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885B1 - 인쇄물 발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물 발취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물 발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물 발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885B1
KR101091885B1 KR1020060005926A KR20060005926A KR101091885B1 KR 101091885 B1 KR101091885 B1 KR 101091885B1 KR 1020060005926 A KR1020060005926 A KR 1020060005926A KR 20060005926 A KR20060005926 A KR 20060005926A KR 101091885 B1 KR101091885 B1 KR 101091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matter
conveyor
extraction
transport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189A (ko
Inventor
히로시 우에츠지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5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9Protective gloves with thermal or fire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9Protective gloves with thermal or fire protection
    • A41D19/01541Cooled glo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Forming Counted Batche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발취 장치는, 인쇄물 배열의 배열 간격을 넓히도록 적어도 한장의 인쇄물을 양면에서 잡아 정지시키는 순간 스토퍼(3); 상기 넓혀진 인쇄물의 배열 사이로 전진해서 상기 배열 사이에 계속 이어지는 인쇄물을 상기 운송 컨베이어로부터 발취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베인(4); 상기 가이드베인(4)에 의해 안내되는 인쇄물을 제공받아서 운송하는 발취 컨베이어(5); 및 상기 발취 컨베이어(5)에 의해 운송된 인쇄물을 수용하는 적어도 2개의 트레이(6a, 6b)를 포함한다. 상기 발취 컨베이어(5)는 발취 컨베이어(5)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발취 컨베이어(5)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소정의 트레이로 인쇄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발취 장치는 인쇄부의 운송 속도가 고속으로 이루어지더라도 한번에 1부의 발취 및 수백부 단위의 발취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구분 배출이 가능해 진다.
인쇄물 발취 장치, 순간 스토퍼, 가이드베인, 발취 컨베이어

Description

인쇄물 발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물 발취 방법{APPARATUS FOR TAKING OUT PRINTS AND METHOD FOR TAKING OUT PRINTS THEREBY}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발취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2는 도1의 인쇄물 발취 장치에서 가이드베인의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측면도.
도3은 도2의 Ⅲ-Ⅲ라인을 따라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도1의 인쇄물 발취 장치에 리젝터부착 컨베이어를 배치한 측면도.
도5는 도1의 인쇄물 발취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6은 도1의 인쇄물 발취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7은 도1의 인쇄물 발취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8은 도1의 인쇄물 발취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9는 도1의 인쇄물 발취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인쇄물 발취 장치 2: 운송 컨베이어
2a: 구동 롤러 2b,, 2c, 2d: 피동 롤러
2e: 무단 벨트 3: 순간 스토퍼
3a: 실린더 3b: 가압편
4: 가이드베인 5: 발취 컨베이어
6a, 6b: 트레이 7: 제1검출부
8: 닙 롤러 10: 가압 롤러
12: 바스켓 13: 선형 액츄에이터
20: 리젝터부 21: 리젝터부착 컨베이어
본 발명은 인쇄기 또는 윤전기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접장(folds)이나 낱장 등의 시트 형상의 인쇄물을 발취(拔取)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기나 윤전기 등으로부터 배출된 인쇄물은 운송 컨베이어에서 어긋나게 겹쳐진 상태로 연속적으로 운송되며, 최종적으로는 스택커 번들러(stacker bundler)에서 소정의 매수씩 적재되어 결속된다.
벨트에서 어긋나게 겹쳐진 상태로 연속적으로 운송되는 인쇄물은 스택커 번들러의 전방에서 제품의 검사, 인쇄기에서 발생된 불량품의 배제 또는 운송 과정에서 흐트러진 인쇄물을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발취가 필요할 경우가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러한 종류의 발취 장치로서, 벨트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접장)과 함께 회전하는 클램프 수단을 설치하고, 에지 검출 수단의 신호에 따라 운송되는 인쇄물의 속도에 맞춰서 상기 클램프 수단의 베인부재(vane member)를 인쇄물 사이에 삽입하며, 상기 인쇄물을 클램프 한 후에 상기 클램프 수단이 가속으로 회전해서 운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인쇄물을 빼내는 인쇄물 발취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일본 특개평7-2424호 공보 참조). 