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605B1 -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605B1
KR100692605B1 KR1020050089789A KR20050089789A KR100692605B1 KR 100692605 B1 KR100692605 B1 KR 100692605B1 KR 1020050089789 A KR1020050089789 A KR 1020050089789A KR 20050089789 A KR20050089789 A KR 20050089789A KR 100692605 B1 KR100692605 B1 KR 10069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wer body
camera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익
이인호
이돈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온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온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온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05008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검문구역으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감지신호에 따라 진입 차량의 번호판과 하체를 각각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1 및 제 2카메라를 갖는 카메라 장치와; 번호판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와; 하체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하체 이미지를 인식하는 차량하체 인식부와;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차량 정보 및 차종별 하체 표준 이미지와, 수배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차량번호 인식부와 차량하체 인식부로부터 차량번호와 하체 이미지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되는 차량 정보와 하체 표준 이미지를 데이터 베이스부에서 조회함과 아울러, 조회한 차량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부의 수배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조회한 차량 정보가 수배중인 차량 정보인가를 판단하고, 조회한 표준 하체 이미지와 차량하체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하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검문중인 차량의 하체에 이상물체가 부착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제 1 및 제 2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차량번호와 차량하체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함과 아울러 제어부에서 조회한 차량 정보 및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검문중인 차량이 수배차량이고, 그 하체에 이상물체가 부착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VEHICLE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검문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검문시스템을 구성하는 감지수단과,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 1카메라가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검문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 장치의 제 2카메라가 차량의 하체를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검문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검문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카메라 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카메라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카메라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검문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을 나타내는 흐 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감지수단 20: 카메라 장치
22: 케이스(Case) 24: 앵커볼트(Anchor Bolt)부
25: 설치실 26: 제 1카메라
27: 제 2카메라 28: 투명커버
30: 와이퍼 장치 32: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34: 구동모터 40: 와셔(Washer)액 공급장치
42: 와셔액 노즐 44: 와셔(Washer)액 탱크
46: 펌프(Pump) 48: 연결호스
50: 이동장치 52: 레일(Rail)
54: 슬라이더(Slider) 55: 운동수단
55a: 랙기어(Rack Gear) 55b: 피니언기어(Pinion Gear)
55c: 회전모터 60: 전자제어유닛
62: 제어부 64: 데이터 베이스부
66: 차량번호 인식부 67: 차량하체 인식부
68: 입력부 70: 디스플레이(Display)장치
본 발명은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문 차량의 차적을 자동으로 조회한 다음, 수배차량인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알려주고, 검문 차량의 하체를 높은 정밀도로 검색하면서 이상물체부착여부까지도 자동으로 검사하는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안이 요구되는 곳, 예를 들면, 군사시설, 정부주요시설, 방위산업체, 하이테크연구소, 톨게이트 등에는 차량의 검문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최근에는 테러의 위협이 점차적으로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차량을 철저히 검문하여 폭발물, 생화학무기 등과 같은 각종 테러도구들을 색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차량 검문방법으로는, 검문자가 차량을 직접 검문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검문자가 차량의 내부와 트렁크를 직접 육안으로 검문하고, 차량의 하체는 검색거울을 이용하여 직접 검문하며, 차량의 번호와 운전자의 정보를 경찰서에 일일이 무선단말기로 확인하여 차적과 운전자의 신원을 조회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직접 검문 방법은, 검문자가 일일이 육안으로 검사하고, 차량 번호와 운전자의 정보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차량의 하체를 검사하기 위해, 차량의 하측에 검색거울을 일일이 삽입하고 검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같은 단점은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어 검문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검문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므로, 사각지역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검문의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밖에도, 직접 검문 방법은, 검문자가 일일이 육안으로 검사하므로, 조명 이 어두운 야간의 경우, 검문의 정밀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을 검문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법은 출입구로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 및 차량의 내부를 카메라로 찍은 후, 원격지에서 모니터에 표시된 차량의 번호와 운전자 등의 정보를 검문하여 차적과 운전자의 신원을 조회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카메라가 도로 상의 지주대에 설치되어 있어서 차량의 하체를 촬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여전히 검문자가 검색거울을 이용하여 차량의 하체를 일일이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의 번호를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차적을 신속하게 자동으로 조회할 수 있는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하체를 