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664A -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3664A
KR20050003664A KR1020030045050A KR20030045050A KR20050003664A KR 20050003664 A KR20050003664 A KR 20050003664A KR 1020030045050 A KR1020030045050 A KR 1020030045050A KR 20030045050 A KR20030045050 A KR 20030045050A KR 20050003664 A KR20050003664 A KR 2005000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image
chassis
under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Priority to KR102003004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3664A/ko
Publication of KR2005000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면(이하 "차대"라 함)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이나 주차장, 공항 등에 출입하는 차량의 차대를 촬영하여 이상 유무를 감별함으로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로(3)상에 매설되어 차량(30)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루프센서; 상기 도로(3)의 가로방향으로 매설되고 상기 루프센서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통과하는 차량(30)의 하면을 촬영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20); 상기 카메라(20)의 부근에 매설되고 상기 카메라(20)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30)의 하면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22); 상기 카메라(20)의 출력영상을 조합함으로서 차대영상을 생성하는 차대영상 생성수단; 및 상기 차대영상을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는 제어수단(70)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A Vehicle base photographing device and a control system of an in-out vehicl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면(이하 "차대"라 함)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이나 주차장, 공항 등에 출입하는 차량의 차대를 촬영하여 이상 유무를 감별함으로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 경기장, 공항, 국제 회의장, 대형 빌딩 등에 차량을 갖고 출입하기 위해서는 입구에서 차량 내부에 폭발물, 마약, 흉기 등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곤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보안을 위한 차량 검사방법은 트렁크의 내부를 조사하고, 탑승자의 신분을 확인한 뒤, 차량의 밑으로 거울을 투입하여 차대를 비춰보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거울을 사용할 경우, 거울이 비춰지지 않는 사각지역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육안 검사에 의존하기 때문에 차대의 미소한 변화를 쉽게 찾아낼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차종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차대의 형상이나 크기 역시 점차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차대 검사자가 모든 차량의 차대 형상을 자신의 기억이나 경험에 비추어 검사해야 하기 때문에 검사의 신뢰도가 점차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차대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여 이상 유무를 검사할 수 있는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입구측의 차대영상과 출구측의 차대영상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조사함으로서 차량의 출고를 저지할 수 있는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차대 영상의 촬영외에 운전자의 얼굴의 촬영, 지문인식, 차량 번호판의 문자인식 등을 통해 차량과 운전자에 대한 완벽한 보완을 기할 수 있는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도로(3)상에 매설되어 차량(30)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루프센서(1);
도로(3)의 가로방향으로 매설되고 루프센서(1)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통과하는 차량(30)의 하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20);
카메라(20)의 부근에 매설되고, 카메라(20)와 연동하여 차량(30)의 하면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22);
카메라(20)의 출력영상을 조합함으로서 차대영상을 생성하는 차대영상 생성수단; 및
차대영상을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촬영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20)는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매설된 디지털 CCD 카메라이고,
조명수단(22)은 가로방향을 따라 CCD 카메라 사이마다 매설된 스트로보 또는 적외선 스트로보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대 촬영장치(10)는 도로(3)에 과속 방지턱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도로면과 일치하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도로(3)상에 매설되어 차량(30)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루프센서(1), 도로(3)의 가로방향으로 매설되고 루프센서(1)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통과하는 차량(30)의 하면을 촬영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20), 카메라(20)의 부근에 매설되고 카메라(20)와 연동하여 차량(30)의 하면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22), 카메라(20)의 출력영상을 조합함으로서 차대영상을 생성하는 차대영상 생성수단, 및 차대영상을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촬영장치(10);
차량(30)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문자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는 번호판 인식수단(50, 55);
인식수단의 번호판 문자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30)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판독해 내는 데이터베이스 수단;
진입하는 차량(30)의 제 1 차대영상과 진출하는 차량(30)의 제 2 차대영상을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판단수단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진출을 저지할 수 있는 저지수단(60); 및
저지수단이 동작되어 차량의 진출을 저지하고자 할 때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수단(65)을 포함하고,
차대 촬영장치(10)와 번호판 인식수단(50, 55)은 주차장 또는 건물의 입구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촬영장치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차대영상은 흑백 그레이 이미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는 운전자 식별 카메라(40);
운전자 식별 카메라(40)의 출력 영상을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식별수단; 및
운전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미리 등록된 지문 데이터와 조회할 수 있는 지문 인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카테고리인, 도로(3)상에 매설되어 루프센서(1)로부터 차량(30)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
차량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도로(3)의 가로방향으로 매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20)가 차량(30)의 하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고, 카메라(20)의 부근에 매설된 조명수단(22)이 카메라(20)와 연동하여 차량(30)의 하면을 조사하는 단계(S20);
카메라(20)의 복수의 출력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차대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30); 및
차대영상을 저장하고 표시하는 단계(S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영상 촬영방법에 의해서도 성취될 수 있다.
