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462B1 - 급출장치 및 저장유체의 급출방법 - Google Patents

급출장치 및 저장유체의 급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462B1
KR101080462B1 KR1020097018372A KR20097018372A KR101080462B1 KR 101080462 B1 KR101080462 B1 KR 101080462B1 KR 1020097018372 A KR1020097018372 A KR 1020097018372A KR 20097018372 A KR20097018372 A KR 20097018372A KR 101080462 B1 KR101080462 B1 KR 101080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ontainer
fluid
driven plate
storag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116A (ko
Inventor
아츠오 다카세
Original Assignee
헤이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이신 엘티디. filed Critical 헤이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9010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04C2/1071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 F04C2/1073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where one member is stationary while the other member rotates and orb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Abstract

급출조작이 간단하고, 종동 플레이트와 용기의 접촉부에서의 유체의 누설에 의해 종동 플레이트를 오염시키지 않으며, 소형화한 것임. 용기(2)내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에 종동 플레이트(22)가 배치되고, 플레이트(22)에 형성된 장착공(22a)에 펌프(21)의 흡입부(21a)가 장착되며, 이 상태에서 펌프(21)에 의해 저장유체(14)를 급출하는 급출장치(13)에 있어서, 펌프(21)와, 펌프(21)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주(18)와, 용기(2)가 안치된 지주(18)를 따라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된 승강대(20)와, 승강대(20)를 매달아 용기(2)내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을 플레이트(22)에 눌리도록 상승방향으로 승강대(20)를 지지하는 인장 스프링(31) 및 스프링(31)의 상단부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 작동부(34)를 구비한다.
급출, 용기, 펌프, 저장유체, 승강대, 스프링

Description

급출장치 및 저장유체의 급출방법{Drawing Device and Method of Drawing Contained Flui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들통(pail)과 드럼통 등의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페이스트형 또는 크림형의 시일(seal)제, 제진제, 연고, 퍼티(putty)제 등의 고점도액이나, 물에 가까운 점성을 가지는 저점도액 등의 각종 액체 또는 분립체를 펌프로 끌어올려 유출시킬 수 있는 급출장치 및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급출장치의 일례를 도 5의 (a), (b) 및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급출장치(1)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통 등의 용기(2)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3)를 펌프장치(4)로 흡입하고, 그 흡입된 액체(3)를 플렉시블관(5) 및 고정 공급관(6)을 통해 소정의 공급장소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펌프장치(4)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짧은 원통형의 케이싱(7)을 구비하고, 이 케이싱(7)의 하단부는 흡입부(7a)가 형성되고, 상단부 근방에는 유출부(7b)가 형성된다. 이 유출부(7b)는 플렉시블관(5)이 끼워져 고정 공급관(6)과 접속한다. 또한, 이 펌프장치(4)는 브라켓(8)을 매개로 승강장치(9)에 부착되며, 이 승강 장치(9)에 의해 승강이동할 수 있다.
이 급출장치(1)를 사용하여 용기(2)내의 액체(3)를 급출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장치(4)의 흡입부(7a)에 종동 플레이트(follow plate)(10)를 부착한다. 그리고, 펌프장치(4)의 하부방향 위치에 액체(3)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2)를 베이스부재(11)위에 올려 놓는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9)를 작동시켜서 펌프장치(4)를 하강시키며, 종동 플레이트(10)의 하면이 용기(2)내의 액체(3)의 액면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펌프장치(4)의 하강을 정지시킨다. 이 펌프장치(4)의 승강이동은 펌프장치(4)의 브라켓(8)과 연결된 체인(9a)을 상하 방향으로 주행시킴에 따라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8)을 체인(9a)으로부터 분리하여 펌프장치(4)가 승강장치(9)의 지주(1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다음에, 펌프장치(4)를 작동시킨다. 펌프장치(4)가 작동하면, 흡입부(7a)로부터 용기(2)내의 액체(3)를 흡입하여 유출부(7b)에서 토출시키며, 액체(3)를 플렉시블관(5) 및 고정 공급관(6)을 통해 소정의 공급장소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2)내의 액체(3)가 펌프장치(4)에 의해 급출되어 감소하면, 이에 수반하여 펌프장치(4) 및 종동 플레이트(10)가, 그 자중에 의해 액면을 따라 하강한다. 이에 따라, 용기(2)내의 거의 모든 액체(3)를 펌프장치(4)를 사용하여 급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급출장치의 다른 예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5의 (c)에 도시된 급출장치(1)와 같이, 용기(2)내의 액체(3)를 급출하는 경우에, 펌프장치(4)를 체인(9a)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용기(2)내의 액면이 하강함에 따라 펌프장치(4)를 승강장치(9)에 의해 하강이동시키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 공개공보 특개 제2005-133676호
그러나, 도 5의 (a), (b) 및 (c)에 도시된 전자의 종래 급출장치(1) 및 도시되지 않은 후자의 종래 급출장치에서는, 펌프장치(4)에 부착되어 있는 종동 플레이트(10)를 용기(2)내의 액체(3)의 액면에 접촉시켜서 급출을 개시하는 경우나, 용기(2)내의 액체(3)를 급출하는 경우, 더욱이 용기(2)내의 액체(3) 급출을 종료하는 경우에, 펌프장치(4)를 승강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펌프장치(4)의 유출부(7b)와 고정 공급관(6)과의 사이에 플렉시블관(5)을 접속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펌프장치(4)가 승강이동하는 경우, 펌프장치(4)와 플렉시블관(5)에 대하여 국부적으로 힘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플렉시블관(5)을 어느 정도 여유있는 길이로 설정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급출장치 전체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c)에 도시된 종래의 급출장치(1)에서는, 브라켓(8)을 체인(9a)으로부터 분리하여 펌프장치(4)가 승강장치(9)의 지주(1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지만, 분리하는 작업이 번잡하고, 시간이 걸린다. 또한, 펌프장치(4)를 체인(9a)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펌프장치(4)에 의해 급출하는 작업을 하면, 펌프장치(4)가 용기내의 액체(3)의 액면을 따라 하강하지 못하여 용기(2)내의 액체(3)를 소정유량으로 급출할 수 없게된다.
