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825B1 -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 Google Patents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825B1
KR101416825B1 KR1020130028843A KR20130028843A KR101416825B1 KR 101416825 B1 KR101416825 B1 KR 101416825B1 KR 1020130028843 A KR1020130028843 A KR 1020130028843A KR 20130028843 A KR20130028843 A KR 20130028843A KR 101416825 B1 KR101416825 B1 KR 10141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wer housing
filter
filter ele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태
표태성
이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3002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물과 광물이 혼합된 슬러리에서 물을 제거하는 배수 필터 모듈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하우징과 커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형성되는 필터바디와 상기 필터바디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여 슬러리에 함유된 물이 통과하여 빠져나가도록 하는 필터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하부하우징과 커버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회동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므로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Dewatering filter module having cover capable of rotation}
본 발명은 선박의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물과 광물이 혼합된 슬러리에서 물을 제거하는 배수 필터 모듈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하우징과 커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형성되는 필터바디와 상기 필터바디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여 슬러리에 함유된 물이 통과하여 빠져나가도록 하는 필터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하부하우징과 커버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회동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므로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대한 것이다.
바다에서 채취되는 아이언 샌드(iron sand) 등의 광물을 선박을 이용하여 장거리 운송하여야 하는 경우, 이를 운반하는 선박의 내부에는 광물을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가 형성된다. 선박의 내부에 적재되는 위와 같은 광물은 물과 함께 혼합되어 슬러리 형태로 선박의 저장탱크로 이송되는데, 상기 슬러리에는 다량의 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슬러리에서 물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운송하게 되면 불필요한 물이 많은 중량과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 선박의 운송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래 표시한 특허문헌을 참조하면,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저장탱크에는 적재된 슬러리로부터 함유된 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슬러리로부터 물만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탈수장치(필터 모듈)가 설치된다.
(특허문헌)
일본공개특허공보 JP1997-095492(1981. 01. 12. 공개) "DEHYDRATING DEVICE IN HOLD OF ORE AND IRON SAND SLURRY TRANSPOTING VESSEL"
하지만, 종래의 탈수장치는 필터(필터엘리먼트)를 보호하는 플레이트(커버)를 나사와 너트를 사용하여 수좌용 플레이트에 고정하여 플레이트와 수좌용 플레이트 사이에 필터를 위치시키므로, 상기 필터의 세척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수좌용 플레이트에서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상기 탈수장치는 저장탱크의 하면 및 측면에 설치되어 필터링하는데, 상기 플레이트는 크기와 무게가 상당함으로 저장탱크의 하면에 설치된 탈수장치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들어올리는 작업은 큰 힘이 소요되며, 저장탱크의 측면에 설치된 탈수장치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의 탈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커버가 회동가능하게 하부하우징에 연결되어 필터엘리먼트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개폐하므로, 필터엘리먼트의 세척, 수리,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에 돌기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회동시 고정돌기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커버를 하부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상기 커버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회동축(연결핀)이 하부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동방향으로 형성된 돌기관통공의 장경을 줄일 수 있어, 상기 돌기관통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엘리먼트의 삽입돌기가 하부하우징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엘리먼트가 상기 필터바디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므로,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고 선박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엘리먼트의 상면에 연결된 완충부가 커버의 하면을 탄성가압하여 충격을 흡수하므로, 선박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메쉬부가 서로 다른 메쉬를 가지는 메쉬망이 소결접합되어 형성되므로, 강도가 뛰어나고 취급이 용이한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엘리먼트의 최외측을 형성하는 외측메쉬망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한 가로재의 상측에 상기 가로재와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한 세로재가 연결되고, 상기 가로재와 세로재는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메쉬망의 공극률을 최대로 하면서도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은 하부하우징과 커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형성되는 필터바디와, 상기 필터바디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여 슬러리에 함유된 물이 통과하여 빠져나가도록 하는 필터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하부하우징과 커버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회동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므로,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하부하우징과 커버가 밀착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커버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 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커버고정부의 고정돌기가 관통하는 돌기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고정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돌기관통공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회동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돌기관통공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돌기관통공은 상기 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돌기관통공의 내벽이 상기 고정돌기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회동방향의 직경이 회동 수직방향의 직경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회동축이 하부하우징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의 회동시 상기 돌기관통공의 내벽과 상기 고정돌기의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상기 커버의 돌기관통공의 회동방향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커버고정부는 상기 돌기관통공에서 돌출된 고정돌기의 말단에 결합하여 상기 커버의 회동을 방지하는 돌기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회동연결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일 