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371B1 - 박스형 오일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를 고정시키는 여과지 고정틀 - Google Patents
박스형 오일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를 고정시키는 여과지 고정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1371B1 KR101081371B1 KR1020080105580A KR20080105580A KR101081371B1 KR 101081371 B1 KR101081371 B1 KR 101081371B1 KR 1020080105580 A KR1020080105580 A KR 1020080105580A KR 20080105580 A KR20080105580 A KR 20080105580A KR 101081371 B1 KR101081371 B1 KR 1010813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paper
- filter
- oil
- box
- press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06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111 Fine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9 b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58 core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8 desig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5 pressure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량의 튀김유를 사용하는 음식점 등에서 식용유를 정제할 때 사용하는 오일여과장치의 소모성 부품인 오일여과지 및 상기 오일여과지를 상기 오일여과장치에 장착/탈착하는 여과지 고정틀에 관한 것이다.
박스형 여과지는 직사각형의 하부 여과면과, 4둘레에 형성된 측벽을 가지며 이때 여과면의 넓이는 여과지 고정틀의 누름쇠의 외형이 이루는 넓이보다 넓고, 측벽의 높이는 누름쇠의 누름부 단면 높이보다 같거나 높다.
그리고 누름쇠의 각 변의 외측길이는 여과조의 내부 각 변의 길이에서 여과지 측벽 두께의 두 배의 값을 뺀 길이보다 같거나 작고, 메시의 각 변의 외측길이는 누름쇠의 각 변의 내측길이 보다 작고, 상기 누름쇠의 각 변의 내측길이에서 상기 여과지의 여과면 두께의 두 배의 값을 뺀 길이보다 같거나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여과지 고정틀(메시, 누름쇠)과 이에 적용되는 박스형 오일여과지에 의하여, 좁은 누름면 폭을 가진 누름쇠의 누름저항 감소에도 불구하고 박스형 여과지의 측벽(12)부분에 의해 여과지가 누름쇠 안으로 삐져나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넓은 누름면을 사용해야 하는 평면형 여과지에 비해 동등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4둘레 모서리 부분에 여과 잔유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세로로 긴 단면폭으로 인해 동등한 중량에서 상하 휨강도가 큰 누름쇠를 설계할 수 있고, 미소하지만 기술적으로 의미있는 수치를 가진 박스형 오일 여 과지의 여과면 면적과 측벽부 높이로 인해 여과지의 교체과정에서 편리한 작업효과를 발휘한다.
오일여과, 여과지, 메시, 누름쇠, 여과조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용화된 업소용 오일여과기의 핵심구성인 오일여과조에 오일여과지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여과지 고정틀 및 상기 여과지 고정틀에 특화된 박스형 오일 여과지에 관한 것이다.
중소형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오일여과장치는 대형 플랜트의 오일 여과설비와는 달리 소용량 또는 중용량의 식용유 저장용기와 저압의 펌프를 사용한 이동 가능한 소형 기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소형 오일여과기는 용적, 작동구조상 편리한 사용과 신뢰성에 중점을 두어 제작되며, 제품가격, 운전비용을 고려할 때 대형 오일여과설비와 같은 고압 다단형 여과단계를 채택하기 어렵다.
따라서 한 두 단계의 저압 여과단계로 주로 설계되며 보통은 종이 재질의 여과필터로 여과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여과필터는 펄프 재질의 소모성 여과지 이거나 또는 반복 재사용성 필터인 경우 미세한 금속망 재질의 판체인 경우가 많다.
