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598B1 -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598B1
KR101101598B1 KR1020090125109A KR20090125109A KR101101598B1 KR 101101598 B1 KR101101598 B1 KR 101101598B1 KR 1020090125109 A KR1020090125109 A KR 1020090125109A KR 20090125109 A KR20090125109 A KR 20090125109A KR 101101598 B1 KR101101598 B1 KR 10110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article size
ceramic material
dielectric
earth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738A (ko
Inventor
노부타케 히라이
코타로 하타
켄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75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18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H01G4/1227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tit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C04B35/46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 C04B35/46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metal titanates
    • C04B35/46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metal titanates based on barium titanates
    • C04B35/468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metal titanates based on barium titanates based on BaTiO3 perovskite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입경이 작고 결정성이 높으며 또한 입경의 불균일이 적은 유전체층의 박층화에 적절한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과 이산화 티탄을 고상 반응에 의해 반응시켜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비표면적이 35m2/g 이상이고,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D90/D50이 1.25 이하인, 상기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의 분말과 이산화 티탄의 분말의 혼합 분말을 소성하는 소성 공정을 갖추도록 했다.
결정성, 박층화, 유전체 세라믹스.

Description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dielectric ceramic material}
이 발명은 입경이 작고 결정성이 높으며 또한 입경의 불균일이 적은 유전체층의 박층화에 적절한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주성분으로서 티탄산바륨계 화합물을, 부성분으로서 특성 조정을 위한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라믹 유전체 재료를,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그린 시트를 제작하고, 이 그린 시트 상에 전극을 인쇄한 것을 적층하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제작되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 제품이 소형화 됨에 따라 전자 회로의 고밀도화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소형 대용량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 요망을 실현하기 위해, 내부 전극층과 유전체층의 박층화와 적층수의 증가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유전체층이 박층화된 경우, 주성분인 티탄산바륨계 화합물의 입경이 크면, 그린칩 소성 후의 특성이나 유전체층의 표면 거칠기에 불균일이 생기고, 쇼트율이 증가하여 절연 저항 불량이 많아진다. 이 때문에 주성분인 티탄산바륨계 화 합물의 미립자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일본특허공개 2008-222522)에는 특정한 비표면적을 가지는 이산화 티탄 분말과 탄산바륨 분말의 혼합 분말을 소성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입경이 작고 입경의 불균일도 적으며 또한 결정성이 높은 티탄산바륨계 분말을 재현성 좋게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입경이 작고 결정성이 높으며 또한 입경의 불균일이 적은 유전체층의 박층화에 적절한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은,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과 이산화 티탄을 고상 반응에 의해 반응시켜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비표면적이 35m2/g 이상이고,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D90/D50이 1.25 이하인, 상기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의 분말과 이산화 티탄의 분말의 혼합 분말을 소성하는 소성 공정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표면적은 건조한 상태의 상기 혼합 분말에 대해 측정한 값이고, 상기 D90/D50은 슬러리 상태의 상기 혼합 분말에 대해 측정한 값이다.
이와 같은 방법이면, 비표면적이 35m2/g 이상이고,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D90/D50이 1.25 이하인 혼합 분말을 소성시킴으로써, 평균 입경이 100nm 이하이고, 입도 분포의 불균일을 나타내는 표준 편차 σ가 30 이하이면서, 또한, 결정성을 나타내는 c/a 축비가 예를 들면, 1.0075 이상인, 입경이 작고 입경의 불균일이 적으며 또한 결정성이 높은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경이 작고 입경의 불균일이 적으며 또한 결정성이 높은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유전체층의 주성분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쇼트율이 낮으며 절연 저항 불량도 억제될 뿐 아니라, 충분한 정전 용량을 구비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은 유전체 재료의 소결체로 이루어진 유전체층을 갖추고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성분인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의 입경이 작고 입경 분포도 협소하며 또한 결정성도 높으므로, 유전체층의 표면 거칠기의 불균일이 억제되어, 쇼트나 절연 저항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그린 시트는 조직이 치밀하므로, 소성 후의 입경도 안정되어, 상기 특성이 안정됨과 함께, 유효한 소성 온도의 온도 범위도 넓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1)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전체층(3)과, 내부 전극(4)이 교대로 적층되는 콘덴서 칩체(2)와, 이 콘덴서 칩체(2)의 표면에 마련되어 내부 전극(4)과 도통하는 외부 전극(5)을 갖추고 있다. 내부 전극(4)은, 그 단부가 콘덴서 칩체(2)의 대향하는 2개의 표면에 교대로 노출되도록 적층되어, 콘덴서 칩체(2)의 당해 표면상에 형성되어 소정의 콘덴서 회로를 구성하는 외부 전극(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유전체층(3)은,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소결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당해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은,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과 이산화 티탄(TiO2)을 고상 반응에 의해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탄산바륨(BaCO3), 탄산칼슘(CaCO3), 탄산 스트론튬(SrCO3)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으로는, 예를 들면, Ba1-x-yCaxSryTiO3(0≤x<1, 0≤y<1)을 들 수 있다.