그리고, 입구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된 카메라(20)의 출력영상으로 생성된 제 1, 2 차대영상을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 및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진출 저지수단(70)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도로상에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촬영장치가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대 촬영장치가 주차장이나 건물의 입구/출구측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촬영장치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대 촬영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촬영장치를 이용한 실제로 촬영한 트럭 하부의 이미지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도로, 5 : 차선,
10 : 차대 촬영장치, 12 : 진입 가이드,
14 : 타이어 통과대, 16 : 진출 가이드,
20 : 카메라, 22 : 조명장치,
30 : 차량, 33 : 타이어,
36 : 차축, 40 : 운전자 식별 카메라,
42 : 신호등, 45 : 통제소,
47 : 차고 감지센서, 50 : 번호판 인식 카메라,
55 : LPR(문자인식) 시스템 60 : 저지 스파이크,
65 : 알람장치, 70 : 중앙 서버장치.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도로상에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촬영장치가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3)상에는 차선(5)이 그려져 있고, 도로(3)의 진행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차대 촬영장치(10)가 과속방지턱의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도로(3)의 지면에는 루프센서(1)가 매설되어 있어서, 차량(3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차대 촬영장치(10)는 소정의 경사로 상향 설치된 진입 가이드(12)와 소정의 경사로 하향 설치된 진출 가이드(16) 및 차선(5) 영역에서 타이어가 통과하는 타이어 통과대(14)가 마련되어 있다.
디지털 CCD 카메라(20)는 차대를 직접 촬영하기 위해 도로(3)의 가로방향으로 4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또한 조명장치(22)는 상기 카메라(20)의 사이사이마다 일정하게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대 촬영장치가 주차장이나 건물의 입구/출구측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0)이 통과하는 도로(3)의 근처에 통제소(45)가 설치되고, 도로(3)의 가로방향으로 차대촬영장치(10)가 설치된다. 또한, 통제소(45)의 외면에는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운전자 식별카메라(40)가 설치된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운전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장치와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40)를 한 조립체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전자가 지문을 찍기 위해 손을 내미는 동안 운전자 식별 카메라(40)가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번호판 인식 카메라(50)는 저속으로 통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인식해내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번호판 인식 카메라(50)에는 별도의 스트로보 조명장치(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촬영장치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3)상에 차량(30)이 진입을 시작하는 부분부터 순차적으로 운전자 식별 카메라(40), 신호등(42), 차고감지센서(47), 루프센서(1), 차대촬영장치(10), 번호판 인식 카메라(50), 저지 스파이크(60) 및 알람(65)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자 식별 카메라(40)는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고, 지문을 인식하는 시스템이 함께 구비되어 있다. 또한, 문자인식 시스템(55)을 통해 중앙 서버장치(70)로 촬영된 영상과 지문 영상등을 전송한다.
신호등(42)은 중앙 서버장치(70)에 의해 통제되며, 차량의 진입 허용 여부를 적색과 청색 신호등으로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를 이러한 신호를 보고 진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차고감지센서(47)는 통과하는 차량이 승용차, 승합차, 트럭, 버스들중 어느 것인지를 감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감지 결과는 중앙 서버장치(70)로 전송된다.
루프센서(1)는 도로(3)의 아래면 소정의 깊이에 매설되어 차량의 진입 및 진출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중앙 서버장치(70)로 전송하게 된다.