공개특허공보 특2005-0081986호의 식용유 여과장치를 참조하면, 상기 여과필터로써, 드물게 디스크형 금속필터를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열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복 사용시 세척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일반 윤활용 오일과 같이 오일 내부의 산화오염물이 아니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엄청난 양의 튀김 잔유물(찌꺼기)과 뒤섞이게 되는 튀김용 오일을 다루는 음식점에서는 여과필터에 튀김 잔유물이 금새 다량 퇴적되어 반복 사용식 여과필터로는 이를 감당할 수 없고 설령 이를 반복 세척하여 사용한다 하여도 세척되지 않은 미세한 찌꺼기들은 여과필터의 여과효율을 점점 떨어뜨리게 되어 결국 고가의 여과필터마저도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더구나 치킨이나 각종 튀김요리에 사용되는 식용유는 매우 미세한 찌꺼기까지도 완벽히 여과시켜야 하고 여과된 기름에 불쾌한 냄새가 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세척형 여과필터는 요식업소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종이(펄프) 재질의 일회용 교체식 여과지를 사용하여야 한다.
여과지는 액체나 기체를 통과시키면서 침전물이나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걸러내기 위해 사용하는 종이이다. 펄프 재질의 일회용 교체식 여과지는 섬유들이 뒤엉켜 있는 종이로, 지름 0.00X∼0.0X㎜정도의 작은 구멍이 굉장히 많이 뚫려 있다. 물(또는 오일)과 같은 용매, 그리고 용매에 녹아 있거나 이온화되어 있는 작은 용질은 이 구멍을 통과할 수 있지만 크기가 큰 용질은 그 구멍 사이를 통과하지 못한다.
여과 원지는 동일한 평량에서 두께를 최대화하는 것과 조직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성능의 핵심인데 주로 천연 펄프로 만들게 되며 펄프해리공정-클리닝공정-고해 및 여과지 형성-press-건조 공정을 거쳐서 제조되며 이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그대로 사용하거나 접어서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소용량 오일여과기의 각 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분해 전시된 소용량 오일여과기는 바퀴가 달린 거치대 하부에 여과조를 안치하고, 상부에 펌프유닛을 설치한 후, 메시(mesh=지지용 그물철망)에 씌운 여과지를 여과조에 담궈서 오염된 오일을 빨아들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배출관을 통해 여과조로 배출되는 오염된 오일은 여과조 내에 담겨있다가 흡입호스쪽에 관이음으로 연결되는 메시와 상기 메시에 씌운 여과지로 구성되는 오일여과부 쪽으로 흡입되면서 오염물질은 여과지 표면에 부착되고 걸러진 오일이 펌프를 통해 순환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오일여과부(메시에 씌운 오일여과지 부분)를 수시로 여과조에서 꺼내 여과지 표면에 묻어있는 오염물질(튀김가루 등)을 털어내거나 혹은 여과지 봉투를 벗겨내서 폐기하고 다시 신품으로 교체하여 다시 여과조에 담궈야 하며 이러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여과조에 담겨있는 오일은 점차 깨끗해 지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은 사용중인 뜨거운 오일이 담긴 여과조에서 지속적인 여과작용을 수행하면서 여과지를 교체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여과지 봉투의 여과용량이 작고, 여과조의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사용자는 여과지 교체 작업시 부주의 또는 고온의 튀는 오일에 의해 심각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도 2와 도 3은 도 1에서 여과부를 담궜다가 빼는 구조가 아닌 배출구를 여과조 바닥에 고정 형성하고 메시(지지용 철망)를 여과조 바닥에 고정자리를 만들어서 안착시킨 후 평면 종이형 여과지를 바닥에 깔아서 누름쇠로 눌러 고정시킨 다음 위에서 밑으로 오염된 튀김오일을 빼면서 여과시키는 오일여과조의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은 여과지의 교체시 여과조에서 튀김유를 모두 비우고 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한다면 유지비용측면(여과지 제조 공급비용)에서 크게 저렴하고, 오일 순환라인 설계, 메시나 누름쇠 등 주요 구성부의 설계가 간단해지므로 제작비용도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국내 절대 다수의 요식업소에서는 비용과 운전관리상의 문제로 도 