또한, 도 5의 (c)에서는 펌프장치(4)가 승강장치(9)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펌프장치(4)가 승강장치(9)에 안내되어 승강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종래의 급출장치(1)에서는 펌프장치(4)에 의해 급출작업을 하는 경우에, 펌프장치(4)가 승강장치(9)로부터 분리되어 펌프장치(4) 및 플렉시블관(5)의 중량이 종동 플레이트(10)상에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해, 종동 플레이트(10)의 외주부와 용기(2)의 내주면의 접촉부분으로부터 용기(2)내의 액체(3)가 누출되어 그 누출된 액체(3)가 종동 플레이트(10)의 상면과 펌프장치(4)의 흡입부(7a)를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급출조작이 간편하고, 종동 플레이트와 용기의 접촉부에서의 유체의 누출에 의해 종동 플레이트가 오염되지 않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급출장치 및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는,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종동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이 종동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에 펌프의 흡입부가 장착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저장유체를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하여 유출시킬 수 있는 급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이 펌프가 고정되어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상기 지주를 따라 승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승강부 및 일단측이 상기 승강부와 결합하여 상기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상기 종동 플레이트에 눌리도록 상승방향으로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에 의하면, 용기내의 저장유체를 펌프에 의해 급출해서 저장유체의 유체면이 하강하게 되면,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중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저장유체의 중량에 의한 스프링의 변형량도 이에 수반하여 작아지게 되어 용기가 상승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장유체의 유체면이 거의 일정한 높이로 유지된다. 따라서,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종동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이 종동 플레이트의 장착공에 펌프의 흡입부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용기내의 저장유체를 연속하여 급출할 수 있다.
그리고, 펌프가 지주에 고정되게 설치됨으로써, 펌프가 용기내의 저장유체를 급출하는 경우에, 펌프 및 이 펌프에 접속된 플렉시블관의 중량이 종동 플레이트에 걸리지 않게되며, 더욱이 스프링이 용기를 상승방향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됨으로써, 종동 플레이트가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거의 일정하게 예를 들면, 작은 힘으로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펌프에 의해 용기내의 저장유체를 급출하는 작업을 하면, 이 급출작업을 개시할때부터 급출작업을 종료할때까지의 전체 기간에 있어서 종동 플레이트가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거의 일정한 작은 힘으로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인장 스프링이고, 상기 승강부를 매달며, 상기 스프링의 상단측이 승강 작동부에 의해 승강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에 의하면, 승강부가 스프링을 통해서 승강 작동부에 매달리도록 함으로써 승강 작동부를 작동시킴에 따라 승강부를 소정의 하강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부가 소정의 하강위치에 있는 경우에, 이 승강부에 저장유체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작동부를 작동시킴에 따라, 승강부를 상승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종동 플레이트를 배치시키고, 이 종동 플레이트의 장착공에 펌프의 흡입부가 장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그 후,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급출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종동 플레이트를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배치하여 놓고, 그 후로 용기를 상승시켜 종동 플레이트의 장착공에 펌프의 흡입부를 장착할 수도 있고, 또는 미리 종동 플레이트를 펌프의 흡입부에 장착하고, 그 후 용기를 상승시켜 종동 플레이트를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접촉킬 수도 있다.
