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479B1 -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479B1
KR101084479B1 KR1020097001851A KR20097001851A KR101084479B1 KR 101084479 B1 KR101084479 B1 KR 101084479B1 KR 1020097001851 A KR1020097001851 A KR 1020097001851A KR 20097001851 A KR20097001851 A KR 20097001851A KR 101084479 B1 KR101084479 B1 KR 10108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ection
door opening
plate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3257A (ko
Inventor
마스노리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승강로 내 및 엘리베이터칸의 어느 한 쪽에는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및 제2 피검출체가 마련되고, 다른 쪽에는 제1 및 제2 검출기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검출기는 제1 검출 영역이 마련된 자기식 센서를 가지고, 제2 검출기는 제2 검출 영역이 마련된 광학식 센서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검출 영역에는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에 의해 제1 및 제2 피검출체의 각각이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이 소정의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는 제1 피검출체가 제1 검출 영역에 삽입되고,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설정된 소정의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 내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있을 때는 제2 피검출체가 제2 검출 영역에 삽입된다. 자기식 센서는 제1 및 제2 피검출체 중, 제1 피검출체의 제1 검출 영역으로의 삽입 유무만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학식 센서는 제1 및 제2 피검출체 각각의 제2 검출 영역으로의 삽입 유무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칸의 착상(着床)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검출판을 승강로의 로벽(路壁)측에 장착하고, 한 쪽의 검출판을 검출하기 위한 2개의 착상 검출기와, 다른 쪽의 검출판을 검출하기 위한 1개의 착상 검출기를 엘리베이터칸측에 장착한 엘리베이터의 착상 위치 검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착상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칸측의 바닥면과 승강장측의 바닥면이 합치됐을 때에, 각 착상 검출기가 각 검출판에 각각 대향한다. 이에 따라서, 각 착상 검출기가 작동하고, 엘리베이터칸의 착상 위치가 검출된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실공소 53-52772호 공보
그러나 각 검출판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의 수평 단면적에 대한 각 검출판의 설치 공간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기기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제한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승강로의 수 평 단면에 대한 점유 면적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는, 승강로 내 및 승강로 내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칸의 어느 한 쪽에 마련된 제1 피검출체; 제1 피검출체가 마련된 한 쪽에 마련되고, 제1 피검출체에 대해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피검출체;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에 의해 제1 및 제2 피검출체의 각각이 통과 가능한 제1 검출 영역이 마련된 자기식(磁氣式) 센서를 가지고, 승강로 내 및 엘리베이터칸의 어느 다른 쪽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칸이 소정의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 제1 피검출체가 제1 검출 영역에 삽입되는 제1 검출기; 및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에 의해 제1 및 제2 피검출체의 각각이 통과 가능한 제2 검출 영역이 마련된 광학식 센서를 가지고, 제1 검출기가 마련된 다른 쪽에 마련되고,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설정된 소정의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 내에 엘리베이터칸이 있을 때에 제2 피검출체가 제2 검출 영역에 삽입되는 제2 검출기를 구비하고, 자기식 센서는 제1 및 제2 피검출체 중, 제1 피검출체의 제1 검출 영역으로의 삽입 유무만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고, 광학식 센서는 제1 및 제2 피검출체 각각의 제2 검출 영역으로의 삽입 유무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피검출체 및 제2 피검출체가 승강로 내 및 엘리베이터칸의 어느 한 쪽에 마련되고 제1 피검출체만을 검출 가능한 제1 검출기와, 제1 피검출체 및 제2 피검출체의 각각을 검출 가능한 제2 검출기가 승강로 내 및 엘리베이터칸의 어느 다른 쪽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피검출체 및 제2 피검출체를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놓은 상태에서, 제1 피검출체 및 제2 피검출체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로의 수평 단면에 대한 위치 검출 장치의 점유 면적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위치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이 상승하고 있을 때의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 도어 개폐 가능 신호, 상부 착상 가능 신호 및 하부 착상 가능 신호 각각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2)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4)과, 균형추(3)를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 일(5)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도시하지 않은 권상기(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가 승강로(1) 내를 승강할 때에는 엘리베이터칸(2)은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4)에 안내되고, 균형추(3)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안내된다. 또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4)은 승강로(1)의 내벽면에 고정된 브래킷(6)에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도어(7)에 의해 개폐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8)가 마련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2)에는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7)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도어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8)는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7)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개폐된다.