2,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여과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현 국내에 유통되는 모든 오일정제기는 모터및펌프 와 기름통이 단일형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오일정제기에 들어가는 천연펄프 여과지 형태는 평면 사각형으로서 구체적인 여과조 내부 구조는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여과조에서는 평면 종이형 여과지를 장착하고 교체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따르게 되는데, 대표적인 두 가지 불편한 점으로서 오일여과지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여과조 바닥에 자리잡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과(도 8의 우측도면) 여과지의 탈거 과정에서 여과조의 바닥모서리 부분, 즉 누름쇠와 여과지가 자리잡았던 여과조 가장자리에 끼인 오일찌꺼기를 제거해줘야 하는 과정이 매우 불편하다는 것이다. (도 3)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것이 일반적인 평면종이형 오일여과지이다. 이것은 마른 상태의 오일여과조 바닥에 깔기에는 쉬우나, 뜨겁고 내벽에 기름이 발라져 있는 젖은 상태의 여과조에서 바닥에 정확히 깔기에는 어렵다. 왜냐하면 여과지를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바닥면 제 위치에 붙기 전에 측면에 들어붙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튀김유가 식지 않았다면 여과조 내부가 뜨겁기 때문에 여과지를 쉽게 다루기 어렵고 이 과정에서 신품 여과지가 제대로 사용하지도 못하고 젖어 찢어지거나 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국내 절대 다수의 영세 치킨업소 등 비용의 압박을 받고 있는 중소형 요식업소에서는 여과지의 공급단가를 크게 늘리지 않으면서 도 3과 같은 여과조에서 교체 및 사후 청소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개량된 여과지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먼저 다음과 같은 주요 과제해결수단을 이용하여 완성된다.
첫째, 먼저 여과지의 안착 과정에서 여과조 내벽에 잔류하여 있는 오일에 여과지가 닿아도 들어붙지 않게 여과지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것에 착안하였다. (박스형 여과지)
둘째, 종래 평면형 여과지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던 누름쇠 장착과정에서 상기 박스형 여과지가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새로운 단면형상이 다른 누름쇠 및 상기 누름쇠에 맞추어 각 변의 크기를 키운 메시로 설계함으로써 극복하였다.
셋째, 상기 누름쇠의 설계과정에서 누름쇠의 강도보강과 작업성을 추가로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셋째 과정에서 누름쇠의 기능적인 한계를 발견하고 이를 메시설계에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바뀐 누름쇠의 설계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였다.
추가로, 박스형 여과지의 도입은 어떤 측면으로는 당연한 듯 보여도, 세부적인 적용 과정에서는 여러 기술적인 난제(예를 들면 박스형 절첩 과정에서 생기는 틈으로 미 여과된 오일이 새는 문제, 누름쇠의 누름과정에서 박스 모서리가 찢어지 는 문제 등)가 발생하였으므로 그동안 쉽게 시도되기 어려웠다.
이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기술적 고찰이 따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여과지 고정틀(메시, 누름쇠)과 이에 적용되는 박스형 오일여과지로서 종래의 여과지 고정틀과 평면형 오일여과지에 비해 제조 및 공급비용 측면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으면서 작업성 및 사후관리성 측면에서는 비약적으로 향상된 뛰어난 효과의 오일여과조가 탄생된다.
상기 본 발명의 주된 기술적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도면에 포함된 본 발명의 일 예를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 기술하는 구현예(embodiment of invention), 혹은 구체적인 실시예(specific example)에서 특정 용어를 포함한 구성요소들과 그 특정 결합구조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포괄적으로 내재된 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여과지가 본 발명의 박스형 오일여과지의 일 실시예이며, 이 설계를 토대로 더욱 발전시킨 상용화된 설계가 도 5a의 박스형 오일여과지(10)(접혀있는 사용 직전 상태)이다.
