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04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043B1
KR101101043B1 KR1020090027954A KR20090027954A KR101101043B1 KR 101101043 B1 KR101101043 B1 KR 101101043B1 KR 1020090027954 A KR1020090027954 A KR 1020090027954A KR 20090027954 A KR20090027954 A KR 20090027954A KR 101101043 B1 KR101101043 B1 KR 10110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housing
locking member
connect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533A (ko
Inventor
다카시 네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27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04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평판상(平板狀) 케이블이 끌어 당겨져도 액추에이터(actuator)의 잠금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FPC의 선단부를 수용 공간에 수용하기 위한 개방 위치와 FPC의 선단부를 복수의 콘택트(contact)의 접촉부에 눌러 두기 위한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에 액추에이터를 장착한다. 폐쇄 위치에 있는 액추에이터의 개방 동작을 저지하는 잠금 위치와 액추에이터의 개방 동작을 허용하는 잠금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콘택트 배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우징에 잠금 부재를 장착한다.
Figure R1020090027954
커넥터, 액추에이터, 콘택트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이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평판상의 접속 대상물과 다른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평판상 케이블용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2007-323867호 공보 참조).
이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의 콘택트와 액추에이터와 한 쌍의 잠금부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평판상 케이블의 선단부를 삽입하는 삽입구를 가진다. 하우징의 양단부(兩端部)에는 보조 금구(金具)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콘택트는 동일한 간격으로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다. 액추에이터의 양단부에는 거의 돌기 형상의 피(被)잠금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잠금부는 하우징의 보조 금구 수용 오목부에 각각 수용되어, 하우징 에 고정되어 있다. 잠금부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거의 갈고랑이(鉤爪) 형상이다.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의 삽입구에 평판상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는 하우징의 삽입구를 막음과 더불어, 평판상 케이블을 콘택트에 누른다.
액추에이터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 액추에이터의 피잠금부는 잠금부의 스프링력에 저항해서 잠금부를 탄성 변형시켜 밀어내어, 잠금부 아래에 들어갈 수 있다. 그 결과, 피잠금부가 잠금부에 걸려, 액추에이터는 폐쇄 위치에서 잠긴다.
잠긴 상태의 액추에이터를 개방 위치로 회전시켰을 때, 액추에이터의 잠금부는 잠금부의 스프링력에 저항해서 잠금부를 탄성 변형시켜 밀어내어, 잠금 상태가 해제되므로, 액추에이터는 개방 위치에 이를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에서는, 잠금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게다가 액추에이터의 피잠금부와 잠금부의 걸림 면적이 좁으므로, 어떤 원인으로 평판상 케이블이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끌어 당겨지면, 액추에이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평판상 케이블이 커넥터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었다.
이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접속 대상물이 그 두께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도 액추에이터의 잠금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있어서는, 평판상의 접속 대상물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부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하기 위한 개방 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부를 상기 복수의 콘택트에 눌러 두기 위한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개방 동작을 저지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개방 동작을 허용하는 잠금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부의 두께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에 따르면, 잠금 부재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접속 대상물의 일부의 두께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잠금 해제 위치와 잠금 위치의 사이를 슬라이드할 수 있으므로, 접속 대상물이 그 두께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도, 잠금 부재는 접속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이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이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부의 두께 방향 및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어느 쪽과도 거의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접속 대상물이 끌어 당겨져도 액추에이터의 잠금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근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a, 도 1b,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커넥터는 하우징(3)과 복수의 콘택트(5, 6)와 액추에이터(7)와 잠금 부재(9)를 구비한다. 이 커넥터는 한쪽의 접속 대상물인 프린트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실장되어, 다른 쪽의 접속 대상물인 도 5에 나타내는 FPC(평판상의 접속 대상물)(21)를 프린트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은 기반(基盤)부(31)와 후벽(後壁)부(32)와 측벽부(33)와 잠금부(34)를 가지고,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기반부(31)의 상면(上面)에는 복수의 수용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31a)는 하우징(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반부(31)의 양단부의 하면 에는 제1오목부(31b)가 형성되어 있다(도 1a, 도 7 참조). 제1오목부(31b)는 콘택트 배열 방향 DC로 연장되어 있다. 제1오목부(31b)는 잠금 부재(9)의 잠금부(91)의 저판(底板)부(91b)의 일부를 받아들인다. 또한, 기반부(31)의 양단부의 하면에는 제2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제2오목부는 제1오목부(31b)의 후방에 위치하고, 콘택트 배열 방향 DC로 연장되어 있다. 제2오목부의 내면에는 3쌍의 걸림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제2오목부는 잠금 부재(9)의 자세 안정판(94)(도 4 참조)을 받아들인다. 3쌍의 걸림 오목부는 자세 안정판(94)의 제1걸림 볼록부(94a) 및 제2걸림 볼록부(94b)와 맞물려, 잠금 부재(9)를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로 유지한다.
