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194B1 -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194B1
KR101993194B1 KR1020180166862A KR20180166862A KR101993194B1 KR 101993194 B1 KR101993194 B1 KR 101993194B1 KR 1020180166862 A KR1020180166862 A KR 1020180166862A KR 20180166862 A KR20180166862 A KR 20180166862A KR 101993194 B1 KR101993194 B1 KR 10199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ugh
building
gutter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166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76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snow, ice or debris from gutters or for preventing accumulation thereof
    • E04D13/0765Clean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645Connections between gutter and down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76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snow, ice or debris from gutters or for preventing accumulation thereof
    • E04D13/0767Strainers at connection between gutter and down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6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66Access opening for cleaning; Devices for avoiding cumulation of deb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된 빗물 배수장치에 각종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여 건축물의 지붕으로 떨어지는 빗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인 특징은 건축물의 지붕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홈통과, 상기 홈통의 길이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수직통과, 상기 수직통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출통으로 형성되는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통은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벽체의 이미 설정한 부위에 볼트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판과, 상기 홈통의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공을 포함하고, 상기 홈통의 일측에는 홈통의 내측에 쌓이는 오물을 수직통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홈통의 길이방향 일단과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홈통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와 이격되도록 건축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정역모터와 회전롤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벨트와, 상기 연결벨트에 결합되는 연결장치와, 상기 연결장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에 관통 결합되어 홈통의 내측에서 이동되게 설치되는 이동고리와, 상기 정역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모터로 전원을 인가하고, 구비된 회전제어모듈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정역모터를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rainwater drainer for bridge for a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설치된 빗물 배수장치에 각종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지붕으로 떨어지는 빗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빗물 배수장치란, 건축물의 지붕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지붕으로 떨어지는 빗물을 지면으로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수장치는 대개, 건축물의 처마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며, 지붕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받을 수 있도록 'U'자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수집통과, 상기 수집통과 연결되도록 건축물에 설치되어 수집통을 통하여 수거된 빗물을 지면으로 안내하는 배출통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배수장치는 수집통의 내부로 각종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 수집통을 통한 빗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수집통과 연결된 배출통이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막힐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로 수집통에 각종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에는 배수장치 본연의 기능을 이룰 수 없음은 물론이고, 수집통에 쌓이는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배수장치가 파손되어 제 기능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빗물 배수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문헌(2)에서와 같이, 빗물이 포집되는 수집홈통이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된 빗물 배수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빗물 배수장치는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건축물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본연의 기능을 이루기 어려워 빗물 배수장치의 전체 구성을 교체하거나 재설치를 이루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수장치에 쌓이는 각종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이루기 힘든 문제가 있었으며, 사용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도 배수장치로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63209호(2015.10.20)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44031호(2012.05.0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홈통의 내측에 쌓이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사용자가 홈통으로 쌓이는 이물질을 확인하며 일일이 제거하지 않고도 홈통의 내측에 쌓이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불필요한 재설치비용 또는 유지비용의 증대없이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설치비용에 비하여 높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재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홈통과, 상기 홈통의 길이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수직통과, 상기 수직통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출통으로 형성되는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통은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벽체의 이미 설정한 부위에 볼트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판과, 상기 홈통의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공을 포함하고, 상기 홈통의 일측에는 홈통의 내측에 쌓이는 오물을 수직통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홈통의 길이방향 일단과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홈통이 설치되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와 이격되도록 건축물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정역모터와 회전롤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벨트와, 상기 연결벨트에 결합되는 연결장치와, 상기 연결장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에 관통 결합되어 홈통의 내측에서 이동되게 설치되는 이동고리와, 상기 정역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모터로 전원을 인가하고, 구비된 회전제어모듈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정역모터를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통의 