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791B1 -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791B1
KR102021791B1 KR1020190049211A KR20190049211A KR102021791B1 KR 102021791 B1 KR102021791 B1 KR 102021791B1 KR 1020190049211 A KR1020190049211 A KR 1020190049211A KR 20190049211 A KR20190049211 A KR 20190049211A KR 102021791 B1 KR102021791 B1 KR 102021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cylinder
coupled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4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76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snow, ice or debris from gutters or for preventing accumul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된 빗물 배수장치의 내측으로 각종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 용이하게 이를 제거하여 배수장치의 배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인 특징은 건축물의 지붕 단부에 설치되는 홈통과, 상기 홈통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연결통과, 상기 연결통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수통을 포함하는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통은 상면과 전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양측 면에 형성되는 장형의 가이드홈과, 볼트가 체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과 인접한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에 체결되는 볼트로 벽체의 이미 설정한 부위에 상기 본체가 회전되게 위치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본체의 내측에 쌓이는 오물을 연결통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구와, 상기 회전판과 대향되게 상기 본체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장형의 지지홈이 형성된 이동판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통은 상기 배수판과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연결통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구는 상기 가이드홈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연결홈이 형성된 이동핀과, 상기 연결홈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판 형상의 걸림판과, 상기 이동핀의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과 이동핀의 결합을 지지하는 고정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가 상,하 방향으로 기울게 조절하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어기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통의 일측에는 오물수거함이 더 설치되고, 상기 오물수거함은 상,하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구비된 체결판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과 인접한 양측면에는 대향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는 오물수거함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삽입공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거망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rainwater drainer for bridge for a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에 설치된 빗물 배수장치의 내측으로 각종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 용이하게 이를 제거하여 배수장치의 배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지붕과 인접한 위치에는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빗물을 집수하여 건축물의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빗물 배수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빗물 배수장치는 대개, 건축물의 지붕과 인접한 위치에 상면이 개방된 관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내측으로 집수되는 빗물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파이를 통하여 지면으로 배수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빗물 배수장치는 설명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지붕을 타고 내려는 빗물의 집수를 용이하게 이루기 위하여 상면이 개방된 관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건축물의 지붕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배수장치의 내측으로 낙엽, 오물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쌓이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건축물에 배수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건축물의 처마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배수장치의 내측으로 각종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배수장치 본연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배수장치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고, 문헌(3)에서와 같이, 배수장치의 내측에 쌓이는 오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배수장치는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건축물에 설치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도 복잡한 구성으로 인하여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배수장치 본연의 기능을 이루기는 힘든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수장치 내측으로 쌓이는 각종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이루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44031호(2012.05.02)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44709호(2012.05.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건축물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배수장치 내측으로 각종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본체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송구를 통하여 별도의 전기적인 구조를 가지지 않고도 본체의 내측에 쌓이는 각종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본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본체의 내측에 쌓이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비용에 비하여 높은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 단부에 설치되는 홈통과, 상기 홈통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연결통과, 상기 연결통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수통을 포함하는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통은 상면과 전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양측 면에 형성되는 장형의 가이드홈과, 볼트가 체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과 인접한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에 체결되는 볼트로 벽체의 이미 설정한 부위에 상기 본체가 회전되게 위치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본체의 내측에 쌓이는 오물을 연결통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구와, 상기 회전판과 대향되게 상기 본체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장형의 지지홈이 형성된 이동판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통은 상기 배수판과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연결통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구는 상기 가이드홈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연결홈이 형성된 이동핀과, 상기 연결홈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판 형상의 걸림판과, 상기 이동핀의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과 이동핀의 결합을 지지하는 고정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가 상,하 방향으로 기울게 