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908B1 -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908B1
KR101558908B1 KR1020150090547A KR20150090547A KR101558908B1 KR 101558908 B1 KR101558908 B1 KR 101558908B1 KR 1020150090547 A KR1020150090547 A KR 1020150090547A KR 20150090547 A KR20150090547 A KR 20150090547A KR 101558908 B1 KR101558908 B1 KR 101558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space
parking
driver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헌
박태순
박미란
Original Assignee
(주)리버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버앤텍 filed Critical (주)리버앤텍
Priority to KR102015009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마트나 백화점, 공원, 공항 또는 아파트 등에 마련되어 있는 주차장에서 주차관리를 하고 차량 간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 상기 진입감지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촬영카메라부; 상기 진입촬영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차량정보를 산출하는 차량번호산출부; 운전자로부터 주차공간 배정을 입력받는 입력수단;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배정하는 주차공간배정부;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주차공간이 비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주차감지센서; 및 상기 진입감지센서, 진입촬영카메라, 차량번호산출부, 입력수단, 주차공간배정부, 출력수단 및 주차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PUBLIC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마트나 백화점, 공원, 공항 또는 아파트 등에 마련되어 있는 주차장에서 주차관리를 하고 차량 간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형마트나 백화점, 공원, 공항 또는 대규모 아파트단지 등에는 고객이나 입주자의 편의를 위하여 많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이처럼 주차장이 대형화됨에 따라 주차할 공간을 찾거나 자신이 주차해 둔 차량의 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주차할 곳을 찾기 위하여 전방주시를 게을리하다 보면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즉, 대형주차장에 진입한 후에 주차할 빈자리를 찾기 위하여 돌아다녀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주차공간을 두고 서로 빨리 주차공간을 차지하기 위하여 무리하게 진입을 하다 보면 접촉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대형주차장에는 구획을 나누어 기둥이나 벽면에 구획표시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위치를 찾는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차공간의 상부에 차량을 감지하여 주차공간이 비어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기도 하다.
종래기술에 따른 주차관리시스템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9522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20384호 등이 있는데, 상기와 같은 기술은 다양한 방법으로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표시해 줌으로써 주차장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 이용자가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들은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들이 비어있는 공간을 스스로 찾아야 하며, 먼저 발견한 차량이 주차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리하게 주차를 하다 보면 접촉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처럼 공동주차장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시설물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불쾌한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파손에 대한 책임을 시설물을 관리하는 주체에서 져야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KR 10-0999522 B1 KR 10-2011-0020384 A KR 10-2013-0041519 A KR 10-090943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차장에 진입하는 시점에서 자신이 주차할 공간을 미리 정하여 진입하기 때문에 주차장 내부에서 빈공간을 찾아서 해매야 할 필요가 없으며, 자신이 주차한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간에 접촉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공동주차장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 상기 진입감지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촬영카메라부; 상기 진입촬영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차량정보를 산출하는 차량번호산출부; 운전자로부터 주차공간 배정을 입력받는 입력수단;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배정하는 주차공간배정부;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주차공간이 비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주차감지센서; 및 상기 진입감지센서, 진입촬영카메라, 차량번호산출부, 입력수단, 주차공간배정부, 출력수단 및 주차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주차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빔프로젝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주차공간에는 열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주차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통로에는 차량접근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주차공간에는 차량의 접근 여부를 알려주는 출차안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차장 관리방법은, 주차장의 입구로 차량이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주차장의 입구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산출하는 단계; 운전자로부터 주차공간배정을 요청받는 단계; 운전자의 차량에 적합한 주차공간을 배정하여 상기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배정된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출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이 출고되는 경우에 비용을 정산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주차공간을 비움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계의 이후 단계에서는 상기 주차공간의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주차공간을 배정받은 차량정보를 표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주차공간의 어느 한 부분에는 열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주차공간과 연결된 통로에는 차량접근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린 것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접근감지센서를 통하여 차량이 접근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 운전자에게 차량접근경보를 해 주는 단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차장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주차장에 진입할 때 자신이 주차할 자리가 배정되기 때문에 주차장 내부에서 빈공간을 찾아 해매면서 시간을 허비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차증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자신이 주차한 공간이 표시되기 때문에 차량을 찾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다른 차량의 접근 등을 알려주어 차량 간에 접촉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차장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차장 관리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차장 관리방법에서 차량접근감지 및 출차주의안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주차공간에 센서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차량접근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주차장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차장 관리시스템은 진입감지센서(110), 진입촬영카메라부(120), 차량번호산출부(130), 입력수단(140), 주차공간배정부(150), 출력수단(160), 주차감지센서(17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진입감지센서(110)는 공동주차장의 입구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한다. 진입감지센서(110)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등 차량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진입촬영카메라부(120) 및 차량번호산출부(130)는 주차장의 입구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산출하는 것으로 공지의 기술이다.