도 5b의 평면 재단도(치수 가로*세로*높이=449*320*50(mm))에서 여과지(10)는 여과면(11), 측벽(12), 절첩선(13), 끼움돌기(14), 끼움홈(15), 절첩날개(16) 등으로 각 부 구성을 명명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부는 직관적으로 이해 가능하며, 다만 4각 모서리 부분에 빗금으로 접힐 수 있게 된 부분인 절첩홈(13)은 여과지(10)가 박스형으로 접힌 상태에서 여과지 측벽을 여과지 바닥 쪽으로 눕힐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여과지(10)를 일단 박스형으로 접은 뒤에 측벽을 밑면과 같이 접어 적층시켜서 포장, 유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5c는 여과지의 박스모서리 부분의 접힘상태를 알기 쉽도록 풀어헤쳐 놓은 모습이며, 이 부분에서 첫번째 기술적 난제인 끼움홈(15) 쪽으로의 미여과유 누설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후술하는 도 7, 도 8에서의 여과지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문제와 함께 동시에 해결된다.)
도 6은 여과조(50)에 장착되는 여과지 및 여과틀의 조립상황을 알기 쉽게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여과틀은 누름쇠(20)와 메시(mesh=지지용철망)(30)로 이루어져 있으며 먼저 메시(30)를 여과조 바닥에 장착하고 다음 박스형 여과지(10)를 메시 위에 안착시킨 다음, 누름쇠(20)로 눌러서 단단히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메시(30)의 역할은 여과조(50) 바닥에 뚫려있는 여과유 배출구로 여과된 오일이 배출될 때, 여과지가 빨려 들어가서 찢어지지 않도록 여과지를 배출구에 대하여 지지해주는 역할이며, 누름쇠(20)와 더불어서 여과지의 4둘레 모서리를 꽉 찍어서 여과조 바닥과 여과지 사이를 밀폐시켜 주는 역할도 한다.
다음으로 누름쇠(20)의 역할은 여과지가 여과조 내의 오일유동에 의하여 흔들려서 결과적으로 여과조 바닥으로부터 여과지가 들뜨지 않도록 여과지(10)를 단단히 눌러주는 역할이며, 마찬가지로 메시(30)와 더불어서 여과지의 4둘레 모서리 를 누르고 찝어서 여과조 바닥과 여과지 사이를 밀폐시켜 주는 역할도 한다.
도 7은 위에서 설명한 개념을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누름쇠(20-빨간색)와 메시(30-파란색)가 여과지에 접촉하는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누름쇠(20)는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 안쪽에 위치하여 있다. 이로 인해 끼움홈으로 침투하는 미소량의 미여과오일은 누름면(빨간색) 의 바깥에 위치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여과되지 않은 채 배출될 수 없다. (실제로는 후술하는 도 8에서와 같이 메시와 누름쇠 사이의 여과지 변형구간(40)에 따라 여과면(11)의 넓이가 약간 축소되므로 박스형 4모서리는 도 7에서와 같이 누름쇠와 약간의 이격을 두고 위치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누름쇠의 바깥 테두리에 거의 맞닿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틀은 메시(30)의 크기를 누름쇠 크기에 근접하게 키움으로써 누름쇠와 메시가 서로 끼워지는 형태로 여과지를 가볍에 찝는 공간을 추가하면서 누름면 감소를 보상하는 여과조 밀폐효과를 달성하였다.
도면에서 파란색으로 도시한 메시와 누름쇠 사이 간극부분(40)이 바로 누름쇠와 메시가 위아래에서 여과지를 찝는 구역이다. 이것은 통상적인 넓은 폭 누름쇠(종래 평면형 여과지에 적용되는 누름쇠)에서는 착안하기 힘든 것이다. (도 8의 우측 도면 참조)
도 8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형 여과지가 갖는 구조적 장점과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누름쇠 및 메시의 독특한 설계를 알기 쉽게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통상적인 누름쇠는 누름면의 폭을 본 발명 여과틀의 누름쇠(20)와 같이 좁게 할 수 없어 누름면 폭을 넓게 늘려야 하는데 이러한 설계 하에서는 굳이 메시와 누름쇠의 폭을 좁혀서 여과지를 살짝 찝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만약 종래의 누름쇠가 누름면 폭을 좁힌다면 여과지를 누르는 면적이 작아져서 누름쇠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메시로 인해 변형되는 여과지의 변형량을 허용하지 않아서 여과지가 찢어지게 되며, 누름쇠의 무게가 가벼울 경우 여과지의 위치변형을 지나지게 허용하여 여과지가 누름쇠 안쪽으로 쑥 빠져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누름쇠의 누름면 폭을 줄이고 대신 누름면의 높이를 키워서 누름쇠를 설계한다면 누름쇠의 무게는 증가하지 않으므로 메시와 누름쇠 사이에 찝히는 여과지의 변형량을 어느정도 허용하게 된다. 따라서 여과지의 찢어짐도 방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여과지가 누름쇠 안쪽으로 쑥 빠져버리는 현상은 여과지를 박스형으로 설계함으로써 방지되는 것이다.