각 층에는 승강로(1) 내와 승강장(9)을 연통하는 승강장 출입구(10)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10)에는 승강장 출입구(10)를 개폐 가능한 한 쌍의 승강장 도어(11)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10)는 각 승강장 도어(11)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개폐된다.
엘리베이터칸 도어(7) 및 승강장 도어(11)의 각각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7) 및 승강장 도어(11)를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계합(係合)시키기 위한 계합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도어(7) 및 승강장 도어(11)는 엘리베이터칸(2)이 소정의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에만, 계합 장치에 의해 서로 계합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의 어느 위치에 있을 때에도, 엘리베이터칸 도어(7) 및 승강장 도어(11)가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계합된다.
엘리베이터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에는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7) 및 각 승강장 도어(11)가 서로 거의 대향하고 있다. 각 승강장 도어(11)는 엘리베이터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7)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도어(7)에 계합되면서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7)와 함께 이동된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8) 및 승강장 출입구(10)는 각 엘리베이터칸 도어(7) 및 각 승강장 도어(11)의 이동에 의해 동시에 개폐된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엘리베이터칸(2)의 착상 위치는 제어 장치에 의한 권상기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 내에 조정된다.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은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설정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의 길이는 도어 개폐 가능 구간의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칸(2)이 각 층에 착상하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2)의 바닥면이 승강장(9)의 바닥면에 대해 크게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엘리베이터칸(2) 및 한 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4)에는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의 각각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2)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 장치(12)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 장치에는 위치 검출 장치(12)로부터의 정보가 전송된다. 제어 장치는 위치 검출 장치(1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권상기를 제어하고,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를 조정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1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위치 검출 장치(12)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위치 검출 장치(12)는 한 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4)에 각각 마련된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제1 피검출체; 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제2 피검출체; 14)와, 엘리베이터칸(2)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에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에 대향하는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제1 검출기; 15)와, 엘리베이터칸(2)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칸(2)이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 내에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에 대향하는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제2 검출기; 16)를 가지고 있다.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연직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아랫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각각은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각각은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부착 부재(17)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4)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4)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떨어 져 배치되어 있다.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의 길이는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는, 예를 들어 금속 등의 자성(磁性)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는, 예를 들어 수지 등의 비자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의 아랫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자기식 센서(상부 자기식 센서(18) 및 하부 자기식 센서 19)와, 각 자기식 센서(18, 19)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하는 도어 개폐 구간용 AND 회로부(제1 처리부; 22; 도 3)를 가지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광학식 센서(상부 광전 센서(20) 및 하부 광전 센서(21))와, 상부 광전 센서(20) 및 도어 개폐 구간용 AND 회로부(22)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하는 상부 착상용 AND 회로부(제2 처리부; 23; 도 3)와, 하부 광전 센서(21) 및 도어 개폐 구간용 AND 회로부(22)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하는 하부 착상용 AND 회로부(제2 처리부; 24; 도 3)를 가지고 있다.
