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644B1 - 모터 제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 - Google Patents

모터 제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644B1
KR101097644B1 KR1020040056855A KR20040056855A KR101097644B1 KR 101097644 B1 KR101097644 B1 KR 101097644B1 KR 1020040056855 A KR1020040056855 A KR 1020040056855A KR 20040056855 A KR20040056855 A KR 20040056855A KR 101097644 B1 KR101097644 B1 KR 101097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mmand value
phase difference
load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711A (ko
Inventor
아라이야스히로
나카타히데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1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22Synchronous motors
    • H02P25/024Synchronous motors controlled by supply frequ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8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모터 제어 장치는, 모터(3)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inverter circuit)(2)와, 모터(3)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모터 전류 검출기(4)와, 검출기(4)의 출력에 근거하여 인버터 회로(2)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기(5E)를 포함한다. 인버터 제어기(5E)는, 모터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각종 지령값을 설정하는 설정부(6E)와, 설정부(6E)의 설정에 근거하여 인버터 회로(2)를 제어하는 처리부(8)를 구비한다. 설정부(6E)는 로터(rotor) 축과 모터 인가 전압 사이의 각도인 부하각(負荷角)이, 부하각과 출력 토크의 특성에 있어서 최대 출력 토크를 제공하는 부하각보다도 작은 쪽에서 동작하도록 지령값을 설정한다.

Description

모터 제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MOTOR CONTROL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AND DRYING MACHIN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2의 (A)는 모터 인가 전압 및 모터 전류와, 그 위상차를 나타내는 벡터(vector) 도면이고, (B)는 모터 전류가 유효 전류 성분 및 무효 전류 성분으로 전개되었을 때의 벡터 도면.
도 3은 부하각 δ와 출력 토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하량(負荷量)의 검출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5는 무효 전류 지령값과 부하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위상차 φ에 대한 지령값과 부하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위상차 α에 대한 지령값과 부하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위상차 β에 대한 지령값과 부하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위상차 φ를 이용하여 부하량을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를 구비한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10은 위상차 α를 이용하여 부하량을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를 구비한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11은 위상차 β를 이용하여 부하량을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를 구비한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정부의 상세 블록도.
도 13은 무효 전류 지령값과 출력 토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15는 위상차 φ에 대한 지령값과 출력 토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17은 위상차 α에 대한 지령값과 출력 토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19는 위상차 β에 대한 지령값과 출력 토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하량의 검출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22는 제7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상(異常) 검출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의 세탁기의 블록도.
도 24는 종래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직류 전원 2: 인버터 회로
3: 모터 4: 모터 전류 검출기
5, 5A, 5B, 5C, 5D, 5E, 5F, 5G, 5H, 5I: 인버터 제어기
6A, 6B, 6C, 6D, 6E, 6F, 6G, 6H, 6l: 설정부
7, 7A, 7B, 7C, 7D: 부하량 검출부
8: 처리부 9: 이상 검출부
60: 주파수 설정부 61: 무효 전류 지령부
62: 위상차 φ 지령부 63: 위상차 α 지령부
64: 위상차 β 지령부 71: 부하량 판정부
72: 변화량 연산부 73: 유효 전류 연산부
74: 위상차 φ 연산부 75: 위상차 α 연산부
76: 위상차 β 연산부 91: 이상 판정부
92: 변화량 연산부 93: 유효 전류 연산부
본 발명은, 동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와, 그러한 모터 제어 장치를 갖춘 전기 기기(機器)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세탁에서 탈수까지 모든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소위 완전 자동 세탁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완전 자동 세탁기는, 세탁에서 탈수까지의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실행하기 위해 세탁 개시 전에 세탁-탈수 탱크 내에 넣어진 직물량(세탁량)을 검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종래의 직물량의 검출 방법으로는, 모터에서의 로터의 회전 위상을 검출하기 위해 홀 소자(Hall element)가 사용되며, 홀 소자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로터의 회전 위상(位相)을 검출함으로써 모터는 특정 속도로 구동된다. 이때, 모터 전류도 검출되며, 소정의 속도에서 모터가 회전하는 동안 흐르는 모터 전류가 합산된다. 합산된 모터 전류와, 구동 신호가 정지된 후 모터가 소정의 속도에 감속될 때까지의 모터의 관성 시간에 근거하여, 직물량을 검출한다(특허 문헌 1 참조).
다른 종래 기술("제2의 종래 기술"이라고 부른다)에서는 직물량을 검출하기 위해 위치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기술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모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로터의 회전 위상과 회전 속도를 추정하고, 벡터 동작에 의해 얻은 토크 축 전류 성분을 이용하여 직물량을 검출한다(특허 문헌 2 참조).
또 다른 종래 기술("제3의 종래 기술"이라고 부른다)에서의 모터 제어 장치는, 모터에 공급된 무효 전류(reactive current)를 검출하고, 이 값이 목표값에 도달하도록 피드백(feedback)시킴으로써 제어한다(특허 문헌 3 참조). 제3의 종래 기술을 도 2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4는 제3의 종래 기술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직류 전원(701)의 직류 전압은 인버터 회로(702)에 의해 교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모터 전류 검출기(704)를 거쳐 모터(703)에 공급된다.
인버터 제어기(55)에서는, 처리부(58)가 모터 인가 전압에 대한 지령값으로부터 PWM 지령을 생성하고 출력하며 인버터 회로(702)의 스위칭 소자(switching element)를 제어하여 모터(703)를 구동한다. 이때에, 모터 전류 검출기(704)는, 모터(703)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검출기(57)는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모터 전류의 무효 성분을 연산한다. 설정부(56)는 회전 주파수 지령값과 무효 전류 지령값을 출력한다. 처리부(58)는 무효 전류 지령값 및 무효 전류 검출값의 오차에 근거하여 연산함으로써 인가 전압 지령값을 생성하고, 인가 전압 지령값으로부터 PWM 지령값을 생성하여 그것을 인버터 회로(702)에 출력함으로써, 다음의 제어 주기(control cycle)에서 다시 인버터 회로(702)를 제어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09-253379A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2002-360970A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 2002-048418A
제1의 종래 기술에서의 세탁기는, 모터 구동 및 직물량을 검출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나, 홀 소자와 같은 위치 센서는 고가(高價)이며, 위치 센서 신호를 위한 배선이 필요하고, 이것은 소형화 및 저비용화에 방해가 되고 있다. 또한, 위치 센서는 모터의 허용 가능 온도에 비해서 주변 온도의 허용 온도가 더 낮아야 된다. 특히, 세탁으로부터 건조로 연속해서 동작하는 세탁-건조기에 있어서는, 위치 센서의 장착 위치는 제한되며, 이것은 세탁-건조기의 메커니즘을 설계함에 있어서 큰 제약이 된다.
