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123B1 -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123B1
KR100683123B1 KR1020060097826A KR20060097826A KR100683123B1 KR 100683123 B1 KR100683123 B1 KR 100683123B1 KR 1020060097826 A KR1020060097826 A KR 1020060097826A KR 20060097826 A KR20060097826 A KR 20060097826A KR 100683123 B1 KR100683123 B1 KR 10068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t
bridge
sewage
collecting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김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1037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831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주 filed Critical 김원주
Priority to KR1020060097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상 집수구(3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배수관으로 배출되지 않고 이들 집수구와 배수관 사이의 곡면관(40) 저부에 일정깊이 돌출시킨 오물잔류부(42)에 잔류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배수관에 있어서, 인출 동작시 적재된 오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망사형태로서 곡면관(40)의 하향 돌출된 오물잔류부(42)에 안착되는 오물적재부(12)와, 상기 오물적재부(12)가 집수구(30)를 통해 인입출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오물적재부(12) 저부에 결합되면서 그 상단은 상기 집수구의 집수덮개(32) 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거체인출봉(20)을 포함하여 오물수거체(10)를 형성한 구성관계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오물수거체, 오물적재부, 수거체인출봉, 집수구, 배수관, 오물잔류부

Description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Sewage collect equipment of draining pipe for bridge}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의한 오물수거장치들이 교량용 배수관의 절곡부위에 설치된 단면구조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오물수거장치가 교량상판 아래쪽의 배수관으로 설치된 상태 및 오물수거장치를 배수관으로부터 인출시킨 상태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오물수거체 12 : 오물적재부
14 : 봉체결돌기 16 : 봉지지대
18a,18b : 우수통과부 20 : 수거체인출봉
22 : 볼트머리부 24,28 : 고정너트
26 : 볼트나사부 30 : 집수구
32 : 집수덮개 34 : 밀착와셔
36 : 인출안내단 40 : 곡면관
42 : 오물잔류부 44,46 : 우수배출부
48 : 배관개폐판 50 : 교량상판
본 발명은 배수관의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잔류시켜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는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가도로나 교량 등의 통상 교량상판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배수관의 집수구쪽 절곡부위에 인입출이 용이한 망사형태의 오물수거체를 설치하여 우수에 포함되어 유입되는 오물이 잔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정기간마다 작업자가 손으로 집수구의 집수덮개를 열고 간단하게 오물수거체를 인출하는 정도로 배수관의 오물을 간단하게 수거할 수 있는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도로나 교량 등에는 통상 교량상판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집수구가 설치되어 교량 아래쪽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된 배수관과 연결되며, 평상시나 강우시에 오물 자체 또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은 집수구를 통해 아래쪽의 배수관으로 유입되어 하천이나 강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수관은 통상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량상판의 아래쪽에 길게 형성되어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히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우수가 통상 집수구와 배수관 사이의 절곡부위에서 잔류될 수 있도록 이들 집수구와 배수관 사이에 오물을 잔류시켜 수거(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 및 구조들이 적용되고 있다.
물론 수직방향의 집수구와 교량에 대해 경사진 길이방향의 배수관과의 결합 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배수관의 연결단부가 곡면 절곡될 수도 있으나, 대부분 별도의 십자형 또는 티자형 곡면관으로 이들 사이를 연결시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통상 이들 경계부위 또는 곡면관의 아래쪽으로 일정깊이 돌출된 우물잔류부에 오물이 잔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일정기간마다 집수구와 배수관 사이의 곡면 절곡된 경계부위의 오물잔류부로부터 적재되어 있는 오물을 제거하기가 대단히 힘들었다.
물론 곡면관을 구조 개선시켜 아래쪽으로 돌출된 오물잔류부에 별도의 개폐수단을 적용시킴으로서 일정기간마다 작업자가 오물잔류부로부터 개폐수단을 개방시켜 내부에 잔류된 오물을 강제로 배출시킬 수도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오물잔류부 아래쪽에 다시 배출되는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별도의 오물받이수단을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은 물론, 기존 대부분의 곡면관들을 새롭게 구조 개선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에 고가도로 또는 교량의 집수구와 배수관과의 경계부위에 통상 설치된 곡면관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인입출 가능한 별도의 오물수거체를 적용시킴으로서 오물 제거의 편리성은 물론 설치작업이 용이한 경제성도 함께 얻고자 개발된 것으로, 배수관의 집수구쪽 절곡부위에 해당되는 곡면관에 인입출이 용이한 망사형태의 오물수거체를 설치하는 정도로 일정기간마다 작업자가 집수구를 통해 오물수거체의 간단하게 인출함으로서 별도의 