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연결되며 중공을 포함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커버의 일 측에 연결되어 한 쌍의 제1연결판 사이에 위치하며 중공을 포함하는 제2연결판과, 상기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회동시 회동축으로 작용하는 회전핀과, 상기 연결핀의 말단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의 중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필터엘리먼트는 일 측에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일 측에 함입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삽입돌기를 상기 하부하우징의 삽입홈에 삽입하여 상기 필터엘리먼트를 상기 수용공간에 정 위치시킬 수 있고 선박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필터엘리먼트는 일 측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하면을 탄성가압하는 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측이 관통형성된 중공과 말단에서 내주면을 따라 절곡형성되는 절곡턱을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을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봉은 외부면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공에 위치하는 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말단은 상기 돌출턱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이 수축 또는 이완함에 따라 상기 삽입봉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필터엘리먼트는 복수개의 메쉬망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필터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각각 상기 필터부의 상하면을 형성하는 외측메쉬망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메쉬망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한 가로재와, 상기 가로재의 상측에 상기 가로재와 수직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한 세로재가 용접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로재와 세로재는 서로 용접되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물이 아닌 입자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미세의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메인메쉬부와, 상기 메인메쉬부의 상하측에 각각 격합되는 보호메쉬망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외측메쉬망은 상기 보호메쉬망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메쉬부는 복수 개의 메쉬망들이 소결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의 외부에서 내부로 위치하는 메쉬망일수록 메시의 값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가 회동가능하게 하부하우징에 연결되어 필터엘리먼트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개폐하므로, 필터엘리먼트의 세척, 수리,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에 돌기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회동시 고정돌기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커버를 하부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상기 커버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회동축(연결핀)이 하부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동방향으로 형성된 돌기관통공의 장경을 줄일 수 있어, 상기 돌기관통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엘리먼트의 삽입돌기가 하부하우징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엘리먼트가 상기 필터바디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므로,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고 선박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엘리먼트의 상면에 연결된 완충부가 커버의 하면을 탄성가압하여 충격을 흡수하므로, 선박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메쉬부가 서로 다른 메쉬를 가지는 메쉬망이 소결접합되어 형성되므로, 강도가 뛰어나고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엘리먼트의 최외측을 형성하는 외측메쉬망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한 가로재의 상측에 상기 가로재와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한 세로재가 연결되고, 상기 가로재와 세로재는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메쉬망의 공극률을 최대로 하면서도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필터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필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필터엘리먼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필터엘리먼트의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 커버를 개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필터 모듈을 이용하여 바다에서 채취된 아이언 샌드(iron sand) 등의 슬러리를 선박의 저장탱크에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필터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필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필터엘리먼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필터엘리먼트의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 커버를 개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필터 모듈을 이용하여 바다에서 채취된 아이언 샌드(iron sand) 등의 슬러리를 선박의 저장탱크에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을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배수 필터 모듈(100)은 하부하우징(11)과 커버(1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형성되는 필터바디(1)와, 상기 필터바디(1) 내부의 수용공간(200)에 위치하여 슬러리에 함유된 물이 통과하여 빠져나가도록 하는 필터엘리먼트(2)와, 상기 하부하우징(11)과 커버(12)의 접합면에 위치하여 수밀시키는 패킹부재(3)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12)를 상기 하부하우징(11)에서 회동시켜 상기 수용공간(200)을 개방하므로 필터엘리먼트(2)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리는 아이언 샌드 등의 광물에 물이 혼합된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필터바디(1)는 하부하우징(11)과 커버(1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형성되어 상기 배수 필터 모듈(100)의 외부 골격프레임을 형성하며, 내부에 후술할 필터엘리먼트(2)가 위치하는 수용공간(200)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부하우징(11), 커버(12), 회동연결부(13), 커버고정부(14)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하우징(11)은 상기 필터엘리먼트(2)를 수용하며 상기 커버(12)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으로, 상기 필터엘리먼트(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하판(111)과 상기 하판(111)의 테두리를 수직으로 에워싸는 측판(112)을 포함하는 입체적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하부하우징(11)은 하판(111)에 관통형성되어 필터엘리먼트(2)에서 분리된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부(113)와, 하판(111)에 함입 형성되어 상기 필터엘리먼트(2)의 삽입돌기(221)가 삽입되는 삽입홈(114)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12)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200)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다수 개의 타공(121a)이 형성된 장방형의 상판(121)과 상기 상판(121)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판(122)과 상기 측판(122)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판(123)을 포함하는 입체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커버(12)는 하판(123)에 관통형성되어 후술할 커버고정부(14)의 고정돌기(141)가 관통하는 돌기관통공(124)과, 측판(122)의 외측에 결합된 핸들(125)을 포함한다.
