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322B1 -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7322B1 KR101087322B1 KR1020097003413A KR20097003413A KR101087322B1 KR 101087322 B1 KR101087322 B1 KR 101087322B1 KR 1020097003413 A KR1020097003413 A KR 1020097003413A KR 20097003413 A KR20097003413 A KR 20097003413A KR 101087322 B1 KR101087322 B1 KR 1010873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rail
- hanger
- door rail
- elev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위쪽에 설치된 도어레일, 도어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도어행거, 도어행거와 함께 이동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패널 및 도어레일의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행거를 밀어 붙이는 도어 경사방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레일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도어행거는 도어레일 위에 각각 실린 복수의 접촉체와, 각 접촉체가 설치된 공통의 도어행거본체를 가지고 있다. 도어 경사방지장치는 각 접촉체가 상기 도어레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도어행거를 밀어 붙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폐시 및 반전(反轉)시의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의 흔들거림(swing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도어의 위쪽에 배치된 도어머신(door machine)을 슬라이딩 도어에 가깝게 위치시키고 엘리베이터의 도어개폐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슬라이딩 도어의 위쪽에는 전동기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것에 의해 회동되는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머신은 풀리의 회동을 슬라이딩 도어의 왕복운동으로 바꾸는 링크기구로 이루어져 있다. 도어머신에는 슬라이딩 도어를 현수(懸垂)하고 있는 암이 접속되어 있다. 도어머신을 슬라이딩 도어에 가깝게 위치시킴으로써, 암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슬라이딩 도어의 지지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6-8036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개폐속도의 고속화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의 가감속도가 더욱 커지면, 슬라이딩 도어와 도어머신과의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하여도 가감속시의 관성력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의 변위를 억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의 가감속시에 슬라이딩 도어가 경사져 버릴 우려가 있다.
또, 도어머신이 링크기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이것에 의해, 제조비용도 증대하여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속도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시에 엘리베이터 도어가 경사지는 것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제조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위쪽에 설치되고, 또한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도어레일, 도어레일 위에 각각 실려 도어레일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접촉체와, 각 접촉체가 설치된 공통의 도어행거본체를 가지며, 각 접촉체가 도어레일에 접촉하면서 도어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도어행거, 도어행거본체에 설치되어 도어행거와 함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패널 및 도어레일의 위쪽에 배치되어 각 접촉체가 도어레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도어행거를 밀어 붙이는 도어 경사방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정 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서, 엘리베이터 칸(도시하지 않음)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엘리베이터 출입구)(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위쪽에 설치된 행거케이스(2)가 고정되어 있다.
행거케이스(2)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도어레일(지지레일)(3)이 고정되어 있다. 도어레일(3)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엘리베이터 도어)(4, 5)가 매달려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서로 맞닿는 것에 의해 닫히고,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맞닿음이 떨어지는 것에 의해 열리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 문턱(doorsill)(6)이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는 문턱 홈(도시하지 않음)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는 도어레일(3)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도어행거(7)와, 도어행거(7)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행거(7)와 함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개폐하는 도어패널(8)을 가지고 있다.
각 도어행거(7)는 도어레일(3)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행거롤러(접촉체)(9)와, 각 행거롤러(9)가 설치된 공통의 도어행거본체(행거판)(10)를 가지고 있다.
각 행거롤러(9)는 도어레일(3) 위에 실려 있다. 또, 각 행거롤러(9)는 도어행거(7)가 도어레일(3)을 따라서 이동될 때 도어레일(3)에 접촉하면서 구르게 된다.
각 도어행거본체(10)는 도어레일(3)을 피해서 배치되어 있다. 각 도어행거본체(10)에는 각 행거롤러(9)의 도어레일(3)로부터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업쓰러스트(upthrust) 롤러(11)가 각 행거롤러(9)와 함께 설치되어 있다. 각 업쓰러스트 롤러(11)는 도어레일(3)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또한 도어레일(3)을 따른 방향에 대해서, 각 행거롤러(9)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업쓰러스트 롤러(11)와 도어레일(3)과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행거롤러(9) 및 각 업쓰러스트 롤러(11)는 행거케이스(2)와 도어행거본 체(1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도어패널(8)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6)의 문턱 홈에 삽입되는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도어피트(door feet)(12)가 설치되어 있다. 각 도어피트(12)는 문턱 홈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행거케이스(2)의 폭방향 일단부에는 도어구동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구동장치(13)는 모터를 포함한 도어구동장치 본체(14)와, 도어구동장치 본체(14)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15)를 가지고 있다. 행거케이스(2)의 폭방향의 다른 단부에는 추종(追從)풀리(return pulley)(16)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풀리(15) 및 추종풀리(16) 사이에는 무단상(無端狀)의 벨트(전동벨트바디(transmission belt body))(17)가 감겨져 있다. 벨트(17)는 구동풀리(15)의 회전에 의해 주회(周回)이동된다. 추종풀리(16)는 벨트(17)의 주회이동에 의해 회전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는 벨트(17)의 주회이동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연결부재(18,19)를 통하여 각각 벨트(17)에 접속되어 있다.