상기 고상 반응은, 비표면적이 35m2/g 이상, 바람직하게는 35~52m2/g이고,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D90/D50이 1.25 이하인, 상기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의 분말과 이산화 티탄의 분말의 혼합 분말을 소성하는 소성 공정을 갖춘 것이다. 비표면적이 35m2/g 미만이면 결정성이 높은 미립자를 얻을 수 없게 되고, D90/D50이 1.25를 넘으면 소성 후에 얻을 수 있는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의 입경의 불균일이 커진다. 또한, 당해 비표면적은, 건조한 상태의 상기 혼합 분말에 대해, 예를 들면 BET법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 것이며, 당해 D90/D50은 슬러리 상태의 상기 혼합 분말에 대해, 예를 들면 레이저 회절·산란법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 것으로, 입도 분포에 있어서 50체적%의 입경인 D50와 90체적%의 입경인 D90의 비이다.
이러한 혼합 분말을 소성시킴으로써, 평균 입경이 100nm 이하이고, 입도 분포의 불균일을 나타내는 표준 편차(σ)가 30 이하이면서, 결정성을 나타내는 c/a 축비가 예를 들면 1.0075 이상인, 입경이 작고 입경의 불균일이 적으며 또한 결정성이 높은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 분말의 평균 입경이 100nm을 넘으면 유전체층(3)의 박층화가 곤란하고, 표준 편차(σ)가 30을 넘으면 유전체층(3)의 표면 거칠기에 불균일이 생기고, c/a 축비가 1.0075 미만이면 결정성이 낮으므로, 그 결과, 적층 세라믹 콘덴서(1)의 정전 용량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당해 입경 및 그 표준 편차(σ)는, 예를 들면,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한 관찰에 의해 측정되고 산출되는 것이며, 당해 c/a 축비는, 예를 들면, X선회절(XRD)의 피크 강도의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이다.
상기 소성 공정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20000Pa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Pa 이하의 진공 하에 810~1000℃, 바람직하게는 840~900℃에서 상기 혼합 분말을 약 3시간 가열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상 반응에 있어서는, 상기 소성 공정 외에,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각 공정이 행해진다.
우선, 상기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의 분말과 이산화 티탄의 분말을 소정량 칭량하고, 그 다음, 칭량된 상기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의 분말과 이산화 티탄의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믹서로 혼합한다. 이어서, 얻은 혼합 분말을, 예를 들면, 비즈 밀, 볼 밀 등의 분산기를 이용하거나 고압 분산 처리를 행하여 물 등과 함께 습식으로 분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즈 밀을 이용하여 분산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직경 0.03~0.1mm의 비즈를 사용하여 5~15m/s의 주속(周速)으로 5~30패스로 분산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입수 가능한 비즈는 직경이 0.03mm 이상인 한편, 비즈 직경이 0.1mm을 넘으면 분산되지 않는다. 또한, 주속이 5m/s 미만이면 분산이 불충분해지는 한편, 장치의 성능상 주속이 15m/s를 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패스 회수가 5패스 미만에서는 분산이 불충분하며, 30패스를 넘으면 공업적으로 시간이 너무 걸린다. 분산시킨 혼합 분말은 건조시키고 나서 건식 분쇄한다. 그리고, 건식 분쇄 후의 혼합 분말을 소성시켜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얻는다.