일일이 검색거울로 확인하지 않고도 차량의 하체를 높은 정밀도로 검색할 수 있는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검문시스템은, 검문구역으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진입 차량의 번호판과 하체를 각각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1 및 제 2카메라를 갖는 카메라 장치와; 상기 제 1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번호판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차 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와; 상기 제 2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하체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하체 이미지를 인식하는 차량하체 인식부와; 차량 번호와,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차량 정보 및 차종별 하체 표준 이미지와, 수배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와 상기 차량하체 인식부로부터 차량번호와 하체 이미지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되는 차량 정보와 하체 표준 이미지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서 조회함과 아울러, 조회한 차량 정보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의 수배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조회한 차량 정보가 수배중인 차량 정보와 일치할 경우, 검문중인 차량이 수배차량인 것으로 판단하고, 조회한 표준 하체 이미지와 상기 차량하체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하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서로 불일치할 경우, 검문중인 차량의 하체에 이상물체가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차량번호와 차량하체의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에서 조회한 차량 정보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검문중인 차량이 수배차량이고, 그 하체에 이상물체가 부착되어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검문방법은, 검문구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진입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번호판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번호판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차량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조회된 차량 정보와 수배차량 정보와 비교하여 조회한 차량 정보가 수배차량 정보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 정보가 수배차량 정보와 일치하면, 진입 차량이 수배차량임을 경고하 는 단계와; 진입 차량의 하체를 촬영하여 하체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하체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하체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하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차종의 표준 이미지를 조회하는 단계와; 조회한 표준 이미지와 입력된 하체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표준 이미지와 입력된 하체의 이미지가 불일치하면, 진입 차량의 하체에 이상물체가 부착되었음을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검문시스템은, 검문구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을 구비한다.
감지수단(10)은 검문구역의 진입도로(A)에 매설되는 루프(Loop)센서, 또는 피에조(Piezo)센서로 구성되며, 진입하는 차량(C)의 바퀴를 감지하여 차량(C)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한편, 감지수단(10)으로서, 적외선 센서로 구성하여도 좋다.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 센싱 범위내에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 검문시스템은, 감지수단(10)의 전방쪽 도로상에 설치되는 카메라 장치(20)를 구비한다.
카메라 장치(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2)를 구비하며, 이 케이스(22)의 밑면에는 앵커볼트부(24)가 돌출되어 있다. 앵커볼트부(24)는 도로(A)에 매설되어 상기 케이스(22)를 도로(A)상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케이스(22)는 상부가 트인 설치실(25)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설치실 (25)에는 제 1카메라(26)와 제 2카메라(27)가 설치된다.
제 1카메라(26)는 씨씨디(CCD) 카메라로 구성되며, 감지수단(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진입 차량(C)의 번호판(C1)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진입 차량(C)의 번호판(C1)을 촬영함으로써, 진입 차량(C)의 번호판(C1)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1카메라(26)는 후방쪽으로부터 진입하는 차량(C)의 번호판(C1)을 촬영해야 하므로, 후방을 향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제 1카메라(26)는 적외선 LED 조명장치(26a)들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조명이 어두운 야간에도 진입 차량(C)의 번호판(C1)을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카메라(26)는 광각렌즈를 갖추고 있으며, 아울러 줌(Zoom)기능과 펜틸트(Pantilt)기능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차종에 따라 번호판(C1)의 위치가 바뀌어도 상기 번호판(C1)을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제 2카메라(27)는 씨씨디(CCD) 카메라로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수단(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진입 차량(C)의 하체(C2)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진입 차량(C)의 하체(C2)를 촬영함으로써, 진입 차량(C)의 하체(C2)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2카메라(27)는 진입하는 차량(C)의 하체(C2)를 촬영해야 하므로, 수직상부를 향해 설치된다. 또한, 제 2카메라(27)는 적외선 LED 조명장치(27a)들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조명이 어두운 야간에도 진입 차량(C)의 하체(C2)를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카메라(27)는 광각렌즈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하체 (C2)와의 거리가 매우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상기 하체(C2)를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 2카메라(27)는 줌(Zoom)기능과 펜틸트(Pantilt)기능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차량(C)의 하체(C2) 부분을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카메라(26, 27)가 장착된 설치실(25)의 트인 상부에는 투명커버(28)가 설치된다. 투명커버(28)는 외부의 이물질이 설치실(25)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제 1 및 제 2카메라(26, 27)에 가해지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20)는, 투명커버(28)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수단을 더 구비한다. 청소수단은, 투명커버(28)의 표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장치(30)와, 투명커버(28)의 표면에 와셔액을 공급하는 와셔액 공급장치(40)로 구성된다.
