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082B1 -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082B1
KR101374082B1 KR1020130161316A KR20130161316A KR101374082B1 KR 101374082 B1 KR101374082 B1 KR 101374082B1 KR 1020130161316 A KR1020130161316 A KR 1020130161316A KR 20130161316 A KR20130161316 A KR 20130161316A KR 101374082 B1 KR101374082 B1 KR 10137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image
barricade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3016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신속하게 차량 검색 시스템이 필요할 경우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및 철근 배근과 같은 복잡한 바리케이드 지중 공사 과정 없이 지반 굴착 후 신속하게 바리케이드를 매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이 바리케이드와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매립과정 없이 설치하여 내장된 영상 대조수단, 이온 검출 수단, 색 검출 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폭발물 등의 위험물질을 신뢰성 있게 다중 검색하고 위험 발견시 신속하게 바리케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underground barricade and movable detecting device for underbody of vehicle}
본 발명은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차량 검색 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건물이나 장소 또는 중요 행사 등과 같이 임시로 보안 검색이 필요할 경우 해당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하여 신속 시공 및 설치하여 다양한 검색 방법으로 출입 차량을 다중 검색하고 차단함으로써 폭발물과 같은 위험물을 신뢰성 있게 검색할 수 있고, 필요시 손쉽게 해체하여 이동할 수 있는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리케이드는 사람이나 차량 등의 통행을 막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해 놓은 노상의 장애물을 뜻하는 것으로, 통상 불법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도록 시설물의 정문 또는 주차장의 진출입로 등에 설치된다.
가장 일반적인 바리케이드 형상으로는 지면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며 수직 및 수평 지지봉으로 이루어진 측면 형상이 삼각 구조를 이루는 바리케이드이다. 다만 이와 같은 바리케이드는 차량이 출입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바리케이드를 이동시켜야 하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 바리케이드 기술로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8-010816호(명칭:차량 출입 통제용 바리케이트)가 있는데, 구성을 보면 차량의 통행시 수동 또는 전동으로 팬터그래프 링크를 확개시켜 일정높이로 돌출되도록 하여 차량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하지만 이 기술은 지면상에 볼트로 고정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어, 설치장소의 제약이 뒤따르게 되며, 그 구조가 상하 승강작용에 용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음부를 포함한 부분의 강성이 취약하여 무단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실질적인 차단 효과가 미미하고, 더욱이 그 높이가 축소시에도 일정높이가 항시 돌출되어 있어 차량의 원활한 진행에 방해가 되고, 만약 차량의 바퀴가 바리케이드 위로 올라갈 경우에는 차량이 무게 중심을 잃어 전복될 수 있다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또 다른 종래 기술로 설치장소에 관계없이 차량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으며, 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국내 실용신안 출원 제 20-2000-0021772호(명칭:바리케이드)가 있는데, 그 구성은 지면의 하측으로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갖는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힌지축에 축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유압의 공급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로드를 갖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가 상기 본체의 회전 반경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와 본체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회전수단을 구비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유압실린더와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유니버셜 조인트이며, 상기 본체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후방에 스톱퍼가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하부 프레임구조가 존재치 않아 겨울철에 땅으로부터 냉기가 올라와 유압실린더를 포함한 각종 전장품 등이 동결되어 작동이 불가능해 질 수 있다는 문제점, 장마철 등의 우기시 빗물이 땅으로부터 스며들어 전장품을 포함한 바리케이드 내부가 침수되고, 누전될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기술로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인 특허등록 제 10-0529717호(명칭: 충격흡수용 일체형 수납부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가 있다. 이 기술의 구성은 지면 하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구비하여 수납되고 후방부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에서 축결합하는 차단막과, 하부 공간부에 설치되어 차단막 하부 일지점을 로드와 연결시켜 차단막을 상부방향으로 회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에 있어서, 전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경고등을 구비하고, 상면 일지점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점검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면부를 지지 보강하는 보강구조가 형성된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과 상부 일측면 힌지축에서 축결합되고, 내부에 차단막이 수납되는 공간부가 구비되는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의 저면 일 지점에는 차단막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몸체를 이루는 육면체중 어느 일측을 관통하는 배수관 및 연결관이 형성되고, 몸체를 이루는 육면체의 표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충격량을 흡수 지지하는 보강구조가 형성된 일체형 수납부로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본 출원인의 상기 특허등록 제 10-0529717호는 상기한 바리케이드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한 장점이 있지만, 이 역시 시공시 바리케이드를 지중에 매립 시공하여 완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터파기 작업, 바닥에 대한 철근배그 및 콘크리트 타설단계, 바닥양생단계, 측면벽용 철근 배근 작업, 거푸집 구성단계, 콘크리트 타설단계, 양생단계, 거푸집 해체 단계, 외부 집수정과 배관작업 단계를 거친 후 장비를 안착후 설치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지중 매립된 바리케이드를 해체하거나 인출시 일체형 수납부가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매설형 바리케이드를 온전한 형태로 인출하기가 불가하여 콘크리트를 부셔야 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살펴본 종래의 바리케이드는 이동형이든 매립형이든 간에 통행을 차단하는 목적에는 부합하지만, 출입하는 차량이 안전한 차량인지 폭발물 등의 위험물질이 탑재된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일괄적인 출입통제 장치로 사용될 수 없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보통 바리케이드와 함께 사람이나 차량의 출입 허가를 판단하기 위해 각종 입출입 검색장비가 설치되거나 인력에 의한 검문을 실시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종래의 검색 시스템을 살펴본다.
상기에서 입출입 검색 장비라 함은 그 대상이 사람일 경우 아이디 카드나 생체정보 또는 비밀번호 입력에 의한 신원 조회 장비, 엑스선 검색장비, 금속탐지장비 등이 일반적인 장비이다.
또한 차량일 경우는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장치가 주로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장치로는 주로 RF(Radio Frequency)태그를 이용하는 방식, 하이패스(High Pass)에 의한 방식, 루프 센서에 의한 방식 및 카메라를 이용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고, 최근에는 문자 인식률이 좋아져서 LPR(문자인식) 시스템이 아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차량 검색 장비는 차량의 차적 조회에 의한 검색방식이어서 실제 차량의 위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라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 인력에 의한 검문은 출입하고자 하는 사람이 소지하고 있는 신분증이나 물건을 직접 검문자가 검사하여 위험 여부를 확인하고, 추가적으로 필요하면 신체 또는 옷을 직접 만져 검색하거나 금속탐지기나 엑스레이 검색 장비등을 이용하여 검색하여 입출입을 허가하는 방식이다.