차대촬영장치(10)는 앞서 도 1의 설명에 나타난 구성을 갖는다.
번호판 인식 카메라(50)는 차량의 전면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촬영된 영상을 중앙 서버장치(70)로 전송하여 문자 데이터를 축출할 수 있도록구성된다.
저지 스파이크(60)는 평상시에 도로면과 일치하도록 내려져 있으나 중앙 서버장치(70)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은 저지 스파이크(60)에 걸려 이를 넘어갈 수 없기 때문에 강제로 정차할 수밖에 없다.
또한, 알람(65)은 저지 스파이크(60)가 동작하는 경우, 주위의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일으키기 위한 강한 경고음을 출력하게 된다.
LPR(문자인식) 시스템(55)은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내부에는 문자인식(한글, 숫자, 영어 등) 알고리즘 및 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가 내장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예는 퍼스널 컴퓨터이다.
중앙 서버장치(70)는 통제소(45)내에 설치되어 운영자에게 모든 통제상황을 표시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도 3에 도시된 모든 기기를 제어하며, 내부에 데이터베이스 장치(미도시)가 내장되어 각종 차량정보, 영상 정보, 로그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며,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앙 서버장치(70)의 내부에는 복수의 카메라(2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하나의 차대영상으로 조합하는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동작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히 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대 촬영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30)상에 돌출되게 설치된 차대 촬영장치(10)의 내부에는 4대의 카메라(20)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그 사이마다 조명장치(22)가 설치된다.
도 4에서는 차대촬영장치(10)위에 올라가 있는 차량(30)의 타이어(33)와 차축(35)을 도시하여 차량(30)을 대표하였다.
도 4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차대 촬영장치(10)의 길이는 버스의 폭인 2,500mm 보다 길게 하여 최대 3,000mm 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차대 촬영장치(10)의 최대 높이를 약 80mm로 하였고, 1대의 카메라(20)가 약 128°의 시야각으로 차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차량(30)이 병원, 호텔, 공항, 관공서, 군부대, 대형건물, 백화점 등을 진입할 때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진입하는 차량(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식별 카메라(40)를 통해 자신의 얼굴과 지문을 입력한다.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지문 데이터는 LPR 시스템(55)을 통해 중앙 서버장치(70)로 전송되어 등록된 운전자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등록된 운전자라고 판단되면, 신호등(42)에서 청색을 발광하여 통과를 지시하게 된다. 차량이 차고 감지센서(47)를 지나면서 차량(30)의 대체적인 종류가 승용차인지, 버스인지, 승합차인지를 구별하여 중앙 서버장치(70)로 전송하게 된다.
그 다음, 차량(30)이 차대 촬영장치(10)로 접근하면, 루프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 차량(30)의 접근을 중앙 서버장치(70)로 알리고, 이에 따라 카메라(20) 및 조명장치(22)가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이 때 번호판 인식 카메라(50)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중앙 서버장치(70)로 전송한다. LPR 시스템(55)은 이 때 번호판 영상으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축출하여 중앙 서버장치(70)로 전송한다.
차량(30)이 차대 촬영장치(10)로부터 멀어지면 루프센서(1)가 이를 감지하여 중앙 서버장치(70)에 전송하고, 중앙 서버장치(70)는 이에 따라 연속 촬영을 정지하게 된다.
연속 촬영된 복수의 영상은 중앙 서버장치(70)로 전송된다. 그 다음, 각 카메라의 영상을 결합하여 단일 차대 영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상에 찍힌 동일 피사체를 검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각각의 영상을 겹침으로서 하나의 차대 영상이 완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촬영장치를 이용한 실제로 촬영한 트럭 하부의 이미지이다. 그러면, 중앙 서버장치(70)는 통과 시간, 운전자 신분(예를 들어, 홍길동), 차량 번호(서울 00가 0000), 입차때 촬영한 제 1 차대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아울러 통제소(45)내의 모니터(미도시)에 제 1 차대영상을 표시하여 운영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차량(30)의 진입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입고된 차량의 출차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출차하는 차량(30)도 진입할 때와 마찬가지로 운전자 식별 카메라(40), 신호등, 차고감지센서(47) 및 차대 촬영장치(10), 번호판 인식 카메라(50)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중앙서버장치(70)는 인식된 차량 번호로부터 입고시의 기록을 검색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 다음, 판독된 제 1 차대영상과 출고시에 촬영된 제 2 차대영상을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는지는 판단하게 된다. 비교의 구체적인 방법은 제 1 차대영상으로부터 제 2 차대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감산하여 그 결과를 산출한다.