그리고, 급출작업을 시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종동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어, 이 종동 플레이트의 장착공에 펌프의 흡입부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용기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승강 작동부를 작동시킴에 따라 종동 플레이트가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작은 힘으로 누르는 상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종동 플레이트가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누르는 힘은, 펌프의 흡입력에 더해지는 힘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급출작업중에 걸리는 종동 플레이트의 외주부와 용기 내주면과의 마찰력에 대항하는 힘으로서도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는,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일축 편심 나사펌프이고, 이 일축 편심 나사펌프를 구비한 펌프가 1개의 상기 지주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작동부는 수동식의 권양부로 이루어져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에 의하면, 펌프로서 일축 편심 나사펌프를 사용함에 따라 용기내의 저장유체를 효율높게 일정한 유량으로 급출할 수 있다. 그리고, 1개의 지주에 펌프를 부착한 구성에 의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공간이 적어지며, 비용이 절감되고, 더욱이 지주가 급출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급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작동부를 수동식의 권양부로 함에 따라, 전동식 등의 동력식 권양방식과 비교하여 승강 작동부의 유지관리비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는,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흡입부가 선단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미리 종동 플레이트를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배치하고, 그 후로 용기를 상승시켜 종동 플레이트의 장착공에 펌프의 흡입부를 장착하는 경우에, 펌프의 흡입부가 종동 플레이트의 장착공의 내주면으로 안내되어 그 흡입부를 장착공에 확실하게 밀봉상태로 장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저장유체의 비중에 대응하는 스프링상수의 것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에 의하면, 펌프가 저장유체를 급출하는 경우에, 용기내의 저장유체가 감소하여 유체면이 내려가고, 종동 플레이트가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누르는 힘이 작아지게 되면,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중량이 작아져서 그 만큼, 스프링력에 의해 용기를 들어올려 종동 플레이트가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누르는 힘이 커지도록 한다. 따라서, 유체면이 내려가는 만큼 용기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여 저장유체의 비중에 대응하여 스프링상수를 설정함에 따라 급출 작업중에 있어서 종동 플레이트가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누르는 힘이 거의 일정하게 작은 힘으로 될 수 있어, 저장유체를 안정된 유량으로 급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른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은,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종동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이 종동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에 펌프의 흡입부가 장착되며, 상기 펌프로 상기 저장유체를 상기 흡입부로부터 끌어올려 유출시키는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흡입부를 고정하여 배치하고, 상기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상기 종동 플레이트에 눌리도록 상승방향으로 상기 용기를 스프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른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와 마찬가지로, 펌프가 저장유체를 급출하는 경우에,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잔량에 관계없이 종동 플레이트가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누르는 힘이 거의 일정하게 작은 힘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저장유체를 안정된 유량으로 급출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른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은,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기내의 상기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상기 종동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그 후, 이 유체면에 배치된 상기 종동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에 상기 펌프의 흡입부를 장착하며, 상기 펌프로 상기 저장유체를 상기 흡입부로부터 끌어올려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른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에 의하면, 용기내의 저장유체를 급출하기 전의 상태에서,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미리 종동 플레이트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동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저장유체의 유체면과의 사이에 공기가 존재해도 그 공기를 급출작업 전에 빼낼 수 있어 공기를 포함하지 않고 저장유체를 급출하여 원하는 장소에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른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은, 청구항 6 또는 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인장 스프링이고, 이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용기를 매달아 상기 스프링에 의해 유체면을 상기 종동 플레이트로 소정의 힘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른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은, 청구항 6 또는 7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인장스프링이고, 이 스프링에 의해 상기 용기를 매달아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유체면을 상기 종동 플레이트로 소정의 힘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른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와 마찬가지로,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종동 플레이트에 소정의 힘으로 누르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누르는 힘은 펌프의 흡입력에 더해지는 힘으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급출작업중에 있어서 종동 플레이트의 외주부와 용기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에 대항하는 힘으로도 작용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고점도의 저장유체를 급출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 및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른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에 의하면, 펌프를 예를 들면 지주에 고정되게 설치하고, 펌프가 용기내의 저장유체를 급출하는 경우에, 펌프 및 이 펌프에 접속시키는 플렉시블관의 중량이 종동 플레이트에 걸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내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종동 플레이트로 눌러 상승방향으로 용기를 스프링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저장유체의 비중 등에 기초하여 스프링상수를 설정함에 따라 급출작업중에 있어서, 종동 플레이트가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누르는 힘이 거의 일정한 작은 힘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동 플레이트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대한 누르는 힘이 지나치게 크게되는 경우가 없고, 그 결과, 종동 플레이트의 외주부와 용기의 내주면과의 접촉부분으로부터 용기내의 저장유체가 누출되어 저장유체가 종동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펌프의 흡입부를 오염시키지 않고, 깨끗한 작업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펌프가 지주에 고정되어 승강이동이 되지 않음으로써, 펌프의 유출부에 예를 들면, 플렉시블관을 접속하는 경우에, 펌프가 승강이동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관을 여유있는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비교적 짧은 플렉시블관을 사용할 수 있어 그 만큼 급출장치 전체의 부피를 비교적 작게할 수 있다.