또한, 운송 라인의 벨트에서 연속적으로 회전 주행하는 발취 라인을 설치하고, 상기 발취 라인의 가이드가 인쇄물의 발취를 시작하기 전의 상태와 발취를 시작하는 상태의 2위치의 상태를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인쇄물을 발취하는 경우에는 발취 라인이 운송 방향으로 운송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운송 라인을 통해 연속적으로 운송하는 인쇄물의 배열로부터 분리하는 인쇄물 발취 장치도 공지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제2000-143065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 특개평7-2424호 공보에 기재된 발취 장치는 운송 컨베이어의 속도에 맞춰서 베인부재를 접장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접장을 클램프 한 후에 클램프 장치를 가속해서 운송 컨베이어의 속도보다 빠르게 발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는, 상기 클램프 방식으로 인하여 한번에 발취할 수 있는 부수가 한정되어 있으며(대량 발취가 필요할 경우), 현재 인쇄기의 고속화에 따라 처리할 경우에 접장의 운송 속도가 증가되면 최소 발취 부수도 증가되고, 하나의 클램프 장치가 주기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1사이클이 크게되어(20 ∼ 25초/1회) 짧은 사이클에서는 발취가 될 수 없으므로 개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제2000-143065호 공보에 기재된 발취 장치는, 발취 라인의 장치를 운송 방향으로 운송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커져서 인쇄기의 고속화에 충분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1부 ∼ 수부/1회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고속 발취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두 일본 특허공개 공보에 기재된 발취 장치는 모두 구분 배출을 할 수가 없다. 예를 들면, 운송 중에 발생되는 위치의 어긋남 때문에 발취된 인쇄물과 제품의 검사를 위해 발취되는 인쇄물을 분류해서 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쇄부의 운송 속도가 고속으로 이루어지더라도 한번에 1부의 발취 및 수백부 단위의 발취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구분 배출이 가능한 인쇄물 발취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를 이용한 인쇄물 발취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송 컨베이어에서 어긋나게 겹쳐진 형태로 연속 운송되는 인쇄물 배열로부터 소정 매수의 인쇄물을 발취하는 장치로서, 상기 인쇄물 배열의 배열 간격을 넓히도록 적어도 한장의 인쇄물을 양면에서 잡아 정지시키는 순간 스토퍼; 상기 넓혀진 인쇄물의 배열 사이로 전진해서 상기 배열 사이에 계속 이어지는 인쇄물을 상기 운송 컨베이어로부터 발취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베인; 상기 가이드베인에 의해 안내되는 인쇄물을 제공받아서 운송하는 발취 컨베이어; 및 상기 발취 컨베이어에 의해 운송된 인쇄물을 수용하는 적어도 2개의 트레이를 포함하는 인쇄물 발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발취 컨베이어는 발취 컨베이어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발취 컨베이어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소정의 트레이로 인쇄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트레이는 발취 컨베이어의 전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발취 컨베이어는 운송 방향을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하여 회전 각도 및 운송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소정의 트레이로 인쇄물을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베인에 의해 안내되는 인쇄물을 개재해서 상기 발취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닙 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취 컨베이어의 운송 속도는 상기 닙 롤러의 이송 속도에 비해 저속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취 컨베이어에는 발취 컨베이어와 함께 인쇄물을 끼워서 유지하는 가압 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베인을 통해 안내되는 인쇄물의 선단을 검출하는 제1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간 스토퍼의 상류측에는 운송 컨베이어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의 양측 가장자리를 검출하여 상기 인쇄물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를 더 구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송 컨베이어의 종단 위치의 하측 방향에 상기 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인쇄물을 수용하는 바스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스켓은 운송 컨베이어의 종단 위치의 하측 방향 부근으로부터 후방의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바닥 및 상기 경사 바닥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는 후방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송 컨베이어의 종단 위치의 하측 방향에 상기 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인쇄물을 수용하는 바스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스켓은 운송 컨베이어의 단부로부터 낙하하는 인쇄물을 수용하는 인출 위치와 상기 운송 컨베이어의 하측 방향으로 인입하는 인입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송 컨베이어에서 어긋나게 겹쳐진 형태로 연속 운송되는 인쇄물 배열로부터 소정 매수의 인쇄물을 발취하는 방법으로서, 인쇄물 배열의 소정 개소를 순간 스토퍼에 의해 개재시켜서 정지시키고; 상기 순간 스토퍼에 의해 넓혀진 인쇄물 배열의 배열 사이로 가이드베인을 전진시키고; 상기 순간 스토퍼에 의한 정지 동작을 해제하여 인쇄물을 상기 가이드베인으로 안내시키고; 상기 가이드베인을 통해 안내되는 인쇄물의 선단을 제1검출부에 의해 검출하고; 상기 제1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제1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의 직후에 계속 이어지는 인쇄물을 상기 순간 스토퍼에 의해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베인을 후퇴 작동시키고; 상기 검출된 인쇄물을 상기 가이드베인을 통해서 발취 컨베이어에 의해 운송하며 트레이로 배출하여 상기 제1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을 일부만 발취하는 인쇄물 발취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물 발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취 컨베이어는 발취 컨베이어로 인쇄물을 발취한 후이며 상기 인쇄물을 트레이로 배출하기 전에, 상기 인쇄물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까지 회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쇄물 