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123B1 -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123B1
KR101160123B1 KR1020110021560A KR20110021560A KR101160123B1 KR 101160123 B1 KR101160123 B1 KR 101160123B1 KR 1020110021560 A KR1020110021560 A KR 1020110021560A KR 20110021560 A KR20110021560 A KR 20110021560A KR 101160123 B1 KR101160123 B1 KR 101160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camera
light emitting
emitting material
par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804A (ko
Inventor
유철진
변성호
Original Assignee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1002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1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으로써, 특수 주파수 대역을 갖고, 복수 개의 주차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각 주차공간 주차면에 표시되는 특수발광물질(100), 각 주차공간에 칠해진 상기 특수발광물질(100)을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200), 카메라(200)는 해당 주차공간의 전방에 위치되어, 주차공간 중 연속된 복수 개의 주차공간을 각각 촬영하되, 각 해당되는 연속된 주차공간에 도포된 모든 특수발광물질를 촬영하여 특수발광물질(100)이 촬영되지 않으면, 차량이 주차된 공간으로 인지하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해당 구역 내 주차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주차공간표시등(300), 주차장 시설 내의 주차 가용 공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블록전광판(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특수발광물질에서 나오는 특수 주파수 대역을 해당 카메라가 감지함에 따라 카메라의 감지능력이 향상되어 상기 주차공간표시등과 블록전광판을 통해 상기 주차장 시설 내의 주차 가용 공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전광판에 의해 빈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유도할 수 있어 종래 주차공간을 찾는데 소비되는 시간 및 연료 낭비를 최소화시킴은 물론, 카메라에 의해 차량 보안과 사고 등을 감시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Camera}
본 발명은 주차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항, 백화점의 쇼핑센터 또는 도심지 밀집 지역 등의 대형 주차장에서 빈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자동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 백화점의 쇼핑센터 또는 도심지 밀집 지역 등에는 대형 주차장이 설치되어 있어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대형 주차장은 주차 공간의 수가 아주 많은 관계로 자가용 운전자들이 빈 주차공간을 찾아 주차장 내를 배회하거나 기다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빈 주차공간을 찾기 위한 어려움은 주차장의 점유율이 높을수록 주차하려는 운전자들의 시간과 연료를 낭비할 뿐만 아니라, 주차장 주변지역의 공기를 오염시키며 21세기 환경문제와 에너지절약 측면에서도 역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형 주차장에는 일정 구역마다 주차관리자가 위치되어 혼잡한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주차를 유도하고 있으며, 주차관리자들은 상호간의 정보교환을 위해 무전기 등을 소지하여 상호 통신함에 따라 혼잡한 주차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대형 주차장은 그 넓이가 넓고 또한 다층으로 형성되어 각 구역에서 발생되는 주차 또는 기타사고를 주차관리자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없으며, 이를 신속하게 해소하기 위해 더 많은 주차관리자를 배치할 경우,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주차 안내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 미국 특허번호 2,644,150은 출구와 입구에 센서가 설치되고, 설치된 센서들이 들어오는 차량과 나가는 차량의 수를 세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측정된 차량의 수는 센서가 설치된 구역별 또는 층별로 입구나 출구에 빈 주차공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 미국 특허번호 5,004,997 (Shisagal 등)과 5,432,408 (jackson) 및 5,504,314 (farmont)에서 주차시스템에 관한 또 다른 노력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특허들은 빈 주차공간의 감지와 이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여러 가지 기술들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장치들은 신뢰도, 완성도 및 채산성이 부족하여 실제 적용되는 사례가 거의 없으며, 이에 따라, 주차를 용이하게 유도함은 물론, 설치 및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복수개의 주차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각 주차공간 주차면에 특수발광물질이 표시되고, 주차공간 중 복수개의 연속된 주차공간을 각각 촬영하되, 각 해당되는 연속된 주차공간에 도포된 모든 특수발광물질를 촬영하여 차량 존재 여부를 검색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되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해당 구역 내 주차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주차공간표시등 및 주차장 시설내의 주차 가용 공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블록전광판을 구비하여 주차를 용이하게 유도함은 물론, 설치비와 유지, 보수비를 종래에 비해 절감시킬 수 있고, 차량 도난 및 차량 접촉사고 등의 기타사고를 감시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특수 주파수 대역을 갖고, 복수 개의 주차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각 주차공간 주차면에 표시되는 특수발광물질(100), 상기 각 주차공간에 칠해진 상기 특수발광물질(100)을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200), 상기 카메라(200)의 위치는 차량이 상기 주차면에 주차되면, 차량에 가려져 상기 특수발광물질(100)을 촬영할 수 없지만, 상기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특수발광물질(100)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해당 주차공간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주차공간 중 연속된 복수 개의 주차공간을 각각 촬영하되, 각 해당되는 연속된 주차공간에 도포된 모든 특수발광물질를 촬영하여 상기 특수발광물질(100)이 촬영되지 않으면, 차량이 주차된 공간으로 인지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해당 구역 내 주차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주차공간표시등(300), 상기 주차장 시설 내의 주차 가용 공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블록전광판(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특수발광물질에서 나오는 특수 주파수 대역을 해당 카메라가 감지함에 따라 카메라의 감지능력이 향상되어 상기 주차공간표시등과 블록전광판을 통해 상기 주차장 시설 내의 주차 가용 공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록전광판은 광고도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주차공간표시등은, 만차표시등과 주차가능 표시등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주차공간 중 1개라도 주차가 가능하면 주차가능 표시등이 점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에 의하면, 블록전광판에 의해 빈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유도할 수 있어 종래 주차공간을 찾는데 소비되는 시간 및 연료 낭비를 최소화시킴은 물론, 카메라에 의해 차량 보안과 사고 등을 감시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의 카메라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의 카메라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은 특수발광물질(100)과 카메라(200), 주차공간표시등(300) 및 블록전광판(400)으로 구성된다.