한편, 위치 센서를 장착하는 경우에 위치의 오차에 따라서는, 로터의 실제 위상이 홀 소자로부터의 위상 신호와 상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기는 잘못된 위상 신호를 사용하여 연산하고 인가 전압을 결정함으로써, 모터의 효율이 최상점으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모터 효율이 낮아지거나 또는 진동 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센서가 고장 난 경우에는, 모터는 전혀 구동될 수 없고, 전체 세탁기의 신뢰성이 희생되게 된다.
제2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세탁기는, 위치 센서를 갖추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제1의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위치 센서에 의해 기인하는 상기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그러나, 드럼식 세탁기의 경우에, 세탁 동작 중에 회전 탱크에 의해 세탁물이 들어 올려지고 상부에 도달하기 전에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세탁 동작은 회전 탱크가 90도에서 180도까지 회전할 때마다 세탁물의 1회 낙하를 야기하며, 세탁물의 낙하는 큰 부하 변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회전 탱크를 회전시키는 모터에 대해 대폭적인 부하 변동을 초래하게 된다. 탱크의 회전 속도는 낮아야 하는데, 회전 속도가 높으면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회전 탱크에 붙게 되어 세탁물이 떨어지지 않아 세탁물의 때가 제거되지 않는다. 위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 전류로부터 로터(rotor) 위치가 추정되는 제2의 종래 기술은 위치 추정을 위해 필요로 하는 회전 속도의 하한값을 갖는다. 드럼 세탁기와 같이 낮은 회전 속도로 구동되고 대폭적인 부하의 변동이 수반되는 경우, 제2의 종래 기술은 실제값으로부터 벗어나는 위치 추정을 야기할 수도 있고, 부하 변동을 추종할 수 없어서, 탈조(脫調)해 버릴 수 있다. 제2의 종래 기술에서, 모터는 벡터 제어로서 구동하기 때문에, 부하 토크 또는 이에 상응하는 값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물의 낙하 운동에 따라 부하가 갑자기 변동되고, 따라서 부하 토크를 검출하기가 어려워서, 제2의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드럼식 세탁기를 구동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제3의 종래 기술의 센서가 없는 DC 모터의 제어 장치는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중의 부하 토크 변동 진폭이 급격하고 또한 대폭적인 경우에는, 통전(通電) 위상의 편차에 의해 모터 효율의 저하와, 속도 변동에 의한 진동과, 탈조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급격한 부하 변동에 의한 탈조의 검출 수단이나, 또는 발진(發振) 발생 시의 보호 수단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부하 토크 변동이 큰 경우에도 위치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안정된 회전을 얻을 수 있으며, 급격한 부하 변동으로 인한 탈조 및 발진을 검출할 수 있는, 소형이고 저비용이며 신뢰성이 높은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모터 제어 장치는, 모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와,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모터 전류 검출부와, 모터 전류 검출부의 출력에 근거해서 상기 인버터 회로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인버터 제어부는, 모터의 운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지령값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설정부의 설정에 따르는 운전 상태가 되도록 인버터 회로를 제어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설정부는 로터 축과 모터 유도 전압 사이의 각도인 부하각이, 부하각과 출력 토크의 특성에 있어서 최대 출력 토크를 제공하는 부하각보다도 작은 쪽에 위치하도록 지령값을 설정한다.
인버터 제어부는, 모터의 부하량을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부하량 검출부는, 유효 전류, 인가 전압 지령값과 모터 전류 사이의 위상차 φ, 인가 전압 지령값과 모터 유도 전압 사이의 위상차 α, 로터 축인 q-축과 모터 전류 사이의 위상차 β 중의 어느 하나를 검출해서 부하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때, 설정부는, 부하량 검출부로부터 얻은 부하량에 근거해서 모터의 운전 상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부하량 검출부는, 모터 구동의 개시 또는 모터 구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모터의 부하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설정부는, 무효 전류를 지령하는 지령값, 인가 전압 지령값과 모터 전류 사이의 위상차 φ를 지령하는 지령값, 인가 전압 지령값과 모터 유도 전압 사이의 위상차 α를 지령하는 지령값, 또는 로터 축의 q-축과 모터 전류 사이의 위상차 β를 지령하는 지령값에 근거해서 부하각을 제어한다.
또한, 인버터 제어부는, 모터 전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모터의 이상(異常)을 검출하는 이상 상태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설정부는, 모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경우에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설정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설정부는, 이상 검출부에 의해 모터의 이상이 검출되면 모터 운전을 정지시키고, 운전 상태가 정상화된 후, 모터의 운전을 재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있어서, 모터 제어 장치는, 모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와,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모터 전류 검출부와, 모터 전류 검출부의 출력에 근거해서 상기 인버터 회로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인버터 제어부는, 부하량을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를 포함한다. 부하량 검출부는, 모터 전류의 유효 전류 성분을 결정하고, 이전 주기에서 얻은 모터 전류의 유효 전류 성분으로부터 변화량을 연산하여, 상기 변화량을 소정의 값과 비교한다. 상기 변화량이 소정의 값보다 적은 경우, 모터 전류의 유효 전류 성분의 변화량이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까지 서서히 모터 전류의 무효 전류 성분을 증가시킨다. 이때, 변화량이 소정의 값보다 큰 경우, 모터 전류의 무효 전류 성분에 근거하여 부하량을 판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 방식의 세탁기와 같은 로터의 부하 토크가 변동이 대폭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도 위치 센서를 이용하는 일 없이 안정된 회전을 얻을 수 있고, 급격하고 대폭적인 부하 변동으로 인한 탈조 및 발진을 검출할 수 있으며, 크기가 감소되고, 비용이 저감되며, 배선이 단순화되어, 모터 메커니즘 설계에 제약이 적고, 신뢰성이 높은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드백 제어 주기가 짧으므로, 안정성이 높은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터 파라미터를 사용하지 않고 제어 루프(loop)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터 파라미터가 상이한 모터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되는 모터 파라미터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조정이 단순화된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벡터 제어를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 마이너 루프(minor loop)를 이용하지 않고 모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연산량이 적어지고, 저렴한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 구동 개시 후에 탈조와 같은 이상이 발생된다면, 위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을 검출하였을 경우, 부하 변동에 따른 설정값을 재설정할 수 있고, 탈조 현상의 발생 후에 재가동하는 것이 가능해 지며, 예상하지 못한 부하 변동 발생이 생긴 경우에도 모터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세탁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 및 세탁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모터 제어 장치는, 직류 전원(1)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모터(3)를 구동하기 위한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2)와, 모터(3)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모터 전류 검출기(4)와, 인버터 회로(2)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기(5E)를 포함한다.
