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809B1 - Esd 보호 회로 및 반도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Esd 보호 회로 및 반도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809B1
KR101085809B1 KR1020090049454A KR20090049454A KR101085809B1 KR 101085809 B1 KR101085809 B1 KR 101085809B1 KR 1020090049454 A KR1020090049454 A KR 1020090049454A KR 20090049454 A KR20090049454 A KR 20090049454A KR 101085809 B1 KR101085809 B1 KR 101085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layer
region
protection circuit
esd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094A (ko
Inventor
유키오 다카하시
고우스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59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정전 방전 보호 회로는 제 1 전원에 접속되고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제 1 도전형의 제 1 확산층; 제 2 전원에 접속되고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확산층; 및 입/출력 패드에 접속되고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제 2 도전형의 제 3 확산층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갖는다. 제 1 확산층에 대향하는 제 3 확산층의 제 1 영역의 면적은 제 1 확산층에 대향하는 제 2 확산층의 제 2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다.
정전 방전 보호 회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확산층, 반도체 디바이스

Description

ESD 보호 회로 및 반도체 디바이스{ESD PROTEC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내부 회로를 ESD (정전 방전) 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ESD 보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여러 분야에서 반도체 디바이스의 신뢰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된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의료용 액정 모니터 용의 드라이버 회로에서와 같이, 고장으로 인해 인명에 영향을 주는 제품에 이용되는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특히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이들 제품에서 높은 신뢰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ESD) 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ESD 저항을 가진 반도체 디바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LSI (고밀도 집적 회로) 의 ESD 저항을 강화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LSI 칩 주변에 배열된 보호 회로 (즉, ESD 보호 회로) 를 포함한다. ESD 보호 회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ESD 의 전류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LSI 의 내부 소자 (또는 내부 회로) 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은 ESD 보호 회로 및 전원 보호 회로가 구비된 LSI (또는 반도체 디바이스) 의 등가 회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LSI 는 외부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패드 (101), 고전위 전원 (VDD) 에 접속될 VDD 배선 (interconnection; 102), 저전위 전원 (VSS) 에 접속될 VSS 배선 (103), ESD 보호 회로 (110), 전원 보호 회로 (120), 및 내부 회로 (130) 를 포함한다.
ESD 보호 회로 (110) 에는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되는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및 기생 다이오드 (122) 가 구비된다.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는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된 에미터 (E), VDD 배선 (102) (즉, 고전위 전원 (VDD)) 에 접속된 베이스 (B), VSS 배선 (103) (즉, 저전위 전원 (VSS)) 에 접속된 콜렉터 (C) 를 갖는다. 또한, 기생 다이오드 (122) 는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된 애노드 (A), 및 VDD 배선 (102) (즉, 고전위 전원 (VDD)) 에 접속된 캐소드 (K) 를 갖는다.
전원 보호 회로 (120) 는 저전위 전원 (VSS) 에 접속된 애노드 (A) 및 고전위 전원 (VDD) 에 접속된 캐소드 (K) 를 가진 다이오드를 갖는다. ESD 전압이 VDD 배선 (102) 과 VSS 배선 (103) 사이에 인가될 때, 전원 보호 회로 (120) 로 ESD 전류가 흘러 들어가 내부 회로 (130) 가 보호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223846호 (관련 기술 1),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223277호 (관련 기술 2),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269440호 (관련 기술 3) 에 기재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의 ESD 보호 회로 (110) 는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레이아웃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선 A-A' 를 따라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VDD 배선 (102),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될 배선, 및 VSS 배선 (103) 이 도 2 에서 생략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의 ESD 보호 회로 (110) 는 P 형 기판 (111) 의 표면 영역에 Z 축 방향으로 형성된 N 형 웰 (112) 외에, N 형 웰 (112) 에 형성되는 소자 분리 영역 (113), P+ 확산층 (114A 및 114B), 및 N+ 확산층 (115) 을 포함한다. N+ 확산층 (115) 은 콘택 (116) 을 통해 VDD 배선 (102) 에 접속된다. P+ 확산층 (114A) 은 콘택 (117) 을 통해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된다. P+ 확산층 (114B) 은 콘택 (118) 을 통해 VSS 배선 (103) 에 접속된다. 소자 분리 영역 (113) 은 필드 산화막으로 예시되며, P+ 확산층 (114A) 과 P+ 확산층 (114B) 과 N+ 확산층 (115) 사이에 개재된 공간에 제공된다. 소자 분리 영역 (113) 은 LOCOS (Local Oxidation of Silicon) 또는 STI (Shallow Trench Isolation) 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는 P+ 확산층 (114A) 을 에미터 (E) 로서 이용하고, P+ 확산층 (114B) 을 콜렉터 (C) 로서 이용하며 N+ 확산층 (115) 을 베이스 (B) 로서 이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P+ 확산층 (114A) 및 N 형 웰 (112) 은 기생 다이오드 (122) 를 구성한다.