발취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발취 컨베이어의 전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발취 컨베이어는 소정 각도로 회전한 후에 운송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하고, 상기 발취 컨베이어에 유지된 인쇄물을 발취 컨베이어의 전방에 배치된 트레이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운송 컨베이어에서 어긋나게 겹쳐진 형태로 연속 운송되는 인쇄물 배열로부터 위치가 어긋난 인쇄물을 발취하는 방법으로서, 인쇄물을 양면에서 잡아 정지시키는 순간 스토퍼의 상류측에서, 상기 운송 컨베이어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의 양측 가장자리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에 의해 상기 인쇄물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고; 상기 제2검출부의 위치 어긋남 신호에 기초해서 위치가 어긋나게 되는 인쇄물을 순간 스토퍼에 의해 정지시켜서 인쇄물 배열의 배열 간격을 넓히고; 상기 넓혀진 인쇄물의 배열 사이로 가이드베인을 전진시키고; 상기 순간 스토퍼에 의한 인쇄물의 정지 조작을 해제하고, 상기 가이드베인을 통해서 인쇄물을 발취 컨베이어로 운송하고; 상기 제2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을 상기 가이드베인을 통해 안내되는 인쇄물의 선단을 검출하는 제1검출부에 의해 검출하고; 상기 제1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의 직후에 계속 이어지는 인쇄물을 상기 순간 스토퍼에 의 해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베인을 후퇴 작동시키고; 상기 제1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을 발취 컨베이어에 의해 운송하며 트레이에 배출하여 위치가 어긋난 인쇄물을 발취하는 인쇄물 발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은 운송 컨베이어의 운송 방향 상류측을 의미하고, 「후」는 그 반대측, 즉 하류측을 의미한다. 이는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도 같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 발취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1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을 통해서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
인쇄물 발취(拔取) 장치(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상류측(도면의 좌측) 컨베이어로부터 어긋나게 겹쳐진 형태로 운송되는 인쇄물의 배열을 제공받아서 연속적으로 운송하는 운송 컨베이어(2); 상기 인쇄물 배열의 배열 간격을 넓히도록 적어도 한장의 인쇄물을 양면에서 잡아 정지시키는 순간 스토퍼(3); 상기 넓혀진 인쇄물의 배열 사이로 전진해서 상기 배열 사이에 계속 이어지는 인쇄물을 상기 운송 컨베이어로부터 발취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베인(guide vane)(4); 상기 가이드베인(4)에 의해 안내되는 인쇄물을 제공받아서 운송하는 발취 컨베이어(5); 및 상기 발취 컨베이어(5)에 의해 운송된 인쇄물을 수용하는 2개의 트레이(6a, 6b) 를 구비한다.
상기 운송 컨베이어(2)는 구동 롤러(2a); 피동 롤러(2b, 2c, 2d); 상기 롤러에 병렬로 감겨진 복수개의 끈 형상의 무단 벨트(즉, 이음매 없는 벨트)(2e)(도면에서는 1개가 도시됨); 및 롤바(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순간 스토퍼(3)는 운송되는 인쇄부의 양면측에 대향되게 배치된 실린더(3a) 및 상기 실린더(3a)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고정된 플레이트 형상의 가압편(3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간 스토퍼(3)는 운송 컨베이어(2)를 구성하고 있는 끈 형상의 무단 벨트의 배열 사이의 간격 위치에서 상하로부터 인쇄물을 끼워 유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순간 스토퍼(3)가 인쇄물을 끼워 유지하는 경우에 운송 컨베이어(2)와 접촉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운송 컨베이어(2)는 계속해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순간 스토퍼(3)는 인쇄물의 운송 방향 전후로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개로 배치되며, 도면에서는 3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순간 스토퍼(3)의 하류측 위치에 가이드베인(4)이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베인(4)은 인쇄물 배열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고, 선형 액추에이터 등의 구동원(4a)(도3 참조)에 의해서 상류측을 향해 비스듬히 하측 방향으로 전진하고, 하류측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측 방향으로 후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베인(4)이 전진하는 경우, 상기 운송 컨베이어(2)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은 가이드베인(4)으로 이송되고(즉, 올라가고), 하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상측 방향을 향하는 안내 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베인(4)에는 가이드베인(4)으로 안내되는 인쇄물의 선단을 검출 하는 제1검출부(7)가 배치된다(도2 참조). 상기 제1검출부(7)는, 예를 들면 광전 스위치 등의 광학식 비접촉 검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검출부(7)의 하류측에는 닙 롤러(nip roller)(8)(도2 참조)가 배치된다. 상기 닙 롤러(8)는 일측이 구동 롤러이고, 타측은 피동 롤러이다. 상기 닙 롤러(8)는 운송 컨베이어(2)의 운송 속도보다 고속으로 인쇄물을 개재해서 운송할 수 있다. 상기 닙 롤러(8)는 인쇄물 발취 장치 본체의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부(미도시)에서 지지된다. 도2에 있어서, 도면부호 9는 닙 롤러(8)의 일측의 롤러와 동축으로 고정된 안내판으로, 상기 인쇄물을 걷어올리지 않고 닙 롤러(8)에 끼워지도록 한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베인(4)은, 갈고리(닻)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인쇄물 운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4a)을 구비하며, 상기 슬릿(4a)에 발취 컨베이어(5)를 구성하는 무단 벨트(이음매 없는 벨트)(5c)나 닙 롤러(8)가 배치된다.