고가장비 없이도 오물수거체에 적재된 오물을 간단하게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는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 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는 통상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배수관으로 배출되지 않고 이들 집수구와 배수관 사이의 곡면관 저부에 일정깊이 돌출시킨 오물잔류부에 잔류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배수관에 있어서, 인출 동작시 적재된 오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망사형태로서 곡면관의 하향 돌출된 오물잔류부에 안착되는 오물적재부와, 상기 오물적재부가 집수구를 통해 인입출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오물적재부 저부에 결합되면서 그 상단은 상기 집수구의 집수덮개 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거체인출봉을 포함하여 오물수거체를 형성한다.
특히 오물수거체는 오물적재부 위쪽에 우수는 통과되면서 오물은 통과되지 않도록 상기 오물적재부의 망사형태보다 상대적으로 촘촘하지 않는 우수통과부가 최소한 개방된 우수배출부 쪽으로 연장 돌출된다. 또한 상기 오물수거체는 오물적재부의 저부가 결합되는 수거체인출봉 하단의 볼트머리부로 인해 곡면관의 오물잔류부 저부와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그 저부 중앙부위가 내측 위쪽으로 절곡 돌출되면서 집수구를 통해 외부 인출될 수 있도록 그 외경이 상기 집수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나아가 집수구는 곡면관으로부터 오물수거체의 오물적재부가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단이 안쪽으로 경사진 인출안내단을 형성한 구성관계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잔류시켜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는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의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용을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관계를 설명함에 있어 보다 쉬운 이해를 돕고자 표기된 도면부호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며, 특히 배수관으로 오물이 유입되지 않고 집수구(30)와의 경계부위에 잔류되도록 하기 위해 통상 설치되는 곡면관(40)의 적용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설명하는바,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곡면관(40)의 적용 없이 집수구(30) 저부에 단부가 곡면 절곡된 배수관을 직접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어느 경우의 실시예에서나 본 발명의 오물수거장치는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설명 편의상 배수관의 구체적인 도면 도시 및 부호 기재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오물수거장치는 통상 교량상판(50)의 집수구(3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배수관으로 배출되지 않고,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이들 집수구(30)와 배수관 사이의 곡면관(40) 저부에 일정깊이 돌출시킨 오물잔류부(42)에 잔류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배수관을 기본적인 구성관계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오물수거장치인 오물수거체(10)는 통상의 교량상판(50)에 설치된 집수구(30)의 집수덮개(32)에 상부구조인 수거체인출봉(20)의 볼트나사부(2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집수구(30) 아래쪽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곡면관(40)의 하향 돌출된 오물잔류부(42)에 하부구조인 망사형태의 오물적재부(12)가 설치된다.
즉,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오물수거체(10)는 교량상판(50) 아래쪽으로 돌출된 집수구(30)와 상기 교량상판(5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집수구(30)와 연결되는 배수관에 있어,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배수관으로 유입되지 않고 별도의 공간에 잔류될 수 있도록 이들 집수구(40)와 배수관과의 곡면 절곡된 경계부위에 수평방향의 우수배출부(44)(46)와 수직방향의 오물잔류부(42)가 돌출된 곡면관(40)이 연결됨을 원칙으로 한다.
특히 곡면관(40)은 집수구(30)을 통해 낙하되는 우수가 배수관쪽으로 수평 연장된 우수배출부(44)가 최소한 형성되면서 반대편 수평방향으로도 별도의 배관개폐판(48)으로 밀폐되는 우수배출부(48)가 형성되며, 이들 사이의 중앙 하방으로는 일정깊이의 오물잔류부(42)가 돌출 형성됨을 기본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곡면관(40)에 대해 본 발명의 오물수거체(10)가 분리 용이하게 설치되는데, 우선 오물수거체(10)는 하부구조인 망사형태의 오물적재부(12)가 상기 곡면관(40)의 오물잔류부(42)에 안착되면서 그 상부구조인 수거체인출봉(20)이 교량상판(50)의 집수덮개(32)의 저부쪽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집수덮개(32)에 설치되는 수거체인출봉(20)의 상단은 차량이 통과되는 교량상판(50)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수거체인출봉(20)이 혹시라도 차량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면서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오물수거체(10)는 인출 동작시 적재된 오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망사형태로서 곡면관(40)의 하향 돌출된 오물잔류부(42)에 안착되는 오물적재부(12)와, 상기 오물적재부(12)가 집수(30)를 통해 인입출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오물적재부(12) 저부에 결합되면서 그 상단은 상기 집수구의 집수덮개(32) 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거체인출봉(20)과 결합된 구성관계로서 이루어진다.