또한 차량일 경우에는 검문자가 탑승자에 대한 육안 검색, 차량 내부나 트렁크에 적재된 물품의 검사 그리고 반사경 및 폭발물 탐지견 등을 이용하여 차량하부를 검사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입출입 검색 방식은 사람일 경우 다단계의 검색에 의해 신뢰성 있는 입출입 통제가 가능하지만 차량일 경우에는 그 신뢰도가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 이유는 반사경을 통해 차량 하부를 잠시 본다는 것은 차량에 대한 전문가 일지라도 상당한 시간이 걸려야만 차량 하부의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를 잠깐 동안 현장 검문자가 살펴본다 할지라도 검문자 개개인의 차이에 따라 너무 많은 변수가 있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검색이라고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사람이나 차량에 대한 검문 검색은 대부분 보안이 요구되는 고정 건물의 입출구 쪽 도로에 매립형 검색 장비나 신뢰성 있는 검색 장치를 구비하여 입출입을 통제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건물이나 개방된 공개 장소에서 임시로 열리는 행사 등에서는 매립형 또는 신뢰성 있는 검색 장비를 신속히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차량에 대한 검색은 더더욱 검색 방법에 신뢰성에 문제가 있어 왔다. 그 이유는 차량에 대한 검색이 대부분 탑승자나 실내 또는 트렁크에 대한 검색이 대부분이고, 차량 하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반사경을 이용한 검색이어서 여전히 신뢰성 있는 하부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차량 하부 검문 검색이 중요한 이유는 대부분의 대형 테러 등에 사용되는 폭발물 들은 통상 차량의 하부에 폭발물을 몰래 설치하거나 차량 하부를 개조해서 폭발물을 은닉하여 검문소 등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차량 하부의 영상을 다양한 방법으로 촬영하여 이를 미리 저장된 차량정보와 대조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 영상 대조방식은 그 아이디어는 좋으나 실제 검색시 촬영된 영상이 주로 복수개의 카메라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이어서 이를 기준이 되는 표준 영상과 대조하기 위해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고 보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려 신속한 검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광량에 대한 대비 수단이 없어서 밝은 날일 경우 SUV와 같이 차체가 높은 차량을 경우 측방향에서 입사되는 과도한 광량으로 인해 차량 하부의 양측 바깥쪽은 화이트 노이즈가 생겨 영상 정보 판단이 불가능하고 이러한 명도차이 때문에 내부는 더욱 검게 나와 이 역시 영상 정보 판단이 불가능하여 실제로 영상 대조에 사용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영상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차량의 하부에서 떨어지는 먼지 등으로 차량을 촬영시 먼지 등의 이물질 때문에 영상에 노이즈가 생겨 영상 대조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영상 대조를 위한 검색에서는 촬영영상과 표준 영상을 현장 검색자가 검색함으로써 차량 전문가가 아닐 경우 해당 차량의 하부 영상 정보를 보고 변경된 부분이 있어도 이를 밝혀내지 못할 수도 있고, 또한 컴퓨터에 의한 대조시에도 외곽선 추출 등을 위한 대조 영상 비교가 대부분이어서 촬영된 하부 영상과 기준이 되는 표준 하부 영상의 외곽선 추출 형상이 유사할 경우 무사 통과될 위험성이 있다.
즉, 만약 테러범이 차량하부에 비금속성 화약 등의 폭발물을 정교하게 숨겨 놓을 경우 참조가 되는 차량 영상정보와 촬영된 차량 영상정보 간에 형태 변화 정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량의 하부에 대한 개조 여부를 알수 있는 검색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매립형 또는 고정형 차량 하부 영상 검색 장치들은 그 설치 위치가 노출되어 있고 손쉽게 이동할 수 없는 고정 구조물이기 때문에 사전에 해당 차량 하부 검색 장치를 통과할 때는 폭발물을 설치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운행하여 통과후 나중에 폭발물을 장치할수도 있어서 장기적으로는 검색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리케이드와 차량 검색장치를 이용하여 검색시 임의의 장소에 신속 시공하고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이동 설치할 수 있는 통합적인 차량 통제 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92605(2007.03.02.)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80988(2003.04.08.)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64025(2010.06.08.)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19515(2007.05.1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게 차량 검색 시스템이 필요할 경우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및 철근 배근과 같은 복잡한 바리케이드 지중 공사 과정 없이 지반 굴착 후 신속하게 바리케이드를 매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이 바리케이드와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매립과정 없이 설치하여 내장된 영상 대조수단, 이온 검출 수단, 색 검출 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폭발물 등의 위험물질을 신뢰성 있게 다중 검색하고 위험 발견시 신속하게 바리케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에 집수정 기능을 구비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집수 및 배수 관련된 배관공사 없이 신속히 시공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식으로 구성된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의 검색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영상 대조수단의 상부에 위치한 보호 커버의 이물질을 자동 청소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항시 신뢰성 있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식으로 구성된 검색 시스템의 전후방에 조도센서를 내장하여 매립함으로써 외부에 별도의 매립형 루프센서를 매립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차량의 집입과 진출을 감지할 수 있고, 또한 동시에 광량을 측정하여 편광필터를 작동시켜 항시 선명한 영상 정보를 얻어 대조할 수 있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구비한 후 하나의 메인 제어부에서 검색 및 바리케이드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메인 제어부의 데이터 처리시의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개별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에 자체 로컬 제어부를 구비하여 일정 데이터를 미리 처리토록 하고, 로컬 제어부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데이터만 메인 제어부에서 처리토록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기와;
진입하는 차량의 하부 영상을 촬영하는 라인 스캔 카메라와, 차량의 하부쪽에서 발생한 이온을 검출하는 이온 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와;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와 이격된 지점에 매립되어 차단막이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차단막과 차단막 승하강용 유압실린더가 수납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가 내부에 수납되어 결합되고 외부에는 복수개의 견인용 러그가 형성된 제 2 케이스로 구성된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과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를 비교함과 동시에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영역별로 나눈 후 이웃하는 영역과의 색 변화율을 비교하고, 차량 하부에서 검출된 이온 정보를 가지고 폭발물의 이온 성분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량 하부의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차단막 승하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검색 차종의 표준 하부 영상 정보, 폭발물 성분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고,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와 이온 검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는 라인 스캔 카메라와 이온 검출기를 내장하고 있는 검색모듈과;
서로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위 모듈로 이루어져 상기 검색모듈 둘레에 조립식으로 설치되고,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는 조도센서가 차량 진입쪽 또는 진출쪽 단위 모듈에는 복수개가 매립된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과;
상기 검색모듈의 둘레에 위치한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 상부에 돌출 설치되어 검색모듈을 보호하는 검색모듈 보호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검색모듈은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 상부면 일 지점에는 폭방향으로 라인 스캔 카메라 촬영용 슬릿 홈이 형성되고, 타 지점에는 이온 검출 통로용 이온 검출용 홈이 형성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반사경을 통해 촬영하는 라인 스캔 카메라와; 이온 검출기와; 슬릿홈 하부에 설치되어 반사경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부와; 모터 회전축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편광필터로 구성되어 조도센서가 측정한 광량 정보에 따라 로컬 제어부가 편광필터를 회전시켜 라인 스캔 카메라에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토록 구성한 편광필터부와; 상기 라인 스캔 카메라, 이온 검출기, 편광필터부, 보호커버부 및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에 매립 설치된 복수개의 조도센서를 제어하는 로컬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보호커버부는 투명 재질의 보호커버와; 보호커버를 슬라이딩시키는 엑츄에이터와; 슬릿 홈과 보호커버 사이의 경계 틈에 설치된 청소용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면적은 슬릿 홈의 면적 보다 크게 하여 엑츄에이터가 슬릿 홈의 면적 단위로 보호커버를 밀거나 당기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개별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는 이 개별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구성하는 검색모듈 내부에 장치된 로컬 제어부에서 처리하고,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 및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하나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각 로컬 제어부에서 전송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와 이온 정보 및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차단막 승하강을 처리토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는 각각 형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육면체의 모서리 및 중간 보강 골격을 구성하고, 프레임과 프레임간은 철판을 이용하여 벽체를 구성하고, 저면에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충격에 대한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형강으로 이루어진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2 케이스에 안착된 제 1 케이스의 둘레 및 하부 받침대와 제 2 케이스의 프레임 및 벽체간에 형성된 공간부에 형성된 집수부와;
제 1 케이스의 저면 벽체, 제 1 케이스의 받침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홀과;
제 1 케이스의 내부 일지점에 설치된 수중펌프 및
수중펌프와 연결되어 제 1 케이스의 상부 배수함까지 연결된 내부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 양태로, 하나 이상의 도로에 각각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와 차량번호 인식기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정보를 전송받는 메인 제어부를 유무선 도달 거리 내에 설치하는 단계와;
이후 차량번호 인식기가 접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와;
