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427B1 -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427B1
KR102090427B1 KR1020190090222A KR20190090222A KR102090427B1 KR 102090427 B1 KR102090427 B1 KR 102090427B1 KR 1020190090222 A KR1020190090222 A KR 1020190090222A KR 20190090222 A KR20190090222 A KR 20190090222A KR 102090427 B1 KR102090427 B1 KR 10209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inage unit
reservoir
discharge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수
Original Assignee
최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수 filed Critical 최창수
Priority to KR102019009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5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househol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절수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구동과정 또는 샤워시설의 이용과정에서 배출되는 기 사용된 수자원을 생활용수 등으로 재활용 가능한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생활용수는 변기에 사용되는 생활용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Dewatering facilities including multiple water tanks}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절수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구동과정 또는 샤워시설의 이용과정에서 배출되는 기 사용된 수자원을 생활용수 등으로 재활용 가능한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생활용수는 변기에 사용되는 생활용수를 포함한다.
종래 세탁기의 구동과정 또는 사워시설의 이용과정에서 배출되는 기 사용된 수자원은 주거시설에 구비된 하수관 또는 오수관 등을 통하여 주거시설 외부로 유도되어 외부시설에서 정화과정을 거쳐 최종 배출되거나, 재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변기에 사용되는 물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깨끗하게 정화된 수돗물이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용변 후에 플러싱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이 요구되는 물의 용도를 고려하였을 경우 불필요하게 깨끗한 물을 사용하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세탁기의 구동과정에서 배출되는 비교적 오염도가 낮은 기 사용된 수자원(이하, '이용수'라 한다) 및 샤워시설의 이용과정에서 배출되는 비교적 오염도가 낮은 이용수는 그대로 주거시설의 외부로 배출하면서, 변기 등에 사용되는 플러싱 용도의 수자원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정도의 깨끗한 물을 사용함에 따른 수자원의 비효율적인 활용 및 수자원 자체의 낭비가 상당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가정용 또는 상업용으로 이용되는 수자원을 최적의 효율성을 가지도록 활용하며, 이용되는 수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가정에 적용가능한 컴팩트한 중수도설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6554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가정용 또는 상업용으로 이용되는 수자원을 최적의 효율성을 가지도록 활용하며, 이용되는 수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는 정수된 수자원을 이용하고 이용수를 배출하는 제1배수유닛, 제1배수유닛 외에 정수된 수자원을 이용하고 이용수를 배출하는 제2배수유닛, 제1배수유닛 또는 제2배수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용수를 전달받아 이를 활용하는 제3배수유닛 및 상기 제3배수유닛에 결합가능한 제3저수조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배수유닛 및 상기 제2배수유닛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3저수조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유닛 및 상기 제2배수유닛은 각각 제1저수조 또는 제2저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유닛은 세탁시설인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1배수유닛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는 세탁시설에서 배출되는 세탁물을 헹군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저수조는 상기 제1배수유닛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를 저수하고, 상기 제1저수조 내측에 저수되는 액체의 오염도를 판단 후 오염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1배수유닛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1저수조로 저수되는 것을 이용자가 수동으로 차단하거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유닛은 샤워시설인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2저수조는 상기 제2배수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저수조 일면 전체에 배열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형상의 지압부 및 상기 제2저수조 일면 중앙에 배치된 1개의 유입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저수조는 상기 제2배수유닛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를 저수하고, 상기 제2저수조 내측에 저수되는 액체의 오염도를 판단 후 오염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2배수유닛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2저수조로 저수되는 것을 이용자가 수동으로 차단하거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3배수유닛은 변기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배수유닛은 상기 제1배수유닛 또는 상기 제2배수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를 저수하고, 이용수가 소정의 수위 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1배수유닛 또는 상기 제2배수유닛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3배수유닛의 제3저수조로 저수되는 것을 이용자가 수동 또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상기 제3배수유닛의 