상기 유전체 세라믹 재료는, 상기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 분말에 추가로, 필요에 따라 특성 조정을 위한 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Mg, Ba, Ca, Si, Mn, Al, V, Dy, Y, Ho, Yb 중 1종 또는 복수종의 원소를 함유하는 산화물, 탄산염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 분말에 상기 금속 화합물의 분말을 첨가하려면, 이와 함께 분산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부틸계 분산제, 폴리비닐아세탈계 분산제, 폴리카르본산계 분산제, 말레산계 분산제, 폴리에틸렌글리콜계 분산제, 알릴에테르코폴리머계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티탄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 분말에 상기 금속 화합물의 분말이나 분산제를 첨가하여, 예를 들면, 호모지나이저로 혼합하고 나서, 비즈 밀로 해쇄·분산시킴으로써,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은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에, 용제 및 바인더를 첨가하고, 볼 밀 등을 이용하여 혼합함으로써 그린 시트 형성용 슬러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틸 카비톨, 부탄디올, 2-부톡시에탄올 등의 글리콜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크실렌, 아세트산 벤질 등의 방향족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바인더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부틸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셀룰로스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미리, 상기 용제에 용해하고 여과하여 용액으로 해 두고, 그 용액에, 상기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중합도 바인더 수지는 용제에 녹기 어려워, 통상의 방법에서는, 슬러리의 분산성이 악화되는 경향이다. 고중합도 바인더 수지를 용제에 용해하고 나서, 그 용액에 그 밖의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그린 시트 형성용 슬러리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분산성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미용해 바인더 수지의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상기 용제 외의 용제에서는, 고형분 농도를 늘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래커(lacquer) 점도의 경시 변화가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그린 시트 형성용 슬러리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기재상에 시트 형상으로 도포함으로써 그린 시트가 형성된다. 유전체층(3)은, 얻어진 그린 시트를 소성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소결체로 이루어진다. 유전체층(3) 한층 당 두께는 2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전극(4)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Cu, Ni, W, Mo, Ag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외부 전극(5)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Cu, Ni, W, Mo, Ag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In-Ga, Ag-10Pd 등의 합금; 카본, 그래파이트, 카본과 그래파이트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우선, 상기 그린 시트 상에, 상기 각종 금속 등을 함유하는 내부 전극(4)용 도전 페이스트를 소정 형상으로 스크린 인쇄하여, 내부 전극(4)용 도전성 페이스트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내부 전극(4)용 도전성 페이스트막이 형성된 복수의 그린 시트를 적층함과 함께, 이들 그린 시트를 사이에 두도록, 도전성 페이스트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그린 시트를 적층하여 압착시킨 후, 필요에 따라 컷 함으로써 적층체(그린칩)를 얻는다.
그리고, 얻어진 그린칩에 탈 바인더 처리를 실시한 후, 당해 그린칩을 예를 들면 환원성 분위기 중에 있어서 소성시켜 콘덴서 칩체(2)를 얻는다. 콘덴서 칩체(2)에는, 그린 시트를 소성시켜 된 소결체로 이루어진 유전체층(3)과 내부 전극(4)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다.
얻은 콘덴서 칩체(2)에는, 유전체층(3)을 재산화시키기 위해 어닐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콘덴서 칩체(2)의 단면으로부터 노출된 내부 전극(4)의 각 단끝 각 각에 외부 전극(5)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콘덴서 칩체(2)의 단면 상에, 상기의 각종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전극을 도포함으로써 외부 전극(5)을 형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외부 전극(5) 표면에 도금 등에 의해 피복층을 형성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aCO3의 분말과 TiO2의 분말을 준비하고, 준비한 분말을 Ba/Ti 비로 1.002가 되도록 칭량했다. 그 다음, 칭량한 분말을 비커에 넣고, 물을 첨가하여 믹서로 혼합했다. 이어서, 얻은 혼합 분말을 비즈 밀로 분산시켰다. 얻은 슬러리에 대해, 호리바 세이샤쿠쇼 제작의 LA-920을 이용하여 D90(μm)/D50(μm)를 측정했다. 다시, 얻은 혼합 분말을 건조시키고 나서 건식 분쇄했다. 얻은 건조 분말에 대해, BET법에 의해 비표면적(SSA)을 측정했다.
그리고, 건식 분쇄 후의 혼합 분말을 100Pa 이하의 진공 하에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온도로 소성시켰다. 소성시켜 얻은 티탄산바륨 분말에 대해, BET법에 의해 비표면적(SSA)을 측정하고, SEM으로 입경 관찰을 행했다. 이 때, 100개 이상의 입자의 입경을 측정하여, 표준 편차(σ)를 산출했다. 또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구조 해석에는 XRD를 이용하고, 얻은 XRD의 차트로부터, 피팅 시스템 RIETAN-2000을 이용하여 c/a 축비를 산출했다. 얻은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혼합 분말 소성 온도(℃) 티탄산 바륨 분말
SSA(m2/g) D50/D50 SSA(m2/g) c/a(20-145°) 입경(nm) 표준편차(σ) 평가
실시예 1 51.4 1.2249 840 10.7 1.0080 92.2 25.7
2 51.4 1.2249 870 7.2 1.0087 99.6 29.6
3 50.6 1.2230 840 9.0 1.0083 95.6 27.9
4 50.6 1.2230 850 7.7 1.0085 99.7 29.8
5 40.4 1.2250 870 10.9 1.0075 80.5 28.6
6 40.4 1.2250 900 9.1 1.0084 83.7 29.5
비교예 1 30.0 1.3014 835 11.8 1.0066 85.3 33.8
2 30.0 1.3014 840 9.9 1.0077 107.1 35.8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결과로부터, 혼합 분말이 비표면적이 35m2/g 이상이면서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D90/D50이 1.25 이하인 것이 아닐 경우에는 입도 분포의 불균일을 나타내는 표준 편차(σ)가 30 이하인 균일한 입경을 가지는 티탄산바륨 분말을 얻지 못하고, 또한, 평균 입경이 100nm 이하이면서, 결정성을 나타내는 c/a 축비가 1.0075 이상인, 소형이고 정전 용량이 많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얻기 위해 중요한 입자 특성을 가지는 티탄산바륨 분말을 얻을 수 없음이 분명해졌다.