상기 발취 컨베이어(5)는 지점(5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상면에서 인쇄물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5b); 상기 슬라이딩부(5b)의 상면에 탑재되는 일측에서 하면측을 지나도록 병렬로 감겨진 복수개의 무단 벨트(5c)(도3 참조); 및 상기 무단 벨트(5c)가 감겨진 슬라이딩부(5b)에서 지지되는 구동 롤러(5d)와 피동 롤러(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취 컨베이어(5)는 미도시된 구동 모터에 의해 상기 지점(5a)을 중심으로 도1의 실선으로 나타낸 경사 위치와 가상선으로 나타낸 수평 위치의 사이를 회전 구동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취된 인쇄물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6a, 6b)는 발취 컨베이어(5)의 전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발취 컨베이어(5)의 하류측(후방)에 배치된 트레이(6b)는 배열의 흐트러짐이 발생되어 발취된 인쇄물을 수용하는 트레이이며, 상기 발취 컨베이어(5)의 상류측에 배치된 트레이(6a)는 제품의 검사를 위해 발취된 인쇄물을 수용하는 트레이이다.
상기 발취 컨베이어(5)의 회전 각도를 경사 위치(도1의 실선 위치)로 함으로써, 상기 트레이(6b)로 인쇄물을 배출할 수 있고, 상기 발취 컨베이어(5)의 회전 각도를 수평 위치(도1의 가상선 위치)로 함으로써, 상기 트레이(6a)로 인쇄물을 배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트레이(6a)로 인쇄물을 배출하는 경우, 상기 경사 위치에서 발취된 인쇄물을 발취 컨베이어(5)에서 유지한 상태로 발취 컨베이어(5)를 수평 위치까지 회전시켜서, 상기 발취 컨베이어(5)의 무단 벨트(5c)를 발취 방향으로 회전과 역회전시켜서 트레이(6a)에 배지하는 조작을 행한다.
상기 발취 컨베이어(5)에는 발취 컨베이어(5)와 함께 인쇄물을 개재하는 가압 롤러(10)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 롤러(10)는 구동원이 구비되지 않은 연동회전식으로 하는 동시에, 미도시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적절한 위치에 구비시켜서 상기 발취 컨베이어(5)를 통해 운송하는 인쇄물에 대하여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 롤러(10)는 닙 롤러(8)의 거리가 인쇄물 한장의 전체 길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조금 큰 거리가 되는 위치, 즉 닙 롤러(8)와 가압 롤러(10)의 사이에 인쇄물 한장이 수용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순간 스토퍼(3)의 상류측에는 운송 컨베이어(2)를 통해 운송되는 인쇄물의 양측 가장자리를 검출하여 상기 인쇄물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11)가 더 구비된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쇄물 발취 장치(1)의 하류측에는 리젝터부(20)를 구비한 리젝터부착 컨베이어(21)가 배치된다. 상기 리젝터부(20)는 회전 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젝터부(2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인쇄물 발취 장치(1)의 운송 컨베이어(2)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은 상기 운송 컨베이어(2)의 종단에서 낙하된다. 상기 리젝터부(20)로부터 배출되는 경우는 훼손된 종이(파지 또는 손지(損紙))를 배출하는 경우, 예를 들면 인쇄지 롤의 이음매를 예측하여 소정의 복수 매수를 연속해서 배출하는 경우나 인쇄기내에서 연속해서 발생한 오류나 형태의 어긋남 등을 인쇄기내에서 검출해 두어 배출하는 경우 등이다.
상기 운송 컨베이어(2)의 종단 위치의 하측 방향으로는 낙하하는 인쇄물을 수용하는 바스켓(12)이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12)은 운송 컨베이어(2)의 단부로부터 낙하하는 인쇄물을 수용하는 인출 위치와 상기 운송 컨베이어(2)의 하측 방향으로 인입하는 인입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형 액추에이터(13)에 의해 전후진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바스켓(12)은 운송 컨베이어(2)의 종단 위치의 하측 방향 부근으로부터 후방의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바닥(12a), 상기 경사 바닥(12a)의 후방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는 후방벽(12b)을 구비한다. 상기 경사 바닥(12a)의 경사 각도는 인쇄물이 낙하하는 경우의 각도에 맞춰서 설치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인쇄물 발취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인쇄기나 윤전기 등으로부터 배출된 인쇄물은 미도시된 상류측의 운송 컨베이어를 통해 어긋나게 겹쳐진 형태로 배열되어 연속적으로 운송된다. 상기 인쇄물 발취 장치의 운송 컨베이어(2)는 이러한 인쇄물 배열을 동일한 운송 속도 및 동일하게 어긋나서 겹쳐진 형태를 유지하여 연속적으로 운송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은 운송 컨베이어(2)에서 40(m/min)의 속도로 운송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닙 롤러(8)의 운송 속도는 240(m/min)이며, 발취 컨베이어(5)의 운송 속도는 120(m/min)이다. 상기 발취 컨베이어(5)는 일반적으로, 운송 컨베이어(2)의 운송 속도의 2∼3배의 운송 속도를 가진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운송되는 인쇄물 배열로부터 제품의 검사를 위해 한장의 인쇄물을 발취하는 낱장 발취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자가 낱장 발취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다음의 (1 - 1) ∼ (1 - 9)와 같이 작동한다.