행거케이스(2)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경사방지장치(20)가 지지되어 있다. 도어 경사방지장치(20)는 도어레일(3)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어 경사방지장치(20)는 각 행거롤러(9)가 도어레일(3)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각 도어행거(7)를 밀어 붙인다.
도어 경사방지장치(20)는 도어레일(3)을 따라서 배치된 안내레일(21)과, 상하방향에 대해 도어행거본체(10)에 대향하면서 안내레일(21)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대향행거(대향이동체)(22)와, 각 대향행거(22)와 각 도어행거(7)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각 대향행거(2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즉 아래쪽으로 각 도어행거(7)를 밀어 붙이는 복수(이 예에서는 2)의 가압스프링(forcing spring)(가압체)(23)을 가지고 있다.
안내레일(21)은 행거케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레일(21)은 도어레일(3)에 대해서 변위는 것은 없다. 또, 안내레일(21)은 도어레일(3)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레일(21)의 길이는 도어레일(3)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각 대향행거(22)는 안내레일(21)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안내롤러(24)와, 각 안내롤러(24)가 설치된 공통의 대향행거본체(대향부재)(25)를 가지고 있다.
각 안내롤러(24)는 안내레일(2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안내롤러(24)는 가압스프링(23)에 의해 위쪽으로 밀어 붙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안내롤러(24)는 안내레일(21)로 가압되어 있다. 각 안내롤러(24)는 대향행거(22)가 안내레일(21)을 따라서 이동될 때, 안내레일(21)에 접촉하면서 구르게 된다.
대향행거본체(25)는 안내레일(21)을 피해서 배치되어 있다. 대향행거본체(25)에는 각 안내롤러(24)의 안내레일(21)로부터가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어긋남 방지롤러(26)가 설치되어 있다. 각 어긋남 방지롤러(26)는 안내레일(21)의 위쪽에 배치되고, 또한 안내레일(21)을 따른 방향에 대해서, 각 안내롤러(24)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어긋남 방지롤러(26)와 안 내레일(21)과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안내롤러(24) 및 각 어긋남 방지롤러(26)는 행거케이스(2)와 대향행거본체(25)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스프링(23)은 도어행거본체(10)와 대향행거본체(25)와의 사이에서 줄어든(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도어행거(7) 및 대향행거(22)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스프링(23)에 의해 밀어 붙여진다. 또, 이 가압스프링(23)은 도어레일(3)에 따른 방향에 대해서, 한쪽의 행거롤러(9)와 다른 쪽의 행거롤러(9)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행거본체(10)와 대향행거본체(25)와의 사이의 간격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동된 경우라도 이 가압스프링(23)의 탄성에 의해, 도어행거(7) 및 대향행거(22)가 도어레일(3)과 안내레일(21)과의 사이에 끼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대향행거(22)는 이 가압스프링(23)의 탄성반발력(가압력)을 받는 것에 의해, 각 안내롤러(24)가 안내레일(21)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진다. 또, 도어행거(7)는 가압스프링(23)의 탄성반발력(가압력)을 받는 것에 의해, 각 행거롤러(9)가 도어레일(3)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진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구동장치(13)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풀리(15)가 회전되면, 벨트(17)가 주회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폭방향을 따라서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가 개폐된다.