후벽부(32)는 기반부(31)의 뒷부분에 이어진다. 후벽부(32)에는 기반부(31)의 복수의 수용부(31a)에 이어지는 복수의 수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는 하우징(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반부(31)의 수용부(31a)와 후벽부(32)의 수용부로 콘택트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후벽부(32)의 양단부에는 레일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레일부(32a)는 콘택트 배열 방향 DC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후벽부(32)의 전면에는 오목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2b)는 FPC(21)의 선단부의 일부를 받아들인다(도 5 참조).
측벽부(33)은 기반부(31)의 양단부에 이어진다. 측벽부(33)의 일단부는 후벽부(32)에 이어진다. 측벽부(33)의 앞 부분에는 노치(33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33a)는 잠금 부재(9)의 잠금부(91)의 상판(上板)부(91a)와의 접촉을 피한다.
잠금부(34)는 기반부(31)의 앞 부분에 이어진다. 잠금부(34)는 각기둥 형상 이며, 콘택트 배열 방향 DC로 연장되어 있다. 잠금부(34)의 상면은 측벽부(33)의 노치(33a)의 저면과 단차가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잠금부(34)의 후면에는 노치(34a)가 형성되어 있다.
기반부(31)와 후벽부(32)와 측벽부(33)로 수용 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35)은 FPC(21)의 선단부가 수용된다.
콘택트(5)는 접촉부(도시하지 않음)와 지지부(5b)를 가지고, 금속제이다. 콘택트(5)의 접촉부는 FPC(21)에 형성된 도체(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한다. 지지부(5b)는 액추에이터(7)(도 3 참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콘택트(6)는 접촉부(6a)와 누름부(6b)를 가지고, 금속제이다. 접촉부(6a)는 FPC(21)에 형성된 도체(도시하지 않음)와 접촉한다. 누름부(6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노치(7b)에서 액추에이터(7)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콘택트(5)와 콘택트(6)는 교대로 하우징(3)의 콘택트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다(도 1b 참조).
액추에이터(7)는 거의 판상이며, 노치(7a)와 노치(7b)와 오목부(7c)와 축(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도 2 참조),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노치(7a)와 노치(7b)는 액추에이터(7)의 뒷부분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노치(7a)는 콘택트(5)의 지지부(5b)를 받아들인다. 노치(7b)는 콘택트(6)의 누름부(6b)를 받아들인다. 오목부(7c)는 액추에이터(7)의 양단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축은 노치(7a)를 가로지르고 있다. 축은 콘택트(5)의 지지부(5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7)는 축을 중심으로 해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7)가 개방 위치(도 3에 나타내는 액추에이터(7)의 위치)에 있을 때, FPC(21)의 선단부를 수용 공간(35)에 수용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7)가 폐쇄 위치(도 2에 나타내는 액추에이터(7)의 위치)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7)는 FPC(21)의 선단부를 복수의 콘택트(5)의 접촉부 및 콘택트(6)의 접촉부(6a)에 누른다.
잠금 부재(9)는 잠금부(91)와 자세 유지부(92)와 연결부(93)와 자세 안정판(94)을 가지고(도 4 참조),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91)는 거의 프레임 형상이며, 상판부(91a)와 저판부(91b)와 정면판부(91c)를 가진다. 잠금부(91)는 하우징(3)의 양단부 앞쪽 부분을 상하 방향에서 끼우도록 해서 하우징(3)에 장착되고, 콘택트 배열 방향(수용 공간(35)에 수용된 FPC(21)의 선단부의 두께 방향 및 FPC(21)를 수용 공간(35)에 삽입하는 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 DC로 이동할 수 있다.
자세 유지부(92)는 상판부(92a)와 배면부(92b)를 가진다. 상판부(92a)는 하우징(3)의 레일부(32a)의 상면과 접촉하고, 배면부(92b)는 레일부(32a)의 배면에 접촉한다. 자세 유지부(92)가 레일부(32a)에 접촉함으로써, 잠금부(91)가 슬라이드 할 때의 잠금부(91)의 자세변화가 억제되어, 잠금부(91)가 매끄럽게 슬라이드 한다.
연결부(93)는 거의 각기둥 형상이며, 잠금부(91)와 자세 유지부(92)를 연결한다. 자세 안정판(94)은 연결부(93)의 중앙부의 하부에 이어진다. 자세 안정판(94)에는 제1걸림 볼록부(94a)와 제2걸림 볼록부(94b)가 형성되어 있다. 자세 안정판(94)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의 도시하지 않은 제2오목부에 수용되어, 하우징(3)에 접촉함으로써 자세 유지부(92)와 함께 잠금부(91)의 슬라이드 시의 자세를 안정시킨다.