입력수단(140)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공간을 배정받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키보드는 물론 터치스크린 등 문자나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라면 공지의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주차공간배정부(150)는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비어있는 주차공간 중 상기 운전자에게 적합하고 가장 편리한 주차공간을 배정하는 역할을 한다. 주차공간배정부(15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주차감지센서(170) 등과 연계되어 현재 주차장에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파악하여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주차공간을 배정한다. 주차공간배정부(150)에 의하여 주차공간을 배정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출력수단(160)은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수단(160)은 프린터기가 구비되어 종이로 된 주차증 형태로 발급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휴대용단말기의 식별번호로 이미지형태의 주차증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출력수단(160)에 의하여 제공되는 주차증에는 주차공간배정부(150)에 의하여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가 표시되어 운전자가 자신이 주차할 공간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볼일을 보고 난 후에 자신의 차량을 찾는데도 도움이 되도록 한다.
주차감지센서(170)는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주차감지센서(170)는 초음파센서나 적외선센서 등과 같이 물체의 존재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주차공간의 후면이나 상부 등에 설치되어 차량이 주차공간에 진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제어부(100)는 전술하여 설명한 진입감지센서(110), 진입촬영카메라부(120), 차량번호산출부(130), 입력수단(140), 주차공간배정부(150), 출력수단(160) 및 주차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성으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받거나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100)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80), 차량접근감지센서(200) 및/또는 열감지센서(190) 등이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주차공간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부(18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80)는 LED 또는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되거나 빔프로젝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주차공간배정부(150)에 의하여 특정 주차공간이 특정 차량에 배정된 경우에 다른 사람이 임의로 주차할 수 없도록 배정을 받은 차량의 식별번호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29 라 7777"의 번호판을 가지는 차량이 주차장 입구로 들어와서 주차공간을 배정받으면(예를 들어, B2-23번 주차공간이 배정), 상기 배정된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180)에는 "29 라 7777"이라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가 빔프로젝터로 구성된 경우에는 주차공간의 바닥에 상기 차량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관리시스템은 주차공간에 열감지센서(19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주차공간과 연결되는 통로에는 차량접근감지센서(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열감지센서(190)는 주차공간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에 이를 감지한다. 열감지센서(190)는 차량의 배기구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차량의 배기구로 열기가 배출되는지를 감지한다. 열감지센서(190)는 주차공간의 바닥면 또는 후면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열감지센서(19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이 주차공간에 진입할 때 열기가 방출되는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열감지센서(190)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줄 수도 있다. 그리고 차량접근감지센서(200)는 주차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통로로 이동하는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접근감지센서(200)는 통로의 바닥 또는 상부에 복수의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등을 설치하여 차량이 지나가면서 감지되는 센서의 순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산출하거나 통로에 가로방향으로 차량이 지나가면서 가압할 수 있는 스위치형태의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차량이 통과하는 것을 시계열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던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경우에 상기 열감지센서(190)가 이를 감지한다. 온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되던 차량의 배기구에서 배기열이 감지되면 차량에 시동이 걸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처럼 정차되어 있던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출차를 하려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접근감지센서(200)를 이용하여 주변에 차량이 접근하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시동이 걸린 주차공간의 주변으로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출차안내부를 통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다른 차량의 접근사실 또는 출차 시 주의할 것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출차안내부는 전술하여 설명한 빔프로젝터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80)가 그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출차를 하려는 주차공간의 주변으로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에 빔프로젝터에서 차량의 앞유리 또는 본넷(bonnet) 상부에 차량접근사실 또는 출차 주의를 알리는 문자를 주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다른 차량의 접근이나 주의를 통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차장 관리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차장 관리방법에서 차량접근감지 및 출차주의안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주차공간에 센서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차량접근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차장 관리방법은, 주차장의 입구로 차량이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S10), 주차장의 입구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S20), 상기 촬영된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산출하는 단계(S30), 운전자로부터 주차공간배정을 요청받는 단계(S40), 운전자의 차량에 적합한 주차공간을 배정하여 상기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계(S50), 