상기 돌기관통공(124)은 하판(123)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커버고정부(14)의 고정돌기(141)가 관통하는 구성으로, 상기 커버(12)를 상기 하부하우징(11)에서 회동시켜 상기 수용공간(200)을 개방할 때 상기 돌기관통공(124)의 내벽이 상기 고정돌기(141)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회동방향의 직경(h1)이 회동 수직방향의 직경(h2)보다 긴 타원형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하부하우징(11) 및 커버(12)는 모두 적재된 슬러리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을 갖도록 강성을 갖는 강재(특히, 수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청기능을 포함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 등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커버(12)를 상기 하부하우징(11)에서 회동시켜 상기 수용공간(200)을 개방할 때, 상기 커버(12)에 관통형성된 상기 돌기관통공(124)은 이동하여 후술할 고정돌기(141)는 상기 돌기관통공(124)에서 이탈하는데, 이 과정을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상기 커버(12)가 상기 하부하우징(11)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돌기고정부(142)를 상기 고정돌기(141)에 제거하면 상기 커버(12)는 후술할 연결핀(133)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해진다. 이후, 도 7의 (b)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돌기관통공(124)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고정돌기(141)는 상기 돌기관통공(124)에서 이탈되게 되고, 계속하여 상기 커버(12)를 완전히 회동시켜면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41)는 상기 돌기관통공(124)에서 완전히 이탈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00)이 개방된 상태에서 위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상기 커버(12)를 상기 하부하우징(11)에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회동연결부(13)는 상기 하부하우징(11)과 커버(12)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제1연결판(131), 제2연결판(132), 연결핀(133), 핀고정부(13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판(131)은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측판(112)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핀(133)이 삽입되는 중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판(132)은 상기 커버(12)의 측판(112)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제1연결판(13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핀(133)이 삽입되는 중공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핀(133)은 상기 제1연결판(131)과 제2연결판(132)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12)의 회동시 회동축으로 작용한다.
상기 핀고정부(134)는 상기 연결핀(133)의 말단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핀(133)이 상기 제1연결판(131)과 제2연결판(132)의 중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핀공정부(134)는 예컨대 너트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연결핀(133)의 말단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핀고정부(134)와 상기 연결핀(133)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고정부(14)는 상기 하부하우징(11)과 커버(12)가 밀착하여 상기 커버(12)가 상기 수용공간(200)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고정돌기(141), 돌기고정부(142) 등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141)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하판(111) 내면에 열결되어 상기 커버(12)의 돌기관통공(124)을 관통하는 구성으로, 상기 돌기관통공(124)에서 돌출된 고정돌기(141)의 말단에는 상기 돌기고정부(142)가 결합하여 상기 하부하우징(11)과 커버(12)가 밀착된 상태로 고정한다. 상기 돌기고정부(142)는 예컨대 캡너트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고정돌기(141)의 말단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고정부(142)와 상기 고정돌기(141)는 나사결합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의 회동축(연결핀(133))이 하부하우징(1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축이 하측에 위치하는 것보다 상기 필터엘리먼트(2)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200)의 개방시 상기 커버(12)의 회동시 상기 돌기관통공(125) 내벽과 상기 고정돌기(141)의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상기 커버(12)의 돌기관통공(125)의 회동방향의 직경(h1)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엘리먼트(2)는 상기 필터바디(1)의 수용공간(200)에 위치하여 슬러리에 함유된 물이 통과하여 빠져나가도록 하는 구성으로, 메쉬망이 차례로 적층연결된 필터부(21)와, 상기 필터부(21)의 테두리에 결합하여 상기 필터엘리먼트(2)의 외형을 형성하는 플렌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21)는 복수 개의 메쉬망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미세크기의 구멍을 가지는 메쉬망들이 소결결합하여 형성되는 메인메쉬부(211)와, 상기 메인메쉬부(21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메인메쉬부(211)를 이루는 메쉬망보다 더 큰 구멍을 가지는 보호메쉬망(212)과, 상기 보호메쉬망(212)의 외측에 각각 결합하며 상기 메인메쉬망(211)보다 더 큰 구멍을 가지는 외측메쉬망(213)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21)는 복수 개의 메쉬망이 차례로 적층되는데, 중앙에 위치하는 메쉬망일수록 메쉬가 큰 값(즉, 많은 구멍이 형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메인메쉬부(211)는 상기 보호메쉬망(212) 사이에 위치하여 물이 아닌 입자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미세의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상기 필터엘리먼트(2)에서 실질적으로 슬러리에 포함된 물만이 통과하여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메인메쉬부(211)는 메쉬망들이 복수 개가 결합되어 형성되는데, 예컨대 400micron의 구멍크기를 가지는 메쉬망(211a) 사이에 150micron의 구멍크기를 가지는 메쉬망(211b)을 위치시키고 노(furnace)에 삽입하여 상기 메쉬망들을 소결결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메쉬부(211)는 서로 다른 메쉬를 가지는 메쉬망이 소결접합되어 형성되므로, 강도가 뛰어나고 취급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보호메쉬망(212)은 상기 메인메쉬부(21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메인메쉬부(211)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가로재(212a)와 세로재(212b)가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보호메쉬망(212)는 예컨데 2400micron의 구멍크기를 가지며 용접에 의해 상기 메인메쉬부(211)에 결합한다.