모터(3)는, 예를 들면, 동기형 브러시 없는 모터이며, 로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는 포함하지 않고 있다.
인버터 회로(2)는, 3상(相) 암(arm)을 구성하는 6개의 스위칭 소자(예를 들면, 사이리스터(thyristor), GTO, 트랜지스터 등)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병렬로 접속된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2)는, 직류 전원(1)으로부터 직류 전력을 수신하고, 이 직류 전력을, 인버터 제어기(5E)로부터의 제어 신호(PWM 신호)에 응답해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교류 전력을 모터 전류 검출기(4)를 통해서 브러시 없는 모터(3)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모터 전류 검출기(4)는, 예를 들면, 직류 및 교류의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직류 전류 센서나, 또는 직류 전류 센서에 비해 저렴한 교류 전류 센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전류 검출을 위해서, 인버터 회로(2)의 3상 암을 구성하는 각각의 스위칭 소자에 저항 소자를 직렬로 접속하고, 3상의 암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검출값을 연산함으로써 분류기(分流器) 검출 시스템을 이용해도 좋다. 분류기 검출 시스템은 교류 전류 센서를 사용하는 것보다도 염가로 전류 검출기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인버터 제어기(5E)는, 모터의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값을 설정하는 설정부(6E)와, 인버터 회로(2)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부(8)와, 부하량(크기)을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7A)를 포함한다. 부하량 검출부(7A)는, 모터 전류 검출기(4)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모터 전류의 유효 전류 성분(이하에서 "유효 전류"라고 한다)을 연산하는 유효 전류 연산부(73)와, 유효 전류 연산부(73)로부터의 출력의 변화량(변동)을 연산하는 변화량 연산부(72)와, 유효 전류의 변화량으로부터 부하량을 판정하는 부하량 판정부(71)를 포함한다.
모터 전류 검출기(4)의 출력은 인버터 제어기(5E)의 처리부(8)에 입력된다. 부하량 검출부(7A)에서는, 처리부(8)에서 연산된 값에 근거해서 부하량을 연산하고, 그것을 설정부(6E)에 인가한다. 설정부(6E)는 인버터 회로(2)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설정값을 설정한다. 설정부(6E)는, 주파수 설정부(60)와 무효 전류 지령부(61)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 및 후속하는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무효 전류 지령, 위상차 φ 지령, 위상차 α 지령, 위상차 β 지령에 관한 제어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종래 기술(일본국 특원 제2002-048418호)에 나타나 있다.
(파라미터)
이하에 본 발명의 모터 제어 장치의 제어에서 이용하는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도 2(a)는, 모터 인가 전압 지령값 Va, 유도 전압 VO 및 모터(3)를 흐르는 모터 전류 Is의 관계를 d-q 축 상에서 나타낸 벡터 도면이다. 모터(3)의 로터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에 의한 발생 전압은 q-축 상에 있으며, 리액턴스 성분(reactance component)을 포함하는 모터(3)의 로터 및 스테이터 사이에 발생하는 유도 전압은 VO가 된다. 모터 인가 전압 지령값 Va와 유도 전압 VO 사이의 벡터의 차(差)는 모터의 권선 저항 R에 모터 전류 Is를 곱한 것이 된다. 모터 전류의 무효 전류 성분(이하에서 "무효 전류"라고 한다) Ir은, 인가 전압 지령값 Va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모터 전류 Is의 성분이다. 모터 전류의 유효 전류 성분 Ia는, 인가 전압 지령값 Va의 방향에 있어서의 모터 전류 Is의 성분이다. 즉, 인가 전압 지령값 Va의 방향에 a-축, 그것과 직교 방향에 r-축을 취한 좌표계를 생각하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효 전류 Ir은 모터 전류 Is의 r-축 방향 성분이 되고, 유효 전류 Ia는 모터 전류 Is의 a-축 방향 성분이 된다. 여기서, φ는 인가 전압 지령값 Va와 모터 전류 Is 사이의 위상차이며, 그것은 역률각(力率角)을 나타낸다.
무효 전류 Ir 및 유효 전류 Ia의 값은, 모터 전류 검출기(4)에 의해 검출된 U상, Ⅴ상, W상의 전류 Iu, Iv, Iw에 기초하여 다음의 공식으로 결정된다.
Figure 112004032333170-pat00001

(적절한 부하각)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격하고 또한 대폭적인 부하 변동이 있을지라도 설정부(6E)에 의해 안정된 모터 구동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어 시의 부하각 δ의 구동점의 위치를, 예상되는 부하 변화량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설정한다. 이하에, 적절한 구동점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일정한 모터 회전 속도 및 모터로의 일정한 인가 전압일 때의 부하각 δ와 출력 토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이 조건에서 부하각 δ를 크게 하면, 모터의 출력 토크는 서서히 증가하고, 피크값 이후에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최대 토크 제어에서는, 최대 토크를 부여하는 구동점 c 부근에 구동점을 유지하도록 부하각 δ가 설정된다. 그러나, 구동점 c 부근에서 동작시키는 동안, 급격하고 또한 대폭적으로 부하 변동이 증대되는 경우, 제어 시스템이 이 변동에 응답하여 인가 전압을 증가시킬 때까지는, 토크가 부족하고 부하각 δ는 증가된다.