또한, 펌프를 지주에 고정한 상태로 급출작업을 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각 용기마다 급출작업시에, 펌프를 예를 들면 승강장치로부터 분리되도록 작업할 필요가 없고이 급출작업을 종래보다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분리조작을 하지않음에 따라 부도합(不都合)도 일어나지 않아 용기내의 저장유체를 안정된 소정의 유량으로 급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실시예에 따른 급출장치를 사용하여 용기내의 저장유체를 급출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하강위치에 있는 승강대상에 용기를 안치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고, (b)는 승강대를 상승시켜 용기내에 배치되어 있는 종동 플레이트의 장착공을 펌프의 흡입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예에 따른 급출장치를 사용하여 용기내의 저장유체를 급출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펌프에 의해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일부를 급출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고, (b)는 펌프에 의해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거의 전부를 급출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4는 동 실시예에 따른 급출장치를 사용하여 용기내의 저장액을 급출한 다음 승강대를 하강위치로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급출장치를 사용하여 용기내의 저장액을 급출하는 순서를 설 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상승위치에 있는 펌프장치의 하방위치에 액체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b)는 펌프장치를 하강시켜 종동 플레이트의 하면을 용기내의 액체의 액면에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c)는 펌프장치에 의해 용기내의 액체를 급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부호설명]
2 : 용기
2a : 내주면
13 : 급출장치
14 : 저장유체
14a : 유체면
15 : 펌프장치
16 : 유출부
17 : 브라켓
18 : 지주
19 : 승강 기구부
20 : 승강대
21 : 펌프
21a : 흡입부
21b : 플랜지부
22 : 종동 플레이트
22a : 장착공
22b : 외주면
23 : 펌프 케이싱
24 : 감속기
25 : 전동모터
26 : 고정 공급관
27 : 설치대
28 : 레일
29 : 슬라이드부
30 : 연결구
31 : 인장 스프링
32 : 인장 걸림부
33 : 체인
34 : 승강 작동부
34a : 승강핸들
35 : 안정커버
36 : 조작 제어박스
37 : 바닥면
38 : 플렉시블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 및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급출장치(13)는, 본 발명의 급출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들통이나 드럼통 등의 용기(2)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유체(14)를 펌프장치(15)로 끌어올려 유출부(16)로부터 소정 유량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저장유체(14)는 예를 들면, 페이스트형 또는 크림형의 시일(seal)제, 제진제, 연고, 퍼티(putty)제 등의 고점도액과, 물에 가까운 점성을 가지는 저점도액이다. 그리고, 용기(2)는 예를 들면, 상측으로 개구되고 저부를 갖는 짧은 원통형상으로서, 임의의 높이에 대해서 내측의 횡단면적(D)이 거의 일정한 것이다.
급출장치(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장치(15)를 구비하고, 이 펌프장치(15)는 브라켓(17)을 매개로 지주(18)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 지주(18)에는 승강 기구부(19)가 설치되고, 이 승강 기구부(19)에 의해 승강대(20) 및 이 승강대(20)상에 설치되어 있는 용기(2)가 승강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펌프장치(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1)의 하단부에 형성된 흡입부(21a)로부터 용기(2)내의 저장유체(14)를 흡입하여 유출부(16)에서 소정유량으로 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펌프(21)는 그 흡입부(21a)에 종동 플레이트(22)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 것이고, 그 상단부에 펌프 케이싱(23)이 결합되어 있다. 이 펌프 케이싱(23)의 상단부에는 감속기(24) 및 전동모터(25)가 결합되고, 이 감속기(24)에 브라켓(17)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브라켓(17)을 매개로 지주(18)의 상단부에 펌프장치(15)가 고정되어 결합된다.
펌프(2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형의 일축편심 나사펌프이고, 로터와 스테이터를 가지고 있다. 로터는 숫나사 형상이고, 암나사 형상의 내부공을 가지는 스테이터에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터의 상단은 커넥팅 로드를 끼워서 감속기(24)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의 상하 각 단부는 각각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감속기(24)의 회전축 및 로터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1)의 유출부(16)는 호스 등의 플렉시블관(38)을 매개로 고정 공급관(26)이 접속되어 있다. 이 고정 공급관(26)은 지주(18)를 따라 고정 결합되고, 더욱이 설치대(27) 및 바닥면(37)의 상면을 따라 소정의 공급장소까지 배관되어 있다.
승강 기구부(19)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가 안치된 승강대(20)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레일(28)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한 쌍의 레일(28)에 대하여 승강대(20)가 슬라이드부(29)를 매개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레일(28)은 1개의 지주(18)에 설치되고, 이 1개의 지주(18)의 하단부에는 설치대(27)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대(27)는 바닥면(37)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0)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 드부(29)에는 연결구(30)가 끼워져 인장 스프링(인장 코일스프링)(31)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이 인장 스프링(31)의 상단부는 걸림부(32)가 끼워져 체인(33)과 연결되어 있다. 이 체인(33)은 지주(18)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 작동부(34)에 감겨 걸려있다. 이 승강 작동부(34)는 예를 들면, 체인 레버 호이스트 등의 권양기이고, 이 승강 작동부(34)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핸들(34a)을 작업자가 회전조작함에 의해 체인(33)을 감아올리거나 되감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승강대(20) 및 이에 안치되어 있는 용기(2)를 레일(28)을 따라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 작동부(34)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핸들(34a)을 작업자가 회전조작하는 것에 의해, 체인(33) 및 인장 스프링(31)을 매개로 승강대(20) 및 이에 안치되어 있는 용기(2)를 매단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상태로 용기(2)내의 저장유체(14)를 펌프(21)로 급출시켜 저장유체(14)의 중량이 작아지게되면, 그만큼 스프링(31)이 단축되어 승강대(20) 및 용기(2)는 레일(28)을 따라 자동적으로 상승이동하게 된다.
더욱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1)의 흡입부(21a)는, 선단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역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흡입부(21a)가 장착되는 종동 플레이트(22)의 장착공(22a)은 흡입부(21a)와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역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동 플레이트(22)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거의 원판형체로서, 저장유체(14)에 뜨는 재질, 예를 들면, 발포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와 발포 합성고무의 독립 기포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동 플레이트(22)는 유연성을 가지며, 용기(2)의 내경보다도 조금 큰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종동 플레이트(22)를 용기(2)안으로 압입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는, 종동 플레이트(22)의 외주부(22b)와 용기(2)의 내주면(2a)과의 접촉부가 밀봉된다. 또한, 종동 플레이트(22)는 하부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장착공(22a)이 형성된다.