설비상의 특징에 따라 제3저수조에서 자동 유수(Flushing)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정에서 사용되고 버려지는 수자원을 간소화된 장치를 재활용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가정용 또는 상업용으로 이용되는 수자원을 최적의 효율성을 가지도록 활용하며, 이용되는 수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의 제1배수유닛 내지 제3배수유닛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의 제1저수조 내지 제3저수조를 포함하는 배수유닛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저수조 상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세탁기의 구동과정 또는 사워시설의 이용과정에서 배출되는 기 사용된 수자원은 주거시설에 구비된 하수관 또는 오수관 등을 통하여 주거시설 외부로 유도되어 외부시설에서 정화과정을 거쳐 최종 배출되거나, 재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변기에 사용되는 물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깨끗하게 정화된 수돗물이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용변 후에 플러싱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이 요구되는 물의 용도를 고려하였을 경우 불필요하게 깨끗한 물을 사용하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세탁기의 구동과정에서 배출되는 비교적 오염도가 낮은 기 사용된 수자원(이하, '이용수'라 한다) 및 샤워시설의 이용과정에서 배출되는 비교적 오염도가 낮은 이용수는 그대로 주거시설의 외부로 배출하면서, 변기 등에 사용되는 플러싱 용도의 수자원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정도의 깨끗한 물을 사용함에 따른 수자원의 비효율적인 활용 및 수자원 자체의 낭비가 상당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가정용 또는 상업용으로 이용되는 수자원을 최적의 효율성을 가지도록 활용하며, 이용되는 수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가정에 적용가능한 컴팩트한 중수도설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절수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구동과정 또는 샤워시설의 이용과정에서 배출되는 기 사용된 수자원을 생활용수 등으로 재활용 가능한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생활용수는 변기에 사용되는 생활용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의 제1배수유닛 내지 제3배수유닛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의 제1저수조 내지 제3저수조를 포함하는 배수유닛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정수된 수자원을 이용하고 이용수를 배출하는 제1배수유닛(100), 제1배수유닛(100) 외에 정수된 수자원을 이용하고 이용수를 배출하는 제2배수유닛(200), 제1배수유닛(100) 또는 제2배수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이용수를 전달받아 이를 활용하는 제3배수유닛(300) 및 상기 제3배수유닛(300)에 결합가능한 제3저수조(31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배수유닛(100) 및 상기 제2배수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3저수조(310)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의 구체적인 형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수유닛(100) 및 상기 제2배수유닛(200)은,
각각 제1저수조(110) 또는 제2저수조(21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1저수조(110) 또는 제2저수조(210)는 상기 제1배수유닛(100) 및 상기 제2배수유닛(200)의 각각 하부에 위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중력에 따른 자연스러운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제1배수유닛(100) 및 상기 제2배수유닛(200)으로부터 각각 제1저수조(110) 또는 제2저수조(210)로 유체(수자원)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배수유닛(100)은 세탁시설 또는 세탁기 등 중 하나인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1배수유닛(1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는 세탁시설에서 배출되는 세탁물을 헹군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배수유닛(1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지나치게 오염된 물인 경우에는 재활용되는 제3배수유닛(300)에 대한 2차 오염 등이 문제될 수 있으므로, 소정의 오염도를 판단하여 제3배수유닛(300)으로의 전달을 판단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저수조(110)는 상기 제1배수유닛(1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를 저수하고, 상기 제1저수조(110) 내측에 저수되는 액체의 오염도를 판단 후 오염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1배수유닛(1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1저수조(110)로 저수되는 것을 이용자가 수동으로 차단하거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배수유닛(200)은 샤워시설인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2저수조(210)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저수조(210) 일면 전체에 배열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형상의 지압부(211) 및 상기 제2저수조(210) 일면 중앙에 배치된 1개의 유입구(21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212)로 유체가 인입되는 입구에는 메쉬 형상 등의 거름망 구조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유입구(212)를 좌우로 회전시키며, 샤워 후 배출되는 이용수의 오염도에 따라 각각 하수관으로 배출하거나 제3저수조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저수조(210)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를 저수하고, 상기 제2저수조(210) 내측에 저수되는 액체의 오염도를 판단 후 오염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2저수조(210)로 저수되는 것을 이용자가 수동으로 차단하거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3배수유닛(300)은 변기인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3배수유닛(300)은 상기 제1배수유닛(100) 또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를 