길이 방향 단부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에는 오물수거통이 더 설치되며, 상기 오물수거통은 상기 걸림공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가 일단에 구비되고, 하단이 개구된 박스형의 형상으로 상기 수직통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하단에 힌지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메쉬망으로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통은 상기 수거함이 삽입된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수거함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고정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통과 수거함을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연결벨트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와 일체로 연결되며 타단에 볼트구멍이 형성된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고리는 상기 볼트구멍과 대응되는 볼트가 일단에 구비된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하단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돌기와, 상기 연결돌기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에 관통 연결되고, 단부에는 갈퀴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걸림고리가 상호 연결되게 구비된 수평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통은 상단의 길이 방향 테두리를 따라 설치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는 장형의 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타단이 상기 설치공과 대향되는 홈통의 길이 방향 일단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배출창이 형성된 상부덮개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홈통의 내측에 쌓이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홈통으로 쌓이는 이물질을 확인하며 일일이 제거하지 않고도 홈통의 내측에 쌓이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셋째, 불필요한 재설치비용 또는 유지비용의 증대없이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설치비용에 비하여 높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재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다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의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의 오물수거통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수직통에 결합 된 오물수거통을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1)의 지붕(2)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홈통(10)과, 상기 홈통(10)의 길이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수직통(20)과, 상기 수직통(20)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출통(30)으로 형성되는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통(10)은 복수개의 체결공(11a)이 형성되어 벽체의 이미 설정한 부위에 볼트(P)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판(11)과, 상기 홈통(10)의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2)을 포함하고, 상기 홈통(10)의 일측에는 홈통(10)의 내측에 쌓이는 오물을 수직통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40)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장치(40)는 상기 홈통(10)의 길이방향 일단과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홈통(10)이 설치되는 건축물(1)에 설치되는 정역모터(41)와, 상기 정역모터(41)와 이격되도록 건축물(1)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롤러(42)와, 상기 정역모터(41)와 회전롤러(42)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벨트(43)와, 상기 연결벨트(43)에 결합되는 연결장치(44)와, 상기 연결장치(4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12)에 관통 결합되어 홈통(10)의 내측에서 이동되게 설치되는 이동고리(45)와, 상기 정역모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모터(40)로 전원을 인가하고, 구비된 회전제어모듈(46a)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정역모터(41)를 회전시키는 제어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홈통(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내측에 배수공이 형성된 'U'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홈통(10)은 지붕(2)이 설치된 건축물(1)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공(11a)이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판(11)이 길이 방향의 일단에 복수개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는, 상기 홈통(10)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1)의 벽면에 타공 작업을 이루고, 타공 작업을 통하여 형성된 타공(미도시)에 상기 체결판(11)의 체결공(11a)이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위치시킨 후 볼트(P) 또는 별도의 체결핀(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홈통(10)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홈통(10)에 형성된 가이드공(12)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홈통(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지붕(2)이 설치된 건축물(1)의 벽체와 대향 되는 위치에 가이드공(1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홈통(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이송장치(40)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홈통(10)의 내측에 쌓이는 각종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송장치(4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홈통(10)의 길이방향 일단과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홈통(10)이 설치되는 건축물(1)에 설치되는 정역모터(41)와, 상기 정역모터(41)와 이격되도록 건축물(1)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롤러(42)와, 상기 정역모터(41)와 회전롤러(42)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벨트(43)와, 상기 연결벨트(43)에 결합되는 연결장치(44)와, 상기 연결장치(4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12)에 관통 결합되어 홈통(10)의 내측에서 이동되게 설치되는 이동고리(45)와, 상기 정역모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모터(40)로 전원을 인가하고, 구비된 회전제어모듈(46a)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정역모터(41)를 회전시키는 제어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역모터(41)는 상기 홈통(10)과 인접한 위치를 이루도록 홈통(10)이 설치되는 건축물(1)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며, 외부 전원을 통하여 작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정회전과 역회전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42)는 상기 정역모터(41)와 이격되도록 상기 건축물(1)의 일측에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통(10)의 길이 방향 일측과 인접하게 상기 정역모터(41)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롤러(42)는 홈통(10)의 길이 방향 타측과 인접한 위치를 이루도록 건축물(1)의 일측에 설치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역모터(41)와 회전롤러(42)는 연결밸트(42)를 통하여 연결 구성되어 상기 정역모터(41)가 회전을 이루는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밸트(42)가 정역모터(41)와 회전롤러(42)의 설치 방향으로 선택적인 이동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44)는 상기 