상기 외측메쉬망(213)은 상기 보호메쉬망(212)의 외측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필터엘리먼트(2)의 상,하면을 이루는 구성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한 가로재(213a)와, 상기 가로재(213a)의 상측에 상기 가로재(213a)와 수직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한 세로재(213b)가 연결(용접)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로재(213a)와 세로재(213b)의 형상을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위로 갈수록 폭(h3)이 좁아지는 형태(예컨대, 단면이 사다리꼴을 가짐)를 가진다. 상기 가로재(213a)와 세로재(213b)는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h1)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로재(213a)와 세로재(213b) 각각은 강한 강도를 가지고, 상기 가로재(213a)와 세로재(213b)는 격자형태로 용접되어 외측메쉬망(213)을 형성하므로, 금속판에 구멍을 형성하는 것보다 상기 외측메쉬망(213)에 구멍을 많이 형성할 수 있어 공극률을 최대로 하면서도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용접 면적을 최소화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금속판에 구멍을 타공하여 외측메쉬망을 만드는 경우, 상기 외측메쉬망이 일정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구멍을 에워싸는 살의 폭을 두껍게 할 수밖에 없어 타공하여 외측메쉬망을 만드는 경우 공극률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 플렌지부(22)는 상기 필터부(21)의 테두리에 결합하여 상기 필터엘리먼트(2)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11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21)와,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커버(12)의 하면을 탄성가압하는 완충부(222)와, 상면에 결합하는 핸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돌기(221)는 상기 플렌지부(22)의 하면에 돌출하여 상기 삽입홈(114)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필터엘리먼트(2)의 삽입돌기(221)가 하부하우징(11)의 삽입홈(114)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엘리먼트(2)가 상기 필터 바디의 수용공간(200)에 위치하므로 상기 필터엘리먼트(2)의 위치설정이 용이하고 선박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상기 필터엘리먼트(2)의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22)는 상기 플렌지부(22)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12)의 하면을 탄성가압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으로, 몸체부(224), 삽입봉(225), 스프링(226)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24)는 상측이 관통형성된 중공을 포함하여 상기 삽입봉(225), 스프링(226)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부(224)의 말단에서 상기 몸체부(224)의 내주면을 따라 절곡형성되는 절곡턱(224a)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봉(225)은 상기 몸체부(224)의 중공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몸체부(224)의 외부로 돌출되며 후술할 스프링(226)의 탄성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며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구성으로,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턱(225a)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봉(225)의 최대 상승시 상기 돌출턱(225a)의 상면이 상기 절곡턱(224a)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삽입봉(225)이 상기 몸체부(224)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스프링(226)은 상기 삽입봉(225)을 에워싸며 상기 몸체부(224)의 하단과 돌출턱(225a)의 하면을 탄성가압한다. 상기 완충부(222)는 상기 커버(12)의 하면을 탄성가압하여 충격을 흡수하므로, 선박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상기 필터엘리먼트(2)의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필터엘리먼트(2)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패킹부재(3)는 상기 하부하우징(11)과 커버(12)의 접합면에 위치하여 수밀시키는 구성으로, 중앙 부근에 관통형성되어 필터엘리먼트(2)에서 분리된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부(31)와, 테부리 부근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커버고정부(14)의 고정돌기(141)가 관통하는 고정돌기관통공(32) 및 상기 삽입돌기(221)가 관통하는 삽입돌기관통공(3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배수 필터 모듈(100)에서 필터를 교체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필터 모듈(100)은 상기 저장탱크(300)의 측면 또는/및 하면에 설치되는데, 도 1과 같이 커버(12)가 상기 하부하우징(11)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고정부(142)를 상기 고정돌기(141)에 제거하고, 상기 핸들(126)을 들어올리면 도 7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는 연결핀(13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공간(200)은 개방되게 되어, 상기 필터엘리먼트(2)를 상기 수용공간(200)에서 탈거하여 수리 또는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후, 수리 또는 세척이 된 필터엘리먼트(2)를 상기 수용공간(200)에 삽입하고 삽입돌기(221)를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삽입홈(114)에 삽입하여 상기 필터엘리먼트(2)를 수용공간(200)에 정위치시키고, 연결핀(133)을 중심으로 하여 커버(12)를 하부하우징(11) 방항으로 회동시켜 상기 커버(12)와 하부하우징(11)을 밀착시킨 다음, 상기 고정돌기(141)에 돌기고정부(142)를 결합하여 상기 커버(12)가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12)와 하부하우징(11)을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배수 필터 모듈(100)은 커버(12)가 회동가능하게 하부하우징(11)에 연결되어 필터엘리먼트(2)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00)을 개폐하므로, 필터엘리먼트(2)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필터바디 2: 필터엘리먼트 3: 패킹부재 11: 하부하우징