즉, 구동점 c에서 동작할 때 부하가 급격하고 대폭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부하각 δ는 제어 시스템이 응답할 때까지 증가된다. 그러면, 도 3에 나타내는 특성에 따라 출력 토크가 감소하여, 속도가 저하되고, 이것에 의해, 더욱 부하각이 증가되어, 제어 시스템이 저속을 유지하는 경우 탈조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급격하고 또한 대폭적으로 부하의 변동이 감소되는 경우, 제어 시스템의 응답에 의해 인가 전압을 감소시키지 않을지라도, 부하각 δ는 감소되어, 도 3에 나타내는 특성에 따라 출력 토크가 감소로 변화된다. 즉, 부하가 감소함에 따라 출력 토크가 감소되므로, 안정적인 동작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터 제어 장치에서는, 급격하고 또한 대폭적인 부하 변동, 특히 증가되는 부하 변동에 대하여 모터를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설정부(6E)는, 최대 토크 제어를 실현하는 구동점 c 근방의 부하각 δ를 설정하지 않고, 부하 변동이 증가하더라도 구동점 c를 초과하지 않는 부하각, 즉, 구동점 c의 부하각 δ보다도 소정량만큼 작은 부하각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설정부(6E)에 있어서, 구동점이 도 3의 구동점 b 부근에 있도록 부하각 δ를 설정하여, 운전을 실행한다. 이 경우, 부하가 급격하고 또한 대폭적으로 증가한다면, 부하각 δ는 증가한다. 이때, 구동점은 b로부터 c로 이동하고, 부하각 δ의 증가로 인해 토크가 증가한다. 제어 시스템에서 응답에 의한 증가보다도 토크가 더 빠르게 증가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부하 변동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모터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더 대폭적이고 급격한 부하 변동의 증가가 예상된다면, 설정부(6)에서 도 3의 구동점 a 부근에 부하각 δ를 설정한다. 결과적으로, 더 대폭적인 부하 변동으로 인해 구동점이 변동된다면, 구동점이 c를 초과해서 변경되지 않아, 모터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설정부(6)에서 부하각 δ를, 예상되는 부하 변화량에 따라서 적절한 값으로 설정한다.
이로써, 급격하고 또한 대폭적인 부하 변동에도 불구하고 모터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부하량의 검출)
적절한 부하각 δ를 결정하기 위해서, 부하량을 예상할 필요가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구동 시작 시에 있어서 부하량 검출부(7A)에 의해 부하량을 검출한다. 이하에, 부하량 검출부(7A)의 부하량 검출 동작에 대해서, 도 4의 흐름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모터 구동 시작 시에, 설정부(6E)에서 지령값의 초기값이 설정된다(단계 S1OO). 지령값은, 무효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목표값이며, 이 값에 따라서 인버터 회로(2)로의 PWM 신호가 생성된다. 설정부(6E)의 주파수 설정부(60)에서, 주파수의 초기값이 설정되고, 설정된 파라미터의 값으로 구동이 개시된다(단계 S1O1).
그 후, 유효 전류 연산부(73)에 의해 모터 전류 검출기(4)로부터의 검출 신호로부터 식 (2)에 따라서 유효 전류가 결정되고, 변화량 연산부(72)에 의해 유효 전류의 변화량이 결정된다. 부하량 판정부(71)에 의해, 결정된 변화량과 소정의 값이 비교되어, 결정된 변화량이 소정의 값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1O2). 소정의 값은, 예를 들면,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유효 전류의 변화량을 소정의 값과 비교하는 것은, 무효 전류 지령값의 증가로 인해 변화되는 부하각이 구동점 c(도 3)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서이다.
무효 전류 지령값의 증가에 따라 부하각 δ가 변화된다. 부하각 δ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점 b→c→d로 변화될 때, 부하각이 최대 출력 토크를 부여하는 구동점 c에 도달한 직후에, 유효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된다. 따라서, 이전 제어 주기와 현재 제어 주기 사이의 유효 전류의 변화량(변화율)을 검출함으로써, 그 변화량이 소정의 값보다 크면, 부하각이 구동점 c를 부여하는 부하각 δp를 초과하였는지(즉, 구동점 c에 도달한 것)를 알 수 있다.
도 4로 돌아가서, 변화량이 소정의 값 이하일 경우는, 설정부(6E)에서 현재의 지령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얻은 새로운 지령값을 설정하고(단계 S103), 단계 S1O2로 되돌아온다. 단계 S1O2와 단계 S1O3의 루프(loop)에 의해, 유효 전류의 변화량이 소정의 값에 도달 또는 초과될 때까지 무효 전류 지령값은 서서히 증가된다. 변화량이 소정의 값에 도달 또는 초과하는 경우, 구동 중인 모터를 정지시킨다(S1O4).
그 후, 현재의 지령값에 근거해서 부하량을 검출한다(S1O5). 무효 전류 지령값에 근거해서 부하량을 검출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최후로, 검출된 부하량에 근거해서 무효 전류 지령값을 재설정하고, 무효 전류 설정부(61)에 출력해서(S1O6), 부하량 검출부(7A)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무효 전류를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부하각 δ의 급격한 증가의 검출은, 부하량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상기 단계 S1O5에서, 무효 전류 지령값에 근거해서 부하량을 판정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일정한 모터 회전 속도(부하 토크)에 있어서의 무효 전류 지령값과 부하각 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대, 중, 소의 3종류의 부하량에 대한 무효 전류 지령값과 부하각 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부하각과 무효 전류 지령값 사이의 관계는 부하량에 상응해서 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부하각 δ가 변동하는 구동점은 부하량에 따라 변화되며,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최대 출력 토크를 부여하는 부하각(구동점 c에 대응)을 검출할 수 있으면, 이때의 무효 전류 지령값으로부터 부하량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이하에 이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서, 무효 전류 지령값 "e"에서 구동을 시작하고, 서서히 무효 전류 지령값을 증가시켜 간다. 도 4의 단계 S1O2에서 결정된 부하각 δ가 도 3의 구동점 c를 부여하는 부하각 δp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이때의 무효 전류 지령값이 "f"라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량은 "대"라고 판정할 수 있다. 무효 전류 지령값을 "e"로부터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부하각 δ가 구동점 c를 부여하는 부하각 δp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이때의 무효 전류 지령값이 "g"라면, 부하량은 "중"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효 전류 지령값을 "h"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시킴으로써, 부하각 δ가 부하각 δp(구동점 d")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었다면, 부하량은 "소"라고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량은 무효 전류 지령값으로부터 간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설정부(6E)에서, 무효 전류 지령값을 상기 방식으로 얻은 무효 전류 지령값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부하량이 상이한 부하에 대하여, 도 3의 구동점 c를 부여하는 부하각 δp보다 작은 부하각 δ에 구동점을 설정할 수 있다.