특수발광물질(100) 복수 개의 주차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각 주차공간 주차면에 표시되는 것으로, 여기서 특수발광물질(100)이라 함은 주변과 구분되도록 특수 주파수 대역을 갖고, 자체 광을 발산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그리고 카메라(200)는 주차공간 중 복수 개의 연속된 주차공간을 각각 촬영하되, 각 해당되는 연속된 주차공간에 도포된 모든 특수발광물질(100)를 촬영하여 차량 존재 여부를 검색하게 된다.
여기서, 특수발광물질(100)과 카메라(200)를 이용한 물체 감지방법은 종래 차량을 검출하고 진행 방향을 찾고 차량의 종류를 식별하는 모든 처리 기법 중 배경처리기법에 있어서 감지 대상과 피감지 대상의 모호한 경계점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보통 카메라(20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주파수 영역에 따라 감지능력이 달라지는 것으로, 특수발광물질(100)의 특수 주파수 대역을 해당 카메라가 감지함에 따라 카메라의 감지능력이 향상됨이 당연하다.
이를 위해, 특수발광물질(100)을 이용하여 특성치를 부여할 수 있고, 배경의 학습 없이 물체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는 각 주차공간에 특수발광물질(100)을 적용하고, 이 특수발광물질(100)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200)가 구비됨에 따라, 특수발광물질(100)의 특성치에 의해 배경의 학습 없이 물체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카메라(200)를 이용한 물체의 감지 기법 중 배경의 학습과정을 최소화하며 배경 영상을 식별 정보로 활용하여 인위적으로 강화시킨 검출 패턴으로 물체를 감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각 카메라(200)가 해당 주차구역들의 각 특수발광물질(100)을 주변과 구분하여 명확히 감지할 수 있어 주차구역에 차량이 주차될 경우, 주차된 차량에 의해 해당 주차구역의 특수발광물질(100)을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차공간표시등(300)은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해당 구역 내 주차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하게 되고, 블록전광판(400)은 주차장 시설내의 주차 가용 공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특수발광물질(100)과 카메라(200)에 의해 물체 검지된 정보는 일련의 통로 컨트롤러(미 도시)에 의하여 수집되고, 이 수집된 정보는 메인 컴퓨터(미 도시)와 교신하며, 메인 컴퓨터는 해당 주차공간표시등(300)과 블록전광판(400)을 작동시키게 된다.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복수개의 주차공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해당 주차공간의 전방에 위치되어 해당되는 모든 주차공간의 주차면을 촬영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각 주차면에 표시된 특수발광물질(100)을 포함하여 주차공간을 촬영하는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는 일 실시 예로, 하나의 카메라(200)가 4개의 주차공간을 촬영하도록 설치하였다.
이렇게 촬영되는 4개의 주차공간에서 특수발광물질(100)이 검지되는 공간은 주차가 가능한 공간으로 인지되고, 특수발광물질(100)이 검지되지 않는 공간은 차량이 주차된 공간으로 인지된다.