(1 - 1)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순간 스토퍼(3)가 작동하여 인쇄물(30)의 배열을 개재해서 상기 인쇄물 배열의 배열 간격(31)을 넓힌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3개의 순간 스토퍼(3)는 하류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면, 0.2 ∼ 1초)을 갖고 작동한다.
(1 - 2)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순간 스토퍼(3)에 의해 넓혀진 인쇄물의 배열 간격으로 가이드베인이 전진 구동한다.
(1 - 3)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순간 스토퍼(3)의 가압편(3b)이 동시에 상측 방향으로 후퇴 작동하고, 상기 인쇄물 배열의 정지 상태가 해제된다. 상 기 인쇄물 배열의 정지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인쇄물 배열이 운송되면서 가이드베인(4)으로 인쇄물(30a)이 이송된다(올라간다).
(1 - 4)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장의 인쇄물(30a)이 가이드베인(4)으로 이송된 것을 제1검출부(7)가 검출하면, 상기 가이드베인(4)은 후퇴 작동함과 동시에, 뒤이어 따르는(후속하는) 두번째의 인쇄물(30b)이 가이드베인으로 이송되지(올라가지) 않도록 3개의 순간 스토퍼(3) 중 중앙의 순간 스토퍼(3)가 작동하여 상기 가이드베인(4)으로 이송된 인쇄물(30a)의 후속 인쇄물(30b)을 끼워 유지시켜서 1차로 정지시키고, 그 사이에 이미 가이드베인에 이송되어 제1검출부(7)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30a)은 닙 롤러(8)에 의해 고속 운송된다(도9 참조).
(1 - 5) 상기 인쇄물을 1차로 정지시킨 순간 스토퍼(3)는 그 정지를 해제함으로써, 인쇄물은 다시 운송 컨베이어(2)를 통해서 연속적으로 운송된다.
(1 - 6) 상기 가이드베인(4)에 구비된 닙 롤러(8)를 통과한 인쇄물은 발취 컨베이어(5)로 배출된다. 상기 발취 컨베이어(5)의 운송 속도는 닙 롤러(8)의 운송 속도보다 늦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발취 컨베이어(5)의 운송 속도를 닙 롤러(8)의 운송 속도보다 늦도록 설정함으로써, 상기 닙 롤러(8)로부터 고속 배출되는 인쇄물이 따라 올라가지 않도록 상기 인쇄물을 제동하는 역할을 한다.
(1 - 7) 상기 발취 컨베이어(5)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은 닙 롤러(8)로부터 배출된 후에 상기 가압 롤러(10)에 의해 발취 컨베이어(5)에서 가압 되지만, 상기 가압 형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물을 발취 컨베이어(5)와 가압 롤러(10) 사이에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발취 컨베이어(5)의 운송 회전을 정지시킨다.
(1 - 8) 상기 인쇄물을 발취 컨베이어(5)에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발취 컨베이어(5)를 수평 위치가 될 때까지 회전 구동한다.
(1 - 9) 상기 발취 컨베이어(5)가 수평 위치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발취 컨베이어(5)의 컨베이어 벨트를 역회전시켜서 인쇄물을 트레이(6a)로 배출한다. 그 후, 상기 발취 컨베이어(5)는 회전 구동되어 상기 경사 위치로 돌아간다.
상기 (1 - 1 ) ∼ (1 - 5)까지의 시간은 대략 2초이며, 상기 (1 - 1) ∼ (1 - 9)까지의 시간은 대략 8초이다. 따라서, 1분에 6회의 제품 검사를 위한 발취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류측의 인쇄기나 윤전기 등 또는 운송 라인 상에 있어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 상기 위치가 어긋난 인쇄물을 발취하는 위치 어긋남 인쇄물의 발취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인쇄물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11)는 순간 스토퍼(3)의 상류측에서 운송 컨베이어를 통해 운송되는 인쇄물의 양측 가장자리를 검출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검출부(11)는 제1검출부(7)와 같은 광학식 비접촉 검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운송되는 인쇄물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면, 상기 인쇄물의 양측 가장자리 위치에 배치된 소정의 제2검출부(11)가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검출 신호를 받으면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작동한다.