만약, 동일한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입고시의 제 1 차대영상과 출고시의 제 2 차대영상에서 문턱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면, 중앙 서버장치(70)가 저지 스파이트(60)를 동작시켜 차량의 출고를 저지하고, 알람장치(65)를 울려 운영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게 된다. 도 5는 트럭의 차대를 촬영한 것으로서, 실제 실험에서 화살표에 의해 지적된 차이점이 발견되어 차량의 진출이 저지된 사례를 나타내었다. 즉, 제 1 차대영상에서는 화살표가 가르키는 사각형내의 검은 표식이 없었는데 출고하는 제 2 차대영상에 검은 표식을 의도적으로 한 실험예이다. 즉, 도 5와 같은 실험예에서, 중앙 서버장치(70)는 화살표가 가르키는 검은 표식의 차이점을 식별해 냄으로서, 실험차량은 출고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어, 차량의 하부면에 폭탄, 마약, 불법 입출국자, 밀수품 등을 숨겨 통과하고자 할 경우에 효과적으로 이를 적발해 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입고되는 제 1 차대영상과 출고되는 제 2 차대영상을 상호 비교하였으나, 그 외에도 각종 차량의 차대영상을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국경소, 검문소 등에서 통과하는 차량의 차대를 촬영하여 비교함으로서, 차량 하부의 변형, 변조, 위조, 불법 부착 등을 적발해 낼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되는 차대영상중 특정부위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제소내에서 모든 궁금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 식별 카메라, 신호등, 번호판 인식 카메라와 인식 시스템 등을 함께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설치될 장소의 특성과 검사 범위에 맞춰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1에 따르면, 차대 촬영장치(10)가 과속방지턱 형상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없이, 도로(3)의 지중에 매설되어 도로면에 돌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에 따르면, 차대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여 이상 유무를 검사할 수 있어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구측의 차대영상과 출구측의 차대영상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조사함으로서 차량의 출고를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수상한 자를 체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차대 영상의 촬영외에 운전자의 얼굴의 촬영, 지문인식, 차량 번호판의 문자인식 등을 통해 차량과 운전자에 대한 완벽한 보완을 기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8)

  1. 도로(3)상에 매설되어 차량(30)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루프센서(1);
    상기 도로(3)의 가로방향으로 매설되고 상기 루프센서(1)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통과하는 차량(30)의 하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20);
    상기 카메라(20)의 부근에 매설되고 상기 카메라(20)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30)의 하면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22);
    상기 카메라(20)의 출력영상을 조합함으로서 차대영상을 생성하는 차대영상 생성수단; 및
    상기 차대영상을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20)는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매설된 디지털 CCD 카메라이고,
    상기 조명수단(22)은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CCD 카메라 사이마다 매설된 스트로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촬영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 촬영장치(10)는 도로(3)에 과속 방지턱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촬영장치.
  4. 도로(3)상에 매설되어 차량(30)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루프센서(1), 상기 도로(3)의 가로방향으로 매설되고 상기 루프센서(1)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통과하는 차량(30)의 하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20), 상기 카메라(20)의 부근에 매설되고 상기 카메라(20)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30)의 하면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22), 상기 카메라(20)의 출력영상을 조합함으로서 차대영상을 생성하는 차대영상 생성수단, 및 상기 차대영상을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촬영장치(10);
    상기 차량(30)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문자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는 번호판 인식수단(50, 55);
    상기 인식수단의 번호판 문자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30)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판독해 내는 데이터베이스 수단;
    진입하는 차량(30)의 제 1 차대영상과 진출하는 차량(30)의 제 2 차대영상을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상기 판단수단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진출을 저지할 수 있는 저지수단(60); 및
    상기 저지수단이 동작되어 차량의 진출을 저지하고자 할 때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수단(65)을 포함하고,
    상기 차대 촬영장치(10)와 번호판 인식수단(50, 55)은 주차장 또는 건물의입구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촬영장치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영상은 흑백 그레이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촬영장치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는 운전자 식별 카메라(40);
    상기 운전자 식별 카메라(40)의 출력 영상을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식별수단; 및
    상기 운전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미리 등록된 지문 데이터와 조회할 수 있는 지문 인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촬영장치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장치.