와이퍼 장치(3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커버(28)의 표면을 닦을 수 있도록 케이스(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32)와, 와이퍼 블레이드(32)를 회전운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22)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와이퍼 블레이드(32)는 교환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와이퍼 장치(30)는, 투명커버(28)의 표면을 닦아 줌으로써, 투명커버(28)의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설치실(25) 내부의 제 1 및 제 2카메라(26, 27)가 투명커버(28)를 통해 차량(C)의 번호판(C1)과 하체(C2)를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와셔액 공급장치(40)는, 투명커버(28)의 표면을 향하도록 케이스(22)에 설치 되는 와셔액 노즐(42)과, 와셔액을 저장하고 있는 와셔액 탱크(44)와, 와셔액 탱크(44)의 와셔액을 펌핑하는 펌프(46)와, 펌프(46)와 와셔액 노즐(42)을 연결하는 연결호스(48)로 구성된다. 여기서, 와셔액 탱크(44)와 펌프(46)는 카메라 장치(20)와는 별도로 구성되며, 별도로 구성된 와셔액 탱크(44)와 펌프(46)는 연결호스(48)를 통해 와셔액 노즐(42)과 연결된다.
이러한 와셔액 공급장치(40)는, 와셔액을 투명커버(28)의 표면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2)가 투명커버(28)를 효율좋게 닦아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에는 청소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청소수단은 투명커버(28)의 표면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털어내는 압축공기분사장치(49)로 구성된다.
압축공기분사장치(49)는, 투명커버(28)의 표면을 향하도록 케이스(22)에 설치되는 분사노즐(49a)과, 고압의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펌프(49b)와, 에어펌프(49b)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49a)로 이송시키는 이송호스(49c)로 구성된다. 이러한 압축공기분사장치(49)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투명커버(28)의 표면에 분사함으로써, 투명커버(28)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카메라 장치(20)에 의하면, 감지수단(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진입 차량(C)의 번호판(C1) 및 하체(C2)를 촬영함으로써, 차량 번호 및 차량 하체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특히, 적외선 모듈을 갖추고 있으므로, 조명이 어두운 야간에도 고선명도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장치(20)는, 진입도로(A)의 중앙에 1개만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도로(A)의 폭방향을 따라 2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2개의 카메라 장치(20)는 진입 차량(C)의 바퀴와 간섭되지 않는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카메라 장치(20)는, 도로(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A)상에 형성된 수용홈(A1)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20)가 도로(A)의 상면에 돌출되지 않으므로, 차량(C)과 접촉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카메라 장치(20)가 손상되거나 파손될 염려가 없다. 이때, 도로(A)에는 우천시 수용홈(A1)에 유입된 빗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 장치(20)는, 도로(A)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A)를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C)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이동식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장치(20)는 이동장치(50)에 의해 이동하는데, 상기 이동장치(50)는 도로(A)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52)과, 카메라 장치(2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52)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54)와, 슬라이더(54)를 슬라이딩운동시키는 운동수단(55)으로 구성된다.
특히, 운동수단(55)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52)에 형성되는 랙기어(55a)와, 랙기어(55a)와 치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54)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55b)와, 피니언기어(55b)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모터(55c)로 구성된다.
이러한 변형예의 카메라 장치(20)는, 도로(A)를 따라 운동할 수 있으므로, 차량(C)의 길이방향을 따라 운동하면서 차량(C)의 하체(C2)를 촬영할 수 있다. 특 히, 차량(C)의 하체(C2)를 골고루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도 8과 도 9에서는 카메라 장치(20)가 도로(A)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8에서와 같이 도로(A)에 형성된 수용홈(A1)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는 수용홈(A1)이 도로(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검문시스템은, 카메라 장치(20)와 이동장치(50) 등을 제어함과 아울러 카메라 장치(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차적을 조회하는 전자제어유닛(60)을 구비한다.