이러한 정보를 메인 컴퓨터가 실시간 저장하여 해당 주차공간표시등(300)과 블록전광판(400)에 표시함에 따라 차량 탑승자에게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차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주차공간표시등(300)은 만차표시등과 주차가능 표시등으로 구성되며, 보통 주차가능 표시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하나의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되는 모든 주차공간에 주차가 되면, 주차가능 표시등이 커지고, 만차표시등이 켜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복수의 주차공간 중 1개라도 주차가 가능하면 주차가능 표시등이 점등된 상태로 유지되어 빈 주차공간으로 신속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전광판(400)은 주차장 시설내에 복수개 구비되는 것으로, 주차장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진행하는 길을 따라서 요충지마다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전광판(400)은 광고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은 차량의 주차를 용이하게 유도하여 주차를 신속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주차된 차량의 도난과 파손 및 주차장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 사고를 확인하여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가 있다.

Claims (3)

  1. 특수 주파수 대역을 갖고, 복수 개의 주차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각 주차공간 주차면에 표시되는 특수발광물질(100);
    상기 각 주차공간에 칠해진 상기 특수발광물질(100)을 촬영하도록 설치된 카메라(200);
    상기 카메라(200)의 위치는 차량이 상기 주차면에 주차되면, 차량에 가려져 상기 특수발광물질(100)을 촬영할 수 없지만, 상기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특수발광물질(100)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해당 주차공간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주차공간 중 연속된 복수 개의 주차공간을 각각 촬영하되, 각 해당되는 연속된 주차공간에 도포된 모든 특수발광물질를 촬영하여 상기 특수발광물질(100)이 촬영되지 않으면, 차량이 주차된 공간으로 인지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해당 구역 내 주차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주차공간표시등(300);
    상기 주차장 시설 내의 주차 가용 공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블록전광판(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특수발광물질에서 나오는 특수 주파수 대역을 해당 카메라가 감지함에 따라 카메라의 감지능력이 향상되어 상기 주차공간표시등과 블록전광판을 통해 상기 주차장 시설 내의 주차 가용 공간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전광판(400)은 광고도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표시등은,
    만차표시등과 주차가능 표시등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주차공간 중 1개라도 주차가 가능하면 주차가능 표시등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KR1020110021560A 2011-03-10 2011-03-10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KR101160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560A KR101160123B1 (ko) 2011-03-10 2011-03-10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560A KR101160123B1 (ko) 2011-03-10 2011-03-10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109A Division KR20100102842A (ko) 2009-03-12 2009-03-12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804A KR20110040804A (ko) 2011-04-20
KR101160123B1 true KR101160123B1 (ko) 2012-06-26

Family

ID=4404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560A KR101160123B1 (ko) 2011-03-10 2011-03-10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1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6756A (zh) * 2017-10-10 2018-04-06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场内停车路径智能引导方法
KR20230067776A (ko) 2021-11-09 2023-05-17 주식회사 앤다스 다방향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및 촬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83B1 (ko) * 2013-09-09 2014-08-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인식 기반의 주차장의 빈 주차면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70033971A (ko) 2015-09-17 2017-03-28 주식회사 디맨드 차량의 주차 및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05A (ko) * 1999-02-03 2000-08-05 박진우 주차 안내 및 관리 시스템
KR20070052853A (ko) * 2005-11-18 2007-05-23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05A (ko) * 1999-02-03 2000-08-05 박진우 주차 안내 및 관리 시스템
KR20070052853A (ko) * 2005-11-18 2007-05-23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6756A (zh) * 2017-10-10 2018-04-06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场内停车路径智能引导方法
KR20230067776A (ko) 2021-11-09 2023-05-17 주식회사 앤다스 다방향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및 촬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804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2487B1 (ko) 주차 안내 및 관리 시스템
US9035799B2 (en) Providing parking availability information and parking alerts
EP2038860B1 (en) Automated site security, monitoring and access control system
US201600053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stop sign
KR101154153B1 (ko) 주차 유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방법
EP2428943B1 (en)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KR101160123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CN101739809A (zh) 行人闯红灯自动报警监控系统
US201503107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vacant parking locations in a parking lot or structure
CN111223289A (zh) 共享车辆违规停放事件抓拍方法及系统、存储介质
KR20050003664A (ko)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
KR100821286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Malinovskiy et al. Model‐free video detection and tracking of pedestrians and bicyclists
US8326687B2 (en)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KR101281561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정보 확인 시스템
KR101558908B1 (ko)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100102842A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유도시스템
GB2585863A (en) Object detecting and monitoring
KR20200025384A (ko) 실시간 영상처리를 활용한 주차정보 제공장치 및 그 시스템
JPH11306484A (ja) 無人駐車場の車種別管理システム
JP4972596B2 (ja) 交通流計測装置
KR102076309B1 (ko) 이동 오토바이 인식 시스템 및 오토바이 입출 처리 방법
KR101183138B1 (ko) 레이저 센서를 사용한 주차확인장치 및 방법
TWI712997B (zh) 違規偵測方法及裝置
JP2019080163A (ja) 画像投影システム、画像投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