연결벨트(43)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이동고리(45)는 상기 연결장치(44)에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홈통(10)의 가이드공(12)에 관통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정역모터(41)를 작동시키는 경우, 연결벨트(43)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장치(44)와 이동고리(45)가 홈통(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홈통(10) 내측에 쌓이는 각종 이물질을 상기 이동고리(45)가 홈통(10)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장치(44)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벨트(43)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고리(44a)와, 상기 연결고리(44a)와 일체로 연결되며 타단에 볼트구멍(44b-1)이 형성된 고정구(44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고리(45)는 상기 볼트구멍(44b-1)과 대응되는 볼트(45a-1)가 일단에 구비된 결합돌기(45a)와, 상기 결합돌기(45a)의 하단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돌기(45b)와, 상기 연결돌기(45b)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12)에 관통 연결되고, 단부에는 갈퀴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걸림고리(45c-1)가 상호 연결되게 구비된 수평돌기(4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고리(44a)는 도 1, 도 2,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벨트(43)에 일단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고리(44a)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구(44b)에는 볼트구멍(44b-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고리(44)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구(44b)의 볼트구멍(44b-1)으로 결합돌기(45a)의 볼트(45a-1)가 체결되어 결합돌기(45a)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돌기(45b)와 수평돌기(45c)가 고정구(44b)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며, 수평돌기(45c)에 구비된 걸림고리(45c-1)가 상기 홈통(10)의 가이드공(12)을 관통하여 홈통(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평돌기(45c)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갈퀴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걸림고리(45c-1)가 수평돌기(45c)의 단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홈통(10)의 내측에서 걸림고리(45c-1)가 이동을 이루게 되는 경우, 홈통(10) 내측에 각종 이물질을 홈통(10)의 일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치울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벨트(43)에 하나의 연결장치(44)와 이동고리(45)가 설치되게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연결벨트(43)에 복수개의 연결장치(44)와 이동고리(45)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홈통(10)의 길이 방향 테두리에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걸림공(13)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걸림공(13)에는 오물수거통(5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오물수거통(50)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홈통(10)의 일측 단부에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홈통(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직통(2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오물수거통(50)은 상기 걸림공(13)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51)가 일단에 구비되고, 하단이 개구된 박스형의 형상으로 상기 수직통(20)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거함(52)과, 상기 수거함(52)의 하단에 힌지(h)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메쉬망으로 형성된 덮개(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물수거통(50)의 고정고리(51)가 홈통(10)의 걸림공(13)에 걸린 상태에서 수거함(52)이 수직통(2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구성되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은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통(20)에 결합된 수거함(52)은 수직통(20)에 형성된 고정공(21)으로 삽입 결합되는 고정바(22)를 통하여 하단이 지지 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홈통(10)과 수직통(20)에 결합되는 오물수거통(50)은 고정고리(51)를 통하여 홈통(10)의 일측에 고정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수직통(20)의 고정공(21)에 결합되는 고정바(22)를 통하여 하단이 지지되며 그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통(20)의 고정공(21)에 결합된 고정바(22)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고정공(21)의 상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바(22)를 통하여 지지된 수거함(52)이 수직통(20)의 상부 방향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홈통(10) 내측에 쌓이는 각종 이물질을 수직통(20)의 방향으로 이송시켜, 수직통(20)에 결합된 오물수거통(50)으로 이송시킨 후에는 수직통(20)과 오물수거통(50)을 사용자가 분리하여 오물수거통(50)에 쌓인 각종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수거함(52)의 하단에 힌지(h)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여 연결되는 덮개(53)를 통하여 상기 덮개(53)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수거함(52)의 하단으로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수거함(52)의 내측에 쌓인 각종 이물질을 수거함(52)의 하단으로 더욱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52)는 메쉬망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홈통(10)을 통하여 이송되는 물이 수직통(20)의 하단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하면서도, 홈통(10)에서 이송되는 이물질만 수거함(52)의 내측에 쌓이도록 구성된다.
더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홈통(10)은 상단의 길이 방향 테두리를 따라 설치공(14)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설치공(14)에는 장형의 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설치공(14)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타단이 상기 설치공(14)과 대향되는 홈통(10)의 길이 방향 일단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배출창(61)이 형성된 상부덮개(6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덮개(60)는 비가 많이 오지 않는 계절에는 상기 홈통(10)의 상단에 결합되어 홈통(10)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덮개(60)의 길이 방향에 구비된 복수개의 배출창(61)을 통하여 소량의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홈통(10)의 방향으로 물이 유입되어 수직통(20)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60)는 눈이 내리는 계절에는 홈통(10)의 내측으로 눈이 쌓여 홈통(1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홈통(10)의 상부에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사용자가 홈통(10)과 덮개(60)를 분리하여 덮개(60)의 상측에 쌓인 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건축물 2: 지붕
10: 홈통 11: 체결판
11a: 체결공 12: 가이드공
13: 걸림공 14: 설치공
20: 수집통 21: 고정공
22: 고정바 30: 배출통
40: 이송장치 41: 정역모터
42: 회전롤러 43: 연결벨트
44: 연결장치 44a: 연결고리
44b: 고정구 44b-1: 볼트구멍
45: 이동고리 45a: 결합돌기
45a-1: 볼트 45b: 연결돌기
45c: 수평돌기 45c-1: 걸림고리
46: 제어부 50: 오물수거통
51: 고정고리 52: 수거함
53: 덮개 60: 상부덮개
61: 배출창

Claims (4)