  7. 도로(3)상에 매설되어 루프센서(1)로부터 차량(30)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
    차량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상기 도로(3)의 가로방향으로 매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20)가 상기 차량(30)의 하면을 연속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20)의 부근에 매설된 조명수단(22)이 상기 카메라(20)와 연동하여 상기 차량(30)의 하면을 조사하는 단계(S20);
    상기 카메라(20)의 복수의 출력영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차대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30); 및
    상기 차대영상을 저장하고 표시하는 단계(S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영상 촬영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입구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된 카메라(20)의 출력영상으로 생성된 제 1, 2 차대영상을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 및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진출 저지수단(70)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 영상 촬영방법.
KR1020030045050A 2003-07-03 2003-07-03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 KR20050003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050A KR20050003664A (ko) 2003-07-03 2003-07-03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050A KR20050003664A (ko) 2003-07-03 2003-07-03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664A true KR20050003664A (ko) 2005-01-12

Family

ID=3721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050A KR20050003664A (ko) 2003-07-03 2003-07-03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3664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516B1 (ko) * 2005-09-06 2006-06-07 (주)유니파이브테크 지문인식을 이용한 통합주차관제 시스템
KR100692605B1 (ko) * 2005-09-27 2007-03-13 주식회사 제온이앤에스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
KR100694853B1 (ko) * 2005-07-26 2007-03-13 박노천 지문인식을 이용한 주차관제 시스템
KR100719515B1 (ko) * 2005-09-23 2007-05-17 이동인 자동차 하부의 검색 시스템
KR100844539B1 (ko) * 2006-04-17 2008-07-10 주식회사 코리아카파크 주차장의 차종 및 차량번호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지방법
KR100931420B1 (ko) * 2005-02-23 2009-12-11 게이트키퍼 아이엔씨. 진입 통제 포인트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0964025B1 (ko) * 2009-12-24 2010-06-15 나온아이앤티 (주) 차량 하부영상을 이용한 입출차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를 위한 장치
KR200453422Y1 (ko) * 2010-04-21 2011-05-02 최익선 방범기능이 구비된 방지턱
KR101630154B1 (ko) * 2015-12-31 2016-06-15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차량 하부 영상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3409A (ko) * 2015-06-05 2016-12-14 김태영 차량 하부 검색 로봇시스템
KR20170004327A (ko) * 2015-07-02 2017-0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하부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335640B1 (ko) * 2020-06-10 2021-12-07 한국전력공사 차량 출입 통제 장치 및 시스템, 차량 입차 관리 방법, 및 차량 출차 관리 방법
KR20220144579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비엔인더스트리 진출입 차량 검지장치 및 진출입 차량 검지 방법
US11501541B2 (en) 2019-07-10 2022-11-15 Gatekeeper Inc. Imaging systems for facial detection, license plate reading, vehicle overview and vehicle make, model and color detection
US11538257B2 (en) 2017-12-08 2022-12-27 Gatekeeper Inc. Detection, counting and identification of occupants in vehicles
CN116092301A (zh) * 2022-11-29 2023-05-09 无锡市汇捷科技有限公司 一种车道占用抓拍装置
US11736663B2 (en) 2019-10-25 2023-08-22 Gatekeeper Inc. Image artifact mitigation in scanners for entry control systems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8343B2 (en) 2005-02-23 2013-01-22 Gatekeeper, Inc. Entry control point device, system and method
US8817098B2 (en) 2005-02-23 2014-08-26 Gatekeeper, Inc. Entry control point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0931420B1 (ko) * 2005-02-23 2009-12-11 게이트키퍼 아이엔씨. 진입 통제 포인트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107441B1 (ko) * 2005-02-23 2012-01-19 게이트키퍼 아이엔씨. 진입 통제 시스템 및 차량 액세스 통제 방법
