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503B1 -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503B1
KR101670503B1 KR1020150187886A KR20150187886A KR101670503B1 KR 101670503 B1 KR101670503 B1 KR 101670503B1 KR 1020150187886 A KR1020150187886 A KR 1020150187886A KR 20150187886 A KR20150187886 A KR 20150187886A KR 101670503 B1 KR101670503 B1 KR 101670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information
plane
te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효
김주현
손병일
김영훈
박남규
Original Assignee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차하는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주차면을 결정하는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은, 다수의 주차 공간으로 구획된 주차장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부; 상기 차량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차량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차량 정보 저장부;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할 주차면을 결정하는 주차면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주차면으로 차량을 안내하는 주차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INTELLIGENT PARKING GUIDE SYSTEM}
본 발명은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차하는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주차면을 결정하는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가 운전 차량의 급속한 증가로 모든 건물에는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대규모 아파트나 백화점, 쇼핑몰 등에는 매우 큰 규모의 지상 및 지하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다.
백화점, 쇼핑몰 등의 주차 시스템은 차량이 입구를 통해 진입하여 자동으로 차량 번호를 인식하거나, 요금의 징수를 위한 티켓을 운전자가 취하면 차단기를 열어주어 차량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주차를 완료한 차량이 주차 시간에 따른 적절한 요금을 지불한 후 차단기를 열어주어야만 차량이 주차장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아파트의 주차 시스템은 아파트 입구에서 입주자 차량 여부를 감지하고 입주자면 차단기를 열어주고, 입주자는 해당 동의 주차장에 진입하여 비어 있는 주차면을 찾아서 주차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차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서는 차량이 주차장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스스로 빈 주차 공간을 찾아서 주차시켜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될 뿐 아니라, 주차장의 내부를 저속으로 방황하게 됨으로 인해 공기의 오염, 시간의 소모 및 좁은 공간에서 차량의 접촉 사고등 많은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9-0061583호는 주차유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입구에는 로칼 콘트롤러에서 차량 감지기를 통해 입차중인 차량을 인식하면서 경광등과 입구 상황판으로 상황을 알려주고, 다수의 출구에는 각각 차량 감지기와 루프 코일 및 번호판 인식기를 설치하여 출차하는 차량의 유무와 종류를 인식하도록 하고, 주차장의 각 분기점에 설치된 차체 인식기에서 차량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하고, 각 주차층에 설치된 로칼 콘트롤러에서 차량 감지기를 통해 주차중인 차량을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의 유무와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번호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는 마스터 콘트롤러에서는 통신 상태의 감시와 긴급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의 마스터 콘트롤러를 통하여 통신을 주고 받는 메인 컴퓨터는 내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에 유도용 전광판을 통해 최단 거리의 주차 공간으로 유도하도록 함으로서 주차장 내에서 차량이 정확하고 빠르게 주차할 공간으로 찾아갈 수 있음은 물론, 출입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입주자가 거주하는 세대 정보 또는 입점자의 가게 정보를 반영하지 않고 비어 있는 주차면으로 차량을 안내하는 것이어서, 입주자가 거주하는 세대와 아주 먼 주차면으로 차량을 안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9-0061583호
본 발명은 입차하는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주차면을 결정하는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은,
다수의 주차 공간으로 구획된 주차장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부; 상기 차량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차량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차량 정보 저장부;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할 주차면을 결정하는 주차면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주차면으로 차량을 안내하는 주차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차량 인식부는 카메라, RFID 리더기, 카드 리더기, 터치 스크린, 그리고 터치 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는 입주자 정보, 입주자 거주 정보, 그리고 차량 사용 빈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주차면 결정부는 상기 입주자 정보 및 입주자 거주 정보로부터 상기 입주자가 거주하는 세대와 가까운 주차면 그룹에 대한 정보인 주차면 그룹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주차면 결정부는 결정된 주차면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입차하는 차량의 주차면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주차면 결정부는 상기 차량 사용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입차하는 차량의 주차면을 결정하며, 상기 차량 사용 빈도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주차면 그룹 정보에 속하는 주차면 중에서 차량 출구와 먼 주차면을 상기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하고, 상기 차량 사용 빈도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보다 큰 경우, 상기 주차면 그룹 정보에 속하는 주차면 중에서 차량 출구와 가까운 주차면을 상기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주차면 결정부는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추출한 결과, 입주자가 아닌 방문자로 판단된 경우, 차량 출구와 가까운 주차면을 방문자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입차하는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주차면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주자가 거주하는 세대 정보 또는 입점자의 가게 정보를 반영하여 비어 있는 주차면으로 차량을 안내하여 입주자 또는 입점자 친화적인 주차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사용 빈도에 따른 주차 안내를 제공하여 한정된 주차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주차면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주차면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은, 차량 인식부(100)와, 차량 정보 저장부(200)와, 주차면 결정부(300)와, 주차 안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인식부(100)는 다수의 주차 공간으로 구획된 주차장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 여부를 인식한다.