이후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는 단계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가 라인 스캔 카메라와 이온 검출기를 작동시켜 진입된 차량의 하부 영상을 촬영하고 방출된 이온을 검출하는 단계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로부터 차량의 하부 영상정보 또는 이온 검출 데이터가 전송되면 메인 제어부에서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과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로부터 전송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를 비교함과 동시에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영역별로 나눈 후 이웃하는 영역과의 색 변화율을 비교하거나, 차량 하부에서 검출된 이온 정보를 가지고 저장 장치에 기 저장되어 있는 폭발물의 이온 성분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량 하부의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메인 제어부가 차량 하부의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 판단에 따라 원격지의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차단막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단계(S6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 이전에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가 라인 스캔 카메라를 작동시켜 영상을 촬영 후 영상 정보에 따라 이물질이 있을 경우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구성하는 검색모듈의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에 형성된 슬릿홈 하부에 설치된 보호커버부의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 보호커버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이물질이 없는 보호커버 면을 위치시키고 슬릿 홈과 보호커버 사이의 틈새에 장치된 청소용 부재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 이전에 온도센서의 온도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구성하는 검색모듈의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 내부가 설정온도 이상 내려가면 히터가 작동하여 내부 온도를 승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는 단계는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의 검색모듈 내부에 장치된 로컬 제어부가 상기 검색모듈 둘레에 설치되는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의 전방에 다수개 설치된 조도센서들로부터 광량정보를 전송받은 후 진입된 차량의 폭방향 별 조도를 각각 검출하여 조도 차이가 클 경우 편광필터부의 편광필터를 라인 스캔 카메라의 렌즈쪽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가 이온 검출기를 작동시켜 진입된 차량에서 방출된 이온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의 검색모듈에 장치된 로컬 제어부는 로컬 저장장치에 저장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온 검출기에서 검출된 이온이 폭발물에서 나오는 이온 정보인지를 1차로 판단 후 폭발물 이온에 해당하면 메인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메인 제어부가 저장장치에 저장된 사전에 기 생산된 차량의 하부를 라인 스캔 카메라로 동일하게 촬영하여 저장한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된 차량의 하부 영상간을 레이어 방식으로 겹쳐서 대조하는 방법 또는 외곽선을 추출하여 해당 선만을 대조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비교하여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색 변화율 비교는 디지털 방식으로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격자형으로 분할하고 디지털 정보를 가진 영상의 각 픽셀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된 영역의 색과 이웃하는 영역 또는 동일 영역의 색을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상, 명도, 채도로 구분하고 비교하여 색상, 명도, 채도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보안이 필요한 주요 건물 또는 중요 행사장 등에서 신속하게 차량 통제가 필요할 경우 복잡한 시공 과정없이 신속하게 임의의 도로에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설치하여 신속하게 차량 하부를 검색하고 바리케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설치된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영구 설치하지 않고 해체하거나 이동이 필요할 경우, 손상없이 신속하게 바리케이드를 지상으로 인출하고,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는 간단히 분리하여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바리케이드를 집수정 기능을 구비한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배수 관련된 배관공사 없이 신속히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이동식으로 구성된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의 검색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영상 대조수단의 상부에 위치한 보호 커버의 이물질을 자동 청소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항시 신뢰성 있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이동식으로 구성된 차량 검색 시스템에 내장된 영상 대조수단, 이온 검출 수단 및 색 검출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폭발물 등의 위험물질을 신뢰성 있게 다중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대조수단에 사용되는 카메라 시스템을 복수개의 카메라가 아닌 단일의 라인 스캔 카메라로 구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카메라 촬영시 발생하는 촬영 영상의 합성 및 보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합성에 따른 영상 정보의 왜곡을 없앰으로써 컴퓨터에 사전 등록된 차량 하부영상 정보와 영상 대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일치 및 검색시간을 줄여 영상 대조 검색 결과의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검색시스템의 전후에 내장 설치한 조도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종래 다른 차량검색 시스템처럼 사전에 별도의 루프센서를 지중에 매립하여 설치하지 않고도 감지할 수 있고, 동시에 이 조도센서를 차량의 입출입뿐만 아니라 검색 시스템 설치 장소의 광량을 측정토록 함으로써 내장된 편광필터의 작동여부를 제어토록 함으로써 영상 대조수단이 항시 적절한 광량하에서 선명한 명암을 가진 차량하부 스캔 영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검문 결과의 신뢰를 높였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현장 또는 원격지의 메인 제어 부에서 복수개의 바리케이드 및 이동식 차량하부 검색기 통합하여 제어하면서 자체 내장된 차량정보 또는 원격지의 서버에 저장된 차량정보 그리고 각종 폭발물 정보를 통합하여 검문함으로써 현장 검문 담당자의 능력에 상관 없이 수준 높은 검문 결과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구비한 후 각각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에서 전송된 검색 결과를 하나의 메인 제어부에서 동시에 대조함과 동시에 메인 제어부의 데이터 처리시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개별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에 자체 로컬 제어부를 구비하여 일정 데이터를 미리 처리토록 하고, 로컬 제어부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데이터만 메인 제어부에서 처리하여 검섹 시간과 신뢰도를 높였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검색시스템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모듈의 내부 구성을 보인 평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모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보인 예시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측 단면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평면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검색시스템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모듈의 내부 구성을 보인 평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모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보인 예시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측 단면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속매립형 바리케이드의 평면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기(1)와;
진입하는 반사경을 통해 차량의 하부 영상을 촬영하는 라인 스캔 카메라와, 차량의 하부쪽에서 발생한 이온을 검출하는 이온 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와;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와 이격된 지점에 매립되어 차단막이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차단막(311)과 차단막 승하강용 유압실린더(312)가 수납되는 제 1 케이스(31)와, 상기 제 1 케이스가 내부에 수납되어 결합되고 외부에는 복수개의 견인용 러그(321)가 형성된 제 2 케이스(32)로 구성된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3)와;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과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를 비교함과 동시에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영역별로 나눈 후 이웃하는 영역과의 색 변화율을 비교하고, 차량 하부에서 검출된 이온 정보를 가지고 폭발물의 이온 성분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량 하부의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차단막 승하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검색 차종의 표준 하부 영상 정보, 폭발물 성분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고,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와 이온 검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1)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개별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는 검색모듈(21)에 장치된 로컬 제어부에서 처리하고,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1)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 및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3)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하나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각 로컬 제어부에서 전송된 차량 하부 영상과 이온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하여 데이터 처리량을 줄이면서도 신속하게 다중 지점을 원격 관리토록 구성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는 미도시되었으나 메인제어부의 처리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모니터와 연결되고,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표시부분의 정보를 클릭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마우스나 키보등의 입출력 장치 그리고 유수선 송수신 장치 및 인터넷과 연결되기 위한 각종 공지의 장치 구성과 장치되어 구성된다. 즉, 메인제어부는 컴퓨터시스템의 CPU로 생각하면 된다. 기타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생략한다.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1)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최근 가장 인식률이 높아 보급률이 증대되고 있는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방식 번호판 인식기를 사용한다. 다만 이러한 LPR 인식기는 상용의 장치를 구비하여 차량 번호만 추출하면 충분하다. 참고로 LPR 방식 번호판 인식기의 작동방법은 일종의 OCR(광학문자인식)기술로 설치된 CCD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입력된 디지털 영상정보로부터 사각의 차량번호판 모양 객체를 1차 추출하고, 해당 사각 객체 내의 이미지로부터 문자와 숫자로 된 텍스트를 2차로 추출하여 인식하는 방식이다. 더 이상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용의 장치이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기에서 인식된 차량번호는 메인 제어부(4)가 경찰 또는 구청 등의 행정기관에서 입수한 차적 정보나 실시간으로 접속된 행정 전산망을 통해 해당 차량의 차종을 얻는데 사용된다.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는 라인 스캔 카메라와 이온 검출기를 내장하고 있는 검색모듈(21)과;
검색모듈 둘레에 조립식으로 설치되고,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확인할 수 있는 조도센서가 매립된 복수개의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22)과;
상기 검색모듈의 둘레에 위치한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 상부에 돌출 설치되어 검색모듈을 보호하는 검색모듈 보호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색모듈(21)은 도시된 한 실시예를 따르면 본체를 이루는 4각 박스 형태 케이스(210) 내부에 반사경을 통해 촬영하는 라인 스캔 카메라(211)와 이온검출기(212)를 포함한 여러 구동 장치 구성이 수납되어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0)는 각각의 면이 이웃하는 면과 개별적으로 조립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상부면 또는 어느 일측면만 착탈식 또는 힌지 방식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개폐수단으로 구성되어 내부 장치가 유실되지 않도록 구성하면 충분하다. 다만 내구성을 위해 재질은 금속재질 또는 강화 플라스틱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은 차량이 진입하는 쪽 일부면이 폭방향으로 길게 천공되어 촬영을 위한 슬릿 홈(213)이 형성된다. 이 슬릿 홈은 하부에 수납된 라인 스캔 카메라가 차량 하부를 촬영하는데 사용되는 개방부이다.