상부 자기식 센서(18), 하부 자기식 센서(19), 상부 광전 센서(20) 및 하부 광전 센서(21)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 하부 자기식 센서(19)와 하부 광전 센서(21)의 간격은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즉, 상부 자기식 센서(18), 하부 자기식 센서(19) 및 하부 광전 센서(21)가 공통의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를 동시에 검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부 자기식 센서(18)와 하부 자기식 센서(19)의 간격은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의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광전 센서(20)와 하부 광전 센서(21)의 간격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상부 자기식 센서(18) 및 하부 자기식 센서(19)는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부를 각각 가지고 있다. 상부 자기식 센서(18)의 각 대향부 사이에는 상부 자기식 센서(18)의 검출 영역인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제1 검출 영역; 25)이 마련되어 있다. 또, 하부 자기식 센서(19)의 각 대향부 사이에는 하부 자기식 센서(19)의 검출 영역인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제1 검출 영역; 26)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상부 자기식 센서(18)에는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이 마련되고, 하부 자기식 센서(19)에는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 및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에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에 의해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각각이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에는 공통의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 및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 에 삽입된다.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도어 개폐 가능 구간으로부터 윗쪽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의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으로의 삽입이 빗나간다. 또,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도어 개폐 가능 구간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의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으로의 삽입이 빗나간다.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 내에는 상부 자기식 센서(18)에 의해 자계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자기식 센서(18)는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에 삽입된 삽입 부재에 의해서 자속이 차단되고, 내부의 접점이 닫힘 동작(온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 내의 삽입 부재의 유무를 검출한다. 따라서, 상부 자기식 센서(18)는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에 삽입된 삽입 부재가 자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만 삽입 부재의 존재를 검출한다. 즉, 상부 자기식 센서(18)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 중,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의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으로의 삽입 유무만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상부 자기식 센서(18)의 접점이 열리고, 상부 자기식 센서(18)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된다. 또,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부 자기식 센서(18)의 접점이 닫힘 동작(온 동작)을 행하고, 상부 자기식 센서(18)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가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에 삽입되었 을 때에는 상부 자기식 센서(18)의 접점은 열린 채이며, 상부 자기식 센서(18)로부터의 오프 신호 출력이 유지된다.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 내에는 하부 자기식 센서(19)에 의해 자계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자기식 센서(19)의 구성 및 기능은 상부 자기식 센서(18)의 구성 및 기능과 동양(同樣)이다. 따라서, 하부 자기식 센서(19)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 중,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의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으로의 삽입 유무만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하부 자기식 센서(19)의 접점이 열리고, 하부 자기식 센서(19)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된다. 또,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하부 자기식 센서(19)의 접점이 닫힘 동작(온 동작)을 행하고, 하부 자기식 센서(19)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가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하부 자기식 센서(19)의 접점은 열린 채이며, 하부 자기식 센서(19)로부터의 오프 신호 출력이 유지된다.
도어 개폐 구간용 AND 회로부(22)는 상부 자기식 센서(18) 및 하부 자기식 센서(19) 각각으로부터의 온 신호를 받고 있을 때에만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를 출력한다. 즉, 도어 개폐 구간용 AND 회로부(22)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 및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의 모두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가 검출하고 있을 때에만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를 출력한다.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는 상부 착상용 AND 회로부(23), 하부 착상용 AND 회로부(24) 및 제어 장치의 각각에 전송된다.
상부 광전 센서(20) 및 하부 광전 센서(21)는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부를 각각 가지고 있다. 상부 광전 센서(20)의 각 대향부 사이에는 상부 광전 센서(20)의 검출 영역인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제2 검출 영역; 27)이 마련되어 있다. 또, 하부 광전 센서(21)의 각 대향부 사이에는 하부 광전 센서(21)의 검출 영역인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제2 검출 영역; 28)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상부 광전 센서(20)에는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이 마련되고, 하부 광전 센서(21)에는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 및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에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에 의해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각각이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이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 내에 있을 때는 공통의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가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 및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에 삽입된다.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으로부터 윗쪽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으로의 삽입이 빗나간다. 또,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벗어났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으로의 삽입이 빗나간다.
상부 광전 센서(20)의 한 쪽의 대향부에는 투광부(投光部)가 마련되고, 다른 쪽의 대향부에는 투광부로부터의 광을 받는 수광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광전 센서(20)는 투광부로부터의 광을 수광부에 의해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 내의 삽입 부재의 유무를 검출한다. 따라서, 상부 광전 센서(20)는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에 삽입된 삽입 부재가 투광부로부터의 광을 차폐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삽입 부재의 존재를 검출한다. 즉, 상부 광전 센서(20)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 각각의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으로의 삽입 유무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가 모두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상부 광전 센서(20)의 접점이 열리고, 상부 광전 센서(20)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된다. 또,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어느 하나가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부 광전 센서(20)의 접점이 닫힘 동작(온 동작)을 행하고, 상부 광전 센서(20)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된다.
