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117B1 -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117B1
KR101080117B1 KR1020100020002A KR20100020002A KR101080117B1 KR 101080117 B1 KR101080117 B1 KR 101080117B1 KR 1020100020002 A KR1020100020002 A KR 1020100020002A KR 20100020002 A KR20100020002 A KR 20100020002A KR 101080117 B1 KR101080117 B1 KR 10108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unit
hanger plate
signal input
set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915A (ko
Inventor
최기윤
Original Assignee
(주)우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정공 filed Critical (주)우진정공
Priority to KR102010002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11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117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자동차 차체(2)를 이송시키는 조립라인(1)을 따라 이송하는 도어 장착유닛(10)의 일측에 장착된 베이스(20)와, 상기 차체(2)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베이스(20)에 결합된 슬라이드 패널(30)과,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에 힌지부(42)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조립라인(1)에 탑재된 차체(2)의 바퀴가 걸려지는 방향으로 펼쳐지는 행거 플레이트(40)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40)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42)를 중심으로 상기 행거 플레이트(40)가 펼쳐지거가 접혀지도록 작동시키는 로테이션 작동유닛과,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에 장착된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상기 차체(2)의 상기 바퀴에 걸려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40)에 의해 상기 차체(2)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상기 셋팅 신호 입력부(5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장착유닛(10)의 위치를 셋팅되도록 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Synchronous control apparatus for car line work}
본 발명은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글 스위치에 의해 도어 장착유닛과 차체를 동기화 구동시키는 구조를 갖는 종래에 비하여 근접센서를 주요 구성 요소로 채용하여 주요부의 소손이 손쉽게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작업성과 경제성 및 유지 보수 등의 여러가지 측면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라인에서는 차체에 엔진, 트랜스 미션 등 각종장치를 장착하기 위하여 조립라인(예를 들어,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체인 등)을 설치하고, 이러한 조립라인 위에 자체를 올려 조립라인을 따라 이송되어 상기의 제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체에 도어를 장착하는 경우, 조립라인의 컨베이어 위에 차체를 얹어놓고 조립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면서 도어 장착기와 같은 장비로 볼팅 작업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작업 공정중의 하나인 도어 장착 작업의 경우, 차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적소에 정지시키기 위한 감지장치, 도어의 후방을 들어주는 틸팅장치, 도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도어 높이조절장치 및 도어를 차체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도어선회장치 등이 전용라인에 설치된다. 또한, 자동차는 한 가지 차종만 생산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차종이 생산되기 때문에, 이들 차종에 따라 각 부분의 장치를 적절하게 구축하게 된다.
이때,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연속성을 갖도록 이루어져야 하는 한편, 모든 차종에 호환성 있게 동일한 조립라인을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차종별로 각각 다른 전용라인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전용라인 설치 부지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전체 전용라인 구성 부분을 중복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 토글 스위치와 도어 위치설정 장치 등을 구비한 도어 장착유닛을 차체 조립라인과 함께 이송시켜 도어 장착 작업을 할 수 있는 설비가 개발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종래 도어 장착유닛은 토글 스위치에 조립라인을 따라 움직이는 차체의 바퀴가 접촉되면, 토클 스위치가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로 되면서 도어 장착유닛과 차체를 조립라인을 따라 함께 이송되도록 구동시키고, 작업자는 차체와 동시에 이동하는 도어 장착유닛을 이용하여 차체에 도어를 달아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토글 스위치를 주요부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송하는 차체의 바퀴가 계속해서 토글 스위치의 접촉 부분(예를 들어, 터치바아 등)을 건드리면 이러한 바퀴 터치 부분이 휘어지는 작용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고, 이러한 누적되는 벤딩 작동으로 인해 토글 스위치 자체가 비교적 손쉽게 소손되는 단점이 있다. 