상기 라인 스캔 카메라(211)는 광각 렌즈를 가진 카메라로 거의 180도에 가까운 촬영각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차량의 폭방향 하부 영상을 라인 단위로 스캔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폭방향 정보를 모두 가지면서도 차량의 길이방향 왜곡이 거의 없어서 균일한 하부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충분한 촬영각을 얻기 위해 라인 스캔 카메라는 슬릿홈 하부에 설치된 반사경(2111)에 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즉, 슬릿홈 하부에는 반사경이 설치되고, 반사경과 충분히 케이스 내부에서 이격된 거리에 라인 스캔카메라가 위치하여 촬영하게 된다.
촬영시 상부방향으로 조사되는 하나 이상의 조명(2112)이 함께 작동하여 촬영된 영상이 선명하게 촬영되도록 한다. 조명 방식은 카메라 촬영시 일정광량 이상이 제공되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한번의 촬영으로 차량 하부 폭방향 영상을 얻기 때문에 종래 복수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차량 하부의 폭방향을 찍을 경우 이웃하는 카메라가 찍은 영상과의 겹침 부분을 보정하여 일치시키는 등의 합성 및 보정 과정이 삭제됨으로써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영상을 얻을 수 있어서 영상 대조시 별도의 영상 보정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대조할 수 있어서 영상 대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라인 스캔 카메라의 원리나 구성자체는 상용의 제품 또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카메라의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라인 스캔 카메라의 렌즈쪽에는 조도센서의 광량 정보에 따라 편광필터부(214)가 장치되어 회전작용에 의해 편광필터(2141)가 라인 스캔 카메라의 렌즈 앞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편광필터부의 작동은 검색모듈의 케이스 내부에 장치된 로컬 제어부가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식 편광필터부가 구비되면 밝은 대낮에 SUV와 같이 차체가 높은 차량이 진입시, 햇빛이 차량 하부까지 입사되거나 반사될 경우 과도한 광량으로 차량 하부 양측단 부위 쪽 영상에는 화이트 노이즈가 생기고 안쪽 영상은 너무 검게 나와 영상 정보 판단이 불가능해질 수 있는데 편광필터부가 작동하여 편광필터가 위치하면 렌즈에 입사되는 일정량의 광량을 제거하게 됨으로써 차량 하부 촬영 영상의 품질이 좋아지게 된다.
상기 편광필터는 라인 스캔 카메라 근처에 설치되어 작동시 렌즈 전방부를 덮도록 원판형 형상을 가지면 충분하고, 모터(2142)는 스텝모터나 서보모터 아니면 감속기가 구비된 모터를 구비후 회전축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편광필터를 설치하여 로컬 제어부가 조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광량정보를 판단하여 필요시 모터를 제어하여 회전축이 회전토록 함으로써 편광필터가 라인 스캔 카메라의 렌즈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복수개의 편광필터가 구비되면 좀더 다양한 광량조절이 가능하여 광량에 따라 편광필터들이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광량에 따른 편광필터가 렌즈에 입사되는 광량을 좀더 세밀하게 조절하게 된다.
이때 광량의 측정은 상기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22)에 매립 설치된 조도센서(221)를 통해 전송된 광량 정보를 로컬 제어부(215)가 받아 모터의 작동 여부를 판단토록 구성한다.
또한 조도센서(221)는 전방과 후방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검색모듈(21) 내부에 수납된 로컬 제어부(215)로 진입된 차량의 폭방향 별 조도를 각각 검출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함으로써 편광 필터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토록 구성한다.
또한 전방에 매립된 조도센서는 광량 차이에 의해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게 되고, 후방에 매립된 조도센서는 광량차이에 의해 차량의 진출을 감지하게 된다. 전방과 후방의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광량은 로컬 제어부에서 판단하여 최종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한다.
한편 상기 슬릿 홈(213)의 하부면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재 보호커버부(216)가 설치되어 라인 스캔 카메라의 촬영시 반사경에 이물질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영상정보가 깨끗이 촬영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보호커버부는 고정식 보다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고정식일 경우 이물질이 묻어 있을 경우 사람이 직접 이물질을 제거해야 되지만, 무인 차량 하부 촬영 검색기로 운용시는 사람 없이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깨끗한 보호커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보호커버부의 보호커버(2161)를 슬라이딩시키는 엑츄에이터(2162)를 구성하여 보호커버를 밀고 당기게 구성한다. 이때 보호커버의 면적을 상기 슬릿 홈의 면적 보다 크게 하여 엑츄에이터(2162)가 슬릿 홈의 면적 단위로 보호커버를 밀거나 당기도록 하여 보호커버의 상부면이 깨끗한 촬영면을 확보토록 함으로써 차량 하부 촬영 영상의 품질이 높아지도록 한다.
또한 스크래퍼 또는 브러시 같은 청소용 부재(2163)를 슬릿 홈과 보호커버 사이의 경계 틈에 더 설치하면 보호커버가 엑츄에이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밀리거나 당겨질 때 보호커버 상부 표면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져 사람이 별도로 청소하지 않아도 지속적으로 깨끗한 보호커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엑츄에이터는 수평방향으로 보호커버를 움직일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 에어 실린더 또는 모터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모듈의 케이스(210) 상부면의 일지점에는 또 다른 홈이 형성되는데 이 홈은 이온 검출용 홈(217)으로 하부에 위치한 이온 검출기(212)가 차량 하부에서 발생한 이온을 검출시 사용되는 홈으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온을 검출하여 차량 하부에 폭발물이 있는지를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온 검출용 홈 및 이온 검출기가 필요한 이유는 촬영된 차량의 하부 영상이 표준 하부영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되어도 영상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에 폭발물을 은닉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폭발물에는 특정 이온이 공기중에 방출되게 되는데 이를 검출하면 신뢰성 있는 차량 검색이 가능해진다. 종래 차량 하부 검색시 반사경과 함께 항시 폭발물 탐지견들이 냄새를 맏도록 하는 이유도 이와 같은 폭발물의 고유 냄새 또는 이온을 검출하는 행위와 마찬가지이다.
이온 검출기의 구성은 상용의 제품을 구입하거나 본 발명의 케이스 내에 장치될 수 있도록 주문 제작하면 되므로 이온 검출기의 세부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로컬 제어부(215)는 검색모듈(21) 내에 내장된 라인 스캔 카메라(211), 이온 검출기(212), 편광필터부(214), 보호커버부(216) 및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22)에 매립 설치된 복수개의 조도센서(221)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회로 연결되어 라인 스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이온 검출기에서 검출된 데이터의 1차적인 처리 및 상기 각 장치의 작동 관련된 제어를 담당하여 메인 제어부(4)의 데이터 처리 및 각 장치에 대한 제어 부하를 줄여줌으로써 복수개의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를 복수 지점에 이동식으로 설치시 단위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 스스로 독자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컬 제어부(215)는 차량안내 모듈의 조도센서에서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라인 스캔 카메라를 작동하게 하고, 이때 복수개의 조도센서에서 전송받은 광량 정보를 판단하여 균일하지 않은 광량정보가 입력되면 편광필터부의 모터를 작동시켜 모터 회전축에 장치된 편광필터(2141)를 라인 스캔 카메라(211)의 렌즈 전방부에 위치시키게 한다. 만약 복수개의 편광필터가 구비되어 있다면 광량정보에 따라 적합한 편광필터가 렌즈 전방에 위치하도록 회전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로컬 제어부(215)는 이온 검출기에서 검출된 이온이 폭발물에서 나오는 이온 정보인지를 1차로 판단하게 구성된다. 이때 이온 정보는 로컬 제어부(215)를 구성하는 로컬 저장장치(2151) 또는 롬(ROM) 등에 저장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단하면 된다. 이때 폭발물 정보에 해당하는 이온 정보가 검출될 경우 해당 이온 검출 정보를 메인제어부(4)로 전송하여 정밀 검색하게 한다. 메인 제어부(4)에서는 해당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되어 있는 폭발물 정보와 대조하여 어떠한 폭발물이 차량 하부에 장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한다.