배정된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S60), 주차되어 있던 차량이 출고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S70) 및 차량이 출고되는 경우에 비용을 정산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하고(S80) 주차공간을 비움상태로 변경하는 단계(S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차장의 입구로 차량이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S10)는 추차장의 입구에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주차장 입구에는 차단기가 구비되어 주차장의 입구로 진입한 차량이 일단 정차하여 후술하여 설명할 주차공간배정을 요구하는 단계(S40)를 실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차량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차장의 입구로 진입한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S20)와 촬영된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산출하는 단계(S3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차장의 입구로 진입하는 차량을 차량번호가 식별되도록 촬영을 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운전자로부터 주차공간배정을 요청받는 단계(S40)는 주차장의 입구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장의 입구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수단(140)을 이용하여 주차공간배정을 요구한다. 이때, 운전자는 주차장 관리시스템의 설정조건에 따라 경차, 여성운전자, 장애인차량 등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주차공간배정부(150)에서는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비어 있는 주차공간 중에 운전자의 요청에 부합하는 동시에 가장 편리한 주차공간을 배정한다. 예를 들어, 건물의 입구나 엘리베이터 등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는 주차공간부터 배정을 하면서, 여성전용주차공간, 장애인전용주차공간 등은 해당 요건에 맞는 경우에 배정할 수 있다.
운전자의 차량에 적합한 주차공간을 배정하여 상기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계(S50)는 전술하여 설명한 주차공간배정부(150)에 의하여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가 표시된 주차증을 인쇄하여 운전자에게 발행할 수 있다(S55). 운전자는 주차증에 표시된 위치를 찾아가서 주차하면 되기 때문에 빈공간을 찾아서 헤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찾기 위하여 주의를 빼앗겨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일을 보고 나서도 주차증에 표시되어 있는 위치를 보고 자신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장소를 쉽게 찾을 수 있다. 한편, 주차증은 종이에 인쇄되어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운전자의 휴대용단말기로 곧바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차장 관리시스템에 차량번호와 휴대용단말기의 식별번호 등을 미리 저장하여 둘 수도 있다.
주차공간이 배정되어 운전자가 자신에게 배정된 주차공간을 찾아가서 차량을 주차하면 해당 주차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주차감지센서(170)가 주차공간에 차량에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S60).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주차공간의 어느 한 부분에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차량의 번호를 식별할 수 있는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배정된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를 하는 경우에는 경보음 또는 후술하여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80) 등을 통하여 주차를 잘못 하였음을 알려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차장 관리시스템은 전술하여 설명한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계(S50)'의 이후 단계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상기 주차공간의 어느 한 부분에 디스플레이부(180)를 설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배정된 차량의 번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29 라 7777" 차량이 B2-29번으로 지정된 주차공간을 배정받은 경우에 상기 B2-29번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빔프로젝터가 주차공간의 바닥에 "29 라 7777"를 주사하여 표시하거나 주차공간의 상부 또는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29 라 7777"를 표시해 줄 수 있다. 그리하여 다른 차량이 잘못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정된 차량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의 출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70)는 차량이 주차공간에 주차된 후에 일정시간이 지나서 다시 차량이 출고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차량의 출고여부는 기본적으로 주차감지센서(17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주차감지센서(170)에 차량이 갑자기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차량이 출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이 출고되면 제어부(100)에서는 비용을 정산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하며(S80), 해당 주차공간은 '비움'상태로 변경하여 다시 주차장으로 들어오는 다른 차량에게 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차장 관리방법은 차량출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70)와 비용정산단계(S80)의 사이에 충동예방기능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충돌예방기능은 차량의 출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70)에서 차량에 시동이 걸렸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출차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7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지 여부는 열감지센서(190)를 이용하여 배기구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배기구 주변의 온도가 갑자기 상승하면 시동이 걸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처럼 차량에 시동이 걸린 것으로 판단이 된 상태에서 주차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통로로 차량이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S73, S75). 차량의 접근 여부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통로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접근감지센서(200)를 통하여 감지한다. 그리하여 차량에 시동이 걸린 상태(운전자가 주차공간을 벗어날 준비를 하는 상태)에서 해당 주차공간으로 차량이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출차안내부를 통하여 주의표시 또는 경고표시를 해 줄 수 있다(S77). 그리하여 주차공간을 벗어나려는 차량과 통로를 지나는 차량이 접촉사고가 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출차안내부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빔프로젝터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어부
110: 진입감지센서
120: 진입촬영카메라부
130: 차량번호산출부
140: 입력수단
150: 주차공간배정부
160: 출력수단
170: 주차감지센서
