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733B1 -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733B1
KR101086733B1 KR1020080129653A KR20080129653A KR101086733B1 KR 101086733 B1 KR101086733 B1 KR 101086733B1 KR 1020080129653 A KR1020080129653 A KR 1020080129653A KR 20080129653 A KR20080129653 A KR 20080129653A KR 101086733 B1 KR101086733 B1 KR 101086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acid
monomer
weight
poly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909A (ko
Inventor
이종기
안교덕
박명주
윤석주
Original Assignee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73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1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ether radical
    • C08F216/125Monomers containing two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g. trimethylolpropane triallyl ether or pentaerythritol triallyl e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2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maleic acid or itaconic ac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적인 효과가 강화된 특정의 단량체,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 및 불포화 카르본산계와 알킬렌옥사이드계의 축합 단량체와 방향족을 함유한 비닐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단량체를 일정 함량비로 혼합하여 공중합함으로써, 슬럼프 유지성능과 감수성능이 우수해져,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콘크리트 화학혼화제, 슬럼프, 감수성능

Description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조성물{Polycarboxylate polymer compositions for concrete and concret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적인 효과가 강화된 분자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종래보다 감수성능과 슬럼프 유지성능이 개선되어,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는 1930년대 미국에서 AE제(Air Entraining Agent)가 개발되었고, 그 후 급속한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의 보급으로 감수제(Water Reducing Agent) 및 AE 감수제가 개발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는 일대 변혁을 일으키는 커다란 진보가 있었다. 유럽에서는 멜라민술폰산 포르말린 고축합물이 개발되었고, 일본에서는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고축합물이 등장하여 기존 혼화제의 성능을 한단계 진보시킨 고성능 감수제란 명칭 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고성능 감수제는 일반 감수제보다 첨가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감수성과 유동성 면에서 탁월하여 고강도, 고유동 및 고내구성 콘크리트의 제조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슬럼프 유지 성능이 취약하여 콘크리트 배합에서 타설까지 짧은 시간안에 모든 작업을 끝내야 했다. 이러한 경시에 따른 슬럼프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지연제 등을 배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응결시간의 지연, 초기강도의 저하 및 블리이딩의 과다한 발생이 문제가 되며, 특히 겨울철 시공시 응결이 너무 지연되므로 사용상 어려움이 많았다.
시멘트 페이스트 중의 시멘트 입자는 매우 큰 비표면적과 표면 에너지를 갖고 있는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서로 응집하거나 다른 물질을 흡착하려는 성질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작업성을 나타내는 유동성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인자가 바로 상기한 시멘트 입자의 응집력이다. 한편,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는 일종의 계면활성제로, 수용액 상의 이온 특성에 의하여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은 기포, 분산, 습윤 등의 계면 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온성의 관능기 또는 친수성의 분자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를 감수제로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혼합과정에서 일부 시멘트 입자는 상호응집이 발생하고, 이러한 입자간의 응집은 물에 의한 습윤 작용을 억제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요구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혼합수량은 실제로 시멘트의 수화에 필요한 이론수량보다 많게 되어, 잉여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잉여수는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화학성, 수밀성 등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건조수축을 증가시키는 등의 콘크 리트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혼합수량은 가능한 시멘트의 수화에 필요한 이론수량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감수제는 혼합수량을 줄이고, 이론수량에 가깝게 도달하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높은 작업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는 그 화학 성분에 따라 리그닌계(리그닌설폰산염), 나프탈렌계(나프탈렌 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멜라민계(멜라민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및 폴리카본산계(폴리카르본산염)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다.