(2 - 1) 상기 제2검출부(11)에 의한 검출 신호에 기초해서, 우선 순간 스토퍼(3)가 하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소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0.2 ∼ 1초)을 갖고 작동하고, 상기 인쇄물 배열의 일부 인쇄물을 일시 정지시켜서 인쇄물 배열의 배열 간격을 넓힌다.
(2 - 2) 상기 순간 스토퍼(3)에 의해 넓혀진 인쇄물 배열의 배열 간격으로 가이드베인(4)이 전진한다.
(2 - 3) 3개의 순간 스토퍼(3)의 가압편(3b)이 동시에 후퇴 작동하고, 상기 인쇄물의 정지를 해제하여 인쇄물이 다시 운송된다.
(2 - 4) 운송된 인쇄물은 가이드베인(4)으로 이송되고(올라가고), 상기 닙 롤러(8)에 의해 발취 컨베이어(5)로 고속 배출되어 상기 발취 컨베이어(5)에서 운송되어 트레이(6b)로 배출되고 수용된다.
(2 - 5) 상기 제2검출부(11)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이 가이드베인(4)으로 이송되어 제1검출부(7)에 의해 검출되면,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베인(4)이 후퇴 작동하는 동시에, 3개의 순간 스토퍼(3) 중 중앙의 순간 스토퍼(3)가 작동하면서, 상기 가이드베인(4)에 이송된 인쇄물의 후속 인쇄물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2검출부(11)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을 제1검출부(7)에서 식별하고 검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검출부(11)와 제1검출부(7)의 거리, 운송 컨베이어(2)의 이동 거리, 및 제1검출부(7)와 제2검출부(11)의 각각의 검출 시간 등으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2 - 6) 후속 인쇄물을 정지시키고 있는 사이에, 상기 가이드베인(4)에 이송된 인쇄물을 닙 롤러(8)가 고속으로 운송하여 발취 컨베이어(5)에 인도한다.
(2 - 7) 상기 닙 롤러(8)에 개재되어 운송되는 인쇄물이 후속 인쇄물로부터 분리된 시점에, 상기 중앙의 순간 스토퍼(3)의 가압편을 후퇴시켜서 인쇄물의 정지 를 해제하고, 다시 일반적인 운송 상태로 돌아간다.
다음은 도1 및 도4를 참조하여 훼손된 종이(파지 또는 손지) 배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파지의 발생 신호는 인쇄기나 윤전기 등에서 발생한다.
파지의 발생 신호가 리젝터부착 컨베이어(21)의 제어부(미도시)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파지의 발생 시간, 파지 발생 지점으로부터 리젝터부(20)까지의 거리, 및 파지의 운송 속도 등으로부터 파지가 리젝터부(20)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리젝터부(20)를 도1의 가상선 위치로 경사지게 이동시켜서, 상기 인쇄물의 운송로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가 리젝터부(20)를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타이밍에 맞춰서, 상기 바스켓(12)이 전진 구동하고, 상기 운송 컨베이어(2)로부터 낙하하는 파지를 수용한다.
상기 바스켓(12)은 경사 바닥(12a) 및 후방벽(12b)을 구비하고, 상기 바스켓(12)에 낙하하는 인쇄물은 낙하하는 순서대로 적재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유리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파지의 예로서, 인쇄지 롤의 이음매가 있다. 상기 인쇄지 롤은 인쇄기에 반입되기 전에 페이스터(paster)라고 불리우는 접착 장치에 의해 접속되어야 할 인쇄 롤의 단부와 단부를 연결한다(잇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음매 위치는 인쇄기내의 이음매 센서를 이루는 광학식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이음매 센서를 통과한 후, 이어진 인쇄 롤은 소정 길이로 재단되어 컨베이어를 통해 운송된다. 따라서, 상기 이음매 센서에서 검출된 이음매는 리젝터부(20)에 도달할 시간이 미리 계 산되고, 그 정보는 리젝터부착 컨베이어(21)의 제어부에 송달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음매가 있는 파지를 리젝터부에서 배출하는 경우, 정확하게 이음매가 있는 파지만을 배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이음매가 있는 파지를 포함한 예상되는 인쇄물을 복수부의 단위로 배출한다. 하나의 롤지의 길이는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매 위치도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운송 초기에는, 예를 들면 40부를 배출하던 것을 상기 리젝터부(20)의 개방 작동 시간을 경험치에 의해 서서히 제한함으로써, 배출 부수를 서서히 감소시키도록, 예를 들면 10부를 배출하도록 조작을 행한다. 이러한 조작에 있어서, 배출된 인쇄물 중 파지의 위치, 즉 몇 매째가 파지일지가 중요한 정보가 된다. 그래서, 상기 바스켓(12)으로 낙하하는 인쇄물은 낙하하는 순서대로 적재되는 경우에 상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점(5a)이 회전 중심이며 발취 컨베이어(5)의 전후 위치에 트레이를 배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상기 발취 컨베이어의 회전 중심을 가이드베인측의 단부(예를 들면, 롤러(5d)의 위치)에 설정하고, 상기 발취 컨베이어의 후방에 복수단의 트레이를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순간 스토퍼가 3개인 예를 나타냈지만,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부의 운송 속도가 고속으로 이루어지더라도 한번에 1부의 발취 및 수백부 단위의 발취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구분 배출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취 컨베이어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발취 컨베이어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발취 컨베이어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소정의 트레이로 인쇄물을 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운송 컨베이어에서 어긋나게 겹쳐진 형태로 연속 운송되는 인쇄물 배열로부터 소정 매수의 인쇄물을 발취하는 장치로서,