즉, 토글 스위치에서 차체의 바퀴에 접촉되는 부분이 누적되는 휘어짐 작용에 의해 손쉽게 토글 스위치의 주요부가 소손되고 접속 부위도 마모되는 것과 같이 여러 가지 소손이 비교적 손쉽게 발생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손쉬운 소손으로 인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라인으로 통합된 조립라인으로 다양한 차종에 대한 도어 장착 작업을 호환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의 토글 스위치에 의해 도어 장착유닛과 차체를 동기화 구동시키는 방식에 비하여 차체와 도어 장착유닛을 동기화 작동시키는 주요부의 소손이 손쉽게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나아가, 유지 보수 등의 측면에서 합리성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차체(2)를 이송시키는 조립라인(1)을 따라 이송하는 도어 장착유닛(10)의 일측에 장착된 베이스(20)와, 상기 차체(2)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베이스(20)에 결합된 슬라이드 패널(30)과,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에 힌지부(42)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조립라인(1)에 탑재된 차체(2)의 바퀴가 걸려지는 방향으로 펼쳐지는 행거 플레이트(40)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40)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42)를 중심으로 상기 행거 플레이트(40)가 펼쳐지거가 접혀지도록 작동시키는 로테이션 작동유닛과,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에 장착된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상기 차체(2)의 상기 바퀴에 걸려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40)에 의해 상기 차체(2)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상기 셋팅 신호 입력부(5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장착유닛(10)의 위치를 셋팅되도록 하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작업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차체의 뒷바퀴가 행거 플레이트에 걸려지도록 주요부인 로테이션 구동유닛을 가동시켜서 행거 플레이트를 차체 방향으로 펼치고, 이렇게 펼쳐진 행거 플레이트가 차체 뒷바퀴에 걸려짐에 따라 슬라이드 패널과 이에 구비된 셋팅 신호 입력부가 베이스 위에서 옆방향(도 1과 도 2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슬라이드 패널이 이동함에 따라 셋팅 신호 입력부가 옆으로 배열된 어느 하나의 센서(근접 센서)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이러한 센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동기 유닛을 구동시켜 도어 장착유닛이 차체와 함께 이동되도록 동기화 유닛을 가동시키고, 이처럼 동기화 유닛에 의해 도어 장착유닛이 차체와 함께 이동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도어를 차체에 장착하는 제반 작업을 동기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어느 하나의 차체에 도어 장착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에 들어오는 차체에 도어를 장착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고, 다음에 들어오는 차체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이러한 도어 장착유닛과 함께 이송하는 과정과 원위치로 다시 복귀하는 과정을 조립라인 상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자동차 차체에 대한 제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센싱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센서(근접 센서)에 슬라이드 패널과 함께 이동하는 셋팅 신호 입력부가 각각 마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차종에 대한 도어 장착 작업 등을 호환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처럼 다양한 차종에 대한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을 근접 센서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토글 스위치를 이용한 설비에 비하여 차체와 도어 장착유닛을 동기화 작동시키는 주요부의 소손이 손쉽게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유지 보수 등의 측면에서 합리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차체와 도어 장착유닛의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을 근접 센서로 구성함으로써, 센서가 물리적으로 부딪히거나 센서에 마모력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므로, 종래의 토글 스위치 이용 설비에 비하여 동기화 작동 부분에 손쉬운 소손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주요부의 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기 제어장치를 채용한 자동차 작업 라인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동기 제어장치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2의 A 방향 측면도