리그닌계, 멜라민계 및 나프탈렌계 화학혼화제의 경우에는 감수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여 고강도, 고유동 및 고내구성 콘크리트 제조가 가능하였으나, 슬럼프로스가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하여 폴리카르본산계의 화학혼화제의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화학혼화제에 비하여 우수한 감수성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슬럼프 로스가 적고, 또한 우수한 혼련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화학혼화제의 첨가로 인한 입자의 분산력 향상과 관련된 반응기구(mechanism)는 주쇄가 갖는 정전기적 반발력, 측쇄에 의한 입체적 효과, 및 앞서 말한 두 가지 효과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얻어지는 침투압에 의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반응기구(mechanism)는 콘크리트 화학혼화제인 리그닌계,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및 폴리카본산계 화학혼화제의 작용기전에 해당되어진다. 그러나 리그닌계, 나프탈렌계 및 멜라민계 화학혼화제의 경우에는 정적기적 반발력에 의한 감수효과가 지배적이고, 입체적 효과에 의한 감수효과는 기대이하의 성능을 나타내고 있어 급격한 슬럼프 로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에, 폴리카르본산계는 정전기적 반발력, 입체적 효과 및 앞에 두 가지 효과에 의한 시너지 효과로 작용되는 침투압 효과까지 작용하여 높은 감수효과, 작업성 및 적은 슬럼프 로스가 일어난다. 따라서 현재 폴리카르본산계 화학혼화제와 관련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폴리카르본산계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는 미국특허 제4,471,100호, 제4,808,641호, 제4,962,173호, 제6,939,935호에서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계 단량체와 말레인산을 공중합시키는 형태, 아크릴산과 메톡시폴리에칠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시키는 형태, 아크릴산, 메톡시폴리에칠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과 메타알릴설포네이트 형태의 3개의 수용성 비닐단량체를 공중합시킨 형태 또는 말레인산과 무수말레인산을 알킬폴리에칠렌글리콜과 에스테르화시켜 단량체를 제조하고, 이를 아크릴산과 중합하는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있다. 또한, 국내에서의 폴리카르본산계 특허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064529호에서 제시된 것으로 불포화폴리알킬렌글리콜에테르 기재의 단량체와 말레인산을 공중합시킨 형태의 폴리카르본산계 화합물이 제시되어 있다.
앞서 기술한 종래의 폴리카르본산계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는 입체적인 분자 구조로, 카르복실산 주쇄에 폴리옥시알킬렌기 측쇄가 결합된 빗살구조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분자구조는 정전기적 반발력과 입체적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콘크리트 혼합물 내의 바인더 역할을 하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알칼리도가 상승하게 되고, 카르복실산과 폴리옥시알킬렌기의 결합구조인 에스테르 결합은 서서히 분해된다. 즉,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의 분산 유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본 발명은 폴리카르본산계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슬럼프 유지 성능이 취약하여, 작업 가능시간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요구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혼합수량이 증가로 인한 초기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감수성능이 우수한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 5 ~ 20 중량%; 2)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 5 ~ 40 중량%; 및 3)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와 알킬렌옥사이드계 단량체의 축합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단일 단량체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단량체 40 ~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808719831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R3 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 H 또는 CH3이고, R4 는 C1 ~ C20의 알킬기이며, R5 는 C1 ~ C6의 알킬렌기이고, Y 는 H, CH3, SO3H, SO3Na 또는 SO3NH4이며, n은 10 ~ 6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은 감수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로 사용되어, 낮은 혼합수량으로도 높은 강도특성 및 유동특성을 갖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는 초기 슬럼프 값이 우수하고, 작업시간동안 슬럼프 유지력이 뛰어나며, 우수한 작업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체적인 효과가 강화된 분자구조를 도입한 폴리카르본산계 중합 체 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중합체 조성물의 주쇄에 1종 이상의 측쇄를 공중합하여, 가지달린 분자구조(branched structure)를 갖는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 데에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서로 다른 특정의 단량체들 간의 결합으로 입체적 효과가 강화된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는 콘크리트 내 시멘트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초기 감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감수 영역에서 유동성을 높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점성을 줄여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 감수성능과 슬럼프 유지성능이 개선되어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대표적인 폴리카르본산계 화학혼화제인 불포화 폴리알킬렌글리콜에테르계 단량체의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에 혼화되면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상승된 알카리도에 의하여 에스테르 결합이 서서히 분해되고, 주쇄와 측쇄가 분리되어 단시간 내에 입체적인 효과가 사라지게 되고, 유동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도 2는 상기한 설명을 표현한 모식도로써, 폴리카르본산계 화학 혼화제가 콘크리트에 혼화되면 시멘트의 입자와 입자사이를 감싸는 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입체적인 반발력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초기 분산력을 갖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화학혼화제의 