전자제어유닛(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2)와, 데이터 베이스부(64)와, 차량번호 인식부(66)와, 차량하체 인식부(67) 및 입력부(68)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62)는 감지수단(10)과 카메라 장치(20) 등의 장치를 온/오프 시킴과 아울러 감지수단(1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카메라 장치(20)를 작동시키며, 입력부(68)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장치들을 제어한다. 특히,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 장치(20)와 와이퍼 장치(30) 그리고 와셔액 공급장치(40)와 카메라 이동장치(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2)는 차량번호 인식부(66)로부터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그에 대응되는 차량의 정보, 예를 들면 차주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차량의 종류와 연식, 보험가입유무, 교통법규 위반사항, 등을 데이터 베이스부(64)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조회하고, 조회한 정보를 후술하는 디스플레이장치(7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62)는 조회한 검문차량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64)에 저장된 수배차량 정보와 비교하여 조회한 차량 정보가 수배중인 차량 정보와 일치할 경우, 현재 검문중인 차량이 수배차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후술하는 디스플레이장치(7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62)는 차량하체 인식부(67)로부터 차량하체의 이미지가 입력되면, 이에 해당되는 차종의 표준 이미지를 데이터 베이스부(64)의 데이터로부터 조회하고, 조회한 표준 이미지와 입력된 차량하체의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불일치할 경우, 현재 검문중인 차량의 하체에 이상물체가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후술하는 디스플레이장치(70)에 출력한다.
데이터 베이스부(64)는, 현재 국내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와, 이 번호에 해당하는 차종, 연식, 보험가입유무, 교통법규 위반사항 및 차주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등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번호 인식부(66)로부터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응한 차량 정보를 제어부(62)에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부(64)는 차종별, 차량하체의 표준 이미지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하체 인식부(67)로부터 차량하체 이미지가 인식되면, 이에 해당하는 차종의 표준 이미지 정보를 제어부(62)에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부(64)는 현재 수배중인 차량의 정보도 저장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부(64)는 차량번호 인식부(66)와 차량하체 인식부(67)로부터 입력된 차량번호와 차량하체의 이미지를 수집하고 저장하기도 한다. 여기서, 데이터 베이스부(64)는 전자제어유닛(60)에 일체로 내장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 경찰청의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64)가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전자제어유닛(60)과 연결된다.
차량번호 인식부(66)는,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으로, 제 1카메라(26)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이진화하고, 이진화된 이미지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차량번호이외의 노이즈를 제거한 다음, 최종적으로 차량번호의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인식한다. 패턴인식 알고리즘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하체 인식부(67)는,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으로, 제 2카메라(27)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이진화하고, 이진화된 이미지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차량하체 이미지이외의 노이즈를 제거한 다음, 최종적으로 차량하체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를 인식한다. 패턴인식 알고리즘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입력부(68)는, 제어부(62)에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예를 들면 키보드, 조이스틱 등으로 구성되며, 검문자로 하여금 카메라 장치(20)에 대한 동작명령, 와이퍼 장치(30)에 대한 동작명령, 와셔액 공급장치(40)에 대한 동작명령, 카메라 이동장치(50)에 대한 동작명령 등과 같은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입력부(68)는 수배중인 차량의 정보도 입력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부(64)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자제어유닛(60)에 의하면, 제 1카메라(26)와 제 2카메라(27)로부터 입력된 검문차량의 영상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차량번호와 차량하체 이미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번호와 차량하체의 이미지를 처리함으로써, 검문차량의 차적을 자동적으로 조회할 수 있다. 또한, 검문차량의 차적과 수배중인 차량의 차적을 비교 처리함으로써, 현재 검문하는 차량이 수배 차량인가의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검문차량의 하체 이미지와 표준 하체 이미지를 비교 처리함으로써, 현재 검문중인 차량의 하체에 이상물체가 부착되어 있는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검문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7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장치(70)는 모니터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카메라(26, 27)로부터 입력되는 차량번호 및 차량하체의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부(62)로부터 출력되는 검문차량의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현재 검문하고 있는 차량이 수배중인 차량인가의 여부 및 이상물체의 부착유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70)는, 현재 검문중인 차량(C)의 차량번호와 차량하체의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검문자가 직접 차량에 근접하지 않고서도 차량번호와 차량의 하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검색거울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차량 하체(C2)를 높은 정밀도로 검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 검문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을 도 11과 도 1과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검문구역의 진입도로(A)에 차량(C)이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한다(S101). 이때,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었으면, 제 1카메라(26)로써, 차량(C)의 번호판(C1)을 촬영하여 차량번호판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S103), 획득된 차량번호판의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S105).