여기서, 고전위 전원 (VDD) 보다 고전위를 가진 플러스 정전기 (static electricity) 가 ESD 로 인해 입/출력 패드 (101) 에 인가되는 경우,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의 스냅-백 (snap-back) 동작이, 과전류 (즉, ESD 전류) 가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된 P+ 확산층 (114A) 에서 VSS 배선 (103) 에 접속된 P+ 확산층 (114B) 으로 흐르게 한다. 이 과전류가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를 통해 흘러 내부 회로 (130) 가 보호된다. 반대로, 저전위 전원 (VSS) 보다 저전위를 가진 마이너스 정전기가 입/출력 패드 (101) 에 인가되는 경우,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에 대한 기생 다이오드 (122) 의 브레이크다운 동작이, 과전류 (즉, ESD 전류) 가 VDD 배선 (102) 에 접속된 N+ 확산층 (115) 에서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된 P+ 확산층 (114A) 으로 흐르게 한다. 따라서, 내부 회로 (130) 가 ESD 전류로부터 보호된다.
도 4 는 마이너스 정전기가 입/출력 패드 (101) 에 인가될 때 P+ 확산층 (114A) 으로 흘러 들어가는 ESD 전류의 전류 밀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마이너스 정전기가 입/출력 패드 (101) 에 인가될 때, ESD 전류는 N+ 확산층 (115) 에 대향하는 영역 (즉, 도 4 에서 폭 W10 으로 도시된 영역) 을 통해 P+ 확산층 (114A) 으로 흘러 들어간다. 도 4 를 참조하면, N+ 확산층 (115) 에 대향하는 P+ 확산층 (114A) 의 폭 (W10) 은 N+ 확산층 (115) 의 폭 (W20) 보다 매우 협폭이다. 따라서, P+ 확산층 (114A) 의 폭 (W10) 의 영역에서의 ESD 전류의 전류 밀도가 더 크며, 그에 따라 P+ 확산층 (114A) 이 파괴될 수도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의 ESD 보호 회로에서는, ESD 저항이 마이너스 정전기에 대하여 매우 낮다.