(위상차 φ, 위상차 α, 또는 위상차 β를 이용한 부하량 검출)
도 6, 도 7 및 도 8은, 각각, 대, 중, 소의 부하에 대해,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해서, 위상차 φ, 위상차 α 또는 위상차 β와 부하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상차 φ는 인가 전압 지령값 Va와 모터 전류 Is 사이의 위상차이고, 위상차 α는 인가 전압 지령값 Va와 유도 전압 VO 사이의 위상차이며, 위상차 β는 모터 전류 Is와 로터 자석에 의한 발생 전압 ωψ 사이의 위상차이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차 φ, 위상차 α 또는 위상차 β와 부하량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무효 전류와 부하각 사이의 관계와 유사하게, 부하량에 따라 특성이 달라진다. 그러므로, 인버터 제어기에서, 무효 전류 지령값에 대한 제어와 같은 동일한 기능을, 위상차 φ 지령, 위상차 α 지령 및 위상차 β 지령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위상차 φ 지령, 위상차 α 지령 및 위상차 β 지령 중 어느 하나를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부하각 δ의 급격하고 대폭적인 증가를 검출할 수 있는 경우, 부하량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부하량 검출부(7A)에서 유효 전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대신에, 위상차 φ, 위상차 α 및 위상차 β 중 어느 하나의 변화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에 각각, 위상차 φ, 위상차 α 및 위상차 β를 검출함으로써 부하량을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7B, 7C, 7D)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모터 제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무효 전류로써 간접적으로 부하량을 검출할 수 있다. 부하량을 검출하기 위해 유효 전류 또는 위상차 α가 부하량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경우, 공식 (2) 및 후술하는 공식 (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의 인덕턴스, 권선의 저항, 또는 유도 전압과 같은 모터 파라미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검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부하량 검출부가 상기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모터 파라미터는 사용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모터 제어 장치는 상이한 파라미터를 갖는 다른 모터에 즉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공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차 α를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에서는 단지 모터 권선의 저항만이 이용되며, 따라서 파라미터는 다른 모터에 대해서도 매우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호환성을 갖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공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차 β를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에서는 단지 모터 권선의 저항 및 q-축의 인덕턴스만이 이용되며, 따라서 파라미터는 다른 모터에 대해서 매우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호환성을 갖는 모터 제어 장치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모터의 유도 전압은 운전 온도에 따라 변화되므로, 모터의 유도 전압을 이용하지 않는 본 발명의 모터 제어 장치는 높은 호환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모터 제어 장치는 벡터 제어를 실행하지 않으므로, 처리될 연산량이 적다. 따라서, 모터 제어 장치에 저렴한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 1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부하량 검출부(7)는 전술한 부하량 검출부(7A∼7D) 중 어느 하나인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12b는 설정부(6A)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설정부(6A)는, 주파수 설정부(60), 무효 전류 지령부(61), V/f 변환기(81), 가산기(82, 83), 파형 생성부(84), 무효 전류 연산부(85), 오차 전압 출력부(86)를 포함한다. 무효 전류 지령부(61)는, 모터 전류 Is의 무효 전류 성분값 Ir의 지령값 Ir*(이하에서 "무효 전류 지령값"이라고 한다)을 출력한다.
주파수 설정부(60)는 인버터 회로(2)로부터 출력된 교류 전력의 주파수 지령값을 설정하여 모터(3)의 회전 속도를 결정한다. 설정된 주파수 지령값은 파형 생성부(84)와 V/f 변환기(81)에 출력된다. 파형 생성부(84)는, 주파수 지령값으로부터 회전 위상 신호 θ를 생성하여, 무효 전류 연산부(85)와 처리부(8)에 인가한다. 무효 전류 연산부(85)는, 모터 전류 검출기(4)의 출력과 파형 생성부(84)의 회전 위상 신호 θ로부터 공식 (1)을 사용하여 무효 전류 성분을 결정하고, 그것을 가산기(83)에 입력한다. 가산기(83)는 무효 전류 지령부(61)로부터 출력되는 무효 전류 지령값 Ir*이 추가로 입력된다. 가산기(83)의 출력은 오차 전압 검출기(86)에 인가되어, 오차 전압이 판정된다. 오차 전압 검출기(86)의 출력은 가산기(82)에서 V/f 변환기(81)의 출력과 가산되어, 합계가 처리부(8)로 출력된다. V/f 변환기(81)는, 주파수 설정부(60)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지령값에 근거하여 모터(3)를 구동하는 인가 전압 기준 지령값을 가산기(82)에 출력한다. V/f 변환기가 일반적으로 입력 주파수 지령값에 비례하여 인가 전압 기준 지령값을 출력하지만, 본 발명의 V/f 변환기(81)는 이 기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모터 회전 속도 및 인가 전압을 일정하게 하였을 때의, 무효 전류 지령값과 출력 토크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구동점 a, b, c, d는 각각 도 3의 구동점에 대응한다. 이 구성으로부터 구동점은 무효 전류 지령값을 사용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무효 전류 지령부(61)에 의해 출력 토크에 대응하도록 무효 전류 지령값을 설정함으로써, 제1실시형태에 유사하게 구동점 c 에 대응하는 부하각보다도 작은 부하각(적절한 부하각)에서의 구동점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버터 제어기(5A)의 구동점을, 예상되는 부하 변동의 진폭에 상응해서 변화시킴으로써, 급격하고 또한 대폭적인 부하 변동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달성할 수 있다. 무효 전류 지령값은 모터의 구동 중에 변경될 수 있다. 세탁기에서, 직물이 치우쳐서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회전 속도가 변경됨에 따라 부하 변동도 변경되므로, 무효 전류 지령값은 부하 변동의 변경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이러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효 전류 지령값을 이용해서 구동점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부하각 δ를 직접 검출할 필요가 없다. 부하각 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모터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연산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파라미터를 이용하지 않고 검출할 수 있는 무효 전류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부하각 δ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 파라미터가 상이한 모터 제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처리되어야 할 데이터량이 적으므로, 저렴한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모터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모터 제어 장치는, 제2실시형태의 무효 전류 지령부(61)를 대신하여 위상차 φ 지령부(62)를 구비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2실시형태의 그것과 동일하다. 위상차 φ는, 인가 전압 지령값 Va와 모터 전류 Is 사이의 위상차이다. 위상차 φ는 다음의 공식으로 결정된다.