한편, 차량번호판에 대한 영상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되면, 획득한 차량번호판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차량번호판의 이미지를 추출하고(S107), 추출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한다(S109).
그리고 차량번호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차량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64)의 데이터로부터 조회하고(S111), 조회한 차량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부(64)에 저장된 수배차량 정보와 비교하여 조회한 차량 정보가 현재 수배중인 차량 정보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S113).
판단결과, 조회 차량 정보와 수배중인 차량 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현재 검문중인 차량이 수배차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고(S115), 출력된 신호에 따라 수배차량임을 디스플레이 한다(S117).
한편, 상기 양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가 완료되면, 다시 제 2카메라(27)로써, 차량(C)의 하체(C2)를 촬영하여 차량하체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S119), 획득된 차량하체의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S120).
아울러 차량하체의 영상데이터 획득이 완료되면, 획득한 차량하체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차량하체의 이미지를 추출하고(S121), 추출된 차량하체의 이미지를 인식한다(S123).
그리고 차량하체의 이미지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차종 의 표준 이미지를 데이터 베이스부(64)의 데이터로부터 조회하고(S125), 조회한 표준 이미지와 입력된 차량하체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S127).
판단결과, 표준 이미지와 입력된 차량 하체의 이미지가 불일치할 경우, 검문중인 차량의 하체에 이상물체가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출력하고(S129), 출력된 신호에 따라 검문중인 차량에 이상물체가 부착되어 있음을 디스플레이 한다(S131).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은, 차량 하체의 영상데이터로써 차량을 검사하는 구성이므로, 차량의 하체를 검색거울로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차량의 하체를 높은 정밀도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검문차량의 차적을 자동으로 조회할 수 있고, 검문차량의 하체에 대한 이상물체 부착유무를 자동으로 검사하므로, 차량의 검문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명이 어두운 야간에도 고선명도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여 검문할 수 있으므로, 검문의 정밀도가 매우 우수하다.

Claims (10)

  1. 검문구역으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과;
    적외선 엘이디(LED) 조명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진입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1카메라(26)와 차량의 하체를 촬영하는 제 2카메라(27)가 일체로 구비된 카메라 장치(20)와;
    상기 제 1카메라(26)를 통해 획득한 번호판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66)와;
    상기 제 2카메라(27)를 통해 획득한 하체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하체 이미지는 인식하는 차량하체 인식부(67)와;
    차량번호와,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차량 정보 및 차종별 하체 표준 이미지와, 수배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64)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66)와 상기 차량하체 인식부(67)로부터 차량번호와 하체 이미지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되는 차량 정보와 하체 표준 이미지를 데이터 베이스부(64)에서 조회함과 아울러, 조회한 차량 정보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64)의 수배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조회한 차량 정보가 수배중인 차량 정보와 일치할 경우, 검문중인 차량이 수배차량인 것으로 판단하고, 조회한 표준 하체 이미지와 상기 차량하체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하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서로 불일치할 경우, 검문중인 차량의 하체에 이상물체가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62)와;
    상기 제 1카메라(26) 및 제 2카메라(27)로부터 입력되는 차량번호와 차량하체의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62)에서 조회한 차량 정보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검문중인 차량이 수배차량이고, 그 하체에 이상물체가 부착되어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검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20)는,
    도로(A)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52)과; 카메라 장치(20)를 따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레일(52)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54)와; 상기 레일(52)에 형성되는 랙기어(55a)와, 상기 랙기어(55a)와 치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54)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55b)와, 상기 피니언기어(55b)를 역,정회전시키는 회전모터(55c)로 이루어진 운동수단(55)을 구비하여, 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의 하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카메라(26) 및 제 2카메라(27)를 덮는 투명커버(28)와; 상기 투명커버(28)의 표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장치(30)와; 상기 투명커버(28)의 표면에 와셔액을 공급하는 와셔액 공급장치(40)로 이루어져 상기 투명커버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검문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50089789A 2005-09-27 2005-09-27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 KR10069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789A KR100692605B1 (ko) 2005-09-27 2005-09-27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789A KR100692605B1 (ko) 2005-09-27 2005-09-27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2605B1 true KR100692605B1 (ko) 2007-03-13