장착공(22a)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 플레이트(22)를 용기(2)에 삽입하여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에 배치하는 경우에, 종동 플레이트(22)의 하부면과 유체면(14a)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이 장착공(22a)을 통해서 외기중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장착공(22a)의 내주면은, 펌프(21)의 흡입부(21a)와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인 것과 발포 합성수지제 등의 종동 플레이트(22)가 유연성을 가짐에 따라, 펌프(21)의 흡입부(21a)가 장착공(22a)에 장착되는 경우에, 장착공(22a)과 흡입부(21a)가 끼워져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됨과 동시에, 그 끼움부가 밀봉된다.
다만,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1)의 흡입부(21a)가 장착공(22a)에 대하여 소정의 깊이로 장착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흡입부(21a)에 플랜지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20)의 주위에는 안전커버(35)가 결합되고(도 2 내지 도 4에는 안전커버(35)가 미도시됨), 지주(18)에는 조작 제어박스(36)가 결합된다. 이 조작 제어박스(36)는 펌프장치(15)를 작동 및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급출장치(13)를 사용하여, 용기(2)내의 저장유체(14)를 급출하여 유출부(16), 플렉시블관(38) 및 고정 공급관(26)을 통하여 소정의 공급장소로 공급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상에 종동 플레이트(22)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종동 플레이트(22)를 용기(2)안에 배치하는 것은, 예를 들면 용기(2)를 급출장치(13)에 결합하기 전 단계로서, 종동 플레이트(22)의 장착공(22a)에 펌프(21)의 흡입부(21a)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종동 플레이트(22)는 유연성을 가지며, 용기(2)의 내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동 플레이트(22)를 용기(2)안에 압입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는, 종동 플레이트(22)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그 외주부(22b)와 용기(2)의 내주면(2a)과의 접촉부가 밀봉된다.
이 상태에서, 종동 플레이트(22)를 용기(2)안에 다시 압입하면, 종동 플레이트(22)의 하부면과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장착공(22a)을 통하여 외기중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 플레이트(22)를 그 하부면과 유체면(14a)과의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그 유체면(14a)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저장유체(14)가 장착공(22a)안에 유입하는 상태가 되기까지, 종동 플레이트(22)를 용기(2)안으로 압입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이 종동 플레이트(22)가 결합된 용기(2)를 급출장치(13)의 승강대(20) 위에 안치한다. 다만, 작 업자는 용기(2)를 승강대(20)상에 안치하기 전에, 승강핸들(34a)을 회전조작하여 승강대(20)를 소정의 하강위치로 하강시켜 둔다.
그리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승강핸들(34a)을 회전조작하여 용기(2)가 안치된 승강대(20)를 상승이동시켜 종동 플레이트(22)의 장착공(22a)에 펌프(21)의 흡입부(21a)를 장착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장착공(22a)에 펌프(21)의 흡입부(21a)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승강핸들(34a)을 동일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수만큼 회동조작한다. 이에 따라, 종동 플레이트(22)가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을 소정의 힘으로 누른 상태로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동 플레이트(22)가 유체면(14a)을 소정의 힘으로 누르는 상태로 함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펌프(21)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교적 고점도의 저장유체(14)를 용기(2)로부터 급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펌프장치(15)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안의 저장유체(14)를 펌프(21)의 흡입부(21a)로부터 흡입하여 유출부(16)에서 유출시키고, 다시 플렉시블관(38) 및 고정 공급관(26)을 통하여 소정의 공급장소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종동 플레이트(22)의 하부면측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펌프(21)로 흡입된 저장유체(14)중에 공기가 포함되지 않으며, 따라서, 저장유체(14)를 소정유량으로 펌프(21)의 유출부(16)에서 확실하게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안의 저장유체(14)를 펌프(21)로 급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기(2)안의 저장유 체(14)의 유체면(14a)이 하강하는 것에 수반하여, 용기(2)가 스프링력 및 펌프(21)의 흡인력에 의해 상승이동한다. 따라서, 급출작업중에 있어서,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에 종동 플레이트(22)가 배치되어 감으로써, 이 종동 플레이트(22)의 장착공(22a)에 펌프(21)의 흡입부(21a)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용기(2)안의 저장유체(14)를 연속하여 급출할 수 있다. 더욱이, 종동 플레이트(22)가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을 누르는 힘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유체(14)를 안정된 유량으로 급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안의 저장유체(14)가 감소하게 되고, 저장유체(14)를 소정 유량으로 끌어올릴 수 없게 되기전의 미리 정해진 양으로 되는 경우에, 사용이 끝난 용기(2)를 규정량의 저장유체(14)가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용기(2)로 교환한다.