도 6은 도 2의 B 방향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기 제어장치를 채용한 자동차 작업 라인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동기 제어장치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2의 A 방향 측면도, 도 6은 도 2의 B 방향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2)를 이송시키는 조립라인(1)을 따라 도어 장착유닛(10)이 이송하면서 차체(2)에 도어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자동차 조립라인(1)에 채용되는 동기 제어장치로서, 도어 장착유닛(10)의 일측에 장착된 베이스(20)와, 차체(2)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베이스(20)에 결합된 슬라이드 패널(30)과, 이러한 슬라이드 패널(30)에 힌지부(42)를 매개로 결합되어 힌지부(42)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행거 플레이트(40)와, 이 행거 플레이트(40)에 연결되어 힌지부(42)를 중심으로 행거 플레이트(40)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작동시키는 로테이션 작동유닛과, 슬라이드 패널(30)에 장착된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행거 플레이트(40)에 의해 이동하는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열된 센싱부를 갖는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20)는 차체(2)가 탑재되는 조립라인(1)의 측방에 설치된 엘엠 가이드와 같은 이송 가이드 기구를 매개로 저면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이러한 베이스(20)는 상측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 위에는 차체(2)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슬라이드 패널(30)이 구비된다. 이 슬라이드 패널(30)은 엘엠 가이드 등의 이송 가이드 기구(30a)(도 5에 도시됨)에 의해 베이스(20) 위에 구비되어 차체(2)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드 패널(30)은 상측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블록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드 패널(30)의 상면에는 후술할 행거 플레이트(40)의 훼동 궤적에 위치도록 스톱퍼(44)가 구비되어, 이러한 스톱퍼(44)에 의해 행거 플레이트(40)가 차체(2)의 바퀴에 걸려질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 행거 플레이트(40)는 스톱퍼(44)에 지지되어 차체(2)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행거 플레이트(40)는 슬라이드 패널(30)의 일측 상면에 힌지부(42)를 매개로 결합되어, 이러한 힌지부(42)를 중심으로 행거 플레이트(40)가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행거 플레이트(40)는 로테이션 작동유닛에 의해 차체(2)의 바퀴가 걸려지는 방향으로 펼쳐진다. 이때, 로테이션 작동유닛은 슬라이드 패널(30)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장착된 실린더(80)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실린더(80)의 실린더 로드(82)는 행거 플레이트(40)의 기단부에 힌지부(42)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실린더(80)는 접혀진 행거 플레이트(40)와 나란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로테이션 작동유닛을 구성하는 실린더(80)의 실린더 로드(82)를 인장시키면 힌지부(42)를 중심으로 행거 플레이트(40)가 접혀져서 실린더(80)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편, 실린더(80)의 실린더 로드(82)를 당겨주면 행거 플레이트(40)가 힌지부(42)를 중심으로 펼쳐지고, 이 행거 플레이트(40)는 슬라이드 패널(30)에 구비된 스톱퍼(44)에 걸려지면서 차체(2)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은 후술할 센싱부와 마주하도록 일측 위치에 셋팅 신호 입력부(50)가 구비된다. 이러한 셋팅 신호 입력부(50)는 슬라이드 패널(30)과 함께 이송하면서 센싱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센서(61,63 및 65)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배치된다. 이때, 센서(61,63 및 65)는 근접 센서이다.
상기 베이스(20)는 슬라이드 패널(30)과 함께 이동하는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센서 브라켓(70)이 직립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센서 브라켓(70)은 하단부에 베이스(20) 위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바텀 지지부(71)와, 이 바텀 지지부(71)에서 상향으로 직각 연장되어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센서 장착부(73)를 갖는 구조이며, 이러한 센서 장착부(73)에는 센서(61,63 및 65)의 장착을 위한 장공(75)이 구비되어 있다. 장공(75)은 측면에서 볼 때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이러한 장공(75)은 센서 장착부(73)의 상하 위치로 복수개로 배열된다. 따라서, 센서 브라켓(70)은 슬라이드 패널(30)과 함께 이송하는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장공(75)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센서 브라켓(70)에는 센싱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센서(61,63 및 65)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센서(61,63,65)는 센서 하우징에 내장되고, 센서 하우징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센서 하우징을 센서 브라켓(70)의 장공(75)에 끼워서 센서 브라켓(70)의 전후면 위치에서 센서 하우징의 외주면 나사부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복수개의 센서(61,63, 및 65)를 슬라이드 패널(30)과 함께 이동하는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 고정수단은 센서 장착부(73)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부와, 이 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인데, 센서(61,63,65)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모두 채용 가능하다. 