    상기 인쇄물 배열의 배열 간격을 넓히도록 한장 이상의 인쇄물을 양면에서 잡아 정지시키는 순간 스토퍼;
    상기 넓혀진 인쇄물의 배열 사이로 전진해서 상기 배열 사이에 계속 이어지는 인쇄물을 상기 운송 컨베이어로부터 발취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베인;
    상기 가이드베인에 의해 안내되는 인쇄물을 제공받아서 운송하는 발취 컨베이어; 및
    상기 발취 컨베이어에 의해 운송된 인쇄물을 수용하는 2개 이상의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발취 컨베이어는 발취 컨베이어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발취 컨베이어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소정의 트레이로 인쇄물을 배출하는
    인쇄물 발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트레이는 발취 컨베이어의 전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발취 컨베이어는 운송 방향을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하여 회전 각도 및 운송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소정의 트레이로 인쇄물을 배출하는
    인쇄물 발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베인에 의해 안내되는 인쇄물을 개재해서 상기 발취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닙 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취 컨베이어의 운송 속도는 상기 닙 롤러의 이송 속도에 비해 저속으로 설정되는
    인쇄물 발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취 컨베이어에는 발취 컨베이어와 함께 인쇄물을 끼워서 유지하는 가압 롤러를 구비하는
    인쇄물 발취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베인을 통해 안내되는 인쇄물의 선단을 검출하는 제1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인쇄물 발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스토퍼의 상류측에는 운송 컨베이어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의 양측 가장자리를 검출하여 상기 인쇄물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인쇄물 발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컨베이어의 종단 위치의 하측 방향에 상기 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인쇄물을 수용하는 바스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스켓은 운송 컨베이어의 종단 위치의 하측 방향 부근으로부터 후방의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바닥 및 상기 경사 바닥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는 후방벽을 구비하는
    인쇄물 발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컨베이어의 종단 위치의 하측 방향에 상기 운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하는 인쇄물을 수용하는 바스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스켓은 운송 컨베이어의 단부로부터 낙하하는 인쇄물을 수용하는 인출 위치와 상기 운송 컨베이어의 하측 방향으로 인입하는 인입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인쇄물 발취 장치.
  9. 청구항1에 기재된 인쇄물 발취 장치를 사용하며, 운송 컨베이어에서 어긋나게 겹쳐진 형태로 연속 운송되는 인쇄물 배열로부터 소정 매수의 인쇄물을 발취하는 방법으로서,
    인쇄물 배열의 소정 개소를 순간 스토퍼에 의해 개재시켜서 정지시키고;
    상기 순간 스토퍼에 의해 넓혀진 인쇄물 배열의 배열 사이로 가이드베인을 전진시키고;
    상기 순간 스토퍼에 의한 정지 동작을 해제하여 인쇄물을 상기 가이드베인으로 안내시키고;
    상기 가이드베인을 통해 안내되는 인쇄물의 선단을 제1검출부에 의해 검출하고;
    상기 제1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제1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의 직후에 계속 이어지는 인쇄물을 상기 순간 스토퍼에 의해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베인을 후퇴 작동시키고;
    상기 검출된 인쇄물을 상기 가이드베인을 통해서 발취 컨베이어에 의해 운송하며 트레이로 배출하는
    인쇄물 발취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취 컨베이어는 발취 컨베이어로 인쇄물을 발취한 후이며 상기 인쇄물을 트레이로 배출하기 전에, 상기 인쇄물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까지 회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인쇄물 발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발취 컨베이어의 전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발취 컨베이어는 소정 각도로 회전한 후에 운송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하며, 상기 발취 컨베이어에 유지된 인쇄물을 발취 컨베이어의 전방에 배치된 트레이로 배출하는
    인쇄물 발취 방법.