또한 로컬 제어부(215)는 차량이 진입하지 않을 경우 부정기적 또는 정기적으로 라인 스캔 카메라를 작동시켜 상부쪽 영상을 촬영하여 보호커버(2161)의 표면에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를 촬영 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라인 스캔 카메라를 제어하는 이유는 차량 하부를 촬영시 영상에 이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표준 차량 하부 영상과 대조시 두 영상간에 불일치 정보가 생성되어 실제로는 정상적인 차량인데도 시스템 상의 오류로 수상한 차량으로 오인될 수 있는 검색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때 촬영된 영상에서 이 물질이 발견되었을 경우 로컬 제어부(215)는 보호커버부(216)에 장치된 엑츄에이터(2162)를 작동시켜 보호커버(2161)를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보호커버를 이동시키면 이물질이 묻어있지 않은 보호커버 표면이 슬릿 홈(213)의 영역을 차지하게 되어 라인 스캔 카메라가 상부쪽을 촬영시 깨끗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엑츄에이터에 의해 보호커버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슬릿 홈(213)과 보호커버 사이의 틈새에 장치된 청소용 부재(2163)에 의해 보호커버에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게 된다.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세정제 분사장치 등을 더 포함하여 습식 청소가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로컬 제어부(215)는 로컬 저장장치 뿐만 아니라 유무선 송수신 장치(2152)를 구비하여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22)에 매립된 조도센서(221) 또는 메인제어부(4)와 송수신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검색모듈(21)에는 전원부(218)가 내장되어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원은 배터리 방식 또는 외부 상시 전원 인가 방식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검색모듈(21) 내부에는 히터(219)가 구비되어 겨울철 또는 일정온도이상 하강시 온도센서(2191) 등의 온도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온도 이상 내려가면 히터가 작동하여 내부 장치들이 원활히 작동될 수 있도록 내부 온도를 승온 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22)은 서로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위 모듈로 구성하여 사각 형태를 가지는 검색모듈의 케이스(210) 둘레를 감싸 보호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진입부와 진출부는 경사 가공하여 차량의 진입과 진출시의 충격을 저감토록 구성한다. 재질은 차량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금속재질 또는 강화플라스틱 또는 약간의 완충력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22)은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위 모듈로 구성되어 설치 및 제거가 편리하여 이동성이 좋다. 또한 이웃하는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간은 서로간의 측면에 형성된 도브테일 결합방식, 요철 결합방식, 홈과 핀 결합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하여 조립하면 충분하다.
상기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의 차량 진입쪽 또는 진출쪽 단위 모듈에는 복수개의 홀을 가공하여 각 홀마다 조도센서(221)를 매립하여 설치 구성한다. 단 완전히 묻히도록 매립하는 것이 아닌 적어도 표면과 동일면을 가질 정도로만 매립하면 된다. 즉, 차량의 타이어와 접촉하여 파손되지 않을 정도만 매립하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도센서는 2가지의 역할을 담담하게 된다. 하나는 광량 변화에 의한 차량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센서 역할과 광량측정에 의한 편광필터부의 작동을 위한 센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검색모듈 보호대(23)는 검색모듈의 상부면 보다 상부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검색모듈 보호대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차량 진행 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방과 후방이 좁아진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차량의 하부에 장치된 타이어 폭의 위치룰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과 후방이 좁아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혹 검색모듈 보호대로 타이어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검색모듈 보호대는 차량의 진입과 진출을 안내하기 위하여 도색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 형상은 'ㄴ'자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31)와 제 2 케이스(32)의 구성은 "I"빔 또는 "H"빔과 같은 형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314, 322)으로 육면체의 모서리 및 중간 보강 골격을 구성하고, 프레임과 프레임간은 철판을 이용하여 벽체(315, 323)를 구성함으로써 저면부와 측면부를 막아 수밀 구조를 완성하였다. 또한 저면에는 상부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충격에 대한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I"빔 또는 "H"빔과 같은 형강으로 이루어진 받침대(316, 324)를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상부는 차량이 지나다니는 곳이므로 하나의 철판 부재로 함께 덮을 수 있는 상부덮게(329)를 설치하여 마감처리하였다.
상기 프레임(314, 322)과 벽체(315, 323), 받침대(316, 324) 및 상부덮게(29) 간의 결합은 용접, 리벳 또는 볼트로 결합 방식과 같은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연결 구성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간의 결합은 상기 제 1 케이스를 중장비를 이용하여 인양후 상부가 개방된 제 2 케이스의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시켜 제 1 케이스(31)의 받침대(316)가 제 2 케이스의 저면을 이루는 벽체에 올려놓은 후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간의 경계 지점을 용접, 리벳 또는 볼트로 결합 방식과 같은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연결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간을 체결하여 일체화하면 만약 제 1 케이스의 차단막이 차량과 충돌할 경우 충격량이 제 2 케이스에 전달되고, 제 2 케이스에 전해진 충격량은 다시 콘크리트 타설공사에 의해 제 2 케이스를 감싸면서 일체화된 콘크리트에 전달되고, 콘크리트로 전달된 충격량은 다시 지중으로 전달됨으로써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가 차량 충돌시 충격량을 흡수하면서 충분한 차단력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간을 결합하여 일체화하면 상부면은 큰 유격없이 결합되지만, 제 2 케이스에 안착된 제 1 케이스의 둘레 및 하부 받침대와 제 2 케이스의 프레임 및 벽체간에는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 이유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강재가 "I"빔 또는 "H"빔으로 이루어진 구조 특성상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공간부를 집수부(33)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제 1 케이스의 저면 벽체, 제 1 케이스의 받침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홀(331)을 형성하고, 제 1 케이스의 내부 일지점에는 집수부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수중펌프(332)를 설치하여 이와 연결된 내부 배수관(26)를 배수함까지 설치하고,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 사이의 집수부(3)에 물이차서 제 1 케이스까지 물이 올라오면 수중펌프를 작동하면서 연장배수관(28)을 배수함(27)의 내부 배수관(26)과 연결하여 배수토록 구성하였다. 배수함은 평소에는 닫아 놓았다가 수중펌프 작동시 열어서 내부배수관과 연장배수관을 연결하면 된다.
상기 내부 배수관(26)과 연결된 연장배수관(328)은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떨어진 도로 가장자리 빗물관쪽으로 배치하여 배수토록 연장 설치되면 된다. 만약 도로 여건상 빗물관이 없는 곳은 최대한 바리케이드와 먼곳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로 다시 유입되지 못하도록 구성 하였다.
상기와 같이 일체형으로 집수부(33)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집수정을 구비하고 이와 연결하는 배수관을 바리케이드 하부 구조물에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터파기 작업이나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이와 같은 배수구조를 염두에 두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제 2 케이스의 프레임 및 벽체 구조는 지중에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를 매설 공사시 일종의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도 없고, 바닥이나 측면 둘레에 철근을 이용한 배근 작업도 필요 없게 된다.