특히 오물수거체(10)의 오물적재부(12)는 곡면관(40)의 우수배출부(46)을 통해 우수는 통과되면서 오물은 통과되지 않고 잔류될 수 있도록 도 1a 및 도 2a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망사형태를 형성하며, 상기 우수배출부(46)쪽으로 배출되는 우수와 함께 오물이 혹시라도 배출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도록 도 1b 및 도 2b 또는 도 1c 및 도 2c에서와 같이, 상기 오물적재부(12)의 망사형태보다 상대적으로 촘촘하지 않는 우수통과부(18a)(18b)가 최소한 개방된 우수배출부(44) 쪽으로 연장 돌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오물수거장치를 구성하는 오물수거체(10)는 하부구조인 오물적재부(12)에 대해 상부구조인 수거체인출봉(20)가 안정되게 지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오물적재부(12)의 상측에는 중앙으로 상기 수거체인출봉(20)이 통과되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중앙부위에 구멍이 관통된 봉지지대(16)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오물적재부(12)의 저부가 결합되는 수거체인출봉(20) 하단의 볼트머리부(22)로 인해 곡면관의 오물잔류부(42) 저부와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그 저부 중앙부위가 내측 위쪽으로 절곡 돌출된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오물수거체(10)는 곡면관(40)의 오물잔류부(42)에 안착되는 망사형태의 오물적재부(12)가 위쪽의 집수구(30) 하부를 통해 교량상판(50) 밖의 외부로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오물적재부(12)의 외경(t)이 상기 집수구(30)의 내경(T)보다 작게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집수구(30)는 곡면관(40)으로부터 오물수거체의 오물적재부(12)가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단이 안쪽으로 경사진 인출안내단(36)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오물수거체(10)의 하부구조인 오물적재부(12)에 대해 상부구조인 수거체인출봉(20)의 하단이 결합되는데, 기본적으로 상기 수거체인출봉(20)의 하단은 볼트머리부(22)로서 상기 오물적재부(12)의 저부 외측에 노출되면서 내측으로 고정너트(24)가 체결되어 일체 고정되며, 또한 상기 수거체인출봉(20)의 상단은 볼트나사부(26)로서 집수덮개(32)의 저부 외측에 보호되면서 위쪽에 외측으로 고정너트(28)가 체결되어 일체 고정된다. 물론 상기 볼트나사부(26)에는 고정너트(28)와 함께 별도의 밀착와셔(34)가 체결됨으로서 좀더 견고하게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오물수거체(10)의 오물적재부(12)를 곡면관(40)의 오물잔류부(42)로 낙하시켜 안착시키면서 수거 동작시에는 집수덮개(32) 밖으로 보다 용이하면서 편리하게 상기 오물적재부(12)의 인출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거체인출봉(20)은 기본적으로 봉형상을 적용시키나, 경우에 따라서는 체인이나 안테나 형태와 같은 다양한 길이 지지수단을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는, 기존에 고가도로 또는 교량의 집수구와 배수관과의 경계부위에 통상 설치된 곡면관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인입출이 용이한 별도의 오물수거체를 적용시킴 으로서 오물수거체의 하부구조인 오물적재부에 의해 배수관쪽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자연스럽게 잔류 적재될 수 있으며, 집수구의 집수덮개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시킨 오물수거체의 상부구조인 수거체인출봉을 이용하여 오물이 적재된 오물적재부를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일정기간마다 인출시키는 정도로서 오물적재부에 적재되는 오물을 간단하게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곡면관 구조를 변경시키는 것이 아니라 간단하게 오물수거체를 설치하는 정도이므로 작업의 간단성 및 경제성도 함께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타워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고가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교량상판에서 직접 오물수거체를 간단하게 인출시켜 오물을 수거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정성과 편리성이 함께 보장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통상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배수관으로 배출되지 않고 이들 집수구와 배수관 사이의 곡면관 저부에 일정깊이 돌출시킨 오물잔류부에 잔류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배수관에 있어서,
    인출 동작시 적재된 오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망사형태로서 곡면관(40)의 하향 돌출된 오물잔류부(42)에 안착되는 오물적재부(12)와, 상기 오물적재부(12)가 집수구(30)를 통해 인입출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오물적재부(12) 저부에 결합되면서 그 상단은 상기 집수구의 집수덮개(32) 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거체인출봉(20)을 포함하여 오물수거체(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체(10)는 오물적재부(12) 위쪽에 우수는 통과되면서 오물은 통과되지 않도록 상기 오물적재부(12)의 망사형태보다 상대적으로 촘촘하지 않는 우수통과부(18a,18b)가 최소한 개방된 우수배출부(44) 쪽으로 연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체(10)는 오물적재부(12)의 저부가 결합되는 수거체인출봉(20) 하단의 볼트머리부(22)로 인해 곡면관의 오물잔류부(42) 저부와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그 저부 중앙부위가 내측 위쪽으로 절곡 돌출되고, 집수구(30)를 통해 외부 인출될 수 있도록 그 외경(t)이 상기 집수구(30)의 내경(T)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30)는 곡면관(40)으로부터 오물수거체의 오물적재부(12)가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단이 안쪽으로 경사진 인출안내단(3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KR1020060097826A 2006-10-09 2006-10-09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KR100683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826A KR100683123B1 (ko) 2006-10-09 2006-10-09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826A KR100683123B1 (ko) 2006-10-09 2006-10-09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123B1 true KR100683123B1 (ko) 2007-02-16