하부 광전 센서(21)의 구성 및 기능은 상부 광전 센서(20)의 구성 및 기능과 동양이다. 따라서, 하부 광전 센서(21)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 각각의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으로의 삽입 유무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가 모두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하부 광전 센서(21)의 접점이 열리고, 하부 광전 센서(21)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된다. 또,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어느 하나가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에 삽입되었을 때에, 하부 광전 센서(21)의 접점이 닫힘 동작(온 동작)을 행하고, 하부 광전 센서(21)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된다.
상부 착상용 AND 회로부(23)는 상부 광전 센서(20)로부터의 온 신호 및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의 각각을 받고 있을 때에만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를 출력한다. 즉, 상부 착상용 AND 회로부(23)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 및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의 모두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가 검출하고, 또한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가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상부 광전 센서(20)가 검출하고 있을 때에만,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를 출력한다.
하부 착상용 AND 회로부(24)는 하부 광전 센서(21)로부터의 온 신호 및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의 각각을 받고 있을 때에만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를 출력한다. 즉, 하부 착상용 AND 회로부(24)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 및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의 모두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가 검출하고, 또한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가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하부 광전 센서(21)가 검출하고 있을 때에만,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을 출력한다.
즉,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 및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의 모두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가 검출하고 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으로의 삽입 유무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으로의 삽입 유무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제어 장치는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 및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의 각각(위치 검출 장치(12)로부터의 정보)을 수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 장치는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 및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 각각의 수신 유무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의 각각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2)의 유무를 판정한다.
즉, 제어 장치는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를 받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다고 판정하고,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의 수신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밖에 있다고 판정한다. 또, 제어 장치는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 및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의 각각을 받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2)이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 내에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 및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 중,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만을 받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벗어 나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 및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 중,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만을 받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으로부터 윗쪽으로 벗어나 있다고 판정한다.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칸(2)이 각 층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칸(2)을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 내에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를 권상기에 대해 행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2)이 상승하고 있을 때의 각 센서(18 ~ 21)로부터의 신호,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 및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 각각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2)이 층에 아랫쪽으로부터 접근하면, 우선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 및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의 순서로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 광전 센서(20) 및 하부 광전 센서(21)로부터 온 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이 때,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로부터의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의 출력이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 및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로부터 출력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2)이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 내에 있다는 판정이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일은 없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2)이 더욱 상승하면,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의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 및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 각각으로의 삽입이 순차 적으로 빗나가,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 및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의 순서로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 광전 센서(20) 및 하부 광전 센서(21)로부터의 온 신호 출력이 순차적으로 정지되고, 상부 자기식 센서(18) 및 하부 자기식 센서(19)로부터 온 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상부 자기식 센서(18) 및 하부 자기식 센서(19)의 각각으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면,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로부터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다는 판정이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고, 엘리베이터칸(2)의 정지 위치가 제어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2)이 더욱 상승하고,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될 때에는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 및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의 순서로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 광전 센서(20) 및 하부 광전 센서(21)로부터 온 신호가 재차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이 때,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로부터는 도어 개폐 가능 신호(29)가 출력된 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 및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칸(2)이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 내에 있다는 판정이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고, 엘리베이터칸(2)의 착상 위치가 확인된다.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승객의 엘리베이터칸(2)에 대한 승하차나, 엘리베이터칸(2)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신축(伸縮)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의 정지 위치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일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2) 바닥의 위치와 승강장(9) 바닥의 위치 사이에 큰 차이가 생기는 일이 있다. 엘리베이터칸(2)이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을 때에는 제어 장치에 의한 권상기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의 정지 위치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 내로 변위되도록 조정된다.