주쇄와 측쇄가 분리되면 입자와 입자 사이의 전기적 인력이 상대적으로 커져 입자간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고, 유동성을 잃어, 수화반응은 초기보다 급격히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 5 ~ 20 중량%, 2)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 5 ~ 40 중량%, 및 3)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와 알킬렌옥사이드계 단량체의 축합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단일 단량체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단량체 40 ~ 9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7198319-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및 R3 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 H 또는 CH3이고, R4 는 C1 ~ C20의 알킬기이며, R5 는 C1 ~ C6의 알킬렌기이고, Y 는 H, CH3, SO3H, SO3Na 또는 SO3NH4이며, n은 10 ~ 6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을 콘크리트의 화학혼화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화학혼화제와 동일한 반응기전으로 가수 분해되어 주쇄와 측쇄가 절단된다. 하지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카리 조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는 에테르(ether)기의 가지가 달린 구조(branched structure)의 측쇄는 제 2의 감수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수분해에 의해 분해된 측쇄의 친수성 부분은 물 방향으로 배향하고, 소수성 부분은 또 다시 입자 방향으로 배향하여, 제 2의 감수제 역할을 하고, 이것이 입체적 효과를 나타내어 감수성능 및 슬럼프 유지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 화학식 1은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로 함유되어, 강알카리 조건에서 가수분해 반응을 일으킴으로서, 주쇄와 분리되어 2차 계면활성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특징을 갖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반드시 포함하는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에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전체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에는 주쇄에서 분리된 에테르기의 가지가 달린 구조의 측쇄 양이 너무 적어 기대하는 효과에 근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에는 너무 많은 상기 측쇄의 양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포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5 ~ 2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시트라콘산, 무수시트라콘산, 이타콘산, 무수이타콘산, 및 푸마린산 중에서 선택된 단일 단량체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는 가수분해에 의하여 카르본산을 생성하는 에스테르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 디메틸 등의 말레산과 탄소수 1 ~ 20의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 모노메틸 푸마르산, 디메틸 푸마르산, 모노에틸 푸마르산, 디에틸 푸마르산 등의 푸마르산과 탄소수 1 ~ 20의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 모노메틸 시트라콘산, 디에틸 시트라콘산 등의 시트라콘산과 탄소수 1 ~ 20의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 및 2-설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설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 카르본산의 종류는 상기에 기재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가 전체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에 대하여,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에는 주쇄에 비해 측쇄의 양이 너무 많아 초기 감수력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에는 측쇄에 비해 주쇄가 너무 많아 콘크리트 작업성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5 ~ 4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와 알킬렌옥사이드계 단량체의 축합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단일 단량체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단량체;가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 ~ 90 중량%로 포함되는 바,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에는 앞서 제시한 콘크리트 작업성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9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에는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초기 감수력 저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축합 단량체는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 10 ~ 60 중량%와 알킬렌옥사이드계 단량체 40 ~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은 바, 너무 높은 함량의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와 너무 낮은 함량의 알킬렌옥사이드계 단량체가 축합된 경우에는 콘크리트 작업성 즉 유지력을 확보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너무 낮은 함량의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와 너무 높은 함량의 알킬렌옥사이드계 단량체가 축합된 경우에는 초기 감수력 부분에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량범위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축합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알킬렌옥사이드계 단량체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이소부틸렌옥사이드, 1-부텐옥사이드, 2-부텐옥사이드, 트리메틸에틸렌옥사이드, 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 테트라메틸에틸렌옥사이드, 부타디엔모노옥사이드, 옥틸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및 1,1-디페닐에틸렌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것단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알킬렌옥사이드계 단량체는 측쇄로 작용하는 특징을 고려하여, 수평균 분자량이 500 ~ 10,000 범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0 중량부의 중합개시제와 0.1 ~ 4.0 