또, 각 대향행거(22)는 도어행거(7)에 대향하면서, 각 엘리베이터 칸 도 어(4, 5)와 함께, 안내레일(21)을 따라서 각각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각 도어행거(7)는 이 가압스프링(23)에 의한 아래쪽으로의 가압력을 받으면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각 행거롤러(9)는 도어레일(3)로 가압되면서 도어레일(3) 위를 구르게 된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개폐시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가감속되고, 가감속에 의한 관성력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작용하고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는 관성력을 받는 것에 의해 도어레일(3)에 대해서 경사지려고 한다. 그러나, 각 행거롤러(9)를 도어레일(3)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도어행거(7)가 가압스프링(23)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어 붙여져 있으므로, 행거롤러(9)가 도어레일(3)로부터 위쪽으로 개리(開離)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경사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설치된 각 행거롤러(9)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자중(自重)에 의해서, 중력 F1이 아래쪽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력 F1의 크기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질량을 W라고 하면, 행거롤러(9)의 수가 2개이므로, 이하의 식(1)로 나타낸다.
F1 = W/2 … (1)
또, 도어행거(7)는 이 가압스프링(23)에 의해서 아래쪽으로의 가압력 F2를 받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가감속에 의해, 도어닫힘 방향으로의 관성력 F3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중심에 작용했을 때, 한쪽(도어열림 측)의 행거롤러(9)와 도어레일(3)과의 접점 A에는 중력 F1에 의한 모멘트, 가압력F2에 의한 모멘트 및 관성력 F3에 의한 모멘트가 합성된 모멘트 M1이 작용한다. 모멘트 M1은 이하의 식(2)로 나타낸다.
M1 = F1·L1 + F2·L2 - F3·L3 … (2)
다만, L1은 접점 A로부터 다른 쪽의 행거롤러(9)의 중심위치까지의 수평방향에 대한 거리이다. 또, L2는 접점 A로부터 가압스프링(23)의 위치까지의 수평방향에 대한 거리이다. 또한, L3는 접점 A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중심까지의 높이방향에 대한 거리이다.
식(2)에 있어서, 중력 F1 및 가압력 F2의 각각에 의한 모멘트(F1·L1 + F2·L2)의 방향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4)를 경사지게 하도록 하는 관성력의 모멘트(F3·L3)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모멘트 M1 ≥ O일 때는 중력 F1 및 가압력 F2의 각각에 의한 모멘트가 관성력 F3에 의한 모멘트 이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레일(3)에 대해서 경사지지 않고, 각 행거롤러(9)가 도어레일(3)로부터 위쪽으로 개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모멘트 M1 < O일 때는 관성력 F3에 의한 모멘트가 중력 F1 및 가압력 F2의 각각에 의한 모멘트를 상회하므로,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레일(3)에 대해서 경사지고, 다른 쪽의 행거롤러(9)가 도어레일(3)로부터 위쪽으로 개리되게 된다.
가압스프링(23)에 의한 모멘트는 관성력 F3에 의한 모멘트에 거스르는 모멘 트이므로, 모멘트 M1 ≥ 0이 되도록 가압력 F2 및 거리 L2가 조정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가감속된 때에서도 모멘트 M1 < 0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5)의 가압스프링(23)에 대해서도 동일한 조정이 되고 있어 엘리베이터 칸 도어(5)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서는 각 행거롤러(9)가 도어레일(3)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도어 경사방지장치(20)에 의해 도어행거(7)가 밀어 붙여져 있으므로,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를 가감속한 때에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경사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도어행거(7)를 밀어 붙일 수 있다. 따라서,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가감속도를 크게 한 경우라도 도어 경사방지장치(20)의 도어행거(7)에 대한 가압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개폐속도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개폐시에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링크기구를 이용하지도 않으므로,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경사지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어 경사방지장치(20)는 도어레일(3)을 따라서 배치된 안내레일(21)과, 도어행거본체(10)에 대향하면서 안내레일(21)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대향행거(22)와, 대향행거(22)와 도어행거본체(1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대향행거(2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도어행거본체(10)을 밀어 붙이는 가압스프링(23)을 가지고 있으므 로,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경사지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대향행거(22)와 도어행거본체(10)와의 사이의 간격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동된 경우에도 가압스프링(23)의 탄성에 의해, 대향행거(22) 및 도어행거(7)가 도어레일(3)과 안내레일(21)과의 사이에 끼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경사방지장치(20)의 동작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도어행거(7)가 도어레일(3)을 따라서 이동될 때, 각 행거롤러(9)가 도어레일(3) 위를 구르게 되므로, 도어레일(3)을 따라서 도어행거(7)를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각각에 대해서, 도어행거본체(10)와 대향행거본체(25)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스프링(23)의 수가 1개로 되어 있지만, 도어행거본체(10)와 대향행거본체(25)와의 사이에 복수의 가압스프링(23)을 배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각 가압스프링(23)은 