12: 커버 13: 회동연결부 14: 커버고정부 21: 필터부
22: 플렌지부 31: 관통부 32: 고정돌기관통공 33: 삽입돌기관통공
111: 하판 112: 측판 113: 관통부 114: 삽입홈
121: 상판 122: 측판 123: 하판 124: 배출공
125: 돌기관통공 126: 핸들 131: 제1연결판 132: 제2연결판
133: 핀 134: 핀고정부 141: 고정돌기 142: 돌기고정부
211: 메인메쉬부 212: 보호메쉬부 213: 외측메쉬부 221: 삽입돌기
222: 완충부 224: 몸체부 225: 삽입봉 226: 스프링

Claims (11)

  1. 삭제
  2. 선박의 저장탱크의 하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물과 광물이 혼합된 슬러리에서 물을 제거하는 배수 필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배수 필터 모듈은 커버와 하부하우징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형성되는 필터바디와, 상기 커버의 상판과 하부하우징의 하판에 의해 상기 필터바디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여 슬러리에 함유된 물이 통과하여 빠져나가도록 하는 필터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선박의 저장탱크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판에 관통형성된 다수 개의 타공으로 유입된 슬러리에서 물을 분리하여 상기 하판에 관통형성된 관통부를 통해 배출시키고,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하부하우징과 커버를 밀착시키는 커버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고정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일 측에 관통형성된 돌기관통공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돌기관통공에서 돌출된 고정돌기의 말단에 결합하여 상기 커버의 회동을 방지하는 돌기고정부를 포함하여 선박이 진동할 때에도 상기 수용공간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하부하우징과 커버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하부하우징에서 회동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므로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관통공은 회동방향의 직경이 회동 수직방향의 직경보다 길어 상기 커버를 회동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돌기관통공의 내벽이 상기 고정돌기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회동축이 하부하우징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의 회동시 상기 돌기관통공의 내벽과 상기 고정돌기의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상기 커버의 돌기관통공의 회동방향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연결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일 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연결되며 중공을 포함하는 제1연결판과, 상기 커버의 일 측에 연결되어 한 쌍의 제1연결판 사이에 위치하며 중공을 포함하는 제2연결판과, 상기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회동시 회동축으로 작용하는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의 말단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핀이 상기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의 중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엘리먼트는 일 측에 돌출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일 측에 함입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삽입돌기를 상기 하부하우징의 삽입홈에 삽입하여 상기 필터엘리먼트를 상기 수용공간에 정 위치시킬 수 있고 선박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상기 필터엘리먼트의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엘리먼트는 일 측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의 하면을 탄성가압하는 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측이 관통형성된 중공과 말단에서 내주면을 따라 절곡형성되는 절곡턱을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공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을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봉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몸체부의 중공에 위치하는 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말단은 상기 돌출턱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이 수축 또는 이완함에 따라 상기 삽입봉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엘리먼트는 복수개의 메쉬망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필터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각각 