역으로 진입하면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읽어,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이 방식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RFID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반드시 RFID 태그를 부착해야만 한다. RFID 태그가 부착되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는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주차 공간 점유 상태의 유무를 확인할 수 없어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방식이다. 또한 주차 공간 변경에 따른 효율적 대처가 불가능하고, 주차 요원 및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주차 공간의 상태(즉, 점유 유무)를 제공하기 어렵다.
상술한 방식들 외에도 주차 확인 장비를 통해 주차 위치를 알려주는 방식도 있다. 이 기술은 주차장 곳곳에 주차 위치를 내장한(저장하고 있는) 장비를 설치하고 운전자가 주차권 발행기에 주차권을 삽입하면 위치를 인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주차권이 없는 주차장, 주차권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 및 분실시 확인할 방법이 없으며, 차량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최대 범위는 구역 단위이며, 정확한 주차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주차 구역별로 장비 설치가 필요하여 부대 비용이 증가하며, 운전자가 직접 주차권 확인 장비를 찾고 주차권을 삽입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주차 영역의 상태를 확인하고, 빈 주차 영역으로 주차를 유도하며,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주차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운전자가 주차장에 진입했을 때 최단 시간에 빈 주차 공간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가 손쉽게 자신의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각 주차 영역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 좌표 정보, 관할 카메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카메라를 통하여 주차 공간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주차 공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차량 유무를 인식하는 단계; (d) 상기 각 주차 영역 중 새롭게 주차된 영역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e)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를 대응하는 주차 영역의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f) 사용자로부터 주차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주차영역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추차영역의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주차 공간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 공간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접속되어, 상기 주차 공간의 각 주차영역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 좌표 정보, 관할 카메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주차 공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차량 유무 및 주차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인식한 상기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차량 유무 정보 및 차량 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며, 사용자로부터 주차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공간의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제어부(310), 카메라들(320a, 320b) 및 서버(330)를 구비한다.
각 카메라(320a, 320b) 는 소정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주차 공간(350a, 350b)을 촬영하여 영상을 만든다. 각 카메라(320a, 320b)는 주차 공간 중 해당 구역(혹은 블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설치를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320a)는 제1 구역(350a)을 촬영하도록 설치되고, 제2 카메라(320b)는 제2 구역(350b)을 촬영하도록 설치된다. 각 구역(350a, 350b)은 다수의 주차 영역들(1~10, 1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차 영역(1~10, 11~20)은 차량 한 대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통상 평면에 그려진 표시선으로서 구획된다.
제어부(310)는 통신선(340)을 통하여 각 카메라(320a, 320b)와 연결된다. 물론 제어부(310)는 무선 방식으로 각 카메라(320a, 320b)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310)는 각 카메라(320a, 320b)로부터 각 카메라(320a, 320b)가 촬영한 주차공간 영상을 수신한다.
제어부(310)는 카메라(320a, 320b)가 촬영한 주차공간 영상을 분석하여, 각 주차 영역의 점유 유무(즉,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점유된 주차영역에 주차된 차량을 식별한다. 차량 식별은 주차공간 영상에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고, 차량 번호를 추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10)는 각 카메라(320a, 320b) 를 제어하는 기능, 각 카메라(320a, 320b)와 통신하는 기능 및 각 카메라(320a, 320b)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버(330)는 카메라 별로 관리하고 있는 주차 공간(주차 구역)들에 대해 비교를 하고, 모든 카메라를 통합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330)는 제어부(310)로부터 주차공간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사용하고자 하는 관리자 및 운전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주차 공간 분석 데이터는, 각 주차 영역의 차량 점유 유무 정보, 주차된 차량 정보(예컨대, 차량 번호), 차량의 입/출차 시각 등이다.