Family

ID=3810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826A KR100683123B1 (ko) 2006-10-09 2006-10-09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1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692B1 (ko) * 2014-08-08 2015-06-26 강형숙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131055A (ko) * 2020-04-23 2021-11-02 이지용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423A (ko) 2005-01-07 2005-03-15 (주)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지붕 슬래브용 루프드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423A (ko) 2005-01-07 2005-03-15 (주)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지붕 슬래브용 루프드레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692B1 (ko) * 2014-08-08 2015-06-26 강형숙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131055A (ko) * 2020-04-23 2021-11-02 이지용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KR102390582B1 (ko) * 2020-04-23 2022-04-26 이지용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US6797162B2 (en) Catch basin filter for stormwater runoff
US20050247612A1 (en) Silt and debris filtering system for storm drains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101715701B1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20100032075A (ko) 오물수거기구가 부착된 지하통로용 커버
KR100683123B1 (ko) 교량용 배수관의 오물수거장치
KR20110006299A (ko) 교량 집수구의 오물 수거 장치
KR101533930B1 (ko) 교량용 선배수 시스템
KR100891940B1 (ko)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100959944B1 (ko) 초기우수 정화기능을 갖는 필터장착 교량용 배수장치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102072963B1 (ko)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포집장치
KR200437460Y1 (ko)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도로의 집수박스 구조
KR100739875B1 (ko) 공공배수로의 퇴적물 제거형 하수구조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KR100625017B1 (ko) 도로 집수정의 오물거름장치
KR20170079458A (ko) 그레이팅 거치형 간이 우수 여과장치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20220022607A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JP5369006B2 (ja) 雨水集水器
JP2914656B2 (ja) 排水用塵芥捕捉装置
KR20160121676A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04190A (ko) 교량용 선배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26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126

Effective date: 201805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53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1109

Effective date: 201806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6108;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80726

Effective date: 2019051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6108;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80726

Effective date: 2019051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3000009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0620

Effective date: 2019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