즉, 제어 장치에 의한 상부 착상 가능 신호(30)의 수신이 정지되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칸(2)이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으로부터 윗쪽으로 벗어났다는 판정이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고, 엘리베이터칸(2)이 아랫쪽으로 변위된다. 또, 제어 장치에 의한 하부 착상 가능 신호(31)의 수신이 정지되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칸(2)이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벗어났다는 판정이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고, 엘리베이터칸(2)이 윗쪽으로 변위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2)이 층으로부터 더욱 상승하면,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 및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 각각으로의 삽입이 순차적으로 빗나간다. 이에 따라, 상부 광전 센서(20) 및 하부 광전 센서(21)로부터의 온 신호 출력이 순차적으로 정지된다. 이 후,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 및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의 순서로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가 삽입되지만,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는 상부 자기식 센서(18) 및 하부 자기식 센서(19)에 의해 검출되지 않고, 각 자기식 센서(18, 19)로부터 온 신호가 출력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 상 구간용 플레이트(14)가 승강로(1) 내에 마련되고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만을 검출 가능한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와,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각각을 검출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가 엘리베이터칸(2)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를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놓은 상태에서,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로(1)의 수평 단면에 대한 위치 검출 장치(12)의 점유 면적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자기식 센서(18, 19)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2)이 도어 개폐 가능 구간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 조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광전 센서(20, 21)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2)이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 조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의 상부 자기식 검출 영역(25) 및 하부 자기식 검출 영역(26)으로의 삽입을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가 검출하고 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 이트(14)의 상부 광학식 검출 영역(27)으로의 삽입 유무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의 하부 광학식 검출 영역(28)으로의 삽입 유무를 검출하므로,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에 의한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의 검출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를 검출했다고 잘못된 판정을 제어 장치가 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가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보다 아랫쪽에 배치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보다 윗쪽에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를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는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보다 윗쪽에 배치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가 승강로(1) 내에 마련되고,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가 엘리베이터칸(2)에 마련되어 있으나, 도어 개폐 구간용 플레이트(13)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플레이트(14)를 엘리베이터칸(2)에 마련하고, 도어 개폐 구간용 검출기(15) 및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용 검출기(16)를 승강로(1) 내에 마련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의 수평 단면에 대한 점유 면적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승강로 내 및 상기 승강로 내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칸의 어느 한 쪽에 마련된 제1 피검출체,
    상기 한 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피검출체에 대해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피검출체,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피검출체의 각각이 통과 가능한 제1 검출 영역이 마련된 자기식(磁氣式) 센서를 가지고, 상기 승강로 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어느 다른 쪽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소정의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피검출체가 상기 제1 검출 영역에 삽입되는 제1 검출기,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피검출체의 각각이 통과 가능한 제2 검출 영역이 마련된 광학식 센서를 가지고, 상기 다른 쪽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 개폐 가능 구간 내에 설정된 소정의 엘리베이터칸 착상 구간 내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있을 때에 상기 제2 피검출체가 상기 제2 검출 영역에 삽입되는 제2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식 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피검출체 중, 상기 제1 피검출체가 상기 제1 검출 영역에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만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광학식 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피검출체 각각이 상기 제2 검출 영역에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기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자기식 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기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상기 광학식 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기는 상기 제1 피검출체가 상기 제1 검출 영역에 삽입되어 있음을 상기 제1 검출기가 검출하고 있을 때에만, 상기 제2 피검출체가 상기 제2 검출 영역에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KR1020097001851A 2006-10-17 2006-10-17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KR101084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0644 WO2008047406A1 (en) 2006-10-17 2006-10-17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257A KR20090033257A (ko) 2009-04-01