중량부의 연쇄 이동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중합체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중합개시제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유기 과산화 물 및 아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과산화물이나 아조계 화합물과 동시에,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를 병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메틸에틸케톤 퍼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 퍼옥사이드 등의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류;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등의 퍼옥시에스테르류; 이소부틸퍼옥사이드, 옥타노일퍼옥사이드 등의 디아실퍼옥사이드류; 디-이소프로필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미리스틸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등의 퍼옥시디카보네이트류; 및 아세틸시클로헥실설포닐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알릴카보네이트 등의 기타 유기 과산화물류;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조계 화합물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니트릴계 화합물; 2,2’-아조비스(2-이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의 아조아미딘계 화합물;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드)디하이드레이트 등의 아조아미드계 화합물; 및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2,2’-아조비스(2-메틸펜탄) 등의 아조알킬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라디칼 반응에서 일어나는 연쇄반응으로 분자량 조절이 쉽지 않기 때 문에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쇄 이동제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2-머캅토에탄올, 2-머캅토프로피온산, 3-머캅토프로피온산 등의 티올계 연쇄이동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15,000 ~ 300,000 범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수평균 분자량이 15,000 미만인 경우에는 골재안에 존재하는 미분 및 다공성 물질에 의해 흡착되어 제대로 된 물성을 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30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멘트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을 중합하여 제조된 폴리카르본산게 중합체는 구체적으로 상기한 화학식 1 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필수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중합체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에 의하여 제공되는 보다 바람직한 중합체의 예로는 상기한 필수 반복단위에, 하기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가 선택적으로 중합될 수 있는 바, 이러한 반복단위는 상기 필수 반복단위의 선상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중합체일 수 있다.
Figure 112008087198319-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Q1은 H 또는 CH3이고, Q2는 H, C1 ~ C6의 알킬기, SO3H 또는 SO3Na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에 의하여 제공되고, 상기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선상으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중합체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범위가 본 발명의 중합체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멘트, 물, 조골재, 및 세골재를 함유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은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0.1 ~ 10 중량부로 함유되어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콘크리트 감수력 및 유지력을 충족하고, 유동성과 작업성이 확보된 상황에서 경제성을 고려하여, 0.1 ~ 2 중량부로 함유되어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은 감수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로 사용되어, 낮은 혼합수량으로도 높은 강도특성을 얻을 수 있었고, 콘크리트 내 시멘트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초기 감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감수 영역에서 유동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우수 하고, 경제적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은 콘크리트 화학혼화제로 사용되어, 슬럼프 값이 우수하고, 작업시간동안 슬럼프 유지력이 뛰어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우수한 작업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2 ℓ 중합 반응기에 온도계, 콘덴서, 교반기 및 온도조절기를 구비하고, 단량체로써, 하기 표 1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화학식1의 화합물 단량체,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및 폴리옥시에틸렌(메타)아크릴산(수평균 분자량(Mn)=1,000)을 하기 표 1의 함량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단량체 용액에 증류수를 넣고, 3 분 이상 교반하여 첨가물들을 완전히 용해시킴으로써, 고형분 함량이 40 중량%인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중합 개시제 및 연쇄이동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인 암모늄 과황산염 및 2-머캅토에탄올을 상기 총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1 및 0.2 중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1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반응기 온도를 80 ℃로 승온시키고, 6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는 NMR 분석을 사용하여, Poly(oxy-1,2-ethanediyl)α-[1-(hydroxymethyl)-2-(2-propenyloxy)ethyl]-ω-hydroxy-C11 rich branched ether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와 Poly(oxyethylene glycol) mono (meth)acrylate의 중합체 1이 얻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에 따른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의 상기 NMR 분석 결과는 도 5와 도 6에 주요 피크(peak)를 표기하여 나타내었다.