즉, 도 3의 (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승강 작동부(34)의 승강핸들(34a)을 조작하여 승강대(20)를 하강이동시키고, 종동 플레이트(22)의 장착공(22a)을 펌프(21)의 흡입부(21a)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이 종동 플레이트(22)가 수용된 사용후의 용기(2)를 승강대(20)에서 분리하여 소정량의 저장유체(14)가 저장되어 있는 새로운 용기(2)를 승강대(20)상에 안치한다. 이 새로운 용기(2)에는 도 1 및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종동 플레이트(22)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b) 및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마 찬가지의 순서대로 수행함에 따라, 종동 플레이트(22)의 장착공(22a)을 펌프(21)의 흡입부(22a)에 장착하여 용기(2)안의 저장유체(14)를 펌프(21)로 급출하여 소정유량으로 유출부(16)에서 유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급출장치(13) 및 저장유체(14)의 급출방법의 작용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안의 저장유체(14)가 펌프(21)에 의해 급출되어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 높이가 h1 만큼 하강한 경우에는,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중량이 G( = γ(비중량) × D(용기(2)안의 횡단면적) × h1(유체면(14a)의 감소높이))만큼 작아지기 때문에, 저장유체(14)의 감소중량(G)에 비례하여 스프링(31)의 길이도 그에 수반하여 h2 만큼 짧아지게 되어 용기(2)가 h2 만큼 상승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h1(유체면(14a)의 감소높이) = h2(용기(2)의 상승이동량)으로 되도록 스프링상수(k)를 설정한다. 즉, 스프링상수(k)는 다음과 같이 된다.
스프링상수 k = γ × D ×h1 ÷ h2 = γ × D ····(1)
이에 따라,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인 바닥면(37)에서의 높이(H)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에 종동 플레이트(22)가 배치되고, 이 종동 플레이트(22)의 장착공(22a)에 펌프(21)의 흡입부(21a)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용기(2)안의 저장유체(14)를 연속하여 안정된 유량으로 급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유체(14)의 비중량(γ)과 용기(2)의 내측 횡단면적(D)을 변경하 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스프링상수(k)를 식(1)로 산출하여 그 스프링상수(k)의 스프링으로 교체하여 급출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1)가 용기(2)안의 저장유체(14)를 급출하는 경우에, 종동 플레이트(22)가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을 거의 일정한 힘으로 누르게 할 수 있다.
즉,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승강핸들(34a)을 회전조작하여 용기(2)를 상승이동시키고, 종동 플레이트(22)의 장착공(22a)을 펌프장치(15)의 흡입부(21a)에 접촉시키고, 이 상태에서 승강핸들(34a)을 다시 동일방향으로 소정 회전수만큼 회전조작한다. 이에 따라, 종동 플레이트(22)가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을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1)에 의해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급출작업을 하면, 이 급출작업을 개시한 경우부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출작업을 종료할때까지의 전체 기간에 있어서, 종동 플레이트(22)를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을 거의 일정한 소정의 힘으로 누를 수 있다.
이 종동 플레이트(22)가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을 하부방향으로 누르는 힘은, 펌프(21)의 흡입력에 더해지는 힘으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급출작업중에 있어서 종동 플레이트(22)의 외주부(22b)와 용기(2)의 내주면(2a)과의 마찰력에 대항하는 힘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고점도의 저장유체(14)를 용기(2)안에서 안정된 유량으로 급출할 수 있다.
그리고, 급출작업중에 있어서, 종동 플레이트(22)가, 적절한 소정의 일정한 힘으로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을 하부방향으로 누르도록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종동 플레이트(22)가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에 대하여 누르는 힘이 지나치게 크게되지 않고, 이에 따라, 종동 플레이트(22)의 외주부(22b)와 용기(2)의 내주면(2a)과의 접촉부분으로부터 용기(2)안의 저장유체(14)가 누출되어 저장유체(14)가 종동 플레이트(22)의 상면과 펌프장치(15)의 흡입부(21a)를 오염시키지 않고 깨끗한 작업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1)를 지주(18)에 고정 설치하고, 펌프(21)가 용기(2)안의 저장유체(14)를 급출하는 경우에, 펌프(21) 및 이 펌프(21)에 접속되어 있는 플렉시블관(38)의 중량이 종동 플레이트(22)에 걸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2)안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을 종동 플레이트(22)로 누르는 상승방향으로 용기(2)를 스프링(31)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 2의 (b)에 있어서, 종동 플레이트(22)와 유체면(14a)이 작은 힘으로 접촉하여 합해져 승강핸들(34a)을 조작조정하여 이 상태로 급출작업을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정하면, 종동 플레이트(22)가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을 거의 일정한 작은 힘으로 누르는 상태로 급출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장치(15)가 지주(18)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이 지주(18)를 따라 승강이동하지 않음으로써, 펌프(21)의 유출부(16)에 플렉시블관(38)을 접속하는 경우에도, 펌프(21)가 승강이동가능하도록 플렉시블 관(38)을 여유있는 길이로 설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비교적 짧은 플렉시블관(38)을 사용할 수 있어 그 만큼 급출장치(13) 전체의 부피를 비교적 작게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장치(15)를 지주(18)에 고정하여 결합한 상태로 급출작업을 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각 용기(2)마다 급출작업을 할때, 펌프(21)를 예를 들면 승강 기구부(19)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급출작업을 종래보다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리조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부도합도 일어나지 않아 용기(2)내의 저장유체(14)를 안정되게 소정유량으로 급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급출장치(13)에 의하면, 펌프(21)로서 일축 편심 나사펌프(21)를 사용함에 따라, 용기(2)안의 저장유체(14)를 효율적이고 일정한 유량으로 급출할 수 있다. 