US8305442B2 (en) 2005-02-23 2012-11-06 Gatekeeper, Inc. Entry control point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0694853B1 (ko) * 2005-07-26 2007-03-13 박노천 지문인식을 이용한 주차관제 시스템
KR100585516B1 (ko) * 2005-09-06 2006-06-07 (주)유니파이브테크 지문인식을 이용한 통합주차관제 시스템
KR100719515B1 (ko) * 2005-09-23 2007-05-17 이동인 자동차 하부의 검색 시스템
KR100692605B1 (ko) * 2005-09-27 2007-03-13 주식회사 제온이앤에스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
KR100844539B1 (ko) * 2006-04-17 2008-07-10 주식회사 코리아카파크 주차장의 차종 및 차량번호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지방법
KR100964025B1 (ko) * 2009-12-24 2010-06-15 나온아이앤티 (주) 차량 하부영상을 이용한 입출차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를 위한 장치
KR200453422Y1 (ko) * 2010-04-21 2011-05-02 최익선 방범기능이 구비된 방지턱
KR20160143409A (ko) * 2015-06-05 2016-12-14 김태영 차량 하부 검색 로봇시스템
KR20170004327A (ko) * 2015-07-02 2017-0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하부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630154B1 (ko) * 2015-12-31 2016-06-15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차량 하부 영상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11538257B2 (en) 2017-12-08 2022-12-27 Gatekeeper Inc. Detection, counting and identification of occupants in vehicles
US11501541B2 (en) 2019-07-10 2022-11-15 Gatekeeper Inc. Imaging systems for facial detection, license plate reading, vehicle overview and vehicle make, model and color detection
US11736663B2 (en) 2019-10-25 2023-08-22 Gatekeeper Inc. Image artifact mitigation in scanners for entry control systems
KR102335640B1 (ko) * 2020-06-10 2021-12-07 한국전력공사 차량 출입 통제 장치 및 시스템, 차량 입차 관리 방법, 및 차량 출차 관리 방법
KR20220144579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비엔인더스트리 진출입 차량 검지장치 및 진출입 차량 검지 방법
CN116092301B (zh) * 2022-11-29 2023-12-19 无锡市汇捷科技有限公司 一种车道占用抓拍装置
CN116092301A (zh) * 2022-11-29 2023-05-09 无锡市汇捷科技有限公司 一种车道占用抓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3664A (ko)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
US20210034844A1 (en) Technique for providing security
KR100964025B1 (ko) 차량 하부영상을 이용한 입출차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를 위한 장치
US82336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signal color from a moving video platform
US86394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clusively capturing a violation of the speed limit on a section of road
US20110103647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assifying Vehicles
US200801366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Exterior and Interior Inspection of Vehicles
KR101978368B1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060269105A1 (en) Methods, Apparatus and Products for Image Capture
CN101739809A (zh) 行人闯红灯自动报警监控系统
JP685911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602089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ving vehicles
CN201307337Y (zh) 行人闯红灯自动报警监控装置
CN113859118A (zh) 一种大型车辆道路安全预警方法和装置
KR20150137666A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KR102159144B1 (ko) 보행신호등 주변의 위반차량 무인단속시스템
KR20120019828A (ko) 교차로 통행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차로 통행위반 차량 단속방법
JP6253566B2 (ja) 車両監視システム及び車両監視方法
KR102333747B1 (ko) 고정확도의 도로 위험상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3664784B2 (ja) 広域監視装置
KR101986303B1 (ko) 이동식 주정차 단속시스템
KR102290353B1 (ko) 객체 인식을 이용한 무단횡단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867112B1 (ko) 영상을 이용한 차량 사고 확인 시스템
KR102004998B1 (ko)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US20210235015A1 (en) Convex integrated vehicle inspection and securi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