치환기 및 함량 변화 실험




구분
[화학식 1]
Figure 112011010466328-pat00017


아크릴산
(중량%)


메타
아크릴산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메타)
아크릴레이트
(중량%)


제조된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
(Mn)
R1 R2 R3 R4 R5 Y n 함량
(중량%)
실시예 1 CH3 H H (CH2)10CH3 CH2CH2 H 10 15 10 20 55 30,180
실시예 2 CH3 H H (CH2)10CH3 CH2CH2 H 20 15 10 20 55 34,250
실시예 3 CH3 H H (CH2)10CH3 CH2CH2 H 30 15 10 20 55 36,410
실시예 4 H H COOH (CH2)10CH3 CH2CH2 H 20 15 10 20 55 32,200
실시예 5 H H COOH (CH2)10CH3 CH2CH2 H 30 15 10 20 55 36,670
비교예 1 - - - - - - - - 15 25 60 30,630
실시예 6 ~ 9 및 비교예 2 ~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실시예 3 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및 폴리옥시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Mn=1,000)를 하기 표 2의 함량비율로 혼합하여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함량 변화 실험
Figure 112008087198319-pat00005
실험예 1 : 페이스트 플로우 실험
상기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1 ~ 5 에서 합성된 폴리카르본산계 콘크리트 화학 혼화제 시료들을 증류수를 사용하여 농도를 20 중량% 농도로 맞추었다. 몰탈 강제 믹서 그릇에 시멘트 1 kg을 담았고, 비이커에 물 350 g(35% W(물)/C(시멘트))과 상기 20 중량% 농도의 폴리카르본산계 콘크리트 화학 혼화제 시료를 10 g 넣은 후 잘 혼합하였다. 비이커의 내용물을 시멘트가 첨가된 몰탈 강제 믹서 그릇에 넣고 1 속(60 rpm)으로 1분간 혼합하였다. 그 다음 벽면에 시멘트 분체를 잘 긁어낸 후 몰탈 믹서 2 속(120 rpm)으로 1 분간 교반하고 슬럼프 콘에 부은 후 콘을 들어올렸다. 흐름이 끝났을 때 최장 길이와 최단길이를 측정하였다. 측정 후 남은 페이스트는 비이커에 담아 보관하고, 29, 59 및 89 분에 몰탈 믹서에서 2 속으로 30초 동안 교반 후 30 분, 60 분 및 90 분에 슬럼프 길이를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한 번 측정된 페이스트 시료는 다시 사용하지 않았고, 실험은 실내온도, 및 물 온도가 약 15 ℃(혼합온도 약 23 ℃)인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그리고, 상기 페이스트 플로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페이스트 플로우 실험 결과
Figure 112008087198319-pat00006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 6과 비교예 1 ~ 5의 유동성 평가 결과, Poly(oxy-1,2-ethanediyl)α-[1-(hydroxymethyl)-2-(2-propenyloxy)ethyl]-ω-hydroxy-C11 rich branched ethers 의 함량 및 poly(oxyethylene)의 분자량 변화에 따라서 페이스트의 흐름성 및 유지력이 향상되어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6 ~ 9와 비교예 2 ~ 5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Poly(oxy-1,2-ethanediyl)α-[1-(hydroxymethyl)-2-(2-propenyloxy)ethyl]-ω-hydroxy-C11 rich branched ethers 의 함량이 10 ~ 20% 영역에서 유지력이 많이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콘크리트 배합 적용 실험