잠금 부재(9)는, 잠금 위치(도 2에 나타내는 잠금 부재(9)의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도 3에 나타내는 잠금 부재(9)의 위치)의 사이에서, 커넥터 배열 방향 DC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우징(3)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액추에이터(7)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잠금 부재(9)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이동하면, 잠금 부재(9)의 상판부(91a)의 일부가 액추에이터(7)의 오목부(7c)에 들어가, 액추에이터(7)가 개방되려는 동작이 저지(잠금)된다. 잠금 부재(9)가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잠금 부재(9)의 상판부(91a)가 액추에이터(7)의 오목부(7c)로부터 나와, 액추에이터(7)의 개방 동작이 허용(잠금 해제)된다.
도 5 등에 근거하여, 이 커넥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의 수용 공간(35)에 FPC(21)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이때, FPC(21)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출편(21a)을 하우징(3)의 잠금부(34)에 걸리게 한다.
이어서, 개방 위치에 있는 액추에이터(7)를 전방으로 쓰러뜨리듯이 회전시킨다.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는 폐쇄 위치에서 멈춘다. 이때, 액추에이터(7)는 FPC(21)를 콘택트 쪽으로 누른다.
그 후,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잠금 부재(9)를 액추에이터(7) 쪽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부재(9)는 잠금 위치에서 멈춘 다. 이때, 잠금 부재(9)의 상판부(91a)의 일부가 액추에이터(7)의 오목부(7c) 내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3)의 수용 공간(35)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FPC(21)의 일부분을 커넥터의 높이 방향에 따라 들어올리는 힘이 FPC(21)에 작용하면, 액추에이터(7)는 개방 위치 쪽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잠금 부재(9)의 상판부(91a)가 액추에이터(7)의 회전 궤도상에 위치하므로, 액추에이터(7)가 잠금 부재(9)의 상판부(91a)에 부딪쳐서,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액추에이터(7)의 잠금 상태는 유지된다.
또한, FPC(21)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출편(21a)이 하우징(3)의 잠금부(34)에 걸려 있으므로, FPC(21)를 뽑아내는 방향의 힘이 FPC(21)에 작용해도 FPC(21)는 수용 공간(35)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이 제1실시 형태에 따르면, FPC(21)가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끌어 당겨지거나, 뽑아내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도, 액추에이터(7)의 잠금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도 10a∼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첨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1실시 형태와의 주된 상위(相違)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실시 형태의 커넥터에서는, 잠금 부재(9)의 슬라이드 방향은 콘택트 배열 방향 DC과 일치하지만,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에서는, 잠금 부재(209)의 슬라이드 방향은 하우징(203)의 전후 방향(접속 대상물의 일부의 두께 방향 및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어느 쪽과도 거의 직교하는 방향) DF와 일치한다.
제1실시 형태의 커넥터에서는, 하우징(3)의 후벽부(32)의 양단부에 레일부(32a)가 형성되어 있지만,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에서는,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3)의 후벽부(232)에는 레일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측벽부(233)의 앞 부분에 레일부(233b)가 형성되어 있다. 레일부(233b)는 전후 방향 DF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233)에는 수용 공간(233a)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233a)은 전후 방향 DF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233)의 측면에는 슬릿(233c)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33c)은 제1오목부(233ca), 제2오목부(233cb), 제3오목부(233cc)를 가지고, 이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실시 형태의 잠금 부재(209)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291)와 삽입부(292)와 제1핀부(293)와 제2핀부(294)를 가지고,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291)는 거의 프레임 형상이며, 상판부(291a)와 저판부(291b)와 정면판부(291c)와 측판부(291d)를 가진다. 잠금부(291)는 하우징(203)의 단부 앞쪽 부분을 끼우도록 해서 하우징(203)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 DF로 이동할 수 있다.
삽입부(292)는 거의 각기둥 형상이며, 잠금부(291)의 뒷부분에 이어진다. 삽입부(292)는 하우징(203)의 수용 공간(233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부재(209)는, 잠금 위치(도 11에 나타내는 잠금 부재(209)의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도 12에 나타내는 잠금 부재(209)의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 방향 DF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우징(203)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1핀부(293) 및 제2핀부(294)는 삽입부(292)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핀부(293)가 하우징(203)의 제1오목부(233ca)에, 제2핀부(294)가 제2오목부(233cb)에 각각 걸리면, 잠금 부재(209)는 잠금 위치에 유지되고, 제1핀부(293)가 제2오목부(233cb)에, 제2핀부(294)가 제3오목부(233cc)에 각각 걸리면, 잠금 부재(209)는 잠금 해제 위치에 유지된다.