각 주차 영역의 점유 상태 및 주차된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기능은 영상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영상 분석 기능은 제어부(330) 혹은 서버(330)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 공간에는 카메라 외에 별도의 하드웨어(H/W)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4는 카메라의 영상을 이용하여 주차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주차 영역(도 3의 1~10, 11~20)에 대해 고유 번호(1~20)를 설정하고, 각 주차 영역(도 3의 1~10, 11~20)의 위치를 사용자들이 알기 쉬운 형태의 위치 정보로 설정한다. 또한 각 주차 영역에 대하여 차량의 유무를 인식하기 위해 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하여 X, Y 좌표 값을 할당한다. 즉, 각 주차 영역에 대하여 (X, Y) 좌표값이 할당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첫 번째 주차 영역(350a의 1)에 번호 1을 할당하고, 위치 정보로서 지하 1층 A구역 10번을 입력하고, (X,Y) 좌표로는 (10,20)을 입력한다. 두 번째 주차 영역(350a의 2)에는 번호 2를 할당하고 지하 1층 A구역 11번을 입력하고 (X,Y) 좌표로는 (10,30)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의 반복을 통하여 전체 주차 영역(도 3의 1~10, 11~20)에 대해, 고유번호, 그 주차 영역을 관리하는 카메라, 주차 위치 정보 및 (X, Y) 좌표를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정보들이 설정되면, 영상 분석을 통하여 차량의 유무를 판단하고 및 점유된 주차 영역의 차량을 식별한다.
도 5는 제어부가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주차 공간의 초기 상태, 즉 차량이 없는 상태를 촬영하여 초기 영상(510)을 획득하여 저장한다. 소정 시간 후에 주차 공간을 다시 촬영하여, 현재 영상(520)을 획득하여 저장한다. 이 때, 주차공간의 촬영 간격은 1분, 5분 혹은 10분 등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현재 영상(530b)과 이전 영상(503a)을 비교 분석하여(530),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차량 유무를 인식한다. 상기와 같은 영상 분석을 통하여, 5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5, 7, 8, 9번 주차 영역에 차량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관리하고자 하는 주차공간의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정보가 설정된다. 이 때, 설정되는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영역의 (X, Y) 좌표, 주차 영역에 할당된 번호, 주차 영역의 위치 정보, 주차 영역을 관할 하는 카메라 번호 등이다.
다음으로, 주차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S620), 촬영된 영상을 분석한다(S630). 주차 공간의 촬영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된 영상의 분석은 가장 최근에 촬영된 영상(현재 영상)을 이전 영상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영상 분석을 통하여 이전 영상 대비 각 주차 영역의 변경된 상태를 인식하고,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차량 유무를 인식하여 저장한다(S640). 만약 현재 영상과 이전 영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새롭게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이 있다면, 그 영역에 주차된 차량을 인식한다(S650). 즉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판독하고, 판독된 차량 번호를 해당 주차 영역의 고유 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S660).
차량 소유자가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차량 번호를 입력하는지를 체크한다(S670). 즉 차량 소유주 주차 관리 기기를 통해 차량 번호가 입력하는지를 체크하여, 차량 번호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차량번호에 해당하는 주차 영역의 고유 번호를 추출하고, 주차 영역의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차량 위치를 출력한다(S680). 이를 위하여, 서버(330)에 접속되는 별도의 차량 위치 확인 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위치 확인 장치는 요금 정산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차량 위치 확인 장치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차량 위치 확인 장치는 모니터 및/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안내 멘트(예컨대, 차량 번호를 입력하세요)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위치 확인을 원하는 차량의 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710).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키패드 혹은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번호를 입력하면, 차량 위치 확인 장치는 입력된 차량 번호를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차량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서버는 차량 위치 확인 장치의 요청에 따라, 차량 번호가 있는 주차 영역의 고유 번호를 추출하고, 그 고유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차량 위치 확인 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면, 차량 위치 확인 장치는 차량 위치 정보를 모니터 및/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720).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 및 관리자가 차량 번호의 입력만으로 별도의 수작업 없이 손쉽게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주차장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영상 분석을 통하여 획득한 각 주차 영역의 차량 점유 여부, 점유된(혹은 점유되지 않은) 주차 영역에 대한 정보, 점유된 주차 영역의 차량 번호, 차량 번호에 대응하는 주차 영역의 위치 정보 등의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응용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차량의 비어 있는 주차 영역을 주차 안내 요원이 쉽게 확인하고 차량을 유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다. 참조번호 8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PDP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전체 혹은 해당 블록의 주차 공간의 평면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각각의 주차 영역에 대해 차량의 유무를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하여 주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 의하면, 주차 안내 요원이 비어 있는 공간을 찾기 위해 주차장을 돌아다닐 필요가 없다. 