하기 표 4에 기재한 배합 조건으로, 각 콘크리트 배합 실험을 진행하였다. 50 리터의 콘크리트 강제혼련 믹서를 사용하여, 포틀랜트 시멘트(비중 = 3.16, 쌍용양회, 보통 1종), 세골재(비중 = 2.65)및 조골재(비중 = 2.66)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30 초간 혼련 하였다. 이어, 상기 실시예 1 ~ 16 및 비교예 1 ~ 10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화학 혼화제 100 중량부와 소포제(silicon계열 소포제, Denka사 제조분) 0.15 중량부를 모두 목표 슬럼프가 약 18 cm 범위가 되도록 혼합하고, 혼련수와 함께 첨가하여, 2 분간 혼련하여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동성 평가 결과
Figure 112008087198319-pat00007
상기 제조된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하여 공기량, 슬럼프, 슬럼프 유지력 및 압축강도를 다음과 같이 구하였고, 그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공기량은 혼련 직후에 JIS-A112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슬럼프는 공기량 측정과 동시에 JIS-A110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슬럼프 유지력은 최초 슬럼프 측정한 콘크리트 배합물을 55 분 및 85 분간 뚜껑을 덮어 수분이 휘발되지 않도록 방치한 뒤에 5분간 삽을 이용해 혼련하고 60분 및 90분에 슬럼프를 측정하였다.
또한, 압축강도는 JIS-A1108에 의거하여, 재령 3일, 7일, 및 28일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콘크리트 배합물 슬럼프 및 슬럼프 유지력 실험 결과
Figure 112008087198319-pat00008
상기 표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럼프 평가 결과, 실시예 1 ~ 6 과 비교예 1 ~ 5 를 비교한 결과, Poly(oxy-1,2-ethanediyl)α-[1-(hydroxymethyl)-2-(2-propenyloxy)ethyl]-ω-hydroxy-C11 rich branched ethers 의 함량 및 poly(oxyethylene)의 분자량 변화에 따라서 페이스트의 흐름성 및 유지력이 향상되어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6 ~ 9 와 비교예 2 ~ 5 를 비교한 결과, Poly(oxy-1,2-ethanediyl)α-[1-(hydroxymethyl)-2-(2-propenyloxy)ethyl]-ω-hydroxy-C11 rich branched ethers 의 함량이 10 ~ 20% 영역에서 유지력이 많이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콘크리트 배합물의 압축강도 측정 실험 결과
Figure 112008087198319-pat00009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강도 평가 결과 강도 결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는 기존 폴리카르본산계 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동일한 압축강도를 갖으면서도 슬럼프 유지력이 향상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폴리카르본산계 혼화제의 가수분해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일반 폴리카르본산계 혼화제 적용시 시멘트 경화반응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개발품의 가수분해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개발품 적용시 시멘트 경화반응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중합체의 NMR 측정결과이다.