먼저, 주차장은 다수의 주차 공간이 다수의 열과 횡으로 구획될 수 있고,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차량 입구와 차량이 출차할 수 있는 차량 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차량 입구와 차량 출구는 별도로 분리된 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동일한 공간에 형성되어 하나의 차량 출입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의 주차 공간으로 구획된 주차장은, 예를 들어 아파트 지하 주차장이나 백화점, 쇼핑몰 등 대형 상가의 지하 주차장일 수 있다.
차량 인식부(100)는 차량 입구 또는 차량 출입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여부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인식부(100)는 진입하는 차량을 인식하기 위해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 RFID 리더기, 카드 리더기,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ID 리더기로 차량을 인식하는 경우, RFID 리더기가 진입 차량의 전면 창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어서 인식하고, 카드 리더기로 차량을 인식하는 경우, 차량의 운전자는 주차 권한이 부여된 주차 카드를 카드 리더기에 삽입 또는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나 터치 패드를 사용하는 경우, 차량의 운전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200)는 상기 차량 인식부(100)에 의해 인식된 차량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200)는 해당 차량이 입주자(또는 입점자)의 차량인지 방문자 차량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이하, 입주자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입주자(또는 입점자) 차량인지 여부는, 인식된 RFID 태그, 주차 카드의 정보, 입력된 인증 코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방문자 차량인지 여부는 방문자를 위해 임시로 발급되는 RFID 태그, 임시 주차 카드의 정보, 관리실로부터 방문자를 위해 부여되는 인증 코드 등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인식된 RFID 태그, 주차 카드의 정보, 입력된 인증 코드로부터 해당 차량 사용자의 거주 정보(이하, 입주자 거주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아파트 주차장인 경우 해당 차량이 몇호실 입주자 차량인지를, 또는 쇼핑몰 주차장인 경우 해당 차량이 어느 입점자 차량인지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200)는 인식된 차량 정보로부터 해당 차량의 사용 빈도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즉, 소정의 정해진 기간 동안 해당 차량이 주차장을 출입한 횟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출입 횟수는 소정 기간 동안의 차량의 입차 및 출차 횟수를 의미하는 것이고, 차량이 주차장에 머무는 기간의 장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주차면 결정부(300)는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할 주차면을 결정한다.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입주자 정보, 입주자 거주 정보, 차량 사용 빈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면 결정부(300)는 상기 입주자 정보 및 입주자 거주 정보로부터 해당 입주자가 거주하는 세대와 가까운 주차면 그룹 또는 해당 입점자의 가게와 가까운 주차면 그룹에 대한 정보(이하, 주차면 그룹 정보)를 결정한다. 여기서, 가까운 주차면 그룹이란, 입주자 거주 세대(또는 입점자의 가게)와 가장 가까운 주차면과 인접한 주변의 소정 개수 주차면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주차장의 크기에 따라 주차면 그룹의 크기는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주차면 결정부(300)는 결정된 주차면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입차하는 차량의 주차면을 결정한다. 상기 주차면 결정부(300)는 입차하는 차량이 입주자 차량이면, 입주자가 거주하는 세대와 가장 가까운 주차면을 해당 차량이 주차할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가장 가까운’의 의미는 중간에 다른 주차면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주차장의 주차 상황에 따라, 가장 가까운 주차면에 다른 차량이 이미 주차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주차면 결정부(300)는 가장 가까운 주차면과 인접한 주차면 중 비어 있는 주차면을 해당 차량이 주차할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또한, 주차면 결정부(300)는 상기 차량 사용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입차하는 차량의 주차면을 결정한다. 차량 사용 빈도 정보는 소정 기간 동안의 차량의 입차 및 출차 횟수에 대한 정보이다. 차량 사용 빈도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보다 작은 경우(같은 경우를 포함함), 상대적으로 해당 차량은 주차장에 머무는 기간이 길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면 결정부(300)는 해당 차량의 주차면 그룹 정보에 속하는 주차면 중에서 차량 출구와 먼 주차면을 해당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반대로, 차량 사용 빈도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보다 큰 경우, 상대적으로 해당 차량은 주차장에 머무는 기간이 짧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면 결정부(300)는 해당 차량의 주차면 그룹 정보에 속하는 주차면 중에서 차량 출구와 가까운 주차면을 해당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차량 사용 빈도 정보의 기설정된 기준치는, 예를 들어 기간을 1주일로 정할 경우, 2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을 주말에만 사용할 경우를 가정하여 설정한 기준치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주차면 결정부(300)가 차량 사용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입차하는 차량의 주차면을 결정하면, 입주자의 차량 사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일 차량을 사용하는 입주자에게는 차량 출구와 가까운 주차면을 제공하여 출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주말에만 차량을 사용하는 입주자에게는 차량 출구와 먼 주차면을 제공하여 출차하는 다른 차량에 의해 차량이 손상될 염려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한정된 주차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차면 결정부(300)는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추출한 결과, 입주자(또는 입점자)가 아닌 방문자로 판단된 경우, 방문자 차량은 주차면 그룹 정보가 생성되지 없고, 주차장 내에 머무르는 기간이 짧으므로, 차량 출구와 가까운 주차면을 방문자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상기 주차 안내부(400)는 상기 주차면 결정부(300)에서 결정된 주차면으로 차량을 안내한다. 주차 안내부(400)는 주차장 통로 상의 안내등(420)과 주차면 상의 주차등(430)의 점멸을 통신 중계기(410)를 통해 제어하여 주차면 결정부(300)에서 결정된 주차면으로 차량의 주차를 안내한다.