상기 필터부의 상하면을 형성하는 외측메쉬망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메쉬망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한 가로재와, 상기 가로재의 상측에 상기 가로재와 수직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한 세로재가 용접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로재와 세로재는 서로 용접되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물이 아닌 입자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미세의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메인메쉬부와, 상기 메인메쉬부의 상하측에 각각 격합되는 보호메쉬망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외측메쉬망은 상기 보호메쉬망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메쉬부는 복수 개의 메쉬망들이 소결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의 외부에서 내부로 위치하는 메쉬망일수록 메시의 값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KR1020130028843A 2013-03-18 2013-03-18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KR10141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843A KR101416825B1 (ko) 2013-03-18 2013-03-18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843A KR101416825B1 (ko) 2013-03-18 2013-03-18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825B1 true KR101416825B1 (ko) 2014-07-09

Family

ID=5174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843A KR101416825B1 (ko) 2013-03-18 2013-03-18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8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100A (zh) * 2018-04-04 2018-09-07 重庆交通大学 一种利用波浪能的机械式船用甲板快速排水装置
KR102090427B1 (ko) * 2019-07-25 2020-03-17 최창수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CN117160097A (zh) * 2023-11-03 2023-12-05 普沃(天津)科技有限公司 高压清洗机杂质分离组件及具有该分离组件的喷头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320A (ko) * 2008-10-28 2008-11-17 이동근 박스형 오일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를 고정시키는 여과지 고정틀
JP2009213984A (ja) 2008-03-07 2009-09-24 Sumitomo Electric Ind Ltd 濾過用分離膜モジュール及び該分離膜モジュールを用いた濾過装置
KR100930299B1 (ko) * 2009-07-01 2009-12-08 이근착 광산폐수 여과장치
KR20110041776A (ko) * 2009-10-16 2011-04-22 김원주 교량용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984A (ja) 2008-03-07 2009-09-24 Sumitomo Electric Ind Ltd 濾過用分離膜モジュール及び該分離膜モジュールを用いた濾過装置
KR20080100320A (ko) * 2008-10-28 2008-11-17 이동근 박스형 오일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를 고정시키는 여과지 고정틀
KR100930299B1 (ko) * 2009-07-01 2009-12-08 이근착 광산폐수 여과장치
KR20110041776A (ko) * 2009-10-16 2011-04-22 김원주 교량용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100A (zh) * 2018-04-04 2018-09-07 重庆交通大学 一种利用波浪能的机械式船用甲板快速排水装置
CN108502100B (zh) * 2018-04-04 2024-01-09 重庆交通大学 一种利用波浪能的机械式船用甲板快速排水装置
KR102090427B1 (ko) * 2019-07-25 2020-03-17 최창수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CN117160097A (zh) * 2023-11-03 2023-12-05 普沃(天津)科技有限公司 高压清洗机杂质分离组件及具有该分离组件的喷头系统
CN117160097B (zh) * 2023-11-03 2024-01-19 普沃(天津)科技有限公司 高压清洗机杂质分离组件及具有该分离组件的喷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825B1 (ko)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WO2016204117A1 (ja) サクションストレーナ
CA2361199A1 (en) Container filter box for de-watering solids
CA2638921A1 (en) Filter assembly
CN109778995A (zh) 一种易清理的市政工程排水井结构
JP5466585B2 (ja) 雨水ます用フィルター
KR101416831B1 (ko) 필터엘리먼트의 정위치 고정이 가능한 배수 필터 모듈
KR101416829B1 (ko) 필터엘리먼트의 정위치 고정이 가능한 배수 필터 모듈
KR101024536B1 (ko)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KR100914070B1 (ko) 우수통
JP3127237U (ja) 海水こし器
KR101181798B1 (ko) 필터 하우징
CN205802096U (zh) 一种混凝土搅拌站骨料仓
CN108786234A (zh) 便于滤芯更换和维修清洗的过滤器
JP2015039759A5 (ko)
CN207986840U (zh) 一种社区用移动式污水处理装置
CN205815237U (zh) 浓磷酸脱色过滤器
CN203209160U (zh) 一种便于清理的高磁过滤器
CN208379737U (zh) 一种排水路面
CN210021337U (zh) 一种化工泵用过滤装置
CN106215482B (zh) 一种海水滤器
CN207099193U (zh) 一种监控摄像装置
JP3146355U (ja) フィルター芯の固定装置
CN220968236U (zh) 一种可过滤易清理的湿式固态物收集装置
CN214608719U (zh) 一种污水检测用样本暂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