본 발명의 주제는 ESD 보호 회로 및 그 ESD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ESD 저항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정전 방전 보호 회로는 제 1 전원에 접속되고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제 1 도전형의 제 1 확산층; 제 2 전원에 접속되고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확산층; 및 입/출력 패드에 접속되고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제 2 도전형의 제 3 확산층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갖는다. 제 1 확산층에 대향하는 제 3 확산층의 제 1 영역의 면적은 제 1 확산층에 대향하는 제 2 확산층의 제 2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반도체 디바이스는 입/출력 패드, 제 1 전원 및 제 2 전원에 접속된 내부 회로; 및 제 1 전원에 접속되고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제 1 도전형의 제 1 확산층, 제 2 전원에 접속되고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확산층, 및 입/출력 패드에 접속되고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제 2 도전형의 제 3 확산층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갖는 정전 방전 보호 회로를 포함한다. 제 1 확산층에 대향하는 제 3 확산층의 제 1 영역의 면적은 제 1 확산층에 대향하는 제 2 확산층의 제 2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는 ESD 저항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얻어진 다음의 특정한 실시형태들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정전 방전 (ESD) 보호 회로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ESD 보호 회로 (110) 는 도 1,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내부 회로 (130) 를 ESD 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ESD 보호 회로 (110) 및 전원 보호 회로 (120) 가 구비된 반도체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내부 회로 (130) 는 고전위 전원 (VDD) 에 접속된 VDD 배선 (102) 과 저전위 전원 (VSS) 에 접속된 VSS 배선 (103) 사이에 배열되며,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된다. ESD 보호 회로 (110) 에는 플러스 정전기에 대응하는 ESD 전류가 입/출력 패드 (101) 와 VSS 배선 (103) 사이에서 흐르게 하기 위한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및 마이너스 정전기에 대응하는 ESD 전류가 입/출력 패드 (101) 와 VDD 배선 (102) 사이에서 흐르게 하기 위한 기생 다이오드 (122) 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ESD 보호 회로 (110) 의 구조는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ESD 보호 회로 (110) 의 레이아웃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선 B-B' 를 따라 반도체 디바이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VDD 배선 (102),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될 배선, 및 VSS 배선 (103) 이 도 5 에서 생략된다는 것을 주 목해야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ESD 보호 회로 (110) 는 P 형 기판 (111) 의 표면 영역에 Z 축의 상방향으로 형성된 N 형 웰 (112) 외에, N 형 웰 (112) 에 형성되는 소자 분리 영역 (113), P+ 확산층 (14A 및 114B) 및 N+ 확산층 (115) 을 포함한다. N+ 확산층 (115) 은 콘택 (116) 을 통해 VDD 배선 (102) 에 접속된다. P+ 확산층 (14A) 은 콘택 (117) 을 통해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된다. P+ 확산층 (114B) 은 콘택 (118) 을 통해 VSS 배선 (103) 에 접속된다. 콘택들 (117 및 118), 또는 콘택들 (116 및 117) 이 반드시 동일한 직선 상에 배열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P+ 확산층 (14A 및 114B) 은 도 5 에서 X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N+ 확산층 (115) 의 적어도 일부는 P+ 확산층 (14A 및 114B) 에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P+ 확산층 (14A 및 114B) 은 도 5 에 도시된 것처럼 Y 축의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배치된 2 개의 N+ 확산층 (115) 사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N+ 확산층 (115) 각각은 길이 방향의 역할을 하는 X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도 6 을 참조하면, 필드 산화막으로 예시되는 소자 분리 영역 (113) 이 P+ 확산층 (14A) 과 P+ 확산층 (114B) 과 N+ 확산층 (115) 사이에 개재된 공간들 각각에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는 에미터 (E) 로서 P+ 확산층 (14A) 을 갖고, 콜렉터 (C) 로서 P+ 확산층 (114B) 을 가지며, 베 이스 (B) 로서 N+ 확산층 (115) 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P+ 확산층 (14A) 및 N 형 웰 (112) 은 기생 다이오드를 (122) 를 구성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P+ 확산층 (14A) 에서, N+ 확산층 (115) 에 대향하는 영역의 면적은 마이너스 ESD 전류로 인한 소자 파괴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사이즈로 설정된다. P+ 확산층 (14A) 에서, N+ 확산층 (115) 에 대향하는 영역의 면적은 X 축 방향의 P+ 확산층 (14A) 의 폭과 Z 축 방향의 확산층의 깊이 D (도 6 참조) 의 곱으로서 계산된다. 