차량의 유무를 나타내는 주차공간 평면도는 참조번호 85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PDA 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차량의 비어 있는 주차 영역을 운전자들이 쉽게 확인하고 주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방법이다. 참조번호 820, 830, 840a 및 84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LED 전광판 등을 이용하여 주차장 전체, 층별 혹은 구역별 주차 구역에 대해 주차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 전광판에는, 총 주차 대수, 주차가능 대수 등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차로서 주차 가능대수가 0일 때는 만차 혹은 빨간불을 표시하고, 주차가능대수가 있을 때는 주차 가능대수와 녹색불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각 주차 구역으로의 차량 진입을 금지하거나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첫 번째, 주차 공간에 대해 최소의 장비를 설치함으로써 주차 공간의 주차 환경 개선 효과가 있다. 건물에서 주차 공간이 상대적으로 투자 비용이 적게 들어 환경이 일반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주차 관리를 위해 모든 주차 공간에 초음파 센서를 설치할 경우 주차 공간이 전체적으로 협소해지므로 환경이 더욱 안 좋게 되어 주차 공간에 대한 이미지가 안 좋게 된다. 하지만 곳곳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주차 관리를 제공하는 경우 주차 공간에 대해 최소의 설비 시설로 주차 유도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주차 시간 단축으로 인한 에너지 절감 및 공 회전 매연 감소로 인해 공기 오염을 최소화하여 주차 공간에서의 환경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두 번째, 최소 장비 설치에 따른 주차 공간 설치 비용 절감 및 유지 보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모든 주차 공간에 설비를 하지 않고 카메라가 동시에 여러 개의 주차 공간을 관리함으로써 초기 투자 비용 절감 및 설치 장비가 최소화됨으로써 향후 유지 보수 등에 대한 관리 장비 항목이 줄어들게 되어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 장비 수가 줄어들게 되어 고장으로 인한 서비스 단절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세 번째, 영상을 이용해 차량을 빠르게 유도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성 제공 및 이로 인해 주차장 효율성 증가 효과가 있다. 주차장에서 빠른 시간 내에 주차를 하게 되어 주차 공간에서의 시간 낭비를 줄이게 되어 운전자들에게 편의성 제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장을 운영하는 업체 및 백화점과 같은 서비스 업체에서도 주차장에서의 개선 효과로 영업 매출에 대해 직접적인 향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주차를 빠른 시간 내에 유도할 수 주차관리요원의 고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고용으로 인한 고정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이를 운용하는 업체 및 이용하는 운전자들에게 비용을 최소화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 번째, 영상을 이용해 주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에 대해 서비스 향상 측면에서는 주차 공간의 대형화 추세로 차량 소유주가 주차 위치를 확인하지 않고 또는 잊어 버리는 경우 주차 위치를 찾는데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식을 사용하면 주위의 차량 안내 시스템 또는 주차 요원이 가지고 있는 PDA 등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만 입력하게 되면 곧 바로 위 치를 확인할 수 있어 차량을 찾는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카메라의 영상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1) 주차 공간에 대해 최소의 장비를 설치함으 로써 주차 공간의 주차 환경 개선 효과, 2) 최소 장비 설치에 따른 주차 공간 설치 비용 절감 및 유지 보수 비용 절감 효과, 3) 영상을 이용해 차량을 빠르게 유도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성 제공 및 이로 인해 주차장 효율성 증가 효과 4) 영상을 이용해 주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서비스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각 주차 영역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 좌표 정보, 관할 카메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카메라를 통하여 주차 공간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주차 공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차량 유무를 인식하는 단계;
    (d) 상기 각 주차 영역 중 새롭게 주차된 영역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e)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를, 대응하는 주차 영역의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f) 사용자로부터 주차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주차영역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차 영역의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한 주차 공간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c2) 가장 최근에 촬영된 주차 공간 영상을 상기 저장된 주차 공간 영상과 비교하여, 각 주차영역의 상태 변화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g) 상기 각 주차 영역의 차량 유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5. 주차 공간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 공간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접속되어, 상기 주차 공간의 각 주차영역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 좌표 정보, 관할 카메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주차 공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차량 유무 및 주차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인식한 상기 각 주차 영역에 대한 차량 유무 정보 및 차량 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며, 사용자로부터 주차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서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공간의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각 주차 영역의 차량 유무 정보를 바탕으로 주차 구역별 주차대수와 주차 가능 대수를 산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상기 주차구역별 주차대수와 주차 가능 대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공간의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각 주차 영역의 차량 유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공간의 관리 시스템.