도어레일(3)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실시형태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서, 도어레일(3)의 위쪽에는 도어레일(3)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변위레일(변위체)(31)이 도어레일(3)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변위레일(31)의 길이는 도어레일(3)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변위레일(31)의 위쪽에는 행거케이스(2)에 고정된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스프링 받이부(spring bearing portion)(3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스프링 받이부(32)는 도어레일(3)에 따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스프링 받이부(32)와 변위레일(31)과의 사이에는 도어레일(3)에 가까워지는 방향(아래쪽)으로 변위레일(31)을 밀어 붙이는 가압스프링(가압체)(33)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가압스프링(33)은 스프링 받이부(32)와 변위레일(31)과의 사이에서 줄어든(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변위레일(31)은 각 행거롤러(9)의 상부에 접촉하고 있다. 각 행거롤러(9)는 각 가압스프링(33)에 의해 밀어 붙여진 변위레일(31)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눌러져 있다. 즉, 각 행거롤러(9)는 변위레일(31)을 통하여 각 가압스프링(33)의 아래쪽으로의 가압력을 받고 있다. 각 행거롤러(9)는 변위레일(31)에 의해 눌러진 상태로 도어레일(3)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어행거(7)는 각 행거롤러(9)가 변위레일(31)에 의해 눌러지는 것에 의해서(즉, 각 행거롤러(9)가 변위레일(31)을 통하여 각 가압스프링(33)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것에 의해), 각 행거롤러(9)가 도어레일(3)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진다.
또한, 도어 경사방지장치(34)는 변위레일(31), 각 스프링 받이부(32) 및 각 가압스프링(33)을 가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도어 경사방지장치(3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각 행거롤러(9)는 각 가압스프링(33)에 의해 밀어 붙여지는 변위레일(31)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눌러 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행거롤러(9)는 도어레일(3)로 가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이동되면, 각 행거롤러(9)는 변위레일(31)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은 채로, 변위레일(31)에 대해서 미끄러지면서 도어레일(3) 위를 구르게 된다.
도어레일(3) 위의 요철 등에 의해 각 도어행거(7)가 상하방향으로 변위한 경우에는, 변위레일(31)은 각 행거롤러(9)를 아래쪽으로 누르면서, 각 도어행거(7)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서는 도어 경사방지장치(34)가 도어레일(3)에 대해서 변위가능한 변위레일(31)과, 변위레일(31)을 도어레일(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어 붙이는 가압스프링(33)을 가지고, 각 행거롤러(9)가 변위레일(31)에 의해 눌리는 것에 의해서 도어레일(3)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도어 경사방지장치(34)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의 저감화 및 도어장치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변위레일을 행거케이스(2)에 고정하고, 도어레일(3)과 변위레일과의 사이에 각 행거롤러(9)를 끼우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변위레일이 행거케이스(2)에 대해서 약간이라도 경사져 있으면, 도어레일(3)을 따라서 이동될 때의 각 행거롤러(9)가 도어레일(3)과 변위레일과의 사이에 끼여 들어가 버릴 우려가 있다. 각 행거롤러(9)가 도어레일(3)과 변위레일과의 사이에서 끼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변위레일과 도어레일(3)을 정확하게 평행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변위레일 및 도어레일(3)의 가공정밀도나 설치정밀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어, 제조비용가 증대하고, 조립시간도 길어져 버린다.
도어 경사방지장치(34)에서는 변위레일(31)이 도어레일(3)에 대해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각 행거롤러(9)가 변위레일(31)과 도어레일(3)과의 사이에 끼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변위레일(31)의 가공정밀도나 설치정밀도를 극단적으로 높게 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저감화나 조립시간의 단축화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서, 각 도어행거본체(10)에는 변위레일(31)에 접촉하는 돌출롤러(전달체)(41)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롤러(41)는 각 행거롤러(9)보다도 변위레일(3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돌출롤러(41)의 일부는 각 행거롤러(9)보다도 변위레일(31) 측으로 돌출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돌출롤러(41)는 변위레일(31)에 접촉함과 동시에, 도어레일(3)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또, 각 행거롤러(9)는 도어레일(3)에 접촉함과 동시에, 변위레일(31)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돌출롤러(41)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각 행거롤러(9)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돌출롤러(41)는 각 가압스프링(33)에 의해 밀어 붙여지는 변위레일(31)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눌러져 있다. 즉, 돌출롤러(41)는 변위레일(31)을 통하여 각 가압스프링(33)의 아래쪽으로의 가압력을 받고 있다. 돌출롤러(41)는 변위레일(31)에 의해 눌러진 상태로 도어행거(7)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어행거(7)는 돌출롤러(41)가 변위레일(31)에 의해 눌러지는 것에 의해서, 각 행거롤러(9)가 도어레일(3)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진다. 즉, 각 행거롤러(9)는 돌출롤러(41)가 변위레일(31)을 통하여 각 가압스프링(33)으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것에 의해, 도어레일(3)로 가압된다.