여기서, 확산층의 깊이 D 가 고정될 경우, X 축 방향의 P+ 확산층 (14A) 의 폭은 N+ 확산층 (115) 으로부터 흐르는 ESD 전류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된 사이즈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N+ 확산층 (115) 으로부터 흐르는 ESD 전류의 양은 P+ 확산층 (14A) 에 대향하는 N+ 확산층 (115) 의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X 축 방향의 P+ 확산층 (14A) 의 폭은 X 축 방향의 N+ 확산층 (115) 의 폭에 기초하여 결정된 사이즈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VSS 전원보다 저전위의 마이너스 정전기가 입/출력 패드 (101) 에 인가될 때 P+ 확산층 (14A) 으로 흘러 들어가는 ESD 전류의 전류 밀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입/출력 패드 (101) 에 인가된 마이너스 정전기는 ESD 전류로서 고전위 전원 (VDD) 에 접속된 N+ 확산층 (115) 에서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된 P+ 확산층 (14A) 으로 흐른다. P+ 확산층 (14A) 으로 흘러 들어가는 ESD 전류는 N+ 확산층 (115) 에 대향하는 영역 (즉, 도 7 에 도시된 것처럼 폭 W1 의 영역) 을 통해 흐른다. 이 때, 폭 (W1) 의 영역은 ESD 전류로 인 한 소자 파괴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사이즈로 설정된다. 즉, 폭 (W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폭 (W10) 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데, 이로써 P+ 확산층 (14A) 에 대한 ESD 전류가 확산되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폭 (W1) 의 영역에서 ESD 전류의 작은 전류 밀도가 실현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달리, 입/출력 패드 (101) 에 인가된 마이너스 정전기에 의해 야기되는 과전류 (즉, ESD 전류) 로 인한 소자 파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X 축 방향의 N+ 확산층 (115) 의 폭 (W20) 에 대한 P+ 확산층 (14A) 의 폭 (W1) 의 비율은 종래 기술의 것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폭 (W1) 은 X 축 방향의 N+ 확산층 (115) 에 대향하는 영역에서의 P+ 확산층 (114B) 의 폭 (W3) 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N+ 확산층 (115) 에서 P+ 확산층 (14A) 으로 흐르는 과전류 (즉, ESD 전류) 가 폭 (W1) 의 넓은 영역으로 확산되게 하며, 이로써 P+ 확산층 (14A) 에서의 ESD 저항 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ESD 보호 회로 (110) 에서의 ESD 저항이 상당히 향상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ESD 보호 회로 (110) 는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ESD 보호 회로 (110) 의 레이아웃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선 C-C' 를 따라 반도체 디바이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VDD 배선 (102),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될 배선, 및 VSS 배선 (103) 이 도 8 에서 생략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ESD 보호 회로 (110) 는 P 형 기판 (111) 의 표면 영역에 Z 축 방향으로 형성된 N 형 웰 (112) 외에, N 형 웰 상에 형성되는 소자 분리 영역 (113), P+ 확산층 (24A 및 24B) 및 N+ 확산층 (15) 을 포함한다. N+ 확산층 (15) 은 콘택 (116) 을 통해 VDD 배선 (102) 에 접속된다. P+ 확산층 (24A) 은 콘택 (117) 을 통해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된다. P+ 확산층 (24B) 은 콘택 (118) 을 통해 VSS 배선 (103) 에 접속된다. 콘택들 (117 및 118), 또는 콘택들 (116 및 117) 이 반드시 동일한 직선 상에 배열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P+ 확산층 (24A) 및 P+ 확산층 (24B) 은 X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N+ 확산층 (15) 은 Y 축 방향으로 P+ 확산층 (24A) 과 P+ 확산층 (24B) 에 대향하도록 배열된 부분과 X 축 방향으로 P+ 확산층 (24A) 에만 대향하도록 배열된 다른 부분으로 분할된다. 예를 들어, N+ 확산층 (15) 은 도 8 에 도시된 것처럼 P+ 확산층 (24A) 및 P+ 확산층 (24B) 의 주위에 고리모양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P+ 확산층 (24A) 및 P+ 확산층 (24B) 은 X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고 이들 수의 비는 본 실시형태에 따라 (n+1) : 1 이어야 한다.