저수하고, 이용수가 소정의 수위 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1배수유닛(100) 또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3배수유닛(300)의 제3저수조(310)로 저수되는 것을 이용자가 수동 또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상기 제3배수유닛(300)의 설비상의 특징에 따라 제3저수조(310)에서 자동 유수(Flushing)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저수조 상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술한 제2저수조(2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은 샤워시설인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2저수조(210)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저수조(210) 일면 전체에 배열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형상의 지압부(211) 및 상기 제2저수조(210) 일면 중앙에 배치된 1개의 유입구(21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212)로 유체가 인입되는 입구에는 메쉬 형상 등의 거름망 구조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유입구(212)를 좌우로 회전시키며, 샤워 후 배출되는 이용수의 오염도에 따라 각각 하수관으로 배출하거나 제3저수조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저수조(210)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를 저수하고, 상기 제2저수조(210) 내측에 저수되는 액체의 오염도를 판단 후 오염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2저수조(210)로 저수되는 것을 이용자가 수동으로 차단하거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배수유닛(100), 제2배수유닛(200), 제3배수유닛(300) 중 적어도 하나는 오염된 물을 정화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제1배수유닛(100) 내지 제3배수유닛(300) 각각에 포함되는 제1저수조(110) 내지 제3저수조(310)의 이용수 유입부측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각각의 저수조로 유입되는 이용수의 오염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필터링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필터는 오염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를 통해 오염물의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일 경우 이용수가 필터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의 변경을 동반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는 다른 장치에서 사용하던 필터를 재활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는 기존에 사용중인 정수기의 정수기필터의 수명이 다 될 경우, 수명이 다 된 정수기필터를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2저수조(210)의 상기 유입구(212)는 3단계 이상의 높이 제어를 통해 상기 유입구(212)를 통과하여 상기 제2저수조(210)로 저장되는 이용수의 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입구(212)의 돌출높이가 최고점에 설정된 경우는 상기 유입구(212)를 통과하여 상기 제2저수조(210)로 저장되는 이용수의 양이 최대치가 되며, 상기 유입구(212)의 돌출높이가 최저점에 설정된 경우는 상기 유입구(212)를 통과하여 상기 제2저수조(210)로 저장되는 이용수의 양이 최소치 또는 저장되는 이용수의 양이 없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입구(212)의 돌출높이 최고점 및 최저점 사이에 별도의 지점을 설정하여 상기 유입구(212)를 통과하여 상기 제2저수조(210)로 저장되는 이용수의 양을 개별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용자가 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유입구(212)를 적정압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유입구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유입구(212)는 스프링을 이용한 반자동 높이 조절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을 이용한 반자동 높이 조절구성 외에 이용자가 손 등을 이용하여 상기 유입구(212)를 좌우로 회전시키며 높이를 제어가능한 스크류 구성을 포함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제1배수유닛
110 : 제1저수조
120 : 제1배수유로
200 : 제2배수유닛
210 : 제2저수조
211 : 지압부
212 : 유입구
220 : 제2배수유로
300 : 제3배수유닛
310 : 제3배수조
320 : 제3배수유로
400 : 펌프

Claims (10)

  1. 정수된 수자원을 이용하고 세탁물을 헹군 이용수를 배출하며 하부측에 제1저수조(110)를 포함하는 세탁시설인 제1배수유닛(100);
    제1배수유닛(100) 외에 정수된 수자원을 이용하고 이용수를 배출하며 하부측에 제2저수조(210)를 포함하는 샤워시설에 해당하 제2배수유닛(200);
    상기 제1배수유닛(100) 또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배출되는 이용수가 저장되고 활용되는 제3저수조(310)가 상부측에 포함되는 변기인 제3배수유닛(3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저수조(110)는,
    상기 제1배수유닛(1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를 저수하고, 상기 제1저수조(110) 내측에 저수되는 액체의 오염도를 판단 후 오염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1배수유닛(1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1저수조(110)로 저수되는 것을 이용자가 수동으로 차단하거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이고,
    상기 제2저수조(210)에는,
    상기 제2저수조(210) 일면 전체에 배열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형상의 지압부(211) 및 상기 제2저수조(210) 일면 중앙에 배치되어 메쉬 형상과 같은 거름망 구조로 이루어져서 좌, 우 회전으로 이용수의 오염도에 따라 선택제어가 가능한 1개의 유입구(212)를 포함하되, 가압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상기 유입구(212)의 돌출높이가 최고점에 설정된 경우는 상기 유입구(212)를 통과하여 상기 제2저수조(210)로 저장되는 이용수의 양이 최대치가 되며, 상기 유입구(212)의 돌출높이가 최저점에 설정된 경우는 상기 유입구(212)를 통과하여 상기 제2저수조(210)로 저장되는 이용수의 양이 최소치 또는 저장되는 이용수의 양이 없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3배수유닛(300)은,