통신 중계기(410)는 주차장에 곳곳에 설치된 접근 센서들(미도시)로부터 물체의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안내등(420)과 주차등(43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 HomePNA, 전력선 통신, EIA-422/485 통신과 같은 유선 통신망이나, 또는 무선랜, 바이너리 CDMA, HomeRF, ZigB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이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주차등(430)은 평시에 주차장 내에 조명을 제공하며, 보안이나 사고 방지를 위해 사람이 없더라도 항상 점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 주차등(430)은 통신 중계기(410)를 통해 주차 안내부(4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통신 중계기(410)를 통해 전달되는 점등 명령에 따라 주차등(430)에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가 동작함으로써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주차장의 입구 측에 구비된 차량 인식부(100)가 차량의 진입을 인식한다. (S10)
차량의 진입이 인식되면, 이를 차량 정보 저장부(200)로 전송하고, 차량 정보 저장부(200)는 진입이 인식된 차량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S20) 이때, 차량 정보는 입주자 정보, 입주자 거주 정보, 차량 사용 빈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입주자 정보로부터 해당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S30), 주차면 결정부(300)는 주차면 그룹 정보를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면을 결정한다. (S40) 이때, 주차면 결정부(300)는 입주자가 거주하는 세대와 가장 가까운 주차면을 해당 차량이 주차할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입주자가 거주하는 세대와 가까운 계단 또는 엘리베이터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주차면을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도 3에서 입주자가 거주하는 세대와 가장 가까운 엘리베이터가 E2라면, 이와 가장 가까운 주차면 P11 ~ P15를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가장 가까운’의 의미는 중간에 다른 주차면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해당 주차면(P11 ~ P15)에 다른 차량이 이미 주차하였으면, 주차면 결정부(300)는 해당 주차면과 인접한 주차면 중 비어 있는 주차면(P21 ~ P25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을 해당 차량이 주차할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P11 ~ P15, P21 ~ P25의 집합은 주차면 그룹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주차면 결정부(300)는 차량 사용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입차하는 차량의 주차면을 결정한다.(S40) 예를 들어, 차량 사용 빈도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보다 작은 경우(같은 경우를 포함함), 주차면 결정부(300)는 해당 차량의 주차면 그룹 정보에 속하는 주차면 중에서 차량 출구와 먼 주차면을 해당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하고, 차량 사용 빈도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보다 큰 경우, 해당 차량의 주차면 그룹 정보에 속하는 주차면 중에서 차량 출구와 가까운 주차면을 해당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차량 사용 빈도 정보가 작은 경우, 도 3에서 차량 출구와 먼 주차면인 P12, P22를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차량 사용 빈도 정보가 큰 경우, 도 3에서 차량 출구와 가까운 주차면인 P21, P23, P24, P25 중 어느 하나를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한편, 입주자 정보로부터 해당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이 아닌 방문자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 출구와 가까운 주차면을 방문자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한다. (S50)
주차 안내부(400)는 주차장 통로 상의 안내등(420)과 주차면 상의 주차등(430)의 점멸을 통신 중계기(410)를 통해 제어하여 주차면 결정부(300)에서 결정된 주차면으로 차량의 주차를 안내한다. (S60)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차량 인식부 200 : 차량 정보 저장부
300 : 주차면 결정부 400 : 주차 안내부

Claims (7)

  1. 다수의 주차 공간으로 구획된 주차장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차량의 진입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부;
    상기 차량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차량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차량 정보 저장부;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할 주차면을 결정하는 주차면 결정부;
    상기 결정된 주차면으로 차량을 안내하는 주차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는 입주자 정보, 입주자 거주 정보, 그리고 차량 사용 빈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면 결정부는 상기 입주자 정보 및 입주자 거주 정보로부터 상기 입주자가 거주하는 세대와 가까운 주차면 그룹에 대한 정보인 주차면 그룹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주차면 결정부는 상기 차량 사용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입차하는 차량의 주차면을 결정하되,