또한, 도어 경사방지장치(42)는 변위레일(31), 각 스프링 받이부(32), 각 가압스프링(33) 및 각 돌출롤러(41)를 가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어 경사방지장치(4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각 돌출롤러(41)는 각 가압스프링(33)에 의해 밀어 붙여지는 변위레일(31)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눌러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행거롤러(9)는 도어레일(3)로 가압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이동되면, 각 돌출롤러(41)는 변위레일(31)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은 채로, 변위레일(31)에 접촉하면서 구르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이동되면, 각 돌출롤러(41)는 변위레일(31)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러진 상태로 도어행거(7)와 함께 이동된다.
도어레일(3) 위의 요철 등에 의해 각 도어행거(7)가 상하방향으로 변위한 경우에는, 변위레일(31)은 각 돌출롤러(41)를 아래쪽으로 누르면서, 각 도어행거(7)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서는 변위레일(31)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러지는 돌출롤러(41)가 도어행거본체(10)에 설치되고, 돌출롤러(41)가 각 행거롤러(9)보다도 변위레일(3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실시형태 1과 동일 한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변위레일(31)이 각 행거롤러(9)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행거(7)가 도어레일(3)을 따라서 이동할 때에 도어행거(7)가 변위레일(31)로부터 받는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가압스프링(33)의 가압력을 크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개폐시에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가 경사지는 것의 방지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의 각각에 대해서, 돌출롤러(41)의 수가 1개로 되어 있지만, 복수의 돌출롤러(41)를 도어행거본체(10)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각 돌출롤러(41)는 각 행거롤러(9) 간에 도어레일(3)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 5)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지만, 승강장 출입구(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엘리베이터 도어)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위쪽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도어레일,상기 도어레일 위에 각각 실려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접촉체와, 각 상기 접촉체가 설치된 공통의 도어행거본체를 가지고, 각 상기 접촉체가 상기 도어레일에 접촉하면서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도어행거,상기 도어행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행거와 함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패널 및상기 도어레일의 위쪽에 배치되어 각 상기 접촉체가 상기 도어레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행거를 밀어 붙이는 도어 경사방지장치를 구비하며,상기 도어 경사방지장치는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도어레일에 대해서 변위가능한 변위체와, 상기 도어레일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변위체를 밀어 붙이는 가압체를 가지고,각 상기 접촉체는 상기 변위체에 의해 눌러진 상태로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상기 도어행거는 상기 변위체에 의해 각 상기 접촉체가 눌러지는 것에 의해서, 각 상기 접촉체가 상기 도어레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위쪽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도어레일,상기 도어레일 위에 각각 실려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접촉체와, 각 상기 접촉체가 설치된 공통의 도어행거본체를 가지고, 각 상기 접촉체가 상기 도어레일에 접촉하면서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도어행거,상기 도어행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행거와 함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패널 및상기 도어레일의 위쪽에 배치되어 각 상기 접촉체가 상기 도어레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행거를 밀어 붙이는 도어 경사방지장치를 구비하며,상기 도어 경사방지장치는 상기 도어레일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도어레일에 대해서 변위가능한 변위체와, 상기 도어레일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변위체를 밀어 붙이는 가압체와, 상기 도어행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변위체에 의해 눌러진 상태로 상기 도어행거와 함께 이동되는 전달체를 가지고,상기 전달체는 상기 접촉체보다도 상기 변위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도어행거는 상기 변위체에 의해 상기 전달체가 눌리는 것에 의해서, 각 상기 접촉체가 상기 도어레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각 상기 접촉체는 상기 도어레일 위를 구르게 되는 행거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6/316730 WO2008023435A1 (fr) | 2006-08-25 | 2006-08-25 | Dispositif de porte pour ascenseu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8463A KR20090038463A (ko) | 2009-04-20 |
KR101087322B1 true KR101087322B1 (ko) | 2011-11-25 |
Family
ID=3910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3413A KR101087322B1 (ko) | 2006-08-25 | 2006-08-25 |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055663A4 (ko) |
JP (1) | JP4913145B2 (ko) |
KR (1) | KR101087322B1 (ko) |
CN (1) | CN101506085B (ko) |