Figure 112004032333170-pat00002
도 15는, 모터 회전 속도 및 인가 전압을 일정하게 하였을 때의, 위상차 φ 지령값과 출력 토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서, 구동점 a, b, c, d는 도 3에 나타낸 구동점에 대응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위상차 φ 지령값을 이용해서 구동점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위상차 φ 지령부(62)에 의해 출력 토크량에 대응하도록 위상차 φ 지령값을 설정함으로써,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최대 효율을 부여하는 구동점 c에 대응하는 부하각보다도 작은 부하각(적절한 부하각)에 구동점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버터 제어기(5B)의 구동점을 부하 변동의 진폭에 상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급격하고 또한 대폭적인 부하 변동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차 φ가 모터의 구동 중에 변경될 수 있으므로, 모터의 구동 중에 부하 변동이 변경될지라도,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위상차 φ 지령값을 이용해서 구동점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부하각 δ를 직접 검출할 필요가 없다. 공식 (1) 내지 공식 (3)으로부터 위상차 φ를 검출하기 위해 모터 파라미터를 이용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하각 δ는 모터 파라미터를 이용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는 상이한 모터 파라미터를 갖는 모터에 직접 적용되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각도로써 나타내는 위상차 φ는 역률각이기 때문에, 위상차 φ를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의 역률, 즉, 직접 설정될 유효 전력 및 무효 전력의 분배 비율을 야기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터의 구동 상태를 쉽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4실시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모터 제어 장치는, 제2실시형태의 무효 전류 지령부(61)를 대신하여 위상차 α 지령부(63)를 구비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2실시형태의 그것과 동일하다. 위상차 α는, 인가 전압 지령값 Va와 유도 전압 VO 사이의 위상차이다. 위상차 α는 다음의 공식으로 결정된다.
Figure 112004032333170-pat00003

도 17은 모터 회전 속도 및 인가 전압을 일정하게 하였을 때의, 위상차 α 지령값과 출력 토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서, 구동점 a, b, c, d는 도 3에 나타내는 구동점에 대응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위상차 α 지령값을 이용해서 구동점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위상차 α 지령부(63)에 의해 출력 토크량에 대응하도록 위상차 α 지령값을 설정함으로써,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최대 효율을 부여하는 구동점 c에 대응하는 부하각보다도 작은 부하각(적절한 부하각)에 구동점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버터 제어기(5C)의 구동점을 부하 변동의 진폭에 상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급격하고 또한 대폭적인 부하 변동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차 α가 모터의 구동 중에 변경될 수 있으므로, 모터의 구동 중에 부하 변동이 변경될지라도,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위상차 α 지령값을 이용해서 구동점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부하각 δ를 직접 검출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공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 권선의 저항 R을 이용해서 위상차 α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모터 파라미터가 더 적은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쉽게 조정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모터의 기동 시에 회전 주파수가 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로터의 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 전압 ωφ(도 2(a) 참조)는 크게 변동한다. 그러므로, 유도 전압 VO는 크기와 방향 양쪽이 크게 변동하고, 모터 전류 Is도 광범위하게 변화된다. 그 결과, 모터의 기동 시에는, 인가 전압 지령값 Va와 모터 전류 Is 사이의 위상차 φ가 크게 변동하고, 위상차 φ의 검출값이 변동하여, 제어하기가 어렵다. 이에 반해, 이러한 경우에, 위상차 α는 단지 약간 변경되며, 모터 기동 시에 위상차 α의 검출값은 변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위상차 α를 이용하면, 안정된 피드백 제어를 실행할 수 있고, 모터 기동 시부터의 모터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을 얻게 된다.
위상차 α의 검출에는 단지 모터의 배선 저항 R만을 필요로 하고, 부하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인덕턴스 값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부하에 의한 보정이 불필요하게 되어서, 염가의 모터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5실시형태)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모터 제어 장치는, 제2실시형태의 무효 전류 지령부(61)를 대신하여 위상차 β 지령부(64)를 구비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2실시형태의 그것과 동일하다. 위상차 β는, 도 2(a)에 나타낸 로터 축으로서의 q-축과 모터 전류 Is 사이의 위상차이다. 상기 위상차 β는 다음의 공식으로 결정된다.
Figure 112004032333170-pat00004

도 19는 모터 회전 속도 및 인가 전압을 일정하게 하였을 때의, 위상차 β 지령값과 출력 토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의 구동점 a, b, c, d는 도 3에 나타내는 구동점에 대응하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위상차 β 지령값을 이용해서 구동점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위상차 β 지령부(64)에 의해 출력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위상차 β 지령값을 설정함으로써,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동점 c보다도 작은 부하각 δ에 구동점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버터 제어기(5D)의 구동점을 부하 변동의 진폭에 상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급격하고 또한 대폭적인 부하 변동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차 β가 모터의 구동 중에 변경될 수 있으므로, 모터의 구동 중에 부하 변동이 변화될지라도,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6실시형태)
제1실시형태에서는 부하량을 모터 구동 기동 시에 검출하였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의 구동 중에 있어서도 검출된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형태의 그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구동 중의 부하량 검출 방법을 도 2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특히 부하량이 모터의 구동 중에 어떻게 변화되는지 모르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부하량 검출부(7A)는 모터 구동을 개시한 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부하를 검출한다. 처음에는, 설정부(6E)에 의해 현재의 지령값을 고정값으로서 설정한다(단계 S200). 이어서, 주파수 설정부(60)는 현재의 주파수 설정을 고정값으로서 설정한다(단계 S201). 모터 전류 검출기(4)의 검출 신호에 근거해서 얻어진 유효 전류의 변동(변화량)을 소정의 값과 비교한다(단계 S202). 변동이 소정의 값 이하일 경우는, 부하량이 변동하지 않았다고 판정하고, 부하 검출을 종료한다. 한편, 변동이 소정의 값 이상일 경우는, 설정부(6E)가 검출된 변동에 근거해서 지령값을 재설정하고(단계 S203), 처리를 종료한다. 소정의 값은 실험에 의해 구할 수도 있다.
이상의 동작에서, 모터 구동의 개시 후에 부하량이 변경되었을 경우, 부하량에 따라 설정값을 재설정할 수 있고, 부하 변동으로 인한 탈조 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모터를 구동할 수 있는 세탁기를 실현할 수 있다.
(제7실시형태)
도 21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인버터 제어기(51)는, 설정부(61), 처리부(8) 및 이상 상태 검출부(9)를 포함한다. 그 밖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의 그것과 동일하다.
이상 상태 검출부(9)는, 모터 전류 검출기(4)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모터의 운전 상태의 이상을 검출한다. 이것은, 검출한 모터 전류로부터 유효 전류 성분을 연산하는 유효 전류 연산부(93)와, 유효 전류 연산부(93)로부터의 출력(유효 전류)의 이전 주기로부터의 변화량을 연산하는 변화량 연산부(92), 유효 전류의 변화량으로부터 부하 이상을 판정하는 이상 상태 판정부(91)를 포함한다.