즉 박스형 여과지의 측벽의 기능은, 단순히 가장자리의 여과잔류물 처리가 쉽다는 기능 외에도 누름쇠의 줄어든 저항을 보상하는 의미있는 기능도 보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쇠는 단면을 옆에서 바라봤을 때 누름면 폭이 누름면 높이보다 높은 것이 기계설계학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왜냐하면 누름쇠 손잡이를 드는 방향으로 누름쇠가 굽어지게 되는데 이때 누름쇠를 최대한 가볍게 만들려면 누름쇠를 가늘게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평면형 여과지에서는 누름쇠를 가늘게 만들게 되면 누름쇠의 누르는 힘이 약해져서 여과과정에서 여과지가 누름쇠 안으로 삐져나올 우려가 있다. 이렇게 되면 배출구로 미여과된 오일이 누설되게 되는 것이다.
앞서 여과지 측벽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 누름쇠의 좁은 누름면 폭은 박스형 여과지의 측벽(12)부분과 결함됨으로서 누름면 감소에 따른 누름저항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과지가 누름쇠 안으로 삐져나오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누름쇠를 상대적으로 가볍고 가늘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도 8의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종래의 누름쇠(20')는 누름면 폭이 누름면의 높이보다 커서 상하방향의 힘에 약하다. 따라서 누름쇠의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누름쇠 손잡이를 긴 변 쪽에 설치하였다. 이렇게 되면 누름쇠 손잡이를 잡고 꺼내거나 끼울 때 양손을 벌려서 잡을 수가 없고 양손을 앞뒤로 하여 잡아야 하므로 불편할 수밖에 없다.(도면의 우측에 사람이 서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도 8의 좌측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누름쇠(20)는 누름면 폭이 누름면 높이에 비해 높은(휨모멘트에 강한) 구조이기 때문에 누름쇠 손잡이를 짧은 변 쪽에 설치하여도 누름쇠의 휨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수시로 여과지를 교체하면서 뜨거운 여과조 근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성을 고려하면 매우 의미있는 기술적 발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메시와 누름쇠 및 여과지의 기하학적 위치에 따른 관계 외에도 박스형 오일 여과지가 갖는 장점은 도 8의 상부 도면에서 잘 나타난다. 일반적인 평면형 여과지는 단순한 판형상 이므로 미소하게나마 제조비용이 저렴하겠지만 실제 사용상의 불편함은 매우 자주 나타난다. 도면에서와 같이 여과조에 메시를 설치하고 다음으로 여과지를 깔게 될 때 박스형 여과지(10)는 4측벽의 강도 때문에 자기 형상을 유지하면서 쉽고 정확하게 안착되나, 일반 여과지(10')는 자주 측벽에 들어붙을 수 있다. 특히 급하게 여과지를 교체하거나 할 때 이런 문제는 더 자주 일어나는 편이며 성급하게 작업하다가 여과지를 파손할 수도 있고 여과조 내부가 완전히 식지 않았다면 역시 작업자의 안전문제가 뒤따른다.
한편 도 8의 좌측 도면에서와 같이 박스형 오일여과지와 여과조 내벽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존재하는데 이곳으로 튀김잔유물이 침전하여 여과지를 제거하여도 미여과물이 여과조 내부 모서리에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이 간극은 매우 적어서 일단 박스형 오일 여과지를 설치하고 나면 여과조 내벽 표면에 잔류한 오일 성분으로 인하여 여과지 측벽과 여과조 내벽이 금방 서로 들어붙게 되므로 이 부분에 튀김잔유물이 침전할 우려는 무시할 수 있다.