    상기 제1배수유닛(100) 또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를 저수하고, 이용수가 소정의 수위 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1배수유닛(100) 또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3배수유닛(300)의 제3저수조(310)로 저수되는 것을 이용자가 수동 또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상기 제3배수유닛(300)의 설비상의 특징에 따라 제3저수조(310)에서 자동 유수(Flush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수조(210)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를 저수하고, 상기 제2저수조(210) 내측에 저수되는 액체의 오염도를 판단 후 오염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제2배수유닛(200)에서 배출되는 이용수가 상기 제2저수조(210)로 저수되는 것을 이용자가 수동으로 차단하거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90222A 2019-07-25 2019-07-25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KR10209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222A KR102090427B1 (ko) 2019-07-25 2019-07-25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222A KR102090427B1 (ko) 2019-07-25 2019-07-25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427B1 true KR102090427B1 (ko) 2020-03-17

Family

ID=7000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222A KR102090427B1 (ko) 2019-07-25 2019-07-25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427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035U (ko) * 1990-03-15 1991-12-04
JPH10204942A (ja) * 1997-01-21 1998-08-04 Jiyunko Yamagami 風呂の残り水の再利用装置
KR20010002257A (ko) * 1999-06-14 2001-01-15 임창희 가정용 생활용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20020022906A (ko) * 2000-09-21 2002-03-28 오천수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KR200280007Y1 (ko) * 2002-03-29 2002-07-02 한건희 중수 재활용 장치
JP2002266401A (ja) * 2001-03-06 2002-09-18 Nippon Soda Co Ltd 排水口用ゴミ取り具
KR101276554B1 (ko) 2012-12-28 2013-06-24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녹색 건축물에 적용되는 중수도 설치를 위한 수처리 시스템
KR101416825B1 (ko) * 2013-03-18 2014-07-09 주식회사 파나시아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KR101506534B1 (ko) * 2013-10-21 2015-04-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수구 조립체
KR20170000741U (ko) * 2015-08-19 2017-03-02 이영호 싱크대 배수구커버
KR101993194B1 (ko) * 2018-12-21 2019-06-27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035U (ko) * 1990-03-15 1991-12-04
JPH10204942A (ja) * 1997-01-21 1998-08-04 Jiyunko Yamagami 風呂の残り水の再利用装置
KR20010002257A (ko) * 1999-06-14 2001-01-15 임창희 가정용 생활용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20020022906A (ko) * 2000-09-21 2002-03-28 오천수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JP2002266401A (ja) * 2001-03-06 2002-09-18 Nippon Soda Co Ltd 排水口用ゴミ取り具
KR200280007Y1 (ko) * 2002-03-29 2002-07-02 한건희 중수 재활용 장치
KR101276554B1 (ko) 2012-12-28 2013-06-24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녹색 건축물에 적용되는 중수도 설치를 위한 수처리 시스템
KR101416825B1 (ko) * 2013-03-18 2014-07-09 주식회사 파나시아 회동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배수 필터 모듈
KR101506534B1 (ko) * 2013-10-21 2015-04-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수구 조립체
KR20170000741U (ko) * 2015-08-19 2017-03-02 이영호 싱크대 배수구커버
KR101993194B1 (ko) * 2018-12-21 2019-06-27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17035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8143B1 (ja) 生活用水の再使用システム
KR101671511B1 (ko) 공용시설의 절수시스템
KR102090427B1 (ko)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JP2002035763A (ja) 汚水浄化槽の再利用方法及び生活排水等の再利用装置
JP2000117240A (ja) 中水供給装置
KR101593009B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
EP3649088B1 (en) Grey water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of treating grey water
JPH1057941A (ja) 排水再利用装置
KR100296408B1 (ko) 세면대의오수재활용장치_
KR100670930B1 (ko) 재활용수 저장 양변기 시스템
KR200317206Y1 (ko) 정수 및 재활용수 사용기능이 구비된 싱크대
KR101756906B1 (ko) 절수형 변기
KR102541113B1 (ko) 샤워수 재활용 공급장치
WO2014202975A2 (en) Water recycling device
KR20080097548A (ko) 세면수 재활용 세면대 구조
KR100274537B1 (ko) 허드렛물을 이용하는 수세식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200247255Y1 (ko) 세면기의 허드렛물을 세척수로 사용하는 양변기
KR200172008Y1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KR20140007634A (ko) 분리배수를 이용한 친환경 생활하수 정화시스템
KR200240998Y1 (ko) 가정용 오수재생장치
KR200349313Y1 (ko) 오수재활용시스템
KR20010020980A (ko) 용수 재활용 겸용 양변기장치
JP2000319956A (ja) 風呂の排水再利用方法とその装置
KR200301118Y1 (ko) 양변기용 급수장치
KR200370850Y1 (ko) 절수장치가 부착된 싱크대용 필터 및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