인버터 제어기(51)의 이상 검출 동작에 대해서 도 22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상 상태 검출부(9)는 모터 구동을 개시한 후의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이상을 검출한다. 처음에, 모터 전류 검출기(4)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해서 유효 전류의 변화량을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변화량이 소정의 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1). 소정의 값은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변화량이 소정의 값보다 적은 경우, 부하는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하고(단계 S302), 이상 검출을 종료한다.
한편, 변화량이 소정의 값보다 크다면, 부하가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설정부(6E)가 설정값을 설정한다(단계 S303). 그 후, 지령값이 적절한 값으로 재설정된다(단계 S304). 지령값의 재설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처리 중 적어도 1개가 실행된다.
1) 회전 속도 지령값을 고정한다(즉, 일정한 회전 속도로 유지).
2) 회전 속도 지령값을 감소시킨다(즉, 감속).
3) 모터의 구동점이 도 3의 구동점 c보다도 작은 쪽에 위치하도록, 지령값(무효 전류 지령, 위상차 φ 지령, 위상차 α 지령, 또는 위상차 β 지령)을 설정한다.
설정값을 재설정한 후, 모터를 재기동하고, 이상 검출을 종료한다.
이상 상태 검출부(9)는, 유효 전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대신에, 위상차 φ, 위상차 α, 위상차 β 중 어느 하나의 변화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나타내지 않음).
이상의 동작에 의해, 모터 구동 개시 후에 탈조와 같은 부하 이상이 발생하면, 위치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이 추가로 검출되면, 부하 변동에 따라 설정값을 재설정할 수 있고, 탈조 현상의 개시 후에 운전을 재개할 수 있으므로, 예상하지 못한 부하 변동이 생기는 경우에도 모터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모터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탈조나 부하의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에, 일단 모터를 정지시키고, 다시 부하량을 판정함으로써 모터를 재구동한다는 점에서 제6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8실시형태)
도 23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모터 제어 장치를 이용하는 드럼식 세탁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드럼식 세탁기는, 세척수가 충전되는 드럼 형상의 고정 탱크(801)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800)을 구비하고 있다. 드럼 형상 회전 탱크(803)는 고정 탱크(801) 내에 설치되어 있다. 드럼 형상 회전 탱크(803)는 구동 모터(3)에 연결되어 있다. 드럼 형상 회전 탱크(803)는 구동 모터(3)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척할 수 있다. 구동 모터(3)는 모터 제어 장치(100)에 의해 구동된다. 모터 제어 장치(100)는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모터 제어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에서는, 상기 모터가 상기 모터 제어 장치에 의해서 구동되므로, 급격하고 대폭적인 부하 변동에 대하여 안정된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세탁-건조기는 드럼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개구를 세탁기 상부에 구비하고, 회전 탱크(803)의 회전축이 수직 방향으로 구성된 수직식도 포함하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터 제어 장치는 건조 기능을 갖거나 또는 드럼식 건조기를 갖춘 세탁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형태와 연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는 많은 다른 변형, 변경 및 적용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제공된 명세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 내용의 범주에 대해 한정된다. 본 명세서는, 참고로 여기에 전체로서 결합하여 설명한, 2003년 7월 23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원 제2003-278333호에 수용된 주제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모터 제어 장치는, 위치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모터를 제어하는 장치이며, 급격하고 대폭적인 부하 변동에 대하여 안정된 모터 제어를 실현하기 때문에, 운전 중에 대폭적인 부하 변동을 수반하는 모터 제어 장치와, 세탁기 및 건조기와 같은 전기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위치 센서리스(sensorless) 모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와,
    상기 위치 센서리스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모터 전류 검출부와,
    상기 모터 전류 검출부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인버터 회로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구비한 위치 센서리스 모터 제어 장치로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운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지령값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의 설정에 따르는 운전 상태가 되도록 상기 인버터 회로를 제어하는 처리부와,
    상기 설정부에서 지령값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모터 전류 검출부의 검출 신호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부하량을 검출하는 부하량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부하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부하량에 따라, 상기 지령값과 모터 출력 토크의 특성에 있어서, 최대 출력 토크를 제공하는 지령값보다 낮은 지령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센서리스 모터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무효 전류의 지령값을 출력하는 무효 전류 지령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량 검출부로부터의 부하량에 따라, 상기 무효 전류의 지령값과 모터 출력 토크의 특성에 있어서, 최대 출력 토크를 제공하는 지령값보다도 낮은 무효 전류의 지령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센서리스 모터 제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모터 인가 전압과 모터 전류 사이의 위상차인 위상차 φ의 지령값을 출력하는 위상차 φ 지령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량 검출부로부터의 부하량에 따라, 상기 위상차 φ의 지령값과 모터 출력 토크의 특성에 있어서, 최대 출력 토크를 제공하는 지령값보다도 낮은 위상차 φ의 지령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센서리스 모터 제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모터 인가 전압과 모터 유도 전압 사이의 위상차 α의 지령값을 출력하는 위상차 α 지령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량 검출부로부터의 부하량에 따라, 상기 위상차 α의 지령값과 모터 출력 토크의 특성에 있어서, 최대 출력 토크를 제공하는 지령값보다도 낮은 위상차 α의 지령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센서리스 모터 제어 장치.
  15. 위치 센서리스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1항,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치 센서리스 모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16. 위치 센서리스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1항,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치 센서리스 모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20040056855A 2003-07-23 2004-07-21 모터 제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 KR101097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78333 2003-07-23
JPJP-P-2003-00278333 2003-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711A KR20050011711A (ko) 2005-01-29
KR101097644B1 true KR101097644B1 (ko) 2011-12-22

Family

ID=3456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855A KR101097644B1 (ko) 2003-07-23 2004-07-21 모터 제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71641B2 (ko)
KR (1) KR101097644B1 (ko)
CN (1) CN100417004C (ko)
TW (1) TWI3431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218A (ko) * 2014-12-22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7793B2 (ja) * 2004-09-14 2010-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永久磁石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及びモジュール
DE102005036802C5 (de) * 2005-08-02 2008-10-30 Jürgen Gattn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igerung der Effizienz eines Elektromotors
JP4730073B2 (ja) * 2005-12-02 2011-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永久磁石同期モータのベクトル制御装置,インバータモジュール、及び永久磁石同期電動機モータ定数表示システム
US7872441B2 (en) * 2007-06-29 2011-0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Z-source inverter inductors in a continuous current mode
KR101396978B1 (ko) * 2007-08-01 2014-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방식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0933330B1 (ko) * 2007-09-04 2009-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모터 제어방법.