즉, 제 2 케이스 자체가 바닥과 둘레 벽면체의 강성 보강을 위한 철골 구조 역할을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역할을 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성 있는 콘크리트는 제 2 케이스와 터파기된 지반의 공간부 사이에 주입하면 양생후 제 2 케이스와 일체화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제 2 케이스는 지반에 고정된 구조물을 이루게 되고, 제 2 케이스 내부에 수납후 결합된 제 1 케이스는 필요시 제 2 케이스와 의 연결 구성을 해제함으로써 간단히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부로 꺼낼수 있게 된다. 이후 제 1 케이스는 다른 이동 장소로 이동하여 미리 시공된 또 다른 제 2 케이스에 수납시키면 새로운 신속매립형 바리케이드가 구성되게 된다.
이때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상부를 함께 덮고 있는 상부덮게(329)는 인양전에 체결 구조를 해제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의 바닥과 상기 차단막 사이에는 다관절 링크(313)가 연결되어 차량이 차단막 정면(311)과 충돌시 차단막이 후방부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다관절링크는 복수개의 링크간을 핀으로 연결한 구조로 평소에는 겹쳐져 있다가 유압실린더에 의해 차단막이 상승하게 되면 같이 상승하여 차단막의 높이 또는 일측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차단막의 회전각도를 단속하게 된다.
상기 제 1 케이스 내부에는 유압실린더를 승하강시키는 유압장치(도시생략), 유압장치를 제어하는 바리케이드 로컬제어부(3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리케이드 로컬제어부(317)는 유무선 송수신 장치(3171)를 기능을 구비하여 원격지의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 또는 메인 제어부(4)와 상호 통신하면서 원격제어되도록 구성된다.
평소에는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의 제어를 받아 조도센서의 광량 변화를 인식한 로컬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항시 차량진입이 있을 경우 차단막이 상승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메인 제어부에서 차량하부 영상대조와 색 변화율 비교 및 이온 정보를 가지고 폭발물 차량이라고 판단시 선택적으로 차단막이 상승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신속매립형 바리케이드(3)가 유무선 통신기능을 가짐으로써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와 함께 메인제어부(4)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기능을 가진 출입통제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메인 제어부(4)는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직접 각 장치를 제어할 수 있지만 평상시에는 하위 개념의 제어권을 로컬 제어부(215)에 넘겨 주고 로컬 제어부에서 처리할 수 없는 데이터 처리를 주로 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에서 하는 일은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해당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과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를 비교함과 동시에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영역별로 나눈 후 이웃하는 영역과의 색 변화율을 비교하고, 차량 하부에서 검출된 이온 정보를 가지고 폭발물의 이온 성분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량 하부의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메인 제어부는 해당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과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를 비교시 일정크기 이상의 차이 예를 들어 5cm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면 해당 지점에 표시를 하여 메인제어부의 정보가 표출되는 모니터(도시생략)에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은 기 생산된 차량의 하부를 본 발명의 라인 스캔 카메라와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하여 저장한 차량의 하부 영상으로 메인 제어부에서 대조시 신속하게 레이어 방식으로 겹쳐서 대조하는 방법, 외곽선을 추출하여 해당 선만을 대조하는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다양한 대조 기법을 사용하여 차량 하부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 표준 하부 영상은 해당 차종이 여러 연식과 옵션의 선택 또는 페이스리프트에 따른 다양한 변형 시리즈가 존재할 경우 각각의 하부 영상을 모두 준비해서 제공한다. 즉, 동일 차종일지라고 연식별로 또는 파생 시리즈별로 수정된 하부 구조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하부 영상 대조시의 오류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해당 하부 영상을 모두 준비하여 해당 DB를 분류하여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동일 차종일지라도 복수개의 하부 영상을 구비해야 하는 이유는 동일 차종에 하나의 하부 영상만 존재한다고 하면 해당 표준 하부 영상의 차종이 생산된 연도와 다른 연도에 생산되거나 파생 모델의 차종일 경우 비록 변경된 부분이 없다고 하더라도 표준 하부 영상과 다른 영상이 촬영됨으로 대조시 의심스러운 차량으로 검색되어 전체적인 검색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색변화율 비교는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만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표준 차량하부 영상과 실제 촬영된 하부 영상과의 형상 정보를 비교 판단하는 과정에서 누락될 수 있는 차량 하부의 수리나 변경 흔적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즉, 차량 하부에 어떤 구조 변경없이 폭발물 등을 숨기게 되면 경우에 따라 하부에 묻어 있는 먼지나 결합부위 등이 닦여지거나 특정 부품이 동일 형상을 가진 부품으로 교체될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이웃하는 면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새 패턴이 아닌 새로운 색 정보가 생성될 수 있어서 이를 찾아내면 폭발물의 설치 흔적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촬영된 하부 영상에 해당하는 영역을 다수개의 영역 예를 들어 격자형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의 색과 이웃하는 영역의 색을 색상, 명도, 채도로 구분하여 비교하여 완만한 변화를 가지지 않는 색 변화 즉, 특정 영역에서 색상, 명도, 채도가 급격하게 변화하게 되면 해당 부분을 표시하여 중점적으로 확인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한 정보는 디지털 카메라인 라인 스캔 카메라로 촬영되기 때문에 손쉽게 해당 픽셀의 정보를 활용하면 된다. 이러한 정보들을 가지고 변화율 등을 검토하여 급격한 피크 값이 생기면 이상 유무를 충분히 확인하게 된다.
또한 동일 영역내에서도 상기한 방식으로 색 변화 즉, 색상, 명도, 채도의 변화를 비교하면 충분히 차량 하부의 변화를 확인하게 되어 차량 하부 영상과 함께 복합적인 검색이 가능해져 검색의 신뢰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이온 검출기를 통한 식별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이온 검출기에서 검출할 수 있는 이온 중 폭발물을 구성하는 원소의 이온에 해당되는 특정 이온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모든 이온을 검색한다고 하면 차량 하부에서 방출되는 모는 이온 및 주변 공기에 떠 다니는 이온을 검색하게 되어 검색 대상 이온이 많아져 검색 속도가 느려지고 검색 오류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폭발물에 해당하는 흑색 화약, 질산암모늄(AN), TNT, AN-TNT, RDX, PETN, HMX, Tetryl, C4, TATP, SEMTEX 등에서 방출될 수 있는 이온을 특정하면 만약 이와 같은 이온이 방출될 경우만 이온 검출기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로컬 제어부에서 다시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면, 메인 제어부는 전송된 이온 검출기로부터의 검출된 데이터가 저장장치(5)에 저장된 폭발물 정보 데이터를 불러와 신속하게 비교 검토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어떤 폭발물에 해당하는지를 정밀 분석하여 해당 이온과 관련된 폭발물을 특정하게 된다.