즉 박스형 여과지는 여과조에 장착하기 전에는 박스형이지만 일단 장착이 되고 나면 측벽부가 약간 뭉개지면서(누름쇠와 메시에 의해 안쪽으로 끌려들어가는 양도 존재한다) 직각형태가 아닌 곡선형태로 여과조 내측면에 접촉하게 되며, 새롭게 여과시킬 오일을 채우면서 완전히 여과조 내측면에 들어붙게 되는 것이다.
도 9a ~ 도 9b의 총 8단계는 일반적인 여과지의 교체작업을 사진으로 촬영한 것이다. 도면에서 넓은 누름면을 갖는 누름쇠는 자체 상부표면에도 상당한 량의 튀김잔유물이 묻어 있으며 이는 별도로 세척해야 한다.
누름쇠를 제거한 후 칼 등으로 가장자리에 강하게 고착되어 있는 튀김잔유물을 제거하고 여과지를 떼어낸다. 보통은 2장의 여과지를 깔아서 위의 여과지를 버리고, 기존 여과지를 위로 올리고 새 여과지 한장을 밑으로 까는 방식이 널리 이용된다. 이 과정에서 누름쇠와 여과지 가장자리에 강하게 고착되어 있었던 튀김잔유 물은 필연적으로 여과조에 남아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여과지를 제거한 후에도 별도로 이것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여과지 고정틀과 박스형 오일 여과지를 장착 및 탈거하는 작업과정을 사진 촬영한 것이다.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넓어진 메시는 여과조의 배출효율을 늘려주며 짧은 변쪽에 형성된 누름쇠 손잡이는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박스형 여과지의 측벽을 잡고 들어냄으로써 간단히 여과지 탈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구체화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이 내포하고 있는 기술적 사상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미처 포함되지 않은 단순한 변경 및 간단한 확장 사례를 추가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이 고유하게 보유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자명하게 포함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소용량 오일여과기의 분해도면.
도 2,3은 배출구를 여과조 바닥에 고정 형성하고 메시를 여과조 바닥에 안착시킨 후 평면 종이형 여과지를 바닥에 깔아서 누름쇠로 눌러 고정시킨 오일여과조의 구조.
도 4는 박스형 여과지(초기형)와 평면 여과지의 비교사진.
도 5는 본 발명 박스형 여과지와 여과틀의 각 부 구성명칭과 구조.
도 6은 여과조에 장착되는 여과지 및 여과틀의 조립상황을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7은 누름쇠와 메시가 여과지에 접촉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박스형 여과지가 갖는 구조적 장점과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누름쇠 및 메시의 독특한 설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일반적인 여과지의 교체작업을 촬영한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여과지 고정틀과 박스형 오일 여과지를 장착 및 탈거하는 작업과정을 촬영한 사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 여과지 11: 여과면
12: 측벽 13: 절첩선
14: 끼움돌기 15: 끼움홈
16: 절첩날개
20: 누름쇠 30: 메시(지지용 그물철망)
40: 메시와 누름쇠 사이 간극 50: 여과조
Claims (7)
- 삭제
- 하면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상부에 메시(30)와 누름쇠(20)가 차례로 안착되며, 사각통 모양의 외형을 가진 오일 여과조(50)에서 상기 메시(30)와 상기 누름쇠(20) 사이에 장착되는 오일 여과지(10)에 있어서,직사각형의 하부 여과면(11)과;상기 여과면(11)의 4둘레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벽(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측벽(12)에는,상기 여과지(10)를 박스형으로 접기 위한 절첩날개(16)와;상기 절첩날개(16)가 삽입된 부분을 접어서 고정하기 위한 끼움돌기(14) 및 끼움홈(15)이 더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15)은 상기 누름쇠(20)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오일 여과지.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2)에는,상기 여과지(10)를 평면종이 형태로 재차 접기 위한 대각선 방향의 절첩선(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오일 여과지.