도 9 를 참조하면, 소자 분리 영역 (113) 은 필드 산화막으로 예시되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P+ 확산층 (24A) 과 P+ 확산층 (24B) 과 N+ 확산층 (15) 사이에 개재된 공간에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는 에미터 (E) 로서 P+ 확산층 (24A) 을 갖고, 콜렉터 (C) 로서 P+ 확산층 (24B) 을 가지며, 베이스 (B) 로서 N+ 확산층 (15) 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P+ 확산층 (24A) 및 N 형 웰 (112) 은 기생 다이오드 (122) 를 구성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P+ 확산층 (24A) 과 P+ 확산층 (24B) 각각은 Y 축 방향으로 장변 (long side) 을 갖고 X 축 방향으로 단변 (short side) 을 갖는 직사각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X 축 방향으로 N+ 확산층 (15) 에 대향하는 P+ 확산층 (24A) 의 영역의 면적은 장변의 길이와 확산층의 깊이 D (도 9 참조) 의 곱과 같으며, 따라서, Y 축 방향으로 N+ 확산층 (15) 에 대향하는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다.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VSS 전원보다 저전위의 마이너스 정전기가 입/출력 패드 (101) 에 인가될 때 P+ 확산층 (24A) 으로 흘러 들어가는 ESD 전류의 전류 밀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입/출력 패드 (101) 에 인가된 마이너스 정전기는 ESD 전류로서 고전위 전원 (VDD) 에 접속된 N+ 확산층 (15) 에서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된 P+ 확산층 (24A) 으로 흐른다. P+ 확산층 (24A) 으로 흘러 들어가는 ESD 전류는 N+ 확산층 (15) 에 대향하는 영역 (즉, 도 10 에 도시된 것처럼 폭 W10 의 영역 및 폭 W2 의 영역) 을 통해 흐른다. 본 실시형태에서, ESD 전류는 Y 축 방향으로 N+ 확산층 (15) 에 대향하는 영역 (즉, 폭 W10) 뿐만 아니라 X 축 방향으로 N+ 확산층 (15) 에 대향하는 폭 W2 의 영역으로 흘러 들어간다. 따라서, P+ 확산층 (24A) 으로 흘러 들어가는 ESD 전류의 경로가 분산되고 P+ 확산 층 (24A) 에 대한 ESD 전류의 전류 밀도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감소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달리, 입/출력 패드 (101) 에 인가된 마이너스 정전기에 의해 야기되는 과전류 (즉, ESD 전류) 로 인한 소자 파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X 축 방향으로 N+ 확산층 (15) 에 대향하는 영역에서 장변의 역할을 하는 폭 (W2) 을 제공하므로, ESD 전류가 효율적으로 확산되어 전류 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ESD 전류의 전류 밀도는, 도 10 에 도시된 것과 같이 Y 축 방향으로 N+ 확산층 (15) 에 대향하는 P+ 확산층 (24A) 의 영역의 폭을 종래 기술의 폭과 동일한 폭 (W10) 으로 유지하면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ESD 보호 회로 (110) 는 회로 면적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ESD 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상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상세된 실시형태들에서 특정 구조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임의의 변경물 및 변형물을 포함할 수 있다.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는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를 구조들을 결함함으로써 실현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 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는 또한 P+ 확산층들 (24B) 사이에 개재된 P+ 확산층 (24A) 을 X 축 방향으로 더 큰 폭을 갖는 P+ 확산층 (14A) 으로 대체함으로써 획득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 N+ 확산층 (15) 에서 P+ 확산층들 (24B) 사이에 개재된 P+ 확산층 (24A) 까지의 ESD 전류의 경로는 Y 축 방향으로 N+ 확산층 (15) 에 대향하는 영역만을 통해 연장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P+ 확산층들 (24B) 사이에 개재된 P+ 확산층 (24A) 에서의 ESD 저항은 종래 기술의 것과 동등하다. 반대로, P+ 확산층들 (24B) 사이에 개재된 P+ 확산층을 폭 (W1) 을 갖는 P+ 확산층 (14A) 으로 대체함으로써, ESD 전류의 전류 밀도가 감소되어 P+ 확산층들 (24B) 사이에 개재된 P+ 확산층에서의 ESD 저항이 향상될 수 있다.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1) 가 구비된 ESD 보호 회로 (110) 가 전술된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입/출력 패드 (101) 에 접속된 에미터 (E), VSS 배선 (103) 에 접속된 베이스 (B), 및 VDD 배선 (102) 에 접속된 콜렉터 (C) 를 갖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구비된 ESD 보호 회로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입/출력 패드에 접속된 N+ 확산층이 큰 폭을 갖도록 설정되어 입/출력 패드 (101) 에 인가된 포지티브 전위 전원 (VDD) 보다 고전위를 가진 플러스 정전기에 의해 야기되는 ESD 전류로 인한 소자 파괴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N+ 확산층에 대향하는 영역의 폭은 ESD 전류가 흘러 드는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욱 증가되지만, ESD 저항은 ESD 전류의 전류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확산층의 깊이 (D) 를 깊게 함으로써 향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상술되고 있지만, 당업자에게는, 이들 실시형태들이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서만 제공되고 첨부된 클레임들을 제한하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에 의지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도 1 은 ESD 보호 회로를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레이아웃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서의 