물론 전송된 이온 데이터 중에서도 정밀 분석에 의해 해당 이온이 일반적인 차량 하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온인지 여부도 분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하부 검색방법을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검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순서도에 나오는 도면부호 및 장치 구성은 상기 이동식 차량 검색 시스템에 나오는 것을 참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하부를 검색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도로에 각각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와 차량번호 인식기(1)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정보를 전송받는 메인 제어부(4)를 유무선 도달 거리 내에 설치하는 단계(S100)와;
이후 차량번호 인식기(1)가 접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S200)와;
이후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는 단계(S300)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가 라인 스캔 카메라와 이온 검출기를 작동시켜 진입된 차량의 하부 영상을 촬영하고 방출된 이온을 검출하는 단계(S400)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로부터 차량의 하부 영상정보 또는 이온 검출 데이터가 전송되면 메인 제어부(4)에서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과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로부터 전송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를 비교함과 동시에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영역별로 나눈 후 이웃하는 영역과의 색 변화율을 비교하거나, 차량 하부에서 검출된 이온 정보를 가지고 폭발물의 이온 성분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량 하부의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와;
메인 제어부(4)가 차량 하부의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 판단에 따라 원격지의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3)의 차단막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단계(S60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S200) 이전 단계로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가 라인 스캔 카메라를 작동시켜 영상을 촬영 후 영상 정보에 따라 이물질이 있을 경우 보호커버부의 엑츄에이터(2162)를 작동시켜 보호커버(2161)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이물질이 없는 보호커버 면을 위치시키고 슬릿 홈(213)과 보호커버 사이의 틈새에 장치된 청소용 부재(2163)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S200) 이전 단계로 온도센서(2191)의 온도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온도 이상 내려가면 히터가 작동하여 내부 장치들이 원활히 작동될 수 있도록 내부 온도를 승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1)가 접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S200)는 한 실시예로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방식 번호판 인식기를 사용하여 CCD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입력된 디지털 영상정보로부터 사각의 차량번호판 모양 객체를 1차 추출하고, 해당 사각 객체 내의 이미지로부터 문자와 숫자로 된 텍스트를 2차로 추출하여 인식하는 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는 단계(S300)는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가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광량을 인식하여 편광필터부(214)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의 검색모듈(21) 내부에 장치된 로컬 제어부(215)가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22)의 전방에 다수개 설치된 조도센서(221) 들로부터 광량정보를 전송받은 후 진입된 차량의 폭방향 별 조도를 각각 검출하여 조도 차이가 클 경우 편광필터부(214)의 편광필터(2141)를 라인 스캔 카메라의 렌즈 상부에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가 이온 검출기를 작동시켜 진입된 차량에서 방출된 이온을 검출하는 단계(S400)에서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2)의 검색모듈에 장치된 로컬 제어부(215)는 로컬 저장장치(2151) 또는 롬(ROM) 등에 저장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온 검출기에서 검출된 이온이 폭발물에서 나오는 이온 정보인지를 1차로 판단 후 폭발물 이온에 해당하면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가진다.
상기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에서 메인 제어부(4)에서 사용하는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은 사전에 기 생산된 차량의 하부를 본 발명의 라인 스캔 카메라와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하여 저장한 차량의 하부 영상으로 메인 제어부에서 대조시 양 영상을 신속하게 레이어 방식으로 겹쳐서 대조하는 방법, 외곽선을 추출하여 해당 선만을 대조하는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다양한 대조 기법을 사용하여 차량 하부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에서의 색 변화율 비교는 디지털 방식으로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격자형으로 분할하고 디지털 정보를 가진 영상의 각 픽셀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된 영역의 색과 이웃하는 영역의 색을 자체 그래픽 프로그램이나 상용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상, 명도, 채도로 구분하고 비교하여 색상, 명도, 채도 변화(급격한 피크 값)를 검출하여 해당 부분을 표시하여 중점적으로 확인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때 피크값이 검출되면 해당 부분에 대하여 화면상에 표시토록 한다.
물론 이때 이웃하는 영역뿐만 아니라 자체 영역 내에서도 이와 같은 작업이 2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에서 메인 제어부는 이온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이온을 1차로 로컬 제어부가 로컬 저장장치(2151) 또는 롬(ROM) 등에 저장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단후 폭발물 정보에 해당하는 이온 정보를 전송하면 저장장치에 기 저장되어 있는 폭발물 정보와 대조하여 어떠한 폭발물이 차량 하부에 장치되어 있는지를 특정하여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침으로써 이온검출기가 검출한 모든 이온을 검색함으로써 발생하는 검색 부하와 검색 오류 확률을 낯주게 되어 검색의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로컬 저장장치(2151) 또는 롬(ROM)에는 대표적인 폭발물에 해당하는 흑색 화약, 질산암모늄(AN), TNT, AN-TNT, RDX, PETN, HMX, Tetryl, C4, TATP, SEMTEX 등에서 방출될 수 있는 이온 정보가 들어있고, 저장장치에는 이러한 성분이 검출된 이온 데이터를 정밀 대조하여 실제로 어떤 폭발물에 해당하는지를 정밀 분석할 수 있는 폭발물 정보가 저장된다. 폭발물 정보라는 것은 폭발물의 화학식, 이를 구성하는 각 원소의 이온, 폭발위험, 외관사진, 폭발물 제조형태 등등의 정보일 수 있다.
물론 전송된 이온 데이터 중에서도 정밀 분석에 의해 해당 이온이 일반적인 차량 하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온인지 여부도 분석하게 된다.
상기 영상정보와 이온정보를 가지고 차량 하부의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에서 사용된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와 이온 검출 데이터는 저장장치(5)에 저장하는 단계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차량번호 인식기 (2) :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
(3) :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 (4) : 메인 제어부
(5) : 저장장치 (21) : 검색모듈
(22) :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 (23) : 검색 모듈 보호대
(31) : 제 1 케이스 (32) : 제 2 케이스
(33) : 집수부 (210) : 케이스
(211) : 라인 스캔 카메라 (212) : 이온 검출기
(213) : 슬릿 홈 (214) : 편광 필터부
(215) : 로컬 제어부 (216) : 보호커버부
(217) : 이온 검출 홈 (218) : 전원부
(219) : 히터 (221) : 조도센서
(311) : 차단막 (312) : 유압실린더
(313) : 다관절 링크 (314, 322) : 프레임
(315, 323) : 벽체 (316, 324) : 받침대
(317) : 바리케이드 로컬 제어부 (321) : 견인용 러그
(331) : 배수홀 (325) : 수중펌프
(326) : 내부 배수관 (327) : 배수함
(328) : 연장배수관 (329) : 상부덮게
(2111) : 반사경 (2112) : 조명
(2141) : 편광필터 (2142) : 모터
(2151) : 로컬저장장치 (2152) : 유무선 송수신 장치
(2161) : 보호커버 (2162) : 엑츄에이터
(2163) : 청소용 부재 (2191) : 온도센서
(3171) : 유무선 송수신 장치

Claims (14)

  1.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기와;
    진입하는 차량의 하부 영상을 촬영하는 라인 스캔 카메라와, 차량의 하부쪽에서 발생한 이온을 검출하는 이온 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와;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와 이격된 지점에 매립되어 차단막이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차단막과 차단막 승하강용 유압실린더가 수납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가 내부에 수납되어 결합되고 외부에는 복수개의 견인용 러그가 형성된 제 2 케이스로 구성된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과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를 비교함과 동시에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영역별로 나눈 후 이웃하는 영역과의 색 변화율을 비교하고, 차량 하부에서 검출된 이온 정보를 가지고 폭발물의 이온 성분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량 하부의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차단막 승하강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검색 차종의 표준 하부 영상 정보, 폭발물 성분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고,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와 이온 검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는 라인 스캔 카메라와 이온 검출기를 내장하고 있는 검색모듈과;
    서로 분리되는 복수개의 단위 모듈로 이루어져 상기 검색모듈 둘레에 조립식으로 설치되고,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는 조도센서가 차량 진입쪽 또는 진출쪽 단위 모듈에는 복수개가 매립된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과;
    상기 검색모듈의 둘레에 위치한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 상부에 돌출 설치되어 검색모듈을 보호하는 검색모듈 보호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색모듈은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 상부면 일 지점에는 폭방향으로 라인 스캔 카메라 촬영용 슬릿 홈이 형성되고, 타 지점에는 이온 검출 통로용 이온 검출용 홈이 형성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반사경을 통해 촬영하는 라인 스캔 카메라와; 이온 검출기와; 슬릿홈 하부에 설치되어 반사경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부와; 모터 회전축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편광필터로 구성되어 조도센서가 측정한 광량 정보에 따라 로컬 제어부가 편광필터를 회전시켜 라인 스캔 카메라에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토록 구성한 편광필터부와; 상기 라인 스캔 카메라, 이온 검출기, 편광필터부, 보호커버부 및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에 매립 설치된 복수개의 조도센서를 제어하는 로컬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부는 투명 재질의 보호커버와; 보호커버를 슬라이딩시키는 엑츄에이터와; 슬릿 홈과 보호커버 사이의 경계 틈에 설치된 청소용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면적은 슬릿 홈의 면적 보다 크게 하여 엑츄에이터가 슬릿 홈의 면적 단위로 보호커버를 밀거나 당기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개별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는 이 개별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구성하는 검색모듈 내부에 장치된 로컬 제어부에서 처리하고,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 및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하나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각 로컬 제어부에서 전송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와 이온 정보 및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차단막 승하강을 처리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는 각각 형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육면체의 모서리 및 중간 보강 골격을 구성하고, 프레임과 프레임간은 철판을 이용하여 벽체를 구성하고, 저면에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충격에 대한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형강으로 이루어진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에 안착된 제 1 케이스의 둘레 및 하부 받침대와 제 2 케이스의 프레임 및 벽체간에 형성된 공간부에 형성된 집수부와;