WO (1) | WO200802343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67042B (zh) * | 2009-11-17 | 2015-06-10 | 纳博特斯克株式会社 | 吊门装置及包括该吊门装置的门装置 |
EP2338823A1 (de) * | 2009-12-23 | 2011-06-29 | Inventio AG | Aufzugskabine |
JP2013119437A (ja) * | 2011-12-06 | 2013-06-17 | Hitachi Ltd | 出入口装置 |
CN105849026B (zh) * | 2014-02-19 | 2017-10-03 | 三菱电机株式会社 | 电梯的门装置 |
US11352236B2 (en) | 2016-12-21 | 2022-06-07 | Inventio Ag | Elevator car having a movable car door |
JP6617996B1 (ja) * | 2019-03-25 | 2019-12-11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ドアの脱落防止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45970U (ja) * | 1982-03-29 | 1983-10-0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タ用ドア−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917415A (en) * | 1929-02-27 | 1933-07-11 | Woodruff Carl | Elevator door |
JPS4320586Y1 (ko) * | 1965-06-07 | 1968-08-30 | ||
JPS58145970A (ja) * | 1982-02-24 | 1983-08-31 |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2616643B2 (ja) | 1992-09-01 | 1997-06-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
JP2845257B2 (ja) * | 1993-08-30 | 1999-01-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ー用ドアー装置 |
JPH08245144A (ja) * | 1995-03-10 | 1996-09-24 |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 エレベータ扉開閉装置 |
JP2000026053A (ja) * | 1998-07-09 | 2000-01-25 | Otis Elevator Co |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装置 |
JP4531899B2 (ja) * | 2001-06-06 | 2010-08-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
JP2005104668A (ja) * | 2003-09-30 | 2005-04-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
JP2006137518A (ja) * | 2004-11-11 | 2006-06-01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
-
2006
- 2006-08-25 EP EP06796803.2A patent/EP2055663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6-08-25 KR KR1020097003413A patent/KR1010873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8-25 WO PCT/JP2006/316730 patent/WO200802343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8-25 CN CN2006800556694A patent/CN10150608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8-25 JP JP2008530788A patent/JP491314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45970U (ja) * | 1982-03-29 | 1983-10-0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タ用ドア−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8463A (ko) | 2009-04-20 |
WO2008023435A1 (fr) | 2008-02-28 |
CN101506085A (zh) | 2009-08-12 |
EP2055663A1 (en) | 2009-05-06 |
JP4913145B2 (ja) | 2012-04-11 |
JPWO2008023435A1 (ja) | 2010-01-07 |
EP2055663A4 (en) | 2013-06-05 |
CN101506085B (zh) | 2011-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7322B1 (ko) |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 |
EP1997767B1 (en) |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 |
US20070295564A1 (en) | Door apparatus | |
FI98295C (fi) | Tarraaja | |
CA2501142C (en) | Equipment for fine positioning of a cage of a multi-stage cage | |
KR100520927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CN1076005C (zh) | 自动电梯门的开闭装置和门联接器 | |
US11427442B2 (en) | Anti-fal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 |
KR100863514B1 (ko)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
US4696375A (en) | Chain break safety device | |
KR100905374B1 (ko) | 엘리베이터 도어행거의 슬라이드장치 | |
KR100880570B1 (ko) |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 |
WO2012086069A1 (ja) |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 |
US5014826A (en) | Apparatus for maintaining an air gap in a toroidal type linear motor | |
CN110054067B (zh) | 电梯层门装置及电梯 | |
CN110054057B (zh) | 电梯装置 | |
JP3809139B2 (ja) |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 |
KR100813767B1 (ko)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 |
JPH0664862A (ja) | 昇降機の昇降装置 | |
JP7409546B1 (ja) | 乗客コンベア及び安全装置 | |
KR101853774B1 (ko) | 엘리베이터 도어 탈락 방지 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 |
CN114364627B (zh) | 施工用升降机 | |
KR100434406B1 (ko) |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 | |
KR100901222B1 (ko) |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 |
CN106608576A (zh) | 高速电梯补偿绳轮的张紧防跳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