JP4557029B2 (ja) * 2008-03-26 2010-10-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の駆動制御方法
DE102008018356A1 (de) * 2008-04-11 2009-10-15 Diehl Ako Stiftung & Co. Kg Wäschetrockner
KR101576541B1 (ko) * 2008-07-14 2015-1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원장치 및 그 안전제어방법
KR20100022145A (ko) * 2008-08-19 2010-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모터의 제어 방법
US8508166B2 (en) 2009-08-10 2013-08-1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Power factor correction with variable bus voltage
US8264192B2 (en) 2009-08-10 2012-09-1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ntroller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between control angles
US8698433B2 (en) * 2009-08-10 2014-04-1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ntroller and method for minimizing phase advance current
DE102010034299A1 (de) * 2010-08-13 2012-02-16 Bizerba Gmbh & Co. Kg Schneidemaschine
US8760098B2 (en) * 2011-04-01 2014-06-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nsorless motor control
EP2802402B1 (de) 2012-01-13 2019-06-05 MANN+HUMMEL GmbH Luftfilterelement mit haltegeometrie
US9634593B2 (en) 2012-04-26 2017-04-2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manent magnet motor control
US9240749B2 (en) 2012-08-10 2016-01-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Motor drive control using pulse-width modulation pulse skipping
ITMO20130093A1 (it) * 2013-04-12 2014-10-13 Irisman Mh Equipment Corp Metodo per la regolazione del rendimento di una macchina sincrona
US20160020720A1 (en) * 2014-07-15 2016-01-21 IPH + Limited Drive control system and drive control method
US10320322B2 (en) 2016-04-15 2019-06-1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witch actuation measurement circuit for voltage converter
US10763740B2 (en) 2016-04-15 2020-09-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witch off tim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0305373B2 (en) 2016-04-15 2019-05-2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Input reference signal gener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277115B2 (en) 2016-04-15 2019-04-3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Filtering systems and methods for voltage control
US9933842B2 (en) 2016-04-15 2018-04-0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Microcontroller architecture for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US10656026B2 (en) 2016-04-15 2020-05-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sensing circuit for transmitting data across isolation barrier
US10770966B2 (en) 2016-04-15 2020-09-0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nd method including dual bridge rectifiers
JP6939793B2 (ja) * 2016-08-09 2021-09-2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制御方法、モ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2018088798A (ja) * 2016-11-30 2018-06-0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モータ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位相調整方法
CN107294437A (zh) * 2017-06-21 2017-10-24 苏州华铭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无刷电机的启动方法和控制系统
CN112039383B (zh) * 2019-05-14 2022-03-29 麦克维尔空调制冷(武汉)有限公司 电机的控制方法、电机的控制装置和电机系统
TWI768559B (zh) * 2020-11-25 2022-06-2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電流感測校正方法及驅動系統
CN114553097A (zh) 2020-11-25 2022-05-2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流感测校正方法及驱动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400A (ja) * 1997-06-13 1999-03-16 Abb Ind Oy 同期機械の安定性を保証するための方法
JP2000224883A (ja) * 1999-01-28 2000-08-11 Fuji Electric Co Ltd 永久磁石同期電動機の制御装置
JP2003204694A (ja) * 2001-03-02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ータ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86358B2 (en) * 1986-10-08 1989-07-06 Hitachi Limited A control apparatus for an induction motor
CN1038810C (zh) * 1992-12-11 1998-06-24 河北丰宁满族自治县酒厂 用桦液配制饮料的方法
JP3159599B2 (ja) * 1994-04-26 2001-04-23 株式会社東芝 乾燥機
JPH09253379A (ja) 1996-03-19 1997-09-30 Toshiba Corp 洗濯機
JP3255115B2 (ja) * 1998-07-13 2002-0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JP3707251B2 (ja) * 1998-07-30 2005-10-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同期電動機の制御装置
DE10037972B4 (de) * 1999-08-05 2005-09-15 Sharp K.K.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lektromotorsteuerung
DE19952572A1 (de) * 1999-11-02 2001-06-07 Brose Fahrzeugteile Motorische Antriebseinheit mit einer elektronischen Steuerungseinrichtung für Verstelleinrichtungen in Kraftfahrzeugen sowie Verfahren zur Steuerung der Antriebseinheit
DE60224021T2 (de) 2001-03-02 2008-12-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Steuergerät für einen Elektromotor
JP4406176B2 (ja) * 2001-06-07 2010-01-27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NL1020601C2 (nl) * 2002-05-15 2003-11-27 Gti Electroproject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sturen van een elektrische belasting aangesloten op een meerfasen schakelbare DC/AC-frequentie-omzetter.
US6856109B2 (en) * 2002-10-15 2005-02-15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Efficiency optimization control for permanent magnet motor dri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400A (ja) * 1997-06-13 1999-03-16 Abb Ind Oy 同期機械の安定性を保証するための方法
JP2000224883A (ja) * 1999-01-28 2000-08-11 Fuji Electric Co Ltd 永久磁石同期電動機の制御装置
JP2003204694A (ja) * 2001-03-02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ータ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218A (ko) * 2014-12-22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257487B1 (ko) * 2014-12-22 202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17004C (zh) 2008-09-03
CN1578103A (zh) 2005-02-09
US20050104552A1 (en) 2005-05-19
KR20050011711A (ko) 2005-01-29
TWI343171B (en) 2011-06-01
US7071641B2 (en) 2006-07-04
TW200514345A (en) 200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644B1 (ko) 모터 제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세탁기 및 건조기
JP4928850B2 (ja) 回転機制御装置
KR100798511B1 (ko) 인버터장치 및 그 전류제한방법
US1123977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tart-up phase of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JP4817745B2 (ja) ベクトル制御インバータ装置
JP2009065764A (ja) 回転機制御装置および洗濯機
WO2001015311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controle du moteur synchrone
CN104980066A (zh) 排水泵用直流无刷电动机系统、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JP4592712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4760216B2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
JP3914106B2 (ja) ガスタービン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3843757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4620977B2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洗濯機、乾燥機
JP2007181352A (ja)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インバータシステム
JP4648798B2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洗濯機、乾燥機
JP4668731B2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洗濯機、乾燥機
JP2019017179A (ja) インバータ装置
JP4455836B2 (ja) 発電装置及び発電装置の制御方法
JP2005348569A (ja) モータ駆動装置
JP4488415B2 (ja) 電力変換装置
JP4430356B2 (ja) モータ駆動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洗濯機及び乾燥機
JP2009153355A (ja) 同期モ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5670077B2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洗濯機
US20200232136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JP2010130731A (ja) モ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