KR101084479B1 true KR101084479B1 (ko) 2011-11-21

Family

ID=3931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851A KR101084479B1 (ko) 2006-10-17 2006-10-17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75210B1 (ko)
JP (1) JP4907666B2 (ko)
KR (1) KR101084479B1 (ko)
CN (1) CN101500922B (ko)
WO (1) WO2008047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2676B2 (ja) * 2009-05-18 2014-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2428019B (zh) * 2009-05-19 2013-12-2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异常检测装置
JP5538751B2 (ja) * 2009-06-05 2014-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1160157B1 (ko) * 2010-03-08 2012-06-27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2009883B (zh) * 2010-12-22 2012-12-26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位置检测装置
CN102344081A (zh) * 2011-06-28 2012-02-08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一种轿厢磁感应架
ITPN20110050A1 (it) * 2011-07-12 2013-01-13 Stem Srl Ascensore con dispositivo di sicurezza perfezionato
JP2016023019A (ja) *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FI126515B (en) * 2016-05-18 2017-01-13 Kone Elevators Co Ltd Elevator
FI126645B (en) * 2016-05-18 2017-03-31 Kone Elevators Co Ltd Elevator
CN107618951A (zh) * 2016-07-13 2018-01-2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平层位置检测装置
CN107618954A (zh) * 2016-07-13 2018-01-2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平层位置检测方法
CN108584582A (zh) * 2018-05-11 2018-09-28 南通中尧特雷卡电梯产品有限公司 一种门机井道信息组件
WO2020115901A1 (ja) * 2018-12-07 2020-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0526066B (zh) * 2019-09-19 2021-03-19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电梯平层开关的检测方法、装置及系统
CN114260207B (zh) * 2021-12-28 2024-05-28 上海中商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产品流向确定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7154A (ko) 1973-08-09 1975-04-07
JPS62211278A (ja) 1986-03-12 1987-09-17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位置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3155A (en) * 1976-02-25 1977-08-30 Hitachi Ltd Detecting device for door opening zone of elevator
JPS5912592B2 (ja) * 1977-04-13 1984-03-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レベル調整装置
US4433756A (en) * 1982-03-10 1984-02-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4798267A (en) * 1987-01-20 1989-01-17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Elevator system having an improved selector
US4991693A (en) * 1989-02-16 1991-02-12 Inventio Ag Method of improving the landing of a hydraulic elevator car
US5677519A (en) * 1996-02-29 1997-10-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eveling adjustment
US6082498A (en) * 1999-01-22 2000-07-04 Otis Elevator Normal thermal stopping device with non-critical vane spacing
JP2001316052A (ja) * 2000-05-02 2001-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位置検出装置
JP4177076B2 (ja) * 2002-10-24 2008-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
CN2591006Y (zh) * 2002-12-20 2003-12-10 孙亚娟 电梯平层信号装置
CN100377981C (zh) * 2003-11-07 2008-04-02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位置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7154A (ko) 1973-08-09 1975-04-07
JPS62211278A (ja) 1986-03-12 1987-09-17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位置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00922A (zh) 2009-08-05
KR20090033257A (ko) 2009-04-01
EP2075210B1 (en) 2015-02-11
JP4907666B2 (ja) 2012-04-04
JPWO2008047406A1 (ja) 2010-02-18
EP2075210A1 (en) 2009-07-01
WO2008047406A1 (en) 2008-04-24
CN101500922B (zh) 2011-04-20
EP2075210A4 (en)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479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KR100899935B1 (ko) 승강로 접근 탐지 시스템
CN104828684B (zh) 电梯设备
CN113165833A (zh) 传感器单元和电梯
KR10121732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CN101920898B (zh) 电梯门装置
JP5800936B2 (ja) エレベータ戸開走行防止装置
KR102099668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도어 안전잠금장치
WO2009081476A1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JP2012153450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3920528B2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JP201124106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714941B1 (ko)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CN111099470B (zh) 电梯系统
JP2018111555A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CN112334405B (zh) 门装置
WO2014199517A1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JP7344477B1 (ja) エレベータ
WO2006035483A1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2610191B1 (ko) 로봇 수직 반송 시스템
CN109850729B (zh) 电梯
CN114538219A (zh) 电梯装置
KR200347035Y1 (ko) 승강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 장치
JP2015151224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