    제 1 케이스의 저면 벽체, 제 1 케이스의 받침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홀과;
    제 1 케이스의 내부 일지점에 설치된 수중펌프 및
    수중펌프와 연결되어 제 1 케이스의 상부 배수함까지 연결된 내부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8. 하나 이상의 도로에 각각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와 차량번호 인식기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정보를 전송받는 메인 제어부를 유무선 도달 거리 내에 설치하는 단계(S100)와;
    이후 차량번호 인식기가 접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S200)와;
    이후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는 단계(S300)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가 라인 스캔 카메라와 이온 검출기를 작동시켜 진입된 차량의 하부 영상을 촬영하고 방출된 이온을 검출하는 단계(S400)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로부터 차량의 하부 영상정보 또는 이온 검출 데이터가 전송되면 메인 제어부에서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과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로부터 전송된 차량 하부 영상 정보를 비교함과 동시에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영역별로 나눈 후 이웃하는 영역과의 색 변화율을 비교하거나, 차량 하부에서 검출된 이온 정보를 가지고 저장 장치에 기 저장되어 있는 폭발물의 이온 성분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량 하부의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 및
    메인 제어부가 차량 하부의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 판단에 따라 원격지의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의 차단막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단계(S6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S200) 이전에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가 라인 스캔 카메라를 작동시켜 영상을 촬영 후 영상 정보에 따라 이물질이 있을 경우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구성하는 검색모듈의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에 형성된 슬릿홈 하부에 설치된 보호커버부의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 보호커버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이물질이 없는 보호커버 면을 위치시키고 슬릿 홈과 보호커버 사이의 틈새에 장치된 청소용 부재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단계(S200) 이전에 온도센서의 온도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구성하는 검색모듈의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 내부가 설정온도 이상 내려가면 히터가 작동하여 내부 온도를 승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가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는 단계(S300)는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의 검색모듈 내부에 장치된 로컬 제어부가 상기 검색모듈 둘레에 설치되는 분리형 차량 지지모듈의 전방에 다수개 설치된 조도센서들로부터 광량정보를 전송받은 후 진입된 차량의 폭방향 별 조도를 각각 검출하여 조도 차이가 클 경우 편광필터부의 편광필터를 라인 스캔 카메라의 렌즈쪽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가 이온 검출기를 작동시켜 진입된 차량에서 방출된 이온을 검출하는 단계(S400)에서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의 검색모듈에 장치된 로컬 제어부는 로컬 저장장치에 저장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온 검출기에서 검출된 이온이 폭발물에서 나오는 이온 정보인지를 1차로 판단 후 폭발물 이온에 해당하면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메인 제어부가 저장장치에 저장된 사전에 기 생산된 차량의 하부를 라인 스캔 카메라로 동일하게 촬영하여 저장한 차량의 표준 하부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된 차량의 하부 영상간을 레이어 방식으로 겹쳐서 대조하는 방법 또는 외곽선을 추출하여 해당 선만을 대조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비교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변형 또는 폭발물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에서 색 변화율 비교는 디지털 방식으로 촬영된 차량 하부 영상을 격자형으로 분할하고 디지털 정보를 가진 영상의 각 픽셀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된 영역의 색과 이웃하는 영역 또는 동일 영역의 색을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상, 명도, 채도로 구분하고 비교하여 색상, 명도, 채도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
KR1020130161316A 2013-12-23 2013-12-23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37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16A KR101374082B1 (ko) 2013-12-23 2013-12-23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16A KR101374082B1 (ko) 2013-12-23 2013-12-23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082B1 true KR101374082B1 (ko) 2014-03-13

Family

ID=5064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316A KR101374082B1 (ko) 2013-12-23 2013-12-23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0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838B1 (ko) 2014-06-24 2015-01-27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매설형 대전차 바리케이드
CN108426885A (zh) * 2018-05-11 2018-08-21 北京华开领航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车辆车底检测用沉箱及系统
KR102011704B1 (ko) * 2019-04-03 2019-08-19 (주)서울전업공사 주차된 특수차량 확인용 특수차량 주차구역 표시 장치 및 이의 운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2308A (ko) * 2005-02-23 2009-04-29 게이트키퍼 아이엔씨. 진입 통제 시스템 및 차량 액세스 통제 방법
JP2009175819A (ja) 2008-01-22 2009-08-06 Hitachi Ltd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センタ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KR100970234B1 (ko) 2010-01-26 2010-07-20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비상시 상승 높이가 제어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3048A (ko) * 2009-10-20 2011-04-27 (주)아이비코리아이엔지 차량 하부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2308A (ko) * 2005-02-23 2009-04-29 게이트키퍼 아이엔씨. 진입 통제 시스템 및 차량 액세스 통제 방법
JP2009175819A (ja) 2008-01-22 2009-08-06 Hitachi Ltd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センタ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KR20110043048A (ko) * 2009-10-20 2011-04-27 (주)아이비코리아이엔지 차량 하부 촬영 장치
KR100970234B1 (ko) 2010-01-26 2010-07-20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비상시 상승 높이가 제어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838B1 (ko) 2014-06-24 2015-01-27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매설형 대전차 바리케이드
CN108426885A (zh) * 2018-05-11 2018-08-21 北京华开领航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车辆车底检测用沉箱及系统
CN108426885B (zh) * 2018-05-11 2023-12-26 北京运达华开科技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车底检测用沉箱及系统
KR102011704B1 (ko) * 2019-04-03 2019-08-19 (주)서울전업공사 주차된 특수차량 확인용 특수차량 주차구역 표시 장치 및 이의 운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832B1 (ko)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10007981B2 (en) Automated radial imaging and analysis system
EP1803107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exterior and interior inspection of vehicles
US7382280B2 (en) Parking violation recording system and method
KR101374082B1 (ko) 신속 매립형 바리케이드와 이동식 차량 하부 검색기를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7349007B2 (en) Entry control point device, system and method
Garilli et al. Automatic detection of stone pavement's pattern based on UAV photogrammetry
RU2698610C2 (ru) Способ и блок обработки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наблюдения за дорожным движением
KR101625573B1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CN108086214A (zh) 一种室外清扫机器人
JPH02293685A (ja) ビデオ―赤外線サーモグラフィを用いた地質学的欠陥探知装置及び分析方法
US2013022130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gate
US20100207760A1 (en) Mobile vehicle screening (mvs)
CN104063882A (zh) 一种基于双目的车辆视频测速方法
KR20150127920A (ko) 차량 진출입 제어장치
CN114066876B (zh) 一种基于分类结果及cva-sgd法的建筑垃圾变化检测方法
CN106373302A (zh) 一种钢管杆用防意外攀爬装置
US20100259361A1 (en) Security gates device
CN116389695B (zh) 建筑工地监控方法、装置、建筑工地巡查设备及存储介质
KR200479851Y1 (ko) 이동설치가 가능한 접이식 과속감시 카메라함
KR100692605B1 (ko) 차량 검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검문방법
JP2020105812A (ja) 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KR20150024202A (ko) 양방향 인식기와 중량 계측 장치를 이용한 폐기물 반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0418A (ko)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CN207862832U (zh) 一种室外清扫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