그리고, 1개의 지주(18)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의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공간이 적게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더욱이, 지주(18)가 급출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급출장치(13)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작동부(34)를 수동식의 권양기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승강 작동부(34)의 유지관리비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1)의 흡입부(21a)를 선단측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예를 들면 미리 종동 플레이트(22)를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에 배치하고, 그 다음에 용기(2)를 상승시켜 종동 플레이트(22)의 장착공(22a)에 펌프(21)의 흡입부(21a)를 장착하는 경우에, 펌프(21)의 흡입부(21a)를 종동 플레이트(22)의 장착공(22a)의 내주면에 안내하여 그 흡입부(21a)를 장착공(22a)에 확실하게 밀봉상태로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장유체(14)의 급출작업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종동 플레이트(22)를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에 배치해두고, 그 다음에 용기(2)를 상승시켜 종동 플레이트(22)의 장착공(22a)에 펌프(21)의 흡입부(21a)를 장착했지만, 그 대신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미리 종동 플레이트(22)를 펌프(21)의 흡입부(21a)에 장착해두고, 그 다음에 용기(2)를 상승시켜 종동 플레이트(22)를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유체면(14a)에 접촉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31)을 사용하여 승강대(20)를 상승방향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인장 스프링(31)을 대신하여,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여 승강대(20)를 상승방향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용기(2)에 저장유체(14)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저장유체(14)의 중량에 의해 압축 스프링이 압축되어 용기(2)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이로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용기(2)안의 저장유체(14)가 펌프(21)에 의해 급출되어 감소하면, 용기(2)안의 저장유체(14)의 중량감소에 의해 압축 스프링이 신장되고, 용기(2)가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높이로 상승이동하도록 스프링상수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 플레이트(22)의 외주부(22b)와 용기(2)의 내주면(2a)과의 접촉부를 밀봉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종동 플레이트(22)의 외주부(22b)가, 용기(2)의 내주면(2a)에 부착되는 저장유체(14)를 긁어낼 수 있는 정도의 접촉부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종동 플레이트(22)의 외주부(22b)와 용기(2)의 내주면(2a)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종동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기구부(19)로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그 외에 예를 들면, 전동모터와 유압식, 공기압식의 구동부에 의해 승강대(20)를 승강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1)의 유출부(16)에 호스 등의 플렉시블관(38)을 끼워서 고정 공급관(26)을 접속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펌프(21)의 유출부(16)에 직접 고정 공급관(26)을 접속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출장치 및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은, 급출조작이 간단하고, 종동 플레이트와 용기의 접촉부에서의 유체의 누설에 의해 종동 플레이트를 오염시키는 일이 없고,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이와 같은 급출장치 및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으로 적용함에 적합하다.

Claims (8)

  1.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종동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종동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에 펌프의 흡입부가 장착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저장유체를 상기 흡입부로부터 끌어올려 유출시킬 수 있는 급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펌프가 고정되어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용기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지주를 따라 자유롭게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 및 일단측이 상기 승강부와 결합하여 상기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이 상기 종동 플레이트에 눌리도록 상승방향으로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인장 스프링이고, 상기 승강부를 매달며, 상기 스프링의 상단측이 승강 작동부에 의해 승강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일축 편심 나사펌프이고, 상기 일축 편심 나사펌프를 구비한 펌 프장치가 1개의 상기 지주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작동부는 수동식의 권양부로서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출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흡입부는, 선단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저장유체의 비중에 대응하는 스프링상수를 갖는 것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출장치.
  6.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종동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종동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에 펌프의 흡입부가 장착되며, 상기 펌프로 상기 저장유체를 상기 흡입부로부터 끌어올려 유출시키는 저장유체의 급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흡입부를 고정하여 배치하고, 상기 용기내의 저장유체의 유체면을 상기 종동 플레이트에 눌리도록 상승방향으로 상기 용기를 스프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유체의 급출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기내의 상기 저장유체의 유체면에 상기 종동 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상기 유체면에 배치된 상기 종동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공에 상기 펌프의 흡입부를 장착하며, 상기 펌프로 상기 저장유체를 상기 흡입부로부터 끌어올려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유체의 급출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인장 스프링이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용기를 매달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유체면을 상기 종동 플레이트가 소정의 힘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유체의 급출방법.