한편, 셋팅 신호 입력부(50)도 근접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를 구성하는 센서(61,63 및 65)는 컨트롤부에 전선 등의 연결 수단을 매개로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에 구비된 셋팅 신호 입력부(50)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어 장착유닛(10)의 위치를 셋팅하게 된다. 다시 말해, 컨베이어 등의 조립라인(1)에 얹혀져 이송되는 차체(2)의 바퀴에 걸려지는 행거 플레이트(40)에 의해 차체(2)와 함께 이동되는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센싱부의 복수개의 센서(61,63 및 65)가 배열되어, 도어 장착유닛(10)을 자동차의 차체(2)와 함께 동기화되어 이송되도록 동기화 유닛을 가동하게 된다. 이때, 도어 장착유닛(10)을 차체(2)와 함께 이송되도록 셋팅하는 동기화 유닛으로는 특허등록 제0691757호에 기재된 장치를 채용할 수도 있고, 기타 도어 장착유닛(10)을 차체(2)와 함께 이송시킬 수 있는 공지의 수단은 모두 동기화 유닛으로 채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화 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는데, 이 컨트롤부에는 상기와 같이 센싱부의 각 센서(61,63,65)가 전선 등을 매개로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상기한 로테이션 작동유닛과 후술할 슬라이드 패널(30) 원위치 복귀 실린더(90)도 컨트롤부의 단속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귀 실린더(90)는 실린더 몸체의 기단부가 베이스(20)에 고정되고, 복귀 실린더(90)의 실린더 로드(92)의 선단부는 슬라이드 패널(30)의 일측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패널(30)의 일측에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 지지부가 구비되고, 이 연결 지지부의 전면에는 센싱부의 센서(61,63 및 65)와 마주하는 셋팅 신호 입력부(50)가 구비되며, 이 연결 지지부의 내측면(셋팅 신호 입력부(50)와 직교하면서 복귀 실린더(90)의 실린더 로드(92) 선단부와 마주하는 면)에는 복귀 실린더(90)의 실린더 로드(92)의 선단부가 연결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서, 복귀 실린더(90)의 실린더 로드(92)가 펼쳐지는 작동을 함에 따라 슬라이드 패널(30)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부호 61은 센싱부를 구성하는 초기 위치 감지 센서, 부호 65는 차량의 앞바퀴가 지나갔음을 감지하는 바퀴 감지 센서로서, 복귀 실린더(90)의 실린더 로드(92)가 신장되면 슬라이드 패널(30)이 원위치로 다시 슬라이드 복귀되고 셋팅 신호 입력부(50)는 다시 초기 위치 감지센서(61)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초기 위치 감지센서(61)와 바퀴 감지센서(65)도 컨트롤부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에 얹혀진 자동차의 차체(2)가 조립라인(1)을 따라 이동되어 차체(2)의 앞바퀴가 바퀴 감지센서(65)를 지나가면, 이를 감지하여 로테이션 구동유닛을 가동시켜서 행거 플레이트(40)를 힌지부(42)를 중심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그러면, 조립라인(1)을 따라 지나가는 차체(2)의 뒷바퀴가 행거 플레이트(40)에 걸려지고, 이 행거 플레이트(40)가 차체(2) 뒷바퀴에 걸려짐에 따라 슬라이드 패널(30)과 이에 구비된 셋팅 신호 입력부(50)가 베이스(20) 위에서 옆방향(도 1과 도 2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슬라이드 패널(30)이 이동함에 따라 셋팅 신호 입력부(50)가 어느 하나의 센서(63)(근접 센서)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열되면, 이러한 센서(63)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동기화 유닛을 구동시켜 도어 장착유닛(10)이 차체(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동기화 유닛에 의해 도어 장착유닛(10)이 차체(2)와 함께 이동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도어를 차체(2)에 장착하는 제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어느 하나의 차체(2)에 도어 장착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에 들어오는 차체(2)에 도어를 장착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은 다음에 들어오는 차체(2)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다시 말해, 도어 장착유닛(10)이 상부에 지지된 가대가 하부의 가이드 레일과 복귀 작동유닛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본 발명의 동기 제어장치 전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동시에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로테이션 구동유닛을 구성하는 실린더(80)의 실린더 로드(82)를 신장시키면 행거 플레이트(40)가 힌지부(42)를 중심으로 다시 접혀지고, 복귀 실린더(90)의 실린더 로드(92)를 다시 신장시키면, 베이스(20) 위에서 슬라이드 패널(30)과 셋팅 신호 입력부(50)가 다시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최초의 