ESD 보호 회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종래 기술에 따라 마이너스 정전기가 ESD 보호 회로 내의 입/출력 패드에 인가될 때 P+ 확산층으로 흘러 들어가는 ESD 전류의 전류 밀도를 도시한 개념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레이아웃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마이너스 정전기가 입/출력 패드에 인가될 때 P+ 확산층으로 흘러 들어가는 ESD 전류의 전류 밀도를 도시한 개념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레이아웃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마이너스 정전기가 입/출력 패드에 인가될 때 P+ 확산층으로 흘러 들어가는 ESD 전류의 전류 밀도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ESD 보호 회로의 레이아웃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입/출력 패드 102 : VDD 배선
103 : VSS 배선 110 : ESD 보호 회로
112 : N 형 웰 14A, 114B : P+ 확산층
115 : N+ 확산층 116, 117, 118 : 콘택
120 : 전원 보호 회로 121 :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22 : 기생 다이오드 130 : 내부 회로

Claims (12)

  1. 제 1 전원에 접속되고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제 1 도전형의 제 1 확산층;
    제 2 전원에 접속되고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확산층; 및
    입/출력 패드에 접속되고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3 확산층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확산층에 대향하는 상기 제 3 확산층의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1 확산층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확산층의 제 2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큰, 정전 방전 보호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산층에서 상기 제 3 확산층으로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흐르는, 정전 방전 보호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은 교대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확산층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 대향하는, 정전 방전 보호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 각각이 단변 (short side) 과 장변 (long side) 을 가진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은 상기 제 2 확산층의 장변 및 상기 제 3 확산층의 장변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1 확산층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확산층의 단변 및 상기 제 2 확산층의 단변에 대향하도록 배열되는, 정전 방전 보호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 각각이 단변과 장변을 가진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은 상기 제 2 확산층의 장변 및 상기 제 3 확산층의 장변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1 확산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확산층의 장변에 대향하는, 정전 방전 보호 회로.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산층은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의 주위 영역에 배열되는, 정전 방전 보호 회로.
  7. 입/출력 패드, 제 1 전원 및 제 2 전원에 접속된 내부 회로; 및
    상기 제 1 전원에 접속되고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제 1 도전형의 제 1 확산층, 상기 제 2 전원에 접속되고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제 2 도전형의 제 2 확산층, 및 상기 입/출력 패드에 접속되고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3 확산층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갖는 정전 방전 보호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확산층에 대향하는 상기 제 3 확산층의 제 1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제 1 확산층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확산층의 제 2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큰, 반도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산층에서 상기 제 3 확산층으로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흐르는, 반도체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은 교대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확산층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 대향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 각각이 단변과 장변을 가진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은 상기 제 2 확산층의 장변 및 상기 제 3 확산층의 장변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1 확산층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확산층의 단변 및 상기 제 2 확산층의 단변에 대향하도록 배열되는, 반도체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 각각이 단변과 장변을 가진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은 상기 제 2 확산층의 장변 및 상기 제 3 확산층의 장변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1 확산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확산층의 장변에 대향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산층은 상기 제 2 확산층 및 상기 제 3 확산층의 주위 영역에 배열되는, 반도체 디바이스.