KR1020097018372A 2007-04-23 2008-04-23 급출장치 및 저장유체의 급출방법 KR101080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12875 2007-04-23
JP2007112875A JP5196220B2 (ja) 2007-04-23 2007-04-23 汲出し装置
PCT/JP2008/001058 WO2008132839A1 (ja) 2007-04-23 2008-04-23 汲出し装置及び貯留流体の汲出し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116A KR20090108116A (ko) 2009-10-14
KR101080462B1 true KR101080462B1 (ko) 2011-11-04

Family

ID=3992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372A KR101080462B1 (ko) 2007-04-23 2008-04-23 급출장치 및 저장유체의 급출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91272B2 (ko)
EP (1) EP2138721A4 (ko)
JP (1) JP5196220B2 (ko)
KR (1) KR101080462B1 (ko)
CN (1) CN101657638B (ko)
BR (1) BRPI0809714A2 (ko)
WO (1) WO2008132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0658B2 (en) * 2006-11-28 2009-10-13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Viscous material feed system with platen and method
JP5196220B2 (ja) * 2007-04-23 2013-05-15 兵神装備株式会社 汲出し装置
US10913651B2 (en) 2015-09-24 2021-02-0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Container emptying device and methods for operating and cleaning a container emptying device
DE102016002263A1 (de) 2016-02-25 2017-08-31 Pressol - Schmiergeräte GmbH Fördervorrichtung zur Förderung eines fließfähigen Mediums
JP6613968B2 (ja) * 2016-03-08 2019-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流動性材料の供給装置
DE102017105533A1 (de) 2017-03-15 2018-09-20 Udo Tartler Vorrichtung zum Evakuieren eines Behälters mit pastöser Flüssigkeit
CN108223331B (zh) * 2018-01-06 2023-12-26 西南石油大学 一种有杆抽油泵与地面驱动螺杆泵组合式抽油系统
CN108516515A (zh) * 2018-05-22 2018-09-11 快克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高粘度液体供给装置
JP7407439B2 (ja) * 2019-10-24 2024-01-04 兵神装備株式会社 流体圧送装置
IT201900025237A1 (it) * 2019-12-23 2021-06-23 C S F Inox S P A Metodo e sistema per svuotare un recipiente, ad esempio un fusto, contenente un prodotto fluid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675A (ja) 2003-10-31 2005-05-26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フォロープレート
JP2006336596A (ja) 2005-06-06 2006-12-14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アジャスタブルフォロープレ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7918Y1 (ko) * 1968-12-26 1972-03-25
US4259041A (en) * 1979-06-21 1981-03-31 Kobe, Inc. High flow standing valve
US4519542A (en) * 1981-07-24 1985-05-28 John Blue Company, A Division Of Burnley Corporation Boomless, sprayer for field application for agricultural liquids
US4651897A (en) * 1984-10-22 1987-03-24 Sashco, Inc. Portable progressive cavity pump
JP2819172B2 (ja) * 1989-12-18 1998-10-30 株式会社新潟鐵工所 液体の供給装置
JP2870719B2 (ja) * 1993-01-29 1999-03-1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装置
JPH10218192A (ja) * 1997-02-12 1998-08-18 Nagahiro Hatano 手動式ポンプ補助用液面レベル補正機能付灯油用ポリタンク保持容器
JP4292264B2 (ja) 2003-10-31 2009-07-08 兵神装備株式会社 ディスチャージャ
JP4630070B2 (ja) * 2005-01-17 2011-0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液圧ブレーキ装置
DE102005049805B4 (de) * 2005-08-19 2007-06-14 Erich Scheugenpflug Entleervorrichtung
JP5196220B2 (ja) * 2007-04-23 2013-05-15 兵神装備株式会社 汲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675A (ja) 2003-10-31 2005-05-26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フォロープレート
JP2006336596A (ja) 2005-06-06 2006-12-14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アジャスタブルフォロープレ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91272B2 (en) 2013-07-23
JP5196220B2 (ja) 2013-05-15
CN101657638A (zh) 2010-02-24
CN101657638B (zh) 2012-06-27
EP2138721A1 (en) 2009-12-30
EP2138721A4 (en) 2015-07-15
US20100129252A1 (en) 2010-05-27
KR20090108116A (ko) 2009-10-14
BRPI0809714A2 (pt) 2014-09-30
JP2008267307A (ja) 2008-11-06
WO2008132839A1 (ja)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462B1 (ko) 급출장치 및 저장유체의 급출방법
AU20132347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arting up stirring machines in a sediment
US20070039978A1 (en) Emptying device
JP2020199617A5 (ko)
CN205324079U (zh) 一种浸漆罐
JP4168198B2 (ja) 容器内貯留液の汲み出し方法とその装置
JP2009185626A (ja) 汲出し装置用フォロープレート、汲出し装置用容器及び汲出し装置
JP2009047153A (ja) 内袋吸込み防止装置及び汲出し装置
JP2561762Y2 (ja) 潤滑給油ポンプ
US11820544B2 (en) Apparatus for emptying a flexible liner
CN209791580U (zh) 一种生物实验试剂混合用高效提取装置
CN212799598U (zh) 一种回流溶剂回收装置
JP4292264B2 (ja) ディスチャージャ
CN211678277U (zh) 一种分离型管式分离机的供料系统
JP4952081B2 (ja) フォロープレート、汲出し装置及び貯留液の汲出し方法
JP2003118799A (ja) 材料圧送装置
KR102058174B1 (ko) 잔유 저감 성능이 향상된 그리스 공급장치
JP3163640U (ja) 高粘度流体用ポンプ装置
CN219796852U (zh) 润滑剂加注装置
US11333137B2 (en) Spout assembly for a pump
KR101085969B1 (ko) 윤활유 공급장치
JPH11114464A (ja) 塗料供給装置の昇降スタンド
JP2012255344A (ja) 粘性液の供給方法
CN117839957A (zh) 用于液化天然气船舶内部板块粘合作业的自动涂抹装置
JP2002060167A (ja) 液圧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