KR1020050110609A 2005-11-18 2005-11-18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87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609A KR100887341B1 (ko) 2005-11-18 2005-11-18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609A KR100887341B1 (ko) 2005-11-18 2005-11-18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853A KR20070052853A (ko) 2007-05-23
KR100887341B1 true KR100887341B1 (ko) 2009-03-06

Family

ID=3827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609A KR100887341B1 (ko) 2005-11-18 2005-11-18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237B1 (ko) * 2007-06-13 2008-11-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차유도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100821286B1 (ko) * 2007-10-23 2008-04-11 김정애 주차 관리 시스템
KR100845777B1 (ko) * 2007-12-06 2008-07-1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시스템
KR101525231B1 (ko) * 2009-08-24 2015-06-11 오토링스 주식회사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KR101040268B1 (ko) * 2010-10-26 2011-06-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Cctv를 이용한 무인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60123B1 (ko) * 2011-03-10 2012-06-26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KR101236266B1 (ko) * 2011-10-31 2013-02-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차공간정보 관리시스템
KR101307234B1 (ko) * 2012-07-10 2013-09-11 (주)에스디시스템 객체인식 기반의 주차관리 시스템
KR101423493B1 (ko) * 2012-10-29 2014-07-29 에이제이렌터카 주식회사 렌탈차량 관리 시스템
KR101505459B1 (ko) * 2013-02-05 2015-03-30 장보영 차량 위치 추적을 통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KR20150061160A (ko) * 2013-11-26 2015-06-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위치 제공 로봇,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KR20160101224A (ko) 2015-02-13 2016-08-25 최제인 통합 스마트 주차 안내 시스템
KR102240638B1 (ko) * 2019-11-01 2021-04-15 주식회사 누리콘 영상내 차량 이미지 추정 경계 픽셀 데이터와 차량 모델 뷰포인트 분석을 이용한 주차 안내 방법 및 시스템
CN111341146A (zh) * 2020-02-29 2020-06-26 华南理工大学 一种用于地下停车场的基于坐标系的停车位编号方法
CN114973758B (zh) * 2022-05-20 2024-05-07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外部视觉采集及二维码标记的泊车辅助引导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438B1 (en) * 2001-12-24 2003-05-22 Zeon Systems Inc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438B1 (en) * 2001-12-24 2003-05-22 Zeon Systems Inc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853A (ko)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341B1 (ko)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67725B1 (ko)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9451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978368B1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79752B1 (ko)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0327B1 (ko)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993307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KR20070058303A (ko) 주차 관제 시스템
KR20030087731A (ko) 진출입차량 보안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KR100939048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090021859A (ko) 주차 유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2836B1 (ko)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KR10096184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위치확인 및 보안 시스템
KR20120138361A (ko) 주차관리 운영 시스템
KR102040040B1 (ko) 스마트 건물시스템과 차량블랙박스간의 통신을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12489444B (zh) 车辆通道的管理方法
JP2005215785A (ja) 駐車場管理プログラム、駐車場管理装置、及び駐車場管理方法
KR102072691B1 (ko)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KR100462362B1 (ko) 무선 주차 관제 시스템
KR200409649Y1 (ko) 주차된 차량의 위치 검색 시스템
JP2008152460A (ja) 駐車管理システム
KR101414832B1 (ko) 사전 스티커 발부 인지를 위한 주차단속 사전인지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
KR102167768B1 (ko) 주차장 환경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주차관제시스템
CN108898886B (zh) 一种停车场车位管理方法、系统和服务器
KR20010088909A (ko)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