초기 위치 감지센서(61)와 마주하는 위치로 배열됨으로써, 다음에 들어오는 차체(2)에 대한 작업 준비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 장착유닛(10)과 함께 이송하는 과정과 원위치로 다시 복귀하는 과정을 조립라인(1) 상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른 종류의 자동차 차체(2)에 대한 제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센싱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센서(61,63,65)(근접 센서)에 슬라이드 패널(30)과 함께 이동하는 셋팅 신호 입력부(50)가 각각 마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차종에 대한 도어 장착 작업 등을 호환성 있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서(63a), 제2센서(63b), 제3센서(63c), 제4센서(63d)가 각각 A 차종, B 차종, C 차종, D 차종의 도어 장착위치를 셋팅하는 센서로 설정되어, 행거 플레이트(40)가 A 차종의 뒷바퀴에 걸려져서 슬라이드 패널(30)과 이에 장착된 셋팅 신호 입력부(50)가 제4센서(63d) 위치와 마주하면, 이러한 제4센서(63d)의 감지신호에 의해 동기화 유닛으로 도어 장착유닛(10)을 A 차종 차체(2)의 적합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 장착유닛(10)과 본 발명이 동시에 A 차종의 차체(2)와 함께 조립라인(1)을 따라 이송되므로, 작업자가 A 차종의 차체(2)에 도어를 장착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차종에 대한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을 근접 센서(61,63 및 65)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토글 스위치를 이용한 설비에 비하여 차체(2)와 도어 장착유닛(10)을 동기화 작동시키는 주요부의 소손이 손쉽게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유지 보수 등의 측면에서 합리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 토글 스위치를 주요부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송하는 차체(2)의 바퀴가 계속해서 토글 스위치의 접촉 부분을 건드리면 이러한 바퀴 터치 부분이 휘어지는 작용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어 토글 스위치 자체가 비교적 손쉽게 소손되고, 나아가 상기와 같이 비교적 쉽게 토글 스위치가 소손됨으로 인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도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차체(2)와 도어 장착유닛(10)의 동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을 근접 센서(61,63,65)로 구성하면, 물리적으로 부딪히거나 마모력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토글 스위치 이용 설비에 비하여 동기화 작동 부분에 손쉬운 소손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며, 나아가, 주요부의 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다른 주요부인 센서 브라켓(70)은 좌우 방향(차체(2)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장공(75)이 형성되어, 이러한 장공(75)에 센서(61,63,65)를 설치하도록 된 것으로, 센서(61,63,65)의 위치를 장공(75)을 따라 정밀하게 위치를 맞추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동상의 정밀도와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각 센서(61,63,65)의 설치 위치 조절 작업 역시 수월하다. 아울러, 센서 브라켓(70)의 장공(75)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가로 방향 장공(75)이 구비되어, 센싱부의 각각의 센서(61,63,65)가 센서 브라켓(70)의 상하 방향 장공(75)에 결합됨으로써, 각 센서(61,63,65)를 차종에 대응하여 상하 높이를 손쉽게 맞추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20. 베이스 30. 슬라이드 패널
40. 행거 플레이트 50. 셋팅 신호 입력부
63. 센서

Claims (7)

  1. 자동차 차체(2)를 이송시키는 조립라인(1)을 따라 이송하는 도어 장착유닛(10)의 일측에 장착된 베이스(20)와, 상기 차체(2)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베이스(20)에 결합된 슬라이드 패널(30)과,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에 힌지부(42)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조립라인(1)에 탑재된 차체(2)의 바퀴가 걸려지는 방향으로 펼쳐지는 행거 플레이트(40)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40)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42)를 중심으로 상기 행거 플레이트(40)가 펼쳐지거가 접혀지도록 작동시키는 로테이션 작동유닛과,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에 장착된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상기 차체(2)의 상기 바퀴에 걸려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40)에 의해 상기 차체(2)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상기 셋팅 신호 입력부(5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장착유닛(10)의 위치를 셋팅되도록 하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위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도어 장착유닛(10)을 상기 차체(2)와 함께 이송되도록 동기화 작동시키는 동기화 유닛과, 상기 동기화 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차체(2)의 