- 삭제
- 하면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사각통 모양의 외형을 가진 오일 여과조(50)에 박스형 오일 여과지(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여과지 고정틀에 있어서,단면 높이가 50mm이하인 누름쇠(20)와;상기 누름쇠(20)와 서로 끼워지는 형태로 여과지를 가볍게 찝을 수 있도록 상기 누름쇠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된 메시(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누름쇠(20)는 누름부의 단면높이가 누름부 단면너비보다 큰, 세로로 긴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 고정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쇠(20)는,손잡이가 짧은 변 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 고정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580A KR101081371B1 (ko) | 2008-10-28 | 2008-10-28 | 박스형 오일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를 고정시키는 여과지 고정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580A KR101081371B1 (ko) | 2008-10-28 | 2008-10-28 | 박스형 오일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를 고정시키는 여과지 고정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0320A KR20080100320A (ko) | 2008-11-17 |
KR101081371B1 true KR101081371B1 (ko) | 2011-11-08 |
Family
ID=4028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5580A KR101081371B1 (ko) | 2008-10-28 | 2008-10-28 | 박스형 오일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를 고정시키는 여과지 고정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137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6825B1 (ko) * | 2013-03-18 | 2014-07-09 | 주식회사 파나시아 |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
KR101416829B1 (ko) * | 2013-03-18 | 2014-07-08 | 주식회사 파나시아 | 필터엘리먼트의 정위치 고정이 가능한 배수 필터 모듈 |
KR101416831B1 (ko) * | 2014-05-28 | 2014-07-09 | 주식회사 파나시아 | 필터엘리먼트의 정위치 고정이 가능한 배수 필터 모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8966A (ja) | 2006-12-19 | 2008-07-03 | Fujimak Corp | 濾過装置 |
-
2008
- 2008-10-28 KR KR1020080105580A patent/KR1010813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8966A (ja) | 2006-12-19 | 2008-07-03 | Fujimak Corp | 濾過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0320A (ko) | 2008-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17082A (en) | Advanced dual-filtering apparatus | |
CN100548200C (zh) | 改进的煎锅 | |
KR101081371B1 (ko) | 박스형 오일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를 고정시키는 여과지 고정틀 | |
US2610740A (en) | Filter for cooking fats | |
EP0598740A1 (en) | Cooking oil filtering apparatus | |
JP4958532B2 (ja) | 濾過装置 | |
KR101119218B1 (ko) | 디핑 여과모듈을 이용한 튀김유 여과장치 및 상기 여과모듈에 적용되는 봉투형 여과지 | |
KR102174138B1 (ko) | 사용 식용유의 정제장치 | |
KR200465390Y1 (ko) | 튀김유정제기 | |
KR200440640Y1 (ko) | 튀김기 | |
JPH0975237A (ja) | フライヤ用油濾過装置 | |
JP3242210U (ja) | 油濾過装置及びフィルター | |
JP7067753B2 (ja) | 揚げ油の回収装置及びフライヤー | |
JP2024008615A (ja) | 濾過装置 | |
JP2008000663A (ja) | 濾過器、及び、これを用いた濾過装置 | |
US10517432B2 (en) | Filter screen modification to improve filtration performance | |
JPH10146288A (ja) | 揚油の濾し器 | |
JP2016073487A (ja) | フライヤー | |
JP3363871B2 (ja) | 揚油の濾過装置 | |
CN219166133U (zh) | 一种居家用环保型多功能茶盘 | |
JP2015097773A (ja) | 食用油の吸引式ろ過分離装置 | |
CN218219984U (zh) | 食用油的循环回收利用装置及烹饪机构 | |
KR102583902B1 (ko) | 오일 처리장치 | |
US20230097915A1 (en) | High Temperature Filter For Edible Cooking Oil And Method Of Use | |
CN213787244U (zh) | 一种半自动加水拖把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