Family

ID=3810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789A KR100692605B1 (ko) 2005-09-27 2005-09-27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6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26B1 (ko) 2008-01-07 2008-04-16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방범용 차량번호 인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6093442A1 (ko) * 2014-12-09 2016-06-16 (주)하이젠 대테러용 스마트 차량 검문 시스템
KR20160143409A (ko) * 2015-06-05 2016-12-14 김태영 차량 하부 검색 로봇시스템
KR101745988B1 (ko) * 2015-07-16 2017-06-12 김태웅 차량 하부 촬영시스템
CN110031911A (zh) * 2019-05-10 2019-07-19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车辆底盘检查装置、方法及车辆扫描系统
KR102562147B1 (ko) 2023-02-28 2023-08-01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라인스캔카메라의 이미지 정보 분석을 통한 차량하부 정상 영상 검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408A (ko) * 2000-03-25 2001-10-18 정재용 도난 차량 자동 검문 시스템
KR20010107383A (ko) * 2000-05-27 2001-12-07 여기주 차량 검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 방법
KR20030069315A (ko) * 2002-02-19 2003-08-27 주식회사 기가밉스 이동식 수배차량 검거시스템
KR20050003664A (ko) * 2003-07-03 2005-01-12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408A (ko) * 2000-03-25 2001-10-18 정재용 도난 차량 자동 검문 시스템
KR20010107383A (ko) * 2000-05-27 2001-12-07 여기주 차량 검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 방법
KR20030069315A (ko) * 2002-02-19 2003-08-27 주식회사 기가밉스 이동식 수배차량 검거시스템
KR20050003664A (ko) * 2003-07-03 2005-01-12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차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차량의 통제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26B1 (ko) 2008-01-07 2008-04-16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방범용 차량번호 인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6093442A1 (ko) * 2014-12-09 2016-06-16 (주)하이젠 대테러용 스마트 차량 검문 시스템
KR20160143409A (ko) * 2015-06-05 2016-12-14 김태영 차량 하부 검색 로봇시스템
KR101707197B1 (ko) 2015-06-05 2017-02-24 주식회사 테크업 차량 하부 검색 로봇시스템
KR101745988B1 (ko) * 2015-07-16 2017-06-12 김태웅 차량 하부 촬영시스템
CN110031911A (zh) * 2019-05-10 2019-07-19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车辆底盘检查装置、方法及车辆扫描系统
KR102562147B1 (ko) 2023-02-28 2023-08-01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라인스캔카메라의 이미지 정보 분석을 통한 차량하부 정상 영상 검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605B1 (ko)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
CA2599002C (en) Entry control point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5939897B (zh) 具有传感器系统的用于机动车的标牌以及相关的方法
US20070009136A1 (en) Digital imaging for vehicular and other security applications
US20210396684A1 (en) Assembly for detecting defects on a motor vehicle bodywork
JP2002502048A (ja) 光を通す窓ガラスの上にある物体を検出する方法と装置
KR101372832B1 (ko)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630154B1 (ko) 차량 하부 영상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780989B1 (ko) 번호인식기의 오염감지기능 자동 와이퍼
CN105992999A (zh) 装配模块
KR20100066161A (ko) 이동식점검대차를 이용한 교량점검시스템
CN105960358A (zh) 用于提供工作信号的方法
CN111289261A (zh) 一种库内车底部件检测方法
KR20150137666A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KR101663096B1 (ko) 차량의 도난 방지 장치
CN109141937A (zh) 一种智能化轮胎评估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339011B1 (ko) 자율차량에서 주야간 보행자 감지를 위한 적응적 스위처 및 이를 이용한 보행자 감지 장치
KR100758205B1 (ko) 영상에 대한 좌표 인식이 가능한 교량점검 시스템
JP4406578B2 (ja) 洗車機
KR102015723B1 (ko) 지하 주차장의 주차 면에 장착하는 등기구
KR101374082B1 (ko)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
JP4739144B2 (ja) 洗車機
US202201482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damages in vehicles
JP2006151268A (ja) 洗車機
KR20160064060A (ko) 차량 하부검색과 차량 번호판 인식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