조절하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게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어기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통의 일측에는 오물수거함이 더 설치되고, 상기 오물수거함은 상,하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구비된 체결판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과 인접한 양측면에는 대향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는 오물수거함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삽입공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거망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통은 상기 본체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연결고리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의 타단이 하단에 구비된 지지고리에 연결되고,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구비된 안전판이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건축물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배수장치 내측으로 각종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체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송구를 통하여 별도의 전기적인 구조를 가지지 않고도 본체의 내측에 쌓이는 각종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셋째, 본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본체의 내측에 쌓이는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비용에 비하여 높은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가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의 홈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1) 단부에 설치되는 홈통(10)과, 상기 홈통(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연결통(20)과, 상기 연결통(20)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수통(30)을 포함하는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통(10)은 상면과 전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본체(11)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양측 면에 형성되는 장형의 가이드홈(12)과, 볼트(P)가 체결되는 관통공(13a)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1)의 후면과 인접한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13a)에 체결되는 볼트(P)로 벽체(2)의 이미 설정한 부위에 상기 본체(11)가 회전되게 위치시키는 회전판(13)과, 상기 가이드홈(12)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1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본체(11)의 기울기에 따라 본체(11)의 내측에 쌓이는 오물을 연결통(20)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구(14)와, 상기 회전판(13)과 대향되게 상기 본체(11)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장형의 지지홈(15a)이 형성된 이동판(15)과, 상기 본체(11)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배수판(16)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통(20)은 상기 배수판(16)과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연결통(20)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연결판(21)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구(14)는 상기 가이드홈(12)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연결홈(14a-1)이 형성된 이동핀(14a)과, 상기 연결홈(14a-1)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4b-1)이 형성된 판 형상의 걸림판(14b)과, 상기 이동핀(14a)의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12)과 이동핀(14a)의 결합을 지지하는 고정고리(14c)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15)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홈(15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41)가 구비되어 상기 로드(4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11)가 상,하 방향으로 기울게 조절하는 실린더(40)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40)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본체(11)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게감지센서(51)의 감지신호에 따라 실린더(40)를 작동시키는 제어기(50)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통(20)의 일측에는 오물수거함(6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오물수거함(60)은 상,하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공(61a)이 구비된 체결판(61)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61)과 인접한 양측면에는 대향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삽입공(6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62)에는 오물수거함(60)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삽입공(62)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거망(7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홈통(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과 전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홈통(1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홈통(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면과 전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본체(11)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 양측 면으로는 장형의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2)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송구(14)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본체(11)의 가이드홈(12)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구(14)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본체(11)의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구(14)가 이동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본체(11)가 기울어진 형태를 이루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홈(12)을 따라 이송구(14)가 이동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후면과 인접한 상면 테두리 부위에는 볼트(P)를 통하여 벽체(2)의 설정한 부위에 회전되게 결합 될 수 있는 회전판(13)이 관통공(13a)을 형성하여 구비된다.
상기 회전판(13)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1)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2)에 볼트(P)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공(미도시)을 미리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13)에 형성된 관통공(13a)으로 볼트(P)를 체결하여 벽체(2)의 볼트공(미도시)에 삽입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관통공(13a)에 결합되어 벽체(2)에 고정되는 볼트(P)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13)이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회전판(13)을 중심으로 도시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체(11)가 회전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판(13)과 대향되는 상기 본체(11)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는 장형의 지지홈(15a)이 형성된 이동판(15)이 구비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실린더(40)의 로드(41)가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이동판(15)에 형성된 지지홈(15a)으로 실린더(40)의 로드(41)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실린더(40)를 작동시키는 경우, 로드(41)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판(13)과 대향되는 본체(11)의 일단이 상기 로드(4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본체(11)를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2)에 