추가로, 유전체층과 전극을 적층한 시료에 대한 각종 평가를 행했다.
유전체층 한층 당 두께는 2μm이며, 유효 유전체층은 10층으로 했다. 또한, 한층 당 내부(대향) 전극 면적은, 0.91[mm2]로 했다. 유전체층은 다음과 같이 제작했다. 주성분으로서 실시예 3에서 얻은 티탄산바륨을, 부성분으로서 BaCO3, Dy2O3, MgO, Mn3O4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독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페트 필름에 도포하고, 소성 후 2μm가 되는 그린 시트를 성형했다. 얻어진 그린 시트에 내부 전극인 Ni페이스트를 인쇄에 의해 형성했다. 이들을 10층으로 적층하고, 열압착함으로써 적층체를 얻었다. 그 다음, 이 적층체를 폭 2.0mm, 길이 3.8mm, 두께 0.6mm가 되도록 가공했다. 이어서, 이것을 대기 중에, 300℃에서 10시간 가열하여 유기 바인더(수지 성분)를 소각했다. 그 후, N2, H2 및 H2O로 이루어진 혼합 가스의 환원 분위기 중에서, 표 2에 나타내는 소성 온도로 2시간 소성시켰다. 다음에, 질소 가스 분위기 중에, 1000℃로 안정시키고 2시간 재산화 처리를 행했다. 그 후, 소결시킨 적층체의 외측면(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절단면)에 Cu로 이루어진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N2가스 분위기 중에서 650℃의 온도로 소부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전극을 형성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작성했다. 본 평가 시료에 있어서, 주성분에 대해, Ba원소의 첨가량은 Ba화합물의 Ba로 환산하여 1.0몰부이며, Dy원소의 첨가량은 Dy화합물의 Dy로 환산하여 0.9몰부이며, Mg원소의 첨가량은 Mg화합물의 Mg로 환산하여 1.1몰부이며, Mn원소의 첨가량은 Mn화합물의 Mn로 환산하여 0.2몰부이다. 각종 특성의 측정 방법에서, 비유전률 ε은, 온도 25(℃), 주파수 1(kHz), 전압 0.5(V/μm)의 조건에서, LCR 미터를 이용하여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이 측정을 통해 얻은 정전 용량, 유전체층의 두께, 및 내부 전극 면적으로부터 산출했다. 유전손실 tanδ(%)는, 비유전률과 동일 조건 하에, LCR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절연 저항 logR(Ω)는, 온도 25(℃), 직류 100(V)의 전압을 3분간 인가하여, 절연 저항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용량 변화율은, 본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항온조에 넣고, -55℃에서 85℃의 각 온도에 있어서 주파수 1(kHz), 전압 0.5(V/μm)의 조건으로 LCR 미터를 이용하여 정전 용량을 측정했다.