  12. 청구항1에 기재된 인쇄물 발취 장치를 사용하며, 운송 컨베이어에서 어긋나게 겹쳐진 형태로 연속 운송되는 인쇄물 배열로부터 위치가 어긋난 인쇄물을 발취하는 방법으로서,
    인쇄물을 양면에서 잡아 정지시키는 순간 스토퍼의 상류측에서, 상기 운송 컨베이어에서 운송되는 인쇄물의 양측 가장자리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에 의해 상기 인쇄물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고;
    상기 제2검출부의 위치 어긋남 신호에 기초해서 위치가 어긋나게 되는 인쇄물을 순간 스토퍼에 의해 정지시켜서 인쇄물 배열의 배열 간격을 넓히고;
    상기 넓혀진 인쇄물의 배열 사이로 가이드베인을 전진시키고;
    상기 순간 스토퍼에 의한 인쇄물의 정지 조작을 해제하며, 상기 가이드베인을 통해서 인쇄물을 발취 컨베이어로 운송하고;
    상기 제2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을 상기 가이드베인을 통해 안내되는 인쇄물의 선단을 검출하는 제1검출부에 의해 검출하고;
    상기 제1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의 직후에 계속 이어지는 인쇄물을 상기 순간 스토퍼에 의해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베인을 후퇴 작동시키고;
    상기 제1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쇄물을 발취 컨베이어에 의해 운송하며 트레이로 배출하여 위치 어긋난 인쇄물을 발취하는
    인쇄물 발취 방법.
KR1020060005926A 2005-01-21 2006-01-19 인쇄물 발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물 발취 방법 KR101091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14378 2005-01-21
JP2005014378A JP4478838B2 (ja) 2005-01-21 2005-01-21 印刷物抜取装置及びその印刷物抜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189A KR20060085189A (ko) 2006-07-26
KR101091885B1 true KR101091885B1 (ko) 2011-12-12

Family

ID=3683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926A KR101091885B1 (ko) 2005-01-21 2006-01-19 인쇄물 발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물 발취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78838B2 (ko)
KR (1) KR101091885B1 (ko)
CN (1) CN10059511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9378B2 (ja) * 2010-08-09 2013-11-13 豊 勝部 刷本抜取装置
CN108995368B (zh) * 2018-09-19 2023-12-22 江苏华宇印涂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五色金属板印刷机
CN113443499B (zh) * 2021-07-12 2022-08-19 嘉兴市虹亚纱管纸业有限公司 一种纸张自动化整平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261A (ja) 2001-05-31 2002-12-10 Kyodo Printing Co Ltd 折丁自動選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259A (en) * 1973-06-04 1975-01-21 Harris Intertype Corp Sheet delivery system
JPS60167850A (ja) * 1984-02-09 1985-08-31 Mitsubishi Heavy Ind Ltd 不良シ−ト除去装置
JP2790201B2 (ja) * 1990-11-19 1998-08-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刷本抜取方法
JP2761186B2 (ja) * 1994-02-25 1998-06-0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検紙用印刷物の抜き取り装置
JP2001151405A (ja) * 1999-11-30 2001-06-05 Toppan Forms Co Ltd 区分け装置
JP4303069B2 (ja) * 2003-09-18 2009-07-29 グンゼ株式会社 折丁抜取装置及びスタッカバンド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261A (ja) 2001-05-31 2002-12-10 Kyodo Printing Co Ltd 折丁自動選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189A (ko) 2006-07-26
JP2006199468A (ja) 2006-08-03
CN1807210A (zh) 2006-07-26
JP4478838B2 (ja) 2010-06-09
CN100595119C (zh)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15229A (ja) 搬出装置
JPH0939202A (ja) 印刷機および該印刷機に用いられる裏返し装置
US20020034435A1 (en) Web stacker and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US8066468B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conveying stacks of sheets
KR101091885B1 (ko) 인쇄물 발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물 발취 방법
JP2731036B2 (ja) 加速された取上げベルトを有する区切られた文書輸送区画
JP3553695B2 (ja) 金属シート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
JP4303069B2 (ja) 折丁抜取装置及びスタッカバンドラ
JP2005525981A (ja) 枚葉紙加工機の排紙装置
JPH05177817A (ja) 枚葉紙印刷機に対する枚葉紙給排装置
US7267053B2 (en) Delivery device for a sheet-processing machine
JP4722211B2 (ja) 不良品排紙装置
JPS59102761A (ja) 用紙処理装置
JP2887751B2 (ja) 印刷紙搬送列からの印刷紙小部数抜取装置
JP2936061B2 (ja) 折り畳まれたダンボールケースの積み重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434813B2 (ja) 印刷装置、カード保持部材、及び印刷方法
EP098720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group-dividing of folded printed matter
JP2011079607A (ja) 刷本抜取装置
JP2592601Y2 (ja) 枚葉印刷機の排紙装置における前当装置
JPH0122191B2 (ko)
JP2681261B2 (ja) 印刷物抜き取り装置
JPH06298222A (ja) 袋体に対する商品装填方法
JPH03279156A (ja) 搬送コンベアのイジェクト装置
GB2267071A (en) Assembling fibre bales.
JPS5899327A (ja) 物品取り分け整列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