본체(11)에 구비된 회전판(13)이 회전 가능하도록 볼트(P)로 체결되게 구성한 후, 사용자가 상기 실린더(4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40)의 로드(41)가 상기 로드(41)와 연결되는 이동판(15)의 지지홈(15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11)의 일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본체(11)에 형성된 가이드홈(12)을 따라 이송구(14)가 본체(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본체(11)의 내측에 위치되는 각종 이물질을 이동판(15)이 구비된 본체(11)의 개구 방향으로 쓸어내며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구(14)는 상기 가이드홈(12)에 결합되어 본체(11)의 위치 변화에 따라 용이한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2)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연결홈(14a-1)이 형성된 이동핀(14a)과, 상기 연결홈(14a-1)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4b-1)이 형성된 판 형상의 걸림판(14b)과, 상기 이동핀(14a)의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12)과 이동핀(14a)의 결합을 지지하는 고정고리(1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가이드홈(12)에 이동핀(14a)이 삽입을 이룬 상태에서 이동핀(14a)의 연결홈(14a-1)으로 걸림판(14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홈(12)을 따라 이동핀(14a)이 이동되며 회전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걸림판(14b)이 본체(11)의 내측면과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14c)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본체(11)의 가이드홈(12)에 결합되는 이동핀(14a)이 가이드홈(12)과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판(14b)의 하단으로는 도 3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걸림홈(14b-1)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본체(11)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걸림판(14b)이 밀착되는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본체(11)의 내측에 쌓인 이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내고, 집수된 빗물로 인하여 본체(11)의 내측면과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판(14b)의 구성을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걸림홈(14b-1)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본체(11)의 내측면에 쌓이는 각종 이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낼 수 있는 구성이라면, 망이나, 고리 형태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전면 방향으로는 수평 방향을 이루게 배수판(16)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통(20)에는 상기 배수판(16)과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연결통(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연결판(2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는, 도 2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결합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11)의 내측으로 집수된 빗물이 연결통(20)의 내측으로 용이한 이동을 이룰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실린더(40)의 작동으로 인하여, 본체(11)의 위치가 변경을 이루는 경우에는 본체(11)와 연결통(20)이 밀착되어 본체(11)의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실린더(40)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본체(11)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게감지센서(51)의 감지신호에 따라 실린더(40)를 작동시키는 제어기(5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상기 실린더(40)를 일일이 제어하지 않고도, 상기 무게감지센서(51)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본체(11)의 내측에 각종 이물질이 쌓여 있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무게감지센서(5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기(50)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실린더(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1) 내측으로 각종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에도 상기 무게감지센서(51)와 제어기(50)의 구성을 통하여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실린더(40)가 작동되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11)의 가이드공(12)을 따라 이송구(14)가 이동을 이루며 본체(11) 내측의 각종 이물질을 본체(11)의 외측 방향으로 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1)의 후면이 막혀 있는 상태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본체(11)의 전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된 상태로 구성하여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체(11)의 가이드공(12)을 따라 이송구(14)가 이송을 이루는 경우에는 본체(11)의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본체(11) 내측의 각종 이물질이 떨어져 제거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 도 4, 도 5,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통(20)의 일측에는 오물수거함(6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오물수거함(60)은 상,하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공(61a)이 구비된 체결판(61)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61)과 인접한 양측면에는 대향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삽입공(6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62)에는 오물수거함(60)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삽입공(62)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거망(7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본체(11)의 개방된 부위로 각종 이물질이 떨어지는 경우, 이물질을 수거하여 모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오물수거함(60)을 연결통(20)의 일측에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3)을 중심으로 본체(11)의 위치가 변경되어 가이드공(12)을 따라 이송구(14)가 이동을 이루며 본체(11)의 내측에 쌓인 각종 이물질을 본체(11)의 개방된 부위로 이송시켜 떨어뜨리는 경우, 상기 오물수거함(60)으로 각종 이물질이 떨어져 수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오물수거함(60)의 삽입공(62)으로 망 형태를 이루는 수거망(7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오물수거함(60)의 내측으로 떨어지는 각종 이물질이 상기 수거망(70)에 걸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오물수거함(60)에서 수거망(70)을 분리하여 수거망(70)에 쌓인 각종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홈통(10)은 상기 본체(11)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는 연결고리(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50)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연결고리(17)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90)의 타단이 하단에 구비된 지지고리(81)에 연결되고,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삽입공(82)이 구비된 안전판(8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실린더(40)를 통하여 상기 본체(11)의 위치가 변경될 시, 상기 본체(11)를 벽체(2)에 회전되게 고정시키는 회전판(13)이 손상되거나, 상기 실린더(40)가 손상을 일으키게 되는 경우, 상기 본체(11)가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본체(11)가 벽체(2)와 분리되거나, 상기 실린더(40)와 분리되는 경우에도 안전판(80)의 지지고리(81)에 연결된 와이어(90)의 단부가 본체(11)의 연결고리(17)와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하여 본체(11)가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지붕 2: 벽체
10: 홈통 11: 본체
12: 가이드홈 13: 회전판
13a: 관통공 14: 이송구
14a: 이동핀 14a-1: 연결홈
14b: 걸림판 14b-1: 걸림홈
14c: 고정고리 15: 이동판
15a: 지지홈 16: 배수판