액추에이터(7)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잠금 부재(209)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이동하면, 잠금 부재(209)의 상판부(291a)의 일부가 액추에이터(7)의 오목부(7c)에 들어가, 액추에이터(7)가 개방되려는 동작이 저지된다. 잠금 부재(209)가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 위치에 이동하면, 잠금 부재(209)의 상판부(291a)가 액추에이터(7)의 오목부(7c)로부터 나와, 액추에이터(7)의 개방 동작이 허용된다.
도 16 등에 근거하여, 이 커넥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3)의 수용 공간(35)에 FPC(21)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이때, FPC(21)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출편(21a)을 하우징(203)의 잠금부(34)에 걸리게 한다.
이어서, 개방 위치에 있는 액추에이터(7)를 전방으로 쓰러뜨리듯이 회전시킨다. 도 17,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는 폐쇄 위치에서 멈춘다.
그 후,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잠금 부재(209)를 슬라이드 시킨다. 도 19,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부재(209)를 잠금 위치에서 멈춘다. 이때, 잠금 부재(209)의 상판부(291a)의 일부가 액추에이터(7)의 오목부(7c) 내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203)의 수용 공간(35)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FPC(21)의 일부분을 커넥터의 높이 방향에 따라 들어올리는 힘이 FPC(21)에 작용하면, 액추에이터(7)는 개방 위치 쪽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액추에이터(7)가 잠금 부재(209)의 상판부(291a)에 부딪쳐서,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액추에이터(7)의 잠금 상태는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제2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콘택트(5)를 통해서 액추에이터(7)를 하우징(3, 20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했지만, 액추에이터의 양단부에 축부를 설치하여, 이 축부를 직접 하우징에 형성한 베어링부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해도 좋고, 콘택트와 하우징으로 액추에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평판상의 접속 대상물로서 FPC(21)를 이용하고 있지만, 평판상의 접속 대상물은 FPC(21)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FFC 등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설명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확할 것이다.
도 1a는 이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이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이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에 있어, 폐쇄 위치에 있는 액추에이터가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잠금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어,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잠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수용 공간에 FPC가 수용되고,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어, 잠금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수용 공간에 FPC가 수용되고, 액추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있어, 잠금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수용 공간에 FPC가 수용되고, 액추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있어,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a는 이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0b는 이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0c는 이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에 있어, 폐쇄 위치에 있는 액추에이터가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잠금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어,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일단부(一端部)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잠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수용 공간에 FPC가 수용되고,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어, 잠금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수용 공간에 FPC가 수용되고, 액추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있어, 잠금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수용 공간에 FPC가 수용되고, 액추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있어, 잠금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도 10b의 XVIII-X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수용 공간에 FPC가 수용되고, 액추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있어,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 다.
도 20은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수용 공간에 FPC가 수용되고, 액추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있어,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Claims (3)

  1. 평판상의 접속 대상물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부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하기 위한 개방 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부를 상기 복수의 콘택트에 눌러 두기 위한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개방 동작을 저지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개방 동작을 허용하는 잠금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부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지만,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부의 두께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이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이,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부의 두께 방향과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어느 쪽과도 직교하는 방향인 커넥터.
KR1020090027954A 2008-04-11 2009-04-01 커넥터 KR10110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954A KR101101043B1 (ko) 2008-04-11 2009-04-01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3141 2008-04-11
KR1020090027954A KR101101043B1 (ko) 2008-04-11 2009-04-01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533A KR20090108533A (ko) 2009-10-15
KR101101043B1 true KR101101043B1 (ko) 2011-12-29

Family

ID=4155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954A KR101101043B1 (ko) 2008-04-11 2009-04-01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0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3867A (ja) * 2006-05-31 2007-12-13 Molex Inc ケーブル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3867A (ja) * 2006-05-31 2007-12-13 Molex Inc ケーブル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533A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8557B2 (ja) コネクタ位置決め素子およびこれを組み込んだコネクタ組立装置
KR100916383B1 (ko) 잠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
JP5943774B2 (ja) コネクタ
JP4832183B2 (ja) モジュラープラグ
JP2003264039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半体組立体
JP4605817B2 (ja) コネクタ
CN109904648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5298227B1 (ja) コネクタ
KR101305018B1 (ko) 케이블용 커넥터
KR101721308B1 (ko) 커넥터
TWI687003B (zh) 連接器
KR101101043B1 (ko) 커넥터
CN114080734A (zh) 连接器
US7351079B2 (en) Card connector
JP7315404B2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7280818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JP3256782B2 (ja)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
JP2019133892A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7315405B2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6135015B2 (ja)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7270498B2 (ja) 端子
WO2023090114A1 (ja) 基板用コネクタ装置
WO2021024602A1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セット並びにコネクタセットの抜去方法
JP6391746B1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US7320612B2 (en) C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