도 6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중합체의 NMR 측정결과이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 의 단량체가 5 ~ 20 중량%;
2)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 5 ~ 40 중량%; 및
3)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와 알킬렌옥사이드계 단량체의 축합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단일 단량체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단량체 40 ~ 9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10466328-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 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 H 또는 CH3이고, R4 는 C1 ~ C20의 알킬기이며, R5 는 C1 ~ C6의 알킬렌기이고, Y 는 H이며, n은 10 ~ 60의 정수이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및 3)의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시트라콘산, 무수시트라콘산, 이타콘산, 무수이타콘산 및 푸마린산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의 축합 단량체는
불포화 카르본산계 단량체 10 ~ 60 중량% 및 알킬렌옥사이드계 단량체 40 ~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옥사이드계 단량체는
수평균 분자량이 500 ~ 1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15,000 ~ 30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시멘트, 물, 조골재, 및 세골재를 함유한 콘크리트에 있어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청구항 5의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0.1 ~ 10 중량부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KR1020080129653A 2008-12-18 2008-12-18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조성물 KR101086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653A KR101086733B1 (ko) 2008-12-18 2008-12-18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653A KR101086733B1 (ko) 2008-12-18 2008-12-18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909A KR20100070909A (ko) 2010-06-28
KR101086733B1 true KR101086733B1 (ko) 2011-11-25

Family

ID=4236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653A KR101086733B1 (ko) 2008-12-18 2008-12-18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236A (ko) * 2018-06-22 2020-01-02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우레탄 결합을 가진 불포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를 중합한 콘크리트 혼화제용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350B1 (ko) 2012-08-21 2015-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101648255B1 (ko) * 2014-04-28 2016-08-23 안교덕 시멘트 혼화제용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혼화제
KR101723000B1 (ko) 2014-11-04 2017-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 산화 아연 입자, 및 글루콘산 염을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첨가제
KR101654017B1 (ko) * 2015-03-24 2016-09-05 유호석 시멘트 조성물의 혼화제용 고분자 화합물
KR101647658B1 (ko) * 2015-05-20 2016-08-12 주식회사 알티켐 콘크리트 혼화제용 폴리카르복실산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KR101989401B1 (ko) * 2017-11-24 2019-06-14 주식회사 티에스씨 당류 제조 부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용 혼화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9403B1 (ko) 2019-05-27 2019-10-07 박재영 감수능력이 극대화된 포러스형 이온교환수지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한 이온교환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레미콘용 감수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934A (ja) 2002-08-08 2004-03-04 Nippon Shokubai Co Ltd セメント添加剤用共重合体
JP2005104812A (ja) 2003-10-02 2005-04-21 Miyoshi Oil & Fat Co Ltd セメント混和剤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934A (ja) 2002-08-08 2004-03-04 Nippon Shokubai Co Ltd セメント添加剤用共重合体
JP2005104812A (ja) 2003-10-02 2005-04-21 Miyoshi Oil & Fat Co Ltd セメント混和剤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236A (ko) * 2018-06-22 2020-01-02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우레탄 결합을 가진 불포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를 중합한 콘크리트 혼화제용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
KR102140704B1 (ko) * 2018-06-22 2020-08-03 에이케이켐텍 주식회사 우레탄 결합을 가진 불포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를 중합한 콘크리트 혼화제용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909A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733B1 (ko) 콘크리트용 폴리카르본산계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조성물
CA2488415C (en) Cement admixture having superior water-reduc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771024B1 (ko) 시멘트 첨가혼합물 및 시멘트 조성물
EP2181079B1 (en) A liquid admixture composition
ITRM940369A1 (it) Composizione mista additiva per il controllo della fluidita' di miscugli cementizi.
JP4883757B2 (ja) Ae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及びaeコンクリート
WO2004078672A1 (en) Cement admixture, cem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laying work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cement hardened product
KR101539350B1 (ko)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101717176B1 (ko)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0887B1 (ko)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시멘트 분산제
KR100914597B1 (ko)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KR100904607B1 (ko)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JP2009023901A (ja) セメント混和剤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2010070395A (ja) 超高強度コンクリート用水硬性組成物
JP5101982B2 (ja) 水硬性組成物用分散剤
JPH0812397A (ja) 自己充填性コンクリート混和剤
KR102454727B1 (ko)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조성물
JP4650972B2 (ja) コンクリートの流動性調整方法
JP3290335B2 (ja) 水硬性組成物
KR101647658B1 (ko) 콘크리트 혼화제용 폴리카르복실산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JP2010070396A (ja) 超高強度コンクリート用水硬性組成物
KR101654017B1 (ko) 시멘트 조성물의 혼화제용 고분자 화합물
KR101617416B1 (ko)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JP4562953B2 (ja) 貧配合水硬性組成物用分散剤
KR101648255B1 (ko) 시멘트 혼화제용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혼화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