17: 연결고리 20: 연결통
21: 연결판 30: 배수통
40: 실린더 41: 로드
50: 제어기 60: 오물수거함
61: 체결판 61a: 고정공
62: 삽입공 70: 수거망
80: 안전판 81: 지지고리
82: 삽입공 90: 와이어
P: 볼트

Claims (2)

  1. 건축물의 지붕(1) 단부에 설치되는 홈통(10)과, 상기 홈통(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연결통(20)과, 상기 연결통(20)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수통(30)을 포함하는 빗물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통(10)은 상면과 전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본체(11)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양측 면에 형성되는 장형의 가이드홈(12)과, 볼트(P)가 체결되는 관통공(13a)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1)의 후면과 인접한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13a)에 체결되는 볼트(P)로 벽체(2)의 이미 설정한 부위에 상기 본체(11)가 회전되게 위치시키는 회전판(13)과, 상기 가이드홈(12)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1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본체(11)의 기울기에 따라 본체(11)의 내측에 쌓이는 오물을 연결통(20)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구(14)와, 상기 회전판(13)과 대향되게 상기 본체(11)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며 장형의 지지홈(15a)이 형성된 이동판(15)과, 상기 본체(11)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배수판(16)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통(20)은 상기 배수판(16)과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연결통(20)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연결판(21)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구(14)는
    상기 가이드홈(12)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연결홈(14a-1)이 형성된 이동핀(14a)과,
    상기 연결홈(14a-1)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4b-1)이 형성된 판 형상의 걸림판(14b)과,
    상기 이동핀(14a)의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12)과 이동핀(14a)의 결합을 지지하는 고정고리(14c)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15)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홈(15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41)가 구비되어 상기 로드(4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11)가 상,하 방향으로 기울게 조절하는 실린더(40)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40)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본체(11)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게감지센서(51)의 감지신호에 따라 실린더(40)를 작동시키는 제어기(50)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통(20)의 일측에는 오물수거함(6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오물수거함(60)은
    상,하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공(61a)이 구비된 체결판(61)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61)과 인접한 양측면에는 대향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삽입공(6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62)에는 오물수거함(60)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삽입공(62)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거망(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10)은
    상기 본체(11)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는 연결고리(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50)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연결고리(17)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90)의 타단이 하단에 구비된 지지고리(81)에 연결되고,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삽입공(82)이 구비된 안전판(8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KR1020190049211A 2019-04-26 2019-04-26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KR10202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211A KR102021791B1 (ko) 2019-04-26 2019-04-26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211A KR102021791B1 (ko) 2019-04-26 2019-04-26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791B1 true KR102021791B1 (ko) 2019-09-17

Family

ID=6807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211A KR102021791B1 (ko) 2019-04-26 2019-04-26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2619A (zh) * 2022-07-12 2022-10-04 广东鲁匠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回收再利用的绿色节能建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514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삼신기계 빗물배수용 수직 홈통의 이물질여과장치
US20090229192A1 (en) * 2006-09-08 2009-09-17 Mcneish R W Gutter assemblies
KR101144031B1 (ko) 2011-10-31 2012-05-09 (주)미래원씨앤엠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KR101144709B1 (ko) 2008-11-07 2012-05-11 김영재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9192A1 (en) * 2006-09-08 2009-09-17 Mcneish R W Gutter assemblies
KR20090009514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삼신기계 빗물배수용 수직 홈통의 이물질여과장치
KR101144709B1 (ko) 2008-11-07 2012-05-11 김영재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KR101144031B1 (ko) 2011-10-31 2012-05-09 (주)미래원씨앤엠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2619A (zh) * 2022-07-12 2022-10-04 广东鲁匠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回收再利用的绿色节能建筑
CN115142619B (zh) * 2022-07-12 2023-12-22 广东鲁匠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回收再利用的绿色节能建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6090B2 (en) Downspout drain outlet
EP1630309B1 (en) Drain unit
KR102021791B1 (ko) 건축물용 빗물 배수장치
BRPI0715670A2 (pt) sistema de coleta de Água, unidade de desvio de Águas pluviais, sistema de coleta de Águas pluviais em um prÉdio tendo uma captaÇço no telhado com pelo menos dois drenos para a galeria de Águas pluviais atravÉs de sistema de calhas
CN110565777A (zh) 一种市政排水系统
KR101247531B1 (ko) 침전지의 슬러지 및 스컴 제거 시스템과 이에 이용되는 스컴 스키머
US20140075664A1 (en) Compact dry toilet installation
CN105408558A (zh) 排水设备
KR101133073B1 (ko) 제진기
KR101770105B1 (ko)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KR101132846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212137000U (zh) 一种便于异物清除的配电箱
CN211499024U (zh) 一种环保厕所雨水收集装置
CN211523806U (zh) 一种钢结构建筑屋顶排水结构
CN210315125U (zh) 用于市政道路的排水装置
KR101383819B1 (ko) 덮개 일체형 우수받이
US20140115998A1 (en) Downspout adapter with cleanout
CN112359783A (zh) 一种具有快速除杂功能的环境保护沟渠杂物阻挡装置
CN214997806U (zh) 一种隧道排水沟盖
KR102286226B1 (ko) 배수력 증대 및 오물 제거가 용이한 집수구
CN113384933B (zh) 一种城镇垃圾渗滤液处理装置
KR100877703B1 (ko) 하수 역류 방지구
CN209779839U (zh) 一种道路雨水排水装置
CN111490474B (zh) 一种便于异物清除的配电箱
CN216130303U (zh) 一种防堵型的建筑排水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