180: 디스플레이부
190: 열감지센서
200: 차량접근감지센서

Claims (8)

  1.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 상기 진입감지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차량을 촬영하는 진입촬영카메라부; 상기 진입촬영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차량정보를 산출하는 차량번호산출부; 운전자로부터 주차공간 배정을 입력받는 입력수단;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배정하는 주차공간배정부;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주차공간이 비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주차감지센서 및 상기 진입감지센서, 진입촬영카메라, 차량번호산출부, 입력수단, 주차공간배정부, 출력수단 및 주차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주차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주차공간에는 열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주차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통로에는 차량접근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차장 관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에는 차량의 접근 여부를 알려주는 출차안내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차장 관리장치.
  6. 주차장의 입구로 차량이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주차장의 입구로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차량의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산출하는 단계; 운전자로부터 주차공간배정을 요청받는 단계; 운전자의 차량에 적합한 주차공간을 배정하여 상기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배정된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출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이 출고되는 경우에 비용을 정산하여 운전자에게 통지하고 주차공간을 비움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배정된 주차공간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계의 이후 단계에서는 상기 주차공간의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주차공간을 배정받은 차량정보를 표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주차공간의 어느 한 부분에는 열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주차공간과 연결된 통로에는 차량접근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린 것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접근감지센서를 통하여 차량이 접근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 운전자에게 차량접근경보를 해 주는 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차장 관리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50090547A 2015-06-25 2015-06-25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1558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547A KR101558908B1 (ko) 2015-06-25 2015-06-25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547A KR101558908B1 (ko) 2015-06-25 2015-06-25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908B1 true KR101558908B1 (ko) 2015-10-12

Family

ID=5434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547A KR101558908B1 (ko) 2015-06-25 2015-06-25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9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2751A (zh) * 2018-08-31 2019-01-25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车辆管理方法及相关装置
CN110491139A (zh) * 2019-07-11 2019-11-22 深圳市轱辘汽车维修技术有限公司 一种交通事故责任预警管理方法及相关装置
KR20220086070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출차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354B1 (ko) * 2010-09-27 2011-10-11 서동산업(주) 주차카드를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354B1 (ko) * 2010-09-27 2011-10-11 서동산업(주) 주차카드를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2751A (zh) * 2018-08-31 2019-01-25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车辆管理方法及相关装置
CN110491139A (zh) * 2019-07-11 2019-11-22 深圳市轱辘汽车维修技术有限公司 一种交通事故责任预警管理方法及相关装置
KR20220086070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출차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0630B1 (ko) * 2020-12-16 2023-05-10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출차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281B1 (ko) 주차위치 자동 안내시스템
KR100567725B1 (ko)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JP4525915B2 (ja) 運転支援装置
KR101066385B1 (ko) 차량별 상세유도안내가 가능한 주차유도시스템
KR101050449B1 (ko) 지능형 장애인 주차면 관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2012432B1 (ko) 지능형 유도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1978368B1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154153B1 (ko) 주차 유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방법
KR101624986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및 주차관리 통합관제장치
KR101651008B1 (ko)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장치
JP2016197314A5 (ko)
US201503107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vacant parking locations in a parking lot or structure
KR101639729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101610663B1 (ko) 안면인식 및 매칭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KR101558908B1 (ko)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1624997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100970278B1 (ko) 주차위치 안내 및 방범기능을 갖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20040008034A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위치 확인시스템
KR101670503B1 (ko)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KR101701232B1 (ko) 버스 승객 수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8018A (ko) 주차 유도 및 관리시스템
JP2008250756A (ja) 信号制御システム
KR100501769B1 (ko)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0821286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