KR1020090049454A 2008-06-05 2009-06-04 Esd 보호 회로 및 반도체 디바이스 KR101085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7570 2008-06-05
JP2008147570A JP5497997B2 (ja) 2008-06-05 2008-06-05 Esd保護回路及び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094A KR20090127094A (ko) 2009-12-09
KR101085809B1 true KR101085809B1 (ko) 2011-11-22

Family

ID=4139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454A KR101085809B1 (ko) 2008-06-05 2009-06-04 Esd 보호 회로 및 반도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36680B2 (ko)
JP (1) JP5497997B2 (ko)
KR (1) KR101085809B1 (ko)
CN (1) CN101599491B (ko)
TW (1) TWI4858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16697B (zh) * 2009-10-21 2013-11-21 Silicon Motion Inc 靜電放電保護裝置
KR101848352B1 (ko) 2012-02-28 2018-04-12 신니혼무센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
US10446539B2 (en) * 2017-02-24 2019-10-15 Nxp B.V.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SD prot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1871B2 (ja) 1997-02-04 2001-09-25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出力保護回路
JP2000269440A (ja) 1999-03-19 2000-09-29 Kawasaki Steel Corp Esd保護回路
US6306695B1 (en) * 1999-09-27 2001-10-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odified source side inserted anti-type diffusion ESD protection device
DE10004111A1 (de) * 2000-01-31 2001-08-09 Infineon Technologies Ag Bipolartransistor
JP2001223277A (ja) 2001-01-09 2001-08-17 Nec Corp 入出力保護回路
TWI274406B (en) * 2003-07-16 2007-02-2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Dual gauge leadframe
US7002218B2 (en) * 2004-02-26 2006-02-21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Low capacitance ESD-protection structure under a bond pad
JP4728833B2 (ja) * 2006-02-15 2011-07-20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99491B (zh) 2013-03-20
TWI485833B (zh) 2015-05-21
JP5497997B2 (ja) 2014-05-21
KR20090127094A (ko) 2009-12-09
US8536680B2 (en) 2013-09-17
US20090302423A1 (en) 2009-12-10
JP2009295764A (ja) 2009-12-17
CN101599491A (zh) 2009-12-09
TW201003885A (en) 201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6138B1 (ko) 반도체 장치
JP4854934B2 (ja) 静電気放電保護素子
US7280329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input/output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ell equipped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element and power clamp
KR19990078148A (ko) 반도체장치
US7242062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with improved ESD withstanding voltage
KR102462819B1 (ko) 반도체 장치
KR20080007137A (ko) 반도체 디바이스 및 보호 회로
US20170213819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5147044B2 (ja) 半導体装置
US7187037B2 (en) ESD protection devices with SCR structures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JP2008078361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456440B2 (en) Electrostatic protection device
US8736022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 diode-type ESD protection circuit
KR101085809B1 (ko) Esd 보호 회로 및 반도체 디바이스
US6657264B2 (en) Layout method of latch-up prevention circuit of a semiconductor device
US8952457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JP2010021412A (ja) 半導体サイリスタ装置
KR19990088351A (ko) 반도체장치
JP2611639B2 (ja) 半導体装置
JP2020161721A (ja) 半導体装置
JP3932896B2 (ja) 半導体装置
JP2008021852A (ja) 半導体装置
JP3446569B2 (ja) 半導体装置
JP4620387B2 (ja) 半導体保護装置
JP2014053497A (ja) Esd保護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