    상기 차량 사용 빈도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주차면 그룹 정보에 속하는 주차면 중에서 차량 출구와 먼 주차면을 상기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하고,
    상기 차량 사용 빈도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보다 큰 경우, 상기 주차면 그룹 정보에 속하는 주차면 중에서 차량 출구와 가까운 주차면을 상기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하는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식부는,
    카메라, RFID 리더기, 카드 리더기, 터치 스크린, 그리고 터치 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 결정부는,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추출한 결과, 입주자가 아닌 방문자로 판단된 경우, 차량 출구와 가까운 주차면을 방문자 차량의 주차면으로 결정하는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KR1020150187886A 2015-12-28 2015-12-28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KR101670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886A KR101670503B1 (ko) 2015-12-28 2015-12-28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886A KR101670503B1 (ko) 2015-12-28 2015-12-28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503B1 true KR101670503B1 (ko) 2016-10-31

Family

ID=5744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886A KR101670503B1 (ko) 2015-12-28 2015-12-28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5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373A (ko) * 2018-03-28 2019-10-08 씨앤디아이(주) 통합 홈넷 관리 시스템
KR102269768B1 (ko) * 2021-01-12 2021-06-28 (주)세정이에프씨 공동주택 단지 주차 관리 및 방문차량 안내 제어시스템
KR20220041592A (ko)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대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2509866B1 (ko) * 2022-02-14 2023-03-14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전기 차량의 주차 경로 안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2879A (ja) * 2011-02-28 2012-09-20 Toyota Motor Corp 車両充電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2879A (ja) * 2011-02-28 2012-09-20 Toyota Motor Corp 車両充電支援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373A (ko) * 2018-03-28 2019-10-08 씨앤디아이(주) 통합 홈넷 관리 시스템
KR102101629B1 (ko) * 2018-03-28 2020-04-17 씨앤디아이(주) 통합 홈넷 관리 시스템
KR20220041592A (ko)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대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2454864B1 (ko) 2020-09-25 2022-10-14 주식회사 대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2269768B1 (ko) * 2021-01-12 2021-06-28 (주)세정이에프씨 공동주택 단지 주차 관리 및 방문차량 안내 제어시스템
KR102509866B1 (ko) * 2022-02-14 2023-03-14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전기 차량의 주차 경로 안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503B1 (ko) 지능형 주차 안내 시스템
KR100981274B1 (ko) 자동 조명제어 시스템
KR101876557B1 (ko)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667379B2 (ja) 場所状態管理システム、無線タグ読取装置および管理装置
KR101343102B1 (ko) 지능형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05063463U (zh) 立体车库存取车系统
CN109064611B (zh) 一种社区通行控制方法及系统
KR101651008B1 (ko)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장치
KR20100000528A (ko)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3430B1 (ko) 이동통신을 이용한 주차비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6028A (ko) 전기자동차 주차 및 충전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6305A (ko) 무선주파수 카드 및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시스템
KR102457783B1 (ko)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20080070178A (ko) 주차위치 확인이 용이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668360B1 (ko) Ic 카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목적층 자동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21859A (ko) 주차 유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6505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관리장치
KR10191363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의 주차유도방법
JP2006221275A (ja) 駐車場の管理制御装置
TW201638886A (zh) 停車管理方法及其系統
KR20110097208A (ko)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차 통합 관제 시스템
KR20130011365A (ko)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1558908B1 (ko) 공동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105864B1 (ko) 비콘을 이용한 유휴 주차장 스마트 예약 및 이용 시스템
KR102454864B1 (ko)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