  1. 건축물(1)의 지붕(2)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홈통(10)과, 상기 홈통(10)의 길이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수직통(20)과, 상기 수직통(20)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출통(30)으로 형성되는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통(10)은 복수개의 체결공(11a)이 형성되어 벽체의 이미 설정한 부위에 볼트(P)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판(11)과, 상기 홈통(10)의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2)을 포함하고,
    상기 홈통(10)의 일측에는 홈통(10)의 내측에 쌓이는 오물을 수직통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40)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장치(40)는
    상기 홈통(10)의 길이방향 일단과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홈통(10)이 설치되는 건축물(1)에 설치되는 정역모터(41)와,
    상기 정역모터(41)와 이격되도록 건축물(1)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롤러(42)와,
    상기 정역모터(41)와 회전롤러(42)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벨트(43)와,
    상기 연결벨트(43)에 결합되는 연결장치(44)와,
    상기 연결장치(4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공(12)에 관통 결합되어 홈통(10)의 내측에서 이동되게 설치되는 이동고리(45)와,
    상기 정역모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모터(40)로 전원을 인가하고, 구비된 회전제어모듈(46a)을 통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정역모터(41)를 회전시키는 제어부(46)를 포함하되,
    상기 홈통(10)의 길이 방향 단부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걸림공(1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13)에는 오물수거통(50)이 더 설치되며,
    상기 오물수거통(50)은
    상기 걸림공(13)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51)가 일단에 구비되고, 하단이 개구된 박스형의 형상으로 상기 수직통(20)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거함(52)과,
    상기 수거함(52)의 하단에 힌지(h)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며, 메쉬망으로 형성된 덮개(53)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통(20)은
    상기 수거함(52)이 삽입된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공(21)과,
    상기 고정공(21)에 삽입되어 상기 수거함(52)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고정공(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통(20)과 수거함(52)을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고정바(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빗물 배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44)는
    상기 연결벨트(43)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고리(44a)와, 상기 연결고리(44a)와 일체로 연결되며 타단에 볼트구멍(44b-1)이 형성된 고정구(44b)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고리(45)는
    상기 볼트구멍(44b-1)과 대응되는 볼트(45a-1)가 일단에 구비된 결합돌기(45a)와,
    상기 결합돌기(45a)의 하단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돌기(45b)와,
    상기 연결돌기(45b)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12)에 관통 연결되고, 단부에는 갈퀴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걸림고리(45c-1)가 상호 연결되게 구비된 수평돌기(4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빗물 배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10)은 상단의 길이 방향 테두리를 따라 설치공(1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4)에는
    장형의 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설치공(14)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타단이 상기 설치공(14)과 대향되는 홈통(10)의 길이 방향 일단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배출창(61)이 형성된 상부덮개(6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빗물 배수장치.
KR1020180166862A 2018-12-21 2018-12-21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KR10199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862A KR101993194B1 (ko) 2018-12-21 2018-12-21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862A KR101993194B1 (ko) 2018-12-21 2018-12-21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194B1 true KR101993194B1 (ko) 2019-06-27

Family

ID=6705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862A KR101993194B1 (ko) 2018-12-21 2018-12-21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27B1 (ko) * 2019-07-25 2020-03-17 최창수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031B1 (ko) 2011-10-31 2012-05-09 (주)미래원씨앤엠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KR20120079412A (ko) * 2011-01-04 2012-07-12 윤도성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한 물받이 낙엽 자동 청소장치
KR101563209B1 (ko) 2012-12-04 2015-10-26 김석수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412A (ko) * 2011-01-04 2012-07-12 윤도성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한 물받이 낙엽 자동 청소장치
KR101144031B1 (ko) 2011-10-31 2012-05-09 (주)미래원씨앤엠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KR101563209B1 (ko) 2012-12-04 2015-10-26 김석수 건물용 빗물 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27B1 (ko) * 2019-07-25 2020-03-17 최창수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0798A (en) Leaf trap assembly
US20090188535A1 (en) Wash Pad and Wash Fluid Containment System
US6240679B1 (en) Easy to clean gutter system
KR101993194B1 (ko)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US9155429B2 (en) Compact dry toilet installation
US9765525B2 (en) Multiple trough gutter system with integral debris blocker
KR102285379B1 (ko) 협잡물겸 침사 수거용 제진기
US20150067956A1 (en) Composting toilet assembly
US6029290A (en) Swimming pool skimmer cleaner
CA2305159A1 (en) Rain gutter trash guard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KR200381939Y1 (ko)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자동스크린
KR102021791B1 (ko)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US6260716B1 (en) Scum sweeper for surface floating matters in a clarifying tank
US7473358B1 (en) Hinged cover for use in a clarifier tank having an inboard launder channel
KR20120108822A (ko) 수중 부유물 제거장치
CN210797821U (zh) 一种防蚊闸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20140143281A (ko) 벨트 스크린식 제진기
JP2007182678A (ja) 集水器
KR200244707Y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0654092B1 (ko) 계분 제거 장치
CN218204829U (zh) 建筑工程施工降雨排水结构
US20140115998A1 (en) Downspout adapter with cleanout
KR100683123B1 (ko)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