조립라인(1)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마주하는 복수개의 센서(61,63 및 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61,63 및 65)는 상기 셋팅 신호 입력부(50)의 이동 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센서 브라켓(70)의 가로 방향 장공(75)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장착되어 상기 셋팅 신호 입력부(50)와 마주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브라켓(70)에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가로 방향 장공(75)이 구비되어, 상기 센서(61,63 및 65)가 상기 센서 브라켓(70)의 상하 방향 장공(75)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61,63 및 65)의 상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에는 복귀 실린더(90)가 연결되어, 상기 복귀 실린더(90)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패널(30)과 상기 셋팅 신호 입력부(50)를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 위의 슬라이드 패널(30)에 힌지부(42)를 매개로 행거 플레이트(4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패널(30)에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40)의 회동 궤적상에 위치되도록 스톱퍼(44)가 구비되어, 상기 스톱퍼(44)에 의해 상기 행거 플레이트(40)가 상기 차체(2)의 바퀴에 걸려질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KR1020100020002A 2010-03-05 2010-03-05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KR101080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02A KR101080117B1 (ko) 2010-03-05 2010-03-05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02A KR101080117B1 (ko) 2010-03-05 2010-03-05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15A KR20110100915A (ko) 2011-09-15
KR101080117B1 true KR101080117B1 (ko) 2011-11-07

Family

ID=4495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002A KR101080117B1 (ko) 2010-03-05 2010-03-05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1283A (zh) * 2021-03-12 2022-09-20 西刻标识设备(上海)有限公司 一种车身打标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559A (ja) 1997-04-28 1998-11-10 Fuji Heavy Ind Ltd 車体組立ラインにおけるドア取付装置
KR100765648B1 (ko) 2005-10-06 200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기주행기능을 갖춘 도어 장착 시스템
KR100813581B1 (ko) 2007-01-12 2008-03-17 (주)우진정공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559A (ja) 1997-04-28 1998-11-10 Fuji Heavy Ind Ltd 車体組立ラインにおけるドア取付装置
KR100765648B1 (ko) 2005-10-06 200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기주행기능을 갖춘 도어 장착 시스템
KR100813581B1 (ko) 2007-01-12 2008-03-17 (주)우진정공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15A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648B1 (ko) 동기주행기능을 갖춘 도어 장착 시스템
KR101220379B1 (ko) 차량용 행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인져
US20150321845A1 (en) Transfer device
CN108699852A (zh) 自动引导车辆机器人及其夹紧装置
AU2007265566B2 (en) Basket positioning system for multi-chamber washer
KR101080117B1 (ko)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CN203118822U (zh) 开关部件自动装配机
WO2019172516A1 (ko) 호차 자동 장착장치
KR20150080787A (ko) 차량용 도어 힌지 로딩장치
CN104289849B (zh) 多车型白车身组合焊接总拼装置
CN204209327U (zh) 多车型白车身组合焊接总拼装置
KR101900774B1 (ko) 라인용 활차를 통한 케이블의 고장예지 시스템
JPH055611B2 (ko)
KR100747871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KR100813581B1 (ko)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KR20070025373A (ko) 차량의 전방 시트 조립 장치
KR101220010B1 (ko)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KR100691757B1 (ko)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JP2000085959A (ja) ストッパ装置、被搬送物処理装置及びストッパ作動ユニット
KR20200069914A (ko) 자동 운반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JPH0656058A (ja) 車両部品の組付方法
KR100798899B1 (ko) 자동차 도어 장착 위치조절 스톱퍼
CN206242045U (zh) 一种传送pcba板的机械手
JPH06107252A (ja) ドアハンドリングロボット
KR100446863B1 (ko) 자동차 생산라인의 사이드판넬 클램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