소성 온도(℃) 비유전률 ε 유전손실 tanδ(%) 절연 저항 logR(Ω) -55℃의 용량 변화율(%) 85℃의 용량 변화율(%)
1148 2697 5.4 10.3 -3.6 -13.7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3에서 얻은 티탄산바륨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용한 적층체는, EIA(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의 X5R 규격(-55℃에서 85℃의 용량 변화율(25℃기준)이 플러스마이너스 15%에 적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적층 세라믹 콘덴서 2: 콘덴서 칩체
3: 적층체층 4: 내부 전극
5: 외부 전극

Claims (2)

  1.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과 이산화 티탄을 고상 반응에 의해 반응시켜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비표면적이 35m2/g 이상이고,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D90/D50이 1.25 이하인, 상기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의 분말과 이산화 티탄의 분말의 혼합 분말을 소성하는 소성 공정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균 입경이 100 nm 이하인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은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소결체로 이루어진 유전체층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20090125109A 2008-12-25 2009-12-15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 KR101101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0072A JP5184333B2 (ja) 2008-12-25 2008-12-25 誘電体セラミックス材料の製造方法
JPJP-P-2008-330072 2008-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738A KR20100075738A (ko) 2010-07-05
KR101101598B1 true KR101101598B1 (ko) 2012-01-02

Family

ID=4256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109A KR101101598B1 (ko) 2008-12-25 2009-12-15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84333B2 (ko)
KR (1) KR101101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9419B2 (ja) * 2014-12-19 2019-08-14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誘電体セラミ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421313B2 (ja) 2019-11-22 2024-01-24 太陽誘電株式会社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152A (ko) * 2001-02-01 2002-08-0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티탄산 바륨 분말의 제조 방법, 그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티탄산 바륨 분말, 유전체 세라믹 컴팩트 및 모놀리식세라믹 캐패시터
KR20060104058A (ko) * 2005-03-29 2006-10-09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전체용 세라믹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세라믹분말을이용하여 제조된 적층세라믹커패시터
JP2006327890A (ja) 2005-05-27 2006-12-07 Kyocera Corp チタン酸バリウム粉末の製法およびチタン酸バリウム粉末、並びにチタン酸バリウム焼結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7368A (ja) * 1999-03-23 2000-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4200427B2 (ja) * 2001-12-28 2008-1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複合酸化物粉末の製造方法
JP4141298B2 (ja) * 2003-03-24 2008-08-27 太陽誘電株式会社 ペロブスカイト構造を有する誘電体セラミック粉末の製造方法と、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と、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CN100509637C (zh) * 2003-04-11 2009-07-08 昭和电工株式会社 钙钛矿含钛复合氧化物微粒、其生产方法和用途
JP2007091505A (ja) * 2005-09-27 2007-04-12 Kyocera Corp チタン酸バリウム系粉末およびその製法
JP5037009B2 (ja) * 2005-12-20 2012-09-26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焼結体及び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8127265A (ja) * 2006-11-24 2008-06-05 Fuji Titan Kogyo Kk 複合酸化物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複合酸化物粉末を用いたセラミック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4859641B2 (ja) * 2006-11-29 2012-01-25 京セラ株式会社 チタン酸バリウム粉末およびその製法、ならびに誘電体磁器
JP2008222522A (ja) * 2007-03-15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タン酸バリウム粉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152A (ko) * 2001-02-01 2002-08-0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티탄산 바륨 분말의 제조 방법, 그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티탄산 바륨 분말, 유전체 세라믹 컴팩트 및 모놀리식세라믹 캐패시터
JP2002234769A (ja) 2001-02-01 2002-08-23 Murata Mfg Co Ltd チタン酸バリウム粉末の製造方法、チタン酸バリウム粉末、誘電体セラミック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20060104058A (ko) * 2005-03-29 2006-10-09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전체용 세라믹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세라믹분말을이용하여 제조된 적층세라믹커패시터
JP2006327890A (ja) 2005-05-27 2006-12-07 Kyocera Corp チタン酸バリウム粉末の製法およびチタン酸バリウム粉末、並びにチタン酸バリウム焼結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50082A (ja) 2010-07-08
KR20100075738A (ko) 2010-07-05
JP5184333B2 (ja)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1357B2 (ja) 電子部品、誘電体磁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972605B1 (en)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JP3878778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および電子部品
JP5434407B2 (ja)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29802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9143735A (ja) 誘電体磁器組成物および電子部品
JP2008247656A (ja) 誘電体磁器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070026134A (ko) 유전체 자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07099534A (ja) 誘電体磁器組成物および電子部品
JP6696267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US10141113B2 (en)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KR101101598B1 (ko)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
KR20110074486A (ko) 유전체 세라믹 재료의 제조방법
JP3908458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7258476A (ja) 積層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254567A1 (en) Dielectric composition, electronic device, and multilayer electronic device
JP4487371B2 (ja) 誘電体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7258477A (ja) 積層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33358B1 (ko) 유전체 세라믹스 재료의 제조 방법
JP4788428B2 (ja) 積層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11468A (ja) 誘電体磁器組成物の製造方法、電子部品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0951319B1 (ko) 유전체 세라믹재료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그린시트, 소결체 및 세라믹 콘덴서
JP5231387B2 (ja) 誘電体セラミックス材料の製造方法
KR100951318B1 (ko) 세라믹 슬러리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세라믹슬러리, 세라믹 슬러리를 포함하는 그린시트, 소결체 및세라믹 콘덴서
JP4677961B2 (ja) 電子部品、誘電体磁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